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795A - 소형 줌 렌즈 및 이것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와 비디오카메라 - Google Patents

소형 줌 렌즈 및 이것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와 비디오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795A
KR20050107795A KR1020057017055A KR20057017055A KR20050107795A KR 20050107795 A KR20050107795 A KR 20050107795A KR 1020057017055 A KR1020057017055 A KR 1020057017055A KR 20057017055 A KR20057017055 A KR 20057017055A KR 20050107795 A KR20050107795 A KR 20050107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efractive power
lens group
object side
positive refr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7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79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 G02B15/144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 G02B15/14411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arrang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 G02B15/144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 G02B15/144109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arrang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Abstract

상면에 대하여 고정된 제1 렌즈군(G1)은, 음의 굴절력의 렌즈(11), 양의 굴절력의 렌즈(12), 및 양의 굴절력의 렌즈(13)를 포함한다. 제2 렌즈군(G2)은, 전체로서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광축상을 이동하여 변배 작용을 일으킨다. 조리개는 상면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3 렌즈군(G3)은, 움의 굴절력의 렌즈(31)와 양의 굴절력의 렌즈(32)를 포함하고, 전체로서 양 또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변배 및 초점 맞춤 시에 광축 방향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4 렌즈군(G4)은, 전체로서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제2 렌즈군(G2)의 광축상에서의 이동 및 물체의 이동에 의하여 변동하는 상면을 기준면으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도록 광축상을 이동한다. 이에 의해, 고화질이고 또한 콤팩트한 3CCD용으로 적합한 소형 줌 렌즈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줌 렌즈 및 이것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와 비디오 카메라{SMALL ZOOMING LENS, AND DIGITAL CAMERA AND VIDEO CAMERA BOTH HAVING SAME}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 등에 이용되는 초소형의 3CCD용 광학계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소형 줌 렌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소형 줌 렌즈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및 비디오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고화질 타입의 3CCD용 광학계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 6-347697호 공보에 개시된 줌 렌즈는, 물체 측으로부터 양, 음, 양,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4개의 렌즈군으로써 구성되고, 제2 렌즈군으로 변배(變倍), 제4 렌즈군으로 포커스를 행한다. 또한, 제3 렌즈군은, 비(非)구면을 포함하는 단(單)렌즈로써 구성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0-305016호 공보에 개시된 줌 렌즈도, 물체 측으로부터 양, 음, 양,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4개의 렌즈군으로써 구성되고, 제2 렌즈군으로 변배, 제4 렌즈군으로 포커스를 행한다.
그러나, 초점 거리를 짧게 하면서 색 분해 프리즘을 삽입하기 위한 백 포커스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3 렌즈군의 굴절력을 약하게 해야만 한다. 일본국 특개평 6-347697호 공보와 같이, 제3 렌즈군을 단렌즈로써 구성하면, 굴절력이 약해짐에 따라서, 각 렌즈면의 곡률이 완만해져 충분히 수차 보정을 행할 수 없다. 혹은 물체 측면과 상(像) 측면의 곡률이 현저히 근접하기 때문에, 심취(芯取) 등의 가공이 곤란해진다. 일본국 특개 2000-305016호 공보에서는, 제3 렌즈군이 2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상의 제약은 줄일 수 있으나, 제1 렌즈군은 3매의 단렌즈로써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합하기 어렵고, 또한, 제2 렌즈군은 4매의 단렌즈로써 구성되어 있으므로, 저 코스트화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소형 줌 렌즈의 구성도이다.
도 2(A)∼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소형 줌 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3(A)∼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소형 줌 렌즈의 표준 위치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4(A)∼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소형 줌 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5(A)∼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소형 줌 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6(A)∼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소형 줌 렌즈의 표준 위치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7(A)∼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소형 줌 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8(A)∼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소형 줌 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9(A)∼도 9(E)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소형 줌 렌즈의 표준 위치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10(A)∼도 10(E)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소형 줌 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소형 줌 렌즈의 구성도이다.
도 12(A)∼도 12(E)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소형 줌 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13(A)∼도 13(E)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소형 줌 렌즈의 표준 위치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14(A)∼도 14(E)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소형 줌 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15(A)∼도 15(E)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소형 줌 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16(A)∼도 16(E)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소형 줌 렌즈의 표준 위치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17(A)∼도 17(E)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소형 줌 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18(A)∼도 18(E)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소형 줌 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19(A)∼도 19(E)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소형 줌 렌즈의 표준 위치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20(A)∼도 20(E)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소형 줌 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고화질이고 또한 컴팩트한 3CCD용으로 적합한 소형 줌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소형 줌 렌즈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굴절력의 렌즈, 양의 굴절력의 렌즈, 및 양의 굴절력의 렌즈를 포함하고, 전체로서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면(像面)에 대하여 고정된 제1 렌즈군과, 전체로서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광축상을 이동함으로써 변배 작용을 일으키는 제2 렌즈군과, 상면에 대하여 고정된 조리개와, 양의 굴절력의 렌즈와 음의 굴절력의 렌즈로 이루어지고, 전체로서 양 또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변배 및 초점 맞춤(合焦) 시에 광축 방향에 대하여 고정되는 제3 렌즈군과, 전체로서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2 렌즈군의 광축상에서의 이동 및 물체의 이동에 의해서 변동하는 상면을 기준면으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도록 광축상을 이동하는 제4 렌즈군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 및 비디오 카메라는, 모두 상기의 본 발명의 소형 줌 렌즈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소형 줌 렌즈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렌즈군, 제2 렌즈군, 조리개, 제3 렌즈군, 및 제4 렌즈군을 구비한다.
제1 렌즈군은,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굴절력의 렌즈, 양의 굴절력의 렌즈, 및 양의 굴절력의 렌즈를 포함하고, 전체로서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면(像面)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2 렌즈군은, 전체로서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광축상을 이동함으로써 변배(變倍) 작용을 일으킨다.
조리개는, 상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제3 렌즈군은, 양의 굴절력의 렌즈와 음의 굴절력의 렌즈로 이루어지고, 전체로서 양 또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변배 및 초점 맞춤 시에 광축 방향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4 렌즈군은, 전체로서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2 렌즈군의 광축상에서의 이동 및 물체의 이동에 의해서 변동하는 상면을 기준면으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도록 광축상을 이동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3CCD용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화질이며 소형인 줌 렌즈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소형 줌 렌즈에서, 상기 제2 렌즈군은, 적어도 1면 이상의 비(非)구면을 포함하고,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물체 측에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음 렌즈와, 음의 굴절력의 렌즈와, 양의 굴절력의 렌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렌즈군이 이러한 바람직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변배 시의 색수차를 억제하면서, 비구면에 의해 축 밖의 하측 광선 플레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의 소형 줌 렌즈에서, 상기 제3 렌즈군은, 적어도 1면 이상의 비구면을 포함하고,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물체 측에 오목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음 렌즈와, 양의 굴절력의 렌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3 렌즈군에서, 양의 굴절력의 렌즈를 상면 측에 배치함으로써, 제4 렌즈군에의 입사 광선의 광선 높이가 작아지고, 그것에 의하여 렌즈 지름을 작게 하고, 또한, 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포커스 시에 액츄에이터에 관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의 소형 줌 렌즈에서, 제3 렌즈군은, 하기 조건(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01<|f3/f4|<60 …(1)
여기서,
f3 : 제3 렌즈군의 초점 거리
f4 : 제4 렌즈군의 초점 거리
조건(1)은, 제3 렌즈군과 제4 렌즈군의 초점 거리비에 관한 식이다. 하한을 넘으면, 제4 렌즈군의 굴절력이 지나치게 약해지기 때문에, 포커스 시의 렌즈의 이동량이 커진다. 상한을 넘으면, 제4 렌즈군의 굴절력이 지나치게 강해지기 때문에, 포커스에 의한 수차의 변동이 커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소형 줌 렌즈에서, 제3 렌즈군은, 하기 조건(2)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f3/fw|<210 …(2)
여기서
f3 : 제3 렌즈군의 초점 거리
fw : 광각단(廣角端)에서의 전계(全系)의 초점 거리
조건(2)의 하한을 넘으면, 제3 렌즈군의 굴절력이 지나치게 강해지기 때문에, 구면수차가 발생한다. 상한을 넘으면, 제3 렌즈군의 굴절력이 지나치게 약해지기 때문에, 상면 만곡을 보정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의 소형 줌 렌즈에서, 제3 렌즈군은, 하기 조건(3)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f3/BFw|<55 …(3)
여기서,
f3 : 제3 렌즈군의 초점 거리
BFw : 광각단에서의 백 포커스
조건(3)의 하한을 넘으면, 색 분해 프리즘을 삽입하는 만큼의 공기 간격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상한을 넘으면, 백 포커스가 지나치게 길어지기 때문에 컴팩트화가 곤란해진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의 소형 줌 렌즈에서, 제3 렌즈군은 하기 조건(4)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85<|f31/f32|<1.5 …(4)
여기서,
f31 : 제3 렌즈군의 물체 측으로부터 첫 번째의 렌즈의 초점 거리
f32 : 제3 렌즈군의 물체 측으로부터 두 번째의 렌즈의 초점 거리
조건(4)의 하한을 넘으면, 음의 굴절력이 지나치게 커져, 음의 페츠발(Petzval) 합이 커진다. 또한, 상(像) 측에 배치된 렌즈의 지름이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소형화에 불리해진다. 또한, 상한을 넘으면, 양의 굴절력이 지나치게 커져, 구면수차 및 축상 색수차가 보정 부족이 된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의 소형 줌 렌즈에서, 제3 렌즈군은, 하기 조건(5) 및 (6)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d31-nd32|<0.15 …(5)
|υd31-υd32|<3.0 …(6)
여기에서,
nd31 : 제3 렌즈군의 물체 측 렌즈의 굴절률
nd32 : 제3 렌즈군의 상 측 렌즈의 굴절률
υd31 : 제3 렌즈군의 물체 측 렌즈의 아베수(Abbe's number )
υd32 : 제3 렌즈군의 상 측 렌즈의 아베수
제3 렌즈군은, 특히 광각 시에 축상의 광선 높이가 가장 높아진다. 조건(5)의 상한을 넘으면, 물체 측 렌즈와 상 측 렌즈의 굴절률 차가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한 쪽의 렌즈의 부담이 커져, 특히 고차(高次)의 구면수차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조건(6)의 상한을 넘으면, 축상 색수차가 커진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의 소형 줌 렌즈에서, 상기 제4 렌즈군은, 적어도 1면 이상의 비구면과 1조의 접합 렌즈를 포함하고,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의 렌즈와, 음의 굴절력의 렌즈와, 양의 굴절력의 렌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렌즈군이 이러한 바람직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음 렌즈에 입사하는 광선의 광선 높이를 낮출 수 있으므로, 페츠발 합에 유리하다. 또한, 최종 렌즈가 양의 굴절력의 렌즈이기 때문에, CCD로의 축외 광선의 입사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렌즈군의 가장 물체 측의 면의 굴절력을 φ41, 최대 상 높이를 RIH로 하였을 때, 하기 조건(7)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5<φ41/RIH<0.035 …(7)
조건(7)의 상한을 넘으면 굴절력이 지나치게 강해지기 때문에, 구면수차, 코마수차가 커진다. 하한을 넘으면 수차를 보정할 만큼의 충분한 굴절력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구면수차, 코마수차를 충분히 보정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제4 렌즈군에서 가장 물체 측에 단(單)렌즈가 배치되고, 상기 단렌즈의 물체 측의 면의 굴절력을 φ41, 상기 단렌즈의 상 측의 면의 굴절력을 φ42로 하였을 때, 하기 조건(8)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4<(φ41-φ42) /RIH<0.06 …(8)
혹은, 상기 제4 렌즈군은,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의 렌즈와 음의 굴절력의 렌즈의 접합 렌즈와, 양의 굴절력의 단렌즈로 이루어져, 상기 접합 렌즈의 가장 물체 측의 면의 굴절력을 φ41, 상기 접합 렌즈의 가장 상 측의 면의 굴절력을 φ43으로 하였을 때에, 하기 조건(9)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5<(φ41-φ43)/RIH<0.045 …(9)
조건(8) 및 조건(9)의 상한을 넘으면, 1개의 군으로 보정하는 수차량이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렌즈의 편심이 발생한 경우, 성능의 열화가 커진다. 하한을 넘으면, 편심에 의한 성능 저하는 작아지지만, 편심이 없는 상태에서의 수차 보정이 불충분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비디오 카메라 및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줌 렌즈를 이용함으로써 소형이며 고성능인 비디오 카메라 및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줌 렌즈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 및 표를 참고로 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소형 줌 렌즈의 구성을 도 1에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소형 줌 렌즈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렌즈군(G1), 제2 렌즈군(G2), 조리개(비 도시), 제3 렌즈군(G3), 및 제4 렌즈군(G4)을 구비한다.
제1 렌즈군(G1)은,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굴절력의 렌즈(11), 양의 굴절력의 렌즈(12), 및 양의 굴절력의 렌즈(13)를 포함하고, 전체로서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면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2 렌즈군(G2)은, 전체로서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광축상을 이동함으로써 변배 작용을 일으킨다. 제2 렌즈군(G2)은, 적어도 1면 이상의 비구면을 포함하고,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물체 측에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음 렌즈(21)와, 음의 굴절력의 렌즈(22)와, 양의 굴절력의 렌즈(23)를 포함한다.
조리개는, 상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제3 렌즈군(G3)은, 전체로서 양 또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변배 및 초점 맞춤 시에 광축 방향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3 렌즈군(G3)은, 적어도 1면 이상의 비구면을 포함하고,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물체 측에 오목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음 렌즈(31)와, 양의 굴절력의 렌즈(32)를 포함한다.
제4 렌즈군(G4)은, 전체로서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제2 렌즈군(G2)의 광축상에서의 이동 및 물체의 이동에 의해서 변동하는 상면을 기준면으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도록 광축상을 이동한다. 제4 렌즈군(G4)은, 적어도 1면 이상의 비구면을 포함하고,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의 렌즈(41)와, 음의 굴절력의 렌즈(42)와, 양의 굴절력의 렌즈(43)를 포함한다. 물체 측의 렌즈(41)와 렌즈(42)는 접합 렌즈를 구성하고 있고, 상 측의 렌즈(43)는 단렌즈이다.
도 1에서, 212는 커버 글래스, 로우 패스 필터, 및 IR 커트 필터 등을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고, 213은 색 분해 프리즘을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ri(i는 양의 정수)는, 물체 측으로부터 열거한 렌즈 각 면의 곡률 반경, di(i는 양의 정수)는, 물체 측으로부터 열거한 렌즈 두께 또는 렌즈간의 공기 간격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다음에, 실시형태 1에 대응하는 실시예 1에 관한 줌 렌즈의 구체적 수치 실시예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서, r은 렌즈면의 곡률 반경, d는 렌즈의 두께 또는 렌즈간의 공기 간격, n은 각 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 υ는 각 렌즈의 d선에 대한 아베수이다.
또한, 비구면을 구성하는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를 표 2에 나타낸다. 각 비구면 형상은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회전 대칭 비구면이다.
여기서, SAG는, 렌즈의 광축으로부터의 반지름 방향의 높이(H)의 위치에서의 렌즈 정점으로부터의 변위량이고, R은 곡률 반경, K는 원추 상수, D, E, F, G는 비구면 계수이다.
또한, 렌즈 선단으로부터 재어서 무한 위치에 있는 물점(物點)에 대하여 주밍을 행하였을 때의, 가변인 공기 간격의 각 줌 위치에서의 값을 표 3에 나타낸다. 표 3에서, 표준 위치는 2군 배율이 -1배가 되는 위치이다. f, F/No, ω는, 각각 표 1의 줌 렌즈의 광각단, 표준 위치 및 망원단(望遠端)에서의 초점 거리, F넘버, 입사 반화각(半畵角)이다.
〈표 1〉
〈표 2〉
〈표 3〉
줌 렌즈의 광각단, 표준 위치 및 망원단에서의 각 수차도를 도 2(A)∼도 4(E)에 도시한다. 또한, 도 2(A), 도 3(A), 도 4(A)는 구면수차의 도면이고, 실선은 d선에 대한 값을 나타낸다. 도 2(B), 도 3(B), 도 4(B)는 비점수차(非点收差)의 도면이고, 실선은 새지털(sagittal) 상면 만곡, 점선은 메리디오날(meridional) 상면 만곡을 나타낸다. 도 2(C), 도 3(C), 도 4(C)는 왜곡 수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D), 도 3(D), 도 4(D)는 축상 색수차의 도면이고, 실선은 d선, 점선은 F선, 파선은 C선에 대한 값을 나타낸다. 도 2(E), 도 3(E), 도 4(E)는 배율 색수차의 도면이고, 점선은 F선, 파선은 C선에 대한 값을 도시한다.
도 2(A)∼도 4(E)에 도시하는 수차도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 1의 줌 렌즈는, 고해상도를 실현하기에 충분한 수차 보정 능력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 1에서의 각 조건식의 값은 다음과 같다.
|f3/f4|=4.04
|f3/fw|=16.61
|f3/BFw|=3.86
|f31/f32|=1.30
|nd31-nd32|=0.09
|υd31-υd32|=1.8
RIH=1.375
φ41/RIH=0.01
(φ41-φ42)/RIH=0.03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형태 1에 대응하는 실시예 2에 관한 줌 렌즈의 구체적 수치 실시예를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비구면을 구성하는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를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렌즈 선단으로부터 재어서 무한 위치에 있는 물점에 대하여 주밍을 행하였을 때의, 가변인 공기 간격의 각 줌 위치에서의 값을 표 6에 나타낸다.
〈표 4〉
〈표 5〉
〈표 6〉
실시예 2에 관한 줌 렌즈의 광각단, 표준 위치 및 망원단에서의 각 수차도를 도 5(A)∼도 7(E)에 나타낸다.
도 5(A)∼도 7(E)에 도시하는 수차도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 2의 줌 렌즈는, 고해상도를 실현하기에 충분한 수차 보정 능력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 2에서의 각 조건식의 값은 다음과 같다.
|f3/f4|=4.74
|f3/fw|=18.86
|f3/BFw|=4.40
|f31/f32|=1.27
|nd31-nd32|=0.09
|υd31-υd32|=1.8
RIH=1.375
φ41/RIH=0.013
(φ41-φ43)/RIH=0.033
[실시예 3]
다음에, 실시형태 1에 대응하는 실시예 3에 관한 줌 렌즈의 구체적 수치 실시예를 표 7에 나타낸다. 또한, 비구면을 구성하는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를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렌즈 선단으로부터 재어서 무한 위치에 있는 물점에 대하여 주밍을 행하였을 때의, 가변인 공기 간격의 각 줌 위치에서의 값을 표 9에 나타낸다.
〈표 7〉
〈표 8〉
〈표 9〉
실시예 3에 관한 줌 렌즈의 광각단, 표준 위치 및 망원단에서의 각 수차도를 도 8(A)∼도 10(E)에 도시한다.
도 8(A)∼도 10(E)에 도시하는 수차도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 3의 줌 렌즈는, 고해상도를 실현하기에 충분한 수차 보정 능력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 3에서의 각 조건식의 값은 다음과 같다.
|f3/f4|=4.77
|f3/fw|=19.21
|f3/BFw|=4.47
|f31/f32|=1.26
|nd31-nd32|=0.09
|υd31-υd32|=1.8
RIH=1.375
φ41/RIH=0.016
(φ41-φ43)/RIH=0.036
(실시형태 2)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소형 줌 렌즈의 구성을 도 11에 도시한다.
실시형태 1에 관한 도 1과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 2가 실시형태 1과 상이한 것은, 제4 렌즈군(G4)의 구성뿐이다. 본 실시형태 2의 제4 렌즈군(G4)은, 전체로서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제2 렌즈군(G2)의 광축상에서의 이동 및 물체의 이동에 의해서 변동하는 상면을 기준면으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도록 광축상을 이동한다. 제4 렌즈군(G4)은, 적어도 1면 이상의 비구면을 포함하고,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의 렌즈(41)와, 음의 굴절력의 렌즈(42)와, 양의 굴절력의 렌즈(43)를 포함한다. 실시형태 1과 달리, 물체 측의 렌즈(41)는 단렌즈이고, 상 측의 렌즈(42)와 렌즈(43)는 접합 렌즈를 구성하고 있다.
[실시예 4]
다음으로, 실시형태 2에 대응하는 실시예 4에 관한 줌 렌즈의 구체적 수치 실시예를 표 10에 나타낸다. 또한, 비구면을 구성하는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를 표 11에 나타낸다. 또한, 렌즈 선단으로부터 재어서 무한 위치에 있는 물점에 대하여 주밍을 행하였을 때의, 가변인 공기 간격의 각 줌 위치에서의 값을 표 12에 나타낸다.
〈표 10〉
〈표 11〉
〈표 12〉
실시예 4에 관한 줌 렌즈의 광각단, 표준 위치 및 망원단에서의 각 수차도를 도 12(A)∼도 14(E)에 도시한다.
도 12(A)∼도 14(E)에 도시하는 수차도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 4의 줌 렌즈는, 고해상도를 실현하기에 충분한 수차 보정 능력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 4에서의 각 조건식의 값은 다음과 같다.
|f3/f4|=28.16
|f3/fw|=105.08
|f3/BFw|=24.32
|f31/f32|=1.02
|nd31-nd32|=0.09
|υd31-υd32|=1.8
RIH=1.375
φ41/RIH=0.03
(φ41-φ42)/RIH=0.056
[실시예 5]
다음으로, 실시형태 2에 대응하는 실시예 5에 관한 줌 렌즈의 구체적 수치 실시예를 표 13에 나타낸다. 또한, 비구면을 구성하는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를 표 14에 나타낸다. 또한, 렌즈 선단으로부터 재어서 무한 위치에 있는 물점에 대하여 주밍을 행하였을 때의, 가변인 공기 간격의 각 줌 위치에서의 값을 표 15에 나타낸다.
〈표 13〉
〈표 14〉
〈표 15〉
실시예 5에 관한 줌 렌즈의 광각단, 표준 위치 및 망원단에서의 각 수차도를 도 15(A)∼도 17(E)에 도시한다.
도 15(A)∼도 17(E)에 도시하는 수차도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 5의 줌 렌즈는, 고해상도를 실현하기에 충분한 수차 보정 능력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 5에서의 각 조건식의 값은 다음과 같다.
|f3/f4|=23.99
|f3/fw|=90.53
|f3/BFw|=20.86
|f31/f32|=1.02
|nd31-nd32|=0.09
|υd31-υd32|=1.8
RIH=1.375
φ41/RIH=0.03
(φ41-φ42)/RIH=0.055
[실시예 6]
다음에, 실시형태 2에 대응하는 실시예 6에 관한 줌 렌즈의 구체적 수치 실시예를 표 16에 나타낸다. 또한, 비구면을 구성하는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를 표 17에 나타낸다. 또한, 렌즈 선단으로부터 재어서 무한 위치에 있는 물점에 대하여 주밍을 행하였을 때의, 가변인 공기 간격의 각 줌 위치에서의 값을 표 18에 나타낸다.
〈표 16〉
〈표 17〉
〈표 18〉
실시예 6에 관한 줌 렌즈의 광각단, 표준 위치 및 망원단에서의 각 수차도를 도 18(A)∼도 20(E)에 도시한다.
도 18(A)∼도 20(E)에 도시하는 수차도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 6의 줌 렌즈는, 고해상도를 실현하기에 충분한 수차 보정 능력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 6에서의 각 조건식의 값은 다음과 같다.
|f3/f4|=54.7
|f3/fw|=200.31
|f3/BFw|=50.368
|f31/f32|=0.92
|nd31-nd32|=0.09
|υd31-υd32|=1.8
RIH=1.375
φ41/RIH=0.025
(φ41-φ42)/RIH=0.046
(실시형태 3)
도 21에 본 발명의 줌 렌즈를 이용하여 구성한 비디오카메라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211은 본 실시형태 1의 줌 렌즈, 212는 로우 패스 필터 및 IR 흡수 글래스 등, 213a∼213c는 색 분해 프리즘, 214a∼214c는 CCD, 215는 신호 처리 회로, 216는 뷰파인더이다.
줌 렌즈(211)를 통과한 광은, 로우 패스 필터 및 IR 흡수 글래스(212)에서 불필요한 광 성분이 제거된 후, 색 분해 프리즘(213a∼213c)에서 적, 녹, 청의 각 색광으로 분해된 후, CCD(214a∼214c)의 수광면상에 결상된다. 적, 녹, 청의 각 색광에 대응하는 CCD(214a∼214c)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신호 처리 회로(215)에서 연산 처리되어, 뷰파인더(216)상에 컬러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신호 처리 회로(215)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도시하지 않는 영상 기록 회로에 입력되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동화상(動畵像)이 기록된다.
본 실시형태의 비디오 카메라는, 본 발명의 줌 렌즈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화질이고 또한 컴팩트한 비디오 카메라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줌 렌즈(211)로서, 실시형태 2의 줌 렌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1과 동일한 구성을 이용하여 정지화상을 기록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는, 모두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밝히려는 의도의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그 발명의 정신과 청구의 범위에 기재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어, 본 발명을 광의로 해석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소형 줌 렌즈의 이용 분야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비디오 카메라 등에 이용되는 초소형의 3CCD용 광학계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굴절력의 렌즈, 양의 굴절력의 렌즈, 및 양의 굴절력의 렌즈를 포함하고, 전체로서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면(像面)에 대하여 고정된 제1 렌즈군과,
    전체로서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광축상을 이동함으로써 변배(變倍) 작용을 일으키는 제2 렌즈군과,
    상면에 대하여 고정된 조리개와,
    양의 굴절력의 렌즈와 음의 굴절력의 렌즈로 이루어지고, 전체로서 양 또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변배 및 초점 맞춤 시에 광축 방향에 대하여 고정되는 제3 렌즈군과,
    전체로서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2 렌즈군의 광축상에서의 이동 및 물체의 이동에 의해서 변동하는 상면을 기준면으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도록 광축상을 이동하는 제4 렌즈군을 구비한 소형 줌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군은, 적어도 1면 이상의 비(非)구면을 포함하고,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물체 측에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음 렌즈와, 음의 굴절력의 렌즈와, 양의 굴절력의 렌즈를 포함하는 소형 줌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군은, 적어도 1면 이상의 비구면을 포함하고,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물체 측에 오목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음 렌즈와, 양의 굴절력의 렌즈를 포함하는 소형 줌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군은, 하기 조건(1)을 만족하는 소형 줌 렌즈.
    4.01<|f3/f4|<60 …(1)
    여기서,
    f3 : 제3 렌즈군의 초점 거리
    f4 : 제4 렌즈군의 초점 거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군은, 하기 조건(2)을 만족하는 소형 줌 렌즈.
    14<|f3/fw|<210 …(2)
    여기서,
    f3 : 제3 렌즈군의 초점 거리
    fw : 광각단(廣角端)에서의 전계(全系)의 초점 거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군은, 하기 조건(3)을 만족하는 소형 줌 렌즈.
    3<|f3/BFw|<55 …(3)
    여기서,
    f3 : 제3 렌즈군의 초점 거리
    BFw : 광각단에서의 백 포커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군은, 하기 조건(4)을 만족하는 소형 줌 렌즈.
    0.85<|f31/f32|<1.5 …(4)
    여기서,
    f31 : 제3 렌즈군의 물체 측으로부터 첫 번째의 렌즈의 초점 거리
    f32 : 제3 렌즈군의 물체 측으로부터 두 번째의 렌즈의 초점 거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군은, 하기 조건(5) 및 (6)을 만족하는 소형 줌 렌즈.
    |nd31-nd32|<0.15 …(5)
    |υd31-υd32|<3.0 …(6)
    여기서,
    nd31 : 제3 렌즈군의 물체 측 렌즈의 굴절률
    nd32 : 제3 렌즈군의 상 측 렌즈의 굴절률
    υd31 : 제3 렌즈군의 물체 측 렌즈의 아베수
    υd32 : 제3 렌즈군의 상 측 렌즈의 아베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군은, 적어도 1면 이상의 비구면과 1조의 접합 렌즈를 포함하고,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의 렌즈와, 음의 굴절력의 렌즈와, 양의 굴절력의 렌즈를 포함하는 소형 줌 렌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군의 가장 물체 측의 면의 굴절력을 φ41, 최대 상 높이를 RIH라고 하였을 때, 하기 조건(7)을 만족하는 소형 줌 렌즈.
    0.005<φ41/RIH<0.035 …(7)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군에서 가장 물체 측에 단렌즈가 배치되고, 상기 단렌즈의 물체 측의 면의 굴절력을 φ41, 상기 단렌즈의 상 측의 면의 굴절력을 φ42라고 하였을 때, 하기 조건(8)을 만족하는 소형 줌 렌즈.
    0.04<(φ41-φ42)/RIH<0.06 …(8)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군은,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의 렌즈와 음의 굴절력의 렌즈의 접합 렌즈와, 양의 굴절력의 단렌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합 렌즈의 가장 물체 측의 면의 굴절력을 φ41, 상기 접합 렌즈의 가장 상 측의 면의 굴절력을 φ43이라고 하였을 때에, 하기 조건(9)을 만족하는 소형 줌 렌즈.
    0.025<(φ41-φ43)/RIH<0.045 …(9)
  13. 제1항에 기재된 소형 줌 렌즈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14. 제1항에 기재된 소형 줌 렌즈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KR1020057017055A 2003-03-14 2004-03-08 소형 줌 렌즈 및 이것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와 비디오카메라 KR200501077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70824A JP4359061B2 (ja) 2003-03-14 2003-03-14 小型ズームレンズ、及びこれを用いたデジタルカメラとビデオカメラ
JPJP-P-2003-00070824 2003-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795A true KR20050107795A (ko) 2005-11-15

Family

ID=3298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055A KR20050107795A (ko) 2003-03-14 2004-03-08 소형 줌 렌즈 및 이것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와 비디오카메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61742B2 (ko)
EP (1) EP1615059A4 (ko)
JP (1) JP4359061B2 (ko)
KR (1) KR20050107795A (ko)
CN (1) CN1745324A (ko)
WO (1) WO2004081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5912B2 (ja) * 2005-04-11 2011-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4919330B2 (ja) * 2005-10-31 2012-04-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JP5035898B2 (ja) * 2007-10-09 2012-09-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リアフォーカス式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5027018B2 (ja) 2008-03-12 2012-09-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2013054164A (ja) * 2011-09-02 2013-03-21 Sony Corp 可変焦点距離レンズ系および撮像装置
KR101890304B1 (ko) 2011-11-04 2018-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줌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2422126B1 (ko) * 2015-06-09 2022-07-1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계
CN105259639B (zh) * 2015-11-03 2018-01-16 广东思锐光学股份有限公司 一种可交换式镜头及包括该镜头的无反数码相机
CN107422455B (zh) * 2017-08-10 2020-04-10 福建浩蓝光电有限公司 定焦镜头和包括该定焦镜头的3ccd摄像机
CN110262023B (zh) * 2019-07-17 2022-03-22 成都优视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四倍连续变焦4k高清光学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823B2 (ja) 1993-06-07 2000-09-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球面ズームレンズとそ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
EP0628844B1 (en) * 1993-06-07 1998-03-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spherical zoom lens
JPH09281391A (ja) * 1996-04-09 1997-10-31 Canon Inc リアフォーカス式のズームレンズ
US6226130B1 (en) * 1996-04-09 2001-05-01 Canon Kabushiki Kaisha Zoom lens
JP4266414B2 (ja) * 1998-10-20 2009-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US6344932B1 (en) * 1999-01-19 2002-02-05 Canon Kabushiki Kaisha Zoom lens and optical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011786B2 (ja) * 1999-04-21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リアフォーカス式のズームレンズ
JP2000347103A (ja) * 1999-06-09 2000-12-15 Sony Corp ズームレンズ
JP2001051196A (ja) * 1999-08-13 2001-02-23 Sony Corp ズームレンズ
JP4442834B2 (ja) * 1999-08-26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近赤外光学撮像装置
JP2001116996A (ja) 1999-10-15 2001-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
JP4593715B2 (ja) * 2000-02-18 2010-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リアフォーカス式の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4642209B2 (ja) * 2000-10-19 2011-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US6763186B2 (en) * 2002-01-25 2004-07-13 Canon Kabushiki Kaisha Zoom lens, and camera incorporating such zoom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81631A1 (ja) 2004-09-23
EP1615059A1 (en) 2006-01-11
JP4359061B2 (ja) 2009-11-04
EP1615059A4 (en) 2007-07-04
US7161742B2 (en) 2007-01-09
JP2004279726A (ja) 2004-10-07
CN1745324A (zh) 2006-03-08
US20060146420A1 (en)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3941B2 (ja) 3群ズームレンズ
JP4507140B2 (ja) 3群ズームレンズ
JP3606548B2 (ja) 3群ズームレンズ
US5966246A (en) Zoom lens of the inner focusing type
JP3466385B2 (ja) 小型ズームレンズ
US5583698A (en) Aspherical zoom lens
JPH10213745A (ja) ズームレンズ
JPH0572474A (ja) 非球面ズームレンズとそ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
JPH09258102A (ja) インナーフォーカシングタイプのズームレンズ
EP0727683B1 (en) Zoom lens and video camera comprising the same
JP2001004919A (ja) ズームレンズ
US5886828A (en) Zoom lens system
JP4502341B2 (ja) ズームレンズ
KR100340018B1 (ko) 줌 렌즈 및 그것을 사용한 비디오 카메라
JP2001208969A (ja) 広角ズームレンズ
KR20050107795A (ko) 소형 줌 렌즈 및 이것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와 비디오카메라
JP2006106111A (ja) ズームレンズ
JP3085823B2 (ja) 非球面ズームレンズとそ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
JPH1048521A (ja) ズームレンズ
JP2000305014A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
JP4027335B2 (ja) 小型ズームレンズ
JPH10301028A (ja) 小型2群ズームレンズ
JP3392881B2 (ja) ズームレンズ
JP3078165B2 (ja) 非球面ズームレンズ及びビデオカメラ
JP2003043358A (ja) ズーム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