KR20050115904A -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904A
KR20050115904A KR1020057016924A KR20057016924A KR20050115904A KR 20050115904 A KR20050115904 A KR 20050115904A KR 1020057016924 A KR1020057016924 A KR 1020057016924A KR 20057016924 A KR20057016924 A KR 20057016924A KR 20050115904 A KR20050115904 A KR 20050115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respect
shaft portion
hinge device
cam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아베
도모아키 나카무라
마사히코 야마나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11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90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05D3/02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allowing an additional lateral movement, e.g. for 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6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tilting of th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Hinges (AREA)

Abstract

2개의 부재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한 쪽 부재를 다른 쪽 부재에 대해 경사지게 할 수 있는 소형의 힌지장치를 제공한다. 제 1 베이스 부재의 관통구멍 내에서 회동축부가 회전함으로써, 회동축부와 같이 회동하도록 구성된 제 2 베이스 부재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제 2 베이스 부재에 구비하는 맞닿음부가 제 1 베이스 부재에 구비하는 캠면 상을 미끄러져 이동함으로써, 제 2 베이스 부재를 회동축부에 대해 경사지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힌지장치{Hinge}
본 발명은 한 쪽 부재와 다른 쪽 부재를 연결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한 쪽 부재와 다른 쪽 부재를 겹쳐서 배치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양 부재의 겹침방향에 따른 축선 둘레에 한 쪽 부재를 다른 쪽 부재에 대해 회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회동에 따라 한 쪽 부재를 다른 쪽 부재에 대해 경사지게 이동시킬 수 있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2개의 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2개의 부재를 겹친 닫힘상태에서 겹침면을 개방시킨 열림상태로 하는 힌지장치로서, 여러 종류의 다양한 구성을 갖는 것이 실용화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기기에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개폐동작을 행하는 힌지장치는 하나의 축을 갖는 것이 대부분이며, 겹침면을 개방시킨 열림상태로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닫힘상태로서 2개의 부재를 겹칠 수 있고, 각 부재의 상면을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열림 동작을 행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한 쪽 부재의 상면을 다른 쪽 부재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하는 구조의 경우, 2축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는데, 2축 구성으로 할 경우, 일본특허 제318981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가 대형화되기 쉬운 과제가 있었다. 또한, 한 쪽 부재의 상면을 다른 쪽 부재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하는 구조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는 과제도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힌지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힌지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힌지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힌지장치의 제 1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힌지장치의 제 2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힌지장치를 사용하여 2개의 부재를 연결하여, 2개의 부재가 겹쳐진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힌지장치를 사용하여 2개의 부재를 연결하고, 한 쪽 부재가 다른 쪽 부재에 대해 겹쳐진 상태에서 180도 회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부재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한 쪽 부재를 다른 쪽 부재에 대해 경사지게 할 수 있는 소형의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겹친 상태에서, 상기 제 2 부재를 상기 제 1 부재에 겹친 닫아막힘면에 대해 대략 평행으로 회동하여 상기 닫아막힘면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에 고정되어 제 1 관통구멍을 갖는 제 1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에 고정되어 제 2 관통구멍을 갖는 제 2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구멍에 결합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에 대해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회전축부가 상기 관통구멍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에 대해 회전멈춤상태로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 2 부재와 함께 회동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는, 상기 회동축부의 회전축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요동축으로 하여 상기 회전축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측에는 맞닿음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측에는 상기 맞닿음부와 맞닿는 캠면을 마련하여, 일단이 상기 회동축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맞닿음부를 상기 캠면으로 밀어붙이도록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를 누르는 탄성체를 배치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가 회동할 때,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캠면상을 미끄러져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가 상기 회동축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베이스 부재의 관통구멍 내에서 회동축부가 회전함으로써, 회동축부와 함께 회동하도록 구성된 제 2 베이스 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 2 베이스 부재에 구비하는 맞닿음부가 제 1 베이스 부재에 구비하는 캠면상을 미끄러져 이동함으로써, 제 2 베이스 부재를 회동축부에 대해 경사지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에 구비하는 캠면의 시작점에서, 상기 맞닿음부가 들어가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가 경사지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함몰부로 들어갈 수 있게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를 경사지게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제 2 부재에 구비하는 맞닿음부를 제 1 베이스 부재에 구비하는 함몰부로 들어가도록 가압하였으므로, 제 2 베이스 부재가 제 1 베이스 부재에 대해 용이하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캠면을 시작점에서 종착점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하는 연속된 경사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제 2 베이스 부재가 제 1 베이스 부재에 대해 회동할 때. 제 2 부재를 회동축부에 대해 서서히 경사지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회동축부의 회동을 소정위치에서 위치결정하여 걸리게 하는 위치결정 걸림기구를 구비하여, 상기 제 2 부재가 적어도 상기 제 1 부재를 덮도록 겹치는 위치와, 겹친 상태에서 상기 제 2 부재를 상기 제 1 부재에 대해 대략 180도 회동시켜 상기 제 1 부재와 대략 직선형으로 연이어 설치하는 상태가 되는 위치에서 위치결정하여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겹침상태 및 겹침상태에서 대략 180도 회동한 상태에 있어서, 제 2 베이스 부재가 제 1 베이스 부재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초과하여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한 쪽 부재를 다른 쪽 부재에 대해 경사지게 할 수 있는 소형의 힌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힌지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힌지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힌지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4는, 도 1의 힌지장치의 제 1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1의 힌지장치의 제 2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1의 힌지장치를 사용하여 2개의 부재를 연결하여, 2개의 부재가 겹쳐진 닫힘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도 1의 힌지장치를 사용하여 2개의 부재를 연결하여, 한 쪽 부재가 다른 쪽 부재에 대해 겹쳐진 상태에서 대략 180도 회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4)를 사용하여 2개의 부재(제 1 부재(1), 제 2 부재(2))를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힌지장치는, 관통구멍(9)을 구비하는 제 1 베이스 부재(5)와, 이 제 1 베이스 부재(5)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6)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5)에 장착되는 회동축부(7)와, 회동축부(7)에 대해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제 2 베이스 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베이스 부재(5)는, 그 중앙에 관통구멍(9)을 갖고, 이와 동시에, 외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체결용 플랜지(10)를 구비하고 있다. 관통구멍(9)의 주위에는 대략 180도의 범위에 걸쳐 캠면(11)을 구비하고, 이 캠면(11)의 시작점(S)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절개된 함몰부(13)를 갖고, 이와 동시에, 캠면(11)은, 시점(S)에서 종점(E)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연속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캠면(11)은, 가장 높은 종점 위치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점차 하강하고, 함몰부(13)를 향해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9)의 내벽면에는, 회동축부(7)를 받치는 단부(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동축부(7)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베이스 부재(5)의 관통구멍(9)에 끼워 넣어져 축선(6)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회동축부(7)의 양단에는, 후술하는 스프링 받침부재(16)와 스톱퍼(17)를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18, 19)를 구비함과 동시에, 회전축부(7)의 외주면에는, 축선(6)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2쌍의 홈(20, 21)을 구비하고, 이들 홈(20, 21)은, 회동축부(7)의 길이방향에 따라 그 도중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홈(20)의 단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축부(7)의 길이방향의 중앙 부근에는,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5)의 관통구멍(9)의 삽입단을 향하여 외경 치수가 한층 작아지는 단부(22)를 형성하고 있다. 이 회동축부(7)의 단부(22)는,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5)의 관통구멍(9) 내의 단부(14)에 받쳐짐으로써, 회전축부(7)를 제 1 베이스 부재(5)에 대해 축선(6) 방향으로 위치결정하여 걸리게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부호 23은, 회전축부(7)의 단부(22)와 제 1 베이스 부재(5)의 단부 (14) 사이에 끼워지는 와셔이며, 각 단부(14, 22)끼리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마찰을 감소시켜, 제 1 베이스 부재(5)에 대한 회동축부(7)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8)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평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중앙에 배치되는 링 판형상의 슬라이더부(24)와 이 슬라이더부(24)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2개의 브래킷부(25)를 일체화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브래킷부(25)에는, 제 2 베이스 부재(8)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구멍(26)이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더부(24)의 중앙에는, 회동축부(7)를 끼워서 통하게 하는 관통구멍(27)을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슬라이더부(24)의 외주부에는, 슬라이더부(24)를 구성하는 평판의 일부를 약 90도 절곡함으로써, 판 두께방향으로 돌출하는 맞닿음부(28)를 형성하고 있다. 이 맞닿음부(28)는, 관통구멍(27)의 중심에 대해 제 1 베이스 부재(5)의 캠면(11)의 반경 치수와 동일한 반경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베이스 부재(8)의 관통구멍(27) 내에는, 둘레방향으로 90도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4개의 돌기(29, 30)를 구비하고 있다. 또, 대향하는 한 쌍의 돌기(29)에는, 원판형의 회전축판(31)을 설치하고 있다. 이들 회전축판(31)은, 상기 회동축부(7)의 외면에 형성하는 홈(20)의 반원형상 단부의 반경 치수와 동일한 반경 치수가 되도록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회전축판(31)은, 상기 관통구멍(27) 내에 회전축부(7)가 삽입될 때, 회동축부(7)의 홈(20) 내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회동축판(31)은, 반원형상의 홈(20)의 단부에 맞닿으면, 홈(20) 단부의 반원형 측벽에 의해 외주면을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된다. 이에 의해, 제 2 베이스 부재(8)는, 회동축부(7)의 축선(6)에 직교하는 2개의 회동축판(31)의 공통중심선(32)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회동축부(7)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회동축부(7)가 관통구멍(27) 내에 삽입될 때, 제 2 베이스 부재(8)의 관통구멍(27) 내에 마련되어 있는 다른 한 쌍의 돌기(30)는, 회동축부(7)의 홈(21) 내로 삽입되어, 제 2 베이스 부재(8)가 회동축부(7)에 대해 요동할 때 홈(21) 내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부(7)의 외주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홈(20, 21) 내부에, 제 2 베이스 부재(8)의 회전축판(31) 및 돌기(30)를 삽입상태로 배치함으로써, 회전축판(31) 및 돌기(30)는, 각 홈(20, 21)의 측벽과, 회동축부(7)의 둘레방향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회동축부(7)의 축선(6) 둘레의 회전력이 제 2 베이스 부재(8)에 가해졌을 때는, 그 회전력이, 제 2 베이스 부재(8)의 회전축판(31) 및 돌기(30)와, 이들이 삽입되어 있는 홈(20, 21)의 측벽 및 상기 측벽에 결합되어 있는 회동축부(7)에 전달되어, 결국 회동축부(7)를 축선(6) 둘레에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또, 제 2 베이스 부재(8)의 슬라이더부(24)는, 브래킷부(25)와 대략 평행한 평행부(33)와, 상기 평행부(33)에 대해 상기 2개의 회전축판(31)의 공통중심선(32) 둘레에 경사진 경사부(34)를 가지고 있으며, 공통중심선(32)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맞닿음부(28)는, 상기 평행부(33)에 형성되어 있으며, 맞닿음부(28)의 선단이, 상기 경사부(34)의 이면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대략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받침부재(16)는, 회동축부(7)의 일단에 마련된 고정부(18)의 외형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끼워맞춤구멍(35)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끼워맞춤구멍(35)에 고정부(18)를 끼워 맞춘 후에, 고정부(18)를 코킹(caulking)함으로써, 회전축부(7)에 스프링 받침부재(16)가 일체화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스프링 받침부재(16)에는, 회전축부(7)에 끼워 맞춰지는 스페이서(36) 및 2장의 굴곡 스프링(37)이 회전축부(7)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장착하는 지지돌기(38)를 구비하고, 이 지지돌기(38)는, T자형으로 형성되어, 스페이서(36) 및 굴곡 스프링(37)에 각각 마련된 잘린부분(36a, 36b)과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 받침부재(16)는, 회동축부(7)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페이스(36)를 통해 굴곡 스프링(37)을 제 2 베이스 부재(8) 사이에 끼우고, 굴곡 스프링(37)을 탄성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제 2 베이스 부재(8)의 맞닿음부(28)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을 공통중심선(32) 둘레에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굴곡 스프링(37)에 의한 가압방향은, 제 2 베이스 부재(8)를 맞닿음부(28)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공통중심선(32) 둘레에 회전시키는 방향이다.
스톱퍼(17)는, 회전축부(7)의 타단에 마련된 고정부(19)의 외형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끼워맞춤구멍(39)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끼워맞춤구멍(39)에 고정부(19)를 끼워 맞춘 후에, 고정부(19)를 코킹함으로써, 회동축부(7)에 스톱퍼(17)를 일체적으로 고정하고, 회동축부(7)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스톱퍼(17)에는, 제 1 베이스 부재(5)에 마련된 맞닿음면(40)에 맞닿아 있는 회전멈춤부(41)를 구비하여, 스톱퍼(17)의 회전멈춤부(41)를 제 1 베이스 부재(5)의 맞닿음면(40)에 맞닿게 함으로써, 제 1 베이스 부재(5)에 대해 회동축부(7)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동축부(7)는, 제 1 베이스 부재(5)에 대해 제 1 축선(6) 둘레에 대략 180도의 범위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42는, 제 1 베이스 부재(5)와 스톱퍼(17) 사이에 끼워지는 클릭 스프링이며, 이 클릭 스프링(42)은, 제 1 베이스 부재(5)와 스톱퍼(17)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스톱퍼(17)를 제 1 베이스 부재(5)로부터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 클릭 스프링(42)에는, 스톱퍼(17) 측으로 돌출하는 클릭 돌기(43)가 마련되어 있으며, 한편, 스톱퍼(17)에는, 클릭 돌기(43)와 결합하는 오목부(44)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베이스 부재(5)에 대한 회동축부(7)의 회전범위의 양단에 있어서 클릭 돌기(43)를 오목부(44)에 결합시킴으로써, 회동축부(7)가 제 1 베이스 부재(5)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즉, 회전축부(7)의 제 1 베이스 부재(5)에 대한 회전을 소정 위치에서 일단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도면부호 45 는 본체설치 브래킷, 도면부호 46 은 본체설치나사를 각각 도시하고 있으며, 제 1 베이스 부재(5)에 마련한 체결용 플랜지(10)와 본체설치 브래킷(45) 사이에 제 1 부재(1)를 끼워서 본체설치나사(46)로 함께 체결함으로써, 제 1 베이스 부재(5)를 제 1 부재(1)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장치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스프링 받침부재(16)의 지지돌기(38)에, 스페이서(36)와 2장의 굴곡 스프링(37)의 잘린부분(36a, 37a)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회동축부(7)의 일단측(제 2 부재(2)에 결합되는 측)을 굴곡 스프링(37), 스페이서(36) 및 스프링 받침부재(16)의 순서로 삽입하여, 회동축부(7)의 단부의 고정부(18)를 스프링 받침부재(16)의 끼워맞춤구멍(35)에 코킹한다.
한편, 회동축부(7)의 타단측(제 1 부재(1)에 결합되는 측)으로부터는, 제 2 베이스 부재(8), 와셔(23), 제 1 베이스 부재(5), 클릭 스프링(42) 및 스톱퍼(17)를 차례대로 삽입하고, 굴곡 스프링(37) 및 클릭 스프링(42)을 탄성적으로 변형시킨 상태에서 스톱퍼(17)의 끼워맞춤구멍(39)에 회전축부(7)의 고정부(19)를 코킹한다.
이에 의해, 제 1 베이스 부재(5)의 관통구멍(9)에, 회동축부(7)가 축선(6)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회동축부(7)에 제 2 베이스 부재(8)가 축선(6)에 직교하는 축선(32) 둘레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베이스 부재(8)의 브래킷부(25)에 형성된 장착구멍(26)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나사를 제 2 부재에 체결함으로써, 제 2 베이스 부재(8)를 제 2 부재(2)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 1 베이스 부재(5)의 체결용 플랜지(10)와 본체설치 브래킷(45) 사이에 제 1 부재(1)를 끼워서 본체설치나사(46)로 함께 체결함으로써, 제 1 베이스 부재(5)를 제 1 부재(1)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가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의 힌지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 부재(5)에 대해 제 2 베이스 부재(8)가 상대각도 0도의 위치, 즉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가 서로 가장 넓은 중복면적에서 겹쳐질 때의 상대각도위치에 배치된 제 1 위치의 상태(이 상태를 닫힘상태라고 한다.)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 2 베이스 부재(8)의 맞닿음부(28)는, 제 1 베이스 부재(5)에 마련된 함몰부(13)에 수용되어 있다.
또, 제 2 베이스 부재(8)는, 굴곡 스프링(37)의 탄발력에 의해, 그 맞닿음부(28)가 밀어 내려져, 함몰부(13)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제 2 베이스 부재(8)의 브래킷부(25)는, 맞닿음부(28) 측이 아래가 되도록 경사지고, 이에 의해, 제 2 부재(2)를 제 1 부재(1)에 대해 가압할 수 있어, 닫힘상태에 있어서 서로 밀착시켜서 지지하고,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맞닿음부(28)가 함몰부(13) 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제 2 부재(2)가 제 1 부재(1)에 대해 간단하게 회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부재(1) 및 제 2 부재(2)에 어느 정도의 치수 변동이 있다고 해도, 부재(1, 2) 사이에서 흔들거림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 스톱퍼(17)는, 그 한 쪽의 회전멈춤부(41)를 제 1 베이스 부재(5)의 맞닿음면(40)에 맞닿게 하여, 2개의 부재(1, 2)가 한 방향으로 상대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뿐만 아니라, 오목부(44)에 클릭 스프링(42)의 클릭 돌기(43)를 결합시킴으로써, 부재(1, 2)에 가해지는 외력이 소정 크기 이상이 될 때까지 양 부재(1, 2)가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닫힘상태에서 제 2 부재(2)를 제 1 부재(1)에 대해 축선(6) 둘레에 회전시키는 외력을 가한다. 외력이 소정 크기를 넘어서면, 스톱퍼(17)의 오목부(44)와 클릭 스프링(42)의 클릭 돌기(43)와의 결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제 2 베이스 부재(8)의 맞닿음부(28)가 제 1 베이스 부재(5)의 함몰부(13)로부터 빠져서 캠면(11)에 얹혀진다. 이에 의해, 2개의 부재(1, 2)의 상대적인 회전이 시작된다.
즉, 제 2 베이스 부재(8)는, 회동축부(7)의 축선(6)에 직교하는 2개의 회전축판(31)의 공통중심선(32) 둘레에 요동가능하게 회동축부(7)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맞닿음부(28)가 캠면(11)에 얹혀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요동되어 진다. 이에 의해, 제 2 베이스 부재(8)가 고정되어 있는 제 2 부재(2)도 동일하게 요동하고, 제 1 부재(1)에 대해 두께방향으로 떨어지므로, 양자의 상대회전에 의해 각 부재(1, 2)가 맞닿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제 1 부재(1)에 대해 제 2 부재(2)를 더 회전시키면, 제 2 베이스 부재(8)의 맞닿음부(28)가 제 1 베이스 부재(5)에 형성된 경사형 캠면(11) 상을 미끄러져 이동하여 점차 들어 올려진다. 이때, 맞닿음부(28)는, 굴곡 스프링(37)에 의해 항상 캠면(11)을 누르도록 가압되므로, 캠면(11)으로부터 떨어지는 일 없이, 캠면(11)을 따라 들어 올려진다. 맞닿음부(28)가 들어 올려지면, 제 2 베이스 부재(8)는, 굴곡 스프링(37)의 탄성반발력에 대항하여 점차 경사각도를 증대시켜 가고, 닫힘상태에서 대략 180도 회전된 열림상태(제 2 위치의 상태)에 있어서,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베이스 부재(8)의 브래킷부(25)가 제 1 베이스 부재(5)에 대해 크게 경사지게 된다.
제 2 베이스 부재(8) 중앙의 슬라이더부(24)에는, 평행부(33)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34)가 마련되어 있으며, 맞닿음부(28)는, 상기 경사부(34)의 이면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개략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2 베이스 부재(8)가 제 1 베이스 부재(5)에 대해 회동축부(7)의 축선(6) 둘레에 대략 180도 회전되어도, 경사부(34)에 의해 제 2 베이스 부재(8)와 제 1 베이스 부재(5) 사이의 마찰이 감소된다.
이러한 열림상태에 있어서, 스톱퍼(17)의 다른 한 쪽의 회전멈춤부(41)가 제 1 베이스 부재(5)의 다른 맞닿음면(40)에 맞닿아서 제 2 베이스 부재(8)의 회전이 억제된다. 또, 이 열림상태에 있어서, 스톱퍼(17)의 오목부(44)에 클릭 스프링(42)의 클릭 돌기(43)가 다시 결합하여,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열림상태로 지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한 쪽 부재를 다른 쪽 부재에 대해 경사지게 할 수 있는 소형의 힌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겹친 상태에서, 상기 제 2 부재를 상기 제 1 부재에 겹친 닫아막힘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회동하여 상기 닫아막힘면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에 고정되어 제 1 관통구멍을 갖는 제 1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에 고정되어 제 2 관통구멍을 갖는 제 2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구멍에 결합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에 대해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회전축부가 상기 관통구멍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에 대해 회전멈춤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 2 부재와 함께 회동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는, 상기 회동축부의 회전축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요동축으로 하여 상기 회전축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측에는 맞닿음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측에는 상기 맞닿음부와 맞닿는 캠면을 마련하여, 일단이 상기 회동축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맞닿음부를 상기 캠면으로 밀어붙이도록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를 누르는 탄성체를 배치하여,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가 회동할 때,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캠면 상을 미끄러져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가 상기 회동축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에 구비하는 캠면의 시작점에, 상기 맞닿음부가 들어가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가 경사지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함몰부로 들어가도록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를 경사지게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시작점에서 끝점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부의 회동을 소정위치에서 위치결정하여 걸리게 하는 위치결정 걸림기구를 구비하여, 적어도, 상기 제 2 부재가 상기 제 1 부재와 거의 겹쳐지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부재를 상기 제 1 부재에 대해 대략 180도 회동시켜 상기 제 1 부재와 대략 직선형으로 연이어 설치한 상태가 되게 하는 제 2 위치를 이용해서 위치결정하여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1020057016924A 2003-03-10 2004-03-05 힌지장치 KR200501159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64249A JP4150615B2 (ja) 2003-03-10 2003-03-10 ヒンジ装置
JPJP-P-2003-00064249 2003-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904A true KR20050115904A (ko) 2005-12-08

Family

ID=3298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924A KR20050115904A (ko) 2003-03-10 2004-03-05 힌지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81291B2 (ko)
EP (1) EP1619399B1 (ko)
JP (1) JP4150615B2 (ko)
KR (1) KR20050115904A (ko)
CN (1) CN100358329C (ko)
DE (1) DE602004029881D1 (ko)
WO (1) WO20040813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518B1 (ko) * 2006-01-26 2007-10-3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플랜지형 디스크스프링이 구비된 힌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102B1 (ko) * 2003-06-30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브 하우징 스토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JP4739936B2 (ja) * 2005-04-01 2011-08-03 邦恭 梶原 車輌のドア構造
KR101134851B1 (ko) * 2006-11-17 2012-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N101660566B (zh) * 2008-08-25 2012-12-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JP4681058B2 (ja) * 2009-01-14 2011-05-11 株式会社オーハシテクニカ ヒンジ装置
US8861187B2 (en) * 2011-12-19 2014-10-14 Lenovo (Singapore) Pte. Ltd. Convertible table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9818A (en) 1962-06-14 1965-06-15 Dielectric Instr Corp Portable insulation testing equipment adaptable for conversion from straight to inverted schering-bridge operation
US5715575A (en) * 1995-03-13 1998-02-10 Kato Spring Works Co., Ltd. Hinge device
JP3189818B2 (ja) * 1998-12-24 2001-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無線電話機
JP3517384B2 (ja) * 2000-04-04 2004-04-12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KR100350493B1 (ko) * 2000-10-26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원추형 힌지 수단을 구비한 휴대가능한 접이형 단말기
JP2002135380A (ja) * 2000-10-27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JP4079407B2 (ja) * 2000-11-10 2008-04-23 三菱製鋼株式会社 複数のトルク発生部を有する1軸ヒンジ装置
JP2002158758A (ja) * 2000-11-20 2002-05-31 Nec Corp 開閉型携帯情報端末
JP4298908B2 (ja) 2000-11-20 2009-07-22 三菱製鋼株式会社 複数のトルク発生部を有する2軸ヒンジ
KR100526335B1 (ko) * 2000-12-28 2005-11-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 폴더 개폐장치
TW495130U (en) * 2001-02-09 2002-07-11 Acer Inc Flat display device and the rotatory structure thereof
JP2003174495A (ja) * 2001-09-28 2003-06-20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JP2003120653A (ja) * 2001-10-17 2003-04-23 Ohashi Technica Inc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KR100461180B1 (ko) * 2002-04-12 2004-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JP3786099B2 (ja) * 2002-07-01 2006-06-1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とその開閉方法
US6742221B2 (en) * 2002-11-06 2004-06-01 Shin Zu Shing Co., Ltd. Hinge for a notebook compu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518B1 (ko) * 2006-01-26 2007-10-3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플랜지형 디스크스프링이 구비된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81291B2 (en) 2009-09-01
EP1619399A1 (en) 2006-01-25
DE602004029881D1 (de) 2010-12-16
JP4150615B2 (ja) 2008-09-17
CN100358329C (zh) 2007-12-26
EP1619399B1 (en) 2010-11-03
EP1619399A4 (en) 2009-06-24
US20070271733A1 (en) 2007-11-29
JP2004270849A (ja) 2004-09-30
WO2004081398A1 (ja) 2004-09-23
CN1759259A (zh)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1244B2 (ja) 開閉体の開閉装置
JP5345219B2 (ja) ヒンジ機構
US7581290B2 (en) Hinge structure
US20050235459A1 (en) Hinge device having temporary angle set function
JPH1167337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9014195A (ja) ヒンジ機構
TWI526145B (zh) 電子裝置及其雙軸鉸鏈
JP3390718B2 (ja) 二軸ヒンジ装置
JP2002155923A (ja) 複数のトルク発生部を有する2軸ヒンジ
KR20050115904A (ko) 힌지장치
JP2012159095A5 (ko)
WO2006001142A1 (ja) 二軸ヒンジ装置
JP4018093B2 (ja) ヒンジ機構
US5315336A (en) Battery housing structure
JP2003148446A (ja) ヒンジ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20080107267A (ko)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휴대기기
JP2001041228A (ja) チルトヒンジ
JP4152465B2 (ja) 蝶番
JP2946441B2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開閉構造
JP5415913B2 (ja) ヒンジ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JP4539632B2 (ja) ヒンジ装置及びそ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機器
JP3353211B2 (ja) 蝶番装置
JP2008249094A (ja) ヒンジ装置及びそ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機器
JPH08112215A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
JPH1198228A (ja) 折畳み型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