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968Y1 -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 Google Patents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968Y1
KR200322968Y1 KR20-2003-0010137U KR20030010137U KR200322968Y1 KR 200322968 Y1 KR200322968 Y1 KR 200322968Y1 KR 20030010137 U KR20030010137 U KR 20030010137U KR 200322968 Y1 KR200322968 Y1 KR 200322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nel
retaining wall
horizont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이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이영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Priority to KR20-2003-0010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9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 연결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단위 옹벽판넬을 이루고 있는 단위 수평, 경사, 곡선 및 지지판넬을 성토부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과 곡선부로 이루어진 지형에 맞게 조립설치한 옹벽 조립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위 수평판넬은 강재 거푸집에 의하여 공작제작되는 것으로서 상부면이 수평으로 되고 하부면의 중앙지점에 홈부가 형성되고, 양측면의 중앙부에 일정길이의 요홈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의 상하부에 일정거리를 두고 복수개의 수평쉬스를 매입하고 일정한 경사면을 갖는 전면부의 일정위치에 홈을 형성하고 홈과 연결된 수직쉬스를 매입하여 하부면까지 연장설치하고, 상기 단위 수평판넬의 전, 배면부를 관통하는 배수관을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하며, 배면부측에 수평쉬스를 매입하고 전면부의 중앙에 홈을 형성하여 강연선 연결부를 설치하고, 배면부에는 배면 수직연결철근을, 전면부에는 전면 수직연결철근을 매입 배치한 것이며, 상기 단위 경사 판넬은 상부의 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다를뿐 상기 단위 수평판넬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작되며, 상기 단위 곡선판넬은 접선각이 일정한 각도가 되도록 곡선부를 형성한 판넬로서 상기 단위 수평판넬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되며, 상기 단위 옹벽판넬을 지반위에서 지지하는 상기 단위 지지판넬은 양측면에는 요홈부를 형성하고 배면 상부 지지판과 전면 상부지지판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수평쉬스를 매입하고 중앙에 홈을 형성하여 강연선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부에 요부를형성하고 상부의 일측에 상기 단위 수평, 경사, 곡선판넬의 몸체부에 매입된 수직쉬스와 연결될 수 있게 수직쉬스를 관통시켜 하부 지지판에 홈을 형성하여 정착구를 설치하며, 상부의 양측부에 상기 단위 수평, 경사, 곡선판넬의 배면과 전면부에 매입된 배면 및 전면수직연결철근과 연결될 수 있게 홈을 형성하고 배면 및 전면 수직연결철근을 매입설치하며, 배면 상부지지판 끝단과 전면 상부지지판 끝단을 관통하는 상부쉬스를 설치하고 양쪽끝단에 홈을 형성하고 정착구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의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과 이들을 지반위에서 지지하는 단위 지지판넬을 경사면의 지형에 맞게 설치한 후에 이들을 서로 강연선을 이용하여 상호 조립설치한 후에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 연결하고 쉬스내에 삽입된 강연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단위 옹벽판넬을 조립설치하여 옹벽 조립체를 경사면에 조립설치하여 옹벽을 설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osed of retaining-wall panel unit prestressed under interconnecting high intensity reinforcing rod installed in the panel unit with couplers so as to resist section strength}
본 고안은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 상호 연결하여 단면력을 저항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단위 옹벽판넬을 이루고 있는 단위 수평, 경사, 곡선 및 지지판넬을 성토부 또는 절개지의 지형에 맞게 조립설치한 옹벽 조립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위 수평판넬은 강재 거푸집에 의하여 공작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부면이 수평으로 되고 하부면의 중앙지점에 홈부가 형성되고, 양측면의 중앙부에일정길이의 요홈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의 상하부에 일정거리를 두고 복수개의 수평쉬스를 매입하고 일정한 경사면을 갖는 전면부의 일정위치에 홈을 형성하고 홈과 연결된 수직쉬스를 매입하여 하부면까지 연장설치하고, 상기 단위 수평판넬의 전, 배면부를 관통하는 배수관을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하며, 배면부측에 수평쉬스를 매입하고 전면부의 중앙에 홈을 형성하여 강연선 연결부를 설치하고, 배면부에는 배면 수직연결철근을, 전면부에는 전면 수직연결철근을 매입 배치한 것이며,
상기 단위 경사판넬은 상부의 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다를뿐, 상기 단위 수평판넬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작되며,
상기 단위 곡선판넬은 접선각이 일정한 각도가 되도록 곡선부를 형성한 판넬로서 상기 단위 수평판넬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되며,
상기 단위 옹벽판넬을 지반위에서 지지하는 상기 단위 지지판넬은 양측면에는 요홈부를 형성하고 배면 상부 지지판과 전면 상부지지판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수평쉬스를 매입하고 중앙에 홈을 형성하여 강연선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부에 요부를 형성하고 상부의 일측에 상기 단위 수평, 경사, 곡선판넬의 몸체부에 매입된 수직쉬스와 연결될 수 있게 수직쉬스를 관통시켜 하부 지지판에 홈을 형성하여 정착구를 설치하며, 상부의 양측부에 상기 단위 수평, 경사, 곡선판넬의 배면과 전면부에 매입된 배면 및 전면 수직연결철근과 연결될 수 있게 홈을 형성하고 배면 및 전면 수직연결철근을 매입설치하며, 배면 상부지지판 끝단과 전면 상부지지판 끝단을 관통하는 상부쉬스를 설치하고 양쪽끝단에 홈을 형성하고 정착구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의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과 이들을 지반위에서 지지하는 단위 지지판넬을 경사면의 지형에 맞게 설치한 후에 이들간에 수평으로 설치된 강연선을 소켓을 이용하여 상호 조립설치하고,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과 단위 지지판넬에 근입된 전배면 수직연결철근은 커플러로 연결하며, 수직 쉬스내에 삽입된 강연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단위 옹벽판넬을 조립설치하여 옹벽 조립체를 경사면에 조립설치하여 옹벽을 설치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성토부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이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지형에 따라 공장에서 제작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단위 옹벽판넬을 경사지의 형상에 맞게 단위 수평 판넬, 경사 판넬, 곡선판넬을 단위 지지판넬 위에 조립설치하고 수평으로 설치된 강연선을 소켓을 이용하여 상호 조립설치하며, 단위 수평, 경사, 곡선판넬 및 단위 지지판넬에 근입된 전배면 수직연결철근을 커플러로 연결하고, 수직 쉬스내에 강연선을 설치하고 이들 강연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단위 옹벽판넬을 이용하여 경사지에 옹벽조립체를 조립설치하는 것으로서, 이미 공장에서 상기 단위 옹벽판넬을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여 단면 저항력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강연선과 수직 철근을 각각 소켓과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 및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견고한 옹벽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조립설치하는 공사기간이 종전의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설치하였을때보다 훨씬 단축되며 이로 인하여 공사비가 절감되며 특히 공장에서 제작한 판넬을 조립설치하는 것이므로 동절기에도 옹벽설치를 위한 공사가 가능한 단위 옹벽판넬을 이용한 조립설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한 옹벽은 경사면에 설치되는 옹벽의 배면 토압을 지지하기 위하여 푸팅과 벽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활동, 전도 및 지지력등을 확보하고 옹벽의 단면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서 설명하고 있는 종래기술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옹벽에서는 벽체의 배면에 작용하는 토압에 저항하기 위하여 벽체(31) 및 지반에 타설된 바닥 콘크리트위에 푸팅을 벽체와 일체로 설치하면서 푸팅 하부에 슬라이딩에 저항하기 위한 활동지지판을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옹벽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기존 철근 콘크리트 옹벽은 현장에서 철근 조립과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짐으로서 철근 조립, 거푸집조립, 비계설치, 콘크리트 타설, 양생등의 작업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기가 길어지면서 공사비가 증가되는 점과 옹벽을 설치하는데 외부 기후등과 공사에 따른 소음 및 먼지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점과 특히 옹벽의 설치를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동절기에는 동결등의 이유로 동절기에는 시공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공장에서 제작된 단위 옹벽판넬을 현장에서 조립설치한 후에 커플러 및 소켓을 이용하여 강연선과 수직 철근을 각각 연결하여 단면저항력을 증강시키며,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여 설치하는 옹벽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에서 철근을 조립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방법에 비하여 공사기간의 단축 및 공사비를 절감하고, 품질관리가 이뤄진 공장제품을 사용하므로 부실공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의 기후에 영향을 적게받으면서 시공을 할 수 있어 혹서기 및 동절기에도 옹벽공사를 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종래기술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단위 옹벽판넬을 조립하여 옹벽조립체를 조립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단위 옹벽판넬을 조립설치한 옹벽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위 옹벽판넬인 단위 수평,경사 및 곡선 판넬의 배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2의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배면부에 설치된 강연선 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단위 수평,경사 및 곡선판넬의 전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단위 옹벽판넬인 단위 곡선판넬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단위 옹벽판넬인 단위 경사판넬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단위 지지판넬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9의 단위 지지판넬을 위에서 본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단위 옹벽판넬인 단위 수평,경사 및 곡선판넬과 단위 지지판넬이 서로 조립된 상태를 측면에서 보여준 도면.
도 13은 본 고안의 단위 옹벽판넬을 서로 조립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단지, 도로 및 철도 B... 경사면
C... 기초 콘크리트
10... 중력식 옹벽 11... 벽체
12... 배수파이프 13... 푸팅
14... 활동지지판 15... 지반
16... 바닥콘크리트
20... 옹벽 조립체 21... 연결부
30... 단위 옹벽판넬 31... 배수관
32... 홈 33... 정착구
34... 강연선 35... 수평쉬스
36... 소켓 37... 강연선 연결부
38... 배면부 39... 전면부
40... 하부 41... 수직연결철근
42... 상부 43... 수직철근 연결부
44... 홈부 45... 요부
46... 수직쉬스 47... 전면 수직연결철근
48... 배면 수직연결철근 49... 상부쉬스
50... 단위 수평판넬 51... 수평부
60... 단위 경사판넬 61... 경사부
70... 단위 곡선판넬 71... 접선각
80... 단위 지지판넬 81... 전면 상부지지판
82... 배면 상부지지판 83... 하부 지지판
본 고안은 강재 거푸집에 의하여 공작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부(42)면이 수평으로 되고 하부(40)면의 중앙지점에 홈부(44)가 형성되며, 양측면의 중앙부에 일정길이의 요홈부(45,44)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의 상하부에 일정거리를 두고 복수개의 수평쉬스(35)를 매입하며, 일정한 경사면을 갖는 전면부(39)의 일정위치에 홈(32)을 형성하고 홈(32)과 연결된 수직쉬스(46)를 매입하여 하부(40)면까지 연장설치하고, 상기 단위 수평판넬(50)의 전,배면부(39,38)를 관통하는 배수관(31)을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하며, 배면부(38)측에 수평쉬스(35)를 매입하고 전면부(39)의 중앙에 홈(32)을 형성하여 강연선 연결부(37)를 설치하고, 배면부(38)에는 배면 수직연결철근(48)을, 전면부(39)에는 전면 수직연결철근(47)을 매입 배치한 단위 수평판넬(50)과,
상기 단위 경사판넬(60)은 상부(42)의 면이 경사부(61)로 되어 있는 것이 다를뿐, 상기 단위 수평판넬(50)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작되며,
상기 단위 곡선판넬(70)은 접선각(71)이 일정한 각도가 되도록 곡선부를 형성한 판넬로서 상기 단위 수평판넬(50)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되며,
상기 단위 수평, 경사, 곡선판넬(50,60,70)을 지반위에서 지지하는 것으로서 양측면에는 요홈부(45,44)를 형성하고 배면 상부 지지판(82)과 전면 상부지지판(81)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수평쉬스(35)를 매입하며, 중앙에 홈(32)을 형성하여 강연선 연결부(37)를 형성하고 상부(42)에 요부(45)를 형성하며, 상부(42)의 일측에 상기 단위 수평, 경사, 곡선판넬(50,60,70)의 몸체부에 매입된 수직쉬스(46)와 연결될 수 있게 수직쉬스(46)를 관통시켜 하부 지지판(83)에 홈(32)을 형성하여 정착구(33)를 설치하며, 상부(42)의 양측부에 상기 단위 수평,경사,곡선판넬(50,60,70)의 배면(38)과 전면부(39)에 매입된 배면 및 전면수직연결철근(48,47)과 연결될 수 있게 홈(32)을 형성하고 배면 및 전면 수직연결철근(48,47)을 매입설치하며, 배면 상부지지판(82) 끝단과 전면 상부지지판(81) 끝단을 관통하는 상부쉬스(49)를 설치하고 양쪽끝단에 홈(32)을 형성하고 정착구(33)를 설치한 단위 지지판넬(80)로 이루어진 단위 옹벽판넬(30)로서,
상기의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과 이들을 지반위에서 지지하는 단위 지지판넬(80)을 경사면(B)의 지형에 맞게 설치한 후에 이들에 설치된 강연선을 소켓을 이용하여 상호연결하므로서 단면저항력을 증강시킴과 동시에 수직 쉬스내에 삽입된 강연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단위 옹벽판넬(30)을 조립설치하여 옹벽 조립체(20)를 경사면(B)에 조립설치하여 옹벽을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단위 옹벽판넬을 조립하여 옹벽조립체를 조립시공한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단위 수평판넬(50), 단위 경사판넬(60) 및 단위 곡선판넬(70)을 단위 지지판넬(80)위에서 단지, 도로 또는 철도(A)를 설치하기 위하여 성토
부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B)의 지형에 맞게 상기 단위 옹벽판넬(30)을 조립설치하고 상기 단위 옹벽판넬(30)끼리 상하, 좌우에서 고강도 철근 및 강연선을 각각 커플러 및 소켓으로 연결설치하면서 단면력을 저항하고,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여 설치한 옹벽조립체(20)로서 경사면의 상부가 평지일 경우에는 단위 수평판넬(50), 경사면의 상부가 경사지일 경우에는 단위 경사판넬(60)을 설치하고 경사면이 곡선일 경우에는 단위 곡선판넬(70)을 설치하면서 단위 수평(50) 및 경사판넬(60)을 조합하여 경사면의 곡선에 맞게 설치하면서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높이가 경사면의 높이보다 일정높이 높게 설치하여 경사면(B)에서 흘러내리는 토사가 흘러내리지 못하게 한다. 또한,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을 지지하고 있는 단위 지지판넬(80)도 곡선일 경우에는 단위 지지판넬(80)을 작게 제작하여 단위 곡선판넬(70)의 곡선으로 바뀌는 부분에서 분할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위 옹벽판넬(30)끼리 연결 조립할시에는 요홈부(45,44)가 서로 맞물리는 연결부(21)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단위 수평, 경사, 곡선 판넬(50,60,70)의 전면부(39)에 형성된 홈(32)과 연결되어 있는 수직쉬스(46)와 단위 지지판넬(80)에 설치된 수직쉬스(46)내에 단위 지지판넬(80)의 하부 지지판(83)에 형성된 홈(32)에 설치된 정착구(33)에 강연선(34)을 정착하고 강연선(34)을 상기 수직쉬스(46)내에 관통설치하여 상기 단위 수평, 경사, 곡선판넬(50,60,70)의 전면부(39)에 형성된 홈(32)내에 정착구(33)에 정착된 강연선(34)을 인장하여 단위 지지판넬(80)과 견고히 연결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단위 옹벽판넬을 조립설치한 옹벽조립체의 사시도로서,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반위에 기초콘크리트(C)를 타설양생한 후에 단위 지지판넬(80)을 설치하되 단위 지지판넬(80)의 양측부에 형성된 요홈부(45,44)가 서로 맞물려 연결부(21)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배면 상부지지판(82)과 전면 상부 지지판(81)의 일정한 위치에 수직쉬스(46)를 설치하고 인접하여 설치된 단위 지지판넬(80)의 배면 상부지지판(82)과 전면 상부 지지판(81)에 걸쳐지게 강연선(34)을 삽입하여 단위 지지판넬(80)의 중앙에 형성된 홈(32)내에 강연선(34)이 모이도록 하여 이를 소켓(36)을 이용하여 견고히 고정하여 인접한 단위 지지판넬(80)끼리 고정연결되도록 하여 단면저항력을 증강시키고, 상기 단위 수평, 경사, 곡선 판넬(50,60,70)의 전면부(39)에 형성된 홈(32)과 연결되어 있는 수평쉬스(35)내에 단위 지지판넬(80)의 하부 지지판(83)에 형성된 홈(32)에 설치된 정착구(33)에 강연선(34)을 정착하고 상기 수직쉬스(46)내에 강연선(34)을 삽입하여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 경사, 곡선판넬(50,60,70)의 전면부(39)에 형성된 홈(32)내에 설치된 정착구(33)에 정착된 강연선(34)을 인장하여 단위 지지판넬(80)과 견고히 연결하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을 서로 인접하여 설치하고 배면부(38)에 수평쉬스(35)를 설치하고 인접하여 설치된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에 걸쳐지게 강연선(34)을 삽입하여 전면부(39)의 중앙에 설치된 강연선 연결부(37)의 홈(32)내에 인접한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에서 관통되어 나온 강연선(34)을 홈(32)내에 강연선(34)이 모이도록 하여 이를 소켓(36)을 이용하여 견고히 고정 조립설치하여 옹벽의 배면에서 작용하는 토압에 저항하는 단면저항력을 증강시키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단위 옹벽판넬인 단위 수평,경사 및 곡선 판넬의 배면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을 제작하기 위하여 강판으로 제작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거푸집내에 고장력 철근을 배근하고 배면부(38)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부에 수평쉬스(35)를 설치하고 중앙에는 홈(32)을 형성하여 강연선 연결부(37)를 형성하여 추후에 인접한 단위 수평, 경사, 곡선판넬(50,60,70)끼리 강연선(34)으로 연결하고 강연선 연결부(37)내에 설치된 소켓(36)을 이용하여 강연선(34)을 견고히 고정연결하여 옹벽의 배면에서 작용하는 토압에 저항하는 단면저항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이상 배수관(31)을 설치하고,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하부(40)에 홈부(44)를 형성하여 단위 지지판넬(80)의 요부(45)와 견고히 조립된 연결부(21)를 형성하고자 함이며, 또한 하부(40)에 일정길이의 고강도 철근인 배면 수직연결철근(48)을 복수개이상 배치하고 연결부(21)가 형성되는 하부(40)면에 향후에 설치되는 단위 지지판넬(80)에 설치된 배면 수직연결철근(48)과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수직철근 연결부(43)를 형성하는 홈(32)을 설치하고 단위 지지판넬(80)의 배면 수직연결철근(48)과 나사결합을 하여 단단히 고정연결시킨다. 이렇게 고장력 철근을 배근한 후에 배수관 , 쉬스 및 고장력 수직 철근의 배치가 완료되면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을 제작한다.
도 5는 도 2의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배면부에 설치된 강연선 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배면부(38)에 설치된 홈(32)과 연결된 수평쉬스(35)의 배치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수평쉬스(35)는 판넬의 몸체내에서 전면부(39)에서 배면부(38)쪽으로 약간 휘게 설치하여 향후에 수평쉬스(35)내에 강연선(34)을 삽입한 후에 소켓(36)을 이용하여 조이면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이 안쪽으로 약간 모이는 듯하게 하여 견고히 고정조립될 수 있게 하여 단면저항력을 증강시키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전면부(39)와 배면부(38)는 모두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것으로서 양측면에 요홈부(45,44)가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이 조합되어 연결될 때 견고히 연결되게 하기 위함이고, 하부(40)에는 단위 지지판넬(80)과 연결되기 위하여 홈부(44)를 형성하며, 측면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수평쉬스(35)내에 강연선(34)을 삽입하여 인접한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이 서로 강연선(34)에 의해 견고히 연결되도록 하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수관(31)을 복수개 이상 설치하여 옹벽의 배면부(38)에서 발생된 지하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며, 배면부(38)와 전면부(39)에는 복수개 이상의 고장력 철근을 설치하여 단위 지지판넬(80)에 설치된 배면 수직연결철근(48) 및 전면 수직연결철근(47)과 나사이음을 하여 위아래로 견고히 연결고정시키기 위하여 설치한 것으로서 하부(40) 양측면에 이들 철근을 나사이음하기 위한 홈(32)을 형성한다. 또한, 전면부(39)의 일정높이에 홈(32)을 설치하고 홈(32)과 연결된 수직쉬스(46)를 설치하여 단위 지지판넬(80)의 하부 지지판(83)의 홈(32)까지 관통되어 설치된 수직쉬스(46)내에 강연선(34)을 설치하고 하부 지지판(83)에 형성된 홈(32)내에 설치된 정착구(33)에 강연선(34)을 정착한 후에 강연선(34)을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수직쉬스(46)내에 관통시켜 전면부(39)의 홈(32)내로 돌출시킨 뒤 정착구(33)로 정착한 후에 강연선(34)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면서 단위 지지판넬(80)과 견고히 연결하는 것이며, 이러한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홈(32)내에 무수축 몰탈 또는 에폭시등을 이용하여 충전하여 풀림 또는 부식을 방지한다.
상기 전면부(39)와 배면부(38)에 설치된 고장력 전면, 배면 수직연결철근(47,48)은 조립설치하는 초기에 단위 지지판넬(80)위에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을 수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배치한 것이면서 또한 시공완료후에 옹벽의 배면에서 작용하는 토압이 작용할 때 배면부(38)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게되고 전면부(39)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게되어 이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인데 배면 수직연결철근(48)의 개수는 인장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4 ~ 10개의 고장력 철근을 배치하는데 바람직한 철근 개수는 6개이며, 전면 수직연결철근(47)의 개수는 압축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2 ~ 5개의 고장력 철근을 배치하는데 바람직한 철근개수는 배면 수직연결철근 개수의 1/2개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전면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측면에는 요홈부(45,44)가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이 조합되어 연결될 때 견고히 연결되게 하기 위함이고, 하부(40)에는 단위 지지판넬(80)과 연결되기 위하여 홈부(44)를 형성하며, 전면부(39)에는 고장력 철근을 설치하여 단위 지지판넬(80)에 설치된 전면 수직연결철근(47)과 나사이음을 하여 위아래로 견고히 연결고정시키기 위하여 설치한 것으로서 하부(40) 양측면에 이들 철근을 나사이음하기 위한 홈(32)을 형성한다. 또한, 전면부(39)의 일정높이에 홈(32)을 설치하고 홈(32)과 연결된 수직쉬스(46)를 설치하여 단위 지지판넬(80)의 하부 지지판(83)의 홈(32)까지 관통되어 설치된 수직쉬스(46)내에 강연선(34)을 설치하고 하부 지지판(83)에 형성된 홈(32)내에 설치된 정착구(33)에 강연선(34)을 정착한 후에 강연선(34)을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수직쉬스(46)내에 관통시켜 전면부(39)의 홈(32)내로 돌출시킨 뒤 정착구(33)로 정착한 후에 강연선(34)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면서 단위 지지판넬(80)과 견고히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전면부(39)에 설치된 고장력의 전면 수직연결철근(47)은 조립설치하는 초기에 단위 지지판넬(80)위에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을 수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배치한 것이면서 또한 시공 완료후에 옹벽의 배면에서 작용하는 토압이 작용할 때 전면부(39)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게되어 이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데 전면 수직연결철근(47)의 개수는 압축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2 ~ 5개의 고장력 철근을 배치하는데 바람직한 철근개수는 배면 수직연결철근의 1/2개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단위 옹벽판넬인 단위 곡선판넬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내지 도 7에서 언급한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에 배치하는 과정은 동일하고 다만 곡선부을 이루고 있도록 일정한 접선각(71)을 갖게 한 것이 다르며, 이렇게 제작된 단위 곡선판넬(70)은 직선에서 곡선으로 바뀌는 경사면이 있을 경우 곡선면에 따라 단위 곡선판넬(70)과 수평 또는 경사판넬((50,60)을 조합배치하여 경사면의 곡선을 이루도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선각(71)은 20 ~ 40도로서 바람직한 각은 30도이다. 접선각(71)이 30도이면 내부에 끼인 각은 150도가 되므로 급하게 돌아가는 곡선부인 경우에는 상기 단위 곡선판넬(70)을 연이어 2개 설치하고 양쪽에 단위 수평 또는 경사 판넬(50,60)을 설치하면 거의 90도의 직각 곡선부에도 적용할 수 있는등 곡선면의 형태에따라 단위 곡선판넬(70)과 단위 수평, 경사판넬(50,60)을 조합연결하여 곡선옹벽을 설치하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단위 옹벽판넬인 단위 경사판넬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내지 도 7에서 언급하고 있는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에 배치하는 과정은 동일하고 다만 상부(42)가 경사부(61)를 이루고 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이렇게 제작된 단위 경사판넬(60)은 경사면(B)의 상부가 일정하게 경사를 이루고 있으면 단위 경사판넬(60)을 사용하여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설치하면 경사면(B)의 경사를 따라 유연하게 설치하게되어 미관을 좋게하면서 경사면(B)의 단차를 보호할 수 있게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단위 수평, 경사 ,곡선 및 지지판넬(50,60,70,80)인 단위옹벽판넬(30)을 공장에서 제작할 시에는 이들의 좌우측에 설치된 각각의 단위 옹벽판넬(30)과 긴밀히 연결부(21)를 형성하기 위하여 강재로 제작된 거푸집에 요홈부(45,44)를 형성하여 고장력 철근을 배치하고 필요한 각종 자재를 배치한 후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제작하면 양측면에 요홈부(45,44)가 형성되어 제작되므로 이들의 각각 단위 옹벽판넬(30)을 최외측에 설치하게되면 일측만 인접된 단위 옹벽판넬(30)과 연결되고 타측은 요홈부(45,44)가 형성된 그대로 외부에 설치되게 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외측에 설치될 각각의 단위 옹벽판넬(30)의 강재 거푸집에 일정한 크기의 강재를 요홈부(45,44)가 형성된 부분에 삽입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제작하면 요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평평한 측면이 형성된 단위 옹벽판넬(30)을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과 11은 본 고안의 단위 지지판넬을 보여주는 측면도와 평면도로서, 강판으로 제작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거푸집내에 고장력 철근을 배근하고 양측부에는 요홈부(45,44)가 형성되도록 하고 배면 상부 지지판(82)과 전면 상부지지판(81)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수평쉬스(35)를 매입하며, 중앙에 홈(32)을 형성하여 강연선 연결부(37)를 형성하여 인접한 단위 지지판넬(80)의 수평쉬스(35)내에 삽입된 강연선(34)이 홈(32)내로 모이게 하여 소켓(36)을 이용하여 연결고정하도록 하여 단면저항력을 증강시키고, 상부(42)에 요부(45)를 형성하여 상부(42)에 설치되는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하부(40)의 홈부(44)와 조립설치되도록 하며, 상부(42)의 일측에 상기 단위 수평, 경사, 곡선판넬(50,60,70)의 몸체부에 매입된 수직쉬스(46)내에 삽입된 강연선(34)이 관통연결될 수 있게 수직쉬스(46)를 하부지지판(83)까지 관통시커 홈(32)을 형성하여 정착구(33)를 설치하여 수직쉬스(46)에 삽입된 강연선(34)이 하부 지지판(83)의 정착구(33)에 정착하고 단위 지지판넬(80)의 상부(42)에 설치된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전면부(39)에 매입된 수직쉬스(46)내에 삽입되어 홈(32)의 정착구(33)에 정착된 후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정착시키며, 상부(42)의 양측부에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배면(38)과 전면부(39)에 매입된 배면 및 전면수직연결철근(48,47)과 연결될 수 있게 홈(32)을 형성하고 배면 및 전면 수직연결철근(48,47)을 매입설치하여 나사이음을 하며, 배면 상부지지판(82) 끝단과 전면 상부지지판(81) 끝단을 관통하는 상부쉬스(49)를 설치하고 양쪽끝단에 홈(32)을 형성하고 정착구(33)를 설치하여 수평쉬스(35)내에 강연선(34)을 관통시킨 후에 일측의 정착구(33)에 정착하고 타측의 정착구(33)에서 강연선(34)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단위 지지판넬(8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단위 옹벽판넬인 단위 수평,경사 및 곡선판넬과 단위 지지판넬이 서로 조립된 상태를 측면에서 보여준 도면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단위 옹벽판넬을 서로 조립설치한 것을 정면에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의 도면을 설명하면서 이들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을 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다만, 단위 옹벽판넬(30)을 조립설치하여 옹벽 조립체(20)를 조립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옹벽을 조립시공하고자 하는 지반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지반위에 기초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기초 콘크리트(C) 위에 공장에서 제작된 단위 지지판넬(80)을 조립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위 지지판넬(80)의 하부 지지판(82)의 홈(32)과 연결된 수직쉬스(46)내에 강연선(34)을 삽입하여 상부(42)로 연장하고, 단위 지지판넬(80)에 인접하여 설치된 단위 지지판넬(80)과 전면 및 배면 상부지지판(81,82)에 설치된 수평쉬스(35)에 강연선(34)을 삽입하여 강연선 연결부(37)에 모여진 양측의 강연선(34)을 소켓(36)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조립연결하여 단면저항력을 증강시키는 단계;
상기 단위 지지판넬(80)위에 경사면(B)의 지형에 맞게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을 요홈부(45,44)에 맞게 설치하여 연결부(21)를 형성하면서 배면과 전면부(38,39)에 설치된 수직연결철근(48,47)을 단위 지지판넬(80)의 상부(42)에 설치된 배면과 전면부에 설치된 수직연결철근(48,47)과 커플러를 이용하여 나사이음을 홈(32)내에서 하면서 하부 지지판(83)에 형성된 홈(32)과 연결되어 설치된 수직쉬스(46)내에 강연선(34)을 상부(42)에 설치된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 판넬(50,60,70)의 수직쉬스(46)내에 관통시켜 전면부(39)에 형성된 홈(32)에 설치된 정착구(33)에 강연선(34)을 정착하는 단계;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양측부에 설치된 수평쉬스(35)에 강연선(34)을 삽입하고 전면부(39)에 형성된 홈(32)에 모인 강연선(34)을 소켓(36)으로 조여 인접한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끼리 견고하게 연결하여 옹벽조립체가 옹벽의 배면에서 작용하는 토압에 저항하는 단면저항력을 증강시키는 단계;
상기 단위 지지판넬(80)의 배면 상부지지판(82) 끝단과 전면 상부지지판(81) 끝단을 관통하는 상부쉬스(49)를 설치하고 양쪽끝단에 홈(32)을 형성하고 정착구(33)를 설치하여 상부쉬스(49)내에 강연선(34)을 관통시킨 후에 일측의 정착구(33)에 정착하고 타측의 정착구(33)에서 강연선(34)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정착하여 단위 지지판넬(8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의 전면부(39)의 홈(32)내에 정착된 강연선(34)을 긴장하여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50,60,70)과 단위 지지판넬(80)에 형성된 홈부(44)와 연결부(21)에 무수축 콘크리트 또는 에폭시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단계를 거쳐 경사면(B)에 대한 옹벽조립체를 조립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단위 옹벽판넬인 단위 수평, 경사, 곡선, 지지판넬을 현장에 조립설치한 후에 이들에 설치된 강연선을 한곳에 모이게 하여 소켓으로 조여 견고히 조립설치함과 동시에 단위 수평, 경사, 곡선판넬과 하부 지지판넬에 근입된 전배면 수직연결철근을 커플러로 연결하여 단면저항력을 높이고, 각각의 단위 옹벽판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단면력을 증강시켜 설계된 옹벽의 저항력을 갖게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작업을 동시에 하는 시공방법과 상기 각각의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강연선을 상호 소켓으로만 연결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을 하지 않거나 또는 프리스트레스만을 도입하거나, 철근 배근만하여 단위 수평, 경사, 곡선판넬 및단위 지지판넬을 상호 연결조립하지 않는 시공방법을 경사면의 절개지의 높이에 따라 설치되는 옹벽의 높이등 현장여건에 따라 상기 시공방법을 선택적으로 선정하여 시공할 수 있음을 아울러 밝혀둔다.
본 고안은 공장에서 품질관리를 통하여 제작된 단위 옹벽판넬을 경사면의 지형에 맞게 조립설치한 후에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 연결하여 단면저항력을 높이고 쉬스내에 삽입된 강연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프리스트레스트 단위 옹벽판넬을 설치하면서 인접한 단위 옹벽판넬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조립하여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에 저항하도록 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므로 단면을 적게 할 수 있어 소요되는 철근과 콘크리트의 양을 줄일 수 있고, 경사면의 지형에 맞게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을 이용하여 곡선반경에 따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며, 외부의 온도의 영향을 받음이 없이 옹벽설치를 할 수 있어 동절기 및 혹서기에도 공사를 할 수 있는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옹벽시공방법인 것이다.

Claims (8)

  1. 성토 및 절삭부의 경사면에 대한 옹벽을 설치함에 있어서,
    지반위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위에 단위 지지판넬을 설치한 후에 경사면의 지형에 따라 상기 단위 지지판넬 위에 단위 수평판넬, 단위 경사 판넬 및 단위 곡선판넬인 단위 옹벽판넬을 선택적으로 조립설치하여 옹벽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에 일정개수의 배수관을 설치하고, 전면부와 배면부가 일정한 경사를 형성하며, 양측부에는 요홈부가 하부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전면부에는 일정개수의 고장력 철근으로 일정개수 이상의 전면 수직연결철근을 설치하여 단위 지지판넬에 설치된 전면수직연결철근과 나사이음을 하여 위아래로 견고히 연결고정시키기 위하여 설치하고, 하부 양측면에 이들 철근을 나사이음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며, 전면부의 일정높이에 홈을 설치하고 홈과 연결된 수직쉬스를 설치하여 단위 지지판넬의 하부 지지판의 홈까지 관통되어 설치된 수직쉬스내에 강연선을 설치하고 하부 지지판에 형성된 홈내에 설치된 정착구에 강연선을 정착한 후에 강연선을 상기 단위 수평 및 경사판넬의 수직쉬스내에 관통시켜 전면부의 홈내로 돌출시킨 뒤 정착구로 정착한 후에 강연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단위 수평 및 경사판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배면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부에 수평쉬스를 설치하고 중앙에는 홈을 형성하여 강연선 연결부를 형성하여 추후에 인접한 단위 수평, 경사, 곡선판넬끼리 강연선으로 연결하고 강연선 연결부내에 설치된 소켓을 이용하여 강연선을 견고히 고정연결하여 단면저항력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설치하고, 하부에 일정길이의 고강도 철근인 배면 수직연결철근을 복수개이상 배치하고 연결부가 형성되는 하부면에 향후에 설치되는 단위 지지판넬에 설치된 배면 수직연결철근과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수직철근 연결부를 형성하는 홈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5.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수직연결철근과 배면 수직연결철근의 설치개수는 각각 2 ~ 5개와 4 ~ 10개로 고장력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경사판넬은 경사면의 상부 지형이 경사를 이룬 곳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단위 경사판넬의 상부가 일정한 경사의 경사부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곡선판넬은 곡선부를 이루는 접선각이 20 ~ 40도로서 경사면의 곡선반경에 따라 상기 단위 수평, 경사판넬과 조합하여 지형에 맞게 곡선부를 이루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지지판넬은 양측부에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배면 상부지지판과 전면 상부지지판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수평쉬스를 매입하며, 중앙에 홈을 형성하여 강연선 연결부를 형성하여 인접한 단위 지지판넬의 수평쉬스내에 삽입된 강연선이 홈내로 모이게 하여 소켓을 이용하여 연결고정하도록 하고, 상부에 요부를 형성하여 상부에 설치되는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하부의 홈부와 조립설치되도록 하며, 상부의 일측에 상기 단위 수평, 경사, 곡선판넬의 몸체부에 매입된 수직쉬스내에 삽입된 강연선이 관통연결될 수 있게 수직쉬스를 하부 지지판까지 관통시커 홈을 형성하여 정착구를 설치하여 수직쉬스에 삽입된 강연선이 하부지지판의 정착구에 정착하고 단위 지지판넬의 상부에 설치된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전면부에 매입된 수직쉬스내에 삽입되어 홈의 정착구에 정착된 후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한 것이며, 상부의 양측부에 상기 단위 수평, 경사 및 곡선판넬의 배면과 전면부에 매입된 배면 및 전면수직연결철근과 연결될 수 있게 홈을 형성하고 배면 및 전면 수직연결철근을 매입설치하여 상기 수직연결철근을 커플러를 이용하여 나사이음을 하며, 배면 상부지지판 끝단과 전면 상부지지판 끝단을 관통하는 상부쉬스를 설치하고 양쪽끝단에 홈을 형성하고 정착구를 설치하여 상부쉬스내에 강연선을 관통시킨 후에 일측의 정착구에 정착하고 타측의 정착구에서 강연선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단위 지지판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KR20-2003-0010137U 2003-04-03 2003-04-03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KR200322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137U KR200322968Y1 (ko) 2003-04-03 2003-04-03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137U KR200322968Y1 (ko) 2003-04-03 2003-04-03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988A Division KR100563787B1 (ko) 2003-04-03 2003-04-03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및 이의조립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968Y1 true KR200322968Y1 (ko) 2003-08-14

Family

ID=4933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137U KR200322968Y1 (ko) 2003-04-03 2003-04-03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9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847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KR100986207B1 (ko) 티형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WO1997047825A1 (en) Composite concrete metal encased stiffeners for metal plate arch-type structures
CN103249893B (zh) 用于桥梁的水泥板结构
KR100800308B1 (ko) 캠버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단위프리스트레스 프리캐스트박스를 종방향으로 일체연결설치한 캠버프리스트레스 프리캐스트박스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563787B1 (ko)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및 이의조립시공방법
KR100644745B1 (ko) 피씨 기둥-보 접합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82599B1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1329443B1 (ko)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연속화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697767B1 (ko) 커플러를 갖는 콘크리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KR20090008070A (ko) 조립식 교량의 상부 구조체
WO2006118528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a floor structure of steel and concrete
KR200322968Y1 (ko)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KR100653865B1 (ko)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조립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29717Y1 (ko) 프리캐스트ㅠ자형슬래브 또는 프리캐스트 ∩자형보를상하조립설치하여 캠버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단위프리스트레스프리캐스트박스를 종방향으로일체연결설치한 캠버프리스트레스프리캐스트박스.
KR100707136B1 (ko) 아치형 프리캐스트판넬을 이용하여 아치형슬래브를 설치한 아치형 슬래브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20394Y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100417487B1 (ko) 쇄석 채움 옹벽
KR100964721B1 (ko) 도로 확장 블록 시공방법
KR101322420B1 (ko) 프리캐스트 블록 벽체, 프리캐스트 블록 벽체를 이용한 내민식 슬래브 교량 및 이의 공법
KR100631760B1 (ko) 금속판아치형구조물용복합콘크리트금속내장형스티프너
JP2005054493A (ja) プレキャスト組立暗渠ブロック工法
KR200212405Y1 (ko) 아치형 통로 구축용 프리캐스트 부재
KR100380907B1 (ko) 아치형 통로 구축용 프리캐스트 부재와 이것을 이용한아치형 통로 구축시공방법
KR20100120628A (ko) 조립식 줄눈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