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641A -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 Google Patents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641A
KR20090098641A KR1020080071617A KR20080071617A KR20090098641A KR 20090098641 A KR20090098641 A KR 20090098641A KR 1020080071617 A KR1020080071617 A KR 1020080071617A KR 20080071617 A KR20080071617 A KR 20080071617A KR 20090098641 A KR20090098641 A KR 20090098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inforcement
strength
base plat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0378B1 (ko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ublication of KR2009009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8Reinforcements for 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건물이나 철골 구조물, 교량과 같이 큰 하중을 갖는 물체를 지층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지지하거나, 하중을 받는 기둥의 상단을 지지하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으로 깊이 굴토하고 바닥 콘트리트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기초 구조를 형성하거나, 슬라브와 기둥의 상단 사이에서 지지되는 슬라브, 보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 대신에, 부피가 작고, 간단하여, 굴토 깊이를 작게 하거나 또는 슬라브, 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는 기초 바닥층 또는 슬라브 보에 인가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인장력이나 압축력에도 강한 내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 구조의 부피를 작게 시공할 수 있어 터파기 면적, 깊이를 감소시키거나, 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시공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Reinforcement}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건물이나 철골 구조물, 타워크레인 하부, 교량과 같이 큰 하중을 갖는 물체를 지층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지지하거나, 하중을 받는 기둥의 상단을 지지하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으로 깊이 굴토하고 바닥 콘트리트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기초 구조를 형성하거나, 슬라브와 기둥의 상단 사이에서 지지되는 슬라브, 보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 대신에, 부피가 작고, 간단하여, 굴토 깊이를 작게 하거나 또는 슬라브, 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교량 등의 자중에 의해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 시공시 건물의 하부에는 건물 하중이 지반에 골고루 전달되며 지지될 수 있도록 기초 구조가 시공되는데, 종래의 기초 구조는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주로 사용하였다. 건물이 점점 높아지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단위면적당 기초 구조 에 인가되는 하중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되고 있는 기초 구조의 경우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된 기초 구조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내력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기초 구조의 크기나 두께가 커짐에 따라 기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굴토 깊이, 즉 터파기의 깊이가 깊어지게 된다. 이는 기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지반의 터파기 작업과 기초 구조 설치 공정이 복잡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와 터파기를 위한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를 유발하였다. 특히 건물 하부에 암반형 지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터파기를 깊게 하는데 더욱 더 긴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소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파기를 깊게 하는 경우 굴토된 지하층 벽면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굴토하여야 하므로, 인접 건물에 피해를 주게 되거나 밀집장소에서의 공사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굴토하게 되면 그만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야 할 공간이 커지게 되므로 콘크리트를 낭비하게 된다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건물의 슬라브의 자중을 지지하도록 그 저면에 보를 형성하고, 저층 바닥과 보 사이에 기둥 및 내력벽을 설치하게 되는데, 철근콘크리트조의 보 하단과 기둥 또는 내력벽의 상단이 연결되는 부분에 자중이 집중되게 되는데, 건물이 점점 높아지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단위면적당 보에 인가되는 하중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되고 있는 보의 경우 철근콘크리트조로 제작된 보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내력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보의 크기나 두께가 커짐에 따라 이를 형성하기 위한 설치 공정이 복 잡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와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a, 1b, 1c는 일반적인 기초 바닥, 기둥, 보 등의 전단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1b, 1c는 일반적인 기초 바닥 또는 슬라브, 보의 단면에 집중되는 전단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수직의 기둥(A)과 수평의 기초 바닥(B) 사이에는 45도 정도의 비스듬한 방향(C)으로 전단력이 형성되어 가해진다. 기초 바닥(B) 내에 이러한 전단력을 지지할만한 구성이 없는 경우에는, 전단력에 의해 건축 구조물의 변형 내지는 파손을 가져오게 된다. 이는 앙카(a)를 사용하여 건물의 부상을 방지하는 공법의 도 1b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다만, 앙카(a)는 건물을 하방으로 당기는 역할을 하므로, 전단력이 방향이 C'와 같이 하방을 향해 벌어지는 방향으로 나타나게 되거나 앙카(a) 부분만 구멍이 뚫리는 펀칭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건물의 자중과 구조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기둥과 보를 나타내는 도 1c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d는 일반적인 기초 바닥 및 슬라브, 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d의 (a)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바닥층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하중을 지지, 분산시키기 위한 기초 구조를 설치하기 위해,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하부 철근(I) 및 그 하측으로 깊은 깊이(H)의 터파기는 물론, 그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 철근(I)들과 연결되는 많은 양과 복잡한 구조의 보조철근(I')을 설치하여 기초 바닥 내에 다중의 철근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철근 방식은 여러 층 복잡하게 구비하여야 함은 물론, 설치 자체의 공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기초 바닥의 두께(H)도 두꺼워져야 해서 콘크리트의 소모량이 상당히 늘어나고 시공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철근의 선 방식으로 전단력을 해결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하중 지지력을 가질 수밖에 없다.
도 1d의 (b)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하중을 지지, 분산시키기 위한 슬라브, 보 및 기둥을 설치하기 위해, 내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하부 철근(I)가 배치되는 보의 두께(H')를 두껍게 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여야 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2의 (a)와 같이, 바닥콘크리트층 하측으로 터파기 깊이를 줄이거나, 터파기 과정 없이, 바닥콘크리층 내부에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구조체(R)를 상기 상,하부 철근(I)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과
도 2의 (b)와 같이, 슬라브의 보의 두께(h')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고, 보의 내부에 단순한 형태의 구조체(R)를 상기 상,하부 철근(I)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 2의 (a)를 참조하면, 건물, 교량의 기둥 기초, 타워크레인의 하부 기초 및 내력벽의 기초 등과 같이 지반에 기초를 형성할 때, 전체 하중이 기둥의 하방으로 가중되고, 바닥 슬라브에는 지반 반력이 상방으로 작용되어, 기둥 기초에 발생하는 전단파괴를 방지하도록 구조체(R)를 설치하고, 도 2의 (b)를 참조하면,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건물 및 지하층 슬라브를 시공할 때, 슬라브 또는 보에 구조체(R)를 내설하여, 슬라브 또는 보의 두께(h')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면서도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 분산시킬수 있도록 하는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파기를 깊고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하방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기초 구조 및 슬라브, 보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의 내부에 매입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형으로 콘크리트층 내에 내입되어 합성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2 이상의 판재가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도록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2 이상의 판재가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 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 자 또는 井 자 또는 □ 자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방사형, 마름모형,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각각의 사이에는 브라켓;이 구비되어 고정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판재가, 다른 하나 이상의 판재 상단 및/또는 하단에 위치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호 교차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에는, 다수의 돌출결합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판재가 콘크리트층 내에서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결합부재는: 상기 판재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결합되는 이형철근 또는 스터드볼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판재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결합 시키거나,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판재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결합구로 결합시키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단면이 "│", "─", "┐", "┬", "ㄷ", "□"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각각의 외측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측 보강프레임;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과 상기 외측 보강프레임은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에는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하측으로도 콘크리트가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이 소정의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접혀서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서 돌출되는 열 림부;가 한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열림부가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매입되는 동시에, 상기 열림부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하로 겹쳐지는 다른 판재 또는 그 판재의 결합홈이 끼워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재의 개방부가 형성된 위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가 형성된 판재의 수직 부분 전체 높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다른 판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재에는 상기 판재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형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다른 판재가 삽입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판재의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재와 용접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재와 볼트, 너트, 와셔, 나사, 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연결부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연결부재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는 기초 바닥층 또는 슬라브 보에 인가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인장력이나 압축력에도 강한 내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 구조의 부피를 작게 시공할 수 있어 터파기 면적, 깊이를 감소시키거나, 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시 공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시공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판재에 돌출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는 건물의 바닥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 보 내에 2 이상의 판재(100)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10)가 배치되고, 바닥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 보 내의 상부 및 하부에 2열로 배치되는 기존의 상,하부 철근(I) 사이에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이 배치되는 상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교차 또는 접합된 상태로,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직립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 중 어느 하 나에 결합홈(140)이 절개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판재(100)를 상기 결합홈(140)에 끼워넣어, 각각 상호 간에 "+"자 형태를 이루도록 교차되게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 각각에 상기 결합홈(140)이 형성되어, 퍼즐과 같이 상기 결합홈(140)이 상호 맞물리게 끼워넣어 상호 교차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횡 방향으로 직립으로 다수가 병렬배치되고, 종 방향으로 병렬배치되는 다수의 판재(100)들이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결합홈(140)은 상기 판재(100) 두께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호 끼워진 상태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재(100)들이 결합홈(140)에 맞물려 상,하방으로 끼워짐으로써, 바닥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 보 내에 상기 기본판재 구조(10)가 배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하방으로 밀리는 것을 상호 지지하여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전단력이 미치는 부분에 수직으로 판재(100)들이 사방으로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판재(100)는 판 형태이므로, 전단력에 대해 선 형태의 철근들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전단력이 미치는 부분을 수직으로 세워진 판재(100)가 지지하게 됨에 따라, 전단력을 선이 아닌 면으로 흡수하여 지지하므로, 콘크리트의 두께가 많이 줄어들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a)와 같이 판재(100)는 십자로 배치되거나, (b)와 같이 샵(# 내지는 우물 정(井)) 형태로 배치되거나, (c)와 같이 그물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판재(100)간의 결합, 접합은 용접에 의하거나, 별도의 결합구(미도시)를 사용하여 가능하게 할 수 있는데, 어느 한 판재(100)의 측방에 다른 판재(100)를 용접 결합하거나, 각각의 판재(100)들을 상호 단부에서 용접 결합하거나, 어느 한 판재(100)의 양 측방에 다른 판재(100)들을 용접 결합할 수 있다.
도 5, 6을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에는 스터드 볼트와 같은 스터드볼트(106)가 다수 구비된다.
상기 스터드볼트(106)를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의 표면상에 용접으로 부착하거나, 판재(100)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스터드볼트(106)를 그 안으로 끼워넣은 후 반대 측으로 너트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스터드볼트(106)는 필요에 따라 상기 판재(100)에 끼워넣어 너트로 고정시킨고 용접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와 함께 경화될 때, 스터드볼트(106)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에 다수 홀(미도시)을 형성하여, 일정 길이를 가지는 막대형 이형철근(104)을 관통되게 각각 끼워넣고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시켜, 상기 스터드볼트(106)와 동일한 역활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다양한 결합형태를 나태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이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어 다양한 형태로, 직립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방사형, 원형, 십자형, 마름모형,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이루도록 직립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a)에서는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다수개의 판재(100)에 홈(미도시)을 형성하여, 각각 상호 간에 교차되게 끼워넣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다.
(b)에서는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다수개의 판재(100)들이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다.
(c)에서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이 상호 간에 "+"자 형태를 이루도록 직립으로 형성되고, 다른 판재(100)들은 "ㅁ"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호 접합되게 배치된 형태를 나타낸다.
(d)에서는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다수개의 판재(100)들이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다른 판재(100)들은 "ㅁ"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호 접합되게 배치되된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철판과 같이 금속제 판넬을 사용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는 구조를 이루어, 측방, 상, 하방 등 다양한 방향의 여러 하중을 복합적으로 완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 9는 본 발명에 의한 판재에 구비되는 지지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각각의 상단 또는 하단에 일측으로 꺾이거나, 양측으로 꺾인 형상으로 수평한 지지부(1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판재(100)의 상단 및 양단에 지지부(110)가 형성되어, 판재(100)의 단면이 "l", "⊥", "I", "ㄴ", "ㄷ"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단면이 "l" 구조로 형성되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 각각의 상단 또는 하단부에는 단면이 "│", "─", "┐", "┬", "ㄷ", "□"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지지부(11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 각각의 상단 또는 하단부에 볼팅 또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이 더 높은 지지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10, 11은 본 발명에 의한 판재의 다른 형상 조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지지부(110)는 판재(100)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절곡하거나, 각 단부에 용접 또는 결합시켜 형성하는데 제조상 절곡을 하는 것이 가장 용이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a)와 같이 판재(100)의 측방으로 유입공(120)을 형성하거나, 지지부(110)에 유입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콘크리트 타설시에 유입공(120)을 통해 원활한 콘크리트의 유입을 도모함은 물론, 콘크리트가 경화될 때 서로 견고하게 얼기설기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하단 지지부(110)의 경우 유입공(120)을 통해 콘크리트가 유입되기 힘든 지지부(110)의 하방으로 콘크리트가 잘 스며들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b)와 같이, 상기 판재(100)의 측방 및/또는 지지부(110)에 열림부(130)를 구비할 수도 있다. 각각의 판재(100)에는 한 개 이상의 열림부(130)가 다양한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열림부(130)는 각각의 판재(100)의 표면상에 소정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데, 이때 열림부(130)는 절개되는 소정 형태에서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만이 절개되고, 일측은 절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열림부(130)는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이 절개된 상태에서, 절개된 내측면을 밀어내면, 상기 열림부(130)에서 절개되지 않은 일측이 접히면서, 상기 열림부(130)가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으로 펼쳐지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 보 내에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될 때,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100)들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채워질 때, 상기 열림부(130)의 펼쳐진 부분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사이사이에 매입되고, 상기 열림부(130)가 펼쳐질때 관통형성되는 유입공(120)으로는 콘크리트가 유입된 상태로 경화되어, 스터드볼트 등의 별도의 추가 돌출 부재 및 추가 작업 없이도, 간단하게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100)들과 콘크리트가 단단하게 밀착 고정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열림부(130)는 "━", "ㄱ", "T", "∧", "ㄷ", "□", "▷", "∩"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판재(100)의 표면상에서 양측부는 절개되지 않는 "
Figure 112008052894202-PAT00001
"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절개된 내측을 양방으로 각각 밀어내어, 절개되지 않은 양측이 각각 접히면서,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으로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판재(100)의 표면상에서 "┼"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대각선 방향의 내측을 각각 밀어내어,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으로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를 참조하면, 판재(100)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이형철근(104), 스터드볼트(106), 열림부(130) 등과 같은 돌출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콘크리트층 내에서 콘크리트와 판재(10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판재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판재(100)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모두 같은 방 향으로 결합홈(140)이 형성되거나(a), 양쪽 방향으로 골고루 결합홈(140)이 형성(b, c)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140)의 방향은 현장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지지부를 갖는 판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본 판재(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11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지지부(110)는 (a)와 같이 상, 하단부에 같은 방향으로 향하게 하거나, (b)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10)를 사용함에 따라 콘크리트층의 두께는 더욱 얇아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콘크리트층 내에 기본 판재(100)를 수직 배치하면, 철근(I)의 수도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두께도 상대적으로 얇아지는 이점이 있다.
도 14, 15는 본 발명의 지지부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귿 형으로 지지부(110)가 형성된 기본 판재(100)에 지지부(110)의 중간 중간이 일정 간격으로 개방되어 개방부(112)를 형성한다. 이 개방부(112)에는 결합홈(140)이 형성된다.
개방부(112)는 지지부(110)를 일부 따낸 형태이다. 상기 콘크리트층 내에 지지부(110)를 갖는 기본 판재(100)를 설치하는 것이 콘크리트나 철근의 소비를 줄이는데 가장 바람직하나, 문제는 기둥 부분에는 다수의 수직 방향 철근(E)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지부(110)와 철근(E) 위치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개방부(112)를 형 성하게 된다.
수직 방향 철근(E)이 위치되는 간격에 맞게 개방부(112)를 사전에 형성하면, 수직 철근(E)이 개방부(112)에 위치하면서, 지지부(110)의 사이사이에 위치되므로, 지지부(110)와 수직 철근(E)의 위치가 중첩되거나 경로를 막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110)가 수직 철근(E)을 피해 회전되거나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아울러 (b)와 같이 기본 판재(100)를 종횡으로 반복적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결합홈(140)을 통해 서로 다른 기본 판재(100)와 만나는 부분이 상호 개방부(112)가 위치되는 부분으로서, 지지부(110)가 겹쳐지거나 중첩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개방부(112)를 보다 크게 형성하여, 양단의 지지부(110)만 남겨놓고, 하나의 큰 개방부(112) 안에 다수의 결합홈(140)이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디귿형 동향의 지지부(110)를 탈피하여, 乙형으로 서로 다른 방향 지지부(110, 점선표시)를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판재에 형성되는 결합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부(110)가 있는 기본 판재(100)에, 수직 부분 전체에 걸쳐 결합홈(140)을 형성하고, 이에 끼워지는 다른 기본 판재(100)에는 결합홈(140)을 전혀 형성하지 않고,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판재에 다양한 형태의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 내는 도면이다. 결합된 상기 판재(100) 각각의 상,하단에 지지부(110)가 형성되되, 도 17에 되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판재(100) 상측 모서리부가 꺾인 형상으로, 경사지게 지지부(110)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 내지 2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다양한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 중 어느 하나에 관통홀(150)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판재(100)가 상기 관통홀(150)로 삽입되어 상호 교차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관통홀(150)은 끼워지는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호 결합된 상태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의 일단부가 상호 일정 각을 이루도록 접합 배열될 때, 상기 판재(100)들 각각의 사이에는 브라켓(200)을 구비하여, 볼팅 또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판재(100)들이 하측에 병렬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 이상의 판재(100)들이 그 상단에 올려져 결합되어, 하측의 판재(100)들과 그 상측의 판재(100)들이 상호 교차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이때, 하측에 위치되는 판재(100)들이 횡 방향으로 직립되게 병렬배치되고, 그 상측에 다른 판재(100)들이 종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교차 또는 접합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도 2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의 외측부에는 외측 보강프레임(300)이 결합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에 어떠한 방향으로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고르게 하중을 분산시키게 된다.
상기 외측 보강프레임(300)은 상기 판재(100)들이 교차 또는 접합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형태에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판재(100)들 각각의 외측단에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외측 보강프레임(300)은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판재(100)들이 측방으로 이탈되어 구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이 상호 간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측 보강프레임(300)은 상기 판재(100)들의 외측단에 상호 겹쳐지도록 체결부재(미도시)를 덧대어 볼트 및 너트로 조이는 방식이나, 또는 용접 방식으로 고정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는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형상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서로 떨어져 있는 판재(100)들을 서로 연결시키거나, 접합시킬 수도 있다. (a)는 판재(100)가 일체로 연결부(16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실시예이며, (b)는 2개의 판재(100)를 연결부재(170)를 통해 서로 연결시키는 실시예이다. 연결부재(170)는 판재(100)와 용접으로 결합시키거나, 볼트, 너트, 나사, 핀, 와셔, 못, 쐐기 등의 연결구(172)를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c)는 위아래로 2개의 연결부재(170)를 구비하여 견고하게 결합시킨 예이며, (d)는 판재(100)의 측방 단부를 절곡시키고, 절곡된 접합부(180)를 서로 마주보며 접합되도록 하여, 볼트, 너트 등의 연결구(182)로 결합시키는 예이다.
도 23 내지 25는 연결부 또는 연결부재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및 24를 참조하면, 연결부(160) 또는 연결부재(170)에도 각각 결합홈(161)(171)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홈(161)(171)은 상방을 향한 것과 하방을 향한 것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것들이 상호 마주보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을 통해 판재는 보다 견고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160)나 연결부재(170)의 형상이나 설치 위치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며, 판재의 모양도 마름모꼴, 사다리꼴, 원형 등으로 자유롭게 선택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5와 같이, 연결부(160) 또는 연결부재(170)에 절곡된 지지부(110)를 구비하여, 보다 견고하게 연결 작용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a 내지 1c는 일반적인 기초 바닥, 기둥, 보 등의 전단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d는 일반적인 기초 바닥 및 슬라브, 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사용한 기초 바닥 및 슬라브, 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판재에 돌출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다양한 결합형태를 나태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9는 본 발명에 의한 판재에 구비되는 지지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11은 본 발명에 의한 판재의 다른 형상 조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판재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지지부를 갖는 판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15는 본 발명의 지지부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판재에 형성되는 결합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판재에 다양한 형태의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2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다양한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형상 조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내지 25는 연결부 또는 연결부재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기본판재 구조 100: 판재
110: 지지부 112: 개방부
120: 유입공 130: 열림부
140: 결합홈 150: 관통홀
160: 연결부 170: 연결부재
172: 연결구 180: 접합부
182: 연결구 200: 브라켓
300: 외측 보강프레임

Claims (33)

  1.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2 이상의 판재가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도록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2 이상의 판재가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 자 또는 井 자 또는 □ 자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방사형, 마름모형,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각각의 사이에는 브라켓;이 구비되어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판재가, 다른 하나 이상의 판재 상단 및/또는 하단에 위치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호 교차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에는, 다수의 돌출결합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판재가 콘크리트층 내에서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결합부재는:
    상기 판재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결합되는 이형철근 또는 스터드볼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판재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결합시키거나,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판재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결합구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단면이 "│", "─", "┐", "┬", "ㄷ", "□"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각각의 외측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측 보강프레임;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과 상기 외측 보강프레임은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 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하측으로도 콘크리트가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이 소정의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접혀서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서 돌출되는 열림부;가 한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열림부가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매입되는 동시에,
    상기 열림부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하로 겹쳐지는 다른 판재 또는 그 판재의 결합홈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개방부가 형성된 위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형성된 판재의 수직 부분 전체 높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다른 판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에는 상기 판재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형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다른 판재가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4.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5.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판재의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재와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재와 볼트, 너트, 와셔, 나사, 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연결부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연결부재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1020080071617A 2008-03-14 2008-07-23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101140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3662 2008-03-14
KR1020080023662 2008-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641A true KR20090098641A (ko) 2009-09-17
KR101140378B1 KR101140378B1 (ko) 2012-05-03

Family

ID=4135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617A KR101140378B1 (ko) 2008-03-14 2008-07-23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3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603B1 (ko) * 2012-05-16 2014-08-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절단 스파형 부유식 해상풍력 플랫폼
KR20200046727A (ko) * 2018-10-25 2020-05-07 정인자 냉동 창고용 도어 바닥 결로 방지용 히터
KR102619654B1 (ko) * 2023-01-30 2023-12-29 에이에이아키그룹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펀칭전단보강부재를 이용한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펀칭전단에 대한 보강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073B1 (ko) * 2014-01-20 2014-09-26 알루텍 (주) 보강 구조체
KR101759397B1 (ko) * 2015-10-27 2017-07-19 박광호 기초보강재
KR101875846B1 (ko) * 2016-12-08 2018-07-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내부이음쇠로 제작된 펀칭전단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펀칭전단보강공법
KR102045624B1 (ko) * 2017-09-05 2019-11-15 주식회사 포스코 기둥부재와 슬래브의 보강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5707B2 (ja) * 1991-03-15 1998-07-16 三井建設株式会社 フラットスラブ構造物における鋼管柱とスラブの接合構造
JPH09264058A (ja) * 1996-03-29 1997-10-07 Nkk Corp 転び止め用軽量はり及びパネル組立体
KR200438488Y1 (ko) * 2007-02-23 2008-02-20 (주)건양구조 무량판 슬래브의 이방향 전단 보강 구조물
KR20090102596A (ko) * 2008-03-26 2009-09-30 엄기형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603B1 (ko) * 2012-05-16 2014-08-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절단 스파형 부유식 해상풍력 플랫폼
KR20200046727A (ko) * 2018-10-25 2020-05-07 정인자 냉동 창고용 도어 바닥 결로 방지용 히터
KR102619654B1 (ko) * 2023-01-30 2023-12-29 에이에이아키그룹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펀칭전단보강부재를 이용한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펀칭전단에 대한 보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378B1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378B1 (ko)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JP4812324B2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937680B1 (ko) 구조적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pc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70023B1 (ko) 전단머리를 이용한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근콘크리트무량판의 접합구조
KR102234513B1 (ko) 자립 기둥과 저항 기초 블럭을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공법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3690437B2 (ja) 既存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JP5228862B2 (ja) 地下構造、地下構造の構築方法
KR100628537B1 (ko) 내진성능확보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벽체시스템
KR100808977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버팀보의 연결장치
KR101037502B1 (ko)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JP3804322B2 (ja) 耐震補強鋼板を用いた耐震補強構造、耐震補強鋼板の取付方法、耐震補強鋼板を用いた耐震補強方法
KR20090102596A (ko)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KR101131829B1 (ko) 베이스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기둥 시공방법
KR200370135Y1 (ko)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102354647B1 (ko) 프리캐스트 패널을 활용한 다각형 선조립 기둥
KR20090083268A (ko)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JP364380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ブロックの連結構造
KR102523155B1 (ko) 중간거더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4809399B2 (ja) 壁面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盛土構造物の施工方法
KR100935305B1 (ko) 건축물 기초 바닥층의 전단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결합방법
JP5541520B2 (ja) 地下構法
KR101200993B1 (ko) 기둥 선시공 공법을 위한 콘크리트 단위 기둥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영구기둥 선시공 방법
KR101161993B1 (ko)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23132749A (ja) 建築物と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