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0616A - 고무 크롤러 - Google Patents

고무 크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0616A
KR20050110616A KR1020057012700A KR20057012700A KR20050110616A KR 20050110616 A KR20050110616 A KR 20050110616A KR 1020057012700 A KR1020057012700 A KR 1020057012700A KR 20057012700 A KR20057012700 A KR 20057012700A KR 20050110616 A KR20050110616 A KR 20050110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elastic body
rubber elastic
lugs
rubber craw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9198B1 (ko
Inventor
노부오 시모조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ublication of KR2005011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44Moulded in one piece, with either smooth surfaces or surfaces having projections, e.g. incorporating reinfor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2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driving sprockets
    • B62D55/125Fina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53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having elements interconnected by one or more cables or like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습지를 주행하는 고무 크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스프로켓톱니와의 결합공을 빠져나간 진흙덩어리의 발생을 없애고, 또한 진동의 저감을 달성한 고무 크롤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이 고무 크롤러는 무단고무 탄성체와, 이 길이방향으로 일정 피치를 가지고 매설된 코어와, 이 코어에 대해 바깥쪽으로부터 둘러싸서 이루어진 스틸코드와, 코어들 사이에 형성된 스프로켓과의 결합부와, 무단고무 탄성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러그로 구성되며, 스프로켓과의 결합부는 바닥이 있는 오목부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러그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이 있는 오목부의 바깥쪽에 형성된다.

Description

고무 크롤러{Rubber crawler}
본 발명은 고무 크롤러의 신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습지를 주행하는 고무 크롤러에 관한 것이다.
습지를 주행하기에 적합한 고무 크롤러는, 무단(無端)고무 탄성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피치를 가지고 코어(core)가 매설되고, 그 바깥쪽이 스틸 코드(steel cord)로 둘러싸인 구조를 하고 있으며, 바깥쪽에는 러그(lug)가 형성되고, 코어들 사이에는 스프로켓이 맞물리는 결합공이 고무 탄성체의 안팎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이 종래부터 널리 존재하는 고무 크롤러의 내주측 평면도, 도 9는 외주측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B-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1은 고무 탄성체로서, 도 8에서 지면(紙面)의 상하로 연속된다. 2는 고무 탄성체(1) 안에 일정 피치를 가지고 매설된 코어이고, 코어(2)는 중앙부가 스프로켓과의 결합부(2a)이고, 좌우의 날개부(2b),(2c)가 고무 탄성체(1) 안에 매설되어 있다. 3은 이 날개부(2b)의 바깥쪽에 매설된 스틸 코드이다. 그리고 코어(2)로부터 고무 탄성체(1)의 안쪽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기(2d)가 구비되어 있다. 4a,4b는 고무 탄성체(1)의 외주측에 구비된 일직선상의 러그이고, 교대로 긴 러그(4a)와 짧은 러그(4b)가 배치되어 있다. 5는 스프로켓과의 결합공으로서, 인접하는 코어(2),(2)의 중앙부(2a),(2a) 사이에 형성되고, 고무 탄성체(1)의 내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고무 크롤러의 결점은, 오퍼레이터에 대한 진동과,결합공(5)을 빠져나간 진흙덩어리(mud ball)의 발생이다. 전자는 고무 크롤러의 내주면을 구름운동하는 구름바퀴(10)가 러그(4a),(4b) 위에 있을 때와 그 사이에 있을 때가 번갈아 오는데, 러그(4a),(4b) 위에 있는 경우와, 여기에서 벗어난 경우에는 접지면에 대해 받침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번갈아 오는 것으로서, 이 때문에 구름바퀴(10)가 상하이동하게 되어 진동 발생은 피할 수 없었다.
또 결합공(5) 근방에 부착된 진흙은 스프로켓(20)에 눌려 굳어지고, 이것이 진흙덩어리 형태가 되어 외부로 낙하하기 때문에 진흙덩어리가 다른 농작물 위에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무 크롤러의 제1예의 내주측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무 크롤러의 외주측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오목부부에서의 길이방향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그 폭방향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무 크롤러의 제2예의 외주측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고무 크롤러의 제3예의 외주측 평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고무 크롤러의 내주측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고무 크롤러의 외주측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요지는, 무단고무 탄성체와, 이 길이방향으로 일정 피치를 가지고 매설된 코어와, 이 코어에 대해 바깥쪽으로부터 둘러싸서 이루어진 스틸 코드와, 코어들 사이에 형성된 스프로켓과의 결합부와, 무단고무 탄성체의 외주면에 형성한 러그를 구비하는 고무 크롤러로서, 스프로켓과의 결합부는 바닥이 있는 오목부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러그는, 상기 바닥이 있는 오목부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시 말하면, 상기 러그는, 고무 탄성체의 폭방향을 향해 경사 배치되며, 또 고무 탄성체의 폭방향의 좌우의 반쪽을 놓고 볼때 폭방향 단부에 도달하는 긴 러그와 중도에 끊기는 짧은 러그가 번갈아 배치된 고무 크롤러이다.
본 발명의 최대 특징은, 스프로켓과의 결합부가 바닥이 있는 오목부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고무 크롤러에서는, 스프로켓과의 결합부가 반드시 내외면을 가로지르는 구조였다. 이 때문에, 이 결합공을 통과한 진흙은 덩어리 형태가 되어 바깥쪽으로 배출되고, 이것이 인접한 위치의 농작물 위에 떨어진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된 바, 본 발명은 이 진흙덩어리 형태의 배출물을 없앤 것이다. 더욱이, 진흙 등이 상기 바닥이 있는 오목부 안에 쌓일 것으로 생각되었는데, 주로 습지를 주행하는 고무 크롤러에 있어서는, 이 오목부 안으로 들어가는 진흙은 모두 수분이 다량 포함된 것으로서, 이 오목부 안에서 굳어 버리지 않아서 충분히 실용화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공을 바닥이 있는 오목부로 한 것 외의 특징은, 고무 탄성체의 외주측에 형성하는 러그를 임의의 배치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고무 크롤러에 있어서는, 일정 피치를 가지고 결합공이 반드시 존재했기 때문에 그 러그의 배치의 자유도는 적었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결합공이 없기 때문에 러그 배치 자유도는 매우 높아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진동 방지 대책을 꾀하건, 추진력을 키우건 그 목적에 맞는 러그의 선택이 가능해진 것이다.
스프로켓과의 결합부가 바닥이 있는 오목부를 이루고 있는 바, 이 바닥이 있는 오목부 부분의 고무의 두께는 그다지 두껍지 않다. 따라서 고무 탄성체의 상기 오목부부에 대응하는 부위를 약간 두껍게 하는 경우도 있다. 이 점에 대해서 다시 언급하면, 바닥이 있는 오목부의 부위에 대응하여 러그를 설치할 것을 권장한다.
상기 러그에 대해 말하면, 진동의 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해 고무 탄성체의 폭방향을 향해 경사 배치되고, 또 추진력을 크게 하기 위해 고무 크롤러의 바깥표면의 진흙을 떼어낼 필요가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고무 탄성체의 폭방향의 좌우의 반쪽을 놓고 볼 때, 고무 탄성체의 폭방향 단부에 도달하는 러그(긴 러그)와 중도에 끊기는 러그(짧은 러그)가 번갈아 배치된 고무 크롤러인 것이 좋다.
러그를 전자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진동의 발생 원인이 되는 구름바퀴의 주행시, 이 구름바퀴가 러그 위에 항상 있기 때문에 구름바퀴의 상하이동이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진동의 발생은 줄어들며, 한편 후자의 구조로 함으로써 러그들 사이에 낀 진흙에 대해 그 안의 일부 박리·낙하가 촉진되어 추진력의 향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고무 크롤러를 실시예를 통해 더욱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무 크롤러의 제1예의 내주측 평면도, 도 2는 외주측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또 도 4는 오목부부에서의 길이방향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그 폭방향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 중, 1은 고무 크롤러의 기본체를 이루는 고무 탄성체이고, 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무단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2는 고무 탄성체 안에 매설된 코어로서, 고무 탄성체(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피치를 가지고 매설되어 있다. 상기 코어(2)에서 좌우의 날개부(2b),(2c)가 고무 탄성체 안에 매설되고, 그 중앙부(2a)는 스프로켓톱니(20)와 결합되는 부위이다. 그리고 코어(2)에서는, 한쌍의 돌기(2d)가 중앙부(2a)를 사이에 두고 세워지며, 이것이 고무 탄성체(1)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3은 스틸 코드로서, 코어(2)의 외주측을 둘러싸서 고무 탄성체(1)의 길이방향을 향해 매설되어 있다. 50은 코어(2)의 중앙부(2a) 사이에 형성된 스프로켓톱니(20)와의 결합부인 오목부로서, 내외면을 관통하지 않는 바닥이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오목부(50)와 스프로켓톱니(20)의 관계는, 스프로켓톱니(20)의 이높이(H)보다 약간 깊게(D) 형성되고, 주행시에 스프로켓톱니(20)는 코어(2)의 중앙부(2a)에 접촉되나 오목부(50)의 내면(50o)에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러그(4a),(4b)는 고무 크롤러의 폭방향으로 긴 러그와 짧은 러그가 번갈아 배치되고, 양자는 그 중앙부가 산모양을 이루고 그 산모양의 꼭대기에 바닥이 있는 오목부(50)을 막는 형태로 러그(4a),(4b)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러그(4a),(4b)는 꼭대기부에서 좌우로 완만하게 기울어져 있으며, 러그(4a)는 폭방향으로 더 수평으로 연장되어 긴 러그가 되고, 러그(4b)는 완만한 경사로 끝나는 짧은 러그가 된다.
점선으로 도시한 구름바퀴(10)는 돌기(2d)를 넘어 고무 크롤러의 내표면을 주행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순차적으로 러그(4a),(4b) 위에 올라타면서 주행하게 되고, 구름바퀴(10)가 주행하는 부위의 러그(4a),(4b)의 간격은 비교적 좁아져 있기 때문에 구름바퀴(10)의 상하이동은 비교적 적어진다.
한편 러그(4a),(4b)에서, 러그(4b)의 선단부는 러그(4a)의 경우와 달리 수평부가 누락되어 있다. 따라서 러그(4b)의 선단과 러그(4a)의 수평부로 둘러싸여진 평면(A,B)는 비교적 러그들 사이가 넓어져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사이에 끼워진 진흙이 고무 크롤러와 함께 들어 올려져도 벗겨지기 쉬워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고무 크롤러가 다시 접지될 때에는 러그(4a)의 수평부위에는 진흙이 붙어 있지 않기 때문에 추진력이 작용하게 된다. 러그들 사이에 진흙이 완전히 메워진 채로 접지된 경우에는 추진력의 전달은 거의 없고 러그가 공회전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에는 추진력은 확실히 전달되게 된다. 러그(4a),(4b)에 대해서 말하면, 러그의 높이는 전부 일률적이어도 좋지만 도면의 예에서는 러그(4a)의 오목부(50)과 대응하는 부위가 약간 높이가 낮게 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무 크롤러의 제2예의 외주측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오목부(50)에 관해서는 전례와 동일한 관계를 가지며, 러그는「ㄱ」자형으로 번갈아 구부려진 것으로서, 그 꼭대기부가 오목부(50)에 대응하는 것이다. 그리고 긴 러그측(14a)은 거의 같은 높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짧은 러그측(14b)은 꼭대기부터 서서히 높이가 낮아진다. 구름바위(10) 및 진흙의 배출 기능에 있어서는 상기한 고무 크롤러의 예와 거의 동일하다. 한편, 짧은 러그측(14b)의 높이는 긴 러그측(14a)의 높이와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오목부(50)에 대응하는 부위의 높이를 약간 낮게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고무 크롤러의 제3예의 외주측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오목부(50)의 점에 관해서는 전례와 동일한 관계를 가지며, 한편 러그(24)는 중앙부가 경사부를 이루고 선단에 수평부를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경사부는 오목부(50)에 대응하는 것이다. 수평부를 구비한 쪽이 긴 러그측(24a)이 되고 수평부가 없는 쪽이 짧은 러그(24b)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러그(24)는 높이는 거의 같지만 오목부(50)에 대응하는 부위의 높이를 약간 낮출 수도 있다. 구름바퀴(10) 및 진흙의 배출 기능에 있어서는 상기 고무 크롤러의 예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결합공에서 빠져나온 진흙덩어리의 발생은 없어지고 또한 러그의 배치를 비교적 자유롭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도 저감되어 실용상 큰 특징을 갖는 고무 크롤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무단고무 탄성체와, 이 길이방향으로 일정 피치를 가지고 매설된 코어와, 이 코어에 대해 바깥쪽으로부터 둘러싸서 이루어진 스틸 코드와, 코어들 사이에 형성된 스프로켓과의 결합부와, 무단고무 탄성체의 외주면에 형성한 러그를 구비하는 고무 크롤러로서, 스프로켓과의 결합부는 바닥이 있는 오목부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러그는 상기 바닥이 있는 오목부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크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고무 탄성체의 폭방향을 향해 경사 배치되고, 또 고무 탄성체의 폭방향의 좌우의 반쪽을 놓고 볼 때 폭방향 단부에 도달하는 긴 러그와 중도에서 끊기는 짧은 러그가 번갈아 배치된 고무 크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고무 탄성체의 폭방향을 향해 경사 배치되고, 또 고무 탄성체의 폭방향의 좌우의 반쪽을 놓고 볼 때 폭방향 단부에 도달하는 긴 러그와 중도에서 끊기는 짧은 러그가 번갈아 배치된 고무 크롤러.
KR1020057012700A 2003-01-09 2003-12-26 고무 크롤러 KR100819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03308A JP4262991B2 (ja) 2003-01-09 2003-01-09 ゴムクロ−ラ
JPJP-P-2003-00003308 2003-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616A true KR20050110616A (ko) 2005-11-23
KR100819198B1 KR100819198B1 (ko) 2008-04-02

Family

ID=3270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700A KR100819198B1 (ko) 2003-01-09 2003-12-26 고무 크롤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262991B2 (ko)
KR (1) KR100819198B1 (ko)
CN (1) CN100465046C (ko)
AU (1) AU2003292711A1 (ko)
WO (1) WO2004062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8796A (ja) * 2007-09-05 2009-04-16 Bridgestone Corp ゴムクローラ及びこれに適したスプロケット
JP4578550B2 (ja) * 2008-11-10 2010-11-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弾性履帯
JP5469163B2 (ja) * 2009-04-22 2014-04-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クローラ
JP5474480B2 (ja) * 2009-10-01 2014-04-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スプロケ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ゴムクローラ組込体
WO2011045993A1 (ja) * 2009-10-13 2011-04-21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走行装置
JP5788662B2 (ja) * 2010-11-01 2015-10-0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弾性クローラ
JP5566866B2 (ja) * 2010-11-25 2014-08-0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弾性クローラ
JP5451807B2 (ja) * 2012-03-29 2014-03-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クローラ走行装置
CN102874335B (zh) * 2012-10-20 2015-03-11 湖南农夫机电有限公司 一种农机行走橡胶履带
ITUB20156058A1 (it) * 2015-12-01 2017-06-01 Berco Spa Ruota motrice per la fascia gommata di un veicolo cingolato.
WO2017126680A1 (ja) * 2016-01-22 2017-07-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弾性クローラ
CN106005072A (zh) * 2016-07-30 2016-10-12 浙江元创橡胶履带有限公司 带刮泥结构的车辆用橡胶履带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3736U (ko) * 1977-03-10 1978-10-02
JPS5858269B2 (ja) * 1979-12-19 1983-12-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弾性履帯
JPS6057489U (ja) * 1983-12-26 1985-04-22 オ−ツタイヤ株式会社 弾性履帯
JPH01223086A (ja) * 1988-03-02 1989-09-06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ゴムクローラ
JP2578638Y2 (ja) * 1993-01-12 1998-08-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ゴム履帯のラグパターン
JPH08119161A (ja) * 1994-10-24 1996-05-14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弾性クローラの脱輪防止構造
JPH11222169A (ja) * 1998-02-04 1999-08-17 Bridgestone Corp 内周駆動型ゴムクロ−ラ
JP2001322576A (ja) * 2000-03-09 2001-11-20 Bridgestone Corp ゴムクローラ
JP3658536B2 (ja) * 2000-06-23 2005-06-08 大陸化學工業株式會社 弾性クローラ
US6474756B2 (en) * 2000-08-30 2002-11-05 Komatsu Ltd. Rubber crawler belt
JP2002104258A (ja) * 2000-10-02 2002-04-10 Komatsu Ltd 弾性体履板の芯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62991B2 (ja) 2009-05-13
KR100819198B1 (ko) 2008-04-02
WO2004062990A1 (ja) 2004-07-29
AU2003292711A1 (en) 2004-08-10
CN1735530A (zh) 2006-02-15
CN100465046C (zh) 2009-03-04
JP2004216936A (ja) 200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198B1 (ko) 고무 크롤러
US5131728A (en) Crawler assembly
CN101312872B (zh) 无芯骨橡胶履带
CA2808924C (en) Track pad
JP2004249973A (ja) ロータリブッシュ式履帯およびロータリブッシュ式履帯用リンク
JPWO2007086428A1 (ja) 芯金レスゴムクロ−ラ及び走行装置
EP0928735A1 (en) Inner periphery driving type rubber crawler
CN1217819C (zh) 履带行走装置
US7114788B2 (en) Angled traction lugs for endless band
CN205872226U (zh) 凹槽式齿尖橡胶履带
JPS6012787Y2 (ja) 弾性無限軌道帯
JPS59118580A (ja) ゴムクロ−ラ
CN202345799U (zh) 全地形车履带防脱带
JP2006321293A (ja) 弾性クローラ
CN216034751U (zh) 芯金结构及具有其的履带
JP2897423B2 (ja) ゴムクローラ
CN216269599U (zh) 一种特高齿八字型玉米机履带
JP3883129B2 (ja) 梯子型クローラ
JPH0342383A (ja) ゴム履帯
CN112977659A (zh) 芯金结构及具有其的履带
KR20090024635A (ko) 고무 크롤러 및 이에 적합한 스프로킷, 및 고무 크롤러용 코어
JP4849992B2 (ja) ゴムクローラ
JPH0585399B2 (ko)
JPH0216946Y2 (ko)
JPH11222166A (ja) ゴムク−ラ用芯金及びこれを用いた内駆動型ゴムクロ−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