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878A -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그것을 사용하는 소화장치, 고압가스봄베장치 및 유체의 급속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그것을 사용하는 소화장치, 고압가스봄베장치 및 유체의 급속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878A
KR20050089878A KR1020057012786A KR20057012786A KR20050089878A KR 20050089878 A KR20050089878 A KR 20050089878A KR 1020057012786 A KR1020057012786 A KR 1020057012786A KR 20057012786 A KR20057012786 A KR 20057012786A KR 20050089878 A KR20050089878 A KR 20050089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opening
main body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4305B1 (ko
Inventor
나오키 이타노
히데아키 고토
코이치로 미조구치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보우사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보우사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보우사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9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10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 G05D16/109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with two or more pistons acting as a single pressure controller that move together over range of motion during normal ope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1624Destructible or deformable element controlled
    • Y10T137/1632Destructible element
    • Y10T137/1692Rupture disc
    • Y10T137/1759Knife or cutter causes disc to break
    • Y10T137/1767Movable knife or cu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93With opening bias [e.g., pressure regulator]
    • Y10T137/7794With relief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93With opening bias [e.g., pressure regulator]
    • Y10T137/7796Senses inlet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93With opening bias [e.g., pressure regulator]
    • Y10T137/7797Bias variable during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93With opening bias [e.g., pressure regulator]
    • Y10T137/7809Reactor surface separated by apertured partition
    • Y10T137/781In valve stem
    • Y10T137/7811Also through reactor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93With opening bias [e.g., pressure regulator]
    • Y10T137/7822Reactor surface closes chamber
    • Y10T137/7823Valve head in inlet chamber
    • Y10T137/7825Rectilinear valve stem rigid with reactor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Safety Valv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 및 유량특성이 향상된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그것을 이용하는 소화장치, 고압가스 봄베장치 및 유체의 급속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조립에 있어서, 본체1에 대하여 밸브체부재 본체(22)를 삽입하고, 밸브(22)의 하단에 끼워 부착한다. 밸브체(21)와 밸브체부재 본체(22)의 고정은, 하단 외주면에 나사를 잘라서, 밸브체부 본체(22)의 하단을 밸브체(21)에 비틀어 넣어서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체1에 밸브체(13)를 설치하고, 밸브체부재 본체(22)를 본체1의 상단측으로부터, 밸브체(21)를 본체1의 입구(11a)로부터 삽입하여, 밸브시트(13)를 끼워 넣도록 이들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가운데몸통이 불필요하게 되고, 부재점수를 줄여서 급속개방 조압밸브를 소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그것을 사용하는 소화장치, 고압가스 봄베장치 및 유체의 급속공급장치{RAPID OPENING PRESSURE REGULATING VALVE, FIRE EXTINGUISHING DEVICE USING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HIGH-PRESSURE GAS CYLINDER DEVICE, AND RAPID FLUID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급속개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2차측의 최고 압력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예를 들면 고압소화용 불활성 가스 봄베 등에 장착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그것을 사용하는 소화장치, 고압가스 봄베장치 및 유체의 급속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CO2 소화장치에 사용되는 CO2 봄베 부착 밸브로서는, 기동용 고압가스를 도입함으로써 급속개방할 수 있는 형식의 것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지만, 이 종류의 밸브에서는 출구측의 압력을 제한할 수는 없다. 한편, 감압기구를 구비한 밸브로서는, 핸들을 돌려서 개폐하는 형식의 여러가지 감압밸브 부착 봄베 밸브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밸브는 급속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대하여, 본건 발명자들은, 일본 특허공개 평10 - 339383(도 7 ∼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급속개방 조압밸브를 개발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급속개방 조압밸브에 있어서는, 밸브 본체가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져 소형화가 곤란한 것, 유량특성이 좋지 않은 것 등의 문제가 있다.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본체를 복수의 부재로 할 필요가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따른다. 도 12 ∼ 도 14는, 종래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가운데몸통(210)에 밸브체부재(222)를 상단으로부터 삽입하고, 가운데몸통(210)으로부터 돌출된 밸브체부재(222)의 하단에 밸브체(221)를 끼워 부착한다. 또한 이동스프링받이(207) 및 스프링(204)을 가운데몸통(210)에 삽입해서 스프링받이(203)를 고정한다. 다음에, 이들을 본체(201)에 비틀어 넣어서 고정한다.
밸브체(221)가 개방밸브로서 작용하기 위해서는, 밸브체(221)는, 가운데몸통(210)의 밸브시트(213)보다 클 필요가 있으므로, 밸브체부재(202)는, 밸브체부재 본체(222)와 밸브체(221)로 나누고, 밸브시트(213)를 끼워 넣도록 해서 조립해야 한다. 이 때, 밸브체(221)의 크기와, 본체(201)의 입구 노즐부(211)의 관계로부터, 밸브시트(213)를 가지는 가운데몸통(210)이 필요하게 된다.
도 15는, 도 14의 B1 - B2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밸브개방시에는, 밸브체부재(202)가 종이면에 수직이고 앞으로부터 안으로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이 때, 유체는, 종이면 안으로부터 앞으로 나아가고, 복수의 유체도출구(212b)에 의해 유도되어, 유체도출홈(212c)을 통해서 출구(212a)로 유도되고 있다. 가운데몸통(210)을 본체(201)에 비틀어 넣어서 고정할 경우, 유체도출구(212b)가 언제나 같은 방향으로 고정된다고는 할 수 없다. 유체도출구(212b)와 출구(212a)의 위치가 크게 어긋나 있을 경우와, 일치되어 있을 경우에서는 출구(212a)에 있어서의 유량이 다르므로, 유량의 편차가 발생하고, 유량특성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과 이들의 목적과 그 이외의 목적과, 특색과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한층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1 - A2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밀봉판기구의 설명도이며, (a)는 밀봉판기구의 확대단면도이고, (b)는 이 기구를 위한 밸브작동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밸브체부재의 각 부에 가해지는 힘의 관계의 설명도이며, (a)는 개봉후의 상태이고, (b)는 개봉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급속개방 조압밸브를 적용할 수 있는 장치인 질소소화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종래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B1 - B2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소형화 및 유량특성이 향상된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그것을 사용하는 소화장치, 고압가스 봄베장치 및 유체의 급속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의 입구 및 출구와 밸브시트를 구비한 본체와, 일단측과 타단측을 가지고, 상기 출구로 도통하여 폐쇄 방향의 압력을 받는 폐쇄 수압면 및 상기 타단측에 형성되어 개방방향의 압력을 받는 개방 수압면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개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는 밸브체부재 본체와, 상기 입구를 통해서 상기 일단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밸브시트에 접촉·분리해서 개폐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부재와, 상기 입구와 상기 타단측 사이를 도통시키는 통로와, 상기 밸브체부재를 개방방향으로 미는 가압부재와, 수용부재와 상기 가압부재 사이에 끼워 장착되어 상기 개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고 상기 개방 수압면과 같은 압력을 받는 수압면을 구비하여 상기 개방방향의 소정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가압수단에 상기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이동수용부와, 상기 이동수용부를 상기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위치결정부와, 상기 통로를 폐쇄하도록 부착되는 밀봉판을 구비한 봉압수단과, 작동되었을 때에 상기 밀봉판을 깨서 상기 통로내의 압력을 상기 개방 수압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부착되어지는 봉압해제수단을 가지고, 상기 밸브시트에 착좌된 밸브체의 유체압력을 받는 수압면적과, 상기 폐쇄 수압면의 수압면적과, 상기 개방 수압면의 수압면적과,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은, 상기 통로가 도통하고 상기 개방 수압면이 상기 개방방향의 압력을 받아서 상기 밸브체부가 개방으로 됨과 아울러, 상기 출구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넘으면 상기 밸브체부를 폐쇄로 하는 밸브폐쇄력이 상기 가압력보다 커져서 상기 밸브체부가 폐쇄로 되는 관계로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의 입구 및 출구와 밸브시트를 구비한 본체와, 일단측과 타단측를 가지고, 상기 출구에 도통하여 폐쇄방향의 압력을 받는 폐쇄 수압면 및 상기 타단측에 형성되어 개방방향의 압력을 받는 개방 수압면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개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는 밸브체부재 본체와, 상기 입구를 통해서 상기 일단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밸브시트에 접촉·분리해서 개폐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부재와, 상기 입구와 상기 타단측 사이를 도통시키는 통로와, 상기 밸브체부재를 개방방향으로 미는 가압부재와, 수용부재와 상기 가압부재 사이에 끼워 장착되어 상기 개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고 상기 개방 수압면과 같은 압력을 받는 수압면을 구비하여 상기 개방방향의 소정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가압수단에 상기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이동수용부와, 상기 이동수용부를 상기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위치결정부와, 상기 통로를 폐쇄하도록 부착되는 봉압부재를 구비한 봉압수단과, 작동되었을 때에 상기 봉압부재를 개방한채로 유지해서 상기 통로내의 압력을 상기 개방 수압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봉압해제수단을 가지고, 상기 밸브시트에 착좌된 밸브체의 유체압력을 받는 수압면적과, 상기 폐쇄 수압면의 수압면적과, 상기 개방 수압면의 수압면적과,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은 상기 통로가 도통하여 상기 개방 수압면이 상기 개방방향의 압력을 받아서 상기 밸브체부가 개방으로 됨과 아울러, 상기 출구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넘으면 상기 밸브체부를 폐쇄로 하는 밸브폐쇄력이 상기 가압력보다 커져서 상기 밸브체부가 폐쇄로 되는 관계로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봉압부재는 밀봉판이며, 상기 봉압해제수단은 상기 밀봉판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침부와, 유체압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침부가 상기 밀봉판을 관통하도록 상기 침부를 미는 피스톤형상 부재와, 상기 피스톤형상 부재를 가압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시트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접촉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부는, 인장강도가 200N/㎜2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밸브체의 상기 밸브시트에 대향하는 영역의 면적과 상기 개방 수압면의 면적을 같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밸브시트에 착좌된 밸브체의 유체압력을 받는 수압면적과, 상기 개방 수압면의 수압면적을 일정하게 하고, 또는 상기 관계를 유지해서, 상기 폐쇄 수압면의 수압면적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재는, 그 내주면에 의해 이동수용부의 상기 개폐방향의 이동을 안내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재와 본체는, 나사결합가능하게 구성되어, 나사결합 부분 이외의 접촉부를 가지고, 접촉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축선을 따라 변위가능하게 구성되는 밸브체부재와, 고압가스 봄베에 삽입되어, 가스의 입구가 형성된 봄베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를 구비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로서, 상기 봄베 삽입부의 기계적 강도를 상승시키는 삽입부 보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봄베 삽입부는, 봄베내에 수용되는 수용부분과 봄베외에 노출되는 노출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 보강수단은, 수용부분과 노출부분의 경계부근을 포함하는 부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삽입부 보강수단은, 상기 경계의 축선방향 양측 사이에 걸쳐 형성되는 보강수단 본체부와, 상기 경계보다 축선방향 한 쪽측에 형성되어, 보강수단 본체부에 축선방향 한 쪽측으로의 구동력을 주기 위한 나사기구부와, 상기 경계보다 축선방향 다른 쪽측에 형성되어, 보강수단 본체부가 축선방향 한 쪽측으로 나사진행하는 것을 저지하는 나사진행 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강수단 본체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진행 저지부는, 보강수단 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서 봄베 삽입부에 걸리며, 상기 나사기구부는, 봄베 삽입부의 내주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안 나사 부분과, 보강수단 본체부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내나사 부분에 비틀어 끼워지는 바깥 나사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용 불활성 가스를 저류하는 불활성 가스 봄베와, 상기의 급속개방 조압밸브로서, 상기 본체의 상기 입구가 불활성 가스 봄베에 장착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출구로부터의 불활성 가스를 소화구획에 유도하는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가스 봄베에 상기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상기 본체의 상기 입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가스 봄베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원과, 상기의 급속개방 조압밸브로서, 상기 본체의 상기 입구가 유체원에 설치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급속공급장치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그것을 이용하는 소화장치, 고압가스 봄베장치 및 유체의 급속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는, 본체1, 밸브체부재(2), 스프링받이(3), 가압부재인 스프링(4), 이동수용부인 이동스프링받이(7) 등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또한, 밸브체부재(2)는, 밸브체(21)와, 밸브체부재 본체(22)로 이루어진다.
조립시에는, 우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에 대하여 밸브체부재 본체(22), 스프링(4), 이동스프링받이(7)를 삽입하고, 상단부에 스프링받이(3)를 비틀어 넣어서 고정한다. 다음에, 밸브체(21)를 입구 노즐부(11)의 입구(11a)로부터 삽입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부 본체(22)의 하단에 끼워 부착한다. 밸브체(21)와 밸브체부재 본체(22)의 고정은, 예를 들면 밸브체(21)의 내주면과, 이것에 대응하는 밸브체부재 본체(22)의 하단 외주면에 나사를 잘라, 밸브체부 본체(22)의 하단을 밸브체(21)에 비틀어 넣어서 고정한다.
또한, 밸브체(21)와 밸브체부재 본체(22)는, 본체1에 밸브체부재 본체(22)를 삽입했을 때에 고정하고, 그 후 스프링(4), 이동스프링받이(7)를 삽입해서, 스프링받이(3)를 고정해도 좋다.
도 12 ∼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급속개방 조압밸브는, 가운데몸통(210)에 밸브체(221)와 밸브체부재 본체(222)를 장착한 후, 가운데몸통(210)을 본체(201)에 고정해야 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는, 밸브체(21)를 본체1의 입구(11a)로부터 삽입함으로써, 본체와 가운데몸통을 별체로 하는 일 없이 일체화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는, 본체1, 밸브체부재(2), 통로로서의 횡도통구멍(14), 연락도통구멍(16), 도통구멍(23), 스프링받이(3), 스프링(4), 봉압수단으로서 도 6(a)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밀봉판기구(5), 봉압해제수단으로서 도 6(b)에 나타내는 밸브작동기구(6) 및 이동스프링받이(7) 등을 구비한다.
본체1은, 유체로서의 예를 들면 고압질소의 입구(11a) 및 출구(12a)를 형성하는 입구 노즐부(11) 및 출구노즐부(12), 밸브시트(1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입구 노즐부(11)의 내주면에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11에 약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속개방 조압밸브(101)로서 고압의 질소 봄베(100)에 장착되기 위한 나사를 구비하고 있다. 출구노즐부(12)의 내주면에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질소소화원 라인(105)의 관이 장착되기 위한 나사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에는, 도시생략하지만 압력계나 봄베용 안전밸브의 시트 등을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설치할 수 있다.
밸브체부재(2)는, 밸브체(21)와 밸브체부재 본체(22)로 이루어지고, 밸브체(21)는 밸브시트(13)에 접촉·분리해서 개폐되는 밸브체부이다. 밸브체(21)는, 직접 밸브시트(13)와 접촉하는 접촉부(21b)와, 접촉부(21b)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부인 캡(21a)으로 이루어진다. 밸브체부재 본체(22)는, 도통구멍(23), 폐쇄 수압면(24), 개방 수압면(25) 등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체부재(2)는, 밸브 개폐방향인 도면에 있어서 상하의 화살표(Z1 - Z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본체1에 의해 안내된다. 도통구멍(23)은, 일단측 및 타단측으로서 본 예에서는, 상단측으로부터 밸브체부재(2)의 대략 중앙부의 외주부에서 개구되어 있고, 외주부의 개구로부터, 연락도통구멍(16), 밀봉판(52) 및 횡도통구멍(14)을 통해서 입구(11a)에 통하고 있다. 폐쇄 수압면(24)은, 출구(12a)에 도통하고, 밸브개방시에는, 밸브폐쇄방향인 Z방향의 압력을 받는다. 이 때문에, 밸브체부재(2)가 본체1에 의해 안내되는 안내면에는, 압력 밀봉용의 O링(ring)이 끼워 장착되어 있다. 개방 수압면(25)은, 화살표(Z1)방향의 끝부에 형성되어, 밸브개방시에는, 밸브개방방향인 화살표(Z2)방향의 압력을 받는다.
밸브시트(13)의 크기를 바꾸지 않고, 밸브체(21)를 본체1의 입구(11a)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캡(21a)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접촉부(21b)는, 예를 들면 테프론(등록상표) 등을 사용하고, 밸브폐쇄시에는, 입구압력에 의해 밸브시트(13)에 압접되어 있다. 입구압력의 크기에 따라서는, 접촉부(21b)가 변형되고, 유체가 출구(12a)로 새어나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캡(21a)은, 접촉부(21b)의 밸브시트(13)와의 접촉면을 제외하는 부분을 덮음으로써 접촉부(21b)가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하고 있다. 밸브시트(13)로의 압접시에 접촉부(21b)는, 가로방향으로 변형하기 때문에,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접촉부(21b)의 외주를 소정의 두께로 덮을 필요가 있다. 여기서, 소정의 두께는, 캡(21a)재료의 특성값인 인장강도에 의해 결정된다. 인장강도가 클수록 캡(21a)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밸브체(21)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입구 노즐부(11)의 벽두께는 입구압력으로 의해 결정되고, 그 결과, 입구 노즐부(11)의 내경도 정해진다.
입구 노즐부(11)의 내경에 기초하여, 인장강도와, 접촉부(21b)의 외주를 덮는 캡(21a)의 두께에 대해서 검토를 행하여, 인장강도가 200N/㎟이상의 재료이면, 밸브체(21)가 입구(11a)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되는 크기까지, 접촉부(21b)의 외주를 덮는 캡(21a)의 두께를 얇게 해도, 캡(21a)은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접촉부(21b)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장강도가 200N/㎟이상인 재료를 사용하고, 접촉부(21b)의 외주를 덮는 부분을 소정의 두께, 예를 들면 1.5㎜이하로 함으로써, 캡(21a)을 포함시킨 밸브체(1)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캡(21a)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놋쇠 및 SUS 등을 사용해서, 밸브체(21)를 입구 노즐부(11)의 내경보다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와 같은 조립이 가능하게 되고, 본체와 가운데몸통을 별체로 하는 일 없이 일체화할 수 있다.
스프링받이(3)는, 본 예에서는 본체1의 상단부의 안측에 비틀어 넣어짐으로써, 이것에 장착되어 있고, 이동스프링받이(7)를 통해서 스프링(4)의 반력을 지지하고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밀봉판(52)의 개봉후에는, 도입된 밸브입구측의 압력을 이동스프링받이(7) 사이의 공간부에서 받아들여, 이동스프링받이(7)에 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동스프링받이(7)를 통해서 스프링(4)의 힘을 지지하고 있다. 한편 개봉전에는, 스프링(4)이 거의 완전히 늘어난 상태가 되도록 이동스프링받이(7)의 상단을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이동스프링받이(7)의 상단과 스프링받이(3)의 접촉면 사이는, 다소 간극이 생기는 상태여도 좋고, 반대로 다소의 스프링력이 남을 정도로 접촉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밸브체부재(2)가 기밀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필요부분이 O링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스프링(4)은, 이동스프링받이(7)와 밸브체부재(2)의 스프링받이부(26) 사이에 끼워 장착되어, 밸브체부재(2)를 Z2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동스프링받이(7)는, 스프링받이(3)와 스프링(4) 사이에 끼워 장착되어, 본 예에서는 본체1에 의해 개폐방향(Z1 - Z2)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고, 개방 수압면(25)과 같은 압력을 받는 수압면(7a)을 구비하며, Z2의 개방방향의 소정 위치인 아래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위치결정부(17)에서 정지되어, 스프링(4)에 가압력(F)을f발생시킨다. 즉, 이동스프링받이(7)는 스프링받이(3)의 내측에 있어서 새롭게 실질적인 스프링받이로서 작동한다. 또한, 위치결정부(17)를 비틀어 넣는 식으로 하거나, 그 위에 얹어지는 두께가 얇은 조정부재를 준비하는 방법 등에 의해, 위치결정부(17)의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해도 좋다.
도 5는, 도 3의 A1 - A2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밸브개방시에는, 밸브체부재(2)가 종이면에 수직이고 앞으로부터 안으로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이 때, 유체는, 종이면 안으로부터 앞으로 나아가고, 유체도출구(12b)에 의해 출구(12a)로 유도되어, 출구(12a)로부터 밸브외부로 방출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에서는, 가운데몸통(210)과 본체(201)가 별체이기 때문에, 가운데몸통(210)에 유체도출구(212b)를 복수형성하여, 각 유체도출구(212b)에 의해 유도된 유체를 유체도출홈(212c)을 통해서 출구(212a)에 유도하고 있다. 이 경우 출구(212a)의 유량의 편차가 커진다. 이것에 대하여, 본 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에서는, 가운데몸통과 본체를 일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유체도출구(12b)와 출구(12a)가 어긋날 일이 없으므로 유량의 편차가 없고, 양호한 유량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봉압기구(5)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부착링(51), 봉압부재로서의 예를 들면 얇은 스텐레스 강판 등으로 된 밀봉판(52), 나사부착링(51)으로 눌러 부착함으로써 밀봉판(52)을 끼워 넣는 패킹(53, 5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첨부링(51)의 선단부분에 유체의 송기구(55)가 형성되어 있다. 밀봉판(52)은, 횡도통구멍(14)과 연락도통구멍(16)의 도통을 봉쇄함으로써 입구(11a)와 도통구멍(23)의 도통을 봉쇄하고 있다.
또한, 봉압기구(5)를 구성하는 노즐부의 바깥측은 나사(56)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6(b)에 나타내는 밸브작동기구(6)의 내통(62)의 선단부분의 안측에 나사(62a)가 잘려져 있어서, 이것이 노즐부의 나사(56)에 밖으로부터 나사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밸브작동기구(6)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 가스 도입구(61a)가 장착된 외통(61), 그 안에 삽입된 내통(62), 중앙부분에 구멍이 열려져 내통(62)의 상단을 폐쇄하도록 내통(62)내에 비틀어 넣어져서 장착된 커버(63), 내통(62)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커버(63)의 선단부에서 반작동 방향인 상방위치를 규제하게 된 작동링(64), 이것에 장착된 상기 침부재(65) 및 밀봉판(52)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침부로서의 상기 첨단(尖端)(65a), 작동링(64)을 반작동 방향인 상방으로 미는 스프링(66), 커버(63)의 구멍에 삽입된 링부착의 로드(rod)(67), 그 조작용의 캡(68), 이것과 커버(63) 사이에 끼워 장착되어 로드(67)를 위치 유지하는 끼움판(69), 이것을 봉인하고 있는 핀(69a) 및 걸려 있는 쇠사슬(69b), 이것을 부착하고 있는 나사(70)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필요위치에 밀봉용 O링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작동링(64)은, 유체압력으로서 도 11에 나타내는 고압의 CO2 기동 가스 라인(104)의 압력을 받음으로써, 첨단(65a)이 밀봉판(52)을 관통하도록, 침부재(65)를 개재해서 첨단(65a)을 미는 피스톤형상 부재에 상당한다. 또한, 로드(67), 캡(68), 끼움판(69) 등은, 작동링(64)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작부를 구성한다.
도 7은, 밸브체부재(2)에 가해지는 압력의 관계를 나타내며, 도 7(a)는 밀봉판(52)이 부서진 개봉후의 상태이고, 도 7(b)는 개봉전의 상태이다. 밀봉판(52)이 부서지면, 본 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에서는, 입구(11a)의 가스가 순차, 횡도통구멍(14), 송기구(55), 연락도통구멍(16), 도통구멍(23)을 경유해서 개방 수압면(25) 및 이동스프링받이(7)의 수압면(7a)에 흐르고,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위에 압력(P1)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수압면(7a)측에서는, 이 부분의 압력(P1)에 의해 이동스프링받이(7)가 밀어 내려져, 스프링(4)을 압축하면서 소정 위치(L)까지 내려가면 본체1의 위치결정부(17)에 있어서 정지한다. 이 때, 이동스프링받이(7)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4)은 밸브체부재(2)에 개방방향의 스프링력(F)을 작용시킨다.
밸브체부재(2)는, 압력조정기능에 관련된 각 부 치수로서, 밸브시트(13)의 치수로서의 밸브시트의 접촉부분의 중심지름(d3), 폐쇄 수압면(24)의 치수로서의 외경(d5) 및 개방 수압면(25)의 치수로서의 외경(d4)을 가진다. 이들 각 부 치수 및 가압력으로서의 스프링력(F)은, 출구(12a)의 압력(P2)이 소정 압력이하가 되는 관계로 정해진다. 또한, d1 및 d2는, 입구압력이 작용하는 도통구멍(23)의 지름 및 출구압력이 작용하는 밸브체부재(2)의 축부의 최소 지름이고, 모두 중간적으로 개재하는 치수이다.
상기와 같은 관계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P2가 소정 압력이상이 되면 밸브가 폐쇄되도록 상기 치수 등을 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입구(11a)의 압력을 P1로 해서 그 조건을 식으로 하면,
(π/4)〔P1d3 2+P2(d5 2-d2 2)〕(밸브폐쇄력)
≥(π/4)〔P1(d4 2-d1 2)+P2(d3 2-d2 2)〕+F (밸브개방력)
따라서,
(π/4)〔P1(d3 2+d1 2-d4 2)+P2(d5 2-d3 2)〕≥F ···(1)
이 식의 좌변은 압력에 의한 밸브폐쇄력의 합계이며, 우변은 스프링력에 의한 밸브개방력이다. 이 식에 의하면, P1은 일정하고, F는 스프링 정수가 정해지면 일정 신장에 있어서는 일정한 힘이 되기 때문에, d5를 d3보다 크게 해 두면 , P2가 커지면 밸브폐쇄력이 커진다. 따라서, 제치수 및 F를 상기 식과 같은 관계로 정하면, 출구압력(P2)이 일정값을 넘으면 압력에 의한 밸브폐쇄력이 스프링력보다 커져서 밸브가 닫히고, P2는 그 이상 P1에 접근하지 않으므로, 출구압력(P2)을 목적으로 하는 일정 압력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개방 수압면(25)의 면적(π/4)(d4 2-d1 2)과, 밸브시트(13)에 접촉하는 밸브체(21)의 면적(π/4)d3 2를 같게 하면, 상기 식은,
(π/4)〔P2(d5 2-d3 2)〕≥F ···(2)
로 된다. 이와 같이 하면 , d5, d3 및 F만을 정함으로써, 출구압력을 목적으로 하는 소정 압력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의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입구압력에 관계없이 출구압력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만일 입구압력이 저하하고, 어떠한 원인으로 출구압력이 상승해도, 입구측으로의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력조정에 관련되는 부분이 적어지기 때문에, 작동의 안정성이 높고, 확실하게 출구압력을 제한할 수 있어서, 밸브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입구압력, 출구압력을 변경하는 일 없이 급속개방 조압밸브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d5를 작게 해서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지름을 좁게 함과 아울러, 압력 균형이 바뀌지 않도록 d5의 변화에 따라서 스프링력(F)을 작게 한다.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지름을 좁게 하면, 입구(11a)로부터 출구(12a)까지의 유로가 좁아져, 유량특성이 저하해 버리는 것이 예상되지만, 스프링력(F)을 작게 함으로써, 밸브개방시에 스프링력(F)이 밸브체부재(2)에 작용할 때까지의 응답 시간이 짧아짐과 아울러, 밸브체부재(2)의 개방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변위량이 커진다. 이것에 의해, 유량특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급속개방 조압밸브를 소형화할 수 있다.
밀봉판(52)이 열려 있지 않을 때에는, 개방 수압부(25)에는 입구압력(P1)이 가해지지 않고, 대기압의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식(1)에 의하면 d4=0의 상태가 되므로, 밸브폐쇄력은 충분히 커지고, 밸브는 확실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에는, 출구압력은 당연 대기압으로 되어 있다.
한편, 이 상태에서 밀봉판(52)이 부서지면, 식(1) 또는 식(2)에 있어서, P1이 대기압보다 충분히 크다고 하면 P2는 거의 O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방 수압면(25)의 면적(π/4)(d4 2-d1 2)과, 밸브시트(13)에 접촉하는 밸브체(21)의 면적((π/4)d3 2)이 같거나, 또는 차이가 그만큼 크지 않으면, 밸브개폐력으로서는 대부분 스프링력(F)만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밸브는 확실하게 열린다. 그리고, 출구압력이 소정 압력이상으로 상승할 때까지 열린 상태가 유지된다. 이 경우, 밸브를 여는 힘이 조금이라도 크면 밸브는 모두 개방 상태가 되므로, 개폐기구나 압력조정기구에 의해 유체저항이 증가한다고 하는 일은 전혀 없다.
밀봉판(52)의 개봉전에서는, P1의 압력이 높고, 한편, 밸브시트(13)가 밸브체(21)에 접촉해서 밸브가 닫혀 있기 때문에 출구(12a)측의 압력은 낮은 대기압(P0)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식(1)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P1)에 의한 밸브폐쇄력이 스프링에 의한 밸브개방력(F)보다 충분히 크므로, 밸브를 닫을 수 있다. 그러나 P1이 일정한 압력이하가 되면, 밸브폐쇄력이 스프링력(F)에 의한 밸브해방력보다 작아져서 밸브가 열리는 일이 있다.
본 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에서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스프링받이(7)의 수압면(7a)에 작용되는 압력이 대기압(P0)이 됨으로써 스프링(4)을 압축 하는 힘이 해방되어, 이동스프링받이(7)는 스프링력(F)을 발생시키는 위치(L)로부터, 스프링력이 거의 0인 F0이 되는 위치(H)까지 상승한다. 그 결과, 밸브체부재(2)의 스프링받이부(26)에는 스프링(4)의 힘이 대부분 작용하지 않게 되어, 밀봉판이 부서지지 않는 한 밸브의 폐쇄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또한, 도면 중의 P0, F0의 화살표는 압력 및 힘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며, 크기가 거의 O인 것은 상기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는, 본체(1a), 밸브체부재(2), 스프링받이(8), 가압부재인 스프링(4), 이동수용부인 이동스프링받이(7) 등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또한, 밸브체부재(2)는, 밸브체(21)와, 밸브체부재 본체(22)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는, 도 3 및 4에서 나타낸 실시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에 대하여, 본체 및 스프링받이의 형상이 다르고, 그 이외의 부위에 대해서는 같다. 또한, 도 3 및 4에서 나타낸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같은 부위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7에서 나타낸 밸브체부재(2)에 가해지는 압력의 관계에 대해서도, 도 3 및 4에서 나타낸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같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체1의 상단부 내주면과 스프링받이(8)의 외주면에, 각각 대응하는 나사를 잘라, 스프링받이(8)를 본체1의 상단부에 비틀어 끼우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a)의 상단부 외주면과, 본체(1a)의 상단부를 덮도록 형성된 스프링받이(8)의 내주면에, 각각 대응하는 나사를 잘라, 본체(1a)의 상단부를 스프링받이(8)에 비틀어 넣도록 해서 끼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스프링받이(7)는, 본체1의 내주면을 따라 개폐방향(Z1 - Z2)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받이(8)가 그 내주면을 따라 이동스프링받이(7)를 개폐방향(Z1 - Z2)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한다. 따라서, 본체(1a)의 개폐방향 길이는, 본체1의 개폐방향 길이에 비교해서, 적어도 스프링받이(8)의 개폐방향 두께 및 이동스프링받이(7)의 가동영역의 개폐방향 두께의 합계 정도, 구체적으로는, 본체1의 개폐방향 길이에 대하여 10% ∼ 30%정도 단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1a)가 경량화되어,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받이(8)와 본체(1a)에는, 스프링받이(8)와 본체(1a)의 나사결합시에 접촉하고, 서로의 나사부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스프링받이측 접촉부(8a), 본체측 접촉부(1b)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받이측 접촉부(8a) 및 본체측 접촉부(1b)는, 밸브체부재(2)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어, 이것에 의해, 스프링받이(8)와 본체(1a)의 나사결합시의 축맞춤이 용이하게 된다. 스프링받이측 접촉부(8a) 및 본체측 접촉부의 테이퍼 각도는 60°± 20°정도가 바람직하다.
입구 노즐부(11)의 외주면은,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속개방 조압밸브(101)로서 고압의 질소 봄베(100)에 장착되기 때문에, 입구 노즐부(11)가 테이퍼 나사로 되어 있다. 급속개방 조압밸브(101)를 질소 봄베(100)에 장착한 상태로 질소 봄베(100)가 전도 또는 낙하함으로써, 입구 노즐부(11)에 과대한 힘이 가해지면, 응력집중이 생기고, 입구 노즐부(11)가 변형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봄베 삽입부인 입구 노즐부(11)의 기계적 강도를 상승시키는 삽입부 보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봄베내에 수용되는 수용부분과 봄베외에 노출되는 노출부분의 경계부근을 포함하는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므로 이것을 보강함으로써, 봄베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급속개방 조압밸브, 특히 입구 노즐부(1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는, 본체(1a), 밸브체부재(2), 스프링받이(8), 가압부재인 스프링(4), 이동수용부인 이동스프링받이(7), 삽입부 보강수단인 보강용 부시(bush)(10) 등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또한, 밸브체부재(2)는, 밸브체(21)와, 밸브체부재 본체(22)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는, 도 3, 도 4 및 도 8에서 나타낸 실시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에 대하여, 입구 노즐부(11)의 형상 및 보강용 부시(10)를 구비하는 것이 다르다. 또한, 도 3, 도 4 및 도 8에서 나타낸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같은 부위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붙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7에서 나타낸 밸브체부재(2)에 가해지는 압력의 관계에 대해서도, 도 3, 도 4 및 도 8에서 나타낸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같다.
보강용 부시(10)의 구조는, 봄베내에 수용되는 수용부분과 봄베외에 노출되는 노출부분의 경계의 축선방향 양측 사이에 걸쳐 형성되는 보강수단 본체부인 부시 본체(10a)와, 경계보다 축선방향 한 쪽측에 형성되어, 부시 본체(10a)에 축선방향 한 쪽측으로의 구동력을 주기 위한 나사기구부(10b)와, 경계보다 축선방향 다른 쪽측에 형성되어, 부시 본체(10a)가 축선방향 한 쪽측으로 나사진행하는 것을 저지하는 나사진행 저지부(10c)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선방향 한 쪽측은 봄베외에 노출되는 노출부분측, 즉 급속개방 조압밸브측이며, 축선방향 다른 쪽측은 봄베내에 수용되는 수용부분측, 즉 봄베측이다.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부시 본체(10a)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나사기구부(10b)는, 입구 노즐부(11)의 내주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안 나사부분과, 부시 본체(10a)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 나사부분에 나사결합되는 바깥 나사부분을 가진다. 나사진행 저지부(10c)는, 부시 본체(10a)에 일체로 형성되어,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서 입구 노즐부(11)에 걸린다.
보강용 부시(10)를 장착할 때는, 나사기구부(10b)가 먼저 삽입되는 방향으로, 입구(11a)로부터 삽입하고, 축선 둘레에 회전시켜서 나사진행하게 한다. 이 때 부시 본체(10a)는 나사진행하고자 하지만, 나사진행 저지부(10c)에 의해, 부시 본체(1Oa)의 나사진행이 저지된다. 여기서, 더욱 회전을 부여함으로써, 나사진행 저지부(10c)가 입구 노즐부(11)를 나사진행하는 방향으로 누르는 힘과, 나사기구부(10b)가 봄베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으로 입구 노즐부(11)가 압축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입구 노즐부(11)의 기계적 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삽입부 보강수단인 보강용 부시(10)는, 종래구조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에 적용해도 좋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는, 본체(201), 밸브체부재(202), 스프링받이(203), 스프링(204), 이동스프링받이(207), 가운데몸통(210), 보강용 부시(20) 등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는, 도 14에서 나타낸 급속개방 조압밸브에 대하여, 입구 노즐부(11)에 보강용 부시(20)를 구비하는 것이 다르다. 또한, 도 14에서 나타낸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같은 부위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붙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7에서 나타낸 밸브체부재(2)에 가해지는 압력의 관계에 대해서는, 도 3, 4, 8 및 9에서 나타낸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용 부시(20)의 구조는, 부시 본체(20a), 나사기구부(20b) 및 나사진행 저지부(20c)로 이루어지고, 도 9에 나타낸 보강용 부시(10)의 구조와 유사하지만, 나사기구부(20b) 및 나사진행 저지부(20c)의 위치가 다르다. 본 실시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는, 본체(201)와 가운데몸통(210)이 별체이기 때문에, 보강용 부시(20)를 입구(11a)로부터가 아니라 가운데몸통(210)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축선 둘레에 회전시켜서 나사진행하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축선방향 한 쪽측은 봄베내에 수용되는 수용부분측, 즉 봄베측이며, 축선방향 다른 쪽측은 봄베외에 노출되는 노출부분측, 즉 급속개방 조압밸브측이다.
보강용 부시(20)의 방향이 달라도, 그 작용효과는 보강용 부시(10)와 같아서, 나사진행 저지부(20c)가 입구 노즐부(11)를 나사진행하는 방향으로 누르는 힘과, 나사기구부(20b)가 봄베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으로 입구 노즐부(11)가 압축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입구 노즐부(11)의 기계적 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용 부시(10, 20)의, 나사기구부(10b, 20b)의 축선방향 길이는, 비틀어 끼움으로써 나사기구부(10b, 20b)와 입구 노즐부(11)의 나사면의 면압으로서 3 ∼ 5㎏/㎟의 힘을 가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길더라도 전단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계부근까지로 한다. 또한, 나사진행 저지부(10c, 20c)의 축선방향 길이 및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돌출부의 반지름방향 길이는, 비틀어 끼워짐으로써 나사기구부(10b, 20b)와 입구 노즐부(11)의 나사면의 면압으로서 3 ~ 5㎏/㎟의 힘이 가해졌을 때, 나사진행 저지부(10c, 20c)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상기의 급속개방 조압밸브가 적용되는 장치의 일례인 질소소화장치의 개략 계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질소소화장치는, 40℃에서 150kgf/㎠G정도의 압력이 될 때까지 상압된 질소가 충전된 질소 봄베(100), 이것에 장착된 급속개방 조압밸브(101), 온도 40℃에서 110kgf/㎠G정도의 압력을 가지는 기동용 CO2봄베(102), 이것에 장착되어 도 6(b)의 밸브작동기구와 같은 구조이고 고압 불활성 가스 대신에 솔레노이드 등으로 작동되는 스타터(103), 기동 가스 라인(104), 소화원 라인(105), 안전장치(106), 기본 밸브(107), 소화구획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밸브(108), 개별 소화 라인(109), 소화구획(110)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급속개방 조압밸브는, 개방 수압면(25)의 면적((π/4)(d4 2-d1 2))과, 밸브시트(13)에 접촉하는 밸브체(21)의 면적((π/4)d3 2)이 같게 하고, 예를 들면 P2=110kgf/㎠G로 해서, 식(2)에 기초하여,
(π/4)〔11O(d5 2-d3 2)〕=F ···(3)
의 관계로 설계된다. 여기서, d5 및 d3의 단위는 ㎝, F의 단위는 kgf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급속개방 조압밸브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급속개방 조압밸브에는, 질소 봄베(100)로부터 약 150kgf/㎠G의 입구압력(P1)이 가해져 있고, 밀봉판(52)은 부서져 있지 않다. 따라서, 식(1)에 있어서, d4=0으로 하고, P1(d3 2+d1 2)π/4라는 큰 밸브폐쇄력이 작용하고 있어서, 밸브는 확실하게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어떠한 소화구획(110)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스타터(103)가 조작되고, CO2 봄베(102)로부터 기동 가스 라인(104)을 통해서, 급속개방 조압밸브(101)의 밸브작동기구(6)에 압력 110kgf/㎠G정도의 작동 가스가 도입된다.
밸브작동기구(6)에서는, 기동 가스가 외통(61), 내통(62), 커버(63)의 각각에 열려진 도통구멍을 통해서 작동링(64)의 상부에 도입되고, 이것과 로드(67) 사이에서 가스압이 발생하여, 작동링(64) 및 이것과 함께 침부재(65)와 첨단(65a)이 밀어 내려져, 밀봉판(52)을 눌러 부수어서 이것을 열고, 질소가 즉시 입구(11a)로부터 횡도통구멍(14), 송기구(55), 연락도통구멍(16), 도통구멍(23)을 통해서 상단부에 들어가서, 밸브체부재(2)의 개방 수압면(25) 및 이동스프링받이(7)의 수압면(7a)에 압력(P1)을 작용시킨다. 한편, d3 및 d4가 함께 유효하게 되어서 식(1)의 P1부분이 0이 되고, 출구압력(P2)도 대기압이기 때문에, 압력에 의한 밸브개폐력이 거의 없어지며, 스프링력(F)에 의해 밸브체부재(2)가 확실하게 밀어내려져, 밸브는 순간적으로 열린다. 이것에 의해, 소화원 라인(105)이하로 신속하게 질소가 흐르게 되어, 소화구획(110)내에 충만해져서 소화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밸브가 열렸을 때에, 예를 들면 기본 밸브(107)나 선택밸브(108)가 닫혀 있었던 경우에는, 소화원 라인(105)의 압력이 올라가서, 그 결과 급속개방 조압밸브(101)의 출구(12a)의 압력이 상승된다. 그러나, 이 압력이 110kgf/㎠이 되면, 식(2)와 같이 치수나 스프링력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출구압력에 의한 힘과 밸브개폐력이 균형을 이루고, 압력이 11Okgf/㎠를 넘으면, 압력에 의한 밸브폐쇄력이 스프링력에 이겨서 밸브가 폐쇄된다. 그 결과, 11Okgf/㎠G이상의 출구측 압력의 과도한 상승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예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에 의하면, 소화해야 할 때에 급속 또한 확실하게 밸브를 열어서 유체를 공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출구측의 압력을 소정 압력으로 해서 예를 들면 11Okgf/㎠G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출구측의 배관이나 밸브 등의 소화계의 일절의 것의 내압을 종래의 CO2소화계의 경우와 같은 11Okgf/㎠G이상으로 올릴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설비비용의 증가 등을 초래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150kgf/㎠G라는 소화능력이 큰 질소소화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질소소화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300kgf/㎠G정도의 압력의 물건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급속개방 조압밸브는, 질소소화장치 외에, 다른 불활성 가스 소화장치나 고압가스 봄베 등에 널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질소 봄베(100)의 압력이 저하했을 때라도, 질소의 출구라인으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가 열려서 질소가 출구라인에 들어갔을 경우라도, 소화 계통에서는 기본 밸브(107)나 선택밸브(108)에 의해 소화 구역내로의 불필요한 소화 가스의 내보내기는 저지되어 있으므로, 위험성은 전혀 없다. 또한 본 예에 의하면, 공장에서 출하시에 질소 봄베(100)에 질소를 충전할 경우에도, 밸브의 저항에 의해 조금이라도 봄베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즉시 밸브가 닫히므로, 출구노즐부(12)를 해방한 상태, 또는 약간 캡을 씌우는 상태만으로 질소를 충전할 수 있게 되어, 밸브의 취급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의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청구의 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의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속개방 조압밸브를 본체와, 밸브체부재와, 수용부재와, 가압부재와, 봉압수단과, 봉압해제수단의 조합에 의해 구성하고, 본체의 입구와 타단측 사이를 도통시키는 통로를 밸브체부재 및 본체에 설치하여, 그 통로를 봉압수단의 봉압부재로 봉쇄하고, 본체의 밸브시트에 착좌된 밸브체부의 유체압력을 받는 수압면적, 밸브체부재의 폐쇄 수압면의 수압면적,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는 개방 수압면의 수압면적, 및 가압부재의 개방 가압력을 통로의 일단측과 타단측이 도통하여 개방 수압면이 개방방향의 압력을 받고 있을 때에 출구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넘으면 밸브체부를 폐쇄로 하는 밸브폐쇄력이 가압력보다 커져서 밸브체부가 폐쇄되도록, 본체 출구의 압력이 소정 압력이하가 되는 관계로 정해져 있으므로, 각 조건에 의해 밸브체부재는 다음과 같이 개폐된다.
우선, 봉압수단이 작동하지 않고 통로가 봉압부재로 봉쇄되어 있을 때에는, 개방 수압면이 작동하지 않고, 따라서 밸브체부재에 폐쇄방향으로 작용하는 입구압력의 힘이 가압부재의 가압력보다 커져, 밸브체부재의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에, 봉압수단이 작동하면, 통로를 봉쇄하고 있는 봉압부재가 열려서 개방 수압면에 입구압력이 가해지고, 이것이 밸브체부재 입구부분의 폐쇄압력을 해제 또는 저감하고, 가압부재의 가압력을 유효하게 해서 밸브체부재를 확실하게 연다.
또한, 이 상태에서 출구압력이 커지면, 폐쇄 수압면의 압력이 가압부재의 가압력보다 커지고, 밸브를 폐쇄하여 출구압력의 일정이상의 상승을 제한한다. 그 결과, 유체입구압력이 고압이여도, 출구압력을 소정 압력이하로 하고, 배관이나 밸브류 등의 내압을 그 압력까지 내린다. 그리고, 예를 들면, 종래의 소화 시스템의 설계압력에 상당하는 출구압력으로서 11Okgf/㎠G의 값을 유지하고, 즉 배관계 등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일 없이, 150kgf/㎠G정도 이상의 고압에서 소화 능력이 큰 질소소화장치의 채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수용부재와 가압부재 사이에 개방 수압면과 같은 압력을 받는 수압면을 구비한 이동수용부를 형성하고, 이것을 개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여, 봉압이 해제되면 수압면이 상기 압력을 받아서 이동수용부를 개방방향의 소정위치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이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위치결정부를 형성하므로, 개봉시에는 이 결정된 위치에서 가압부재에 상기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출구압력을 소정 압력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봉압이 해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수압면이 압력을 받고 있지 않으므로, 이동수용부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되지 않음과 아울러, 이동수용부는 가압부재의 반력을 받아서 소정 위치와는 반대인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한다. 그 결과,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밸브체부재는 가압부재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가압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입구측의 유체압력이 저하되었을 때라도,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한 불필요한 밸브의 개방이 방지된다. 또한, 급속개방 조압밸브가 장착되는 소화 가스 용기 등에 가스를 충전할 때에도, 출구측을 완전히 폐쇄하는 일 없이 가스를 충전할 수 있게 되므로, 장치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급속개방 조압밸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도 12 ∼ 14에 나타낸 종래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같이, 밸브시트를 설치한 가운데몸통이 필요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밸브체가, 본체의 입구를 통해서 밸브체부재 본체의 일단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므로, 본체에 밸브시트를 설치하고, 밸브체부재 본체를 본체의 상단측으로부터, 밸브체를 본체의 입구로부터 삽입하여, 밸브시트를 끼워 넣도록 이들을 장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운데몸통이 불필요하게 되고, 부재점수를 줄여서 급속개방 조압밸브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봉압해제수단으로서, 봉압부재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침부를 유체압력으로 작동되는 피스톤형상 부재에 부착하여, 이것을 조작부에 의해 조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 봉압부재를 유체압력에 의해 원격작동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체압력 라인에 고장 등이 발생했을 경우라도, 기계측에서 수동조작에 의해 봉압부재를 개폐할 수 있고, 장치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는, 밸브시트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촉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부로 이루어진다.
밸브시트로의 압접시에 접촉부는, 가로방향으로 변형하기 때문에,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접촉부의 외주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보강부로 덮을 필요가 있다. 여기서, 소정의 두께는, 보강부 재료의 특성값인 인장강도에 의해 결정된다. 인장강도가 클수록 보강부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밸브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의 밸브시트에 대향하는 영역의 면적과 개방 수압면의 면적을 같게 하고 있으므로, 밸브체부재의 개폐력은, 출구압력과 밸브시트의 치수와 폐쇄 수압면의 치수와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밸브의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입구압력에 관계없이 출구압력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출구압력의 상승시에 입구측으로의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력조정에 관련되는 부분이 적어지기 때문에, 밸브의 작동 안정성이 높아져, 확실하게 출구압력을 제한할 수 있고, 밸브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시트에 착좌된 밸브체의 유체압력을 받는 수압면적과, 상기 개방 수압면의 수압면적을 일정하게 하고, 또한 상기 관계를 유지해서, 폐쇄 수압면의 수압면적을 축소한다. 폐쇄 수압면의 수압면적을 축소함으로써 밸브폐쇄력이 저하하므로 관계가 변화되어 버리지만, 스프링력을 작게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폐쇄 수압면의 수압면적을 축소함으로써,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지름을 축소하고, 또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력을 작게 함으로써, 밸브체부재의 변위량을 크게 할 수 있고, 유량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부재는, 그 내주면에 의해 이동수용부의 상기 개폐방향의 이동을 안내가능하게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본체의 개폐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본체가 경량화되어,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용부재와 본체는, 비틀어 끼우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나사결합 부분 이외의 접촉부를 가지고, 접촉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재와 본체의 나사결합시의 축맞춤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축선을 따라 변위가능하게 구성되는 밸브체부재와, 고압가스 봄베에 삽입되어, 가스의 입구가 형성된 봄베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봄베 삽입부의 기계적 강도를 상승시키는 삽입부 보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삽입부 보강수단은, 봄베내에 수용되는 수용부분과 봄베외에 노출되는 노출부분의 경계부근을 포함하는 부위를 보강한다.
봄베 삽입부의 기계적 강도가 상승함으로써, 봄베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특히 봄베 삽입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삽입부 보강수단의 구조는, 경계의 축선방향 양측 사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보강수단 본체부와, 경계보다 축선방향 한 쪽측에 형성되어, 보강수단 본체부에 축선방향 한 쪽측으로의 구동력을 주기 위한 나사기구부와, 경계보다 축선방향 다른 쪽측에 형성되어져, 보강수단 본체부가 축선방향 한 쪽측으로 나사진행하는 것을 저지하는 나사진행 저지부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강수단 본체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나진저지부는, 보강수단 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서 봄베 삽입부에 걸리며, 나사기구부는, 봄베 삽입부의 내주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안 나사 부분과, 보강수단 본체부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 나사부분에 나사결합되는 바깥 나사부분을 가진다.
삽입부 보강수단을 봄베 삽입부에 비틀어 끼움으로써, 나사진행 저지부에 의한 누르는 힘과, 나사기구부가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봄베 삽입부가 압축된 상태로 되어, 봄베 삽입부의 기계적 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삽입부 보강수단에 봄베 삽입부에서 고강도의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급속개방 조압밸브를 사용하는 소화장치, 고압가스 봄베장치 및 유체의 급속공급장치가 실현되므로, 소화용 불활성 가스 등의 유체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유체의 압력을 소정 압력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5)

  1. 유체의 입구 및 출구와 밸브시트를 구비한 본체;
    일단측과 타단측를 가지고, 상기 출구에 도통하여 폐쇄방향의 압력을 받는 폐쇄 수압면 및 상기 타단측에 형성되어 개방방향의 압력을 받는 개방 수압면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개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는 밸브체부재 본체와, 상기 입구를 통해서 상기 일단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밸브시트에 접촉·분리해서 개폐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부재;
    상기 입구와 상기 타단측 사이를 도통시키는 통로;
    상기 밸브체부재를 개방방향으로 미는 가압부재;
    수용부재와 상기 가압부재 사이에 끼워 장착되어 상기 개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고 상기 개방 수압면과 같은 압력을 받는 수압면을 구비하여 상기 개방방향의 소정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가압수단에 상기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이동수용부;
    상기 이동수용부를 상기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위치결정부;
    상기 통로를 폐쇄하도록 부착되는 밀봉판을 구비한 봉압수단;및
    작동되었을 때에 상기 밀봉판을 부수어서 상기 통로내의 압력을 상기 개방 수압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봉압해제수단를 가지고,
    상기 밸브시트에 착좌된 밸브체의 유체압력을 받는 수압면적과, 상기 폐쇄 수압면의 수압면적과, 상기 개방 수압면의 수압면적과,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은, 상기 통로가 도통하여 상기 개방 수압면이 상기 개방방향의 압력을 받아서 상기 밸브체부가 개방으로 됨과 아울러, 상기 출구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넘으면 상기 밸브체부를 폐쇄로 하는 밸브폐쇄력이 상기 가압력보다 커져서 상기 밸브체부가 폐쇄로 되는 관계로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
  2. 유체의 입구 및 출구와 밸브시트를 구비한 본체;
    일단측과 타단측을 가지고, 상기 출구에 도통하여 폐쇄방향의 압력을 받는 폐쇄 수압면 및 상기 타단측에 형성되어 개방방향의 압력을 받는 개방 수압면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개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는 밸브체부재 본체와, 상기 입구를 통해서 상기 일단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밸브시트에 접촉·분리해서 개폐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부재;
    상기 입구와 상기 타단측 사이를 도통시키는 통로;
    상기 밸브체부재를 개방방향으로 미는 가압부재;
    수용부재와 상기 가압부재 사이에 끼워 장착되어 상기 개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고 상기 개방 수압면과 같은 압력을 받는 수압면을 구비하여 상기 개방방향의 소정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가압수단에 상기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이동수용부;
    상기 이동수용부를 상기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위치결정부;
    상기 통로를 폐쇄하도록 부착되는 봉압부재를 구비한 봉압수단;및
    작동되었을 때에 상기 봉압부재를 연 상태로 유지해서 상기 통로내의 압력을 상기 개방 수압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봉압해제수단을 가지고,
    상기 밸브시트에 착좌된 밸브체의 유체압력을 받는 수압면적과, 상기 폐쇄 수압면의 수압면적과, 상기 개방 수압면의 수압면적과,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은 상기 통로가 도통하여 상기 개방 수압면이 상기 개방방향의 압력을 받아서 상기 밸브체부가 개방으로 됨과 아울러, 상기 출구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넘으면 상기 밸브체부를 폐쇄로 하는 밸브폐쇄력이 상기 가압력보다 커져서 상기 밸브체부가 폐쇄로 되는 관계로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봉압부재는 밀봉판이고,
    상기 봉압해제수단은,
    상기 밀봉판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침부;
    유체압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침부가 상기 밀봉판을 관통하도록 상기 침부를 미는 피스톤형상 부재;및
    상기 피스톤형상 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시트와 접촉하는 접촉부;및
    상기 접촉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부는, 인장강도가 200N/㎟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상기 밸브시트에 대향하는 영역의 면적과 상기 개방 수압면의 면적을 같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에 착좌된 밸브체의 유체압력을 받는 수압면적과, 상기 개방 수압면의 수압면적을 일정하게 하고 또한 상기 관계를 유지해서, 상기 폐쇄 수압면의 수압면적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그 내주면에 의해 이동수용부의 상기 개폐방향의 이동이 안내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와 본체는, 비틀어 끼우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나사결합 부분 이외의 접촉부를 가지고, 접촉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
  9. 축선을 따라 변위가능에 구성되는 밸브체부재;및
    고압가스 봄베에 삽입되어, 가스의 입구가 형성된 봄베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를 구비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로서,
    상기 봄베 삽입부의 기계적 강도를 상승시키는 삽입부 보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봄베 삽입부는, 봄베내에 수용되는 수용부분과 봄베외에 노출되는 노출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 보강수단은, 수용부분과 노출부분의 경계부근을 포함하는 부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보강수단은, 상기 경계의 축선방향 양측 사이에 걸쳐 형성되는 보강수단 본체부;
    상기 경계보다 축선방향 한 쪽측에 형성되어, 보강수단 본체부에 축선방향 한 쪽측으로의 구동력을 주기 위한 나사기구부;및
    상기 경계보다 축선방향 다른 쪽측에 형성되어, 보강수단 본체부가 축선방향 한 쪽측으로 나사진행하는 것을 저지하는 나사진행 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 본체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진행 저지부는, 보강수단 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서 봄베 삽입부에 걸리며,
    상기 나사기구부는, 봄베 삽입부의 내주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안 나사부분과, 보강수단 본체부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 나사부분에 나사결합되는 바깥 나사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
  13. 소화용의 불활성 가스를 저류하는 불활성 가스 봄베;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급속개방 조압밸브로서, 상기 본체의 상기 입구가 불활성 가스 봄베에 장착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및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출구로부터의 불활성 가스를 소화구획으로 유도하는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14. 고압가스 봄베에,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급속개방 조압밸브의 상기 본체의 상기 입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가스 봄베장치.
  15.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원;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급속개방 조압밸브로서, 상기 본체의 상기 입구가 유체원에 형성되는 급속개방 조압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급속공급장치.
KR1020057012786A 2003-01-10 2004-01-09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그것을 사용하는 소화장치, 고압가스봄베장치 및 유체의 급속공급장치 KR100944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05002 2003-01-10
JP2003005002 2003-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878A true KR20050089878A (ko) 2005-09-08
KR100944305B1 KR100944305B1 (ko) 2010-02-24

Family

ID=3270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786A KR100944305B1 (ko) 2003-01-10 2004-01-09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그것을 사용하는 소화장치, 고압가스봄베장치 및 유체의 급속공급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98793B2 (ko)
EP (1) EP1591144B1 (ko)
JP (1) JP3796262B2 (ko)
KR (1) KR100944305B1 (ko)
TW (1) TW200506248A (ko)
WO (1) WO20040627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660A (ko) * 2014-04-18 2015-10-28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지하수 자원과 지열 공급을 위한 지중 관정 청소용 고압가스 순간 방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94122B (zh) * 2005-04-07 2010-05-12 丘伯国际控股有限公司 用于灭火过压力预防的气动式流量控制阀
JP2007234501A (ja) * 2006-03-03 2007-09-13 Toyota Motor Corp 調圧弁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GB2478683B (en) * 2008-12-29 2012-10-24 Utc Fire & Security Corp Discharge flow control valve
DE102010028858A1 (de) 2010-05-11 2011-11-17 Fiwarec Valves & Regulators Gmbh & Co. Kg Ventil
CN103180645B (zh) * 2010-08-06 2014-09-17 川崎重工业株式会社 燃料电池系统的氢气供给装置
CN103003605B (zh) * 2010-08-06 2014-07-30 川崎重工业株式会社 气体用调压阀
CN102109049B (zh) * 2011-03-14 2012-12-26 宁波三安制阀有限公司 瓶头阀
CN102278511B (zh) * 2011-05-31 2012-10-03 梅锦月 单向限压阀
CN102230548B (zh) * 2011-08-01 2012-11-14 南京普鲁卡姆电器有限公司 自适应式燃气压力选择器
WO2013043700A1 (en) * 2011-09-19 2013-03-28 Akron Brass Company Fire extinguisher
US9856871B2 (en) * 2015-08-05 2018-01-02 Chung Wei Huang Bicycle air pump
CN109990990B (zh) * 2019-01-14 2024-02-06 东莞市博鼎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氮气弹簧多功能充检工具
WO2021108147A1 (en) * 2019-11-25 2021-06-03 Sprinkler Stop, Llc Inline valve for sprinkler head replacement
CN113701051B (zh) * 2020-05-20 2023-02-17 邦查工业股份有限公司 调压装置及具有该调压装置的气体存储设备
WO2022031646A1 (en) 2020-08-04 2022-02-10 Fike Corporation Slide valve
CN112879614B (zh) * 2021-01-16 2022-06-28 新乡市赛特钢瓶有限公司 一种乙炔瓶多孔填料制备用恒压工艺阀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7762A (en) * 1933-07-17 1936-01-14 Jeddo Highland Coal Company Valve
US2751023A (en) * 1950-12-18 1956-06-19 Baker Oil Tools Inc Devices for automatically filling well casing
US3211175A (en) * 1961-04-03 1965-10-12 Edward H Replogle Valve regulator
US3547427A (en) * 1968-06-27 1970-12-15 Robertshaw Controls Co Reset mechanism for a spring assembly
JPS5520103B2 (ko) * 1973-08-09 1980-05-30
JPS6484857A (en) 1987-09-14 1989-03-30 Nittetsu Drum Kk Container having opening with detachable cap
US4844111A (en) * 1987-09-21 1989-07-04 Union Carbide Corporation High pressure regulator valve
JPH07225000A (ja) 1994-02-08 1995-08-22 Neriki:Kk 安全弁付きバルブ装置
US5732736A (en) * 1994-07-15 1998-03-31 Veriflo Corporation Pressure regulator with lower outlet pressure drop
JP3058841B2 (ja) * 1997-03-03 2000-07-04 株式会社コーアツ 減圧装置
JPH10274397A (ja) * 1997-03-28 1998-10-13 Neriki:Kk 容器弁のガス充填装置
JP3403063B2 (ja) * 1997-04-11 2003-05-06 川重防災工業株式会社 急速開放調圧弁
JP3537672B2 (ja) 1998-08-27 2004-06-14 川重防災工業株式会社 消火剤容器付き弁装置のキャップ
JP2000309364A (ja) 1999-04-27 2000-11-07 Pacific Ind Co Ltd シールキャップ
IT248945Y1 (it) * 1999-07-06 2003-03-06 Eusebi Impianti S R L Valvola per bombole di gas ad alta pressione
JP3398624B2 (ja) * 1999-07-30 2003-04-21 株式会社コーアツ ガス系消火設備用減圧式容器弁
JP2002000750A (ja) * 2000-06-21 2002-01-08 Ansul Nissho Kk 消火設備
JP2002257297A (ja) 2001-03-02 2002-09-11 Koyo Sangyo Kk 高圧ガス容器用安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660A (ko) * 2014-04-18 2015-10-28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지하수 자원과 지열 공급을 위한 지중 관정 청소용 고압가스 순간 방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062733A1 (ja) 2006-05-18
JP3796262B2 (ja) 2006-07-12
TWI309282B (ko) 2009-05-01
WO2004062733A1 (ja) 2004-07-29
EP1591144A1 (en) 2005-11-02
US7398793B2 (en) 2008-07-15
TW200506248A (en) 2005-02-16
KR100944305B1 (ko) 2010-02-24
EP1591144B1 (en) 2012-08-29
US20060180207A1 (en) 2006-08-17
EP1591144A4 (en) 200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305B1 (ko) 급속개방 조압밸브와 그것을 사용하는 소화장치, 고압가스봄베장치 및 유체의 급속공급장치
US7334598B1 (en) Pressure regulator adaptable to compressed gas cartridge
US5351714A (en) Safety valve for high-pressure pumps, high-pressure water-jet machines and the like
US7134447B2 (en) Gas pressure regulator
RU2667045C2 (ru) Регулятор текучей среды с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м перепускным клапаном для быстрого создания давления
JP3821835B2 (ja) 急速開放調圧弁とそれを用いる消火装置、高圧ガスボンベ装置および流体の急速供給装置
US200702567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ressure regulator
NO338555B1 (no) Trykkreduserende regulator med justerbart særtrekk
CN110573788A (zh) 气体输送阀及其使用方法
JP2006522297A (ja) 加圧ガスシリンダ、特に酸素シリンダに対して使用するバルブ構造体並びにバルブとレギュレータの組合せ
US7520291B2 (en) Pressure-compensated, subsea chemical injection valve
JP4417293B2 (ja) 急速開放調圧弁とそれを用いる消火装置
US5899221A (en) Fluid pressure regulator
JP3403063B2 (ja) 急速開放調圧弁
JP3811675B2 (ja) 急速開放調圧弁とそれを用いる消火装置
US7178551B2 (en) Valve
JP5119339B2 (ja) ガス流量規制装置
US8905065B2 (en) Gas biased pressure regulator
US20150013776A1 (en) Regulating Valve
US11782462B2 (en) Pressure regulator and method for fluid pressure regulation
GB2085567A (en) Fluid closure and discharge devices
CN111434963B (zh) 复合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