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4253A -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4253A
KR20050044253A KR1020040089092A KR20040089092A KR20050044253A KR 20050044253 A KR20050044253 A KR 20050044253A KR 1020040089092 A KR1020040089092 A KR 1020040089092A KR 20040089092 A KR20040089092 A KR 20040089092A KR 20050044253 A KR20050044253 A KR 20050044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imaging optical
optical
image pickup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에사까다께시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44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2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18Contai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광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 수단과, 광학 성능을 갖는 광학 소자와 광학 소자를 지지하는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을 갖고, 상기 촬상 소자에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 수단과,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수단을 갖고,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내부에 임시 고정하는 촬상 광학 수단 수납 수단을 갖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이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AN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로의 내장에 적합한 소형 박형으로 피사체 거리에 따라서 초점 조절 가능한 촬상 장치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형으로 박형의 촬상 장치가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소형 및 박형의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격지로 음성 정보뿐만 아니라 화상 정보도 서로 전송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촬상 장치에 이용되는 촬상 소자로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형 이미지 센서나 CM0S(Complementary Metal-0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의 고체 촬상 소자가 사용되어 있다.
최근, 이러한 촬상 장치는 촬상 광학계를 고정하여 깊은 피사계 심도를 이용한 팬 포커스 촬영이 아니라, 촬상 광학계를 이동시켜 매크로 촬영을 가능하게 한 것도 시판되도록 되어 왔다.
이들, 매크로 촬영을 가능하게 한 촬상 장치로서는, 촬영 렌즈와 통형의 홀더에 돌기와 경사 홈을 서로 형성하고, 촬영 렌즈를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촬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촬상 장치는 조립시에 핀트 조정을 행하고, 또한 이 경사 홈을 이용하여 근접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2271호 공보
상술의 촬상 장치를 내장한 휴대 단말기, 특히 휴대 전화는 최근 급격하게 증가되고, 이에 수반하여 휴대 단말기에 내장 가능한 소형 박형의 촬상 장치도 수요가 급증되고 있다.
이러한 촬상 장치는, 체적으로 하여 1 ㎤ 이하의 매우 작은 것이고, 운전자에 의한 수작업의 조립에는 매우 섬세한 취급이 필요로 되고, 조립 비용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사람에게 의지하는 조립에서는, 수요의 증가 및 감소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도 곤란하다. 이로 인해, 조립의 자동화를 도모하고, 이 자동화에 의해 저비용으로 수요의 증감에 유연하게 대응하고자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촬상 장치는 촬영 렌즈와 통형의 홀더 서로, 돌기와 경사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립시에는 이 돌기와 경사 홈을 맞추고, 또한 이 후 촬영 렌즈를 회전시켜 어긋나지 않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조립의 자동화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가 가이드축으로 안내되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은, 부재 지지 고정된 가이드축으로 끼워 맞추는 부재를 위치 맞춤하여 조립시에, 매우 섬세함을 요하고 있다. 따라서, 조립 자동화의 장해가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비추어 촬상 장치를 조립 자동화에 대응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고, 이에 의해 저비용으로 수요의 증감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매크로 촬영 가능한 촬상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사체광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 수단과, 광학 성능을 갖는 광학 소자와 광학 소자를 지지하는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을 갖고, 상기 촬상 소자에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 수단과,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수단을 갖고,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내부에 임시 고정하는 촬상 광학 수단 수납 수단을 갖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피사체광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 수단과, 광학 성능을 갖는 광학 소자와 광학 소자를 지지하는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을 갖고, 상기 촬상 소자에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 수단과,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수단을 갖고,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내부에 임시 고정하는 촬상 광학 수단 수납 수단과, 상기 촬상 광학 수단 수납 수단과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촬상 소자에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 수단과, 외부 프레임과 덮개를 갖고,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내부에 수납하는 촬상 광학 수단 수납 수단을 갖는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 수단을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제1 공정과, 제1 공정 후에 상기 외부 프레임 내에 설치된 전기 촬상 광학 수단을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상기 외부 프레임에 임시 고정하는 제2 공정과, 제2 공정 후에 상기 덮개 수단에 의해, 상기 외부 프레임 내에 임시 고정된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덮도록 폐쇄하는 제3 공정과, 제3 공정 후에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상기 촬상 광학 수단 수납 수단과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위치 결정하는 제4 공정에 의해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일예인 휴대 전화기(T)의 외관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T)는, 표시 화면(D)을 구비한 케이스로서의 상부 하우징(71)과, 조작 버튼(P)을 구비한 하부 하우징(72)이 힌지(73)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전화기 내 촬상 장치(S)는 상부 하우징(71) 내의 표시 화면(D)의 하방에 내장되어 있고, 상부 하우징(71)의 외표면측으로부터 피사체광을 취입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전화기 내 촬상 장치(S)의 위치는 상부 하우징(71) 내의 표시 화면(D)의 상방에 배치해도 좋다. 또 휴대 전화기는 절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도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이 촬상 장치(100)가 도1에 도시한 전화기 내 촬상 장치(S)의 위치에 내장된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는 촬상 소자의 실장된 프린트 기판(11)과, 베이스 부재(15), 외부 프레임 부재(12), 이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상부면에 조립되고, 피사체광이 입사하기 위한 개구부(13)를 갖는 덮개 부재(14)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프레임 부재(13)와 덮개 부재(14)로, 후술하는 촬상 광학 수단을 내부에 수납하는 촬상 광학계 수납 수단을 구성한다. 촬상 장치(100)를 휴대 단말기의 다른 기판에 접속을 위한 커넥터부(17), 이 프린트 기판(11)과 커넥터부(17)를 접속하는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이 접속되어 있다.
이하, 촬상 장치(100)의 내부에 대해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100)를 도2에 도시한 F-F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제1 렌즈, 2는 제2 렌즈, 3은 제3 렌즈이며, 광학 성능을 갖는 광학 소자이다. 부호 21은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이다.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은, 미리 유닛화된 제1 렌즈(1), 제2 렌즈(2), 제3 렌즈(3) 및 각 렌즈에 배치된 교축 수단으로 구성되는 촬상 광학계(50)를 그 내측에서 보유 지지하고 있다. 이들 촬상 광학계(50)와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 교축 수단 등으로, 촬상 광학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O는 광축이다.
부호 8은 촬상 소자이다. 부호 7은 적외광을 차단하는 부품으로 구성되고, 촬상 소자(8)가 수납되는 다이 시트이다. 다이 시트(7)는 적외광을 차단하는 재료로 성형 혹은 투광성의 재료로 성형하고, 피사체광 투과면에 적외 컷트 코트를 실시하고 있다. 베이스 부재(15)는 전체 주위를 접착제(B)에서 프린트 기판(11)과 접착 고정되어 있고, 이 베이스 부재(15)에 다이 시트(7)는 전체 주위를 접착제(B)에서 접착되고, 촬상 소자(8)가 있는 공간을 밀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촬상 소자(8)에 먼지가 붙기 어려운 구조가 되어 촬영된 화상에 먼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들 촬상 소자(8)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프린트 기판(11)이나 다이 시트(7) 등에서 촬상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부호 22는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의 위치 결정 가이드축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은 외부 프레임 부재(12)와 덮개 부재(14)로 보유 지지된 위치 결정 가이드축(22)과 끼워 맞추는 가이드통(21g) 및 도시하지 않는 다른 가이드축과 결합하는 U자형의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촬상 광학계(50)를 보유 지지한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은 위치 결정 가이드축(22)에 따라서, 광축(O) 방향으로 직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외부 프레임 부재(12)는 베이스 부재(15)에 조립된 후, 베이스 부재에 접착 고정된다. 촬상 광학 수단을 임시 고정하기 위해,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내주의 일부에는 안내부(12d, 12f)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2d, 12f)는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과 외부 프레임 부재(12) 사이를 작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4는 촬상 장치(100)의 내부를 광축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은, 도2에 도시한 촬상 장치(100)의 덮개 부재(14)를 제거한 상태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은 위치 결정 가이드축(22)과 끼워 맞추는 가이드통(21g) 및 다른 쪽의 가이드축(23)과 결합하는 U자형의 결합부(21u)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통(21g) 근방의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내벽에는 간극을 감소시켜 구성한 안내부(12d, 12h), 결합부(21u) 근방의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내벽에는 간극을 감소시켜 구성한 안내부(12f)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부 프레임 부재(12) 내에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을 적재할 때에,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의 측면의 일부가 안내부(12d, 12h, 12f)에서 안내되고, 외부 프레임 부재 내의 대응하는 위치에 적재된다. 이에 의해, 외부 프레임 부재(12) 내에서의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의 임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들 안내부(12d, 12h, 12f)는 촬상 광학 수단을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수단이다. 또한, 안내부(12d, 12h, 12f)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촬상 소자(8) 측에서 간극이 작게, 피사체측에서 간극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외부 프레임 부재(12) 내에 조립하기 쉬워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이 내측으로 가라앉음에 따라, 소정의 위치에 안내되어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이 임시 위치에 위치 결정되기 쉬워진다.
부호 31은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튜에이터이다. 액튜에이터(31)는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으로 형성된 아암부(21t)와 결합하는 결합부(32)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 즉 촬상 광학계(5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촬상 광학계(5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촬상 광학계(50)를 과초점 위치나 매크로 촬영 위치에 설정된다. 이 액튜에이터(31)로서는 스텝핑 모터, DC 모터, 압전 소자 등이 적용된다.
도5는, 촬상 장치(100)의 위치 결정 가이드축(22) 주변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은 촬상 장치(100)를 도2에 나타낸 G-G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가이드축(22)과 끼워 맞추는 가이드통(21g)에는 아암부(21t)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아암부(21t)는 액튜에이터(31)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구동되는 결합부(32)와 결합하고 있다. 결합부(32)는, 강 부재로 형성된 32a, 32c 및 스프링성을 갖는 판재로 형성된 32b를 갖고 있다. 아암부(21t)는, 강 부재로 형성된 32a와 스프링성을 갖는 판재(32b)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이는,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이 촬상 소자측의 부재에 충돌해도 액튜에이터(31)가 로크되지 않고, 스프링성을 갖는 판재(32b)가 구부러짐으로써 오버 스트로크의 흡수를 행하기 때문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조립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조립 공정에 따라 설명한다. 또, 조립 후는 도3의 상태가 되는 것이다.
(1) 촬상 소자(8)가 실장된 프린트 기판(11) 상에, 베이스 부재(15)를 적재한 후 접착 고정한다. 상세하게는, 프린트 기판(11) 상에 실장된 촬상 소자(8)의 위치를 지그 상에 구비된 TV 카메라로 확인하고, 촬상 소자(8)에 대한 위치가 소정의 위치가 되도록 적재된다. 그 후에, 전체 외주부를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프린트 기판(11)에 접착 고정한다.
(2) 다이 시트(7)를 베이스 부재(15)의 상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적재한 후, 다이 시트(7)의 플랜지부(7f) 전체 주위를 접착한다. 이에 의해, 프린트 기판(11) 상의 촬상 소자(8)의 공간이 밀봉되어 먼지 및 습기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3) 외부 프레임 부재(12)를 베이스 부재(15)에 적재한 후, 접착 고정한다.
(4) 미리, 유닛화된 촬상 광학계(50)를 지지한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을 외부 프레임 부재(12) 내에 적재한다. 이 때,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은 외부 프레임 부재(12) 내의 소정의 임시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5) 덮개 부재(14)를 외부 프레임 부재(12) 상에 적재한 후, 접착 고정한다.
(6) 위치 결정 가이드축(22) 및 가이드축(23)(도4 참조)을 조립한다. 위치 결정 가이드축(22)은 덮개 부재(14)의 접시 자리부(14a) 및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의 가이드통(21g)의 접시 자리부(21a)에서 선단부(22s)가 안내되면서, 덮개 부재(14) 및 가이드통(21g)을 관통하고, 위치 결정 가이드축(22)의 끝이 가는 선단부(22s)가 외부 프레임 부재(12)로 형성된 구멍(12h)에 삽입된다. 이 후, 덮개 부재(14)의 접시 자리부(14a)에서 위치 결정 가이드축(22)을 접착하여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가이드축(23)도 덮개 부재(14)를 관통하고, U자형의 결합부(21u)(도4 참조)를 지나서 외부 프레임 부재(12)로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다. 이 후, 덮개 부재(14)의 접시 자리부에서 가이드축(23)을 접착하여 고정한다.
이에 의해,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은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정규 위치에 위치 결정되고, 위치 결정 가이드축(22)에 따른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7) 액튜에이터(31) 및 결합부(32)를 조립함
상기의 조립 방법에서는, 적재한 후 접착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접착제에 점성이 있는 경우에는, 미리 접착제를 부착해 두고, 그 후 위치를 정하도록 각 부품을 적재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50)의 촬상 광학계부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촬상 장치(150)는, 도2에 도시한 촬상 장치와 외관은 동일하고, 마찬가지로 F-F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촬상 장치(150)는 촬상 광학계를 지지하는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이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제3 렌즈(3)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촬상 장치(150)는 제3 렌즈(3)와 일체로 위치 결정 가이드축(22)에 끼워 맞추는 가이드통(3g)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이 제3 렌즈(3)에 제2 렌즈(2), 제1 렌즈(1) 및 각 렌즈에 배치된 교축이 조립되고, 유닛화된 촬상 광학계(5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3 렌즈(3)는 광축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형이 도4에 도시한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과 마찬가지로, 가이드축(23)에 결합하는 U자형의 결합부도 일체로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3 렌즈(3) 즉 촬상 광학계(50)를, 외부 프레임 부재(12) 내에 적재하였을 때 제3 렌즈(3)는 외부 프레임 부재(12) 내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해, 도6에서 설명한 조립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조립을 행할 수 있다. 그 외에 대해서는, 도3에 도시한 촬상 광학계(10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왔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적절하게 변경ㆍ개량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프레임 부재(12) 내에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을 적재하면,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 프레임 부재(12) 내에 설치된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외부 프레임 부재(12) 내에서의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의 임시 위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외부 프레임 부재(12) 내에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 덮개 부재(14)를 적재한 후, 위치 결정 가이드축을 덮개 부재(14)로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21)이 정규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하게 가이드 부재의 조립을 할 수 있게 되고, 종래의 문제였던 편측된 가이드축으로 맞추어 가이드통 및 덮개 부재를 조립 방법에 비해, 조립시의 섬세함을 필요하지 않을 수 있어 자동 조립화가 용이한 매크로 촬영 가능한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또, 촬상 장치의 외측면을 베이스 부재와 외부 프레임 부재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베이스 부재와 외부 프레임 부재를 일체로 하여 이를 프린트 기판 상에 적재 고정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외부 프레임 부재의 내벽면에 안내부를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 프레임 부재 내부에 안내부가 독립 형성된 것도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조립화가 용이한 매크로 촬영 가능한 촬상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부품 개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 촬상 광학계의 일부와 가이드통의 일체화에 의해 개재 부품을 발하고, 촬상 광학계의 광축과 가이드통의 구멍부의 평행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로 얻어지는 화상의 개체 변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의 촬상 장치(100, 150)에 있어서, 구동계의 덜걱거림을 한 쪽으로 치우치게 하기 위해, 압박 부재로서 압축 코일 스프링을 가이드통(21g, 3g)과 덮개 부재(14) 사이에 배치해도 좋다. 또, 적외광 컷트로 인해, 적외광을 차단하는 재료로 성형 혹은 투광성의 재료로 성형하여 피사체광 투과면에 적외 컷트 코트를 실시한 다이 시트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 부재에 적외광 컷트 필터를 접착 고정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일예인 휴대 전화기(T)의 외관도.
도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광축과 평행 방향의 단면도.
도4는 촬상 장치(100)의 내부를 광축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5는 촬상 장치(100)의 내부로 위치 결정 수단 주변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조립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50)의 광축과 평행 방향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 렌즈
2 : 제2 렌즈
3 : 제3 렌즈
7 : 다이 시트
8 : 촬상 소자
11 : 프린트 기판
12 : 외부 프레임 부재
14 : 덮개 부재
15 : 베이스 부재
17 : 커넥터부
21 :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
22 : 위치 결정 가이드축
23 : 가이드축
31 : 액튜에이터
32 : 결합부
50 : 촬상 광학계
FPC : 가요성 프린트 기판

Claims (20)

  1. 피사체광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 수단과, 광학 성능을 갖는 광학 소자와 광학 소자를 지지하는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을 갖고, 상기 촬상 소자에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 수단과,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수단을 갖고,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내부에 임시 고정하는 촬상 광학 수단 수납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의 일부가 상기 촬상 광학 지지 프레임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의 일부가 상기 촬상 광학 지지 프레임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광학 수단 수납 수단이 개구부를 갖고,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부에 수납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피사체광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 수단과, 광학 성능을 갖는 광학 소자와 광학 소자를 지지하는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을 갖고, 상기 촬상 소자에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 수단과,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수단을 갖고,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내부에 임시 고정하는 촬상 광학 수단 수납 수단과, 상기 촬상 광학 수단 수납 수단과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촬상 소자가 부착된 프린트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촬상 소자가 부착된 프린트 기판과, 적외광을 차단하는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의 일부가 상기 촬상 광학 지지 프레임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광학 수단 수납 수단이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내부에 수납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를 폐쇄하는 덮개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이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이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이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와,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3. 촬상 소자에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 수단과, 외부 프레임과 덮개를 갖고,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내부에 수납하는 촬상 광학 수단 수납 수단을 갖는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 수단을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제1 공정과, 제1 공정 후에 상기 외부 프레임 내에 설치된 전기 촬상 광학 수단을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상기 외부 프레임에 임시 고정하는 제2 공정과, 제2 공정 후에 상기 덮개 수단에 의해, 상기 외부 프레임 내에 임시 고정된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덮도록 폐쇄하는 제3 공정과, 제3 공정 후에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상기 촬상 광학 수단 수납 수단과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위치 결정하는 제4 공정에 의해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촬상 소자가 부착된 프린트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촬상 소자가 부착된 프린트 기판과, 적외광을 차단하는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이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촬상 소자가 부착된 프린트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이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와,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을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광학 수단은 광학 성능을 갖는 광학 소자와, 광학 소자를 지지하는 촬상 광학계 지지 프레임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의 일부가 상기 촬상 광학 지지 프레임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0040089092A 2003-11-07 2004-11-04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KR200500442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78090 2003-11-07
JP2003378090A JP2005141052A (ja) 2003-11-07 2003-11-07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253A true KR20050044253A (ko) 2005-05-12

Family

ID=3443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092A KR20050044253A (ko) 2003-11-07 2004-11-04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530366A2 (ko)
JP (1) JP2005141052A (ko)
KR (1) KR20050044253A (ko)
TW (1) TW2005205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697A (ko) * 2018-12-24 2021-08-0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카메라 조립체 및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9405A (ja) * 2008-08-08 2010-02-18 Nikon Corp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10044217A (ja) * 2008-08-12 2010-02-25 Nikon Corp レンズ鏡筒、撮像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1004908B1 (ko) 2008-09-22 2010-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CN204068636U (zh) * 2014-07-28 2014-12-31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电磁驱动模块及应用该电磁驱动模块的镜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697A (ko) * 2018-12-24 2021-08-0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카메라 조립체 및 전자 장치
US11489993B2 (en) * 2018-12-24 2022-11-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30366A2 (en) 2005-05-11
JP2005141052A (ja) 2005-06-02
TW200520552A (en)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4967B2 (en) Lens barrel assembly for a camera
KR101245059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
US771960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mobile phone
KR100851311B1 (ko) 촬상 장치
KR101092124B1 (ko) 촬상 장치, 상기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및 촬상장치의 제조 방법
JP2006303955A (ja)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70041341A (ko) 촬상 장치
JPWO2007066499A1 (ja)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カメラ
JP2006235583A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ユニット
KR20050105195A (ko) 촬상 장치 및 이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
JP2008141798A (ja) 圧電素子を用いた駆動機構と該駆動機構を用いた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該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KR20050044253A (ko)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JPWO2006035580A1 (ja) レンズ鏡胴、および該レンズ鏡胴を備えた撮像装置、カメラ、携帯機器
US7321726B2 (en)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camera module
KR101061249B1 (ko) 카메라 모듈
KR20070104558A (ko)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CN115774312A (zh) 光学镜头及其组装方法以及摄像模组
JP2007121849A (ja) 撮像装置
JP4622237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KR20160142156A (ko) 오토 포커스 촬영 모듈을 이용한 광각 촬영 장치
JP5188924B2 (ja) 撮像レンズユニット
JP4016056B1 (ja) 撮像装置
JP200610161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駆動用ピエゾ素子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9098462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撮像機器、並びに、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4906802B2 (ja) ズームレンズ鏡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