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627Y1 -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 - Google Patents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7627Y1 KR200497627Y1 KR2020230002070U KR20230002070U KR200497627Y1 KR 200497627 Y1 KR200497627 Y1 KR 200497627Y1 KR 2020230002070 U KR2020230002070 U KR 2020230002070U KR 20230002070 U KR20230002070 U KR 20230002070U KR 200497627 Y1 KR200497627 Y1 KR 20049762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body
- axis
- positioning stage
- block
- insertion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001045744 Sus scrofa Hepatocyte nuclear factor 1-bet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위치결정 스테이지에 대한 높이를 축소시켜 슬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만족할 수 있는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사각 형상을 갖는 블럭몸체 및 상기 블럭몸체 상면에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되, 상기 삽입홈은 일측에 X축 이동부재가 구비된 X축 이동바의 타측과 체결되는 X축 삽입홈, 일측에 Y축 이동부재가 구비된 Y축 이동바의 타측과 체결되는 Y축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기술은 위치결정 스테이지에 대한 높이를 축소시켜 슬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만족할 수 있는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에 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랩탑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 또는 CCTV는 카메라 탑재된 형태로 출시되어 정지 화상 및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카메라는 고해상도 및 고화질의 촬영 결과물을 위해 성능이 점차 개선되고 있으며, 소형화되는 기기에 배치되도록 카메라의 크기도 소형화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영상의 빛을 모아주는 렌즈,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주는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를 지지하며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PCB 및 외부 Backed Chip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FPCB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구성이 일체로 결합된 것을 카메라 모듈이라 지칭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크게 FF형과 AF형으로 구분되는데, FF형(Fixed Focus Type)은 하나의 초점거리로 고정된 모듈이고, AF형(Auto Focus Type)은 기본적인 고정 초점거리는 정해져 있으나, 전류 또는 전압을 렌즈부에 인가하여 렌즈부내에 구성된 구동기를 작동시켜 초점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일반적인 AF형 카메라 모듈은 다수 개의 렌즈로 렌즈계를 구성하고 있으며, VCM(Voice Coil Motor) 등을 구동기로 사용하고 각각의 렌즈를 이동시켜 그 상대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광학적인 초점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능이 개선되고 크기가 소형화되면서 해당 카메라 모듈의 작동 검사의 높은 정확성과 신뢰도가 요구되는데, 여기서 카메라 모듈의 작동 검사는 해당 카메라 모듈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오픈/숏 검사, 전원 라인의 저항값 측정, 소비전류 검사, 입출력 누설 전류검사 등을 수행하며, 이러한 검사를 통해 불량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출하 전에 렌즈부를 센서 및 하우징부와 특정 고정 초점거리에 맞도록 렌즈부를 정밀 회전시켜 체결깊이를 결정하는 고정 포커싱 조정 검사를 통해 렌즈의 고정 초점, 이미지 검사를 통해 카메라 모듈의 출력이미지를 정밀 분석하여 센서 내 단위픽셀의 결함 내지는 렌즈의 스크래치나 파티클 등의 결함이 있는지 확인하고, AF 구동 검사를 통해 카메라 모듈 자체가 가진 구동기를 작동시켜 구현하는 자동 초점 기능의 동작 이상 유무를 위치결정장치에 의해 검사한다.
상기한 위치결정장치는 검사방식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X축과 Y축 방향으로만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기본 스테이지와, 기본 스테이지에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해당 카메라 모듈을 틸팅 시키기 위한 추가 스테이지를 적층 구조로 하나 이상 구비시켜 검사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즉, 카메라 모듈의 검사방식에 따라 복수의 스테이지를 적층 형태로 결합한 적층형 위치결정 스테이지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적층형 위치결정 스테이지는 검사의 편의성을 위해 슬림한 상태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일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본 스테이지의 경우에 탑플레이트(T/P)와 바텀블레이트(B/T)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미들플레이트(M/T)를 구비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해당 미들플레이트(M/T)를 X축이나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이동부재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통해 한 쌍의 이동부재(30,4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미들플레이트(M/T)를 X축이나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탑플레이트(T/P)를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X축 이동부재(30)를 회전시키면 미들플레이트(M/T)가 고정된 상태에서 탑플레이트(T/P)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Y축 이동부재(40)를 회전시키면 탑플레이트와 체결된 상태를 갖는 미들플레이트(M/T) 자체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탑플레이트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을 취하게 되며, 이러한 X축과 Y축 방향으로의 개별 이동을 위해 미들플레이트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엘엠가이드(L/G)를 구비시켜야 하는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본 스테이지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엘엠가이드가 구비된 미들플레이트의 설치로 인하여 스테이지 자체의 슬림함에 간섭을 주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수의 엘엠가이드의 위치를 동일선상에 배치하되 카메라 모듈의 X축 및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기본 스테이지의 높이를 최대한 슬림(Slim)하게 할 수 있는 센터블럭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본 고안에 따른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은 정사각 형상을 갖는 블럭몸체(110) 및 상기 블럭몸체(110) 상면에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된 삽입홈(111)을 포함하되, 상기 삽입홈(111)은 일측에 X축 이동부재(30)가 구비된 X축 이동바(130)의 타측과 체결되는 X축 삽입홈(111a), 일측에 Y축 이동부재(40)가 구비된 Y축 이동바(140)의 타측과 체결되는 Y축 삽입홈(11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Y축 삽입홈(111b)은 상기 X축 삽입홈(111a)을 사이에 두고 상기 블럭몸체(110) 일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Y축 삽입홈(111b)은 상기 블럭몸체(110) 외측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게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럭몸체(110)는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정사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13)를 더 포함하며, 돌출부(113) 둘레면에는 각각 상기 블럭몸체(110)의 이동에 필요한 크로스롤러(50)가 개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113)의 면적은 상기 블럭몸체(11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크로스롤러(50)가 하판플레이트(10) 또는 상판플레이트(20)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하판플레이트와 상판플레이트 사이에서 X축 및 Y축 이동부재가 장착된 X축 및 Y축 이동바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블럭몸체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종래의 위치결정 스테이지와 대비하여 높이가 축소된 더욱 슬림한 위치결정 스테이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위치결정 스테이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블럭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대한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대한 블럭몸체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과 하판플레이트 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에 대한 X축 및 Y축 이동바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에 대한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블럭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대한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대한 블럭몸체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과 하판플레이트 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에 대한 X축 및 Y축 이동바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에 대한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이하, 간략하게 '센터블럭'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센터블럭(100)은 크게 블럭몸체(110), X축 이동바(130) 및 Y축 이동바(14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블럭몸체(11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에 설명하는 X축 및 Y축 이동바(130,140)가 구비되되 하판플레이트(10) 및 상판플레이트(20) 사이에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구성으로 삽입홈(111) 및 돌출부(113)를 포함한다.
예컨대 블럭몸체(110)는 정사각의 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되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상판플레이트(20) 및 크로스롤러(50)가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다.
블럭몸체(110) 상면에는 상술한 체결공 이외에 복수의 삽입홈(111)이 형성되어 X축 이동바(130) 및 한 쌍의 Y축 이동바(140)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삽입홈(111)은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이동바(130)가 체결되기 위한 X축 삽입홈(111a) 및 Y축 이동바(140)가 체결되기 위한 Y축 삽입홈(111b)을 포함하며, 상기 Y축 삽입홈(111b)은 상기 X축 삽입홈(111a)은 기준으로 블럭몸체(110) 양측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하여, 작업자의 선택(예를 들어, 작업대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한 쌍의 Y축 삽입홈(111b) 중 어느 하나의 Y축 삽입홈(111b)에 Y축 이동바(140)를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만족시킨다.
또한, 돌출부(113)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정사각 형상을 갖는 블럭몸체(110) 하면에서 하방으로 동일 형상을 갖도록 연장 성형된다.
이때, 블럭몸체(110)의 제1면적(W1)에 대응하여 돌출부(113)의 제2면적(W2)은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며, 해당 제1면적과 제2면적 간의 면적 차이를 통해 상기 돌출부(113)의 둘레면(총 4면)에 각각 크로스롤러(5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크로스롤러(50)는 블럭몸체(110)의 이동방향에 따라 2개의 상기 크로스롤러(50)가 상기 블럭몸체(110)에 체결되고, 나머지 2개의 상기 크로스롤러(50)는 하판플레이트(10)에 체결되는 구조를 만족한다.
아울러, 돌출부(113) 둘레면에 각각 구비된 크로스롤러(50)는 가급적 블럭몸체(110) 면적과 대비하여 상기 크로스롤러(50) 몸체가 상기 블럭몸체(110)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게 설치되어 위치결정 스테이지 자체의 면적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해당 위치결정 스테이지가 용이하게 설치되어 본 고안인 센터블럭(100)의 X축 및 Y축 방향의 이동이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도 9 참조).
나아가, 각각의 크로스롤러(50) 외측에는 상기 크로스롤러(50) 외면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바가 구비된 또 다른 크로스롤러(50)가 설치된다(도 6 참조).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블럭몸체(110)는 하판플레이트(10)와 상판플레이트(20)가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블럭몸체(110)와 체결된 상기 상판플레이트(20)의 X축이나 Y축 이동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X축 이동바(1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상술한 X축 삽입홈(111a)과 체결수단을 통해 교체 가능하게 체결되되 타측에는 X축 이동부재(30)가 장착되어 블럭몸체(110)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동력이 상기 X축 이동부재(30)에 의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의 X축 이동바(1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몸체 일측이 X축 삽입홈(111a)과 형상 맞춤으로 삽입되며, 타측에는 X축 이동부재(30)가 관통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H)이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Y축 이동바(140)는 일측이 상술한 Y축 삽입홈(111b)과 체결수단을 통해 교체 가능하게 체결되되 타측에는 Y축 이동부재(40)가 장착되어 블럭몸체(11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동력이 상기 Y축 이동부재(40)에 의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Y축 이동바(140) 일측은 도시한 바와 같이, Y축 삽입홈(111b)의 절곡된 형상과 형상 맞춤으로 삽입되기 위해 동일하게 절곡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상기 Y축 삽입홈(111b)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될 수 있도록 블럭몸체(110)에 설치된다.
아울러, Y축 이동바(140) 타측 역시, 상술한 X축 이동바(130) 타측과 동일하게 Y축 이동부재(40)가 관통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H)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X축 이동바(130)와 Y축 이동바(140) 각각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H)에는 상기 관통공(H) 내경을 가변시키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절개홈을 통한 내경의 가변에 따라 X축 및 Y축 이동부재(30,40)의 설치에 대한 편의성을 갖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센터블럭(100)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하판플레이트(10)와 상판플레이트(20) 사이에서 X축 및 Y축 이동부재(30,40)가 장착된 X축 및 Y축 이동바(130,14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블럭몸체(110)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종래의 위치결정 스테이지와 대비하여 높이가 축소된 더욱 슬림한 위치결정 스테이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본 고안에 따른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
110: 블럭몸체 111: 삽입홈
113: 돌출부 130: X축 이동바
140: Y축 이동바
H: 관통공
W1: 블럭몸체의 면적
W2: 돌출부의 면적
110: 블럭몸체 111: 삽입홈
113: 돌출부 130: X축 이동바
140: Y축 이동바
H: 관통공
W1: 블럭몸체의 면적
W2: 돌출부의 면적
Claims (4)
- 정사각의 형상을 갖는 블럭몸체(110); 및
상기 블럭몸체(110) 상면에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된 삽입홈(111);을 포함하되,
상기 삽입홈(111)은, 일측에 X축 이동부재(30)가 구비된 X축 이동바(130)의 타측과 체결되는 X축 삽입홈(111a), 일측에 Y축 이동부재(40)가 구비된 Y축 이동바(140)의 타측과 체결되는 Y축 삽입홈(111b)을 포함하고,
상기 Y축 삽입홈(111b)은 상기 X축 삽입홈(111a)을 사이에 두고 상기 블럭몸체(110) 일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Y축 삽입홈(111b)은 상기 블럭몸체(110) 외측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게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110)는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정사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13);를 더 포함하며,
돌출부(113) 둘레면에는 각각 상기 블럭몸체(110)의 이동에 필요한 크로스롤러(50)가 개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3)의 면적은 상기 블럭몸체(11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크로스롤러(50)가 하판플레이트(10) 또는 상판플레이트(20)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30002070U KR200497627Y1 (ko) | 2023-10-12 | 2023-10-12 |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30002070U KR200497627Y1 (ko) | 2023-10-12 | 2023-10-12 |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7627Y1 true KR200497627Y1 (ko) | 2024-01-10 |
Family
ID=8951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30002070U KR200497627Y1 (ko) | 2023-10-12 | 2023-10-12 |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7627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47245A (ja) * | 2009-04-13 | 2010-11-04 | Kohzu Precision Co Ltd | 位置決めステージ |
KR200470627Y1 (ko) * | 2012-09-18 | 2014-01-03 | 전선호 | 망원경용 촬영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망원경 |
-
2023
- 2023-10-12 KR KR2020230002070U patent/KR20049762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47245A (ja) * | 2009-04-13 | 2010-11-04 | Kohzu Precision Co Ltd | 位置決めステージ |
KR200470627Y1 (ko) * | 2012-09-18 | 2014-01-03 | 전선호 | 망원경용 촬영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망원경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19997B2 (en) |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 |
US7912361B2 (en) | Image stabilizing apparatus for camera module | |
KR102322840B1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CN112534348B (zh) | 透镜驱动装置和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 | |
KR101771439B1 (ko) | 자동 초점 조절장치 | |
US20120320467A1 (en) | Image photographing device | |
US9933589B2 (en) |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 |
US11131825B2 (en) |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 |
US11223754B2 (en) | Optical component driving mechanism | |
US11126068B2 (en) | Optical system | |
KR102402613B1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US9664877B2 (en) | Prism-based focal plane adjustment for thermal compensation in a lens assembly | |
US11586005B2 (en) |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US20240111125A1 (en) |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 |
KR102167529B1 (ko) | 슬림형 위치결정 스테이지장치 | |
KR200497627Y1 (ko) | 위치결정 스테이지용 센터블럭 | |
US9025947B1 (en) | Actuator | |
KR101751133B1 (ko) | 카메라 모듈 | |
US20210191067A1 (en) | Optical system | |
US10585335B1 (en) | Camera module | |
US10110788B2 (en) | Camera device | |
KR102137567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623611B1 (ko) | 위치결정 스테이지장치 | |
KR102679996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640851B1 (ko) | 카메라 모듈 및 렌즈 정렬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