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903B1 - 조립식 프리캐스트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프리캐스트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7903B1 KR100947903B1 KR1020090018539A KR20090018539A KR100947903B1 KR 100947903 B1 KR100947903 B1 KR 100947903B1 KR 1020090018539 A KR1020090018539 A KR 1020090018539A KR 20090018539 A KR20090018539 A KR 20090018539A KR 100947903 B1 KR100947903 B1 KR 1009479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gment
- bottom plate
- wall
- segments
- longitudinal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종 완성된 상태가 폐쇄된 사각단면으로 형성되는 박스 구조물을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조립 설치하되, 작용하는 외부하중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하면서도 부등침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부등침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조립식 박스구조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세그먼트의 연결접합면에 전단키를 1차적으로 형성시켜 세그먼트들이 서로 물려 연결되도록 하되, 인접한 세그먼트들을 엑스자형으로 압착되어 일체화시키는 부등침하 방지용 긴장수단을 2차적으로 형성시키고,
조립식 박스구조물의 벽체부 세그먼트의 길이방향 단면이 전체적으로 T형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이러한 벽체부 세그먼트와 저판부 세그먼트는 보강벽체부 및 벽체용 하단지지부에 의하여 접촉면적이 큰 상태로 서로 지지되도록 하면서, 벽체부 세그먼트와 저판부 세그먼트에 부등침하 방지용 긴장수단에 의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더 도입시킨 것이다.
세그먼트, 박스구조물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최종 완성된 상태가 폐쇄된 사각단면으로 형성되는 박스 구조물을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조립 설치하되, 작용하는 외부하중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하면서도 부등침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체화되도록 연결되는 조립식 박스 구조물용 세그먼트(1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조립식 박스 구조물용 세그먼트(10)는 제작 및 운반의 편의성을 위해 통상은 1-2m 정도의 길이(L)를 가지며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단면의 박스구조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지반에 각각의 조립식 박스 구조물용 세그먼트(10)을 서로 접하도록 설치하고, 미도시된 길이방향의 긴장재 등을 이용하여 조립식 박스 구조물용 세그먼트(10)들이 서로 압착되어 일체화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길이로 연장된 조립식 박스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조립식 박스 구조물용 세그먼트(10)의 크기가 실제로는 매우 클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상하로 2개로 분할(11,12)하여 제작하고, 분절된 조립식 박스 구조물용 세그먼트(10)를 현장에서 서로 조립하여 설치하는 방식도 소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는 직사각형 단면의 박스구조물을 상하로 분할 제작하고, 설치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
보다 효과적인 단면구성을 가져 외부하중에 저항하면서도 지반의 부등침하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조립식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에 대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즉, 도 1b는 특히 조립식 박스구조물에 있어 벽체구조물의 시공단면도들을 비교 도시한 것이다.
이에 저판(20)과 이러한 저판(20)에 그 하단이 삽입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벽체(30)를 설치하되, 상기 벽체 배면에 응력지점부(40)를 형성시키고, 이러한 응력지점부(40)와 저판(20) 우측 상면에 형성된 지지단(50) 사이에 콘크리트 충전되는 강관(60,내부에 모르타르 등이 긴장재 설치 후에 충전됨)이 하방 경사지도록 설치하고, 상기 강관을 통해 긴장재(70)를 설치한 후,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옹벽구조물(PPE 옹벽)이 소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옹벽구조물은 상기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대상인 상기 콘크리트 충전 강관(60)에 해당되고, 저판(20)과 벽체(30)의 접촉면이 크지 않 아, 상기 벽체(30)에 외부하중에 의한 휨 모멘트 및 전단력에 저항할 수 있는 응력발생은 기대하기 어렵고, 단지 벽체의 응력지점부(40) 근방에 있어 변위를 구속하는 역할을 하는 것에 그칠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부벽식 옹벽에 있어 적층되는 벽체(30)와 부벽(80)이 옹벽의 저판(20)에 설치되고, 상기 부벽에 하방 경사진 긴장재(70)가 설치되는 예도 있는데.
이러한 부벽식 옹벽은 적층되는 벽체(30)와 부벽(80)의 결속을 위한 것에 그칠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최종 완성 상태가 폐쇄된 사각단면의 박스형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특히 토압등에 의한 외부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벽체부 세그먼트의 휨 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한 저항능력을 증진시키되 그 단면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종래 길이방향으로 1-2m 정도를 연속하여 연결하는 박스형 구조물에 대비하여 길이방향으로 3-6m 정도로 연장시켜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부등침하에 특히 유리하게 시공될 수 있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첫째, 부등침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조립식 박스구조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세그먼트의 연결접합면에 전단키를 1차적으로 형성시켜 세그먼트들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물려 연결되도록 하되, 인접한 세그먼트들을 엑스자형으로 압착되어 일체화시키는 부등침하 방지용 긴장수단을 2차적으로 형성시켜 길이방향 세그먼트들이 보다 확실하게 일체화되도록 하였다.
둘째, 조립식 박스구조물의 벽체부 세그먼트의 길이방향 단면이 전체적으로 T형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이러한 벽체부 세그먼트와 저판부 세그먼트는 보강벽체부 및 벽체용 하단지지부에 의하여 접촉면적이 큰 상태로 서로 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부등침하 방지용 긴장수단에 의하여 벽체부 세그먼트와 저판부 세그먼트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더 도입시켜 결국 벽체부 세그먼트에 발생하는 외부하중에 의한 휨 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될 수 있도록 하되, 벽체부 세그먼트의 단면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여 박스형 조립식 구조물의 단면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고 부등침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조립식 프리캐스트 박스 구조물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 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조립식 박스형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써, 크게 도 2e와 같이 저판부 세그먼트(100), 양 벽체부 세그먼트(200)와 상부 세그먼트(300)로 구분하여 시공하게 되며, 이러한 세그먼트들(100,200,300)은 철근콘크리트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것들을 이용하게 된다.
이에 먼저, 도 2a와 같이 저판부 세그먼트(100)를 터파기된 지반(A)에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저판부 세그먼트(100)는 지반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저판(110)과 상기 저판(110) 양 측 상면에 형성된 오목홈 형성부(120)가 최 외곽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저판(110)은 터파기된 지반(A)에 미리 형성시킨 레벨링콘크리트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저판(110)과 저판(110) 사이는 별도로 현장타설콘크리트로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일체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저판을 이용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이러한 오목홈 형성부(120)는 상방으로 돌출된 2개의 돌출블록(121,122)을 서로 이격시켜 이격된 공간이 오목홈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오목홈 형성부(120)는 저판(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 형성부(120)의 바깥쪽 돌출블록(122) 의 중간은 블록아웃부(S)로 단절되도록 하는데, 이는 도 2b와 같이 후술되는 상협하광 단면을 가진 보강벽체부(220)의 하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위한 것이며, 이러한 블록아웃된 단절부위로부터 저판 측단부쪽에 벽체용 하단지지부(130)가 저판(110) 상면에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블록아웃부(S)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 형성부(120) 바깥쪽 돌출블록(122)의 중간중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이에 따라 벽체용 하단지지부(130)도 블록아웃부(S)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벽체용 하단지지부(130)는 블록체 형태인데, 상협하광단면(상부는 폭이 좁고, 하부는 폭이 넓은 단면 형태)을 가진 보강벽체부(220)의 하단 측면이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협하광단면을 가진 보강벽체부(220)의 하단측면이 접하도록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경사진 경사내측면(131), 상부면(132) 및 외측면(133)이 형성된 블록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벽체용 하단지지부(130) 내부에는 후술되는 엑스자 형태의 긴장재(420a)가 설치되는 관통홀(410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저판(110)에 오목홈 형성부(120)와 벽체용 하단지지부(130)가 형성된 저판부 세그먼트(10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저판부 세그먼트(100)를 지지하는 것은 지반(A)이므로 이러한 지반(A)이 연약지반인 경우 등에 있어서 침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침하는 지반에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제 저판부 세그먼트(100)는 국부적으로 침하하는 부등침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저판부 세그먼트(100)는 도 2b 및 도 3과 같이 그 서로의 연결접합면(B) 전체에 전단키(140)를 형성시켜 이러한 전단키(140)에 의하여 인접한 저판부 세그먼트(100)가 서로 기계적으로 물려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서로 연결접합면이 물려진 저판부 세그먼트(100)는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어 부등침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저판부 세그먼트(100) 다수를 길이방향으로 서로 물려 설치한 후에는 저판부 세그먼트(100)에 양 벽체부 세그먼트(20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벽체부 세그먼트(200)는 도 2b 및 도 3과 같이 1개의 저판부 세그먼트(100)의 연장길이에 맞추어 연장길이를 가지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은 도 2d와 같이 저판부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 연장길이(L)가 종래 1-2m가 아닌 3-6m정도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맞추어 벽체부 세그먼트(200)도 상기 연장길이(L)에 맞추도록 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의 연장길이가 큰 세그먼트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시공성 및 경제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삭제
삭제
이러한 벽체부 세그먼트(200)는 도 2c 및 도 3과 같이 수직벽체부(210), 보강벽체부(220) 및 수평벽체부(2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먼저, 상기 수직벽체부(210)는 그 하단이 저판부 세그먼트(100)의 오목홈 형성부(120)에 하단이 삽입 설치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벽체부(220)는 수직벽체부(21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블록체인데, 그 형성위치는 저판부 세그먼트(100)의 블록아웃부(S)에 그 하단이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직벽체부(210)의 외측면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221)와 상기 수직부의 하부로부터 돌출된 폭이 점차적으로 확폭되는 확폭수직부(22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상협하광의 폭을 가진 블록체로 보강벽체부(22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확폭된 하단이 저판부 세그먼트(100)의 블록아웃부(S)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저판부 세그먼트(100)의 경사진 경사내측면(131)에 접하도록 상기 상협하광 단면을 가진 확폭수직부(222)의 하단측면도 내측으로 하방경사지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벽체부 세그먼트(200)는 그 하단이 저판벽체부(100)에 의하여 지 지되도록 하되, 이러한 상태에서는 외부하중에 의한 토압 등에 대하여 전도될 우려가 있으므로 보강벽체부(220)에 의하여 저판부 세그먼트(100)의 하단이 보다 확실하게 지지되도록 하게 된다.
즉, 보강벽체부(220)의 하단은 확폭되어 있으므로 저판부 세그먼트(100)와의 접촉면적이 커지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상기 수평벽체부(230)는 수직벽체부(210)와 보강벽체부(220)의 상부에 상방돌출된 블록체로써, 그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단턱부(C)가 도 2d와 같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턱부(C)는 상부세그먼트(300)가 용이하게 얹어져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역시 벽체부 세그먼트(200)도 앞서 살펴본 지반의 부등침하에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벽체부 세그먼트(200)도 그 서로의 연결접합면(B) 전체(적어도 수직벽체부 및 보강벽체부)에 전단키(240)를 형성시켜 이러한 전단키(240)에 의하여 인접한 저판부 세그먼트(100)가 서로 기계적으로 물려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서로 연결접합면(B)이 물려진 벽체부 세그먼트(200)는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어 부등침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위에서 살펴본 이러한 전단키(140,240)에 의해서만 부등침하에 저항하는 것은 조립식 박스형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지반의 상태에 따라 역부족일 수 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 인접한 벽체부 세그먼트(200)와 저판부 세그먼트(100)를 도 3과 같이 서로 엑스자형으로 압착시키는 부등침하 방지용 긴장수단(400)이 설치된다.
상기 부등침하 방지용 긴장수단(400)은 기본적으로 긴장재(420), 고정구(430), 정착구(4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긴장재로써 강봉 등을 서로 인접하는 벽체부 세그먼트(200)와 저판부 세그먼트(100)에 엑스자형으로 설치하고, 긴장재 일측을 고정구로 고정시키고, 긴장재 타측을 정착구에 의하여 긴장후 정착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3과 같이 일측 벽체부 세그먼트(200a)를 구성하는 수직벽체부(210a)의 개략 중앙 내측면으로부터 우측 하방 경사져 인접한 저판부 세그먼트(100b)의 저판(110b) 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410a)을 형성시키고,
상기 인접한 벽체부 세그먼트(200b) 수직벽체부(210b)의 개략 중앙 내측면으로부터 좌측 하방 경사져 상기 저판부 세그먼트(100a)의 저판(110a)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410b)을 형성시켜,
상기 관통홀(410a)과 관통홀(410b)이 엑스자형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관통홀(410a)과 관통홀(410b)에 긴장재(420a,420b)를 각각 설치하여 결국 긴장재(420a,420b)가 서로 엑스자형으로 엇갈리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조립식 박스구조물의 저판부 세그먼트(100a,100b)의 저판(110a,100b) 저면에 고정너트와 같은 고정구(430)로 상기 긴장재의 하단부를 고정시킨 후, 조립식 박스구조물의 저판부 세그먼트(100a,100b)의 수직벽체부(210a,210b)에 역시 정착너트와 같은 정착구(440)로 상기 긴장재의 하단부를 긴장후 정착시키게 된다.
이에 조립식 박스구조물의 연결접합면의 전단키(140,240)와 함께 상기 긴장재긴장재(420a,420b)에 의한 압축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인접한 조립식 박스구조물을 압착시켜 일체화함으로써, 부등침하에 대한 저항성능을 더욱 더 증진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벽체부 세그먼트(200)는 도 3과 같이 그 단면형태가 T형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수직벽체부(210)의 두께를 최소화 시킨 상태에서 보강벽체부(220)와 함께 의하여 작용하는 토압 등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부등침하 방지용 긴장수단(400)은 기본적으로 긴장재(420)가 그 역할을 부담하게 된다.
즉, 부등침하 방지용 긴장수단(400)은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부등침하 방지 역할을 하지만, 부가적으로 부등침하 방지용 긴장수단(400)를 구성하는 긴장재(420)에 의한 압축 프리스트레스(분력의 형태)에 의하여 각 벽체부 세그먼트(200)에 작용하는 토압 등에 의한 발생하는 휨 모멘트 및 전단력에 저항할 수 있는 역할도 하게 된다.
즉, 상기 부등침하 방지용 긴장수단(400)에 의하여 벽체부 세그먼트(200)와 저판부 세그먼트(100)에 압축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여 벽체부 세그먼트(200)에 작용하는 토압 등에 의한 발생하는 휨 모멘트 및 전단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저판부세그먼트(100), 양 벽체부 세그먼트(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2c 및 도 2d와 같이 상부세그먼트(300)를 양 벽체부 세그먼트(200)의 상면에 얹어지도록 설치한 후 연결시키게 된다.
즉, 도 2c, 도 2d 및 도 5와 같이 수평부(310) 및 양 측벽부(320)로 구성된 ㄷ 자형 상부세그먼트(300)를 벽체부 세그먼트(200)의 상면에 형성된 수평벽체부(230)의 단턱부(C)에 얹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양 측벽부(320)의 저면도 상기 탄턱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단턱부(D)로 형성시겨 양 벽체부 세그먼트(200)의 상면에 ㄷ 자형 상부세그먼트(300)가 얹어져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ㄷ 자형 상부세그먼트(300)는 서로 인접하여 연결된 수평벽체부(230)에 모두 얹어져 조립식 박스구조물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단순히 얹어져 ㄷ 자형 상부세그먼트(300)를 벽체부 세그먼트(200) 설치하는 것보다는 서로 결속되도록 하기 위하여 ㄷ 자형 상부세그먼트(300)의 양 측벽부(320) 내부에 배근되어 하방연장된 내부철근(321)의 하단에, 하부에 주입구(323)가 형성되며 상부에 배출구(324)가 형성된 중공관 형태의 슬리브(322)가 삽입되도록 하고, 벽체부 세그먼트(200) 내부에 배근되어 상방연장된 내부철근(231)의 상단이 상기 슬리브(322)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되,
이러한 슬리브(322)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양 측벽부 하부를 블록아웃시키고, 상기 블록아웃부(S2)를 통해 상기 슬리브(322)에 형성된 배출구(324)로 배출될 때까지 주입구(323)로 모르타르를 충진시켜, ㄷ 자형 상부세그먼트(300)를 벽체부 세그먼트(200)를 서로 결속시키게 된다.
물론 최종 상기 블록아웃부는 모르타르와 같은 충진재로 메워져 마감된다.
이로써, 벽체부 세그먼트(200)의 단면을 최적화하면서도 부등침하 방지용 긴장수단(400)에 의하여 작용하는 토압등에 의한 외부하중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조립식 박스구조물은 서로 전단키(140,240)와 부등침하 방지용 긴장수단(400)에 의하여 지반의 부등침하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조립식 박스구조물의 시공상태도 및 벽체구조물들의 비교도면이다.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을 공종 순서대로 개략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벽체부 세그먼트와 저판부 세그먼트의 발췌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벽체부 세그먼트와 상부 세그먼트의 결합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저판부 세그먼트
200:벽체부 세그먼트
300:상부 세그먼트
400:부등침하 방지용 긴장수단
Claims (3)
- 저판(110), 오목홈 형성부(120) 및 벽체용 하단지지부(130)을 포함하는 저판부 세그먼트(100)를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저판부 세그먼트의 양 측단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수직벽체부(210), 보강벽체부(220)와 수평벽체부(230)를 포함하는 양 벽체부 세그먼트(200)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양 벽체부 세그먼트 상면에 수평부(310)와 양 측벽부(320)를 포함하는 상부세그먼트(300)를 얹어 설치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길이방향으로 조립식 박스형 구조물을 연결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저판부 세그먼트(100)를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는, 저판(110) 양측에 오목홈 형성부(120)가 상면에 저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양 벽체부 세그먼트(200)가 오목홈 형성부(120)에 삽입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 형성부(120) 중간은 블록아웃부로 단절시켜 단절부위로부터 저판 측단부쪽에 벽체용 하단지지부(130)가 상기 저판(110) 상면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저판부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 연결접합면 전체에 전단키(140)가 형성되도록 하여 길이방향으로 저판부 세그먼트(100)들이 전단키(140)에 의하여 서로 물려 지도록 하고,상기 양 벽체부 세그먼트(200)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수직벽체부(210)가 오목홈 형성부(120)에 하단이 삽입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벽체부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상협하광단면을 가진 보강벽체부(220)의 하단이 상기 벽체용 하단지지부에(130)의 경사내측면(131)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양 벽체부 세그먼트(200)의 길이방향 연결접합면 전체에 전단키(240)가 형성되도록 하여 길이방향으로 양 벽체부 세그먼트(200)가 전단키(240)에 의하여 서로 물려 지도록 하고,상기 서로 접하는 저판부 세그먼트(100)와 양 벽체부 세그먼트(200)들을 서로 길이방향으로 압착시켜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일측 벽체부 세그먼트(200a)를 구성하는 수직벽체부(210a)의 개략 중앙 내측면으로부터 우측 하방 경사져 인접한 저판부 세그먼트(100b)의 저판(110b) 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410a)을 형성시키고, 상기 인접한 벽체부 세그먼트(200b) 수직벽체부(210b)의 개략 중앙 내측면으로부터 좌측 하방 경사져 상기 저판부 세그먼트(100a)의 저판(110a)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410b)을 형성시켜, 상기 관통홀(410a)과 관통홀(410b)이 엑스자형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관통홀(410a)과 관통홀(410b)에 긴장재(420a,420b)를 각각 설치한 후, 상기 긴장재(420a,420b)의 하단을 고정시키고 상단을 긴장, 정착시키고,상기 양 벽체부 세그먼트(200)의 상면에 형성시킨 단턱부(C)에 상부 세그먼트(300)의 양 측벽부(320)의 단턱부(D)가 얹어져 설치되도록 하여, 부등침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8539A KR100947903B1 (ko) | 2009-03-04 | 2009-03-04 | 조립식 프리캐스트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8539A KR100947903B1 (ko) | 2009-03-04 | 2009-03-04 | 조립식 프리캐스트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47903B1 true KR100947903B1 (ko) | 2010-03-17 |
Family
ID=4218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8539A KR100947903B1 (ko) | 2009-03-04 | 2009-03-04 | 조립식 프리캐스트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790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3777B1 (ko) | 2010-06-23 | 2010-11-18 | (주)서현컨스텍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KR101146758B1 (ko) | 2011-03-03 | 2012-05-17 | 안창일 | 횡방향 스트럿부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
KR101262781B1 (ko) | 2013-03-15 | 2013-05-09 | 박성규 |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일체화된 제형 박스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KR101285565B1 (ko) * | 2010-09-13 | 2013-07-17 | 임인혁 | 소하천용 장경간 구조물 시공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85521A (en) | 1977-12-19 | 1979-07-07 | Iori Kikuchi | Combination supporting frame with blocks |
KR200148172Y1 (ko) | 1997-05-16 | 1999-06-15 | 박병무 | 조립식 암거 |
KR20010110020A (ko) * | 2000-06-05 | 2001-12-12 | 박정규 | 암거 |
KR100665041B1 (ko) | 2006-04-22 | 2007-01-09 | 박용해 | 조립식 피씨암거 및 그 시공 구조 |
-
2009
- 2009-03-04 KR KR1020090018539A patent/KR10094790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85521A (en) | 1977-12-19 | 1979-07-07 | Iori Kikuchi | Combination supporting frame with blocks |
KR200148172Y1 (ko) | 1997-05-16 | 1999-06-15 | 박병무 | 조립식 암거 |
KR20010110020A (ko) * | 2000-06-05 | 2001-12-12 | 박정규 | 암거 |
KR100665041B1 (ko) | 2006-04-22 | 2007-01-09 | 박용해 | 조립식 피씨암거 및 그 시공 구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3777B1 (ko) | 2010-06-23 | 2010-11-18 | (주)서현컨스텍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KR101285565B1 (ko) * | 2010-09-13 | 2013-07-17 | 임인혁 | 소하천용 장경간 구조물 시공방법 |
KR101146758B1 (ko) | 2011-03-03 | 2012-05-17 | 안창일 | 횡방향 스트럿부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
KR101262781B1 (ko) | 2013-03-15 | 2013-05-09 | 박성규 |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일체화된 제형 박스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76847B1 (ko) |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 |
KR100969586B1 (ko) | 기초 및 벽체의 크기가 최소화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0993777B1 (ko)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064731B1 (ko) | 포물선 형상의 웨브와 거푸집형 플랜지를 가지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합성 거더 및 그 제작방법 | |
KR101851557B1 (ko) | 리브보강형 프리캐스트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0966144B1 (ko) | 교대 소켓부 및 횡방향 긴장재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0947903B1 (ko) | 조립식 프리캐스트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0971200B1 (ko) | 연결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0984249B1 (ko) | 합성거푸집 패널과 상부플랜지 내부철근과 일체화된 전단연결부재를 이용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 |
KR100650411B1 (ko) | 하부 공동형 콘크리트 복공판 | |
KR101216126B1 (ko) | 축방향 및 종방향 연결철근을 이용한 아치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0720067B1 (ko) | 아치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 보의 시공방법 | |
KR101041363B1 (ko) | 장지간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054450B1 (ko) | 프리캐스트 구조물 | |
KR101107729B1 (ko) | 조립식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
CN111335152A (zh) | 一种预制桥台 | |
KR20050080092A (ko) | 구멍강판을 전단연결재로 사용하는 부분매입형 합성바닥판시스템 | |
KR101159097B1 (ko) | 종방향으로 연속화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교대 및 그 시공방법 | |
KR101797960B1 (ko) |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보 | |
CN205636750U (zh) | 一种集约化的永久支护装配式地下室结构体系 | |
KR20190037416A (ko) | 옹벽용 부벽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옹벽 | |
KR200404658Y1 (ko) | 프리캐스트 부벽식 옹벽 | |
KR20190107317A (ko) | 일체형형강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이중벽체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 |
KR20210158372A (ko) | 장경간 교량용 합성 거더 | |
KR200398769Y1 (ko) | T형단면 조립식 아치터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