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387A - 고내수압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 Google Patents

고내수압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387A
KR20050111387A KR1020057017491A KR20057017491A KR20050111387A KR 20050111387 A KR20050111387 A KR 20050111387A KR 1020057017491 A KR1020057017491 A KR 1020057017491A KR 20057017491 A KR20057017491 A KR 20057017491A KR 20050111387 A KR20050111387 A KR 20050111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layer
polyester
fiber
ultra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3750B1 (ko
Inventor
토모유끼 호소카와
류지 스즈카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11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01D5/0985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by means of a flowing gas (e.g. melt-blow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25Composite fibres
    • D04H1/43828Composite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8Ultrafine fibres, e.g. micro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10T442/668Separate nonwoven fabric layers comprise chemically different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Melt-blown non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폴리에스테르계의 소재에 폴리올레핀계의 소재를 적어도 1 % 이상 첨가한 섬유 직경이 5 ㎛ 이하인 극세 섬유 부직포층과, 섬유 직경이 7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계의 장섬유 부직포층이 열압착에 의해 일체화되고, 2 kPa 이상의 내수압치를 갖는 적층 부직포 구조체를 포함하는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이다. 건재에 사용되는 투습 방수 시트나 구두재, 나아가 필터 성능도 요구되는 분야, 예를 들면 포재로서 사용되는 건조 포재, 내방사선성이나 필 강도도 요구되는 멸균 포재 등의 각종 포재 등으로서 바람직한 부직포 재료이다.

Description

고내수압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NONWOVEN POLYESTER FABRIC WITH HIGH RESISTANCE TO WATER PRESSURE}
본 발명은 고내수 성능이 요구됨과 동시에 통기성이나 투습성 및 강도나 내열성도 요구되는 분야, 예를 들면 건재 용도로서 사용되는 투습 방수 시트 등이나 구두재, 나아가 필터 성능도 요구되는 분야, 예를 들면 포장재로서 사용되는 건조포장재, 내방사선성이나 박리 강도(peel strength)도 요구되는 멸균 포장재 등에 유용한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극세 섬유 부직포층과 장섬유 부직포층을 적층하여 열압착으로 일체화하는 것은 널리 행해지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등의 소수성 소재인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부직포는 내수성에서 우수하지만, 수지의 융점이 낮기 때문에 내열성이 열악하고 고강도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들 특성이 성능으로서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한 부직포 소재가 아니다.
타이벡(Tyvek, 등록 상표)으로 대표되는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플래시 방사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로도 고내수성 및 고강력을 얻을 수는 있지만, 폴리에스테르 수지 소재를 사용하는 부직포에 비해 내열성이 열악하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수지 소재만으로부터 얻어지는 부직포는 강도나 내열성에서 우수한 반면, 소수성능이 열악하고, 고내수 성능이 요구되는 분야에는 적합하지 않은 부직포 소재였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247061호 공보에 개시된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층과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적층에 열압착법이나 접착에 의한 접합법을 적용하여 적층 구조를 고정함으로써, 고강력으로 내수 성능을 부여시키고자 하는 시도도 있다. 그러나, 섬유 상호의 융점차가 큰 섬유층의 적층 구조를 열압착법을 적용하여 일체화시키는 경우, 극세 섬유가 용융되어 섬유의 층 구조가 무너지기 때문에, 층간 박리가 일어나고 쉽고, 제품 부직포의 내수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7-207566호 공보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소재와 폴리올레핀계 수지 소재의 혼합 조성물에 멜트 블로우법을 적용하여 얻어지는 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에 스펀 본드(spun bond)법에 의한 장섬유 부직포를 중첩시키고, 열 엠보싱법을 적용하여 양자를 접합시킴으로써, 적층된 부직포가 고박리 강도로 접합된 유연성이 우수하고, 감촉이 양호한 필터 성능을 구비한 다층 구조 부직포를 얻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만으로 구성되는 장섬유 부직포층과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적층 구조 부직포는 모두 유연성이 열악해져 버리는 경향이 현저하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 극세 섬유층 성분을 첨가하여 유연성 저하를 완화시킬 수 있다고 하더라도 폴리에스테르와의 상용성이 없는 폴리프로필렌의 양섬유의 융착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높은 층간 박리 강도를 갖는 적층 부직포를 얻을 수 없다.
일본 특허 공개 (평)7-207566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극세 섬유층에 폴리에스테르 소재와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혼합 수지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를 대략 시스부(sheath portion),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를 대략 코어부(core portion)의 구성으로 하여 박리 강도가 높은 부직포를 얻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소수성 소재인 폴리프로필렌이 섬유의 단면에서 대략 코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섬유 표면의 소수성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부직포 적층체로 한 경우에도 고내수 성능을 가질 수 없다.
소수성 섬유 부직포층을 접합시켜 적층체를 형성하는 방법에서는, 특히 기본 중량(目付, basis of weight)이 낮은 극세 섬유 부직포층을 단독으로 취급할 때에는, 부직포 시트의 형태 유지성이 악화되어 취급성이 매우 어려줘지고, 취급시 작업 비용을 증가시켜 비경제적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열성이나 인장 강도가 높은 고내수성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특정량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여 용융 압출 방사하여 섬유화함으로써, 섬유 표면에 비연속적인 소수점(疎水点)(대역)을 특정 비율로 점재화시킨 극세 섬유 부직포와 장섬유 부직포의 적층 부직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적어도 1 중량 % 이상 혼합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소재를 포함하는 섬유 직경이 5 ㎛ 이하인 극세 섬유 부직포층과, 섬유 직경이 7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체로 한 장섬유 부직포층이 열압착에 의해 일체화되고, 2 kPa 이상의 내수압치를 갖는 적층 부직포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극세 섬유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혼합량과 본 발명의 적층 부직포의 내수압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 부직포의 전자선 조사 후의 인장 강력 유지율 곡선을 나타낸다.
도 3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극세 섬유 표면에서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상의 점재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의 고내수압성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는 섬유 직경 및 조성이 서로 상이한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가 적층되고, 또한 적층 부직포의 적층 구조가 열 캘린더 등의 작용에 의해 열 고정됨으로써, 특이한 고내수압성이 부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적층 구조를 구성하는 부직포층 성분 중의 하나는 멜트 블로우 방사법에 의해 형성된 섬유 직경 5 ㎛ 이하의 특정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특정 비율로 혼합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극세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이고, 부직포층 성분의 다른 하나는 섬유 직경이 7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내지 20 ㎛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체로 한 장섬유 부직포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수지 조성 및 섬유 직경이 상이한 특정 2종의 부직포가 적층된 적층 구조가, 열 캘린더 등에 의한 가압이나 가열 압착의 작용에 의해 각각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표면에 자리잡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열융착 작용에 의한 섬유 간 및 부직포층 간의 열융착적 접합이 일어나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부직포가 발휘하는 내수성은 폴리에스테르 극세 섬유 부직포 성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극세 섬유의 섬유 표면에 소수성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비연속적으로 분포하여 산재하고, 그것이 소수점으로서 작용하는 구조에 의한 것이다.
도 3에 의해, 폴리에스테르계 극세 섬유 (F)의 표면에서 폴리에스테르상 (a) 내에 폴리올레핀상 (b)가 비연속적으로 분산되어 노출되어 있는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극세 섬유 부직포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극세 섬유의 상 내를 점하하는 폴리올레핀 각 수지의 분산 상태를 후술하는 평가 방법 (7)에 의해 관측한 결과, 폴리올레핀 용해 처리 후에 있어서의 SEM 사진 관찰에서, 폴리올레핀 용해 처리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섬유 표면에 폴리올레핀이 용해되어 떨어진 구멍이나 선형으로 분산된 흔적이 관찰되고, 극세 섬유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혼합된 폴리올레핀이 섬유의 표면에 블리드 아웃하여 존재하고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혼합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극세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에서는, 캘린더 롤가공에 의해 섬유층을 강고하게 열접착시키더라도 2 kPa 이상의 내수압을 발현시킬 수는 없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극세 섬유 부직포층을 구성하는 섬유 직경이 5 ㎛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극세 섬유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적어도 1 중량% 이상 혼합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의 극세 섬유이다.
보다 높은 내수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극세 섬유층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율로서 5 내지 75 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이다. 도 1에 일례로서 실시예 1 내지 7에 있어서의 대표적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혼합량과 내수압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 도면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혼합하면 소량의 혼합량으로 내수압이 급격히 향상하는 경향이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율이 10 내지 50 중량%의 범위에 있으면 내수압은 7 kPa 이상이 되어 극대치를 나타내고, 매우 높은 내수압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혼합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면 내수압은 약간 저하되어 7 kPa보다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대표적인 예로서 들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는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산 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이나 프탈산 등이 중합 또는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일 수도 있다. 또한, 생분해성을 갖는 수지 예를 들면, 폴리글리콜산이나 폴리락트산과 같은 폴리(α-히드록시산) 또는 이들을 주된 반복의 단위 요소로 하는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첨가 또는 혼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일반적인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에 의해 합성되는 중합체일 수도 있고, 메탈로센으로 대표되는 단일 부위(single site) 활성 촉매에 의해 합성된 중합체일 수도 있다. 폴리에틸렌은 LLDPE(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일 수 있고, 나아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과의 공중합체나 폴리프로필렌 중에 폴리에틸렌이나 다른 첨가제를 첨가한 중합체일 수 있다.
소수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섬유 표면에 비연속적으로 존재하는 한편, 섬유 표면에는 폴리에스테르의 열 접착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극세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조건이 필요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점도로서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섬유 직경을 가늘게 하기가 어려워지고, 또한 점도를 낮게 하면 제조 공정 중에서 풍면(fly)이 발생되기 쉬운 조건이 되고 안정된 방사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용액 점도의 범위로서는 0.2 내지 0.8 ηsp/C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0.2 내지 0.6 ηsp/C이다. 또한, 용액 점도의 측정은 오르토클로로페놀 용매 25 ㎖에 시료 0.25 g를 용해하고, 온도 35 ℃의 조건에서 통상법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이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구조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 표면에 소수점이 비연속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재된 점상이나 선상 및 면상일 수도 있다. 그러나, 완전한 시스-코어 구조(예를 들면, 대략 시스부가 폴리올레핀, 대략 코어부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에는, 열압착으로 일체화했을 경우 장섬유 부직포층과의 융착이 불충분해져 박리 강도가 저하되고 표면층에 올레핀이 스며나와 롤 표면이 더러워져 버린다는 공정상의 문제점도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극세 섬유 부직포층에 표면 장력이 다른 시약을 적하했을 때의 습윤(wetting)·함침 개시 수준이 50 m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mN/m 이하이다. 50 mN/m를 초과하면 섬유 표면에서의 소수점의 존재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장섬유 부직포층과의 적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수성도 저하되어 버린다. 멜트 인덱서 용융 유량 장치를 이용하여 실제로 용융방사할 때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 조건으로 시험 하중 21.18 N에서 10분 당 용융 중합체의 토출량을 측정하고 이 양을 용융 유량으로 했을 경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용융 유량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용융 유량인 것이 큰 값을 나타낼수록 보다 블리드 아웃(bleed out)되기 쉬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중합체 점도로서는 MFR이 20 g/10 분 이상이면 좋지만, 섬유의 표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블리드 아웃되기 쉬운 상태가 되면 섬유 표면의 소수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따라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MFR이 100 g/10 분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3000 g/10 분의 하이 플로우 유형이다. 또한, MFR의 측정은 JIS K7210에 의해 실시하고, 시험 조건은 시험 온도 230 ℃, 시험 하중 21.18 N로 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극세 섬유 부직포층은 압출기 내에서 상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혼합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용융물을 제조하고, 멜트 블로우 노즐을 거쳐 멜트 블로우 방사법에 의해 토출하고, 극세 섬유로서 수집면 상에 퇴적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멜트 블로우 제조 방법의 구체적인 형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고 (소)62-2062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고 (소)56-3351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극세 섬유 부직포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직경으로서는 5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이다. 섬유 직경이 가늘어지면 가늘어질수록 내수 성능은 향상되지만, 0.5 ㎛ 미만인 섬유 직경의 경우에는 섬유가 절단되기 쉽고, 제조 공정 중에서 풍면(플라이)이 발생되기 쉬운 조건이 되고, 안정된 방사가 곤란해진다. 방사 공정에서의 방사구 홀 당 중합체의 토출량을 줄이는 방법도 있지만, 생산성이 저하되고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섬유 직경이 5 ㎛를 초과하는 섬유 직경에서는 섬유 간극이 커져 충분한 내수 성능을 얻을 수 없다.
섬유 직경이 7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층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고 (소)49-30861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고 (소)37-4993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스펀 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적용하여 제조되는 섬유 직경이 7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로 형성되는 부직포로 구성된다.
여기서 말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한 이소프탈산이나 프탈산 등이 중합된 폴리에스테르, 나아가 생분해성을 갖는 수지, 예를 들면 폴리글리콜산이나 폴리락트산과 같은 폴리(α-히드록시산), 또는 이들을 주된 반복 단위 요소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일 수도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7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일 수도 있다. 여기서 혼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극세 섬유 부직포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혼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는, 수분이 표면에 부착했을 때 소수 효과가 우수하고, 표면 장력이 다른 시약을 적하했을 때 습윤·함침 개시 수준도 향상되어 물의 침입 저지성이 개선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합은 혼합율을 증가시킴으로써 표면의 소수 효과도 향상되지만, 안정된 방사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혼합율이 3 중량%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극세 섬유 부직포층과 장섬유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는 10 g/㎡ 이상의 기본 중량으로 제조된다. 부직포 적층체 내,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성분으로서의 기본 중량은 2 g/㎡ 이상, 장섬유 부직포층이 차지하는 기본 중량이 8 g/㎡ 이상인 것이 각각 필요하다.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적층체의 내수 성능은 주로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특성에 의해 부여된다. 부직포가 극세 섬유층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직포는, 그 부직포 구조가 수압을 걸었을 때 구멍이 개방되는 정도로 강도를 상실하기 때문에 내수 성능을 충분히 발현시킬 수 없다. 한편, 부직포 적층체 내, 장섬유 부직포층이 차지하는 기본 중량이 8 g/㎡ 미만이면 적층 구조 내에 배치된 극세 섬유 부직포층을 파괴하지 않고 유지(가드)하는 강도가 얻어지지 않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내수 성능이 저하된다. 적층 구조 내의 극세 섬유층의 기본 중량을 2 g/㎡ 미만으로 하면 내수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고, 또한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포재, 건재나 구두재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추가로 고강력이나 고내수압이 요구되기 때문에, 적층 구조체의 기본 중량으로서 40 g/㎡ 이상으로, 장섬유 부직포층의 기본 중량을 20 g/㎡ 이상,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기본 중량을 6 g/㎡ 이상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는 장섬유 부직포층 위에 극세 섬유 부직포층을 적층하여 열압착에 의해 일체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구성 섬유는, 섬유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도가 낮고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섬유 표면에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적층 부직포의 구조 고정에 있어서 적층 부직포를 가열된 압축 롤에 직접 접촉하면 롤에서 제거되기 쉬운 상태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장섬유 부직포층 위에서부터 극세 섬유 부직포층을 적층하고, 나아가 그 위에서부터 장섬유 부직포층을 적층시켜 열압착으로 일체화시키는 구조의 적층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적층 구조의 내용을, 예를 들면 극세 섬유 부직포층을 2층으로 하거나, 장섬유 부직포층을 2층 중첩하는 등의 장섬유 부직포층을 상하층으로 하고 극세 섬유층을 중간층으로 하는 다층 적층 구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는 장섬유와 극세 섬유를 시트 상에 각각 적층하고, 이 다층의 시트상 적층 웹체를 플랫 롤 또는 엠보싱 롤로 열압착함으로써, 적층 구조가 고정되어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가 제조된다.
본원 발명에 관한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연속 제조 공정 개념도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의 연속 제조 공정에 있어서,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200)은 도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향해 진행되는 무단의(endless) 수집 네트 (100) 상에, 좌단 상부에 설비된 스펀 본드 부직포 방사 유닛 (20)으로부터 방사된 장섬유 스펀 본드 웹 (S1)이 퇴적되고, 이어서 상기 장섬유 스펀 본드 웹 상에, 중앙부 상부에 설비된 멜트 블로우 방사 장치 (30)으로부터 방출된 소정의 섬도의 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시트상 웹 (M)이 중첩되어 퇴적되고, 추가로 우측의 하류측 상부에 놓여졌던 또 하나의 스펀 본드 부직포 방사 유닛 (20)으로부터 방출된 장섬유 스펀 본드 웹 (S2)가 극세 섬유층 (M) 면 상에 퇴적되어, 장섬유 부직포 (S1)/극세 섬유 부직포 (M)/장섬유 부직포 (S2)로 구성되는 3층 부직포 적층 시트가 제조된다. 이 3층 부직포 적층 시트는 추가로 수집 반송대에서 우측으로 반송되고, 그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인취되며, 이어서 열 캘린더 (101, 102)를 통과하여 3층 부직포 구조가 고정되고, 본원 발명에 관한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가 제조된다. 이러한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웹 수집용의 컨베어 네트 상에 방사된 장섬유 부직포층을 1층 이상 적층한 후, 동일한 컨베어 네트 상에서 방사되는 적어도 1층 이상의 극세 섬유 부직포층을 중첩하여 적층하는 공정을 더 반복하고, 동일한 컨베어 네트 상에서 방사된 1층 이상의 장섬유 부직포층과 적어도 1층을 임의수로 각각 적층한 적층 구조 시트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21은 사출기, 22는 스펀 본드 방사 노즐, 23은 냉각 챔버, 24는 흡입관(sucker)이다. 31은 사출기, 32는 기어 펌프, 33은 멜트 블로우 방사 노즐이다.
장섬유 부직포의 층수를 2층 이상으로 함으로써, 옷감의 얼룩(地合斑)이나, 예를 들면 한쪽의 방사기에서 핀홀이나 단이 말아 올라감 등의 결손부가 발생한 경우에도, 나머지 다른쪽에서 결손부를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적층 구조체의 유지(가드) 효과를 부직 구조의 전체 면에 대해 보다 균일화할 수 있다. 극세 섬유 부직포층을 다층으로 하는 것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옷감의 얼룩이나, 예를 들면 한쪽의 방사기에서 핀홀 등의 결손부가 발생한 경우에도 나머지 다른쪽에서 한쪽의 결손에 대해 커버할 수 있다는 의미로서, 물성(특히, 내수압)의 변동을 작게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한 양태이다.
적층 부직포 구조는 구조 내의 부직포 층 사이, 섬유 사이가 열압착에 의해 일체화되어 고정될 필요가 있다.
열압착으로 보다 고내수압을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금속 플랫 롤로 층면 간에 균일한 열 접합을 일으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접착시의 온도는 180 ℃ 내지 245 ℃의 범위이지만, 낮은 온도에서는 표면에 보풀이 발생하고, 높은 온도에서는 혼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용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190 ℃ 내지 230 ℃가 바람직하다. 또한, 열접착시의 가압 조건은 1 내지 30 t/m이고, 표면의 보풀을 억제하는 것을 고려하면 2 t/m 이상이 바람직하다. 표면의 보풀을 완전히 억제하기 위해서는 1단계 압착을 실시한 후에 캘린더 롤을 이용하여 편평(flattening) 가공을 더 실시할 수도 있다.
플랫 롤에 의한 열압착은 엠보싱 롤에 의한 열압착과 같이 극세 섬유층을 엠보싱부에서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내수 성능을 최고로 발현시키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엠보싱 롤에 의한 열압착도 가능하다. 엠보싱 롤에 있어서 부분 접착에 의한 엠보싱 형상이나 엠보싱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 % 내지 40 %의 엠보싱 면적율 범위의 부분 접착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압착에 의해 일체화된 적층 부직포는 실리콘계, 불소계 등의 발수제를 사용한 발수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내수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고내수압성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는 적층 부직포 구조 내에 극세 섬유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필터 성능에서도 우수하고, 세균 배리어성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폴리올레핀을 혼합하고 있지만, 적층 부직포 구조체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함유량이 많아 내방사선성도 우수하다. 또한, 내방사선성 시험은 닛본 덴시 쇼샤 서비스(주)에서, 전자선의 강도를 20 내지 60 kGy로 하여, 전자선을 조사하지 않은 것으로부터의 인장 강력 유지율을 평가하였다. 폴리올레핀의 혼합에 의해 적층체 부직포끼리를 열밀봉한 경우나, 열 밀봉용 필름, 예를 들면 멸균 포재 등으로 사용되는 PET 필름에 PP의 열밀봉용 필름을 접합시킨 필름과 열밀봉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필 강도가 우수하고, 필 보풀도 발생하지 않고도 형상도 변화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의 적층체를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통기성이나 투습성 및 내열성이나 인장 강도가 높은 고내수압성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실시예를 들어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서 든 구체적인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특성의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부직포의 구성 섬유의 섬유 직경(㎛)의 측정
생산된 부직포의 양쪽 말단부 10 cm를 제외하고 CD 방향으로 5등분하여 1 cm×1 cm의 시험편을 샘플링하고, 현미경으로 극세 섬유층 및 장섬유 부직포층으로 나눠 각각의 직경을 각 50점씩 키엔스 제조의 고배율 현미경 VH-8000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평균치로부터 섬유 직경을 산출하였다(소수점 2번째를 사사오입).
(2) 내수압(kPa)의 측정
적층 부직포의 양쪽 말단부 10 cm를 제외하고 CD 방향으로 5등분, MD 방향으로 3등분하여 총15부분에 대해 20 cm×20 cm의 시험편을 샘플링하고, JIS-L-1092에 준하여 측정하여 그 측정치의 평균치로부터 내수압을 산출하였다.
또한, 내수압의 평균치가 1 kPa 이상인 것에 대해서는, 측정 외관 상의 순간적인 내수성 발현의 가능성을 제외하기 위해,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여 1 kPa의 수압을 건 상태로 누설을 확인 후 24 시간 방치하고, 누설의 유무를 확인하여 누설이 있는 경우는 내수압치를 0이라고 하였다.
24 시간 방치 후 누설 없음: ○
24 시간 방치 후 누설 있음: ×
(2) 인장 강도(N/3 cm)의 측정
적층 부직포의 양쪽 말단부 10 cm를 제외하고 CD 방향으로 5등분, MD 방향으로 3등분하여 총15부분에 대해 CD, MD 방향으로 3 cm×20 c m의 시험편을 샘플링하고, 저속 신장 시험형 인장 시험기에 파악 길이 10 cm로 부착하고, 인장 속도 30 cm/분으로 시험편이 파단될 때까지 하중을 가했다. MD, CD 방향에 있어서의, 시험편의 최대 하중시의 강도의 평균치를 구하여 하기 식으로 인장 강도를 산출하였다(소수점 2번째를 사사오입) .
인장강력=(MD 평균+CD 평균)/2 (N/3 cm)
(4) 습윤 장력 시험
층 성분으로서 사용된 극세 섬유 부직포층 및 적층 부직포를 샘플링하고, 시약의 표면 장력을 큰 순서대로 단계적으로 낮추고, 습윤·함침이 개시된 수준을 관찰하였다.
또한, 시약의 적하는 각 샘플 2 내지 3방울으로 하였다.
시약: 와꼬 쥰야꾸 고교(주) 제조
성분-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포름아미드
표면장력-54 내지 34 mN/m(증류수-76 mN/m)
(5) 내열성 시험
적층 부직포의 양쪽 말단부 10 cm를 제외하고 CD 방향으로 3등분, MD 방향 3등분하여 총9부분에 대해 CD, MD 방향으로 20 cm×30 cm 의 시험편을 샘플링하고, 풍속 1 m/분, 90 ℃의 분위기하에 있어서의 열풍 오븐 내에서 가열 처리를 실시한 후, 인장 강도(MD, CD 방향)를 측정하고, 열 처리를 실시하기 전부터의 강력 유지율의 평균치를 구하였다.
(6) 가루 누손 시험
적층 부직포의 양쪽 말단부 10 cm를 제외하고 CD 방향으로 3등분, MD 방향 3등분하여 총9부분에 대해 CD, MD 방향으로 20 cm×30 cm의 시험편을 샘플링하고, 다나까 가가꾸 기끼 가부시끼가이샤 로우 탭 체 진동기 형식 R-2를 이용하고, 0.7 내지 3 ㎛의 석회를 진탕수 270 회/분, 상하 타수 156 회/분의 조건하에서 가루 누손 발생의 유무를 확인하고, 1점에서도 가루 누손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가루 누손되어 있다라고 판정하였다.
(7) 섬유 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분산 상태 평가
층 성분으로서 사용한 극세 섬유 부직포층을 샘플링하고, 포매 바구니에 끼워 오일욕를 이용하여 150 ℃로 가온한 o-디클로로벤젠에 4 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이어서, 가온 시간 처리 후의 부직포를 각각 유리판 사이에 끼워 진공 건조(40 ℃:15 시간)를 행하고, SEM 관찰 및 DSC 측정으로 처리한 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측정에 이용한 장치와 조건은 이하와 같다.
(1) SEM 관찰 조건
장치: S-4100(히따찌 세이사꾸쇼 제조)
가속 전압: 1.5 kV
전처리: Pt-Pd 증착, 0.1 Torr, 4.5 mA×2 분(에이꼬사 제조, IB-5 사용)
(2) DSC 측정 조건
장치: DSC210(S11 나노 테크놀러지사 제조)
측정 분위기: 질소(가스 유량 50 ㎖/분)
측정 온도: 실온 내지 300 ℃
승온 속도: 10 ℃/분
(8) 세균 투과성 시험
적층 부직포의 양쪽 말단부 10 cm를 제외하고 CD 방향으로 3등분하여 MD, CD 방향으로 5 cm×5 cm의 시험편을 샘플링하고, 121 ℃, 15 분간 고압 증기 멸균하여 시료로 하였다. 한천 평판 배지 상에 시료를 놓고, 그 위에 대장균의 균액을 0.5 ㎖ 적하하였다. 실온에서 방치하고, 1, 3 및 24 시간 후에 한천 평판 배지 상의 시료를 제거하고, 동일한 평판 배지를 35 ℃±1 ℃, 2 일간 배양한 후, 배지 상에 생육하는 집단수를 측정하였다.
① 시험균-Escherichia coli NBRC 3301(대장균)
② 시험용 배지-NA 배지: 보통 한천 배지(에이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SA 배지: 표준 한천 배지(에이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③ 균액의 제조-시험균을 NA 배지에서 35 ℃±1 ℃, 18 내지 24 시간 동안 배양후, 얻어진 시험균의 균체를 멸균 생리 식염수에 현탁시키고, 1 ㎖당의 균수가 102 내지 103이 되도록 제조하여 각각을 균액으로 하였다.
또한, 이 균액의 생균수를 SA 배지를 이용한 혼석 평판 배양법(35 ℃± 1 ℃, 2 일간 배양)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 비교예 1 및 2>
장섬유 부직포층을 상하로 하여 극세 섬유층이 덮힌 3층의 적층 구조체에 있어서, 장섬유 부직포층의 기본 중량을 각 25 g/㎡, 극세 섬유층의 기본 중량을 10 g/㎡로 하고, 플랫 롤을 이용하여 210 ℃의 온도, 선압 3.5 t/m로 열압착하여 일체화시켰다. 장섬유 부직포층의 소재는 폴리에스테르만으로 섬유 직경을 13 ㎛로 하고, 극세 섬유 부직포층에 있어서는 용액 점도가 0.48 ηsp/C인 폴리에스테르 소재에 MFR 700 g/10 분의 폴리프로필렌을 1 중량%(실시예 1), 10 중량%(실시예 2), 30 중량%(실시예 3), 50 중량%(실시예 4), 75 중량%(실시예 5) 혼합한 것, 및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소재만(비교예 1), 폴리프로필렌 소재만(비교예 2)으로 변화시키고, 극세 섬유층의 섬유 직경을 2 ㎛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3에 있어서 장섬유 부직포층의 폴리에스테르 소재에 폴리프로필렌을 3 중량%(실시예 6) 혼합시켰다.
또한, 실시예 3에 있어서 장섬유 부직포층의 기본 중량을 각 16.5 g/㎡,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기본 중량을 7 g/㎡(실시예 7)로 하여 채취하였다. 또한, 실시예 3에 있어서 엠보싱율 15 %의 직물 패턴율을 갖는 엠보싱 롤을 이용하고(실시예 8), 210 ℃의 온도, 선압 3.5 시/m로 열압착시킨 적층 부직포에 의해 강력치 및 내수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극세 섬유층에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강력치는 높아지지만, 내수 성능이 2 kPa를 하회해버렸다. 폴리프로필렌을 첨가함으로써 강력치는 약간 저하 경향이 있었지만, 분명히 내수 성능은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엠보싱 롤에 의한 열압착은 플랫 롤에 비해 내수 성능은 약간 저하되었지만, 2 kPa 이상의 내수압을 충분히 가질 수 있고, 강력치도 거의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소재만으로는 열압착시 폴리프로필렌이 용출,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섬유 구조가 파괴되고, 균열이나 핀홀이 발생되기 때문에, 내수압의 향상을 볼 수 없었다. 또한,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섬유 구조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열압착시의 롤 온도를 낮게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표면 보풀을 억제하는 일이 곤란해지고, 박리 강력이나 인장 강력의 저하에도 관계되어 적층체의 외관이나 형상도 열악해진다.
<실시예 9>
동일한 컨베어 네트 상에서 장섬유 부직포층을 2층 적층하고, 그 위로부터 극세 섬유 부직포층을 2 적층하고, 나아가 그 위로부터 장섬유 부직포층을 적층시킨 5층 구조체에 있어서, 1 내지 2층째의 장섬유 부직포층의 기본 중량을 각각 12.5 g/㎡, 3 내지 4층째의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기본 중량을 각각 5 g/㎡, 5층째의 장섬유 부직포층의 기본 중량을 25 g/㎡로 하고, 플랫 롤을 이용하여 210 ℃에서의 온도 선압 3.5 시/m로 열압착하여 일체화시켰다. 장섬유 부직포층의 소재는 폴리에스테르만으로 섬유 직경을 13 ㎛로 하고, 극세 섬유 부직포층에 있어서는 용액 점도가 0.48 ηsp/C인 폴리에스테르 소재에 MFR 700 g/10 분의 폴리프로필렌을 30 중량%(실시예 9) 혼합하고,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섬유 직경을 2 ㎛로 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3층 구조품에 비해 내수압의 평균치는 약간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측정한 내수압의 최저치가 3층 구조의 것에 비해 높아졌고, 장섬유 부직포층에 있어서의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유지(가드) 효과의 균일화 및 극세 섬유 부직포층 형성의 균일화 효과가 나타났다.
<실시예 10 내지 11>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극세 섬유 부직포층을 폴리에스테르 소재에 대해 30 %의 MFR=53 g/10 분의 HDPE(실시예 10), MFR 132 g/10 분의 LDPE(실시예 11)를 혼합하고, 섬유 직경을 2 ㎛로 하여 채취한 적층 부직포로 강력치 및 내수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의 종류를 변경하더라도 내수 성능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2 및 13, 비교예 3>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극세 섬유층의 섬유의 섬유 직경을 1.5 ㎛(실시예 12), 2.8 ㎛ (실시예 13), 6.0 ㎛(비교예 3)로 하여 채취한 적층 부직포로 강력치 및 내수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극세 섬유층의 섬유의 섬유 직경이 5 ㎛를 초과하면 강력치에는 거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극세 섬유층에 있어서의 커버링 효과가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에 내수 성능이 저하되어 버렸다.
<실시예 14, 비교예 4 및 5>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총 기본 중량을 10 g/㎡로 하고,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기본 중량을 2 g/㎡(실시예 14), 1 g/㎡(비교예 4), 4 g/㎡(비교예 5)로 하여 채취한 적층 부직포로 강력치 및 내수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극세 섬유층의 기본 중량이 1 g/㎡에서는 극세 섬유층의 절대량이 적어져 커버링 효과가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에, 고내수 성능을 발현할 수 없었다. 또한, 극세 섬유층의 기본 중량이 4 g/㎡에서는 극세 섬유층을 유지하는 장섬유 부직포층의 강력치가 13 N/3 cm 이하로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에, 고내수 성능을 발현할 수 없게 되어 버렸다.
<실시예 15 내지 22, 비교예 5>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기본 중량을 30 g/㎡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소재에 MFR 700 g/10 분의 폴리프로필렌을 1 중량%(실시예 15), 30 중량%(실시예 16), 50 중량%(실시예 17), 75 중량%(실시예 18) 혼합한 것, 및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소재만(비교예 5)으로 변화시켜,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섬유 직경을 2 ㎛로 하여 적층 부직포를 채취하였다. 또한, 실시예 14에 있어서 혼합하는 폴리프로필렌의 MFR을 40 g/10 분(실시예 19), 1500 g/10 분(실시예 20)으로 변화시켜 적층 부직포를 채취하였다. 또한,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적층 구조체(실시예 21),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적층 구조체(실시예 22), 및 비교예 1에 있어서의 적층 구조체(비교예 6)의 각각에 대해 습윤 장력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극세 섬유 부직포층에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면 장력이 큰 시약이더라도 함침되어 버리지만,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함으로써 표면 장력이 작은 시약이더라도 함침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혼합하는 MFR을 변화시키더라도 시약이 함침되는 표면 장력에 변화는 없었다. 또한, 장섬유 부직포층과 일체화한 적층 구조체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극세 섬유 부직포층에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표면 장력이 큰 시약은 함침되어 버리지만,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함으로써 표면 장력이 작은 시약이더라도 함침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장섬유 부직포층에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한 적층 구조체는 더 표면 장력이 작은 시약으로도 함침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가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함으로써 표면 장력이 작은 시약이더라도 함침되기 어렵다. 따라서, 이 사실은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내수성이 향상됨) 하나의 요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실시예 23 내지 26>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열풍 오븐 내에서 가열 처리를 200 시간(실시예 23), 1200 시간(실시예 24), 또한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열풍 오븐 내에서 가열 처리를 200 시간(실시예 25), 1200 시간(실시예 26) 한 후의 강력 유지율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극세 섬유 부직포층에 폴리프로필렌을 첨가하더라도 1200 시간 후에 있어서의 강력치의 저하는 거의 볼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7>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체 진동기로 가루 누손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0.7 μ 정도의 분체(석회)이더라도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필터 효과에 의해 가루 누손이 발생하지 않고, 건조(석회) 포재 등에도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8>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세균 투과성을 시험(실시예 28)한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24 시간 방치 후에 있어서도 배지상에 생육하는 집단수는 없었고, 균액이 투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세균의 배리어성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9 내지 31, 비교예 8 내지 13>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전자선의 조사 강도를 20 kGy(실시예 29), 40 kGy(실시예 30), 60 kGy(실시예 31)로 변화시켰다. 또한, 플래시 방사법에 의해 얻어진 폴리에틸렌의 부직포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전자선의 강도를 20 kGy(비교예 8), 40 kGy(비교예 9), 60 kGy(비교예 10), 또한 폴리프로필렌의 스펀 본드/멜트 블로우/스펀 본드 적층체를 이용하여, 전자선의 강도를 20 kGy(비교예 11), 40 kGy(비교예 12), 60 kGy(비교예 13)로 변화시키고, 조사 후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고, 각각의 조사 전의 인장 강력치로부터의 유지율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10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적층체에 대해서는, 60 kGy의 조사 강도에서도 인장 강력치의 변화는 없고 내방사선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폴리에틸렌 부직포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대해서는, 조사 강도가 늘어남에 따라 인장 강력치가 저하되어 버리고, 내방사선성이 열악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는 내수성이 우수하고, 인장 강도도 크며, 또한 내열성, 내방사선성이나 배리어성에서도 우수하다고 일컫는 여러가지 특성을 조화롭게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건재 용도에 사용되는 투습 방수 시트나 구두재, 나아가 필터 성능도 요구되는 분야, 예를 들면 포재로서 사용되는 건조 포재나 멸균 포재 등의 각종 포재 등의 각종 용도에 바람직한 부직포 재료이다.

Claims (17)

  1.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적어도 1 중량% 이상 혼합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소재를 포함하는 섬유 직경이 5 ㎛ 이하인 극세 섬유 부직포층, 섬유 직경이 7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체로 한 장섬유 부직포층이 열압착에 의해 일체화되고, 2 kPa 이상의 내수압치를 갖는 적층 부직포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적층 부직포 구조체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함유량이 70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극세 섬유 부직포를 구성하는 극세 섬유의 표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비연속적인 상이 산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섬유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가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7 중량% 이하로 혼합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장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 구조체의 기본 중량(目付, basis of weight)이 10 g/㎡ 이상이고, 또한 장섬유 부직포층의 기본 중량이 8 g/㎡ 이상이며, 또한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기본 중량이 2 g/㎡ 이상이고, 적층 구조체가 13 N/3 cm 이상의 인장 강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섬유 부직포층의 기본 중량이 20 g/㎡ 이상이며, 극세 섬유 부직포층의 기본 중량이 적어도 6 g/㎡이고, 또한 부직포 적층 구조체의 기본 중량이 40 g/㎡ 이상이며, 상기 부직포 적층 구조체가 60 N/3 cm 이상의 인장 강력치 및 3 kPa 이상의 내수압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세 섬유 부직포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5 내지 75 중량% 혼합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소재를 포함하는 극세 섬유로 구성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세 섬유 부직포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10 내지 50 중량% 혼합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소재를 포함하는 극세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세 섬유 부직포를 구성하는 극세 섬유가 용액 점도 범위 0.2 내지 0.8 ηsp/C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세 섬유 부직포를 구성하는 극세 섬유가 용액 점도 범위 0.2 내지 0.6 ηsp/C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세 섬유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혼합되는 폴리올레핀의 MFR이 20 g/10 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부직포.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세 섬유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혼합되는 폴리올레핀의 MFR이 100 g/10 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부직포.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세 섬유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혼합되는 폴리올레핀의 MFR이 500 g/10 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부직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세 섬유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혼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부직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세 섬유 부직포층에 표면 장력이 다른 시약을 적하했을 때의 습윤·함침 개시 수준이 50 mN/m 이하인 극세 섬유 부직포층을 이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압출기를 거쳐 압출하고, 멜트 블로우법으로 얻어진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극세 부직포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17. 제16항에 있어서, 방사되어 컨베어 네트 상에 퇴적된 적어도 1층의 장섬유 부직포의 층을 적층하고, 다음에 동일한 컨베어 네트 상에 퇴적되는 적어도 1층의 극세 섬유 부직포층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방사되어 퇴적되는 적어도 1층의 장섬유 부직포층을 중첩하여 형성되는 적층체를 열압착으로 일체화하여 형성한 적층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수압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KR1020057017491A 2003-03-19 2004-03-18 고내수압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KR100743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74705 2003-03-19
JP2003074705 2003-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387A true KR20050111387A (ko) 2005-11-24
KR100743750B1 KR100743750B1 (ko) 2007-07-27

Family

ID=3302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491A KR100743750B1 (ko) 2003-03-19 2004-03-18 고내수압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07073B2 (ko)
EP (1) EP1604813B1 (ko)
JP (1) JP4164091B2 (ko)
KR (1) KR100743750B1 (ko)
CN (1) CN100382953C (ko)
TW (1) TWI286171B (ko)
WO (1) WO20040829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049B1 (ko) * 2005-11-30 2007-04-06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내장재용 기재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내장재
KR20190005416A (ko) * 2017-07-06 2019-01-1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신율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65326A4 (en) 2004-06-10 2009-05-13 Fob Synthesis Inc CARBAPENEM BACTERICIDES WITH GRAM-NEGATIVE ACTIVITY AND CORRESPONDING METHODS OF PREPARATION
JP4615367B2 (ja) * 2005-05-12 2011-01-19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防滑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屋根下材
DE602005008399D1 (de) * 2005-05-27 2008-09-04 Mondo Spa Elastische Unterlage für Bodenbeläge und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TWI349614B (en) 2006-01-25 2011-10-01 Asahi Kasei Fibers Corp Non-woven fabric laminated by heat bonding
JP5315626B2 (ja) * 2007-03-30 2013-10-16 東レ株式会社 分離膜用不織布の製造方法
WO2009025303A1 (ja) 2007-08-21 2009-02-26 Asahi Kasei Fibers Corporation 熱接着性ポリウレタンフィルム
DE102007040795B4 (de) 2007-08-28 2011-06-09 Carl Freudenberg Kg Verwendung eines Flächengebildes
JP5444681B2 (ja) * 2007-10-19 2014-03-19 Esファイバービジョンズ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熱融着性複合繊維
BRPI0910011A2 (pt) 2008-06-12 2016-01-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mposição hidrofílica durável, artigo e processos para fabricar uma composição hidrofílica durável
EP2414574B1 (en) * 2009-03-31 2018-1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mensionally stable nonwoven fibrous web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BR112012014945A2 (pt) * 2009-12-17 2018-10-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anta fibrosa não tecida dimensionalmente estável, fibras finas produzidas por sopro em fusão (meltblown), e métodos de fabricação e uso das mesmas
US9353480B2 (en) 2012-04-11 2016-05-31 Ahlstrom Corporation Sterilizable and printable nonwoven packaging materials
EP2703528A1 (en) * 2012-08-31 2014-03-05 baumhueter extrusion GmbH Cross-linked polyethylene fibre, its use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US20140230286A1 (en) * 2013-02-20 2014-08-21 Tracy Ann Paugh Biodegradable shoe sole with fixed or detachable upper shoe components
US20160228297A1 (en) * 2013-10-04 2016-08-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component fibers, nonwoven webs, and articles comprising a polydiorganosiloxane polyamide
JP6530551B2 (ja) * 2015-03-24 2019-06-12 リアリー エーピーエス 使用済の織られた又は編まれたテキスタイルの再使用
CN105780295B (zh) * 2016-05-04 2018-05-15 东华大学 一种防渗透湿建筑用非织造布及其制备方法
CN106118155B (zh) * 2016-06-23 2019-01-22 江苏科德宝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涂料及透气抗菌膜及其防水透气抗菌性薄膜
CN106079779B (zh) * 2016-06-23 2018-09-11 江苏科德宝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透气抗菌膜及包含透气抗菌膜层的防水透气抗菌性薄膜
CN106117981A (zh) * 2016-06-23 2016-11-16 江苏科德宝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透气抗菌性薄膜
EP3626445B1 (en) * 2017-05-18 2021-09-08 Toray Industries, Inc. Composite sheet material
CN114657708A (zh) * 2022-01-23 2022-06-24 浙江广鸿新材料有限公司 一种抗渗胶超柔无纺布的制备工艺及其作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6972A (ko) 1972-02-22 1975-04-26
JPS54131080A (en) 1978-03-27 1979-10-11 Asahi Chemical Ind Production of polyester fiber
US5593768A (en) * 1989-04-28 1997-01-14 Fiberweb North America, Inc. Nonwoven fabrics and fabric laminates from multiconstituent fibers
US5108827A (en) * 1989-04-28 1992-04-28 Fiberweb North America, Inc. Strong nonwoven fabrics from engineered multiconstituent fibers
US5149576A (en) * 1990-11-26 1992-09-22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nonwoven laminiferous structure
JPH07207566A (ja) 1993-12-31 1995-08-08 Unitika Ltd 積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EP0905292B1 (en) * 1996-05-14 2004-10-20 Kanebo Ltd. Spontaneously degradable fibers
AU4965197A (en) * 1996-11-15 1998-06-10 Chisso Corporation Liquid impermeable nonwoven sheet for absorbent article
JP4587410B2 (ja) * 1997-01-06 2010-11-24 チッソ株式会社 複合化不織布、その製造方法及び前記不織布を用いた吸収性物品ならびにワイピングクロス
JPH11247061A (ja) 1998-02-27 1999-09-14 Mitsui Chem Inc 医療用不織布
US6548431B1 (en) * 1999-12-20 2003-04-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lt spun polyester nonwoven sheet
JP2002356958A (ja) 2001-05-31 2002-12-13 Kuraray Co Ltd ハウスラップ用または屋根下地用の積層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049B1 (ko) * 2005-11-30 2007-04-06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내장재용 기재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내장재
KR20190005416A (ko) * 2017-07-06 2019-01-1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신율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04813A1 (en) 2005-12-14
JP4164091B2 (ja) 2008-10-08
WO2004082930A1 (ja) 2004-09-30
EP1604813B1 (en) 2011-06-08
KR100743750B1 (ko) 2007-07-27
CN100382953C (zh) 2008-04-23
TW200424389A (en) 2004-11-16
US20060172637A1 (en) 2006-08-03
EP1604813A4 (en) 2008-02-13
CN1761563A (zh) 2006-04-19
JPWO2004082930A1 (ja) 2006-06-22
US8207073B2 (en) 2012-06-26
TWI286171B (en) 200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750B1 (ko) 고내수압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JP4619947B2 (ja) 高強力不織布
JP4852104B2 (ja) 耐熱性不織布
JP5464813B2 (ja) 耐熱性繊維不織布
KR20120022732A (ko) 적층 부직포
US20030129910A1 (en) Multiple-layered nonwoven constructs for improved barrier performance
EP3730285A1 (en) Multilayer sound absorbing material
JP2006520710A (ja) 多層接着接合不織布シートおよびその形成方法
TW201942433A (zh) 不織布及過濾器
JP4799097B2 (ja) 医療用粘着テープ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9130697A1 (ja) メルトブローン不織布、フィルタ、及びメルトブローン不織布の製造方法
KR20200047703A (ko) 멜트블론 부직포 및 필터
US20210213378A1 (en) High burst strength wet-laid nonwoven filtration media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102565495B1 (ko)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스펀본드 부직포
JP4494094B2 (ja) 耐毛羽性に優れた高耐水圧ポリエステル不織布
JPH0671122A (ja) 濾過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MXPA05003031A (es) Telas medicas con eficiencia de barrera mejoradas.
JP2019206351A (ja) 耐表面摩耗性を有する滅菌用包装材料
TW202102358A (zh) 滅菌用包裝材用不織布
JPH09512064A (ja) 不織生地
WO2021193279A1 (ja) 布帛
EP1517788A1 (en) Improved abrasion resistance of nonwovens
JP2018204133A (ja) 不織布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