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9542A - 수성 유탁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성 유탁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9542A
KR20050099542A KR1020057014644A KR20057014644A KR20050099542A KR 20050099542 A KR20050099542 A KR 20050099542A KR 1020057014644 A KR1020057014644 A KR 1020057014644A KR 20057014644 A KR20057014644 A KR 20057014644A KR 20050099542 A KR20050099542 A KR 20050099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weight
aqueous
surfactant
nu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5838B1 (ko
Inventor
쓰까사 아가
히로또시 사까시따
마사또 이오끼
마사히로 미야하라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9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3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65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650/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 C08G2650/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containing halogen
    • C08G2650/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containing halogen containing fluorine, e.g. perfluro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65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650/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 C08G2650/58Ethylene oxide or propylene oxide copolymers, e.g. pluron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2Applications used for fi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549Coating or impregnation is chemically inert or of stated nonreactance
    • Y10T442/2566Organic solvent resistant [e.g., dry cleaning flui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A) 불소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성 수지 유탁액에, (B) 화학식 R10-(CH2CH2O)p-(R2O)q-R3[식 중, R1은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고, R2는 알킬렌기이며, R3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고, p는 2 이상의 수이며, q는 1 이상의 수이고, p 및 q는 폴리옥시에틸렌 블럭의 중량 비율이 분자 전체에 대하여 5 내지 80 중량%가 되는 수임]으로 표시되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성 유탁액 조성물은 불순물 안정성 및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수성 유탁액 조성물 {Aqueous Emulsion Composition}
본 발명은 수성 수지 유탁액에 의한 가공 처리에 있어서, 처리욕 중에 불순물이 존재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안정성이나, 가공 처리욕에서의 기계적 충격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며, 높은 발수 발유성이나 그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수성 유탁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케닐기 및 아크릴산기 또는 메타크릴산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체가 섬유 직물의 발수 발유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은 알려져 있는 사실이며, 특히 상기 중합체를 유화제에 의해 수성 매체 중에 분산시킨 수성 분산액이 공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수성 분산액을 희석하여 조합되는 발수 발유제 가공욕에서는 가공 처리 중에 전처리 공정에서부터 가공 천 등에 부착된 불순물의 혼입에 의해, 수성 분산액의 분산성이 악화되어 유탁액 입자의 응집 및 침강이 발생하거나, 또는 처리되는 옷감이 처리욕에 들어갈 때나 나올 때 받는 기계적 충격에 의해 분산액이 손상되어 유탁액 입자의 응집 및 침강이 발생하여 발수 발유 성능의 저하나, 롤에 중합체가 부착되어 옷감이 오염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즉, 종래의 수성 분산액은 불순물에 대한 안정성, 및 처리 공정에서의 기계적 안정성이 불충분하였다.
일본 특허 공개 (평)9-118877호, 일본 특허 공개 (평)9-125051호, 일본 특허 공개 (평)9-302335호에 불순물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최근의 발수 발유 가공의 다양성에 따라 충분히 만족할 수 있을 만한 안정성을 제공하고 있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순물 안정성 및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한 수성 유탁액 조성물, 및 거기에 이용한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A)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케닐기 및 아크릴산기 또는 메타크릴산기 또는 α-치환 아크릴산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 중 1종 이상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중합성 화합물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성 수지 유탁액에,
(B)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성 유탁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R10-(CH2CH2O)p-(R2O)q-R3
식 중, R1은 탄소수 1 내지 2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22의 알케닐기이고, R2는 탄소수 3 이상의 알킬렌기이며, R3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22의 알케닐기이고, p는 2 이상의 수이며, q는 1 이상의 수이고, p 및 q는 폴리옥시에틸렌 블럭의 중량 비율이 분자 전체에 대하여 5 내지 8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수이다.
수성 수지 유탁액은 불소 함유 중합체의 수성 유탁액이다.
불소 함유 중합체는 불소 함유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2종 이상의 불소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불소 함유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중합성 화합물과의 공중합체이다.
불소 함유 단량체는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케닐기 및 아크릴산기 또는 메타크릴산기 또는 α-치환 아크릴산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이다.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케닐기 및 아크릴산기 또는 메타크릴산기 또는 α-치환 아크릴산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의 예로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1)
(2)
(3)
(4)
(5)
(6)
식 중, Rf는 탄소수 1 내지 21(예를 들면, 3 내지 21)의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케닐기이고,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R3은 수소 원자, 메틸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CFX1X2기(단, X1 및 X2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임),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21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플루오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벤질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기이고,
Ar은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는 아릴기이고,
n은 1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 있어서, Rf기는 퍼플루오로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f기의 탄소수는 1 내지 21, 나아가 2 내지 20, 특히 4 내지 16이고, 예를 들면 6 내지 14이다. Rf기의 탄소수는 1 내지 6, 특히 1 내지 4일 수 있다. Rf기의 예는
등이다.
아크릴산기 또는 메타크릴산기를 갖는 불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의 구체예는 하기와 같다.
α-치환 아크릴산기에 있어서, α-치환기의 예는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수소 원자를 치환한(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21의) 알킬기(예를 들면, 모노플루오로메틸기 및 디플루오로메틸기), 시아노기, 방향족기(예를 들면, 치환 또는 비치환의 벤질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기)이다.
α-치환 아크릴산기를 갖는 불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의 구체예는 하기와 같다.
식 중, Rf는 탄소수 1 내지 21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케닐기이다.
다른 공중합 가능한 중합성 화합물에는 여러가지의 것이 있지만, 예시하면
(1)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메틸, 에틸,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프로필, 2-에틸헥실, 헥실, 데실, 라우릴, 스테아릴, 이소보르닐, β-히드록시에틸, 글리시딜, 페닐, 벤질, 4-시아노페닐에스테르류,
(2)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카프릴산, 라우릴산, 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의 비닐 에스테르류,
(3)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화합물,
(4) 불화비닐, 염화비닐, 브롬화비닐, 불화비닐리덴,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비닐 또는 비닐리덴 화합물류,
(5) 헵탄산 알릴, 카프릴산 알릴, 카프로산 알릴 등의 지방족 알릴에스테르류,
(6) 비닐 메틸케톤, 비닐 에틸케톤 등의 비닐 알킬케톤류,
(7) N-메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류, 및
(8) 2,3-디클로로-1,3-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의 디엔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다른 중합성 화합물로서 염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예를 들면, 염화비닐 및 염화비닐리덴)을 (중합체에 대하여, 예를 들면 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 함유 중합체 (A)의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10000000, 예를 들면 1000 내지 1000000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 (B)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계면활성제이다.
<화학식 1>
R10-(CH2CH2O)p-(R2O)q-R3
식 중, R1은 탄소수 1 내지 2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22의 알케닐기이고, R2는 탄소수 3 이상의 알킬렌기이며, R3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22의 알케닐기이고, p는 2 이상의 수이며, q는 1 이상의 수이고, p 및 q는 폴리옥시에틸렌 블럭의 중량 비율이 분자 전체에 대하여 5 내지 8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수이다.
계면활성제 (B)에 있어서, q는 2 이상의 수일 수 있다. 즉, -(R2O)q-가 폴리옥시알킬렌쇄를 형성할 수도 있다.
계면활성제 (B)는 중앙에 친수성 폴리옥시에틸렌쇄와 소수성 옥시알킬렌쇄(특히, 폴리옥시알킬렌쇄)를 함유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렌알킬에테르이다. 소수성 옥시알킬렌쇄로서는 옥시프로필렌쇄, 옥시부틸렌쇄, 스티렌쇄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옥시프로필렌쇄가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 (B)의 구체예는 하기와 같다.
식 중, p 및 q는 상기와 동일하다.
폴리옥시에틸렌 블럭의 비율이 계면활성제 (B)(공중합체)의 분자량에 대하여 5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30 내지 75 중량%, 특히 40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 (B)의 평균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300 내지 5,000, 예를 들면 500 내지 3,000이다.
계면활성제 (B)는 1종 단독일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계면활성제 (B)는 중합 후의 수성 수지 유탁액의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중합 후의 수성 수지 유탁액에 보호 콜로이드로서 첨가된다. 계면활성제 (B)의 양은 중합체 100 중량부당 0.01 내지 30 중량부, 예를 들면 1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 (B)에 추가하여, 계면활성제 (B) 이외의 계면활성제 (C)를 병용할 수도 있다. 계면활성제 (C)로서는 양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유화제를 들 수 있지만, 양이온성 유화제 또는 비이온성 유화제 또는 양쪽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유화제에는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아세테이트, 트리메틸테트라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트리메틸옥타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도데실메틸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도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메틸도데실디(히드로폴리옥시에틸렌)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도데실디(히드로폴리옥시에틸렌)암모늄 클로라이드, N-[2-(디에틸아미노)에틸]올레아미드 염산염이 포함된다.
비이온성 유화제에는 에틸렌옥시드와 헥실페놀, 이소옥틸페놀, 헥사데칸올, 올레산, 알칸(C12 내지 C16)티올, 소르비탄 모노지방산(C7 내지 C19) 또는 알킬(C12 내지 C18)아민 등과의 축합 생성물이 포함된다. 계면활성제 (C)의 중량은 중합체 (A) 100 중량부당 0.01 내지 30 중량부, 예를 들면 1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소포제를 함유한다. 특히 계면활성제를 함유시킴으로써 거품이 크게 일어날 것이 염려되는 경우에는 소포제를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소포제로서는 각종 수성용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저급 알코올; 아밀알코올,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그의 유도체 등과 같은 고급 알코올; 올레산, 톨유, 미네랄 오일, 비누 등과 같은 유지;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플루로닉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 실록산, 실리콘 수지 등과 같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으며,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대표적인 소포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아데카네이트 B, 아데카네이트 B1068 등의 B-시리즈(아사히 덴까 교교사 제조); 포마스터 DL, 노푸코 NXZ, SN 데포마 113, 325, 308, 368 등의 SN 데포마 시리즈; 데히드란 1293, 데히드란 1513[산노푸코 (주) 제조]; 플로논 SB-110N, SB-210, 510, 551, 아쿠알렌 800, 805, 아쿠알렌 1488[교에샤 가가꾸(주) 제조]; 서피놀 104E(에어 프로덕츠 & 케미컬사 제조 아세틸렌계 소포제); KS-607A[신에츠 가가꾸사(주) 제조]; FS 안티폼(다우코닝사 제조); BYK-020, 031, 073, W(빅 케미사 제조); 데히드란 981(헨켈 하꾸스이사 제조); 에판 410, 710, 720[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주) 제조]; Tego Foamex 시리즈(테고ㆍ골드슈미츠사 제조); 폼렉스-747, TY-10, EP 시리즈(닛까 가가꾸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소포제의 함유량은 수성 수지 유탁액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고, 0.05 내지 5 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중합체의 분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유기 용제를 첨가할 수 있다. 유기 용제의 예로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과 같은 케톤류,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에틸렌글리콜 유도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와 같은 에틸렌글리콜 유도체의 알킬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프로필렌글리콜 유도체,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에테르류,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N-알킬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용제의 양은 중합체 100 중량부당 5 내지 200 중량부, 예를 들면 10 내지 100 중량부, 특히 20 내지 80 중량부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성 분산액은 유기산이나 가교제, 다른 중합체, 다른 발수제, 발유제, 방충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염료 안정제, 주름 방지제 등의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교제로서는 블럭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멜라민 수지 화합물, 글리옥살계 수지 화합물, 요소계 수지 화합물, 가교성 단량체(N-메틸올아크릴아미드, 2-이소시아네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블럭화체 등)를 필수 중합 단위로 하는 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며, 블럭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멜라민 수지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블럭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이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블럭화제로 블럭한 구조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멜라민 수지 화합물로서는 트리메틸올멜라민, 헥사메틸올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중합 개시제 및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 중합성 화합물을 유기 용제를 첨가한 수중에서 유화 중합하여 중합체 (A)의 유탁액을 얻은 후, 유탁액에 계면활성제 (B) 및 필요에 따라 물을 첨가한다.
수성 분산액을 적용하는 기체(基體)는 섬유 제품 또는 속이 꽉 찬 시트이다. 기체는 시트상물, 예를 들면 천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제품으로서는 섬유 그 자체, 섬유로 구성되는 실, 섬유로 구성되는 천을 들 수 있다. 속이 꽉 찬 시트란, 섬유로 구성되는 천과 달리 공극이 존재하지 않는 시트이다.
기체는 필름, 섬유, 실, 직포, 카페트 및 천연 중합체 물질이나 변성된 천연 중합체 물질이나 합성 중합체 물질로부터 얻어진 필라멘트, 섬유 또는 실로 제조된 시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액은 도포, 침지, 블로잉, 패딩, 롤 피복 또는 이들 방법의 조합에 의해 기체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욕(浴)의 고형분량을 0.1 내지 10 중량%로 함으로써 패드욕으로서 사용하고, 이어서 기체를 이 욕에서 패드하고, 이어서 조임 롤로 과잉의 액체를 제거하여 건조 흡수(기체 상의 건조 중합체의 중량)가 기체의 약 0.01 내지 1 중량%가 되도록 적용된다. 또한, 처리 기체를 필요에 따라 100 내지 200 ℃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성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발수 발유성
중합체 분산액을 고형분 농도가 0.5 중량%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처리액을 제조한다. 폴리에스테르천을 처리액에 침지하여 맹글로 조이고, 습식 픽업률 65 %로 하여 100 ℃에서 2 분간 건조하고, 160 ℃에서 1 분간 열 처리한 후에 처리 천의 발수 발유성을 평가한다.
발수성은 JIS-L-1092의 분무법에 의한 발수성 번호(하기 표 1 참조)로서 나타낸다.
발유성은 AATCC-TM118에 의해 하기 표 2에 나타낸 시험 용액을 시험천 상에 2군데 몇 방울 늘어뜨리고, 30 초 후의 침투 상태를 관찰하여 침지를 나타내지 않은 시험 용액이 제공하는 발유성의 최고점을 발유성으로 한다.
발수성 번호 상태
5 표면에 부착 습윤이 없는 것
4 표면에 약간 부착 습윤을 나타내는 것
3 표면에 부분적 습윤을 나타내는 것
2 표면에 습윤을 나타내는 것
1 표면 전체에 습윤을 나타내는 것
발유성 시험 용액 표면 장력(dyne/cm, 25 ℃)
8 n-헵탄 20.0
7 n-옥탄 21.8
6 n-데칸 23.5
5 n-도데칸 25.0
4 n-테트라데칸 26.7
3 n-헥사데칸 27.3
2 n-헥사데칸 35/누졸 65 혼합 용액 29.6
1 누졸 31.2
0 1에 미치지 못하는 것 -
발수 발유성의 세탁 내구성
JIS L-0217-103법에 의한 세탁을 3회 반복적으로 행하고, 그 후의 발수 발유성을 평가한다(HL-3).
저장 안정성
수성 분산액(고형분 30 중량%)을 40 ℃에서 1 개월간 보존하고 침강 발생을 관찰한다.
○: 전혀 침강이 없음
△: 약간 침강이 있음
×: 침강이 많음
불순물 안정성
수성 분산액을 수돗물에 의해 고형분 농도 0.6 중량%로 희석하고, 여기에 나일론용 Fix제 0.03 중량%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의 응집물의 발생을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응집물의 발생이 전혀 없음
△: 응집물의 발생이 조금 있음
×: 응집물이 다량 발생함
저장 안정성
수성 분산액(고형분 30 중량%)을 40 ℃에서 1 개월간 보존하고 침강 발생을 관찰한다.
○: 전혀 침강이 없음
△: 약간 침강이 있음
×: 침강이 많음
<실시예 1>
1 L의 오토클레이브에 CnF2n +1CH2CH2OCOCH=CH2(n=6, 8, 10, 12, 14(n의 평균 8)의 화합물의 혼합물) 150 g,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75 g,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3 g, 순수한 물 300 g, 트리프로필렌글리콜 80 g, 아세트산 0.45 g, 옥타데실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6 g,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9 g을 넣어 교반하에 60 ℃에서 15 분간 초음파로 유화 분산시켰다. 유화 후 n-도데실머캅탄 1.5 g을 첨가하고, 추가로 염화비닐 45 g을 압입 충전하였다. 또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이염산염 1.12 g을 첨가하고, 60 ℃에서 5 시간 반응시켜 중합체의 수성 유탁액을 얻었다. 또한, 이 수성 유탁액에 C12H25O-(C2H4O)a-(C3H6O)b-H(폴리옥시에틸렌쇄의 평균이 10 몰, 폴리옥시프로필렌쇄의 평균이 4 몰) 3 g을 넣어 1 시간 교반시켜 수성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
1 L의 오토클레이브에 CnF2n +1CH2CH2OCOCH=CH2(n=6, 8, 10, 12, 14(n의 평균 8)의 화합물의 혼합물) 150 g,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37.5 g,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37.5 g,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1.8 g,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1.2 g, 순수한 물 300 g,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70 g, 아세트산 0.45 g, 디 경화 우지 알킬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6 g,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9 g을 넣어 교반하에 60 ℃에서 15 분간 초음파로 유화 분산시켰다. 유화 후 n-도데실머캅탄 1.5 g을 첨가하고, 추가로 염화비닐 45 g을 압입 충전하였다. 또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이염산염 1.12 g을 첨가하고, 60 ℃에서 5 시간 반응시켜 중합체의 수성 유탁액을 얻었다. 또한, 이 수성 유탁액에 C12H25O-(C2H4O)a-(C3H6O)b-H(폴리옥시에틸렌쇄의 평균이 14 몰, 폴리옥시프로필렌쇄의 평균이 2 몰) 3 g을 넣어 1 시간 교반시켜 수성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
1 L의 플라스크에 CnF2n +1CH2CH2OCOCH=CH2(n=6, 8, 10, 12, 14(n의 평균 8)의 화합물의 혼합물) 100 g,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50 g,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2 g, 순수한 물 200 g,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50 g, 아세트산 0.3 g,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4 g,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10 g을 넣어 교반하에 60 ℃에서 15 분간 초음파로 유화 분산시켰다.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이염산염 0.75 g을 첨가하고, 60 ℃에서 5 시간 반응시켜 중합체의 수성 유탁액을 얻었다. 또한, 이 수성 유탁액에 C12H25O-(C2H4O)a-(C3H6O)b-H(폴리옥시에틸렌쇄의 평균이 10 몰, 폴리옥시프로필렌쇄의 평균이 4 몰) 2 g을 넣어 1 시간 교반시켜 수성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
1 L의 플라스크에 CnF2n +1CH2CH2OCOCH=CH2(n=6, 8, 10, 12, 14(n의 평균 8)의 화합물의 혼합물) 100 g,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50 g,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2 g, 순수한 물 200 g,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50 g, 아세트산 0.3 g, 디 경화 우지 알킬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4 g,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8 g을 넣어 교반하에 60 ℃에서 15 분간 초음파로 유화 분산시켰다.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이염산염 0.75 g을 첨가하고, 60 ℃에서 5 시간 반응시켜 중합체의 수성 유탁액을 얻었다. 또한, 이 수성 유탁액에 C12H25O-(C2H4O)a-(C3H6O)b-H(폴리옥시에틸렌쇄의 평균이 10 몰, 폴리옥시프로필렌쇄의 평균이 4 몰) 1.6 g을 넣어 1 시간 교반시켜 수성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5>
1 L의 플라스크에 CnF2n +1CH2CH2OCOCH=CH2(n=6, 8, 10, 12, 14(n의 평균 8)의 화합물의 혼합물) 100 g,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25 g, 라우릴아크릴레이트 25 g,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1.2 g,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0.8 g, 순수한 물 200 g, 트리프로필렌글리콜 50 g, 에틸렌글리콜 10 g, 아세트산 0.3 g, 옥타데실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4 g,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8 g을 넣어 교반하에 60 ℃에서 15 분간 초음파로 유화 분산시켰다.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이염산염 0.75 g을 첨가하고, 60 ℃에서 5 시간 반응시켜 중합체의 수성 유탁액을 얻었다. 또한, 이 수성 유탁액에 C12H25O-(C2H4O)a-(C3H6O)b-H(폴리옥시에틸렌쇄의 평균이 14 몰, 폴리옥시프로필렌쇄의 평균이 2 몰) 1.6 g을 넣어 1 시간 교반시켜 수성 분산액을 얻었다.
<비교예 1>
수성 유탁액에 C12H25O-(C2H4O)a-(C3H6O)b-H(폴리옥시에틸렌쇄의 평균이 10 몰, 폴리옥시프로필렌쇄의 평균이 4 몰)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얻은 수성 분산액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수성 유탁액에 C12H25O-(C2H4O)a-(C3H6O)b-H(폴리옥시에틸렌쇄의 평균이 14 몰, 폴리옥시프로필렌쇄의 평균이 2 몰) 대신에 C16H33O-(C3H6O)a-(C2H4O)b-H(폴리옥시에틸렌쇄의 평균이 10 몰, 폴리옥시프로필렌쇄의 평균이 4 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얻은 수성 분산액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수성 유탁액에 C12H25O-(C2H4O)a-(C3H6O)b-H(폴리옥시에틸렌쇄의 평균이 10 몰, 폴리옥시프로필렌쇄의 평균이 4 몰)를 첨가하는 대신에 C16H33O-(C3H6O)a-(C2H4O)b-H(폴리옥시에틸렌쇄의 평균이 10 몰, 폴리옥시프로필렌쇄의 평균이 4 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얻은 수성 분산액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4>
수성 유탁액에 C12H25O-(C2H4O)a-(C3H6O)b-H(폴리옥시에틸렌쇄의 평균이 10 몰, 폴리옥시프로필렌쇄의 평균이 4 몰)를 첨가하는 대신에 C16H33O-(C3H6O)a-(C2H4O)b-H(폴리옥시에틸렌쇄의 평균이 20 몰, 폴리옥시프로필렌쇄의 평균이 8 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얻은 수성 분산액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5>
수성 유탁액에 C12H25O-(C2H4O)a-(C3H6O)b-H(폴리옥시에틸렌쇄의 평균이 14 몰, 폴리옥시프로필렌쇄의 평균이 2 몰)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얻은 수성 분산액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수성 분산액은 처리욕 중에 불순물이 존재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안정성이나, 가공 처리욕에서의 기계적 충격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고, 높은 발수 발유성이나 그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수성 분산액은 입자의 침강을 일으키지 않으며, 롤에 중합체가 부착하여 옷감 오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Claims (6)

  1. (A)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케닐기 및 아크릴산기 또는 메타크릴산기 또는 α-치환 아크릴산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 중 1종 이상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중합성 화합물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성 수지 유탁액에,
    (B)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성 유탁액 조성물.
    <화학식 1>
    R10-(CH2CH2O)p-(R2O)q-R3
    식 중, R1은 탄소수 1 내지 2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22의 알케닐기이고, R2는 탄소수 3 이상의 알킬렌기이며, R3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22의 알케닐기이고, p는 2 이상의 수이며, q는 1 이상의 수이고, p 및 q는 폴리옥시에틸렌 블럭의 중량 비율이 분자 전체에 대하여 5 내지 8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B)에서의 알킬렌기(R2기)가 프로필렌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소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이용하는 기체(基體)의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섬유 제품에 발수 발유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처리된 기체.
KR1020057014644A 2003-02-10 2004-02-05 수성 유탁액 조성물 KR100695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31967 2003-02-10
JPJP-P-2003-00031967 2003-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542A true KR20050099542A (ko) 2005-10-13
KR100695838B1 KR100695838B1 (ko) 2007-03-19

Family

ID=3284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644A KR100695838B1 (ko) 2003-02-10 2004-02-05 수성 유탁액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803892B2 (ko)
EP (1) EP1600481B1 (ko)
JP (2) JP4325619B2 (ko)
KR (1) KR100695838B1 (ko)
CN (1) CN1318505C (ko)
AT (1) ATE532823T1 (ko)
CA (1) CA2515131A1 (ko)
ES (1) ES2376058T3 (ko)
TW (1) TWI254742B (ko)
WO (1) WO20040699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77543A4 (en) * 2002-01-21 2007-10-31 Daikin Ind Ltd AQUEOUS HYDRO AND OLEOPHOBY DISPERSION
SE530015C2 (sv) * 2006-06-09 2008-02-12 Becare Orthopedic Thermal Care Högviskös komposition lämpad för muskelbehandling, vilken komposition innefattar polyoxyetylen-polyoxypropylen-blocksampolymer, samt dyna innefattande kompositionen
JP2013136668A (ja) 2011-12-28 2013-07-11 Daikin Industries Ltd 含フッ素組成物および含フッ素重合体
US8771470B2 (en) * 2012-01-17 2014-07-08 Agc Chemicals Americas, Inc. Method of preparing a treated article and treated article formed therefrom
ES2786126T3 (es) * 2012-03-16 2020-10-08 Daikin Ind Ltd Agente resistente al agua/resistente al aceite para papel
JP5569614B2 (ja) * 2012-03-23 2014-08-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水性エマルション組成物
JP5855749B2 (ja) 2012-07-06 2016-02-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含フッ素重合体の製造方法
CN103666279A (zh) * 2012-09-24 2014-03-26 天津博克尼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抗静电车辆漆面体抛光乳蜡
US20220185925A1 (en) * 2019-04-09 2022-06-16 Colonial Chemical, Inc. Sugar-based, environmentally-friendly surfactants for emulsion polymer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8877A (ja) 1987-11-30 1989-06-12 Unitika Ltd 防汚性合成繊維の製造法
JPH08291468A (ja) 1995-04-20 1996-11-05 Meisei Kagaku Kogyo Kk 含フッ素撥水撥油剤組成物および処理方法
JPH0959602A (ja) 1995-06-12 1997-03-04 Asahi Glass Co Ltd 水分散型撥水撥油剤組成物
JP3744034B2 (ja) 1995-10-24 2006-02-08 旭硝子株式会社 夾雑物安定性に優れる水分散型撥水撥油剤組成物
JP3744035B2 (ja) 1995-10-27 2006-02-08 旭硝子株式会社 安定性に優れる水分散型撥水撥油剤組成物
JPH09302335A (ja) 1996-05-13 1997-11-25 Asahi Glass Co Ltd 安定性の高い水分散型撥水撥油剤組成物
JP2000160149A (ja) 1998-11-30 2000-06-13 Asahi Glass Co Ltd 撥水撥油剤用水分散型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212549A (ja) * 1999-01-25 2000-08-02 Asahi Glass Co Ltd 撥水撥油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49166A (ja) * 1999-08-12 2001-02-20 Asahi Glass Coat & Resin Kk 表面処理剤組成物および表面処理された構造体
JP2001098033A (ja) * 1999-09-30 2001-04-10 Asahi Glass Co Ltd 共重合体、撥水撥油剤、および水分散型撥水撥油剤組成物
KR100682784B1 (ko) * 1999-10-29 2007-02-16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발수발유제용 수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ATE302243T1 (de) * 2003-02-28 2005-09-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Fluoropolymerdispersion enthaltend kein oder wenig fluorhaltiges netzmittel mit niedrigem molekulargewic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69924A1 (ja) 2004-08-19
JP2008248263A (ja) 2008-10-16
TW200418969A (en) 2004-10-01
EP1600481B1 (en) 2011-11-09
ATE532823T1 (de) 2011-11-15
CN1748000A (zh) 2006-03-15
JPWO2004069924A1 (ja) 2006-05-25
EP1600481A1 (en) 2005-11-30
EP1600481A4 (en) 2006-11-08
ES2376058T3 (es) 2012-03-08
US20060148353A1 (en) 2006-07-06
KR100695838B1 (ko) 2007-03-19
TWI254742B (en) 2006-05-11
JP4325619B2 (ja) 2009-09-02
US7803892B2 (en) 2010-09-28
CA2515131A1 (en) 2004-08-19
CN1318505C (zh) 2007-05-30
JP4962435B2 (ja)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857B1 (ko) 불소 함유 조성물 및 불소 함유 중합체
CN111742031B (zh) 表面处理剂
JP4962435B2 (ja) 水性エマルション組成物の製造方法
EP1754761B1 (en) Water- and oil-repellen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WO2011122442A1 (ja) α−クロロアクリレートを使用した撥水撥油剤
JP4178954B2 (ja) 低温キュア性の改良された撥水撥油剤組成物
JP5569614B2 (ja) 水性エマルション組成物
JP2017165873A (ja) 表面処理剤
KR20130076755A (ko) 표면 처리제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7160433A (ja) 表面処理剤組成物
JP2006188546A (ja) 仕上げ加工用水性分散液
KR100689941B1 (ko) 발수 발유제 수성 분산액 조성물
EP3919672A1 (en) Water-repellent softening agent
KR20130076756A (ko) 표면 처리제
KR100605415B1 (ko) 발수 발유제 수성 분산액
JP2002220539A (ja) 水分散型フッ素系共重合体組成物
WO2023145394A1 (ja) 処理繊維製品の製造方法
JP2002275453A (ja) 水分散型撥水撥油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49630A (ja) 水分散型フッ素系共重合体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