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5195A - 촬상 장치 및 이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이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105195A KR20050105195A KR1020057014240A KR20057014240A KR20050105195A KR 20050105195 A KR20050105195 A KR 20050105195A KR 1020057014240 A KR1020057014240 A KR 1020057014240A KR 20057014240 A KR20057014240 A KR 20057014240A KR 20050105195 A KR20050105195 A KR 200501051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 pressing
- optical member
- imaging
- optical axi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1285 shape-memory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18—Contain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비용 및 제조상의 수고를 들이는 것이 비교적 적고, 초점 조절이 용이하고 또한 고정밀도인 촬상 장치 및 이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이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100)에 따르면, 광축(Y)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덮개 부재(3d)가 미러 프레임(3)에 부착되고, 덮개 부재(3d)와 광학 부재(1) 사이에 광학 부재를 기판측으로 압박하는 제1 압박 부재(6)가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고, 광학 부재(1)를 덮개 부재(3d)측으로 압박하는 제2 압박 부재(7)가 미러 프레임(3)과 광학 부재(1) 사이에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고, 광학 부재(1)가 촬상 소자(2)의 상면과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제1 압박 부재(6)의 압박력이 제2 압박 부재(7)의 압박력보다도 커져 있고, 덮개 부재(3d)가 소정 거리 이상에 걸쳐서 광축(1)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이 제1 압박 부재(6)의 압박력보다도 커지고, 광학 부재(1)가 광축(Y)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미러 프레임(3)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3e)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에 탑재 가능한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형이고 고성능의 촬상 장치를 탑재한 휴대 전화기 등의 촬상 기능이 부여된 휴대 정보 단말 장치(이하, 휴대 단말 장치라 함)가 많이 개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에는 통상 촬상 외에, 예를 들어 잡지나 명함의 문자 등을 촬상하기 위한 접사, 근접 촬영(이하 매크로 촬영이라 함)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262164호 공보 참조).
이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휴대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 본체(전자 기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촬상 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휴대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 본체에 고정 설치된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에 설치된 캠 홈과, 촬상 장치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렌즈의 프레임에 캠 홈과 결합하는 돌출 설치부를 구비하고, 촬상 장치를 회전시키는 데 수반하여, 복수의 렌즈가 캠 홈에 규제되면서 회전함으로써 렌즈간 거리가 조정되어 매크로 촬영에 적합한 배율로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휴대 단말 장치는 플레이트에 캠 홈을 마련하거나, 렌즈의 프레임에 돌출 설치부를 설치해야만 해, 기구가 복잡하고, 비용이나 제조상의 수고가 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복잡한 기구에 의해 초점 조절이 되므로 캠의 제조 정밀도가 요구되는 동시에, 렌즈의 부착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의 높이도 요구된다. 또한, 복수의 배율로 조정할 때에 복수의 부품의 이동을 수반하므로, 반복해서 사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부품에 헐거움이 발생하여 핀트 위치가 어긋나 버리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는, 초점 거리의 절환을 하여 촬영을 행할 때에, 촬상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해 피사체의 방향에 맞추어 본체를 바꾸어 들어야만 하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비용 및 제조상의 수고를 들이는 것이 비교적 적고, 초점 조절이 용이하고 또한 고정밀도인 촬상 장치 및 이 촬상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의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Ⅱ-Ⅱ선을 따라 얻게 된 촬상 장치의 통상 촬상 모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 있어서의 Ⅱ-Ⅱ선을 따라 얻게 된 촬상 장치의 매크로 촬상 모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되는 촬상 장치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통상 촬상 모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에 도시되는 촬상 장치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매크로 촬상 모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6a 및 도6b는 각각 본 발명의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7은 도6에 도시되는 휴대 전화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8은 도6의 휴대 전화기에 의한 촬상 제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상면에 촬상 소자가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 혹은 상기 촬상 소자의 상면과 이격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고, 상기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와, 상기 촬상 소자 및 상기 광학 부재를 덮는 외부 프레임 부재이며, 상기 기판 상에 고정 설치된 본체 부재, 상기 광학 부재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부재의 선단부측에 부착된 덮개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광학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를 갖는 촬상 장치이며,
상기 덮개 부재와 상기 광학 부재 사이에 탄발적(彈發的)으로 개재 장착되어 상기 광학 부재를 상기 기판측으로 압박하는 제1 압박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의 하방에 형성된 지지 부재와 상기 광학 부재와의 사이에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어 상기 광학 부재를 상기 덮개 부재측으로 압박하는 제2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그곳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가 상기 기판 혹은 상기 촬상 소자와 접촉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압박 부재의 압박력이 상기 제2 압박 부재의 압박력보다도 커져 있는 동시에, 상기 덮개 부재가 소정 거리 이상에 걸쳐서 광축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압박 부재의 압박력이 제1 압박 부재의 압박력보다도 커지고, 상기 광학 부재가 광축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형태에 따르면,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외부 프레임 부재의 선단부에 덮개 부재가 부착되고, 광학 부재와 덮개 부재 사이에 본체 부재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설치되고, 덮개 부재와 광학 부재 사이에 광학 부재를 기판측으로 압박하는 제1 압박 부재가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고, 본체 부재의 하방에 형성된 지지 부재와 광학 부재와의 사이에 광학 부재를 덮개 부재측으로 압박하는 제2 압박 부재가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가 기판 혹은 촬상 소자와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는, 제1 압박 부재의 압박력이 제2 압박 부재의 압박력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덮개 부재가 소정 거리 이상에 걸쳐서 광축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 압박 부재의 압박력이 제1 압박 부재의 압박력보다도 커지고, 광학 부재가 광축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는 광학 부재가 기판 또는 촬상 소자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의 초점 거리와, 광학 부재가 돌출부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의 초점 거리의 2개의 초점 거리에 의한 촬상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쌍방의 초점 거리가 형성되어 있을 때에 제1 압박 부재, 제2 압박 부재에 의해 광학 부재는 기판 또는 촬상 소자에의 접촉, 혹은 돌출부에의 접촉에 의해 위치 결정되므로, 정밀도가 좋은 광학 기능이 실현된다. 또한, 압박 부재 등의 간이한 부재의 배치나, 덮개 부재의 이동에 의한 초점 거리의 조절 및 절환을 할 수 있으므로, 제조의 비용 및 수고를 들이는 일 없이 광학 기능의 다기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형태에 기재된 덮개 부재는 상기 본체 부재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덮개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덮개 부재가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2 형태에 따르면, 제1 형태에 기재된 촬상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은 물론, 특히 덮개 부재는 본체 부재에 나사 결합되어 덮개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덮개 부재가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복잡한 기구를 구비하는 일 없이 덮개 부재의 이동이 실현하게 되어, 촬상 장치의 비용 및 수고를 들이는 일 없이 광학 기능의 다기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또는 제2 형태에 기재된 광학 부재는 측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제2 압박 부재를 후방면으로 지지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부재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압박 부재를 전방면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3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또는 제2 형태에 기재된 촬상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제2 압박 부재는 광학 부재의 측방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의 후방면과, 본체 부재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의 전방면과의 사이에서 지지되므로, 제1 압박 부재에 의해 광학 부재가 기판 또는 촬상 소자에 접촉하도록 압박력이 가해지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기판이나 촬상 소자에 제2 압박 부재가 접촉하지 않으므로 기판이나 촬상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르면, 상면에 촬상 소자가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 혹은 상기 촬상 소자의 상면과 이격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고, 광축이 동등해지도록 전후로 적층된 전방 광학 부재와 후방 광학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와, 상기 촬상 소자 및 상기 광학 부재를 덮는 외부 프레임 부재이며, 상기 기판 상에 고정 설치된 본체 부재, 상기 광학 부재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부재의 선단부측에 부착된 덮개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광학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를 갖는 촬상 장치이며,
상기 덮개 부재와 상기 전방 광학 부재 사이에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어 상기 전방 광학 부재를 상기 후방 광학 부재측으로 압박하는 제1 압박 부재와,
상기 전방 광학 부재와 상기 후방 광학 부재 사이에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어 상기 전방 광학 부재를 상기 덮개 부재측으로 압박하는 제2 압박 부재와,
상기 후방 광학 부재를 상기 기판측으로 압박하는 제3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그곳에 있어서, 상기 전방 광학 부재가 상기 후방 광학 부재와 접촉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압박 부재의 압박력이 상기 제2 압박 부재의 압박력보다도 커져 있는 동시에, 상기 덮개 부재가 소정 거리 이상에 걸쳐서 광축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압박 부재의 압박력이 제1 압박 부재의 압박력보다도 커져 상기 전방 광학 부재가 광축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4 형태에 따르면, 광학 부재는 광축이 동등해지도록 상하로 적층된 전방 광학 부재와 후방 광학 부재로 구성되고, 외부 프레임 부재의 본체 부재의 전방측 선단부에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덮개 부재가 부착되고, 전방 광학 부재와 덮개 부재 사이에 본체 부재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가 설치되고, 덮개 부재와 전방 광학 부재 사이에 전방 광학 부재를 후방 광학 부재측으로 압박하는 제1 압박 부재가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고, 전방 광학 부재와 후방 광학 부재 사이에 전방 광학 부재를 덮개 부재측으로 압박하는 제2 압박 부재가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고, 후방 광학 부재를 기판측으로 압박하는 제3 압박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광학 부재가 후방 광학 부재와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제1 압박 부재의 압박력이 제2 압박 부재의 압박력보다도 커지는 동시에, 덮개 부재가 소정 거리이상에 걸쳐서 광축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 압박 부재의 압박력이 제1 압박 부재의 압박력보다도 커져, 전방 광학 부재가 광축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는 전방 광학 부재가 후방 광학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초점 거리에 의한 촬상과, 전방 광학 부재가 돌출부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초점 거리에 의한 촬상의 2개의 초점 조절이 가능해진다. 또한, 쌍방의 초점 거리가 형성될 때에 있어서, 전방 광학 부재는 제1, 제2 압박 부재에 의해 후방 광학 부재 또는 돌출부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므로 정밀도가 좋은 광학 기능이 실현된다. 또한, 전방 광학 부재의 이동에 의한 초점 조절은 덮개 부재의 이동 및 압박 부재의 배치에 의해 실현되므로, 촬상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의 비용과 수고가 드는 일 없이 광학 기능의 다기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를 전방 광학 부재와 후방 광학 부재로 나누어, 전방 광학 부재만을 이동시켜 초점 조절을 행하므로, 이동하는 광학 부재를 보다 작게 할 수 있게 되어 압박 부재 등의 소형화가 도모되어 보다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기재된 덮개 부재는 기억 형상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가열됨으로써 변형하여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5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기재된 촬상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덮개 부재는 기억 형상 합금으로 이루어져 가열됨으로써 변형하여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덮개 부재에 통전하는 등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 되어, 덮개 부재의 이동을 용이하고 또한 자동적으로 행해지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5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기재된 촬상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6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5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기재된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는 그 촬상 장치를 기초로 촬상 기능의 다기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6 형태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의 덮개 부재를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이동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7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6 형태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촬상 장치의 덮개 부재를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이동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촬상 장치의 초점 거리의 절환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광축(Y)을 따른 전후 방향을, 도1로부터 도3에 있어서는 도시에 있어서의 각각 상하측 방향으로서, 이하의 설명을 행한다.
여기서, 매크로 촬상 모드라 함은, 통상 촬상 모드보다도 촬영 거리(렌즈 및 피사체간의 거리)가 짧은 근접 촬영이나 접사 촬영에 적합한 촬상 처리를 행하기 위한 모드로 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는 기판(PC)과, 그 기판(PC)의 한 쪽 면(도면에 있어서 상면) 상에 배치된 촬상 소자(2)와, 이 촬상 소자(2)의 촬상 영역[후술의 광전(光電) 변환부(2a)]에 집광시켜 피사체상을 결상시키기 위한 광학 부재(1)와, 광학 부재(1)와 촬상 소자(2)를 덮어씌우는 미러 프레임(3)과, 미러 프레임(외부 프레임 부재)(3)에 구비된 차광성을 갖는 차광판(4)과, 차광판(4)에 지지되는 IR 커트 필터(5)와, 광학 부재(1)의 상측에 설치되고, 광학 부재(1)를 하측 방향[광축(Y)을 따라 후방]으로 압박하는 제1 압박 부재(6)와, 광학 부재(1)의 하측에 설치되고, 광학 부재(1)를 상측 방향[광축(Y)을 따라 전방]으로 압박하는 제2 압박 부재(7)와, 기판(PC)에 부착되어 미러 프레임(3)의 기판(PC)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 결정 전기 부품(8) 등을 구비하고 있다.
광학 부재(1)는 투명한 글래스 또는 플라스틱 재료를 소재로 하고, 도2,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PC)측[광축(Y)을 따라 후방]에 배치되는 제1 렌즈 부재(9)(후방 광학 부재)와, 이 제1 렌즈 부재(9)의 상방[광축(Y)을 따라 전방]에 구비된 제2 렌즈 부재(10)(전방 광학 부재)와, 제1 렌즈 부재(9)와 제2 렌즈 부재(10) 사이에 설치되고, 제1 렌즈 부재부(9)에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교축판(11)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렌즈 부재(9)와 제2 렌즈 부재(10)와의 광축(Y)은 동일로 되어 있다.
제1 렌즈 부재(9)는 볼록 렌즈 형상의 렌즈부(9a)와, 렌즈부(9a)의 주위에 관형의 하측 다리부(9b)를 구비한 것이고, 하측 다리부(9b)의 하단부에는 통상 촬상 모드일 때에 촬상 소자(2)의 표면에 접촉하는 접촉부(9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 다리부(9b)의 측부에는 미러 프레임(3)과 접촉하도록 측방으로 연장된 연장부(9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9d)의 하면[광축(Y)을 따라 후방면]에는 제2 압박 부재(7)의 일단부가 탄발적으로 접하고 있다. 또한, 연장부(9d)의 상방[광축(Y)을 따라 전방]에는 미러 프레임(3)의 내벽에 설치되고, 내벽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e)(후술)가 그 하면에서 연장부(9d)의 상면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매크로 촬상 모드인 경우, 제2 압박 부재(7)의 압박력에 의해, 제1 렌즈 부재(9) 및 그것에 적층되어 있는 제2 렌즈 부재(10)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1)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게 하여 이동하지만, 돌출부(3e)에 연장부(9d)가 접촉함으로써 상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매크로 촬상 모드에 있어서의 광학 부재(1)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또한, 제1 렌즈 부재(9)의 하측 다리부(9b)의 상면에는 제1 압박 부재(6)의 하단부가 탄발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 촬상 모드시, 이 제1 압박 부재(6)에 의해 제1 렌즈 부재(9)가 하측 방향으로 압박됨으로써, 제1 렌즈 부재(9)는 촬상 소자(2) 상에 접촉되고, 통상 촬상 모드의 광학 부재(1)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게 되어 있다.
또한, 하측 다리부(9b)의 상면에는 제2 렌즈 부재(10)와 결합하는 결합부(9e)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부(9e)는 하측 다리부(9b)의 상면으로부터, 렌즈부(9a)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결합부(9e)의 내측이며, 렌즈부(9a)의 주위에는 차광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렌즈부(9a)의 F 번호를 규정하는 교축으로서의 개구(11a)를 갖는 교축판(11)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렌즈 부재(10)는 렌즈부(10a)의 주위에 관 형상의 하측 다리부(10b)를 구비한 것이고, 이 하측 다리부(10b)의 하방에는 제1 렌즈 부재(9)의 결합부(9e)에 결합되는 피결합부(10c)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피결합부(10c)는 하측 다리부(10b)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링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외주위면이 제1 렌즈 부재(9)의 결합부(9e)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그 하면이 교축판(11)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하측 다리부(10b)의 하면이 제1 렌즈 부재(9)의 하측 다리부(9b)의 상면과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렌즈 부재(9)의 결합부(9e)와 피결합부(10c)와는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렌즈 부재(10)는 제1 렌즈 부재(9)와 연동하여 상하측 방향[광축(Y)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렌즈 부재(9)의 결합부(9e)와 제2 렌즈 부재(10)의 피결합부(10c)가 결합함으로써, 제1 렌즈 부재(9)와 제2 렌즈 부재(10)와의 광축(Y)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촬상 소자(2)는 이미지 센서이고, 예를 들어 CMOS형 이미지 센서, CCD형 이미지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다. 직사각형 박판형의 촬상 소자(2)의 하면은 기판(PC)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촬상 소자(2)의 상면 중앙에는 화소가 2차원적으로 배열된 촬상 영역으로서의 광전 변환부(2a)가 형성되어 있다. 그 외측의 비촬상 영역(2b)에 제1 렌즈 부재(9)의 접촉부(9c)가 접촉하는 동시에 처리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처리부의 외연 근방에는 복수의 패드(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결선용 단자인 패드는 와이어(W)를 통해 기판(PC)에 접속되어 있다. 와이어(W)는 기판(PC) 상의 소정의 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기판(PC) 상의 소정의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미러 프레임(3)은 차광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이고, 광학 부재(1)의 외측에 배치되어 외부 프레임 부재로서 기능한다.
미러 프레임(3)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상부(34)와, 각기둥 형상의 하부(3b)를 구비하는 본체 부재(3c)와, 본체 부재(3c)의 상부(3a)의 상단부[광축(Y)에 따른 방향에서의 전단부]에 별도 설치되어 있는 덮개 부재(3d)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 부재(3c)의 하부(3b)의 하단부는 기판(PC) 상에 접착제(B)에 의해 고정 부착된다.
또한, 본체 부재(3c)의 상부(3a)의 내주면에는 광학 부재(1)와 덮개 부재(3d) 사이에,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3e)가 설치되어 있어 매크로 촬상 모드인 경우, 이 돌출부(3e)의 하면에 제1 렌즈 부재(9)의 연장부(9d)가 접촉한다.
또한, 본체 부재(3c)의 하부(3b)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제2 압박 부재(7)를 지지하는 지지부(3f)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3f)는 제1 렌즈 부재(9)의 다리부(9c)에 결합하고 있어, 이 결합에 의해, 광학 부재(1)는 제1 광학부(10)의 렌즈부(9a)의 광축(Y)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방지되도록 미러 프레임(3)에 위치 규제된다.
이와 같이, 광학 부재(1)는 미러 프레임(3)에 위치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PC)의 소정 위치에, 예를 들어 후술하는 위치 결정 전기 부품(8)을 기초로 하여, 미러 프레임(3)을 위치 결정하여 배치함으로써, 기판(PC)의 소정 위치에 광학 부재(1)를 배치할 수 있어, 예를 들어 기판(PC)에 구비된 촬상 소자(2)의 광전 변환부(2a) 중심과, 미러 프레임(3)에 끼워 맞춘 제1 렌즈 부재(9)의 렌즈부(9a)의 광축(Y)을 일치시키도록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1)는 미러 프레임(3)에 위치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PC)의 소정 위치에 미러 프레임(3)이 배치되어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는, 광학 부재(1)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기 어렵고, 예를 들어 광학 부재(1)의 렌즈부(9a)의 광축(Y)과, 촬상 소자(2)의 광전 변환부(2a)의 중심이 일치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미러 프레임(3)의 덮개 부재(3d)는 상부(3a)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어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미러 프레임(3)의 상부(3a)로부터 상방[광축(Y)을 따라 전방향]에 조출되도록 하여 광축(Y)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3d)는 광학 부재(1)의 상면을 덮는 형상인 동시에, 제2 렌즈부(10)에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1 교축으로서의 개구부(3d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3d)의 이동은, 예를 들어 촬상 장치(100)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레버 부재 및 스위치 부재 등을 이용한 수동 조작이나, 구동 모터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한 자동 조작 등이라 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덮개 부재(3d)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미리 형상 기억된 온도로 가열됨으로써, 변형하여 광축(Y)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차광판(4)은 덮개 부재(3d)의 상단부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차광판(4)은 그 중앙에 제2 교축으로서의 개구(4a)를 갖고 있다.
IR 커트 필터(5)는 적외선 흡수 특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차광판(4) 중앙의 개구(4a)의 하방에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차광판(4)과 IR 커트 필터(5)로 커버 부재(12)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기판(PC)과 미러 프레임(3)과 커버 부재(12)가 밀착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촬상 장치(100)는 방진 및 방습의 구조를 갖는다.
제1 압박 부재(6), 제2 압박 부재(7)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압박 부재(6)는 제1 렌즈 부재(9)와, 덮개 부재(3d) 사이에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고, 제2 압박 부재(7)는 제1 렌즈 부재(9)와, 미러 프레임(3)의 하방으로 형성된 지지부(3f) 사이에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부재(3d)가 본체 부재(3c)의 상면보다 조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제1 압박 부재(6)는 제2 압박 부재(7)보다도 탄성력이 강해지고 있다. 따라서, 제1 렌즈 부재(9)는 도면에 있어서 하방[광축(Y)을 따라 후방]을 향해 소정의 압박력에 의해 압박되고, 촬상 소자(2)에 접촉하도록 압박되어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렌즈 부재(9)가 촬상 소자(2)에 접촉하도록 위치 결정된 상태를, 통상 촬상 모드로 설정된 상태로 한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부재(3d)가 회전 이동하게 함으로써, 상방[광축(Y)을 따라 전방]으로 조출되면, 제1 압박 부재(6)의 탄성력이 약해져 제2 압박 부재(7)의 탄성력이 제1 압박 부재(6)의 탄성력보다도 커진다. 그렇게 하면 제2 압박 부재(7)의 압박력에 의해, 제1 렌즈 부재(9)가 상방[광축(Y)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접촉부(9c)는 촬상 소자(2)의 상면으로부터 이격한다. 그리고, 미러 프레임(3)의 돌출부(3e)의 하면에 제1 렌즈 부재(9)의 연장부(9d)가 접촉함으로써 그 이상의 이동(이격 거리)이 규제된다.
또한, 이 때, 제1 렌즈 부재(9)에 적층되어 있는 제2 렌즈 부재(10)도 제1 렌즈 부재(9)와 연동하여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광학 부재(1)의 제1 렌즈 부재(9)가 돌출부(3e)에 접촉하도록 위치 결정된 상태를 매크로 촬상 모드로 설정된 상태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매크로 촬상 모드인 경우, 광학 부재(1)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는, 즉 광학 부재(1)의 초점 거리가 통상 촬상 모드인 경우에 비해 짧아지기 때문에, 피사체의 접사 촬영 및 근접 촬영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상 촬상 모드시, 제1 압박 부재(6)의 압박력이 제2 압박 부재(7)의 압박력보다도 크므로, 광학 부재(1)는 촬상 소자(2)에 접촉하도록 도2 중 하측 방향으로 압박되지만, 제2 압박 부재(7)의 하단부는 본체 부재(3c)의 지지부(3f)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제2 압박 부재(7)의 탄성력에 의해 완충 작용이 기능하므로 촬상 소자(2)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위치 결정 전기 부품(8)은, 예를 들어 컨덴서, 저항, 다이오드 등이고, 도2에 있어서 기판(PC) 상의 촬상 소자(2)와 미러 프레임(3) 사이이며, 미러 프레임(3)에 근접하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PC)으로부터 위치 결정 전기 부품(8)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는 기판(PC)으로부터 촬상 소자(2)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 전기 부품(8)은 미러 프레임(3)을 기판(PC) 상에 고정 부착할 때, 미러 프레임(3)의 위치 결정 지표가 된다. 또한, 위치 결정 전기 부품(8)의 상단부가 촬상 소자(2)의 상단부보다도 높아져 있으므로, 미러 프레임(3)이 촬상 소자(2)에 접촉하여 촬상 소자(2)의 와이어(W) 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위치 결정 전기 부품(8)은, 예를 들어 컨덴서, 저항, 다이오드 등에 한정되지 않고, 촬상 장치(100)에 필요한 전기 부품이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00)에 있어서, 미러 프레임(3)의 본체 부재(3c)의 상면에 광축(Y)을 따라 이동 가능한 덮개 부재(3d)가 부착되고, 광학 부재(1)와 덮개 부재(3d) 사이에, 본체 부재(3c)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3e)가 설치되고, 덮개 부재(3d)와 광학 부재(1) 사이에 광학 부재(1)를 기판(PC)측으로 압박하는 제1 압박 부재(6)가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고, 지지부(3e)와 광학 부재(1) 사이에 광학 부재(1)를 덮개 부재(3d)측으로 압박하는 제2 압박 부재(7)가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1)가 촬상 소자(2)와 접촉한 상태에서는, 제1 압박 부재(6)의 압박력이 제2 압박 부재(7)의 압박력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덮개 부재(3d)가 상방[광축(Y)을 따라 전방]에 소정의 거리 이상 이동하면, 제2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이 제1 압박 부재(6)의 압박력보다도 커져 광학 부재(1)가 상방[광축(Y)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부(3e)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100)는 광학 부재(1)가 촬상 소자(2)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의 초점 거리(통상 촬상 모드)와, 광학 부재(1)가 돌출부(3e)에 접촉하고, 통상 촬상 모드보다도 피사체까지의 초점 거리가 짧은 초점 거리의 매크로 촬상 모드와의 2개의 초점 거리(촬상 모드)에 의한 촬상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양쪽의 촬상 모드에 있어서, 제1 압박 부재(6) 및 제2 압박 부재(7)에 의해, 광학 부재(1)는 촬상 소자(2)로의 접촉, 또는 돌출부(3e)에의 접촉에 의해, 위치 결정되므로, 정밀도가 좋은 광학 기능이 실현된다.
또한, 압박 부재 등의 간이한 부재의 배치나, 덮개 부재(3d)의 이동에 의한 초점 거리의 조절 및 절환할 수 있으므로, 제조의 비용 및 수고를 들이는 일 없이, 광학 기능의 다기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3d)는 본체 부재(3c)에 나사 결합되고, 덮개 부재(3d)를 회전시킴으로써, 덮개 부재(3d)가 광축(Y)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잡한 기구를 구비하는 일 없이 덮개 부재(3d)의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00)의 각 부재의 형상 및 구성 등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광학 부재(1)는 제1 렌즈 부재(9)와, 제2 렌즈 부재(1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설명을 행하였지만, 하나의 렌즈 부재만을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다음에, 도4 및 도5에 관련하여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00)의 변형예인 촬상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촬상 장치(100)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도4는 통상 촬상 모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200)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고, 도5는 매크로 촬상 모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200)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4,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200)에 있어서의 광학 부재(1)의 제2 렌즈 부재(10)는 미러 프레임(3)의 내주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0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10e)는 매크로 촬상 모드에 있어서, 돌출부(3e)와 접촉하고, 이 접촉에 의해 제2 렌즈 부재(10)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제2 렌즈 부재(10)의 상면과, 덮개 부재(3d)의 하면 사이에 제2 렌즈 부재(10)를 제1 렌즈 부재(9)의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3 압박 부재(청구항 4에 있어서 기재된 제1 압박 부재에 상당)(13)가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렌즈 부재(10)의 연장부(10e)의 하면과, 제1 렌즈 부재(9)의 상면 사이에 제2 광학부(9)를 상방으로 압박하는 제4 압박 부재(청구항 4에 있어서 기재된 제2 압박 부재에 상당)(14)가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3e)의 하면과, 제1 렌즈 부재(9)의 상면 사이에 제1 렌즈 부재(9)를 하측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5 압박 부재(청구항 4에 있어서 기재된 제3 압박 부재)(15)가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어 있다. 이 제5 압박 부재(15)에 의한 압박력은 제3 압박 부재(13), 제4 압박 부재(14)의 압박력에 영향받는 일 없이, 제1 렌즈 부재(9)의 접촉부(9c)를, 통상 촬상 모드 및 매크로 촬상 모드 중 어느 쪽에 있어서도, 촬상 소자(2)의 비촬상 영역(2b)에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부재(3d)가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통상 촬상 모드로서 제3 압박 부재(13)의 압박력 쪽이 제4 압박 부재(14)의 압박력보다도 큰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렌즈 부재(10)는 제1 렌즈 부재(9) 상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부재(3d)가 소정 거리 이상에 걸쳐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3 압박 부재(13)의 압박력보다도 제4 압박 부재(14)의 압박력 쪽이 커지고, 상기 제4 압박 부재(14)의 압박력에 의해 제2 렌즈 부재(10)가 제1 렌즈 부재(9)로부터 이격하여 상방으로 이동하고, 연장부(10e)가 돌출부(3e)에 접촉함으로써, 그 이상의 이동(이격 거리)이 규제되어 매크로 촬상 모드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 매크로 촬상 모드에 있어서, 제2 렌즈 부재(10)가 피사체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 촬상 모드인 경우에 비해 피사체까지의 초점 거리가 짧아지고, 따라서 피사체의 접사 촬영 및 근접 촬영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200)에 따르면, 적층된 2개의 광학 부재 중 한 쪽만을 이동시킴으로써 초점 조절을 행하고, 2개의 촬상 모드(초점 거리)에 있어서의 촬상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2 렌즈 부재(10)만을 이동시켜 초점 조절을 행하기 때문에, 제1 렌즈 부재(9)와 제2 렌즈 부재(10)의 양쪽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해 이동시키기 위한 압박력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제3 압박 부재(13), 제4 압박 부재(15), 제5 압박 부재(16)의 소형화, 촬상 장치(200)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도6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단말 장치의 일예인 휴대 전화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10)는, 제1 하우징(111a) 및 제2 하우징(111b)이 힌지 결합부(111c)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형성된 절첩식인 것이다.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시에 내측이 되는 면에는, 후술하는 입력부(112) 및 표시부(113)가 배치되어 있다. 입력부(112)에는 카메라 버튼, 기능 키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시에 외측이 되는 면을 피사체를 향해 촬상 가능하도록, 상술한 촬상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10)의 상부에는 안테나(114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하우징(111b) 내의 배면측에는 충전 팩 등의 전원 제어부(117)가 설치되어 있다.
도7은 도6의 휴대 전화기(11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10)는 제어부(111), 입력부(112), 표시부(113), 안테나(114a)를 갖는 무선 통신부(114), 기억부(115), 촬상 장치(100), 전원 제어부(117), 송수화부(118)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각 부분은 버스(11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1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1a), 바꿔 쓰기 가능한 반도체 소자로 구성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111b), 불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로 구성되는 ROM(Read 0nly Memory)(111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ROM(111c)에는, 도시하지 않은 휴대 전화기(110)의 기본 동작 제어 프로그램, 통신 처리 프로그램, 표시부(113)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 촬상에 관한 변수 데이터(자동 촬상용의 디폴트의 설정 데이터, 프리뷰 표시 처리용의 디폴트의 설정 데이터) 등 외, 촬상 제어 프로그램(c1), 코드 인식 프로그램(c2), 코드 인식용 데이터(c3)가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코드 인식용 데이터(c3)는 화상 데이터에 정보 코드로서의 이차원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코드 유사성 계수(Q)를 설정할 때의 기준 데이터이다.
CPU(111a)는 입력부(112)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지시 또는 무선 통신부(11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서, ROM(111c)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 중으로부터 지정된 프로그램을 RAM(111b)의 워크 영역에 전개하고, 이 입력 지시 및 입력 데이터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CPU(111a)는 그 처리 결과를 RAM(111b)의 소정의 영역에 저장하는 동시에, 표시부(113)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 CPU(111a)는 ROM(111c)에 기억되는 촬상 제어 프로그램(c1)을 판독하고, 후술하는 촬상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촬상 제어 처리로서, CPU(111a)는 입력부(112)로부터 입력되는 바닥이 있는 조작 지시 등에 따라서, 촬상 장치(100)를 제어하여 촬상시킨 촬상 화상 데이터를 RAM(111b)에 소정의 메모리 등에 저장한 후에, 프레임 비율(25fps)로 표시부(113)에 프리뷰 표시시킨다.
또한, CPU(111a)는 코드 인식 프로그램(c2)에 따라서, 촬상 화상 데이터에 대해 이차원 코드인 가능성이 있는 이차원 코드 대상을 인식하는 코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CPU(111a)는 5 프레임마다 촬상 화상 데이터와, 코드 인식용 데이터(c3)를 대조함으로써, 촬상 화상 데이터에 이차원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을 실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111a)는 촬상 화상 데이터와, 유사성 계수 산정용 정보로서의 코드 인식용 데이터(c3)를 대조함으로써, 이차원 코드 대상에 코드 유사성 계수를 산출하고, 이 코드 유사성 계수의 값을 기초로 하여, 이차원 코드인 가능성이 있는 이차원 코드 대상(정보 코드 대상)이나 이차원 코드를 인식한다.
또한, CPU(111a)는 코드 유사성 계수가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결정적이 아닌 수치라고 판단한 이차원 코드 대상이 있는 경우, 촬상 장치(100)를, 통상 촬상 모드로부터 매크로 촬상 모드에 의한 촬상 처리를 행하도록 절환하기 위해 덮개 부재(3d)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CPU(111a)는 촬상 화상 데이터 중에 이차원 코드를 인식한 경우에는 이차원 코드의 디코드 처리하는 동시에, 표시부(113)에 표시시킨다.
또한, CPU(111a)는 디코드 처리를 행한 정보 코드의 정보를 기초로 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입력부(112)는 텐키, 각종 기능 스위치, 통화 모드 및 카메라 모드의 절환을 행하는 모드 절환 스위치 등을 구비하고 있고, 촬상 처리의 실시 지시의 입력 등에 이용된다.
표시부(1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등에 의해 구성되고, 제어부(11)로부터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화면 표시를 행한다. 또한, 표시부(113)는, 후술하는 촬상 장치(100)에 의해 프리뷰 촬상된 화상이나, 제어부(111)에 의해 복호(디코드)된 코드 정보 내용 등을 표시한다.
무선 통신부(114)는 무선 기지국(도시 생략) 사이에서 착신이나 발신 등에 관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안테나(114a)를 구비하고, 제어부(111)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 무선 기지국 사이에서, 예를 들어 IMT-2000 준거의 통신 방식(예를 들어, W-CDMA나 cdma2000)에 대응하는 휴대 전화용의 통신 프로토콜을 실행하고, 이 통신 방식으로 설정되는 통신 채널에 의해 송수화 음성의 송수신이나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기억부(115)는 제어부(111)에 의해 실행된 처리 결과의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예를 들어, 기억부(115)는 촬상 장치(100)에 의해 촬상된 화상의 데이터, 무선 통신부(114)를 통해 송수신한 메일의 데이터 및 통화 이력의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촬상 장치(100)는 상술한 구성이고, 광학 부재(1)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을 촬상 소자(2)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촬상 소자(2)의 CCD형 이미지 센서 등은, 주위의 광량을 검출하는 광학 센서로서의 기능을 갖고, 주위의 광량에 따른 검출 신호를 제어부(111)에 출력한다.
또한, 촬상 장치(100)의 덮개 부재(3d)는 제어부(111)의 제어를 기초로 하여 구동되는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광축(Y)을 따라 이동된다. 즉, 촬상 장치(100)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통상 촬상 모드와, 매크로 촬상 모드에 의한 촬상 처리가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원 제어부(117)는, 예를 들어 리튬 전지, 니켈 전지, 니카드 전지 등의 2차 전지에 의해 구성되어 전원이 투입되면,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서 플러스측의 단자 및 마이너스측의 단자로부터 휴대 전화기(110)의 각 부분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에 소정 전압의 전원을 공급한다.
송수화부(118)는 마이크, 스피커, A/D 변환부 및 D/A 변환부(어느 쪽도 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바닥이 있는 송화 음성을 A/D 변환 처리하고, 그 송화 음성 데이터를 CPU(111a)에 출력하는 동시에, CPU(111a)로부터 입력되는 수화 음성 데이터나, 착신음, 조작 확인음, 셔터음 등의 음성 데이터를 D/A 변환 처리하여 스피커로부터 출력한다.
이하, 도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휴대 전화기(110)에 있어서의 촬상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110)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12)의 소정의 버튼이 압하됨으로써 CPU(111a)는 촬상 처리의 지시의 입력이라고 판단하고, ROM(111c)에 기억되어 있는 촬상 제어 프로그램(c1)을 판독하여 RAM(111b)에 전개하고, 상기 촬상 제어 프로그램(c1)에 따라서 촬상 처리의 제어를 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110)의 촬상 장치(100)를 피사체를 향함으로써, 피사체를 촬상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CPU(111a)는 구체적으로는, RAM(111b)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의 카운트 수를 0(N = 0)으로 리셋하고(스텝 S101), 통상 촬상 모드에 의한 촬상 처리의 개시 지시를 촬상 장치(100)에 출력한다.
그렇게 하면, 촬상 장치(100)는 통상 촬상 모드에 있어서의 촬상 처리로서, 광학 부재(1)에 의해 집광되어 촬상 소자(2)의 광전 변환부(2a)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상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제어부(111)에 출력한다(스텝 S102).
그러면, 제어부(111)의 CPU(111a)는 촬상 장치(100)보다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촬상 화상 데이터를 RAM(111b)에 저장하는 동시에, 이 촬상 화상을 프레임 비율(25fps)에서 표시부(113)에 표시시키는 프리뷰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03). 또한, CPU(111a)는 프리뷰 표시 처리의 실행과 함께 촬상 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의 프레임 수를 카운트(N = N + 1)하고(스텝 S104), 프레임 수가「5」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105).
그리고, CPU(111a)는 프레임 수가「5」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105 : 예)에는 스텝 S106으로 이행하고, 프레임 수가 5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105 : 아니오)에는 스텝 S102로 이행하여, 이후의 공정을 반복한다.
계속해서, 스텝 S106 내지 스텝 S108에 있어서, CPU(111a)는 ROM(111c)에 기억되어 있는 코드 인식 프로그램(c2)을 판독하여 RAM(111b)에 전개하고, 이 코드 인식 프로그램(c2)에 따라서 코드 인식 처리의 제어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CPU(111a)는 프레임 수가「5」가 되었을 때 피사체의 촬상 화상 데이터와, 코드 인식용 데이터(c3)를 비교 대조함으로써, 이차원 코드의 인식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인식 처리의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피사체의 촬상 화상 데이터에 이차원 코드인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절취 심볼을 검출함으로써 인식하는 방법, 혹은 피사체의 촬상 화상 데이터의 농도에 의해 인식하는 방법, 이차원 코드의 소정의 모자이크 형상을 인식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CPU(111a)는 스텝 S106에 있어서, 촬상 화상 데이터와 유사성 계수 산정 정보로서의 코드 인식용 데이터(c3)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촬상 화상 데이터의 2차원 코드일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코드 유사성 계수(Q)를 산출한다.
계속해서, CPU(111a)는 산출된 코드 유사성 계수(Q)의 값이「0.5」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107), Q가「0.5」이상이라 판단한 경우(스텝 S107 : 예)에는 소정의 2차원 코드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스텝 S108로 이행한다.
한편, CPU(111a)는 산출된 코드 유사성 계수(Q)가 0.5 미만이라 판단한 경우(스텝 S107 : 아니오)에는 2차원 코드일 가능성이 적다고 판단하고, 프레임의 카운트를「0」으로 리세트 설정(N = 0)한 (스텝 109) 후에 스텝 S102로 이행하고, 이후의 공정인 프리뷰 표시 처리와 5 프레임마다의 코드 인식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CPU(111a)는 5 프레임마다 피사체의 촬상 화상 데이터에 대해 2차원 코드의 인식 처리를 실행한다. 따라서, CPU(111a)의 처리 부하가 저감되게 되고, 이와 함께 실행하는 피사체의 촬상 화상 데이터의 취득 처리 및 상기 촬상 화상 데이터의 프리뷰 표시 처리로의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스텝 S108에 있어서, CPU(111a)는 코드 유사성 계수(Q)가「1」인지 여부를 판단하여,「1」이라 판단한 경우(스텝 S108 : 예)에는 2차원 코드라 판단하고 스텝 S110으로 이행한다.
한편, CPU(111a)는 코드 유사성 계수(Q)가「0.5」이상이지만「1」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108 : 아니오)에는 2차원 코드의 가능성이 있지만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서의 2차원 코드 대상(정보 코드 대상)이라 인식한다. 그리고, CPU(111a)는 촬상 장치(100)에 매크로 촬영이 가능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덮개 부재(3d)를 피사체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매크로 촬상 모드 설정 처리를 실행하여(스텝 S111), 스텝 S109로 이행한다.
그리고 이후의 공정에서 매크로 촬상 모드에 있어서의 촬상 처리로서 CPU(111a)의 제어에 의해, 촬상 장치(100)의 덮개 부재(3d)의 광축(Y)에 따른 이동에 수반하여 광학 부재(1)의 제1 렌즈 부재(9)가 상방[광축(Y)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돌출부(3e)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광학 부재(1)와 촬상 소자(2)를 이용하여 매크로 촬상 모드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촬상 화상 데이터가 취득되고, 표시부(113)에 프리뷰 표시된다. 또한, CPU(111a)는 이 매크로 촬상 모드에 있어서의 촬상 처리, 프리뷰 표시 처리와 함께 매크로 촬상 모드에 의한 촬상 화상 데이터에 대해 5 프레임마다의 코드 인식 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 매크로 촬상 모드에 있어서의 촬상 처리는 통상 촬상 모드에 있어서의 촬상 처리에 비해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 적합하므로, 2차원 코드의 인식률이 향상되게 되고, 통상 촬상 모드에 있어서 2차원 코드로서의 가능성이 있지만 확정이 아닌 것으로서의 2차원 코드 대상이 2차원 코드로서 인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수반하여, 피사체의 촬상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2차원 코드의 인식률이 향상된다.
스텝 S110에 있어서, CPU(111a)는 인식된 2차원 코드의 디코드 처리를 실행하고, 그 2차원 코드의 코드 정보 내용을 표시부(113)에 표시시킨다(스텝 S112).
여기서, 표시부(113)에 표시되는 코드 정보 내용으로서는, 예를 들어 URL 어드레스, 전자 메일 어드레스 등의 문자 정보나, 임의의 화상 정보 등이다.
또한, 코드 정보 내용으로서의 문자 정보, 화상 정보 등의 표시부(113)에 표시 가능한 내용 외에, 예를 들어 코드 정보 내용이 음성 정보인 경우, 송수화부(118)로부터 방음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계속해서, CPU(111a)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12)의 조작에 의해, 표시부(113)에 표시된 코드 정보 내용에 대한 소정의 처리의 지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113), 지시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13 : 예)에는 상기 지시에 따른 처리를 실행(스텝 S114)하여 스텝 S115로 이행한다.
여기서, 코드 정보 내용에 대한 소정의 처리라 함은, 예를 들어 코드 정보 내용이 URL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상기 URL 어드레스로의 접속 지시, 코드 정보 내용이 전자 메일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상기 전자 메일 어드레스 앞의 전자 메일의 작성 지시, 코드 정보 내용이 전화 번호, 전자 메일 어드레스 등인 경우에는 어드레스장 등으로의 보존 처리, 그 밖의 표시부(113)의 표시 화상의 보존 처리 등이지만,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CPU(111a)는 스텝 S113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 신호의 입력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13 : 아니오), 스텝 S115로 이행한다.
계속해서, CPU(111a)는 사용자의 입력부(112)의 조작에 의해 촬상 처리의 종료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115), 입력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15 : 예)에는 촬상 장치(100)에 촬상 처리의 종료 지시를 출력함으로써 본 촬상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CPU(111a)는 촬상 처리의 종료 지시의 입력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15 : 아니오)에는 스텝 S109로 이행하여 이후의 공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촬상 제어 처리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100)에 의한 피사체의 촬상 화상 데이터의 취득 처리 및 그 촬상 화상 데이터의 프리뷰 표시 처리와 함께, 상기 촬상 화상 데이터 중 소정의 2차원 코드 데이터의 인식 처리 및 2차원 코드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가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명함이나 잡지 등에 붙어 있는 2차원 코드를 인식, 해독하기 위해 번거로운 설정을 하지 않아도 통상의 촬상 처리의 경우와 같은 조작을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2차원 코드의 판독, 해독을 행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사용성이 좋다.
또한, 예를 들어 통상 촬상 모드에 의한 촬상 화상 데이터의 핀트가 흐려지거나, 소음이 많이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2차원 코드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없지만, 그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2차원 코드의 인식에 적합한 매크로 촬상 모드에 의한 촬상 처리로 자동적으로 절환하도록 촬상 장치(100)가 제어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촬상 모드의 설정 변경의 수고를 들이지 않고, 2차원 코드의 인식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통상 촬상 모드에 의한 촬상 화상 데이터에 2차원 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적은 경우나, 명확하게 2차원 코드를 인식할 수 있던 경우에는 촬상 모드가 절환되지 않으므로,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술 내용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110)의 적합한 일예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촬상 장치(100)의 덮개 부재(3d)의 이동 방법은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휴대 전화기(110)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는 상술한 촬상 장치(100)를 탑재한 예에서 설명을 행하였지만, 촬상 장치(100)의 변형예인 촬상 장치(200)를 탑재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정보 코드의 일예로서 2차원 코드를 이용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2차원 코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바코드, 컬러 코드 등 어떠한 정보 코드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촬상 제어 처리에 있어서, 2차원 코드를 디코드하면, 그 코드 정보 내용을 표시부(113)에 표시시킨 후에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지시를 기초로 하여 2차원 코드의 정보 내용에 따른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설명을 행하였지만, CPU(111a)에 의해 코드 정보 내용이 해독되면 자동적으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110)의 세부 구성 및 상세 동작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 전화기(110)로 한정되지 않고, 퍼스널 컴퓨터, PDA 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휴대 전화, 퍼스널 컴퓨터, PDA, AV 장치, 텔레비전, 가정 전기 제품 등 다양한 것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Claims (7)
- 상면에 촬상 소자가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 혹은 상기 촬상 소자의 상면과 이격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고, 상기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와, 상기 촬상 소자 및 상기 광학 부재를 덮는 외부 프레임 부재이며, 상기 기판 상에 고정 설치된 본체 부재, 상기 광학 부재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부재의 선단부측에 부착된 덮개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광학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를 갖는 촬상 장치이며,상기 덮개 부재와 상기 광학 부재 사이에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어 상기 광학 부재를 상기 기판측으로 압박하는 제1 압박 부재와,상기 본체 부재의 하방에 형성된 지지 부재와 상기 광학 부재와의 사이에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어 상기 광학 부재를 상기 덮개 부재측으로 압박하는 제2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그곳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가 상기 기판 혹은 상기 촬상 소자와 접촉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압박 부재의 압박력이 상기 제2 압박 부재의 압박력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덮개 부재가 소정 거리 이상에 걸쳐서 광축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압박 부재의 압박력이 제1 압박 부재의 압박력보다도 커지고, 상기 광학 부재가 광축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본체 부재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덮개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덮개 부재가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측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제2 압박 부재를 후방면으로 지지하는 연장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부재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압박 부재를 전방면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상면에 촬상 소자가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 혹은 상기 촬상 소자의 상면과 이격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고, 광축이 동등해지도록 전후에 적층된 전방 광학 부재와 후방 광학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와, 상기 촬상 소자 및 상기 광학 부재를 덮는 외부 프레임 부재이며, 상기 기판 상에 고정 설치된 본체 부재, 상기 광학 부재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부재의 선단부측에 부착된 덮개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내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광학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를 갖는 촬상 장치이며,상기 덮개 부재와 상기 전방 광학 부재 사이에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어 상기 전방 광학 부재를 상기 후방 광학 부재측으로 압박하는 제1 압박 부재와,상기 전방 광학 부재와 상기 후방 광학 부재 사이에 탄발적으로 개재 장착되어 상기 전방 광학 부재를 상기 덮개 부재측으로 압박하는 제2 압박 부재와,상기 후방 광학 부재를 상기 기판측으로 압박하는 제3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그곳에 있어서 상기 전방 광학 부재가 상기 후방 광학 부재와 접촉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압박 부재의 압박력이 상기 제2 압박 부재의 압박력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덮개 부재가 소정 거리 이상에 걸쳐서 광축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압박 부재의 압박력이 제1 압박 부재의 압박력보다도 커져 상기 전방 광학 부재가 광축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기억 형상 합금으로 이루어져 가열됨으로써 변형되고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의 덮개 부재를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이동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026137A JP4300811B2 (ja) | 2003-02-03 | 2003-02-03 |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
JPJP-P-2003-00026137 | 2003-02-0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5195A true KR20050105195A (ko) | 2005-11-03 |
Family
ID=32844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14240A KR20050105195A (ko) | 2003-02-03 | 2004-02-02 | 촬상 장치 및 이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1591818A4 (ko) |
JP (1) | JP4300811B2 (ko) |
KR (1) | KR20050105195A (ko) |
CN (1) | CN1748166A (ko) |
TW (1) | TW200417807A (ko) |
WO (1) | WO2004070448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6495B1 (ko) * | 2005-12-19 | 2007-10-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촬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
KR100880281B1 (ko) * | 2006-04-27 | 2009-01-28 | 후지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회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42434B2 (ja) * | 2004-11-05 | 2011-03-02 | 京セラ株式会社 | カメラ付き携帯型電子機器 |
JP2006284841A (ja) * | 2005-03-31 | 2006-10-19 | Seiko Precision Inc | 固体撮像装置 |
JP2007047266A (ja) * | 2005-08-08 | 2007-02-22 | Konica Minolta Opto Inc | 撮像装置 |
JP2007086158A (ja) * | 2005-09-20 | 2007-04-05 | Konica Minolta Opto Inc | 撮像装置 |
JP2007086159A (ja) * | 2005-09-20 | 2007-04-05 | Konica Minolta Opto Inc | 撮像装置 |
JP4771061B2 (ja) * | 2005-08-26 | 2011-09-14 |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 駆動機構 |
KR101181536B1 (ko) | 2006-02-15 | 2012-09-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및 이의 구동 방법 |
KR101181645B1 (ko) * | 2006-02-15 | 2012-09-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자동 포커싱 기능을 가진 카메라 모듈 및 이의 구동 방법 |
US7556443B2 (en) | 2006-08-16 | 2009-07-07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Shock damping of optical lens components |
JPWO2008053676A1 (ja) * | 2006-11-02 | 2010-02-25 |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4339883B2 (ja) * | 2006-11-17 | 2009-10-07 |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撮像モジュール及び撮像モジュール用結像レンズ、並びに、撮像モジュールを用いた内視鏡 |
JP2009229781A (ja) * | 2008-03-24 | 2009-10-08 | Konica Minolta Opto Inc | 駆動機構および駆動装置 |
JP6327977B2 (ja) * | 2014-07-02 | 2018-05-23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7130974B2 (ja) * | 2018-02-05 | 2022-09-06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レンズ群移動機構及び光学機器 |
CN112492193B (zh) * | 2019-09-12 | 2022-02-18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回调流的处理方法及设备 |
CN116506533A (zh) * | 2022-08-08 | 2023-07-28 | 荣耀终端有限公司 |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制作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26520A (ja) * | 1984-11-26 | 1986-06-14 | Olympus Optical Co Ltd | 内視鏡用焦点調節装置 |
JPS63206728A (ja) * | 1987-02-24 | 1988-08-26 | Canon Inc | 物体移動兼位置決め装置 |
JPH0222985A (ja) * | 1988-07-12 | 1990-01-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接写装置 |
JPH0829656A (ja) * | 1994-07-14 | 1996-02-02 | Konica Corp | レンズ鏡胴 |
JPH10104491A (ja) * | 1996-09-27 | 1998-04-24 | Kyocera Corp | レンズ調整装置 |
JPH1172693A (ja) * | 1997-08-29 | 1999-03-16 | Canon Inc | カメラのレンズ駆動装置 |
TW523924B (en) * | 2001-01-12 | 2003-03-11 | Konishiroku Photo Ind |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lens |
JP3613193B2 (ja) * | 2001-03-30 | 2005-01-26 | 三菱電機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2002320122A (ja) * | 2001-04-20 | 2002-10-31 | Konica Corp | 撮像装置 |
JP2002350608A (ja) * | 2001-05-23 | 2002-12-04 | Konica Corp | 撮像レンズ、撮像装置、金型及び撮像レンズの成形方法 |
JP2004104423A (ja) * | 2002-09-09 | 2004-04-02 | Rohm Co Ltd | 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メラ装置 |
-
2003
- 2003-02-03 JP JP2003026137A patent/JP430081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01-30 TW TW093102229A patent/TW200417807A/zh unknown
- 2004-02-02 EP EP04707309A patent/EP1591818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2-02 WO PCT/JP2004/001005 patent/WO2004070448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2-02 CN CNA2004800034271A patent/CN1748166A/zh active Pending
- 2004-02-02 KR KR1020057014240A patent/KR2005010519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6495B1 (ko) * | 2005-12-19 | 2007-10-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촬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
KR100880281B1 (ko) * | 2006-04-27 | 2009-01-28 | 후지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회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300811B2 (ja) | 2009-07-22 |
TW200417807A (en) | 2004-09-16 |
EP1591818A1 (en) | 2005-11-02 |
JP2004266341A (ja) | 2004-09-24 |
WO2004070448A1 (ja) | 2004-08-19 |
EP1591818A4 (en) | 2007-06-27 |
CN1748166A (zh) | 2006-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50105195A (ko) | 촬상 장치 및 이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 | |
JP5148369B2 (ja) | カメラモジュール | |
US7656452B2 (en) | Imaging devic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image device producing method | |
KR20070040724A (ko) | 이미저 장치 | |
JP4110988B2 (ja) |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 |
US6710936B2 (en) | Image sensor module with zooming function | |
JP2007147951A (ja) | 波面コーディング画像形成装置及び撮像装置 | |
KR100619331B1 (ko) |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휴대단말기 | |
JP2003250071A (ja) | 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撮像装置 | |
JPWO2006035580A1 (ja) | レンズ鏡胴、および該レンズ鏡胴を備えた撮像装置、カメラ、携帯機器 | |
KR20080075641A (ko) | 줌렌즈 배럴 | |
US20050046736A1 (en) | Imaging device and portable equipment | |
KR20070104558A (ko) |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 |
JP4622237B2 (ja) |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 |
JP2004246172A (ja) |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 |
JP4396813B2 (ja) | 撮像ユニット | |
US20050047770A1 (en) | Imaging device and portable equipment | |
JP2004241822A (ja) | 携帯端末 | |
CN101170645A (zh) | 摄像装置 | |
KR20050044253A (ko) |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 |
JP2004246127A (ja) |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 |
JP2004233806A (ja) | 携帯端末 | |
JP2004236137A (ja) | 携帯端末 | |
JP2004279505A (ja) |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 |
JP2004233805A (ja) | 携帯端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