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1268A -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268A
KR20050091268A KR1020040016616A KR20040016616A KR20050091268A KR 20050091268 A KR20050091268 A KR 20050091268A KR 1020040016616 A KR1020040016616 A KR 1020040016616A KR 20040016616 A KR20040016616 A KR 20040016616A KR 20050091268 A KR20050091268 A KR 20050091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re
pipe member
form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6513B1 (ko
Inventor
오다시게오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오다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오다기상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오다기상
Priority to KR102004001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513B1/ko
Publication of KR20050091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4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for dim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얇은 두께의 파이프재라도 파손시키지 않고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뛰어난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파이프재(1)에 홈부(5)를 형성하는 성형 방법으로서, 상기 파이프재(1)의 공동부(2)에 상기 홈부(5)의 암형이 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오목부(11)를 주단부(3)에 갖는 코어(10)를 삽입하여 양자를 고정하고, 회전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단수 또는 복수의 회전 수형(20)을, 상기 파이프재(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이동시키며, 회전 이동하는 상기 회전 수형(20)의 외주 단부를, 파이프재(1)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주단부에서, 상기 코어(10)가 갖는 오목부(11)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접촉시키고, 파이프재(1)의 주단부(3)를 상기 오목부(11)로 밀어 넣어 홈부(5)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METHOD FOR FORMING GROOVE IN PIPE MEMB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시트백에 부착되는 무헤드스테이의 다리부를 구성하는 파이프재 홈부를 형성하는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동차의 시트백용 무헤드스테이의 다리부 등을 구성하는 파이프재(1)에 홈부(5)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형(50)을 파이프재의 정면 대향 방향으로부터 밀어 넣어 성형하는 것이 있다.
또한, 회전 가능한 성형형을 파이프재의 주단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하강 이동시켜 예비 성형을 한 후, 프레스 가공에 의해 본 성형을 행하는 것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2-210519호 공보
그러나 전자(前者)의 종래 기술은 파이프가 얇은 두께인 경우에는, 그 성형형의 압박력에 의해 파이프재가 파손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자(後者)의 종래 기술(특허 문헌 1)은, 예비 성형과 본 성형의 2가지 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생산성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얇은 두께의 파이프재라도 파손시키지 않고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뛰어난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은 파이프재(1)에 홈부(5)를 형성하는 성형 방법으로서, 상기 파이프재(1)의 공동부(2)에 상기 홈부(5)의 암형이 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오목부(11)를 주단부(3)에 갖는 코어(10)를 삽입하여 양자를 고정하고, 회전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단부 또는 복수의 회전 수형(20)을, 상기 파이프재(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이동시키며, 회전 이동하는 상기 회전 수형(20)의 외주단부를 파이프재(1)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주단부에, 상기 코어(10)가 갖는 오목부(11)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접촉시키고, 파이프재(1)의 주단부(1a)를 상기 오목부(11)로 밀어 넣어, 홈부(5)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은, 상기 코어(10)의 주단부에, 상기 홈부(5)의 높이보다 높은 공간부(4)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5) 성형 후, 상기 코어(10)에 형성한 공간부(4)가 상기 홈부(5) 쪽에 위치하도록 코어(10)를 회전한 후, 그 코어(10)를 뽑아내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은, 상기 코어(10)의 주단부에 상기 홈부(5)의 높이보다 높은 공간부(4)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5) 성형 후, 상기 코어(10)에 형성한 공간부(4)가 상기 홈부(5) 쪽에 위치하도록 코어(10)에 대하여 상기 파이프재(1)를 회전한 후, 그 파이프재(1)를 뽑아내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에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은 상기 회전 수형(20)을, 짧은 원주 형상의 원형 수형(21) 또는 원추체 형상의 원추 수형(22)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은, 상기 회전 수형(20) 대신에, 회전하지 않는 긴 판형상에서 상기 코어(10)가 갖는 오목부(11)와 대략 동일한 단면 형상의 부위를 갖는 판형 수형(30)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판형 수형(30)을 상기 파이프재(1)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주단부에서, 상기 코어(10)가 갖는 오목부(11)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접촉시키고, 파이프재(11)의 주단부(1a)를 상기 오목부(11)로 밀어 넣어, 홈부(5)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은, 상기 판형 수형(30)의 선단부의 파이프재(1)에 접촉하는 쪽을 직선형 또는 곡선형의 경사면(30a)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괄호안의 기호는 도면 및 후술하는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대응 요소 또는 대응 사항을 나타낸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그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3은 그에 사용하는 코어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은, 자동차의 시트백에 부착되는 무헤드스테이의 다리부를 구성하는 파이프재(1)에 복수의 홈부(5)를, 파이프재(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홈부 성형 방법은, 먼저 파이프재(1)를 상부 금형(41) 및 하부 금형(42)과 스파이럴 스프링(43)을 갖는 고정 지그(40)의 상기 하부 금형(42)에 윗쪽으로 얹어 놓고, 그 공동부(2)에 홈부(5)의 암형이 되는 복수의 오목부(11)를 주단부(3)에 갖는 코어(10)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 공정은, 코어(10)의 단부에 형성한 플랜지부(12)를 고정 부재(도시 생략) 등에 조립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다음에, 고정 지그(40)의 바로 윗쪽에, 스파이럴 스프링(45)을 통해 설치한 압박형(44)을 하강시키고, 그것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회전 수형(20)을 수직 방향으로 하강 이동시킨다. 이에 수반하여, 고정 지그(40)의 상부 금형(41)도 하강 이동시키고, 하부 금형(42)과 협동하여 파이프재(1)를 고정한다. 동시에 파이프재(1)에 미끄럼 접촉하여 회전 이동하는 회전 수형(20)의 외주단부에서, 파이프재(1)의 좌우 편측 주단부(1a)를 압박하고, 오목부(11)로 밀어 넣어 홈부(5)를 형성한다.
즉, 회전 이동하는 회전 수형(20)의 외주 단부를 파이프재(1)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주단부(1a)(도 1에서는 파이프재(1)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으로 어긋나 있음)에서 코어(10)가 갖는 오목부(11)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도 1에서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에 걸친 수평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도 1에서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에 걸친 수직 방향)으로부터 접촉시키고, 파이프재(1)의 주단부(1a)를 오목부(11)로 밀어 넣어 홈부(5)를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수형(20)으로서 짧은 원주 형상의 원형 수형(21)과 원추체 형상의 원추 수형(22)의 양쪽을 사용하고, 코어(10)의 오목부(11)도 그에 대응한 형상, 즉 수직 오목부와 경사홈용 오목부로 하고 있다.
또한, 코어(10)를 그 상하 한쪽 주단부(도 1에서는 하측 주단부)에 홈부(5)의 높이보다 높은 공간부(4)를 형성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홈부(5)를 성형 후, 이 코어(10)를 90°, 홈부(5) 쪽(도 1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추출함으로써 홈부(5)와 간섭하지 않고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코어(10)를 회전하여 파이프재(1) 중에서 추출하도록한 것이지만, 이 대신에 코어(10) 쪽을 고정하고, 코어(10)에 대하여 파이프재(1) 쪽을 회전시킴으로써 뽑아낼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이 홈부 성형 방법에 사용하는 판형상 수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이 홈부 성형 방법의 특징은, 제1 실시예에서의 회전 수형(20) 대신에 회전 이동하지 않는 긴 판형상의 판형 수형(30)을 사용한 것이다. 이 판형 수형(30)을,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으로 하강시켜 파이프재(1)의 좌우 편측 주단부(1a)를 압박하여, 코어(10)의 오목부(11)에 밀어 넣음으로써 파이프재(1)를 파손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1회의 가공에 의해 홈부(5)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 수형(30)의 선단부(하단부)의 파이프재(1)에 접촉하는 쪽을 직선형((a) 참조) 또는 곡선형((b)참조)의 경사면(30a)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파이프재(1)의 좌우 편측 주단부(1a)를, 경사면(30a)에 의해 서서히 변형할 수 있으므로, 파이프재(1)에 편 두께부(6)를 형성하지 않고, 홈부(5)를 형성할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회전 이동하지 않는 긴 판형상의 판형 수형(30)은 코어의 오목부(11)를 수직 오복부로 하여 파이프재(1)에 수직홈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었지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판형 수형(30)을 사용하여 코어(10)의 오목부(11)를 경사홈용 오목부로 하여 파이프재(1)에 경사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긴 판형상의 판형 수형(30)은 코어(10)가 갖는 오목부(11)와대략 동일한 단면 형상의 부위를 갖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에 따르면, 회전 수형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 이동하는 외주 단부에서 파이프재의 주단부에 홈부를 형성하므로, 얇은 두께의 파이프재를 가동하는 경우에도 파손되지 않는다. 즉, 회전 수형에서 파이프재의 주 단부를 수직 방향으로 압박하므로, 이 파이프재를 뚫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파이프재의 공동부에 암형인 오목부를 갖는 코어를 삽입하고, 그 오목부와 회전 수형에 의해 홈부를 성형하므로, 1회의 가공으로 완성된 홈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 효과 외에 코어의 주단부에 홈부의 높이보다 높은 공간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코어를 회전시켜 추출함으로써 파이프재로부터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다.
따라서, 성형 가공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 효과 외에, 코어의 주단부에 홈부의 높이보다 높은 공간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코어에 대하여 파이프재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다.
따라서, 성형 가공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 효과 외에 회전 수형을 짧은 원주 형상의 원형 수형 또는 원추체 형상의 원추 수형으로 하였으므로, 단면 직사각형이나 경사형의 홈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회전 수형 대신에 회전 이동하지 않는 긴 판형상의 판형 수형을 사용하였으므로, 이것에 의해서도 얇은 두께의 파이프재에 홈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1회의 가공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 효과 외에, 상기 판형 수형의 선단부의 파이프재에 접촉하는 쪽을 직선형 또는 곡선형의 경사면으로 하였기 때문에, 파이프재를 서서히 변형할 수 있어, 따라서 이 파이프재에 편 두께부를 형성하지 않고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홈부 성형 방법의 주요부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홈부 성형 방법에 사용하는 코어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홈부 성형 방법에 사용하는 판형 수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도 6은 판형 수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직선형의 경사면, (b)는 곡선형의 경사면을 갖는 것의 정면도.
도 7은 파이프재의 홈부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8은 판형 수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a)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9는 자동차의 시트백용 무헤드스테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종래예에 따른 홈부 성형 방법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이프재
1a, 3 : 주단부
2 : 공동부
4 : 공간부
5 : 홈부
6 : 편 두께부
10 : 코어
11 : 오목부
12 : 플랜지부
20 : 회전 수형
21 : 원형 수형
22 : 원추 수형
30 : 판형 수형
30a : 경사면
40 : 고정 지그
41 : 상부 금형
42 : 하부 금형
43, 45 : 스파이럴 스프링
44 : 압형
50 : 성형형

Claims (6)

  1. 파이프재에 홈부를 형성하는 성형 방법으로서,
    상기 파이프재의 공동부에, 상기 홈부의 암형이 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오목부를 주단부에 갖는 코어를 삽입하여 양자를 고정하고,
    회전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단수 또는 복수의 회전 수형을 상기 파이프재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회전 이동하는 상기 회전 수형의 외주 단부를, 파이프재의 중심선보다 어긋난 주단부에서, 상기 코어가 갖는 오복부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서 접촉시키고, 파이프재의 주단부를 상기 오목부로 밀어 넣어, 홈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주단부에, 상기 홈부의 높이보다 높은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 성형 후, 상기 코어에 형성된 공간부가 상기 홈부 쪽에 위치하도록 코어를 회전한 후, 뽑아내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주단부에, 상기 홈부의 높이보다 높은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 성형 후, 상기 코어에 형성된 공간부가 상기 홈부 쪽에 위치하도록 코어에 대하여 상기 파이프재를 회전한 후, 뽑아내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형을, 짧은 원주 형상의 원형 수형 또는 원추체 형상의 원추 수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형 대신에, 회전 이동하지 않는 긴 판형상으로 상기 코어가 갖는 오목부와 대략 동일한 단면 형상의 부위를 갖는 판형 수형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판형 수형을, 상기 파이프재의 중심선보다 어긋난 주단부에서, 상기 코어가 갖는 오목부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접촉시키고, 파이프재의 주단부를 상기 오목부로 밀어 넣어, 홈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수형의 선단부의 파이프재에 접촉하는 쪽을 직선형 또는 곡선형의 경사면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
KR1020040016616A 2004-03-11 2004-03-11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 KR100566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616A KR100566513B1 (ko) 2004-03-11 2004-03-11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616A KR100566513B1 (ko) 2004-03-11 2004-03-11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268A true KR20050091268A (ko) 2005-09-15
KR100566513B1 KR100566513B1 (ko) 2006-03-31

Family

ID=37272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616A KR100566513B1 (ko) 2004-03-11 2004-03-11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5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314B1 (ko) * 2013-11-12 2015-05-28 에스에프앤티 주식회사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스테이로드의 홈 가공장치
KR20230090541A (ko)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비엠티 금속튜브의 홈 성형시스템
KR20230090539A (ko)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비엠티 성형력이 증대된 피팅용 금속튜브의 홈 성형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847B1 (ko) 2011-07-07 2011-12-01 주유찬 자동차시트 헤드레스트 폴가이드부쉬 코어 금형 및 이를 이용한 폴가이드부쉬 제조방법
KR101274744B1 (ko) * 2011-09-09 2013-06-17 주유찬 폴가이드부쉬 홀 관통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가이드부쉬 제조 자동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314B1 (ko) * 2013-11-12 2015-05-28 에스에프앤티 주식회사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스테이로드의 홈 가공장치
KR20230090541A (ko)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비엠티 금속튜브의 홈 성형시스템
KR20230090539A (ko)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비엠티 성형력이 증대된 피팅용 금속튜브의 홈 성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6513B1 (ko) 200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801B1 (ko) 베어링 씰 제조용 금형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제조된 베어링 씰
KR100566513B1 (ko)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
JP2002213476A (ja)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外輪の製造方法
JP5070355B1 (ja) パイプ材の溝成形方法
JP2008080381A (ja) 湾曲中空パイプの製造方法
JP3706865B2 (ja) パイプ材の溝部成形方法
CN108297941B (zh) 一种汽车后盖及其加工方法
JP5783598B2 (ja) パイプ状部材の曲げ成形装置
JP3559784B2 (ja) ボス部を有する板金製回転部材のスプラインとキー溝の形成方法
CN110076269B (zh) 一种用于加工鞋楦定位销的模具装置及其加工方法
KR100895446B1 (ko) 차량용 리클라이닝장치의 리클라이너샤프트 제조방법
CN108418039B (zh) 连接器、电子装置及主壳体的制造方法
CN213997398U (zh) 一种转轴定位开槽用模具
JP2000317569A (ja) 鍛造方法及び鍛造型
JP2002045998A (ja) プレス成形機
CN110369612B (zh) 一种执手拨轮的加工模具
JP3642509B2 (ja) 歯形サイジング用金型
CN220515190U (zh) 凹轮阻尼片及其成型模具
CN217798471U (zh) 薄壁外花键齿毂油槽挤压模具
CN211807505U (zh) 薄形斜顶倒扣脱模机构及其注塑模具
TWI817735B (zh) 多沖程之長套筒成型方法
CN215587575U (zh) 一种用于工件整形的冲压模具
CN221018289U (zh) 可快速对模的模具
JP3863419B2 (ja) 短尺パイプ曲げ装置および短尺パイプ曲げ方法
JP5159166B2 (ja) ブロー成形方法及びブロー成形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