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908B1 -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908B1
KR101004908B1 KR1020080092774A KR20080092774A KR101004908B1 KR 101004908 B1 KR101004908 B1 KR 101004908B1 KR 1020080092774 A KR1020080092774 A KR 1020080092774A KR 20080092774 A KR20080092774 A KR 20080092774A KR 101004908 B1 KR101004908 B1 KR 101004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lens
guide
guide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756A (ko
Inventor
민성원
정영효
정재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2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90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일면에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에 구동력을 제공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돌출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렌즈 배럴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 배럴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력을 상기 렌즈 배럴에 전달하며 일면에 관통 형성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축홀을 포함하는 구동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축홀 및 상기 회전축은 서로 나사 결합하고, 상기 구동력에 의해서 상기 구동클립이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축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축홀을 관통한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모듈{LENS MODULE}
본 발명은 렌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전자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렌즈들을 수용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출시되는 전자기기에는 카메라 촬영 기능이 추가된 제품들이 많고, 이러한 제품들이 소비자에게 더욱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휴대폰, PDA 등과 같은 개인휴대단말기에는 카메라 촬영 기능이 가능하도록 렌즈 모듈을 장착하는 것이 거의 필수적이다.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렌즈 모듈은 좀 더 좋은 화상 또는 사진을 얻기 위해서 광학 줌 기능, 자동초점 조절기능, 접사 기능 등을 가지는 기술 등이 요구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개선된 기능을 가지기 위해서, 렌즈 모듈은 렌즈가 자동으로 광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초점을 맞추거나 렌즈의 배율을 달리하도록 해야 하므로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이 광축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렌즈 모듈은 이러한 구동 구조를 가지면서도, 점차 소형화되고 박형화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추세에 따라 간단한 조립 구조나 구동 구조를 가지는 기술 이 요구된다.
게다가, 점차 소형화와 박형화되는 렌즈 모듈은 보다 정밀한 조립 구조를 가져야 하며, 이에 따라 정확한 부품의 가공 정밀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부품의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며, 부품의 단가가 상대적으로 높아진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단가가 높아진 부품은 조립 시에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부품을 다시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이 크다.
본 발명은 렌즈 배럴과 연동가능하게 장착된 구동클립이 엑츄에이터의 구동력을 렌즈 배럴에 전달하며, 렌즈 배럴을 렌즈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일면에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에 구동력을 제공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돌출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렌즈 배럴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 배럴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력을 상기 렌즈 배럴에 전달하며 일면에 관통 형성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축홀을 포함하는 구동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축홀 및 상기 회전축은 서로 나사 결합하고, 상기 구동력에 의해서 상기 구동클립이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축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축홀을 관통한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광축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핀 및 상기 제1 가이드핀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핀과 결속되는 제1 가이드홀 및 상기 제2 가이드핀과 결속되는 제2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렌즈 배럴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 배럴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력을 상기 렌즈 배럴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클립은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광축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핀 및 상기 제1 가이드핀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핀과 결속되는 제1 가이드홀 및 상기 제2 가이드핀과 결속되는 제2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렌즈 배럴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 배럴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력을 상기 렌즈 배럴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클립은 일면에 관통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고정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핀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 배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제1 가이드핀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탑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렌즈 모듈은 렌즈 배럴과 연동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클립을 포함하고, 구동클립이 엑츄에이터의 구동력을 렌즈 배럴에 전달하는 구조이며, 이러한 간단한 조립 구조에 따라 렌즈 배럴의 가공 정밀도를 낮춰서 부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간단한 조립구조에 따른 불량 감소 및 조립성이 향상되어 큰 경제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모듈의 구체적인 사항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렌즈 모듈의 렌즈 배럴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모듈 하우징(100), 렌즈(110), 가이드부(120), 렌즈 배럴(130), 엑츄에이터(140), 구동클립(150), 스프링(160) 및 스탑링(162)을 포함한다.
모듈 하우징(100)은 렌즈 모듈의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구조물이며, 개인휴대단말기내에 실장된다. 모듈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나 개구부의 형성 방향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듈 하우징(100)에는 개구부를 통해 들어오는 빛의 방향이 변화되어 진행되도록 개구부에 인접하게 프리즘(102)이 장착된다. 프리즘(102)을 지난 빛은 렌즈(110)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프리즘의 구성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렌즈(110)는 피사체에 반사되어 들어오는 빛을 굴절시켜 결상면에 맺히도록 하며, 렌즈 배럴(130)의 중앙부에 수용되어 프리즘(102)의 하부에 배치된다.
도 1에서는 하나의 렌즈(110)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렌즈가 각각 장착된 복수개의 렌즈 배럴 구조도 가능하다.
가이드부(120)는 렌즈(110)의 광축과 수평하게 형성되며, 모듈 하우징(100) 내측면에 배치된다.
가이드부(120)는 모듈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제1 가이드홀(132)과 결속되는 제1 가이드핀(122),과 제1 가이드핀(122)과 이격되어 모듈 하우 징(100)의 반대편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핀(124)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핀(122) 및 제2 가이드핀(124)은 원통형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나 그 형상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핀(122) 및 제2 가이드핀(124)은 육면체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광축 방향으로 가이드 홈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가이드핀(122) 및 제2 가이드핀(124)은 제1 가이드홀(132) 및 제2 가이드홀(134)에 각각 마찰되는 표면이 윤활부재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렌즈 배럴(130)은 중앙부에 렌즈(110)를 수용하여 고정시키며, 렌즈 배럴(130)의 이동에 따라 렌즈(11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렌즈 배럴(130)의 양측부에는 제1 가이드핀(122)과 제2 가이드핀(124)의 간격에 대응하여 제1 가이드홀(132) 및 제2 가이드홀(134)이 형성된다.
제1 가이드홀(132)은 제1 가이드핀(122)이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의 홀을 가지며, 제1 가이드핀(122)과 서로 조립된다. 따라서, 렌즈 배럴(130)은 제1 가이드핀(12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2 가이드홀(134)은 제2 가이드핀(124)이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의 홀을 가지도록 설계되며, 제1 가이드핀(122)과 제1 가이드홀(132)이 조립될 때, 함께 제2 가이드핀(124)과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가이드핀을 이용한 것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제2 가이드홀(134)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완전한 홀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도 가 능하다.
그러나, 제2 가이드홀(134) 및 제2 가이드핀(124)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며, 보다 안정적인 슬라이딩 구조를 위해서 복수개의 가이드핀과 그에 대응되는 가이드홀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홀(132) 및 제2 가이드홀(134)은 렌즈 배럴(130)의 사출물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홀(136)은 제1 가이드홀(132)에 인접한 면에는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홀(136)은 축홀(152)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엑츄에이터(140)의 회전축(142)이 구동클립(150)의 축홀(152)을 통과할 때, 회전축(142)의 길이가 축홀(152)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축(142)의 일부가 축홀(152)을 관통하여 수용홀(136)에 수용되게 된다.
렌즈 배럴(130)은 제1 가이드홀(132)과 수용홀(136) 사이에 위치하며, 렌즈 배럴(130)의 상부로 돌출된 고정 돌기(138)를 포함한다.
고정 돌기(138)는 구동클립(150)의 고정홈(154)에 연결되어 구동클립(150)이 엑츄에이터(140)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고정 돌기(138)의 위치는 구동클립(150)의 축홀(152)과 고정홈(154) 간의 거리에 대응되어 수용홀(136)과 이격된 거리이다.
엑츄에이터(140)는 모듈 하우징(100)의 상측 내부면에 고정되며, 렌즈 배럴(130)을 가이드부(120)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엑츄에이터(140)는 하부면에 돌출된 회전축(142)을 포함한다.
회전축(142)은 엑츄에이터(14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구동클립(150)의 축홀(152)에 삽입되어 조립된다.
회전축(142)의 외부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축홀(152)의 내부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엑츄에이터(140)와 구동클립(150)은 나사산을 따라 서로 나사 결합을 하게 된다.
또한, 구동클립(150)은 관통 형성되는 축홀(152)과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홈(154)을 포함한다.
축홀(152)은 회전축(142)과 나사 결합하도록 내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구동클립(150)이 엑츄에이터(14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축(14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클립(150)은 엑츄에이터(140)의 회전력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홈(154)은 구동클립(150)의 단부에 위치하여 고정 돌기(138)에 끼워진다. 따라서, 고정홈(154)과 고정 돌기(138)의 결속에 의해서, 구동클립(150)이 렌즈 배럴(130)의 상면에 고정된다.
스프링(160)은 렌즈 배럴(130)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제조된다. 그리고, 스프링(160)은 제1 가이드홀(132)이 제1 가이드핀(122)에 조립될 때, 제1 가이드핀(122)에 먼저 조립되며, 제1 가이드홀(132)의 하부에 위치한다.
스탑링(162)은 제1 가이드핀(122)에 형성된 홈에 결속되며, 스프링(160)의 하단에 밀착되어 스프링(160)을 지지하므로 스프링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엑츄에이터(14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렌즈 배럴(130)이 아래로 이동할 때, 스프링(160)은 압축되면서 렌즈 배럴(130)을 상부로 밀어내려는 탄성력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클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구동클립(150)은 일면에 축홀(152)이 관통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고정 돌기(138)에 끼워지도록 고정홈(154)이 형성된다.
고정홈(154)은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홈(154)은 고정 돌기(138)의 상부에서 위치를 정확하게 맞춰서 끼워야 하는 홀과 달리 고정 돌기(138)의 전면에서도 끼워지므로 조립이 보다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고정홈(154)은 도 4의 (b)와 같이 구동클립(250)에 관통 형성되는 고정홀(254)과 같이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구동클립(250)은 고정홀(254)에 고정 돌기가 삽입되어 렌즈 배럴에 장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렌즈 모듈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에 위치가 고정된 엑츄에이터(140)는 회전축(142)과 축홀(152)이 나사 결합되어 구동클립(150)과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클립(150)은 고정홈(154)이 고정 돌기(138)에 끼워지면서 렌즈 배럴(130)의 상면에 장착된다.
도 6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42)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클립(150)은 회전축(142)의 나사산의 방향에 따라 하부로 이동하며, 구동클립(150)에 의해서 렌즈 배럴(130)에는 하부로 미는 힘이 작용한다(화살표).
따라서, 렌즈 배럴(130)도 상기 힘에 의해서 가이드부(120)를 따라서 하부로 함께 이동하게 되고, 제1 가이드핀(122)에 위치한 스프링(160)은 위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서 압축된다.
그리고,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42)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클립(150)은 회전축(142)의 상부로 이동하며, 렌즈 배럴(130)에는 압축된 스프링(160)에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서 렌즈 배럴(130)을 상부로 밀어 올리는 힘이 작용한다(화살표).
따라서, 엑츄에이터(14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구동클립(150)과 렌즈 배럴(130)은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렌즈 배럴(130)에 수용된 렌즈(110)도 마찬가지로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렌즈 모듈의 오토포커싱 등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가이드부(120)를 따라 렌즈 배럴(130)이 이동하여 간단하게 오토포커싱을 하므로 소형화되고 박형화되는 개인휴대단말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모듈이다.
종래에는 엑츄에이터(140)의 회전축(142)을 렌즈 배럴(130)에 직접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립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렌즈 배럴(130) 자체를 폐기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손실이 크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조립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부품인 구동클립(150) 만을 폐기하면 되므로 경제적인 이점이 발생한다.
또한, 렌즈 배럴(130)에서 수용홀(136)은 가공 정밀도가 낮으므로 렌즈 배럴(130)의 양산성이 보다 향상되며, 부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내부에 렌즈(110)가 수용되고 가이드부(120)에 고정된 렌즈 배럴(130)을 바로 엑츄에이터(140)에 조립하는 것보다 구동클립(150)에 먼저 엑츄에이터(140)를 조립한 후, 고정홈(154)에 고정 돌기(138)를 간단히 끼우는 조립 공정이 보다 수월하므로 조립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렌즈 모듈의 렌즈 배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클립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렌즈 모듈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렌즈 120.... 가이드부
130.... 렌즈 배럴 140.... 엑츄에이터
150.... 구동클립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렌즈;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일면에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에 구동력을 제공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돌출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렌즈 배럴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 배럴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력을 상기 렌즈 배럴에 전달하며 일면에 관통 형성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축홀을 포함하는 구동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축홀 및 상기 회전축은 서로 나사 결합하고, 상기 구동력에 의해서 상기 구동클립이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축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축홀을 관통한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4. 삭제
  5. 렌즈;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광축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핀 및 상기 제1 가이드핀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핀과 결속되는 제1 가이드홀 및 상기 제2 가이드핀과 결속되는 제2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렌즈 배럴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 배럴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력을 상기 렌즈 배럴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클립은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6. 렌즈;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광축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핀 및 상기 제1 가이드핀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핀과 결속되는 제1 가이드홀 및 상기 제2 가이드핀과 결속되는 제2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렌즈 배럴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 배럴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력을 상기 렌즈 배럴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클립은 일면에 관통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고정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7. 제5항 및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핀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 배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제1 가이드핀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탑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KR1020080092774A 2008-09-22 2008-09-22 렌즈 모듈 KR101004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774A KR101004908B1 (ko) 2008-09-22 2008-09-22 렌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774A KR101004908B1 (ko) 2008-09-22 2008-09-22 렌즈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756A KR20100033756A (ko) 2010-03-31
KR101004908B1 true KR101004908B1 (ko) 2010-12-28

Family

ID=4218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774A KR101004908B1 (ko) 2008-09-22 2008-09-22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9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623540U (zh) * 2020-07-21 2021-02-26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镜头支架驱动机构、调节装置以及投影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5494A (ja) * 1999-03-29 2000-10-06 Fuji Photo Optical Co Ltd レンズの支持構造
JP2003066309A (ja) 2001-08-27 2003-03-05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ユニット及びこれを使用する電子カメラ
JP2005141052A (ja) 2003-11-07 2005-06-02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2008032927A (ja) 2006-07-27 2008-02-14 Olympus Imaging Corp レンズ枠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5494A (ja) * 1999-03-29 2000-10-06 Fuji Photo Optical Co Ltd レンズの支持構造
JP2003066309A (ja) 2001-08-27 2003-03-05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ユニット及びこれを使用する電子カメラ
JP2005141052A (ja) 2003-11-07 2005-06-02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2008032927A (ja) 2006-07-27 2008-02-14 Olympus Imaging Corp レンズ枠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756A (ko)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255B1 (ko) 카메라 모듈의 렌즈 조립체
US7602439B2 (en)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US7450834B2 (en)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US7589919B2 (en) Lens module, method for assembling same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US7634190B2 (en) Lens module with focusing mechanism
WO2007135854A1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撮像装置
US20080151098A1 (en) Camera module
KR20160009866A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79320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50006785A (ko) 카메라 모듈
US20100086291A1 (en) Camera modu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004908B1 (ko) 렌즈 모듈
JP201217775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焦点調整構造及び焦点調整方法
US800997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220155553A1 (en)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411371B2 (en) Compact zoom lens
KR101032195B1 (ko) 렌즈 이송 장치
US20100027141A1 (en) Lens moving device and installation unit
JP5188924B2 (ja) 撮像レンズユニット
KR101236051B1 (ko) 카메라 모듈
KR100961133B1 (ko) 카메라 모듈
KR20050067088A (ko) 카메라 모듈 및 이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882277B1 (ko)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용 케이스
KR200497627Y1 (ko)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
KR20110014881A (ko) 카메라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