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331B1 -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331B1
KR100619331B1 KR1020040003860A KR20040003860A KR100619331B1 KR 100619331 B1 KR100619331 B1 KR 100619331B1 KR 1020040003860 A KR1020040003860 A KR 1020040003860A KR 20040003860 A KR20040003860 A KR 20040003860A KR 100619331 B1 KR100619331 B1 KR 100619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barrel
housing
image sensor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6062A (ko
Inventor
오승만
조용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3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33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의 초점거리 변화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저가로 공급가능하며,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기기에 적용이 용이한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영상을 모아주는 렌즈군이 조립되는 경통; 상기 경통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경통과 함께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리테이너; 상기 이미지 센서와 동일 광축상에 존재하며, 제1 초점위치와 제2 초점위치를 선택적으로 결정하도록 상기 경통과 리테이너를 동시에 광축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매크로 구동부재; 제1 초점위치에서 제2 초점위치로 이동시 초점거리 이동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리테이너의 상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캡부재; 및 상기 이미지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부품인 콘덴서(C), 저항(R)의 칩 부품 및 실장용 기판(FP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카메라, 모듈, 리테이너, 매크로, 경통, 하우징

Description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휴대단말기{DIGITAL CAMERA MODULE HAVING MACRO FUNCT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스크류 회전방식의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모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 모듈의 결합사시도로서, 도 3a는 원거리 촬영 시, 도 3b는 근접촬영 시 매크로 동작편의 회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로서, 도 4a는 원거리 촬영 시, 도 4b는 근접촬영 시 매크로 동작편의 회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 이미지 센서
12 : 돌출부 13 : 홀
20 : 경통 21 : 렌즈군
22 : 수나사 30 : 리테이너
31 : 암나사 32 : 요홈
33 : 경사홈 40 : 매크로 구동부재
41 : 레버 42 : 돌기
50 : 압축 코일스프링 60 : 캡부재
본 발명은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의 초점거리 변화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저가로 공급가능하며,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기기에 적용이 용이한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의 수단으로만 여겨지던 휴대전화기가 정보기기로서의 영역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통신회사에서 도입하고 있는 데이터 접속 코드의 인식, 보안장치 등의 휴대기기를 통한 정보의 입력장치로 카메라가 이용되고 있다.
데이터 접속 코드의 경우는 국내의 통신회사에서 코드를 이용하여 좀더 인터넷에 접근을 손쉽게 하려는 시도로서, 종래의 여러 단계를 거처 인터넷을 이용하던 과정을 신문, 잡지 등과 같은 인쇄물에 인쇄된 상품의 정보나 서비스의 내용이 담겨있는 코드를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읽어들임으로서, 바로 인터넷 서비스로 접속을 가능하게 하여 모바일 쇼핑, 모바일 예매 등의 쇼핑과 정보의 이용을 손쉽게 가능하게 한다.
또한, 휴대기기의 기능이 보안기능 등 다양화함에 따라 보안이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 지문인식 기능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근접촬영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휴대기기를 통한 정보의 입력기능으로 상대방의 명함의 촬영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활용하는데 있어서도 근접촬영(Macro, 접사)기능이 필요한 것이다.
이와 같이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휴대기기가 요구되는 실정이지만, 기존의 휴대기기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는 원거리에 초점이 맞춰져있어 근접촬영 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근접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휴대기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소형화기술이 요구되어졌다.
일반적으로 휴대기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꿔주는 반도체 화합물(CCD 또는 CMOS 센서)과, 이를 지지해주는 하우징과, 수광부인 반도체 화합물에 피사체의 영상을 모아주는 렌즈 군과, 이 렌즈군을 지지해주는 경통으로 구성된다.
또한,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부품인 콘덴서(CONDENSER)와, 저항(R)의 칩 부품 및 실장용 기판(FPC)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카메라 모듈의 조립은 상기 실장용 기판인 FPC에 센서 및 회로부품을 실장한 상태에서 하우징과 본딩조립하고, 별도로 렌즈를 조립한 경통을 상기 하우징과 나사체결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일정거리에 해상도 차트를 놓고 초점조정을 한다.
이때, 피사체(해상도 차트)의 거리는 50㎝에서 무한대로 두고 초점조정 후 고정한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근접촬영(매크로, 접사) 기능에 필요한 초점거리는 10㎝ 이내로, 이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초점의 이동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렌즈의 초점을 이동시켜 센서에 영상을 보내었다.
첨부한 도 1은 종래의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렌즈(도시생략)가 조립되어 있는 경통(1)과, 상기 경통(1)이 조립되는 하우징(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통(1)은 원통형 형상으로 외부에 수나사(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2)은 상기 경통(1)의 수나사(1a)와 결합되도록 암나사(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의 저면에는 전기회로가 편성되어 있는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스트레이트(3)의 상면에는 디지털 이미지의 저장과 전송기술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고해상도의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도시생략)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수나사(1a)와 암나사(2a)가 체결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 경통(1)을 회전시켜 렌즈와 센서간의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초점거리를 조정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스크류 회전방식은 구성이 간단한 장점이 있는 반면, 상기 수나사(1a)와 암나사(2a)의 정밀도가 떨어지면 흔들림에 의한 틸트(tilt)가 발생하여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수나사(1a)와 암나사(2a)의 정밀도가 좋아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또한, 초점 조정에 필요한 거리가 수나사(1a)와 암나사(2a)의 피치(pitch)와 관계되므로 상기 수나사(1a)의 회전각도가 커서 미세조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조정 레버(도시생략)를 이용할 경우 수나사(1a)의 회전과 같이 움직이게 되므로 레버가 사선방향으로 움직이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근접촬영 기능의 카메라 모듈의 다른 예로서, 캠을 이용한 근접촬영 방식이 있다.
캠을 이용한 구성은, 렌즈가 조립되어 있는 바렐과, 센서가 안착되어 있는 하우징 사이에 캠 기구를 두어 회전하는 조정레버의 회전운동이 캠에 의해 상하 직진운동으로 바뀜에 따라 렌즈와 센서 사이의 거리를 변경함으로서 초점거리를 조정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캠구조는 조정부의 미소 이동으로도 충분한 초점 조정이 가능하고, 휴대기기에 적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 캠 가공이 어렵고, 박형 소형화 제작이 매우 어려우며, 장기간 사용시 이물 발생에 따른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근접촬영 기능의 카메라 모듈의 다른 예로서, 자기 회로에 의한 이송방식이 있다.
이는 경통의 외부에 마그네트와 코일, 요크를 두어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극성에 따라 추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렌즈와 센서 사이의 거리를 변경함으로서 초점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자기 회로에 의한 이송은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렌즈를 이동시킴으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부품이 많아짐에 따라 모듈 사이즈의 소형화에 어려운 단점이 있고, 코일이 단선되기 쉬울 뿐 아니라 휴대기기의 전력 소모량을 높이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구성이 간단하여 소형화가 용이하면서도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근접촬영 카메라 모듈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렌즈의 초점거리 변화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저가로 공급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기기에 적용이 용이한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꿔주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영상을 모아주는 렌즈군, 상기 렌즈군이 조립되는 경통, 상기 경통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경통과 함께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리테이너, 상기 이미지 센서와 동일 광축상에 존재하며, 제1 초점위치와 제2 초점위치를 선택적으로 결정하도록 상기 경통과 리테이너를 동시에 광축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매크로 구동부재, 제1 초점위치에서 제2 초점위치로 이동시 초점거리 이동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리테이너의 상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캡부재 및 상기 이미지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부품인 콘덴서(C), 저항(R)의 칩 부품 및 실장용 기판(FP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축방향 이동만 가능하도록 회동방지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회동방지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리테이너의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 및 이에 끼워지는 요홈부이며, 상기 돌출부와 요홈부는 하우징의 내면 혹은 리테이너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형성가능하다.
또한, 상기 경통과 리테이너는 나사체결되어 초점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는 상기 리테이너와 하우징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링형부재로서, 일측에 손잡이용 레버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하면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짐이 가능한 일측을 갖으며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레버가 노출되도록 홀이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돌기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리테이너의 경사홈도 이에 대응하도록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휴대단말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기기가 점차 다기능화 됨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근접촬영 기능의 구현이 요구되어지는데, 종래의 기술에 의한 근접촬영 기능으로는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고,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에 어려움이 있으며, 소형 및 박형화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점차 소형화되는 휴대기기에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구성이 간단하여 소형화 할 수 있으면서도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구성하는 경통의 외측에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경통과 리테이너를 동시에 광축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매크로 구동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는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의 하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어짐이 가능한 경사진 요홈을 두어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의 회 동시 상기 요홈에 맞물려있던 돌출부가 회동하여 상기 리테이너와 경통이 동시에 광축방향으로 직진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리테이너의 상측에는 탄성부재를 두어 경통을 누름으로서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가 임의로 회전하거나 상기 경통이 필요이상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모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꿔주는 이미지 센서(11)와, 상기 이미지 센서(11)가 설치되는 하우징(10)과, 상기 이미지 센서(11)에 피사체의 영상을 모아주는 렌즈군(21)과, 상기 렌즈군(21)이 조립되는 경통(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경통(20)의 외측에는 리테이너(retainer)(30)가 결합설치된다.
상기 리테이너(30)는 내면에 암나사(31)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경통(20)의 수나사(22)와 나사체결되어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며, 경통(20)과 함께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리테이너(30)와 하우징(10)에는 리테이너(30)의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방지수단이 구비된다.
즉, 상기 리테이너(30)는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축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고 원주방향으로는 회동되지 않아야 하는데, 상기 회동방지수단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 돌출부(12)를 형성하고, 리테이너(30)의 외면에 상기 돌출부(12)가 끼워지는 요홈(32)을 형성하였다.
상기 돌출부(12)와 요홈(32)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30)가 하우징(10)에 삽입될 때 가이드의 역할을 하며, 상기 돌출부(12)가 요홈(32)에 끼워짐으로써 리테이너(30)의 원주방향 회동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2) 및 요홈(32)은 복수가 형성가능하며 그 형성개수는 본 발명에서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12)를 하우징(10)에 형성하고, 상기 요홈(32)을 리테이너(30)에 형성하였으나, 상기 돌출부(12)와 요홈(32)은 하우징(10)의 내면 혹은 리테이너(30)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형성가능하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 요홈을 형성하고, 리테이너(30)의 외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리테이너(30)와 하우징(10) 사이에는 상기 경통(20)과 리테이너(30)를 광축방향으로 승강시켜 제1 초점위치와 제2 초점위치를 선택적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매크로 구동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40)는 상기 이미지 센서(11)와 동일 광축상에 존재하며, 상기 리테이너(30)와 하우징(10)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링형부재로서, 일측에 손잡이용 레버(41)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돌기(42)가 돌출형성된 형상이다.
상기 돌기(42)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30)의 하면에는 상기 돌기(42)가 끼워짐이 가능한 경사홈(33)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홈(33)은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형상으로, 경사홈(33)의 일측은 상기 돌기(42)가 완전히 삽입가능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타측으로 갈수록 홈의 높이가 줄어들게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돌기(42)는 상기 경사홈(33)의 일측에 삽입가능하지만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40)를 회동시켜 돌기(42)가 경사홈(33)의 타측에 위치하면 상기 리테이너(30)가 약간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리테이너(30)의 경사홈(33)도 상기 돌기(42)에 대응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레버(41)가 노출되도록 홀(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의 홀(13)에 상기 레버(41)가 끼워지도록 매크로 구동부재(40)가 하우징(10) 내부에 놓이고, 그 위에 경통(20)과 체결된 리테이너(30)가 놓이면, 상기 경통(20)의 렌즈군(21)과 이미지 센서(11)가 동일한 광축 상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리테이너(30)의 상측에는 제1 초점위치에서 제2 초점위치로 이동시 초점거리 이동량을 제어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로 압축 코일스프링(50)을 적용하였다.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50)은 경통(20)을 누름으로서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40)가 임의로 회전하거나 초점조정이 되어 있는 경통(20)이 필요이상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5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10)과 결합되는 캡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는 수나사(14)가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60)에는 암나사(61)가 형성되어 나사체결된다.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11)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부품인 콘덴서(C), 저항(R)의 칩 부품 및 실장용 기판(FPC)(도시생략)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 모듈의 결합사시도로서, 도 3a는 원거리 촬영 시, 도 3b는 근접촬영 시 매크로 동작편의 회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로서, 도 4a는 원거리 촬영 시, 도 4b는 근접촬영 시 매크로 동작편의 회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 모듈은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40)의 레버(41)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을 휴대단말기에 적용할 경우 상기 레버(41)에 손잡이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원거리 촬영을 위해서는 상기 레버(41)를 회동시키지 않는 상태 즉, 도 3a 및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크로 구동부재(40)의 돌기(42)가 상기 리테이너(30)의 경사홈(33)의 일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촬영을 한다.
이후, 근접촬영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40)의 레버(4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도 3b)
상기와 같이 매크로 구동부재(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경사홈(33)의 일측에 삽입되어있던 돌기(42)가 경사홈(33)을 따라 회동하여 경사홈(33)의 타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리테이너(30)와 경통(20)이 돌기(42)에 의해 들어올려져 광축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가 상기 이미지센서(11)의 위치에 리테이너(30)와 경통(20)의 나사체결로 초점조정이 되어있는 상태에서 리테이너(30)와 경통(20)이 동시에 수직으로 이동됨에 따라 렌즈의 초점거리가 변하게 되어 근접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40)의 돌기(42)의 높이와 리테이너(30)의 경사홈(33)의 깊이는 근접촬영에서 요구되는 초점거리 변화량이 되므로, 상기 돌기(42)의 높이는 광학계의 설계에서 나온 결과에 따라 매크로 동작시에 필요한 피사체의 영상신호가 렌즈를 통해 센서(11)에 초점이 맺힐 수 있도록 그 높이를 규정한다.
한편, 리테이너(30)의 상측에는 압축 코일스프링(50)을 두어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50)이 리테이너(30)와 결합된 경통(20)을 누름으로서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40)가 임의로 회전하거나 초점조정이 되어 있는 경통(20)이 필요이상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30)는 하우징(10)의 돌출부(12)가 요홈(32)에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40)를 회동시키더라도 이를 따라 회동되지 않고 상방향으로만 움직인다.
이후, 다시 원거리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40)의 레버(4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돌기(42)가 상기 경사홈(33)을 따라 회동한 후 경사홈(33)의 일측에 완전히 삽입되므로 상기 리테이너(30)와 경통(20)이 하강하여 렌즈의 초점거리가 원거리 촬영으로 조절되므로 원거리 촬영을 할 수 있 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40)의 돌기(42)와 상기 리테이너(30)의 경사홈(33)에 의해 상기 레버(41)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원거리 혹은 근거리 촬용 모드로 쉽게 전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렌즈가 조립된 경통을 광축방향으로 일정높이만큼 승강시킴으로써 근접촬영 기능을 구현하므로 렌즈의 초점거리 변화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을 구성함에 있어 부품의 제작이 용이하여 저가의 카메라 모듈의 제작이 용이하며,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소형의 휴대기기에 적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경통을 광축방향으로 직진운동시키는 부품과, 근접촬영 전환을 위한 매크로 구동부재를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휴대기기(휴대단말기)에 적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의 돌기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근접촬영에서 요구되는 초점거리 변화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꿔주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영상을 모아주는 렌즈군;
    상기 렌즈군이 조립되는 경통;
    상기 경통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경통과 함께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리테이너;
    상기 이미지 센서와 동일 광축상에 존재하며, 제1 초점위치와 제2 초점위치를 선택적으로 결정하도록 상기 경통과 리테이너를 동시에 광축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매크로 구동부재;
    제1 초점위치에서 제2 초점위치로 이동시 초점거리 이동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리테이너의 상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캡부재; 및
    상기 이미지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부품인 콘덴서(C), 저항(R)의 칩 부품 및 실장용 기판(FPC)을 포함하며,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는 상면에 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는 하면에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축방향 이동만 가능하도록 회동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방지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리테이너의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 및 이에 끼워지는 요홈부이며, 상기 돌출부와 요홈부는 하우징의 내면 혹은 리테이너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형성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과 리테이너는 나사체결되어 초점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는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링형부재로서, 일측에 손잡이용 레버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레버가 노출되도록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경사홈도 이에 대응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8.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하우징;
    피사체의 영상을 모아주는 렌즈군이 조립되는 경통;
    상기 경통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경통과 함께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리테이너;
    상기 이미지 센서와 동일 광축상에 존재하며, 제1 초점위치와 제2 초점위치를 선택적으로 결정하도록 상기 경통과 리테이너를 동시에 광축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매크로 구동부재;
    제1 초점위치에서 제2 초점위치로 이동시 초점거리 이동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리테이너의 상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캡부재; 및
    상기 이미지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부품인 콘덴서(C), 저항(R)의 칩 부품 및 실장용 기판(FPC)을 포함하며,
    상기 매크로 구동부재는 상면에 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는 하면에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홈이 형성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KR1020040003860A 2004-01-19 2004-01-19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휴대단말기 KR100619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860A KR100619331B1 (ko) 2004-01-19 2004-01-19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860A KR100619331B1 (ko) 2004-01-19 2004-01-19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062A KR20050076062A (ko) 2005-07-26
KR100619331B1 true KR100619331B1 (ko) 2006-09-12

Family

ID=3726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860A KR100619331B1 (ko) 2004-01-19 2004-01-19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3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485B1 (ko) * 2007-05-21 2008-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립성이 개선된 감시 카메라
CN107623762A (zh) * 2017-09-27 2018-01-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可更换镜片的壳体组件及移动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690B1 (ko) * 2004-06-16 2006-08-22 주식회사 하이소닉 영상 촬영 장치
KR100689977B1 (ko) * 2005-01-11 2007-03-08 (주)이프러스 멀티스텝 카메라모듈
KR100749901B1 (ko) * 2005-11-14 2007-08-16 삼성전기주식회사 접사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JP5023478B2 (ja) * 2005-11-30 2012-09-12 富士通株式会社 移動式無線通信装置
KR100793334B1 (ko) * 2006-08-23 2008-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레버 전환식 매크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KR100857296B1 (ko) * 2006-11-16 2008-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0813231B1 (ko) * 2006-11-21 2008-03-1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0774567B1 (ko) * 2006-11-22 2007-11-08 동인하이텍주식회사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 장치
KR100813211B1 (ko) * 2006-12-08 2008-03-13 주식회사 엠씨넥스 카메라 모듈
CN109637364B (zh) * 2019-02-20 2021-07-0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485B1 (ko) * 2007-05-21 2008-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립성이 개선된 감시 카메라
CN107623762A (zh) * 2017-09-27 2018-01-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可更换镜片的壳体组件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062A (ko) 200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846B1 (ko) 카메라 모듈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
KR100662238B1 (ko) 구동 수단을 구비한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초점 조절 장치
US7468850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19331B1 (ko)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휴대단말기
KR100950914B1 (ko) 카메라 모듈
US20060125950A1 (en) Digital camera module with a focusing assembly
JP2008191423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該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撮像装置
KR20100125978A (ko) 마그네트 이동 타입 이미지 촬상용 렌즈 액츄에이터
US8488046B2 (en) Configurable tele wide module
US7639306B2 (en) Digital camera module with zoom function and focusing function
KR100919117B1 (ko)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US20080159729A1 (en) Auto-focusing camera
EP3719568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20050105195A (ko) 촬상 장치 및 이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
CN115268173A (zh) 可变光圈、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KR20100062657A (ko)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JP4110988B2 (ja)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KR100562723B1 (ko)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JP2006338026A (ja) マクロ機能付き携帯端末機用レンズ組立体
KR20100124135A (ko) 이미지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KR101316266B1 (ko) 보이스코일 모터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0817033B1 (ko) 소형렌즈모듈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
JPWO2007043508A1 (ja) 撮像装置
CN217181355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KR101511065B1 (ko) 렌즈 구동용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