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541A - 금속튜브의 홈 성형시스템 - Google Patents

금속튜브의 홈 성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541A
KR20230090541A KR1020210179405A KR20210179405A KR20230090541A KR 20230090541 A KR20230090541 A KR 20230090541A KR 1020210179405 A KR1020210179405 A KR 1020210179405A KR 20210179405 A KR20210179405 A KR 20210179405A KR 20230090541 A KR20230090541 A KR 20230090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roove
coupled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7774B1 (ko
Inventor
윤종찬
임재훈
제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to KR1020210179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7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90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52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for fluid drive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6Control arrangements for fluid-driven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부(10); 중앙부위에서 수직 상방으로 가동홈(213)이 형성되어 하우징부(10)의 전방부위에 결합되는 회전판(21), 회전판(21)의 중앙부위 하측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편(23),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고정편(2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휠(24), 가동홈(213)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편(25), 지지휠(24)과 대향하며 가동편(25)의 하단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성형휠(26)이 구비되는 튜브성형부(20); 후단부위는 하우징부(10)의 후방부위를 관통하며 설치되고 전단부위는 하우징부(10)의 전방부위로 연장되는 제1, 2유압호스(31, 32), 제1, 2유압호스(31, 32) 각각의 전단부위와 연결되는 실린더(33), 하단부위는 실린더(33)와 연결되고 연장되는 상단부위는 가동편(25)의 후방 일측부위와 결합되는 피스톤로드(35)가 구비되는 유압부; 튜브성형부(20)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하 각각에 위치하되, 하면부위 및 상면부위 각각에 제1, 2파지면(441, 451)이 형성되는 제1, 2파지슬라이드(44, 45)가 구비되는 튜브고정부(40); 튜브성형부(20)의 후방부위와 축으로 연결되어 금속튜브(P)가 튜브고정부(40)에 고정되면 튜브성형부(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금속튜브의 홈 성형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금속튜브의 홈 성형시스템{System for forming groove in metal tube}
본 발명은 금속튜브의 표면에 홈을 형성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증진된 성형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금속튜브가 다양한 직경을 가지더라도 성형과정에서 매우 안정적인 구속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의도하지 않는 부위에 홈이 형성되는 경우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금속튜브의 홈 성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압의 유체가 유동하는 금속재질의 튜브 피팅에는 페럴이 사용되는데, 페럴이 매개된 금속튜브를 바디에 삽입한 상태로 너트를 회전시키면, 너트의 회전에 의해 페럴의 선단부가 변형되면서 금속튜브 표면을 강하게 파지하며 피팅이 이루어진다.
한편, 금속튜브의 표면에 손상이 있으면 고압 환경에서 손상 부위를 통해 누설이 발생할 수 있으며, 페럴의 경도가 금속튜브의 경도보다 낮으면 파지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질화 처리와 같은 열처리가 수행된 페럴을 사용해서 금속튜브에 대한 피팅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페럴에 열처리가 행해지면, 페럴의 경도는 상승시킬 수 있지만 페럴의 내식성이 저하되어 잠재적인 누설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튜브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장치로 알려진 기술 중에 도 6a와 같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12624호가 있다. 이 기술은 캠판(3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캠홈(302)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단위체 각각이 도 6b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복수 개의 디스크유닛(200a, 200b, 200c)을 마련하고, 디스크유닛(200a, 200b, 200c) 각각에 장착되는 디스크(220a, 220b, 220c)로서 금속튜브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 기술은, 구동모터(410)로부터 강력한 회전력이 전달되면, 디스크(220a, 220b, 220c)를 강한 힘으로 금속튜브의 표면에 밀착시켜 금속튜브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일정 두께 이하의 금속튜브에는 적용할 수가 없다. 게다가, 디스크가 금속튜브에 3점 접점 방식으로 밀착되어 홈을 형성하는 방식이어서 디스크 중의 어느 하나라도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면 일정 피치를 가지는 홈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12624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안정적으로 금속튜브에 있어 의도하는 지점 및 의도하는 깊이로 보다 정확하게 홈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튜브의 성형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부(10); 중앙부위에서 수직 상방으로 가동홈(213)이 형성되어 하우징부(10)의 전방부위에 결합되는 회전판(21), 회전판(21)의 중앙부위 하측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편(23),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고정편(2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휠(24), 가동홈(213)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편(25), 지지휠(24)과 대향하며 가동편(25)의 하단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성형휠(26)이 구비되는 튜브성형부(20); 후단부위는 하우징부(10)의 후방부위를 관통하며 설치되고 전단부위는 하우징부(10)의 전방부위로 연장되는 제1, 2유압호스(31, 32), 제1, 2유압호스(31, 32) 각각의 전단부위와 연결되는 실린더(33), 하단부위는 실린더(33)와 연결되고 연장되는 상단부위는 가동편(25)의 후방 일측부위와 결합되는 피스톤로드(35)가 구비되는 유압부; 튜브성형부(20)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하 각각에 위치하되, 하면부위 및 상면부위 각각에 제1, 2파지면(441, 451)이 형성되는 제1, 2파지슬라이드(44, 45)가 구비되는 튜브고정부(40); 튜브성형부(20)의 후방부위와 축으로 연결되어 금속튜브(P)가 튜브고정부(40)에 고정되면 튜브성형부(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성형부(20)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지지대(41)가 위치하며, 후면부위가 회전판(21)의 전면부위와 대향하고 중앙부위를 기점으로 수직상방 및 수직하방 각각으로 제1, 2절개홈(431, 433)이 형성되는 고정판(43)의 하측부위가 지지대(41)에 고정되고, 상기 제1파지슬라이드(44)의 상측부위에는 θ만큼 경사진 일정 깊이의 제1가이드홈(443)이 형성되어 제1절개홈(43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파지슬라이드(45)의 하측부위에는 -θ만큼 경사진 일정 깊이의 제2가이드홈(453)이 형성되어 제2절개홈(43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2가이드홈(443, 453) 각각에 안치되는 제1, 2포크(471, 473)가 일측부위에 마련되는 가동포크(47)가 고정판(43)의 전방에 위치하며, 타측부위는 지지대(41)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일측부위는 가동포크(47)의 타측부위에 결합되어 가동포크(47)를 전후진시키는 구동실린더(4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21)의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일정깊이의 삽입홈(215)에는 튜브감지부(60)가 마련되되, 상기 튜브감지부(60)는, 일면부위에는 튜브밀착면(611)이 마련되고 타면부위에는 접촉단(613)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215)의 일측부위에 위치하는 튜브안치단(61)과, 상기 접촉단(613)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하며 상기 삽입홈(215)의 타측부위에 매립되는 접촉센서(67)와, 상기 접촉단(613) 외면에 마련되어 접촉단(613)과 접촉센서(67) 사이의 접점을 제어하는 탄성수단(6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튜브에 홈을 형성함에 있어 금속튜브를 기점으로 성형휠과 지지휠을 배치하는 2점 접점 방식의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보다 증진된 성형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일정 두께 이상을 가지는 금속튜브에도 매우 용이하게 홈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실린더에 의해 수직 상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금속튜브를 고정하는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작업 대상으로서의 금속튜브가 다양한 직경을 가지더라도 성형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매우 안정적으로 구속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감지부를 통해 성형이 필요한 금속튜브의 특정부위가 튜브성형부의 정위치에 자리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금속튜브의 의도하지 않는 부위에 홈이 형성되는 경우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a 및 도 2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시스템에 있어 튜브성형부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시스템의 튜브성형부에 있어 성형휠 및 지지휠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도 4a 및 도 4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시스템에 있어 튜브고정부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도.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시스템에 있어 튜브감지부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도.
도 6a는 종래 금속튜브의 홈 성형시스템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6b는 도 6a에 있어 디스크유닛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금속튜브의 홈을 성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부(10), 튜브성형부(20), 유압부, 튜브고정부(40), 구동모터부(50), 그리고 이들 각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들 구성 각각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하우징부(10)은 튜브성형부(2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그 내부에는 일정크기의 공간이 마련된다. 하우징부(10)는 도 1과 같이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지지테이블(1)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튜브성형부(20)는 금속재질의 튜브(P) 표면에 일정 깊이의 홈을 생성시키는 부분으로, 회전판(21), 고정편(23) 및 가동편(25), 지지휠(24) 및 성형휠(26)을 포함한다.
회전판(21)은 후술할 구동모터부(5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부분으로, 하우징부(10)의 전방부위에 결합된다. 이때, 회전판(21)에는 도 2a에 개시된 것과 같이, 중앙부위에서 수직 상방으로 일정 폭을 가지는 가동홈(213)이 형성된다.
고정편(23)은 회전판(21)의 중앙부위 하측에 고정 결합되며, 가동편(25)은 가동홈(213)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부호 211은 고정편(23)의 결합을 위해 회전판(21)에 중앙부위 하측에 형성되는 장착홈이다.
지지휠(24)은 성형휠(26)의 작동시 튜브(P)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으로,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고정편(2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지지휠(24) 각각은 도 3과 같이 원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성형휠(26)은 튜브(P)의 표면을 가압하며 직접적으로 홈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가동편(25)의 하단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면부호 261은 성형날이다.
한편, 본 발명은 튜브(P)가 의도하는 정확한 지점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튜브감지부(60)가 마련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튜브감지부(60)는 도 5a에 개시된 것과 같은 튜브안치단(61), 탄성수단(63), 접촉센서(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튜브안치단(61)은 회전판(21)의 중앙부위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삽입홈(215)의 일측부위에 위치하며, 그 일면부위에는 튜브밀착면(611)이 마련되고, 그 타면부위에는 접촉단(613)이 돌출 형성된다.
접촉센서(67)는 접촉단(613)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판(21)의 삽입홈(215) 타측부위에 위치하며 매립된다. 접촉센서(67)는 도면과 같이 매립단(65)에 매개되어 회전판(21)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접촉센서(67)는 제어부와 연결된다.
탄성수단(63)은 튜브안치단(61)의 접촉단(613) 외면부위에 위치한다. 탄성수단(63)이 압축되거나 복원됨에 따라, 접촉단(613)과 접촉센서(67) 사이의 접점은 연결되거나 해제된다. 접촉단(613)과 접촉센서(67) 사이가 연결되면, 제어부가 튜브(P)의 일단부위가 의도하는 위치까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튜브(P)에 대한 성형 작업을 개시한다.
만일, 도면과 같이 접촉센서(67)가 매립단(65)에 매개되어 장착되면, 탄성수단(63)은 매립단(65)의 가이드환(651) 외면부위를 따라 위치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접촉센서(67)를 통해 튜브에 있어 홈을 형성시키고 자는 부위가 의도하는 위치까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튜브(P)이 다른 부위에 홈이 형성되는 경우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압부는 튜브성형부를 작동시키는 부분으로, 제1, 2유압호스(31, 32), 실린더(33), 피스톤로드(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유압호스(31, 32)는 하우징부(1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그 후단부위는 하우징부(10)의 후방부위를 관통하며 설치되고, 그 전단부위는 하우징부(10)의 전방부위로 연장된다.
이때, 하우징(10)의 전방부위 및 후방부위 각각에 위치하는 제1, 2유압호스(31, 32)의 전단부위 및 후단부위 각각에는 베어링부(도면부호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베어링부는 튜브성형부(및 하우징부)의 회전 운동에 대하여 제1, 2유압호스 각각이 독립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준다. 제1, 2유압호스(31, 32)의 후단부위는 미도시된 유압펌프와 연결된다.
실린더(33)는 제1, 2유압호스(31, 32) 각각의 전단부위와 연결된다. 실린더(33)는 실린더베럴(331)과 피스톤(333)으로 이루어지며, 실린더베럴(331)의 좌우 각각에 형성되는 포트(도면부호 미도시) 각각은 제1, 2유압호스(31, 32) 각각의 유로(311, 321)와 연결된다.
피스톤로드(35)의 하단부위는 실린더(33)의 피스톤(333)과 연결되고, 연장되는 상단부위는 가동편(25)의 후방 일측부위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유압호스(31)를 통해 유체가 공급되면 가동편(25)이 하방으로 내려가고, 제2유압호스(32)를 통해 유체가 공급되면 가동편(25)은 상방으로 올라가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튜브고정부(40)는 작업대상으로서의 튜브(P)를 구속하는 부분으로, 튜브성형부(20)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하 각각에 위치하는 제1, 2파지슬라이드(44, 45)를 포함한다. 제1파지슬라이드(44)의 하면부위에는 제1파지면(441)이 형성되고, 제2파지슬라이드(45)의 상면부위에는 제2파지면(451)이 형성된다.
이때, 튜브고정부(40)에는 도 3a에 개시된 것과 같이, 지지대(41), 고정판(43), 가동포크(47), 구동실린더(49)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지지대(41)는 튜브성형부(20)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그 하면부위는 지지테이블(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판(43)은 그 후면부위가 회전판(21)의 전면부위와 대향하며, 그 하측부위가 지지대(41)에 고정된다. 고정판(43)에는 중앙부위를 기점으로 수직상방 및 수직하방 각각으로 제1, 2절개홈(431, 433) 각각이 형성된다. 제1, 2절개홈(431, 433) 각각은 도면과 같이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파지슬라이드(44, 45) 각각은 고정판(43)의 제1, 2절개홈(431, 433) 각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2파지슬라이드(44, 45) 각각의 상측부위 및 하측부위에는 일정 깊이를 가지는 제1, 2가이드홈(443, 453)이 형성된다. 이때, 제1, 2가이드홈(443, 453) 각각은 도면과 같이 θ 및 -θ만큼 경사져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가동포크(47)는 고정판(43)의 전방에 위치하며, 그 일측부위에는 제1, 2포크(471, 473)가 마련된다. 제1, 2포크(471, 473) 각각은 제1, 2파지슬라이드(44, 45) 각각의 제1, 2가이드홈(443, 453) 각각에 안치된다. 구동실린더(49)는 그 타측부위가 지지대(41)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그 일측부위는 가동포크(47)의 타측부위에 결합된다.
구동실린더(49)가 일방향으로 작동하면, 제1, 2포크(471, 473) 각각이 제1, 2가이드홈(443, 453) 각각을 따라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2파지슬라이드(44, 45) 각각은 제1, 2절개홈(431, 433) 각각을 따라 수직 하방 및 수직 상방으로 이동하며, 제1, 2파지슬라이드(44, 45) 각각의 제1, 2파지면(441, 451)이 튜브(P)를 구속한다.
만일, 구동실린더(49)가 타방향으로 작동하면, 제1, 2포크(471, 473) 각각이 제1, 2가이드홈(443, 453) 각각을 따라 후퇴하게 되고, 제1, 2파지슬라이드(44, 45) 각각은 제1, 2절개홈(431, 433) 각각을 따라 수직 상방 및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며 원위치로 복귀하며, 튜브(P)의 구속상태는 해제된다.
구동모터부(50)는 튜브성형부(20)를 회전시키는 부분으로, 튜브성형부(20)의 후방부위와 축으로 연결된다. 도면부호 51은 구동샤프트를 포함하는 감속기이다. 도 1에는 구동모터부(50)가 회전하면 하우징부(10) 및 튜브성형부(20)가 동시에 회전하는 일례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별도의 구동벨트를 이용하여 튜브성형부(20)만을 회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구성을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각 구성에 설명부분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튜브고정부(40) 및 튜브성형부(20)가 도 3a 및 도 2a 각각과 같은 상태에서 작업이 필요한 튜브(P)의 일단부위를 삽입한다. 즉, 구동실린더(49) 및 구동모터부(50) 각각은 정지된 상태, 그리고 실린더(33)에는 제1유압호스(31)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튜브(P)가 삽입된다.
튜브(P)의 일단부위가 튜브고정부(40) 및 튜브성형부(20) 각각의 중앙부위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다음 도 5a와 같이 튜브안치단(61)의 튜브밀착면(611)과 접하며 밀착된다. 작업자가 튜브(P)를 일방향으로 더 밀어 넣으면, 도 5b와 같이 튜브안치단(61)은 탄성수단(63)을 압축하면서 전진하게 되고, 튜브안치단(61)의 접촉단(613)이 접촉센서(67)와 접한다.
접촉단(613)이 접촉센서(67)와 접하면서 그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면, 제어부는 구동실린더(49)를 일방향으로 작동시킨다. 구동실린더(49)가 일방향으로 작동하면, 가동포트(47)의 제1, 2포크(471, 473) 각각이 제1, 2가이드홈(443, 453) 각각을 따라 전진하게 되고, 제1, 2파지슬라이드(44, 45) 각각이 수직 하방 및 수직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도 3b와 같이 제1, 2파지면(441, 451) 각각이 튜브(P)를 구속한다.
제1, 2파지슬라이드(44, 45) 각각에 의해 튜브(P)가 구속되면,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제2유압호스(32)를 통해 유체가 공급한다. 제2유압호스(32)를 통해 유체가 공급되면 피스톤로드(35)가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편(25)이 하방으로 서서히 내려가면서 도 2b와 같이 성형휠(26)이 튜브(P)와 밀착된다.
이후, 제2유압호스(32)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 압력에 의해 성형휠(26)의 성형날(261)은 튜브(P)의 일측 표면을 일정 깊이로 가압한다. 성형휠(26)이 튜브(P)와 밀착된 이후에 제2유압호스(32)를 통해 어느 정도 더 부가적으로 유체를 공급할 지 여부는 튜브(P)에 형성하고자 하는 홈의 깊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는 구동모터부(50)를 작동시킨다. 구동모터부(50)가 작동되면, 튜브성형부(20)는 서서히 회전한다(도 1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하우징부 및 튜브성형부가 동시에 회전). 튜브(P)의 타측부위는 튜브고정부(40)에 의해 안정적으로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튜브성형부(20)가 회전하면 성형휠(26) 및 지지휠(24) 각각은 가동편(25) 및 고정편(23) 각각에서 피동회전한다.
이에 따라, 튜브(P)의 표면에는 성형날(261)에 의해 정해진 깊이만큼 자연스럽게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경우, 좌우 한 쌍의 지지휠(24)과 성형휠(26)은 그 사이에 개재되는 튜브(P)를 기준으로 거의 수직에 가까운 형태로 튜브(P)에 밀착되며 대향하고 있어, 성형날(261)이 튜브(P)의 특정 표면부위를 가압하게 되면, 성형날(261)에 의해 튜브(P)로 전달되는 가압력은 분산되지 않고 반대편에 위치하는 지지휠(26)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보다 증진된 성형력을 제공한다.
성형력 자체가 증대되면 일정 두께 이상의 튜브(P)도 매우 용이하게 홈을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튜브(P) 표면에의 홈 형성은 성형휠(24) 단독으로 수행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종래 기술과 달리 의도하는 지점에 단일의 피치를 가지는 홈을 정확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튜브(P)에 대한 성형이 완료되면, 구동모터부(50)의 작동을 중지시킨 다음 유압부를 작동시켜 제1유압호스(31)로 유체를 공급한다. 제1유압호스(31)로 유체가 공급되면, 피스톤로드(35)가 수직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가동편(25)은 상방으로 서서히 올라가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성형휠(26)은 도 2a와 같이, 홈 성형이 완료된 튜브(P)와 분리된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구동실린더(49)를 타방향으로 작동시킨다. 구동실린더(49)가 타방향으로 작동하면, 제1, 2포크(471, 473) 각각이 제1, 2가이드홈(443, 453) 각각을 따라 후퇴하게 되고, 제1, 2파지슬라이드(44, 45) 각각은 제1, 2절개홈(431, 433) 각각을 따라 수직 상방 및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며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튜브(P)의 타측부위에 대한 구속상태가 해제된다.
튜브고정부(40)에 의한 튜브(P)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 탄성수단(63)의 복원력에 의해 튜브안치단(61)은 일정거리 후퇴하며 도 5a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튜브안치단(61)의 접촉단(613)가 접촉센서(67)의 접점이 해제되며 그 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홈 성형시스템의 작동은 완전히 종료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하우징부 20 : 튜브성형부
21 : 회전판 23 : 고정편
24 : 지지휠 25 : 가동편
26 : 성형휠 31, 32 : 제1, 2유압호스
33 : 실린더 35 : 피스톤로드
40 : 튜브고정부 41 : 지지대
43 : 고정판 44, 45 : 제1, 2파지슬라이드
47 : 가동포크 49 : 구동실린더
50 : 구동모터부 60 : 튜브감지부
61 : 튜브안치단 63 : 탄성수단
67 : 접촉센서 P : 튜브

Claims (3)

  1.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부(10);
    중앙부위에서 수직 상방으로 가동홈(213)이 형성되어 하우징부(10)의 전방부위에 결합되는 회전판(21), 회전판(21)의 중앙부위 하측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편(23),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고정편(2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휠(24), 가동홈(213)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편(25), 지지휠(24)과 대향하며 가동편(25)의 하단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성형휠(26)이 구비되는 튜브성형부(20);
    후단부위는 하우징부(10)의 후방부위를 관통하며 설치되고 전단부위는 하우징부(10)의 전방부위로 연장되는 제1, 2유압호스(31, 32), 제1, 2유압호스(31, 32) 각각의 전단부위와 연결되는 실린더(33), 하단부위는 실린더(33)와 연결되고 연장되는 상단부위는 가동편(25)의 후방 일측부위와 결합되는 피스톤로드(35)가 구비되는 유압부;
    튜브성형부(20)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하 각각에 위치하되, 하면부위 및 상면부위 각각에 제1, 2파지면(441, 451)이 형성되는 제1, 2파지슬라이드(44, 45)가 구비되는 튜브고정부(40);
    튜브성형부(20)의 후방부위와 축으로 연결되어 금속튜브(P)가 튜브고정부(40)에 고정되면 튜브성형부(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금속튜브의 홈 성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성형부(20)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지지대(41)가 위치하며, 후면부위가 회전판(21)의 전면부위와 대향하고 중앙부위를 기점으로 수직상방 및 수직하방 각각으로 제1, 2절개홈(431, 433)이 형성되는 고정판(43)의 하측부위가 지지대(41)에 고정되고, 상기 제1파지슬라이드(44)의 상측부위에는 θ만큼 경사진 일정 깊이의 제1가이드홈(443)이 형성되어 제1절개홈(43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파지슬라이드(45)의 하측부위에는 -θ만큼 경사진 일정 깊이의 제2가이드홈(453)이 형성되어 제2절개홈(43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2가이드홈(443, 453) 각각에 안치되는 제1, 2포크(471, 473)가 일측부위에 마련되는 가동포크(47)가 고정판(43)의 전방에 위치하며, 타측부위는 지지대(41)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일측부위는 가동포크(47)의 타측부위에 결합되어 가동포크(47)를 전후진시키는 구동실린더(4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튜브의 홈 성형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1)의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일정깊이의 삽입홈(215)에는 튜브감지부(60)가 마련되되, 상기 튜브감지부(60)는, 일면부위에는 튜브밀착면(611)이 마련되고 타면부위에는 접촉단(613)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215)의 일측부위에 위치하는 튜브안치단(61)과, 상기 접촉단(613)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하며 상기 삽입홈(215)의 타측부위에 매립되는 접촉센서(67)와, 상기 접촉단(613) 외면에 마련되어 접촉단(613)과 접촉센서(67) 사이의 접점을 제어하는 탄성수단(6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튜브의 홈 성형시스템.
KR1020210179405A 2021-12-15 2021-12-15 금속튜브의 홈 성형시스템 KR102587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405A KR102587774B1 (ko) 2021-12-15 2021-12-15 금속튜브의 홈 성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405A KR102587774B1 (ko) 2021-12-15 2021-12-15 금속튜브의 홈 성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541A true KR20230090541A (ko) 2023-06-22
KR102587774B1 KR102587774B1 (ko) 2023-10-11

Family

ID=8698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405A KR102587774B1 (ko) 2021-12-15 2021-12-15 금속튜브의 홈 성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77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268A (ko) * 2004-03-11 2005-09-15 유한회사 오다기상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
KR100612624B1 (ko) 2006-04-11 2006-08-14 주식회사 화인 핀튜브 제조장치
KR20110041680A (ko) * 2009-10-16 2011-04-22 우해만 파이프홈 형성장치
KR101159245B1 (ko) * 2010-03-23 2012-06-25 부국산업주식회사 열수축튜브 삽입장치
KR101907316B1 (ko) * 2017-06-29 2018-12-07 조상열 파이프 환형 돌출테 성형장치
KR20190090883A (ko) * 2013-08-12 2019-08-02 빅톨릭 컴패니 파이프 엘리먼트에 홈을 형성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268A (ko) * 2004-03-11 2005-09-15 유한회사 오다기상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 방법
KR100612624B1 (ko) 2006-04-11 2006-08-14 주식회사 화인 핀튜브 제조장치
KR20110041680A (ko) * 2009-10-16 2011-04-22 우해만 파이프홈 형성장치
KR101159245B1 (ko) * 2010-03-23 2012-06-25 부국산업주식회사 열수축튜브 삽입장치
KR20190090883A (ko) * 2013-08-12 2019-08-02 빅톨릭 컴패니 파이프 엘리먼트에 홈을 형성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907316B1 (ko) * 2017-06-29 2018-12-07 조상열 파이프 환형 돌출테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774B1 (ko)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311B1 (ko) 에널러스기어 진원도 교정장치
US7694799B2 (en) Automatic pallet exchanger of machine tool
JP3366560B2 (ja) プレス機械
KR20230090541A (ko) 금속튜브의 홈 성형시스템
JP5170641B2 (ja) ガラス切断機用カッターヘッド装置
JP6472992B2 (ja) 管継手締付機
KR100326890B1 (ko) 유압모터의브레이크장치
WO200801802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oring the centering of tire rims
KR20190111802A (ko) 커피 머신용 레버-작동식 분배 장치
JP5399958B2 (ja) 自動芯出し装置および自動芯出し方法
JP2009034750A (ja) 工作機械におけるワークの有無検出装置
JPH07290172A (ja) 拡管用位置決めロボット
CN107470400B (zh) 一种精准控油的校直机
KR102257572B1 (ko) 유압 원격 제어 밸브의 개선 된 레버 기구
JPH08252736A (ja) スイング式クランプ装置
CN107520287B (zh) 一种操作便利的校直机
US5439369A (en) Mold locking device for an injecting machine
JP2002511356A (ja) インチング制動システム
KR102513030B1 (ko) 회전토글 링크방식이 적용된 파이프용 포밍장치
JP2009208166A (ja) 工作機械の主軸装置
JP2000176985A (ja) 射出成形機における自動潤滑装置
CN217193381U (zh) 交换工作台的定位机构
JP3646514B2 (ja) 動作確認機構付きクランプ装置
JP5534908B2 (ja) 鋳型枠抜き装置
CN107470397B (zh) 一种校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