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5768A -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조립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조립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5768A
KR20050105768A KR1020040031027A KR20040031027A KR20050105768A KR 20050105768 A KR20050105768 A KR 20050105768A KR 1020040031027 A KR1020040031027 A KR 1020040031027A KR 20040031027 A KR20040031027 A KR 20040031027A KR 20050105768 A KR20050105768 A KR 20050105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nel
retaining wall
coupl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3865B1 (ko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이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이영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Priority to KR20040031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865B1/ko
Priority to PCT/KR2004/001873 priority patent/WO2005106136A1/en
Publication of KR20050105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에 의하여 형성된 절성토부의 토사가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성토부의 단면형상에따라 사전에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한 단위옹벽판넬인 단위수평, 경사, 곡선 및 지지판넬을 상기 절성토부의 단면에 설치한 후에 상기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호연결하며, 지반 위에 설치되면서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상기 단위지지판넬과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과 강연선을 사용하여 상호 관통설치한 후에 상기 강연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 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Coupler tension type fabricated retaining wall built by connecting high intensity reinforcing bars installed in the retaining wall panel unit by coupler and prestressing those bar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위옹벽판넬인 단위수평, 경사, 곡선 및 지지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 연결하고, 상기 단위옹벽판넬 중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된 단위지지판넬과를 강연선으로 상호 관통설치한 후에 상기 강연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배면부에 작용하는 토압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치한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위옹벽판넬로서 단위수평, 경사, 곡선 및 지지판넬은 강재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단위옹벽판넬의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은 상부에는 복수개의 걸고리가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상협하광형태로 제작하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걸고리가 설치되고, 전면과 후면은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양측면에는 홈부와 철부를 각각 설치하고, 양측면의 전면과 후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커플러 설치홈을 형성하면서, 하부면의 전면과 후면에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커플러설치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하부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오목홈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단위수평판넬은 상하부면이 수평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상부면의 일정한 위치에 일정한 문양과 품질을 보증하는 표시를 형성한 도안부를 설치하고, 상기 단위수평판넬의 몸체의 중간부분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착홈을 설치하면서 상기 정착홈내에 각각 쉬스관을 삽입하여 상기 단위수평판넬의 하부면까지 삽입관통되도록 설치하여 제작한 것이며, 상기 단위수평 판넬은 절성토면의 상부지반이 수평으로 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단위경사판넬은 상부면이 일정한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단위수평판넬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작되며, 상기 단위경사판넬은 절성토면의 상부지반이 경사면이 지거나 단차가 있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위곡선판넬은 곡선접선각이 일정한 각도가 되도록 상기 단위 곡선판넬의 몸체를 곡선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상기 단위곡선판넬의 상하부면이 곡선부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단위수평판넬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되며, 상기 단위곡선판넬은 절성토면이 일정한 곡선을 이룬 지형인 경우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단위옹벽판넬로서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위에서 설치되는 상기 단위지지판넬은 강재거푸집에 의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바닥부 상부의 일정한 위치에 일정한 크기의 돌출된 안착부를 형성하면서 복수개의 쉬스관을 바닥부의 하부의 정착홈까지 관통설치하고, 상기 안착부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후방바닥부의 일정한 위치에 복수개의 그라우팅 구멍을 설치하되 상기 그라우팅구멍이 설치된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하부에는 상기 그라우팅구멍의 양측에 일정한 크기의 돌출된 전단키를 설치하며,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안착부의 양측면에 하부로 수직돌출부와 수직홈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수직돌출부 및 수직홈부에서 일정한 간격의 단절부를 둔 다음 수평돌출부와 수평홈부를 각각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돌출된 안착부의 양측면과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양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크기의 커플러설치홈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도 2와 도 10에서 보는바와 같이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절성토면의 하부의 지반에 상기 단위지지판넬을 설치하면서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커플러설치홈내에 연장형성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기 커플러설치홈내에 체결설치하여 일련의 상기 단위 지지판넬을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고, 그 위에 상기 절성토 경사면의 지형상황에따라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을 설치하되 하부면에 형성된 오목홈내에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안착부에 설치된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설치한 후에,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을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호 상기 커플러설치홈내에 연장설치된 고강도철근을 각각 체결연결하여 설치한 다음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안착부에 설치된 커플러설치홈과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하부에 설치된 커플러설치홈내에 연장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각각 체결연결하고,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몸체내에 설치된 쉬스관과 상기 단위지지판넬에 설치된 쉬스관내에 강연선을 관통삽입설치하여 상기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몸체내에 설치된 정착홈내에 설치된 쉬스관에 정착구를 설치하고 상기 강연선을 정착한 다음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바닥부의 하부에 형성된 정착홈내에 쉬스관에 정착구를 설치하여 상기 강연선을 각각 고정한 다음 상기 강연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상기 단위옹벽판넬의 조립을 완료한 다음 상기 커플러설치홈과 상기 판넬과 판넬이 상호 연결된부분에 팽창재등과 같은 충전재로 충전하고 상기 단위지지판넬 상에 설치된 그라우팅관내에 그라우팅재를 저압으로 주입하여 지반과 상기 단위지지판넬이 밀착되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주입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공기는 또 다른 그라우팅구멍을 통하여 대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도 2와 같이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의 설치를 완료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성토부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의 지형상황에 따라 공장에서 제작한 단위옹벽벽판넬을 경사지의 형상과 일치하게 지반위에 설치된 단위지지판넬상에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을 각각 서로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조립설치하고, 상기 단위수평, 경사, 곡선판넬의 몸체내에 설치된 쉬스관과 상기 단위 지지판넬에 삽입된 쉬스관을 강연선을 서로 관통삽입하고 정착한 후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조립설치한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단위옹벽판넬은 공장에서 엄격한 품질관리하에 제작된 것을 단순히 절성토면에 조립설치하고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호연결조립하면서 옹벽조립체의 벽면과 지지판넬과의 사이에 강연선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도입하여 벽체의 전도를 방지하면서 토압의 작용에 저항하도록 하고 상기 단위지지판넬에 설치된 그라우팅구멍을 통하여 그랑우팅재를 지반과 상기 단위지지판넬과의 사이에 주입하여 밀착되게 하고, 커플링을 설치하는 삽입홈과 상기 판넬과 판넬이 인접하여 연결된 연결부에도 충전재로 충전하도록 하여 긴밀한 조립체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간단하면서도 정밀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의 철근콘크리트를 이용한 옹벽은 경사면에 설치되는 옹벽의 배면토압을 지지하기 위하여 푸팅과 벽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활동, 전도 및 지지력등을 확보하고 옹벽의 단면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서 설명하고 있는 종래기술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옹벽에서는 벽체의 배면에 작용하는 토압에 저항하기 위하여 벽체(31) 및 지반에 타설된 바닥콘크리트위에 푸팅을 벽체와 일체로 설치하면서 푸팅 하부에 슬라이딩에 저항하기 위한 활동지지판을 설치하도록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옹벽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현장에서 철근조립과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짐으로서 철근조립, 거푸집조립, 비계설치, 콘크리트타설, 양생등의 작업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기가 길어지면서 공사비가 증가되는 점과 옹벽을 설치하는데 외부 기후등과 공사에 따른 소음 및 먼지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점과 특히 옹벽의 설치를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동절기에는 동결등의 이유로 동절기에는 시공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공장에서 제작된 단위옹벽판넬을 현장의 절성토면에 설치한 후에 커플러를 이용하여 연결조립설치하고,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과 단위 지지판넬의 몸체내에 설치된 쉬스관내에 강연선을 설치하고 정착한 후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긴장정착하여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현장에서 철근을 조립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방법에 비하여 공사기간의 단축 및 공사비를 절감하고, 옹벽을 구성하고 있는 단위옹벽판넬의 제작을 일정한 제작장에서 체계적으로 품질관리을 하여 생산된 제품을 사용하므로 부실공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의 기후에 영향을 적게받으면서 시공을 할 수 있어 혹서기 및 동절기에도 옹벽공사를 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단위옹벽판넬(30)인 단위수평, 경사, 곡선 및 지지판넬(50,60,70,80)은 강재거푸집을 이용하여 공장등 일정한 제작장에서 제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단위옹벽판넬(30)의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은 상부에는 복수개의 걸고리(32)가 설치되고 상부면의 전면(39)의 일정한 위치에는 일정한 문양과 품질을 보증하는 표시를 형성한 도안부(22)를 설치하고, 전체적으로 상협하광형태로 제작하되 전면(39)과 후면(38)은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양측면에는 홈부(44)와 철부(45)를 각각 설치하고, 양측면의 모서리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커플러설치홈(33)을 형성하면서, 하부 양측면의 모서리부분에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커플러설치홈(33)을 형성함과 동시에 하부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오목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몸체의 중간부분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착홈(35)을 설치하면서 상기 정착홈(35)내에 각각 쉬스관(52)을 삽입하여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하부면까지 삽입관통되도록 설치제작한 것으로서,
상기 단위수평판넬(50)은 상하부면이 수평면(51)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단위수평 판넬은 절성토면의 상부 지반이 수평으로 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단위경사판넬(60)은 상부면이 일정한 경사면(61)으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단위수평판넬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작되며, 상기 단위 경사판넬(60)은 절성토면의 상부지반이 경사면이 지거나 단차가 있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위곡선판넬(70)은 곡선접선각(71)이 일정한 각도가 되도록 상기 단위곡선판넬의 몸체를 곡선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상기 단위 곡선판넬의 상하부면이 곡선부(72)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단위수평판넬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되며, 상기 단위곡선판넬은 절성토면이 일정한 곡선을 이룬 지형인 경우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단위옹벽판넬(30)로서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위에서 설치되는 상기 단위 지지판넬(80)은 강재거푸집에 의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바닥부((85) 상부의 일정한 위치에 일정한 크기의 돌출된 안착부(90)를 형성하면서 복수개의 쉬스관(52)을 바닥부(85)의 하부의 정착홈(35)까지 관통설치하고, 상기 안착부(90)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부(84)를 형성하며 상기 후방바닥부(82)의 일정한 위치에 복수개의 그라우팅구멍(83)을 설치하되 상기 그라우팅구멍(83)이 설치된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하부(95)에는 상기 그라우팅구멍(83)의 양측에 일정한 크기의 돌출된 전단키(87)를 설치하며,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안착부(90)의 양측면에 하부로 수직돌출부(89)와 수직홈부(9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수직 돌출부(89) 및 수직홈부(92)에서 일정한 간격의 단절부(86)를 둔 다음 수평 돌출부(88)와 수평홈부(91)를 각각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돌출된 안착부(90)의 양측면과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양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크기의 커플러설치홈(33)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한 단위 옹벽판넬(30)인 것이다.
후술하는 도 2와 도 10에서 보는바와 같이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절성토면의 하부의 지반에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을 설치하면서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커플러설치홈(33)내에 연장형성된 고강도 철근(미도시)을 커플러(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커플러설치홈(33)내에 체결설치하여 일련의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을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고, 그 위에 상기 절성토 경사면의 지형상황에따라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을 선택하여 배치설치하되 하부면에 형성된 오목홈내에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안착부(90)에 설치된 돌출부(84)가 삽입되도록 설치한 후에,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커플러 설치홈(33)내에 연장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호체결연결하여 설치한 다음 상기 단위 지지판넬(80)의 안착부(90)에 설치된 커플러설치홈(33)과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하부에 설치된 커플러설치홈(33)내에 연장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각각 체결연결하고,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몸체내에 설치된 쉬스관(52)과 상기 단위지지판넬(80)에 설치된 쉬스관(52)내에 강연선을 관통삽입설치하여 상기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몸체내에 설치된 정착홈(35)내에 설치된 쉬스관(52)에 정착구(34)를 설치하고 상기 강연선을 정착한 다음 상기 단위 지지판넬(80)의 바닥부(85)의 하부에 형성된 정착홈(35)내에 쉬스관(52)에 정착구(34)를 설치하여 상기 강연선을 각각 고정한 다음 상기 강연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상기 단위옹벽판넬(30)의 조립을 완료한 다음 상기 커플러설치홈(33)과 상기 단위옹벽판넬(30)과 판넬(30)이 상호 연결된 부분에 팽창재등과 같은 충전재로 충전하고 상기 단위지지판넬(80) 상에 설치된 그라우팅구멍(83)으로 그라우팅재를 저압으로 주입하여 지반과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하부가 밀착되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주입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공기는 또 다른 그라우팅구멍(83)을 통하여 대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도 2와 같이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20)의 설치를 완료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위옹벽판넬을 조립설치하여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을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단위수평판넬(50), 단위경사판넬(60) 및 단위곡선판넬(70)을 단위지지판넬(80)위에서 단지, 도로 또는 철도(A)를 설치하기 위하여 성토부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B)의 지형에 맞게 상기 단위 옹벽판넬(30)을 조립설치하고 상기 단위옹벽판넬(30)끼리 상하좌우에서 커플러설치홈(33)내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를 이용하여 각각 연결조립설치하고,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몸체내에 설치된 쉬스관(52)과 상기 단위지지판넬(80)내에 설치된 쉬스관(52)내에 강연선을 상호 관통설치하여 정착구(34)로 정착한 후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고정정착하여 설치한 조립식옹벽(20)으로서, 본 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절성토면의 경사면(B)의 상부가 평지일 경우에는 단위수평판넬(50)을, 경사면의 상부가 경사지일 경우에는 단위경사판넬(60)을 설치하고 경사면이 곡선일 경우에는 단위곡선판넬(70)을 설치하면서 단위수평(50) 및 경사판넬(60)과 조합하여 경사면의 곡선에 맞게 설치하면서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높이가 경사면의 높이보다 일정높이 높게 설치하여 경사면(B)에서 흘러내리는 토사가 흘러내리지 못하게 한다.
또한,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을 지지하고 있는 단위지지판넬(80)도 곡선일 경우에는 단위지지판넬(80)을 작게 제작하여 단위곡선판넬(70)의 곡선으로 바뀌는 부분에서 분할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옹벽판넬인 단위수평판넬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단위수평판넬(50)은 강재거푸집을 이용하여 공장등 일정한 제작장에서 제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강재거푸집내에 고강도철근을 배근하여 옹벽을 이루는 뼈대철근을 설치한 다음 고강도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상기 단위수평판넬은 상부에는 복수개의 걸고리(32)가 설치되고 상부면의 전면 일정한 위치에는 일정한 문양과 품질을 보증하는 표시를 형성한 도안부(22)를 설치하고, 전체적으로 상협하광형태로 제작하되 전면(39)과 후면(38)은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양측면에는 홈부(44)와 철부(45)를 각각 설치하고, 양측면의 전면과 후면의 모서리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커플러설치홈(33)을 형성하면서, 하부면의 전면과 후면의 모서리부분에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커플러설치홈(33)을 형성함과 동시에 하부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오목홈을 형성하고, 상기 단위수평판넬(50)의 몸체의 중간부분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착홈(35)을 설치하면서 상기 정착홈(35)내에 각각 쉬스관(52)을 삽입하여 상기 단위수평판넬(50)의 하부면까지 삽입관통되도록 설치제작한 것이다.
상기 단위수평판넬(50)은 상하부면이 수평면(51)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단위수평판넬은 절성토면의 상부 지반이 수평으로 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커플러설치홈(33)내에 고강도철근을 연장설치하여 향후 인접한 단위옹벽철근(30)을 서로 연결할 때 사용한다.
상기 걸고리(32)는 단위수평판넬이 중량물로서 설치시 운반 및 설치를 용이하게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며, 상기 단위수평판넬의 몸체 양측면부에 형성된 수직전단키인 홈부(44) 및 철부(45)내에 에폭시등을 도포하여 인접하여 설치된 또 다른 단위수평판넬(50)을 서로연결할 때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토압에 의한 상대처짐을 제어하여 벽체 설치시 가이드역할을 하면서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위옹벽판넬인 단위경사판넬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단위경사판넬(60)은 상기 도 3의 단위수평판넬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하되, 다만 상기 단위경사판넬의 상부면이 일정한 경사면(61)으로 형성되게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단위경사판넬은 절성토면의 상부지반이 경사면이 지거나 단차가 있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위옹벽판넬인 단위곡선판넬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단위곡선판넬(70)은 상기 도 3의 단위수평판넬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하되, 다만 상기 단위곡선판넬(70)은 곡선접선각(71)이 일정한 각도가 되도록 상기 단위곡선판넬의 몸체를 곡선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상기 단위곡선판넬의 상하부면이 곡선부(72)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단위곡선판넬은 절성토면이 일정한 곡선을 이룬 지형인 경우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지형이 직선에서 곡선으로 바뀌는 경사면이 있을 경우 곡선면에 따라 단위곡선판넬(70)과 수평 또는 경사판넬((50,60)을 조합배치하여 절성토 경사면이 곡선을 이루도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곡선접선각(71)은 5 ~ 40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단위옹벽판넬중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후면에 확대단면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확대단면(36)은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상부의 단면을 확대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상기 절성토면에 설치된 상기 조립식옹벽의 벽체상부에 난간 또는 방음벽을 설치할 때 상기 확대단면(36)에 상기 난간 또는 방음벽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과 8은 본 발명의 단위옹벽판넬인 단위지지판넬의 사시도이며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위에서 설치되는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은 강재거푸집에 의하여 제작장에서 제작되는 것으로서, 바닥부(85) 상부의 일정한 위치에 일정한 높이와 면적을 갖는 돌출된 안착부(90)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90)내에 복수개의 쉬스관(52)을 바닥부(85) 하부의 정착홈(35)까지 관통설치하고, 상기 안착부(90)의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부(84)를 형성하며, 상기 후방 바닥부(82)의 일정한 위치에 복수개의 그라우팅구멍(83)을 설치하되 상기 그라우팅구멍(83)이 설치된 상기 단위 지지판넬(80)의 하부(95)에는 상기 그라우팅구멍(83)의 양측에 일정한 크기의 돌출된 전단키(87)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안착부(90)의 양측면에 하부로 각각의 수직돌출부(89)와 수직홈부(92)를 형성하여 일측면에는 수직돌출부(89)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수직홈부(92)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돌출부(89) 및 수직홈부(92)의 양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단절부(86)를 둔 다음 수평돌출부(88)와 수평홈부(91)를 각각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돌출된 안착부(90)의 양측 모서리면과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양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크기의 커플러설치홈(33)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돌출된 안착부(90)는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의 안착부(90)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안착부(90) 상에는 복수개의 돌출부(84)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90)에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이 설치될 때 안착부(90)의 돌출부(84)와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홈이 상호 끼워져 밀착설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착부(90)내에 복수개의 쉬스관(52)은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몸체내에 설치되어 상기 판넬(30)의 하부면까지 관통되도록 설치된 쉬스관(52)과 상호 연결되어 강연선을 상호 관통시켜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에 강연선을 정착하고 또 다른 강연선은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하부(95)의 정착홈(35)에 설치된 쉬스관(52)에 정착구(34)를 설치하여 상기 강연선을 정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후방바닥부(82)의 일정한 위치에 복수개의 그라우팅구멍(83)은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이 지반 상에 설치되고 그 위에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을 설치하여 조립을 완료한 후에 상기 그라우팅구멍(83)을 통하여 그라우팅재를 저압의 압력으로 주입하여 지반과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하부면이 밀착되어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 다른 상기 그라우팅구멍(83)은 저압의 압력으로 그라우팅재를 주입할 때 지반과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하부면과의 사이에 있는 공기가 빠져나올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공기의 제거가 안되면 지반과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하부면이 밀착되지 않고 들뜨게되어 지지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그라우팅구멍(83)의 양측면에 전단키(87)를 돌출설치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조립식옹벽(20)이 토압에 강력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하부에 설치된 전단키(87)로서 상기 전단키가 지반에 묻혀서 상기 조립식옹벽(20)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므로서 상기 전단키 및 전단키의 주변인 단위지지판넬의 하부면이 지반과 아주 긴밀하게 밀착되어야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단키 가운데에 그라우팅구멍(83)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의 경우와 다르게 전단키를 설치하지 않고 하부바닥면을 그대로 지반 위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그라우팅구멍을 통하여 그라우팅재를 주입하여 지반과 하부바닥판이 밀착되어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안착부(90)의 양측면에 하부로 수직돌출부(89) 또는 수직홈부(92)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돌출부(89) 및 수직홈부(92)의 양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단절부(86)를 둔 다음 수평돌출부(88)와 수평홈부(91)를 각각 설치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을 지반에 설치할 때 일정한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수평전단키역할을 함과 동시에 부등침하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일정한 단절부(86) 즉 상기 수직돌출부(89) 및 수직홈부(92)와 수평돌출부(88) 및 수평홈부(91)가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안착부(90)의 양측면에서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수평돌출부(88) 및 수평홈부(91)를 일정한 길이를 끊어 설치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지반에 단차등이 있어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이 설치되는 높이가 서로 다를 때 상기 인접하여 설치되는 각각의 단위지지판넬(80)의 양측면에 설치된 수평돌출부(88) 및 수평홈부(91)와 수직홈부(92) 및 수직돌출부(89)가 서로 만나지 않도록 하여 상호 인접하여 설치되때 밀착설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9는 도 7의 단위지지판넬의 하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후방바닥부(82)의 일정한 위치에 복수개의 그라우팅구멍(83)이 상기 전단키(87)의 사이에 위치한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며, 상기 그라우팅구멍(83)의 한 개는 지반과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하부면이 밀착되어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그라우팅재를 주입하기 위함이며, 또 다른 상기 그라우팅 구멍은 저압의 압력으로 그라우팅재를 주입할 때 지반과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하부면과의 사이에 있는 공기가 빠져나올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그라우팅구멍(83)의 양측면에 전단키(87)를 돌출설치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20)이 토압에 강력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하부에 설치된 전단키(87)로서 상기 전단키(87)가 지반에 묻혀서 상기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20)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므로서 상기 전단키 및 전단키의 주변인 단위지지판넬의 하부면이 지반과 아주 긴밀하게 밀착되어야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단키 가운데에 그라우팅구멍(83)을 설치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단위옹벽판넬인 단위수평, 경사, 곡선 및 지지판넬을 상호 조립하는 과정을 통하여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을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20)을 설치하고자 하는 절성토면의 하부의 지반에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을 설치하면서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커플러설치홈(33)내에 연장형성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기 커플러설치홈(33)내에 체결설치하여 일련의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을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고, 그 위에 상기 절성토 경사면의 지형상황에따라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을 선택하여 배치설치하되 하부면에 형성된 오목홈내에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안착부(90)에 설치된 돌출부(84)가 삽입되도록 설치한 후에,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을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호 상기 커플러설치홈(33)내에 연장설치된 고강도철근을 각각 체결연결하여 설치한 다음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안착부(90)에 설치된 커플러설치홈(33)과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하부에 설치된 커플러설치홈(33)내에 연장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각각 체결연결하고,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몸체내에 설치된 쉬스관(52)과 상기 단위지지판넬(80)에 설치된 쉬스관(52)내에 강연선을 관통삽입설치하여 상기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몸체내에 설치된 정착홈(35)내에 설치된 쉬스관(52)에 정착구(34)를 설치하고 상기 강연선을 정착한 다음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바닥부(85)의 하부에 형성된 정착홈(35)내에 쉬스관(52)에 정착구(34)를 설치하여 상기 강연선을 각각 고정한 다음 상기 강연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상기 단위옹벽판넬(30)의 조립을 완료한 다음 상기 커플러설치홈(33)과 상기 단위옹벽판넬(30)과 판넬(30)이 상호 연결된부분에 팽창재등과 같은 충전재로 충전하고, 상기 단위지지판넬(30) 상에 설치된 그라우팅구멍(83)내에 그라우팅재를 저압으로 주입하여 지반과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하부가 밀착되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주입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공기는 또 다른 그라우팅구멍을 통하여 대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단위수평, 경사 ,곡선 및 지지판넬(50,60,70,80)인 단위옹벽판넬(30)을 공장에서 제작할 시에는 이들의 좌우측에 설치된 각각의 단위옹벽판넬(30)과 긴밀한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강재로 제작된 거푸집에 철홈부(45,44)를 형성하여 고장력철근을 배치하고 필요한 각종 자재를 배치한 후에 고강도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제작하면 양측면에 철홈부(45,44)가 형성되어 제작되므로 이들을 그대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나, 특별한 위치에 설치되는 판넬의 경우 즉,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의 최외측부분에 설치되는 각각 단위옹벽판넬(30)은 일측만 인접하여 설치된 또 다른 단위옹벽판넬(30)과 연결되고 타측은 철홈부(44,45)가 형성된 그대로 외부에 설치되게 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의 최외측에 설치될 각각의 단위 옹벽판넬(30)의 강재거푸집에 일정한 크기의 강재를 철홈부(44,45)가 형성된 부분에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제작하면 일측면에만 철홈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철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판넬이 제작되도록하여 이렇게 제작된 판넬을 조립식옹벽의 최외측에 설치하도록 하여 미려한 외관에도 기여토록 한다.
상기 단위옹벽판넬(30)을 조립설치하여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20)을 조립시공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옹벽을 조립시공하고자 하는 지반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지반위에 공장에서 제작된 단위지지판넬(80)을 지반에 설치하면서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하부에 설치된 정착홈내에 설치된 쉬스관(52)내에 강연선을 삽입하여 안착부(90)위로 연장하고, 인접하여 설치된 수평전단키(93)와 밀착조립설치하면서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단위 지지판넬(80)의 커플러설치홈(33)내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위지지판넬(80)위에 경사면(B)의 지형에 맞게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홈을 상기 단위 지지판넬(80)의 안착부(90)의 돌출부(84)에 끼워 넣으면서 상기 안착부(90)에 돌출연장설치된 강연선을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몸체내에 설치된 쉬스관(52)내에 삽입관통시켜 몸체내에 설치된 정착홈(35)에 돌출시키는 단계;
상기 인접하여 설치된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커플러설치홈(33)과 커플러를 이용하여 고강도 철근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면서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하부에 설치된 커플러설치홈(33)과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안착부(90)의 양측모서리에 설치된 커플러설치홈(33)이 일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커플러설치홈(33)내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고정하는 단계;
상기 커플러설치홈(33)과 상기 단위옹벽판넬(30)이 상호 연결된 연결부에 팽창재등과 같은 충전재로 충전하여 밀착조립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단위지지판넬(80)에 형성된 그라우팅구멍(83)에 그라우팅재를 압력주입하여 지반과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하부와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쉬스관(52)내에 설치된 강연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정착홈(35)내에 설치된 정착구(34)에 정착하고 상기 정착홈(35)내에 충전재로 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커플러텐션 조립식 옹벽을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장에서 품질관리를 통하여 제작된 단위옹벽판넬을 경사면의 지형에 맞게 조립설치한 후에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고, 상기 단위옹벽판넬의 몸체내에 설치된 쉬스관내에 강연선을 삽입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단면력을 향상시켜 조립식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에 저항하도록 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므로 상기 단위 옹벽판넬의 단면을 적게 할 수 있어 소요되는 철근과 콘크리트의 양을 줄일 수 있고, 경사면의 지형에 맞게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을 이용하여 곡선반경에 따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며, 외부의 온도의 영향을 받음이 없이 옹벽설치를 할 수 있어 동절기 및 혹서기에도 공사를 할 수 있는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옹벽시공방법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래기술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단위옹벽판넬을 조립설치하여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을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옹벽판넬인 단위수평판넬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단위옹벽판넬인 단위경사판넬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단위옹벽판넬인 단위곡선판넬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단위옹벽판넬중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후면에 확대단면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단위옹벽판넬인 단위지지판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단위옹벽판넬인 단위지지판넬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7의 단위지지판넬의 하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단위옹벽판넬인 단위수평, 경사, 곡선 및 지지판넬을 상호조립하는 과정을 통하여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을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단지, 도로 및 철도 B... 경사면
10... 중력식옹벽 11... 벽체
12... 배수구 13... 푸팅
14... 활동지지판 15... 지반
16... 바닥콘크리트
20...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 21... 커플러연결부
30... 단위옹벽판넬 31... 배수관
32... 걸고리 33... 커플러설치홈
34... 정착구 35... 정착홈
36... 확대단면 38... 후면
39... 전면 44... 홈부
45... 철부
50... 단위수평판넬 51... 수평면
52... 쉬스관
60... 단위경사판넬 61... 경사면
70... 단위곡선판넬 71... 곡선접선각
72... 곡선부
80... 단위지지판넬 81... 전방바닥부
82... 후방바닥부 83... 그라우팅구멍
84... 돌출부 85... 바닥부
86... 단절부 87... 전단키
88... 수평돌출부 89... 수직돌출부
90... 안착부 91... 수평홈부
92... 수직홈부 93... 수평전단키
94... 상부 95... 하부

Claims (9)

  1. 성토 및 절토부의 경사면에 대한 옹벽을 설치함에 있어서,
    지반위에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위에 단위지지판넬을 설치한 후에 경사면의 지형에 따라 상기 단위지지판넬 위에 단위수평판넬, 단위 경사판넬 및 단위곡선판넬을 선택적으로 조립설치하고 단위옹벽판넬인 상기 단위수평, 경사 곡선 및 지지판넬에 설치된 커플러설치홈내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고,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몸체와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몸체내에 설치된 쉬스관내에 강연선을 삽입정착한 후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단면력을 향상시킨 조립식옹벽을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 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은 상부에는 복수개의 걸고리가 설치되고 상부면의 전면의 일정한 위치에는 일정한 문양과 품질을 보증하는 표시를 형성한 도안부를 설치하고, 전체적으로 상협하광형태로 고강도 철근을 배근하고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성양생하여 제작하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걸고리가 설치되고, 전면과 후면은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양측면에는 홈부와 철부를 각각 설치하고, 양측면의 전면과 후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커플러설치홈을 형성하면서, 하부면의 전면과 후면에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커플러설치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하부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오목홈을 형성하고,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몸체의 중간부분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착홈을 설치하면서 상기 정착홈내에 각각 쉬스관을 삽입하여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하부면까지 삽입관통되도록 제작한 것에 특징이 있는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 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경사판넬은 상부면이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져 제작된 것이며, 상기 곡선판넬은 5 ~ 40도의 곡선접선각에 의하여 몸체가 일정하게 곡선이 되게 제작된 것에 특징이 있는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 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 .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지지판넬은 강재거푸집내에 의하여 고강도철근을 배치하고 고강도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제작장에서 제작되는 것으로서, 바닥부 상부의 일정한 위치에 일정한 높이와 면적을 갖는 돌출된 안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내에 복수개의 쉬스관을 바닥부 하부의 정착홈까지 관통설치하고, 상기 안착부의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후방바닥부의 일정한 위치에 복수개의 그라우팅구멍을 설치하며, 하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돌출된 전단키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안착부의 양측면에 하부로 각각의 수직돌출부와 수직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돌출부 및 수직홈부의 양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단절부를 둔 다음 수평돌출부와 수평홈부를 각각 설치하도록 하며, 상기 돌출된 안착부의 양측 모서리면과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양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크기의 커플러설치홈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제작한 것에 특징이 있는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그라우팅구멍중 한 개는 지반과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하부면이 밀착되어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그라우팅재를 주입하기 위함이며, 또 다른 한 개의 구멍은 그라우팅재를 주입할 때 지반과 상기 단위 지지판넬 하부면과의 사이에 있는 공기가 빠져나올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 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돌출부와 수직홈부의 양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단절부를 둔 다음 수평돌출부와 수평홈부를 각각 설치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 단위지지판넬을 연이어서 지반 위에 설치할 때 지반의 높낮이가 서로 다른 단차가 있을 때 인접하여 설치되는 각각의 단위지지판넬의 양측면에 설치된 수평돌출부 및 수평홈부와 수직홈부 및 수직돌출부가 서로 교차되지 않게 하여 상호밀착시켜 설치하기 위함인 것에 특징이 있는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 조립식 옹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몸체상부에 설치된 일정한 면적의 확대단면은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이 조립되어 설치된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의 상부에 방음벽 또는 난간을 설치하기 위한 기초로 활용하기 위한 것임에 특징이 있는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 조립식 옹벽.
  8. 각종 단지, 철도 및 도로를 설치하기 위하여 성토 및 절토를 하여 형성된 경사면에 대하여 옹벽을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옹벽을 조립시공하고자 하는 지반을 정리하는 단계;
    b) 상기 지반위에 공장에서 제작된 단위지지판넬(80)을 지반에 설치하면서 상기 단위지지판넬(80)의 하부에 설치된 정착홈내에 설치된 쉬스관(52)내에 강연선을 삽입하여 안착부위로 연장하고, 인접하여 설치된 수평전단키와 밀착조립설치하면서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커플러설치홈내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단위지지판넬(80)위에 경사면(B)의 지형에 맞게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홈을 상기 단위 지지판넬의 안착부의 돌출부에 끼워 넣으면서 상기 안착부에 돌출연장설치된 강연선을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몸체내에 설치된 쉬스관내에 삽입관통시켜 몸체내에 설치된 정착홈에 돌출시키는 단계;
    d) 상기 인접하여 설치된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커플러 설치홈과 커플러를 이용하여 고강도철근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면서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하부에 설치된 커플러설치홈과 상기 단위 지지판넬의 안착홈의 양측모서리에 설치된 커플러설치홈이 일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커플러설치홈내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고정하는 단계;
    e) 상기 커플러설치홈과 상기 단위옹벽판넬이 상호 연결된 연결부에 팽창재등과 같은 충전재로 충전하여 밀착조립되도록 하는 단계;
    f) 상기 단위지지판넬에 형성된 그라우팅구멍에 그라우팅재를 압력주입하여 지반과 상기 단위지지판넬의 하부와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 및
    g) 상기 쉬스관내에 설치된 강연선에 프기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상기 단위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정착홈내에 설치된 정착구에 정착하고 상기 정착홈내에 충전재로 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텐션 조립식 옹벽을 설치한 후에 상기 조립식 옹벽의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상부에 방음벽 또는 난간을 설치하기 위하여 확대단면을 설치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 조립식옹벽 시공방법.
KR20040031027A 2004-05-03 2004-05-03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조립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53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1027A KR100653865B1 (ko) 2004-05-03 2004-05-03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조립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PCT/KR2004/001873 WO2005106136A1 (en) 2004-05-03 2004-07-26 Fabricated breast walls in which a pre-stress is induced in steel strands installed in a body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1027A KR100653865B1 (ko) 2004-05-03 2004-05-03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조립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768A true KR20050105768A (ko) 2005-11-08
KR100653865B1 KR100653865B1 (ko) 2006-12-05

Family

ID=3524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1027A KR100653865B1 (ko) 2004-05-03 2004-05-03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조립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3865B1 (ko)
WO (1) WO20051061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83B1 (ko) * 2006-08-28 2008-02-15 청호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측벽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9198A (zh) * 2012-05-03 2012-08-01 重庆大学 一种尾矿坝的子坝构筑方法及用于该方法的预制构件
US20140270990A1 (en) * 2013-03-15 2014-09-18 Utility Concrete Products, Llc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CN104060597B (zh) * 2014-06-23 2016-08-24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支挡结构土压力的解析算法
JP6511671B2 (ja) * 2015-02-23 2019-05-15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剛な一体壁面工を持つ高剛性ジオシンセティック補強土擁壁工による巨大津波に対抗する海岸用土構造物の構築工法
CN111300603B (zh) * 2020-02-19 2021-06-29 江西省华群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凹圆头桩制作设备与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2711A (en) * 1983-05-23 1986-02-25 Stresswall International, Inc. Prestressed component retaining wall system
US4798499A (en) * 1985-05-17 1989-01-17 Kensetsukiso Engineering Co., Ltd. Retaining panel
JPH0312940U (ko) * 1989-06-12 1991-02-08
JP2875791B2 (ja) * 1996-12-17 1999-03-31 羽田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L形擁壁の構築方法
KR100563787B1 (ko) * 2003-04-03 2006-03-30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및 이의조립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83B1 (ko) * 2006-08-28 2008-02-15 청호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측벽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865B1 (ko) 2006-12-05
WO2005106136A1 (en)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716B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US9249546B2 (en) Floor slab structure for bridge
KR101851557B1 (ko) 리브보강형 프리캐스트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20090098641A (ko)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100653865B1 (ko)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조립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63787B1 (ko)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및 이의조립시공방법
KR101639592B1 (ko) 교량용 조립형 경량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JP2004100157A (ja) 擁壁構造およびそのための施工方法
KR101824963B1 (ko) 하이브리드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200420394Y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102127192B1 (ko) 하중 저항력이 강화된 부벽형 옹벽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417487B1 (ko) 쇄석 채움 옹벽
KR100964721B1 (ko) 도로 확장 블록 시공방법
KR100380907B1 (ko) 아치형 통로 구축용 프리캐스트 부재와 이것을 이용한아치형 통로 구축시공방법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KR102269357B1 (ko)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
KR101322420B1 (ko) 프리캐스트 블록 벽체, 프리캐스트 블록 벽체를 이용한 내민식 슬래브 교량 및 이의 공법
JP3710434B2 (ja) 拡幅道路
JP3661999B2 (ja) ガードレール用基礎の構築方法
KR200212405Y1 (ko) 아치형 통로 구축용 프리캐스트 부재
KR102441988B1 (ko) 도로 확장 시공 구조 및 방법
KR200322968Y1 (ko)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KR102354647B1 (ko) 프리캐스트 패널을 활용한 다각형 선조립 기둥
JP3031028U (ja) コンクリートパネルによる防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