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357B1 -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 - Google Patents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357B1
KR102269357B1 KR1020200182757A KR20200182757A KR102269357B1 KR 102269357 B1 KR102269357 B1 KR 102269357B1 KR 1020200182757 A KR1020200182757 A KR 1020200182757A KR 20200182757 A KR20200182757 A KR 20200182757A KR 102269357 B1 KR102269357 B1 KR 102269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wall
predetermined
upper plate
pre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혁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주) 대현이엔씨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현이엔씨,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 대현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182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4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unnels or galle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ortals, day-light attenuation at tunnel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구조물(PC 구조물)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빠르고 쉽게 시공할 수 있는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은, 상부거더가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소정 길이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종거더부;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상기 종거더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횡거더부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부에는, 상기 외측벽체 쪽에 위치되는 일단이 상향 만곡지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의 상면의 완충재의 유실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만곡부와 상기 복수 개의 횡거더부를 통해 한옥의 처마가 가지는 외형적인 심미감이 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Rock Shed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이나 절벽 등이 인접한 도로상에 설치되어 암석 등의 낙하물이 도로로 떨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이나 절벽을 깎아서 만든 도로의 경우 산이나 절벽에서 떨어지는 암석 등의 낙하물을 차단하기 위한 피암 구조물이 설치되는데, 종래의 피암 구조물은 아치 형태의 프레임을 현장에 설치한 다음 프레임을 기준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소정 기간 양생하여 만들어지게 되며, 이 때문에 피암 구조물을 시공하는 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장 등에서 미리 제작된 PC구조물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의 피암 구조물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예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567418호의 프리캐스트부재로 제작된 피암 터널 및 그 시공방법(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피암 터널은, 저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경사면 쪽으로 경사져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체로서, 상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상단고정부 및 상단 내측 표면에 내측압축재의 하단이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상단 지지홈을 포함하는 후방경사벽체; 상기 경사면과 후방경사벽체 배면 사이에 종방향으로 타설되어 종방향으로 설치된 후방경사벽체를 연속화시키는 뒷채움콘크리트; 상기 걸림턱에 몸통부 후방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이 삽입되어 후방경사벽체 상단에 안착되며, 후미 저면이 뒷채움콘크리트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몸통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상판구조체; 상기 후방경사벽체의 상단지지홈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이 상판구조체의 상단 저면에 형성된 저면 지지홈에 고정되어 상판구조체의 중간하중지지점을 형성시키는 내측압축재 및 상기 경사면과 상판구조체 상부에 형성된 성토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피암 터널은 내측압축재가 후방경사벽체와 상판구조체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판구조체가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이 경우 후방경사벽체와 상판구조체에 내측압축재의 양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1개의 내측압축재당 복수 개의 체결부재가 체결되어야 하므로 내측압축재를 설치하는 데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판구조체는 내측압축재를 통해 일단이 지지되는 외팔보의 구조이기 때문에 상판구조체의 자유단 쪽에 낙하물이 누적해서 쌓이게 되면 내측압축재에 부하가 집중되면서 상판구조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구조적으로 강건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1567418 B1 (2015. 11. 03.) KR 10-1015610 B1 (2011. 02. 10.) KR 10-1065458 B1 (2011. 09. 08.) KR 10-1017295 B1 (2011. 02. 17.) KR 10-0436781 B1 (2004. 06. 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피암 구조물 및 시공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구조물(PC 구조물)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빠르고 쉽게 시공할 수 있는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은, 상부거더가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소정 길이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종거더부;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상기 종거더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횡거더부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부에는, 상기 외측벽체 쪽에 위치되는 일단이 상향 만곡지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의 상면의 완충재의 유실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만곡부와 상기 복수 개의 횡거더부를 통해 한옥의 처마가 가지는 외형적인 심미감이 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복수 개의 횡거더부에 소정 지름을 가지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소정 길이를 가지는 연결핀 또는 강선이 관통 설치되어, 인접하여 위치되는 또 다른 상기 상부거더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판부의 상부 양측에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용홈의 개방된 일측면에는, 소정 지름의 설치공이 형성되는 결합판이 설치되며, 인접하여 설치되는 2개의 상기 상부거더가 상기 수용홈을 통해 상기 결합판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통해 상호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상판부에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트러스트 구조물이 내장되고, 현장에서 상기 트러스트 구조물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 소정 두께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복수 개의 상부거더가 서로 고정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외측벽체의 상면에 소정 길이 상향 돌출되도록 복수 개의 강봉 또는 철근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거더에는, 저면에 상기 복수 개의 강봉 또는 철근이 관통 삽입되는 소정 지름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복수 개의 강봉 또는 철근이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는 부분을 커버하도록 무수축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소정 깊이의 충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체는, "ㅛ"자 단면 모양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기초부; 및 상기 기초부에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배흘림기둥 또는 역 민흘림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상부거더가 연결핀(또는 강선)이나 체결부재를 통해 현장에서 조립되거나 또는 상면으로 노출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에 콘크리트가 현장 타설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부거더의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구조적으로 강건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측벽체의 기둥 상단에 구비되는 강봉 또는 철근이 상부거더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다음 상부거더의 위쪽에서 강봉 또는 철근에 연결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의 철근이 배근되고, 이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복수 개의 상부거더와 외측벽체가 상호 일체로 강건하게 결합되므로 피암 구조물에 강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부거더와 외측벽체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부거더의 일단에 형성되는 만곡부, 반원 모양의 횡거더부 및 배흘림 기둥부의 조합으로 인해 한옥의 전통적인 처마가 가지는 외형적인 심미감이 연출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거더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상부거더가 조립핀에 의해 연결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거더의 제2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에 따른 상부거더가 조립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거더의 제3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에 따른 상부거더가 연결 시공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거더가 내측벽체에 조립되는 제1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거더가 내측벽체에 조립되는 제2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측벽체의 제1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도 11에 따른 외측벽체가 상부거더와 조립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외측벽체의 제2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측벽체의 제3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외측벽체의 기둥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공장 등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구조물(PC 구조물)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빠르고 쉽게 시공할 수 있는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거더(10), 내측벽체(20) 및 외측벽체(30)를 포함한다.
(1) 상부거더(10)
상부거더(10)는 후술되는 내측벽체(20)와 외측벽체(30)의 상단을 연결하면서 도로위로 낙석 등이 떨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상부거더(10)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거더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상판부(11)와, 상기 상판부(11)의 저면에 소정 길이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종거더부(12)와, 상기 상판부(11)의 저면에 종거더부(1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횡거더부(13) 및 상기 상판부(11)의 일단에 형성되면서 내측벽체(20)와 조립되는 수직조립부(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판부(11)는 내부에 격자 형태로 철근이 배근되거나 또는 트러스트 구조물이 내장되고, 이에 의해 낙석 등에 의한 큰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판부(11)의 일단(후술되는 외측벽체(30) 쪽에 위치되는 단부)에는 소정 폭이 상향 만곡지게 형성되는 만곡부(11A)가 형성되고, 이때 만곡부(11A)는 상판부(11)의 상면에 적층되는 모래 등의 완충재가 쉽게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고, 이와 동시에 만곡부(11A)와 횡거더부(13)의 조합으로 인해 상부거더(10)가 한옥의 처마가 가지는 외형적인 심미감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부거더(10)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부거더(10)를 서로 조립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부거더(10)가 조립되는 구조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1-1) 제1 실시예
상부거더(10)의 제1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거더(10)의 횡거더부(13)에 소정 지름을 가지는 관통공(13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3A)에 소정 길이를 가지는 연결핀(P) 또는 강선이 각각 삽입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부거더(10)가 나란하게 배치된 다음, 관통공(13A)에 연결핀(P) 또는 강선이 삽입 설치되고, 이를 통해 인접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상부거더(10)가 연결핀(P) 또는 강선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된다.
(1-2) 제2 실시예
상부거더(10)의 제2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1)의 상부 양측에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수용홈(11B)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B)의 개방된 일측면에 결합판(15)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팝판(15)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구멍(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상부거더(10)가 나란하게 배치되면, 양측의 수용홈(11B)이 서로 마주하여 위치되게 되고, 이에 의해 양측 결합판(15)의 구멍을 차례대로 관통하도록 볼트(B)를 설치한 다음 상기 볼트(B)에 너트(N)를 체결하는 것으로 인접한 한 쌍의 상부거더(10)가 강건하게 조립되게 된다.
(1-3) 제3 실시예
상부거더(10)의 제3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에서 상부거더(10)가 제작될 때, 상판부(11)의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트러스트 구조물(T)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 현장에서 복수 개의 상부거더(10)가 내, 외측벽체(20, 30)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밀착 설치된 다음, 상기 트러스트 구조물(T)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판부(11)의 상면에 소정 두께로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이를 통해 복수 개의 상부거더(10)가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이에 의해 상부거더(10)를 형성하기 위해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량을 줄일 수 있고, 콘크리트 타설량의 감소로 인해 양생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게 되며,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상부거더(10)를 강건하게 일체화 시킬 수 있게 된다.
(2) 내측벽체(20)
내측벽체(20)는 도로 일측의 절벽 또는 절취면을 커버하도록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내측벽체(20)는 현장 상황에 맞추어 거푸집이 설치되고, 이러한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다음 소정 기간 양생되어 구성되거나 또는 소정 폭 단위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벽체로 이루어진 다음 현장에서 조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측벽체(20)는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일측이 "ㄴ"자 또는 역 "ㄴ"자 모양이 되도록 소정 폭의 단차부(22)가 형성되고, 이러한 단차부(22)에 상부거더(10)의 조립부(14)가 밀착되도록 안착된 다음 앵커볼트 등의 체결부재(21A)를 통해 상호 조립되게 된다.
이를 위해 조립부(14)의 일측에는 내측벽체(2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체결부재(21A)의 일단이 관통 설치되는 소정 깊이의 설치홈(14A)이 형성되고, 상판부(11)의 내측과 조립부(14)를 차례대로 관통하도록 소정 길이의 앵커볼트(도면부호 없음)가 내장된 다음, 상기 전산볼트의 일단에 커플러(14B)가 나사 결합되어 조립부(14)의 일측으로 상기 커플러(14B)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벽체(20)의 일측(조립부(14)와 마주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는 설치홈(14A)과 커플러(14B)의 위치에 맞추어 소정 깊이의 설치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21)에 체결부재(21A)가 관통 설치되는 소정 지름의 관통공(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정 길이를 가지는 체결부재(21A)가 내측벽체(20)의 설치홈(21)과 조립부(14)의 설치홈(14A)을 차례대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다음 체결부재(21A)의 양단에 너트가 체결되어 결합되고, 또 다른 설치홈(21)에 설치되는 체결부재(21A)는 일단이 조립부(14)에 내장된 커플러(14B)에 나사 결합된 다음 타단에 너트 등이 체결되어 고정되며, 이에 의해 상부거더(10)와 내측벽체(20)가 상호 강건하게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부거더(10)의 조립부(14)와 내측벽체(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는 모르타르(M)가 충전되고, 이를 통해 상부거더(10)와 내측벽체(20)가 일체로 결합되는데, 이때 내측벽체(20)의 단차부(22)에는 소정 크기의 탄성블록(23)이 설치되고, 이러한 탄성블록(23)을 통해 상부거더(10)가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이에 의해 상부거더(10) 쪽으로 낙석 등이 떨어져 발생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여 내측벽체(20) 쪽으로 외력이 전달되는 것이 감소되도록 한다.
한편, 위에서는 내측벽체(20)의 상부에 단차부(22)가 형성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체(20)의 단차부(22)에 안착되는 상부거더(10)의 조립부(14)에 "ㄱ"자 또는 역 "ㄱ"자 모양의 단차(도면부호 없음)가 더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부거더(10)와 내측벽체(20)의 결합면이 지그재그 모양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 외측벽체(30)
외측벽체(30)는 내측벽체(20)와 마주하여 도로의 타측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벽체(20)와 달리 외부 채광을 위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기둥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벽체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개구부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외측벽체(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일측면을 따라 "ㅛ"자 단면 모양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기초부(31)와, 상기 기초부(31)에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기둥부(32) 및 상기 기초부(31)와 상기 기둥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둥부(32)는 상하단의 지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운데 부분의 지름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배흘림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둥부(32)의 상부에는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강봉(32A) 또는 철근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강봉(32A) 또는 철근은 일단이 기둥부(32)의 상부 외측으로 소정 길이 상향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32)의 강봉(32A) 또는 철근이 상부거더(10)의 상판부(11)에 형성되는 충전홈(11C)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다음, 상부거더(10)의 위쪽에서 복수 개의 상부거더(10)와 일체화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철근이 배근되고, 이후 충전홈(11C)에 무수축콘크리트가 충전되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1)의 상면에 소정 길이를 가지는 블록모양의 기둥연결거더(11D)가 형성되도록 하며, 이에 의해 상부거더(10)와 기둥부(32)가 구조적으로 강건하게 결합되게 된다.
한편, 연결부는 기초부(31)와 기둥부(32)를 연결하는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고, 따라서 이하에서는 연결부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3-1) 제1 실시예
연결부의 제1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부(31)의 상면에 길이를 따라 설치되는 "H"자 단면 모양을 가지는 기초빔(33)과, 상기 기초빔(33)의 상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서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수직 설치되는 복수 개의 힌지결합부(33A)와, 상기 힌지결합부(33A)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결합핀(33B)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기둥부(32)의 저면에는 힌지결합부(33A)가 삽입되는 소정 지름의 삽입공(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힌지결합공(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기초부(31) 위에 기초빔(33)이 설치된 다음 힌지결합부(33A)가 기둥부(32)의 저면의 힌지결합공에 삽입되도록 기둥부(32)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후 기둥부(32)의 외측에서 복수 개의 결합핀(33B)이 삽입되어 기둥부(32)와 힌지결합부(33A)가 서로 연결되게 된다.
(3-2) 제2 실시예
연결부의 제2 실시예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32)의 하부 내측에 "X"자 모양으로 철근(34)이 복수 열로 설치되어 콘크리트힌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기초부(31) 위에 기둥부(32)가 직접 수직으로 설치되게 되므로 기둥부(32)의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기둥부(32)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기초부(31)와 맞닿는 기둥부(32)의 하단 부분이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3-3) 제3 실시예
연결부의 제3 실시예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부(31)에 앵커볼트 또는 전산볼트 등 체결부재(35)의 하단이 고정되도록 복수 개 설치되고, 이러한 체결부재(35)의 상단이 기둥부(32)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다음 너트 등이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기둥부(32)의 하단 부분은 체결부재(35)가 수직으로 관통되어 너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역 "T"자 단면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기초부(31)의 상면과 기둥부(32)의 저면 사이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롤러(R)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기초부(31)와 기둥부(32)가 복수 개의 체결부재(35)를 통해 결합되고, 외력이 작용하면 롤러(R)를 통해 기둥부(32)가 소정 범위 내에서 유동되면서 외력이 흡수되게 된다.
한편, 위에서는 기둥부(32)가 배흘림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민흘림기둥 모양 또는 민흘림기둥 모양으로 변경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거더(10)의 상판부(11)는 일단이 상향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부(11A)가 형성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더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부(11A)에 수직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막음판(40)이 더 설치되어 상부거더(10)의 상면의 완충재(모래 등)가 쉽게 유실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상부거더가 연결핀(또는 강선)이나 체결부재를 통해 현장에서 조립되거나 또는 상면으로 노출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에 콘크리트가 현장 타설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벽체의 기둥 상단에 구비되는 강봉 또는 철근이 상부거더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다음 상부거더의 위쪽에서 강봉 또는 철근에 연결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의 철근이 배근되며, 이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복수 개의 상부거더와 외측벽체가 상호 일체로 강건하게 결합되므로 피암 구조물에 강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부거더와 외측벽체가 따로 분리되거나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부거더의 일단에 형성되는 만곡부, 반원 모양의 횡거더부 및 배흘림 기둥부의 조합으로 인해 한옥의 전통적인 처마가 가지는 외형적인 심미감이 연출되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0: 상부거더 11: 상판부
11A: 만곡부 11B: 수용홈
11C: 충전홈 11D: 기둥연결거더
12: 종거더부 13: 횡거더부
13A: 관통공 14: 조립부
14A: 설치홈 14B: 커플러
15: 결합판 20: 내측벽체
21: 설치홈 21A: 체결부재
22: 단차부 23: 탄성블록
30: 외측벽체 31: 기초부
32: 기둥부 32A: 강봉
33: 기초빔 33A: 힌지결합부
33B: 결합핀 34: 철근
35: 체결부재 40: 막음판
B: 볼트 C: 콘크리트
M: 모르타르 N: 너트
P: 연결핀 R: 롤러
T: 트러스트 구조물

Claims (5)

  1. 도로 일측의 절벽 또는 절취면을 커버하도록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내측벽체(20)와, 상기 내측벽체(20)와 마주하여 상기 도로의 타측을 따라 설치되는 외측벽체(30) 및 상기 내측벽체(20)와 상기 외측벽체(30)의 상단을 연결하여 상기 도로를 커버하는 상부거더(10)를 포함하는 피암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상부거더(10)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상판부(11);
    상기 상판부(11)의 저면에 소정 길이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종거더부(12);
    상기 상판부(11)의 저면에 상기 종거더부(1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횡거더부(13);
    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부(11)에는,
    상기 외측벽체(30) 쪽에 위치되는 일단이 상향 만곡지는 만곡부(11A)가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11)의 상면의 완충재의 유실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만곡부(11A)와 상기 복수 개의 횡거더부(13)를 통해 한옥의 처마가 가지는 외형적인 심미감이 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측벽체(30)의 상면에는,
    소정 길이 상향 돌출되도록 복수 개의 강봉(32A) 또는 철근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거더(10)에는,
    저면에 상기 복수 개의 강봉(32A) 또는 철근이 관통 삽입되는 소정 지름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상부거더(10)의 상면으로 상기 복수 개의 강봉(32A) 또는 철근이 상향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거더(10)의 위쪽에서 수평 방향으로 철근이 배근된 다음, 소정 깊이의 충전홈(12C)에 무수축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상기 상판부(11)의 상면에 소정 길이를 가지는 블록모양의 기둥연결거더(11D)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체(30)는,
    "ㅛ"자 단면 모양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기초부(31); 및
    상기 기초부(31)에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기둥부(32);
    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32)는,
    배흘림기둥 또는 역 민흘림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횡거더부(13)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관통공(13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3A)을 통해 소정 길이를 가지는 연결핀(P) 또는 강선이 관통 설치되어, 인접하여 위치되는 또 다른 상기 상부거더(10)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11)의 상부 양측에는,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수용홈(11B)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용홈(11B)의 개방된 일측면에는,
    소정 지름의 설치공이 형성되는 결합판(15)이 설치되며,
    인접하여 설치되는 2개의 상기 상부거더(10)가 상기 수용홈(11B)을 통해 상기 결합판(15)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볼트(B)와 상기 볼트(B)에 체결되는 너트(N)를 통해 상호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11)에는,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트러스트 구조물(T)이 내장되고,
    현장에서 상기 트러스트 구조물(T)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상판부(11)의 상면에 소정 두께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복수 개의 상부거더(10)가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
  5. 삭제
KR1020200182757A 2020-12-24 2020-12-24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 KR102269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757A KR102269357B1 (ko) 2020-12-24 2020-12-24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757A KR102269357B1 (ko) 2020-12-24 2020-12-24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357B1 true KR102269357B1 (ko) 2021-06-28

Family

ID=7660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757A KR102269357B1 (ko) 2020-12-24 2020-12-24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35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7137A (ja) * 1998-03-04 1999-09-14 Nippon Samikon Kk 柱と桁の結合構造
KR100436781B1 (ko) 2002-05-28 2004-06-23 김동수 피암터널용 새들구조물및 이를 이용한 터널시공방법
JP2005336837A (ja) * 2004-05-26 2005-12-08 Nihon Samicon Co Ltd 保護構造物
KR101015610B1 (ko) 2010-05-13 2011-02-17 김광숙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경사판 앵커부재를 구비한 터널 구조물
KR101017295B1 (ko) 2008-12-19 2011-02-28 (주)미래기술단 피암터널의 기능을 가진 하이브리드형 사면붕괴 안전구조물
KR101065458B1 (ko) 2009-06-09 2011-09-19 (주)서현컨스텍 절취사면 보호구조물 겸용의 피암터널, 피암터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12077471A (ja) * 2010-09-30 2012-04-19 Yokogawa Koji Kk プレキャスト部材の継手構造とコンクリート製プレキャスト部材
KR20130001577U (ko) * 2011-08-30 2013-03-08 김태섭 가변형 지붕 루버시스템
KR101567418B1 (ko) 2015-06-11 2015-11-11 (주)서현컨스텍 프리캐스트부재로 제작된 피암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94672A (ko) * 2017-02-16 2018-08-24 주식회사 청진이엔씨 부착 및 전단 성능이 강화된 구조물용 피씨 데크 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7137A (ja) * 1998-03-04 1999-09-14 Nippon Samikon Kk 柱と桁の結合構造
KR100436781B1 (ko) 2002-05-28 2004-06-23 김동수 피암터널용 새들구조물및 이를 이용한 터널시공방법
JP2005336837A (ja) * 2004-05-26 2005-12-08 Nihon Samicon Co Ltd 保護構造物
KR101017295B1 (ko) 2008-12-19 2011-02-28 (주)미래기술단 피암터널의 기능을 가진 하이브리드형 사면붕괴 안전구조물
KR101065458B1 (ko) 2009-06-09 2011-09-19 (주)서현컨스텍 절취사면 보호구조물 겸용의 피암터널, 피암터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15610B1 (ko) 2010-05-13 2011-02-17 김광숙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경사판 앵커부재를 구비한 터널 구조물
JP2012077471A (ja) * 2010-09-30 2012-04-19 Yokogawa Koji Kk プレキャスト部材の継手構造とコンクリート製プレキャスト部材
KR20130001577U (ko) * 2011-08-30 2013-03-08 김태섭 가변형 지붕 루버시스템
KR101567418B1 (ko) 2015-06-11 2015-11-11 (주)서현컨스텍 프리캐스트부재로 제작된 피암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94672A (ko) * 2017-02-16 2018-08-24 주식회사 청진이엔씨 부착 및 전단 성능이 강화된 구조물용 피씨 데크 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847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KR100640716B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20090021708A (ko) 프리캐스트 옹벽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851557B1 (ko) 리브보강형 프리캐스트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49895B1 (ko) 터널 필라부 보강블록
KR101356724B1 (ko)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69357B1 (ko) 구조 개선된 프리캐스트 피암 구조물
KR100947903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
JP2004100157A (ja) 擁壁構造およびそのための施工方法
KR100563787B1 (ko)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및 이의조립시공방법
KR101041363B1 (ko) 장지간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241400B1 (ko) 아치형구조물
KR100653865B1 (ko)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조립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59659B1 (ko) L형 앵커체와 스트립바를 이용한 장식석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787806B2 (ja) 土留め擁壁
KR200420394Y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20220006201A (ko) 프리캐스트 조립식 l형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12732B1 (ko) 기하학적 반력을 이용한 아치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01271A (ko) 모듈블럭을 이용한 방음벽 및 그 시공시스템
KR100380907B1 (ko) 아치형 통로 구축용 프리캐스트 부재와 이것을 이용한아치형 통로 구축시공방법
KR101971267B1 (ko) 프리캐스트 산형 라멘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KR200194424Y1 (ko)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옹벽
JP3114141B2 (ja) 地下室
KR20050041750A (ko) 보강토 옹벽 및 그 설치방법
KR102296060B1 (ko) 철근 콘크리트 패널 및 코너 철근 콘크리트 패널로 이루어지는 패널 옹벽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