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855A -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855A
KR20050086855A KR1020057009489A KR20057009489A KR20050086855A KR 20050086855 A KR20050086855 A KR 20050086855A KR 1020057009489 A KR1020057009489 A KR 1020057009489A KR 20057009489 A KR20057009489 A KR 20057009489A KR 20050086855 A KR20050086855 A KR 20050086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carrier
block
cir
reception quality
subcarri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8291B1 (ko
Inventor
아키히코 니시오
가츠히코 히라마츠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7082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8685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6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in which mode-switching is based on a statistical approach
    • H04L1/002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in which mode-switching is based on a statistical approach in which the algorithm uses adaptiv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수신한 전(全)블록에 대해 CIR 측정부(307)가 CIR를 측정하여, CIR 측정 결과와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량에 따른 임계값 정보를 기초로, 블록 선택부(308)가 임계값 판정을 실시한다. 임계값 판정 결과, 임계값을 초과한 CIR이 되는 블록을 사용가능 블록으로 한다.
사용가능 블록의 CIR을 CIR 평균화부(309)가 평균화하고, CIR의 평균치에 기초하여 CQI 생성부(310)가 CQI를 생성한다. 생성된 CQI와 선택된 블록 번호가 기지국 장치에 보고된다. 이로써, 자셀 및 주변 셀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멀티 캐리어 전송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통신 단말장치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것이다.
종래, W-CDMA(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 대용량 하향 채널을 복수의 통신 단말장치가 공유하여 기지국 장치로부터 통신 단말장치에 패킷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하향 고속 패킷 전송 방식(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이 개발되어 있다.
여기서, W-CDMA 시스템에 있어서의 HSDPA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해 본다.
통신 단말장치가 수신 CIR(Carrier to Interference Ratio)를 측정하고, 측정한 CIR 를 기초로 하향 회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CQI:Channel Quality of Indicator)를 기지국 장치에 보고한다. 기지국 장치는 각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보고된 CQI 를 기초로, 패킷 데이터를 송신할 통신 단말장치(송신처 장치)를 결정한다. 이것을 스케줄링이라고 한다. 또, 송신처 장치에 송신할 패킷 데이터를 어떠한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로 처리할 것인지를 CQI가 나타내는 하향 회선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이것을 MCS 할당이라고 한다. 기지국 장치는 결정한 송신처 장치에, 결정한 MCS로 패킷 데이터를 송신한다.
MCS 할당의 구체적인 예로서 도 1과 같은 페이딩(fading) 변동이 일어난 경우를 생각해 본다. 도 1은, 페이딩에 의한 수신 전력의 시간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가로(橫)축을 시간, 세로(縱)축을 수신 전력으로 하고, t1에서 수신 전력이 최대가 되고, t2에서 수신 전력이 최소 되었다고 한다. t1에서는, 전파로가 양호한 상태라고 판단하고, 높은 MCS 레벨(예를 들면, 16 QAM, 부호화율 3/4)을 할당한다. 한편, t2에서는, 전파로가 열악한 상태라고 판단하고, 낮은 MCS 레벨(예를 들면, QPSK, 부호화율 1/4)을 할당한다. 즉, 전파로가 양호한 상태이면 고속 전송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할당되는 MCS의 레벨이 높은 통신 단말장치를 송신처로서 결정하면, 단시간에 많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스루풋(throughput/처리율) 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종래의 W-CDMA 시스템에서는, 송신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각 비트 마다의 수신 품질을 유지하지만, HSDPA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MCS를 제어함으로써, 각 비트의 수신 품질을 유지할 수가 있다.
상술한 HSDPA는, W-CDMA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 기술이지만, 차세대 통신 방식으로서 유망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통신 장치에 HSDPA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OFDM에 HSDPA 기술을 적용한 예로서 이하의 것이 있다.
(종래예 1)
통신 단말장치는, 전(全)서브 캐리어의 수신 CIR를 측정하고, 측정한 CIR 를 기초로 CQI를 기지국 장치에 보고한다. 기지국 장치는 각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보고된 CQI 를 기초로, 스케줄링, MCS 할당을 하고, 전(全)서브 캐리어를 사용하여 송신한다. 또는, 전(全)주파수에 걸친 서브 캐리어를 균등하게 분산하여 송신한다. 또, 주변 셀에 주는 간섭을 저감하기 위하여, 사용하지 않는 서브 캐리어를 준비한다. 주변 셀의 사용자 수가 많아진 경우, 사용하지않는 서브 캐리어를 증가시킴으로써, 주변 셀에 주는 많은 간섭을 막을 수가 있어, 시스템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종래예 1에 있어서의 주파수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사용자 수를 2로 하여, UE1과 UE2에 주파수를 할당하는 양상을 나타낸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대역을 5 MHz로 하고, 서브 캐리어 수를 512로 한다. 종래예 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 서브 캐리어를 UE1, UE2 및 할당하지않는 서브 캐리어(할당 대상 없음)로 차례로 할당한다. 할당 대상 없음의 서브 캐리어는, UE1과 UE2의 서브 캐리어 사이에 할당된다.
(종래예 2)
종래예 2에서는, 통신 단말장치는 전 서브 캐리어의 수신 CIR를 측정하고, 측정한 수신 CIR 를 기초로 CQI를 기지국 장치에 보고한다. 기지국 장치는 각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보고된 CQI 에 기초하여, 송신할 통신 단말장치(복수도 가능), MCS 및 서브 캐리어를 결정한다.
다음 송신할 차례부터는 통신 단말장치는 할당된 서브 캐리어의 CIR 에 기초하여 CQI를 생성하고, 이 CQI를 기지국 장치에 보고한다. 기지국 장치는 그 통신 단말장치에 대해서, 다음도 동일한 서브 캐리어를 사용하면 보다 정확한 CQI에 의한 MCS 할당이 가능하다. 이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 도 3이다.
도 3은, 종래예 2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는, 노드(Node)B(기지국 장치)와 UE1~3(통신 단말장치 1~3)이 통신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우선, UE1~3이 첫회 송신에 있어서, 전 서브 캐리어에 대해 CQI를 노드B에 송신한다(도면 중 (1)). 노드B는, 송신된 CQI 를 기초로 스케줄링을 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도면 중 (2)). UE1~3은, 다음 번 송신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서브 캐리어)에 대해 CQI를 노드B에 송신한다(도면 중 (3)). 노드B는, 다음 번 송신 스케줄링을 하여, UE3에 데이터를 송신한다(도면 중(4)). 이 예에서는, 도면 중(2)에서, 노드B는 UE1~3에 대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파수(서브 캐리어)를 할당하고있는 것으로 한다.
도 4는, 종래예 2에 있어서의 주파수 할당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2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사용자 수를 3으로 하여, UE1~3에 주파수를 할당하는 양상을 나타낸다. 종래예 2에서는, 인접하는 서브 캐리어를 합쳐서 사용자에게 할당하도록 하고, 인접 셀에 대한 간섭을 경감하기 위해서 할당하지 않는 서브 캐리어(할당 대상 없음)를 준비하도록 한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예 1및 종래예 2에서는, 수신 전력이 나쁜 서브 캐리어를 할당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도 5및 도 6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예 1에 있어서 할당된 서브 캐리어의 통신 단말장치에서의 수신 전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수신 전력 상태를 케이스 1(도 5 A)과, 케이스 2(도 5 B)로서 나타냈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다시피, 수신 전력이 높은(전파상황이 좋음) 서브 캐리어도 낮은(전파상황이 나쁨) 서브 캐리어도 할당되어 버린다.
또, 도 6은, 종래예 2에 있어서 할당된 서브 캐리어의 통신 단말장치에서의 수신 전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도 도 5와 동일한 수신 전력 상태를 케이스 1(도 6 A)과 케이스 2(도 6 B)로서 나타냈다. 이 방법에서는, 서브 캐리어의 전파 상황에 맞는 MCS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 전력이 나쁜(전파상황이 나쁨) 서브 캐리어가 할당되어 버려, 낮은 MCS 레벨이 되어 버린다. 특히, 케이스 2와 같은 경우, 할당된 서브 캐리어 전체가 낮은 수신 전력인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수신 전력이 떨어진 서브 캐리어로 송신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복호할 수가 없어, 재(再)송신을 요구하게 되거나, 낮은 MCS 레벨로 송신하거나 하게 되어, 스루풋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 통신 단말장치가 전 서브 캐리어에 대해서 CQI를 개별적으로 생성하여, 기지국 장치에 보고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보고를 위한 전송 비트수가 많아져 버려, 상향 회선을 압박해 버린다.
게다가, 예를 들면, 주변 셀에 있어서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리유스(reuse)1 (주파수 반복 1) 시스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드B(#1)가 자(自)셀 내 UE에 송신한 신호는, 주변 셀(노드B #2 및 #3)에 있어서는 간섭이 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자셀에서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수로 주변 셀에 주는 간섭이 정해지며, 주변 셀에 주는 간섭이 많으면, 시스템 전체의 스루풋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 때문에, 한정된 서브 캐리어수로 효율 좋게 전송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은, 페이딩에 의한 수신 전력의 시간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예 1에 있어서의 주파수의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예 2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을 개념적으로 가리킨 도면,
도 4는, 종래예 2에 있어서의 주파수의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A는, 종래예 1에 있어서 할당된 서브 캐리어의 통신 단말장치에서의 수신 전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5 B는, 종래예 1에 있어서 할당된 서브 캐리어의 통신 단말장치에서의 수신 전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 A는, 종래예 2에 있어서 할당된 서브 캐리어의 통신 단말장치에서의 수신 전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 B는, 종래예 2에 있어서 할당된 서브 캐리어의 통신 단말장치에서의 수신 전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리유스 1 시스템에 있어서의 주변 셀에 주는 간섭의 양상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서브 캐리어 블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기지국 장치의 송신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통신 단말장치의 수신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사용 가능한 블록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사용 가능한 블록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블록의 할당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사용 가능한 블록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사용 가능한 블록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블록의 할당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와 관련되는 기지국 장치의 송신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6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사용 가능한 블록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사용 가능한 블록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블록의 할당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과 관련되는 기지국 장치의 송신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과 관련되는 통신 단말장치의 수신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및,
도 20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사용 가능한 블록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사용 가능한 블록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셀 및 주변 셀의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traffic)량에 의해 결정된 판정 기준을 기초로, 수신 품질이 상위인 서브 캐리어를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로서 선택하고, 선택한 서브 캐리어의 평균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보고치(報告値)을 생성하여, 생성한 보고치와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 상대에게 보고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수를 512로 하고, 32 서브 캐리어를 1 서브 캐리어 블록(이하, 단순하게 「블록」이라 함)으로 하여 합계 16 블록을 가지고, 블록 단위로 할당하는 것으로 한다. 이 블록에는, 블록을 식별하기 위한 번호(블록 번호)가 붙어 있다.
(실시형태 1)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기지국 장치의 송신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스케줄러부(201)는, 통신중인 각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보고된 CQI 를 기초로, 다음 프레임으로 어느 통신 단말장치에 송신할 지를 결정(스케줄링)하여, 결정한 스케줄링 정보를 사용자 선택부(202)에 출력한다. 이 스케줄링의 알고리즘으로서는, Max C/I, Proportional Fairness등이 있다. 또, 스케줄링에 있어서, 송신할 사용자 신호를 결정하면, 그 사용자 신호에 대해서 변조 방식이나 부호화율(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할당하고, 할당한 MCS를 부호화부(203-1), (203-2) 및 변조부(204-1), (204-2)에 통지한다.또, 동시에, 각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사용가능 블록 번호를 보고(報告)받아, 보고된 블록 중에서 어느 블록을 사용할 지, 각 통신 단말장치마다 결정하여, 서브 캐리어 매핑(mapping)부(205-1), (205-2)에 통지한다.
사용자 선택부(202)는, 각 통신 단말장치(이 도면에서는, 일례로서 UE1~UE3로 함)에 송신할 송신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고, 스케줄러부(201)로부터 출력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송신처가 되는 통신 단말장치에 송신할 데이터를 선택하여, 부호화부(203-1), (203-2)에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호화, 변조, 서브 캐리어 매핑을 실시하는 계열을 2 계열 준비하고, 사용자 선택부(202)에서 2개 송신 데이터를 선택하여, 각각의 계열에 있어서 동일한 내용 처리를 병렬로 실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 계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 제어용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 변조, 서브 캐리어 매핑을 실시하는 제어용 데이터 처리부(207)로서 또 한 계열 더 준비되어 있다. 제어용 데이터 처리부(207)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부호화부(203-1)는, 사용자 선택부(202)로부터 출력된 송신 데이터에, 스케줄러부(201)로부터 통지된 부호화율로 터보 부호(turbo code)등을 가지고 부호화 처리를 하여, 변조부(204-1)에 출력한다. 변조부(204-1)는, 부호화부 (203-1)로부터 출력된 송신 데이터에, 스케줄러부(201)로부터 통지된 변조 방식으로 변조 처리를 실시하여, 서브 캐리어 매핑부(205-1)에 출력한다. 서브 캐리어 매핑부(205-1)는, 변조부(204-1)로부터 출력된 변조 후의 송신 데이터를, 스케줄러부(201)에서 결정된 서브 캐리어에 매핑하여, 다중부(208)에 출력한다.
임계값 산출부(206)는,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 정보를 기초로, 통신 단말장치에 있어 사용 가능한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기준인 CIR 임계값을 산출한다. CIR 임계값 (ThCIR)의 산출은, 예를 들면, ThCIR=S-10 log( /∑ )로 한다. 이 때, S는 기준 CIR로 예를 들면,-10 dB이다. 은 자셀의 트래픽량이며, 10log( /∑ )는 자셀의 트래픽량과 자셀 및 주변 6 셀의 합계 트래픽량의 비(比)(dB)가 된다. S=-10 dB, /∑ =1/10일 때는, 설정하는 CIR 임계값은 0 dB가 된다. 이와 같이 산출된 임계값 정보는, 제어용 데이터 처리부(207)에 출력된다.
제어용 데이터 처리부(207)에서는, 임계값 산출부(206)로부터 출력된 임계값 정보를 부호화 처리(부호화부(207-1)), 변조 처리(변조부(207-2)), 및, 서브 캐리어에 대한 매핑 처리(서브 캐리어 매핑부(207-3))가 실시되어, 다중부(208)에 출력된다.
다중부(208)는, 서브 캐리어 매핑부(205-1), (205-2), (207-3)로부터 출력된 송신 데이터 및 임계값 정보를 포함한 제어용 데이터, 또 파일럿 계열을 다중하여, S/P변환부(209)에 출력한다. S/P변환부(209)는, 다중부(208)로부터 출력된 다중 신호를 복수 계열의 송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IFFT부(210)에 출력한다. IFFT부(210)는, S/P변환부(209)로부터 출력된 복수 계열의 송신 데이터에 역고속 푸리에 변환을 실시함으로써, OFDM 신호를 형성하여, GI삽입부(211)에 출력한다. GI삽입부(211)는, IFFT부(210)로부터 출력된 OFDM 신호에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GI)을 삽입하여, 무선 처리부(212)에 출력한다. 무선 처리부(212)는, GI삽입부(211)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D/A변환이나 업컨버트 등, 소정의 무선 처리를 실시하고, 무선 처리 후의 신호를 안테나를 경유하여 통신 단말장치에 송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통신 단말장치의 수신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무선 처리부(301)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안테나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다운 컨버트나 A/D변환 등 소정의 무선 처리를 실시하고, 무선 처리 후의 신호를 GI제거부(302)에 출력한다. GI제거부(302)는, 무선 처리부(301)로부터 출력된 신호에서 가드 인터벌을 제거하고, 제거한 신호를 FFT부(303)에 출력한다. FFT부(303)는, GI제거부(302)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을 실시함으로써, 각각의 블록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취득한다. 취득한 각 블록 신호는, 채널 분리부(304)에 출력된다.
채널 분리부(304)는, FFT부(303)로부터 출력된 각 블록(실제로는 각 서브 캐리어)의 신호를 각 사용자의 계열로 분리하고, 자(自)장치 앞으로 보내진 데이터부, 파일럿부 및 제어용 데이터부(임계값 정보를 포함)를 추출한다. 추출된 데이터부는, 복조부(305-1)에 출력되고, 복조부(305-1)에서 복조 처리가 실시되어, 복호부 (306-1)에 출력된다. 복호부(306-1)는, 복조부(305-1)로부터 출력된 복조 신호를 복호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한다. 한편, 채널 분리부(304)에서 추출된 제어용 데이터부는, 복조부(305-2)에 출력되고, 복조부(305-2)에서 복조 처리가 실시되어, 복호부(306-2)에 출력된다. 복호부(306-2)는, 복조부(305-2)로부터 출력된 복조 신호를 복호하고, 제어용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어용 데이터에 포함된 임계값 정보를 블록 선택부(308)에 출력한다. 또, 채널 분리부(304)에서 추출된 파일럿부는, 수신 품질 측정 수단으로서의 CIR 측정부(307)에 출력되어, 전 서브 캐리어에 대해 CIR이 측정된다. CIR의 측정 결과는, 블록 선택부(308)에 출력된다.
블록 선택부(308)는, CIR 측정부(307)로부터 출력된 CIR 측정 결과에 대해, 복호부(306-2)로부터 출력된 임계값 정보를 기초로 임계값 판정을 실시한다. 즉, 임계값 이상의 블록을 사용가능한 블록으로서 선택하고, 선택된 블록의 CIR를 CIR 평균화부(309)에 출력한다. 또, 선택된 블록의 번호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송신부에 출력된다.
CIR 평균화부(309)는, 블록 선택부(308)로부터 출력된 사용가능 블록의 CIR를 평균화하고, 평균화한 값을 CQI 생성부(310)에 출력한다.
CQI 생성부(310)는, CIR, 변조 방식(QPSK나 16 QAM 등), 부호화율 등이 CQI와 대응되어진 CQI 테이블을 준비하고 있으며, CIR 평균화부(309)에서 평균화 된 값에 기초하여 CQI 테이블에서 CQI를 검색하여, CQI를 생성한다. 생성한 CQI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송신부에 출력된다. 즉, 임계값 이상 되는 블록의 CIR를 평균화한 값에 상당하는 CQI를 생성하는 것이다.
CQI 생성부(310)로부터 출력된 CQI와 사용 가능 블록 번호는, 상향 회선으로 기지국 장치에 송신된다.
상술한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단말장치의 동작에 대해,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량이 많을 때와 적을 때로 나누어 도 11에서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트래픽량이 많을 때에 대해서,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블록 선택부(308)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블록 선택이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사용가능한 블록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CIR의 양상을 두가지 방법을 들어, 동일한 레벨의 CIR이 되는 피크가 복수 있는 케이스 1(도 11 A), 높은CIR이 되는 피크가 하나 밖에 없는 케이스 2(도 11 B)로서 나타냈다. 통신 단말장치의 블록 선택부(308)에서는, 각 블록마다 측정된 CIR과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임계값 정보에 기초하여, 임계값 판정이 이루어진다. 이 임계값은,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이 많음을 반영하고 있어, 비교적 조금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임계값 이상이 되는 블록은 적어지게 되어, 주변 셀에 주는 간섭을 줄일 수가 있다.
블록 선택부(308)에서의 임계값 판정 결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계값 이상의 CIR이 측정된 블록은 사용가능한 블록(도면 중, 사선을 칠한 블록)으로서 선택되며, 임계값 미만의 CIR이 측정된 블록(도면 중, 칠하지 않은 블록)은 사용 불가능한 블록으로서 제외된다. 그리고, 사용가능으로 선택된 블록의 CIR이 CIR 평균화부(309)에 출력되고, 선택된 블록의 번호(정보)가 송신부에 출력된다.
CIR 평균화부(309)에서는, 블록 선택부(308)로부터 출력된 CIR을 1 블록 당 CIR로 평균화하고, CQI 생성부(310)에서는, 평균화된 CIR에 상당하는 CQI를 생성한다. 생성된 CQI는 송신부에 출력되고, 블록 선택부(308)로부터 출력된 블록 번호와 함께, 기지국 장치에 송신된다. 이로 말미암아, 임계값 이상의 모든 블록에 대해 CQI를 기지국 장치에 보고할 필요가 없어져, 상향 회선의 전송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에서는, 각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보고된 CQI와 사용가능 블록 번호에 기초하여, 스케줄러부(201)가 블록을 할당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블록의 할당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여기서는, 블록의 할당 대상이 되는 통신 단말장치의 대수를 2로 하고, UE1, UE2로서 표기한다. 기지국 장치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E1에 블록 번호 14 및 15를 할당하고, UE2에 블록 번호 8~11을 할당하고 있으며, 각각의 UE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이 양호한 블록만인 비교적 적은 할당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량이 많은 경우에, 임계값을 낮게하여, 자셀에서 많은 블록을 할당해 버리면, 주변 셀에 많은 간섭을 주게되어, 주변 셀에서는 블록을 거의 사용할 수 없게되므로, 시스템 전체의 스루풋이 저하해 버린다. 이 때문에, 임계값을 높여줌으로써 자셀에서 사용하는 블록수를 줄여 주변 셀에 주는 간섭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이로써, 주변 셀의 스루풋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한편, 임계값을 너무 높게 하면 자셀에서의 사용가능 블록이 극단적으로 적어져서, 자셀에서의 스루풋 저하를 초래하기때문에, 주변 셀에 많은 간섭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자셀에서 사용하는 블록을 많이 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량이 적을 때에 대해서, 도 13및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사용가능한 블록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는, 임계값 이외는 도 11과 동일한 조건이다.
트래픽량이 적은 경우의 임계값은, 트래픽량이 많은 경우에 비해 작게 설정된다. 이 때문에, 임계값 이상이 되는 블록은 많은 편이 되어, 보다 많은 블록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트래픽이 적을 때에는 주변 셀에서의 시간적인 채널 사용율이 낮기 때문에, 주변 셀에 주는 간섭은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트래픽량이 적은 경우도, 트래픽량이 많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임계값 이상인 블록을 사용가능 블록으로 하고, 사용가능 블록의 CIR를 평균화한 값을 기초로 CQI를 생성하여, CQI와 사용가능한 블록 번호가 송신부로부터 기지국 장치에 송신된다.
기지국 장치에서도, 트래픽량이 많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보고된 CQI와 사용가능 블록 번호를 기초로, 스케줄러부(201)가 블록을 할당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블록의 할당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E1에 블록 번호 3~5, 및 13~16을 할당하고, UE2에 블록 번호 6~12를 할당하고 있으며, 트래픽량이 많은 경우에 비해, 많은 블록을 할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트래픽량이 많은 경우도, 적은 경우도, 수신 품질이 높은 블록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높은 MCS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품질이 나쁜 블록도 포함한 12 블록을 사용하여 QPSK로 송신하는 것과, 품질이 좋은 블록만 6 블록을 사용하여 64 QAM으로 송신하는 것과는, 후자가 1.5배의 스루풋을 얻을 수 있는데다가, 타셀에 주는 간섭도 반으로 끝낼 수 있다.
또한, 트래픽량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복수의 통신 단말장치가 동시에 동일한 블록을 사용가능으로 했을 때는, CQI가 높은 쪽 통신 단말장치에 할당하도록 해도 좋다.
또, 블록 선택부(308)에서 실시하는 임계값 판정에는, 각 블록의 CIR로부터 전블록의 평균 CIR를 공제한 차분, 즉, ( 각 블록의 CIR)-(평균 CIR)로 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셀 중심부의 사용자도 상대적으로 품질 높은 블록만을 사용하며, 효율적으로 주변 셀에 주는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소정의 임계값을 초월한 수신 품질이 높은 블록만을 사용 블록으로 선택할 수 있기때문에, 높은 MCS로 전송함으로써, 한정된 블록 중에서 주변 셀에 주는 간섭을 억제하면서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량에 따라, 사용가능 블록 선택에 이용할 임계값을 변동시키는 것은, 허용할 수 있는 다른 셀에 주는 간섭량을 반영하기 때문에, 효율높은 전송을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CIR의 임계값 판정을 이용하여 사용가능 블록을 선택하고, 그 임계값은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량에 따라 제어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는, 소정 블록수 내에서 사용가능 블록을 선택하고, 그 블록수는 트래픽량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와 관련되는 기지국 장치의 송신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만, 도 15가 도 9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도 9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가 도 9와 다른 점은, 임계값 산출부(206)를 할당 블록수 산출부(801)로 변경한 점이다.
할당 블록수 산출부(801)는,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량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사용가능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기준인 블록수를 산출한다. 블록수(Nsb라 함) 산출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Nsb=  ...(1)
Na11는 전(全)서브 캐리어 블록수이며, 예를 들면, 64로 한다. 0은 자셀의 트래픽량이며, y0 /∑y i는 자셀의 트래픽량과 자셀 및 주변 6 셀의 합계 트래픽량의 비(比)이다. 또, 오른편의 기호는, 그 수를 초월하지 않는 최대 정수를 나타내며, 예를 들면, 이하와 같다.
 =2  ...(2)
sb는, 구체적으로는, Na11=64, y0 /∑y I = 1/10일 때, Nsb=6이 된다. 이와 같이 산출된 할당 블록수 정보는, 제어용 데이터 처리부(207)에 출력된다.
할당 블록수 산출부(801)에 있어서, 선택가능 블록수를 적게하면, 주변 셀에게 주는 간섭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주변 셀에 많은 간섭을 주어 버리면, 블록을 거의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시스템 스루풋을 저하시켜 버린다. 한편, 선택가능한 블록수를 너무 적게하면, 자셀내에서의 스루풋의 저하를 초래해버린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량을 고려하여, 선택가능한 블록수를 결정함으로써, 주변 셀에 많은 간섭을 주는 것과, 자셀의 스루풋이 저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와 관련되는 통신 단말장치의 수신계의 구성은, 도 10과 동일하며, 블록 선택부(308)의 기능이 다를 뿐이므로, 도 10을 대용하여 설명하고, 도 10과 공통되는 기능의 블록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복호부(306-2)는, 복조부(305-2)로부터 출력된 제어용 데이터부에 대해서 복호 처리를 하고, 제어용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어용 데이터에 포함된 선택가능 블록수 정보를 블록 선택부(308)에 통지한다.
블록 선택부(308)는, CIR 측정부(307)에 있어서 전(全)블록에 대해 측정된 CIR과, 복호부(306-2)로부터 출력된 선택가능 블록수(Nsb)를 기초로, 사용가능 블록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CIR의 상위 Nsb 블록을 선택하여, 사용가능 블록으로 한다. 선택된 사용가능 블록의 CIR은, CIR 평균화부(309)에서 평균화되고, CQI 생성부(310)에서CIR 평균치에 상당하는 CQI가 생성되어, CQI가 송신부에 출력된다. 또, 블록 선택부(308)에서 선택된 사용가능 블록의 블록 번호는, 송신부에 출력된다.
상술한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단말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16및 도 17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블록 선택부(308)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블록선택이 이루어진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사용가능 블록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사용가능 블록수(Nsb)를 6으로 하고, CIR의 양상을 2개 방법을 들어 동일한 레벨의 CIR이 되는 피크가 다수 있는 케이스 1 (도 16 A), 높은CIR의 피크가 하나 밖에 없는 케이스 2(도 16 B)로서 나타냈다. 블록 선택부(308)에서는, 각 블록마다 측정된 CIR과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사용가능 블록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가능 블록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즉, 각 블록의 CIR 상위Nsb만큼을 사용가능 블록으로서 선택하는 것으로, 도 16의 케이스 1, 케이스 2에 나타내는 대로, 어느쪽이나 지정된 사용가능 블록이 6 블록 선택된다.
여기서, 선택되는 블록을 CIR의 상위로부터로 한 것은, 품질 나쁜 블록을 할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효율높은 전송이 가능해져, 주변 셀에 주는 간섭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시스템 전체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와 같이, MCS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품질이 좋은 블록을 사용하면, 보다 높은 MCS를 할당할 수가 있으므로, 스루풋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품질이 나쁜 블록도 포함한 12 블록을 사용하여 QPSK로 송신하는 것과, 품질이 좋은 블록만 6 블록을 사용하여 64 QAM으로 송신하는 것은, 후자가 1.5배의 스루풋을 얻을 수 있는 위에다 또 타셀에 주는 간섭도 반으로 줄일 수 있는 셈이 된다.
선택된 사용가능 블록의 CIR은, CIR 평균화부(309)에서 평균화되고, CQI 생성부(310)에서 CIR 평균치에 상당하는 CQI가 생성되어, CQI가 송신부에 출력된다. 또, 블록 선택부(308)에서 선택된 사용 가능 블록의 블록 번호는, 송신부에 출력된다.
기지국 장치에서는, 각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보고된 CQI와 사용 가능 블록 번호를 기초로, 스케줄러부(201)가 블록을 할당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블록의 할당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여기서는, 도 16의 케이스 1에 나타낸 사용 가능 블록을 UE1에 할당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기지국 장치는 UE1에 블록 번호 4, 5, 9, 10, 14, 15를 할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신 품질이 높은 블록을 소정 블록 선택하여, 사용 블록으로 하기때문에, 높은 MCS로 전송함으로써, 한정된 사용가능 블록 중에서 주변 셀에 주는 간섭을 억제하면서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량에 따라, 사용가능 블록수를 변동시키는 것은, 허용할 수 있는 타셀에 주는 간섭량을 반영하기 때문에, 고효율적인 전송을 실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는,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량에 따라 통신 단말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블록을 미리 결정하고, 또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CIR 임계값을 이용하여, 사용 블록을 선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과 관련되는 기지국 장치의 송신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만, 도 18이 도 9와 공통되는 부분은, 도 9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도 18이 도 9와 다른 점은, 지정 블록 결정부(1101)을 추가한 점과, 스케줄러부(201)을 스케쥴러부(1102)로 변경한 점이다.
임계값 산출부(206)는,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 정보를 기초로, 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사용가능한 블록을 판정하기 위한 CIR 임계값을 산출한다. 산출한 임계값은, 제어용 데이터 처리부(207)에 출력된다.
지정 블록 결정부(1101)는,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량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장치에 지정하는 블록(선택 가능한 블록)을 결정한다. 결정한 지정 블록 정보(선택 기준 정보)는, 스케줄러부(1102)와 제어용 데이터 처리부(207)에 출력된다.
스케줄러부(1102)는, 통신중의 각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보고된 CQI, 사용가능 블록 번호, 및, 지정 블록 결정부(1101)로부터 출력된 지정블록 정보를 기초로, 다음 프레임으로 어느 통신 단말장치에 송신할지 결정하고, 결정한 스케줄링 정보를 사용자 선택부(202)에 출력한다. 그 외의 처리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과 관련되는 통신 단말장치의 수신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 도 19가 도 10과 공통되는 부분은, 도 10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도 19가 도 10과 다른 점은, CIR 측정부(307)을 CIR 측정부(1201)로 변경한 점이다.
복호부(306-2)는, 복조부(305-2)로부터 출력된 제어용 데이터부에 대해서 복호 처리를 실시하고, 제어용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어용 데이터에 포함된 지정 블록 정보를 CIR 측정부(1201)에 출력하고, 마찬가지로 제어용 데이터에 포함된 임계값 정보를 블록 선택부(308)에 출력한다.
CIR 측정부(1201)는, 채널 분리부(304)로부터 출력된 파일럿부 가운데, 복호부(306-2)로부터 출력된 지정 블록 정보가 가리키는 블록의 파일럿부에 대해서만 CIR을 측정한다. 여기서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지정된 블록에 대해서만 CIR을 측정하므로, 전블록에 대해 CIR 을 측정하는 경우에 비해, CIR 측정에 필요로 하는 처리량을 삭감함과 동시에,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 측정된 CIR은 블록 선택부(308)에 출력된다.
블록 선택부(308)는, CIR 측정부(1201)로부터 출력된 CIR 측정 결과에 대해, 복호부(306-2)로부터 출력된 임계값 정보를 기초로 임계값 판정을 한다. 블록 선택부(308)에 있어서도, CIR 측정부(1201)로부터 출력되는 CIR의 측정 결과가 전블록에 대해서가 아니라, 기지국 장치에 의해 지정된 블록에 대해서만 임계값 판정을 하면 되기때문에, 처리량의 삭감과 함께,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임계값을 판정한 결과, 임계값 이상이 되는 블록을 사용가능 블록으로 하고, 이 블록의 CIR를 CIR 평균화부(309)에 출력하고, 이 블록 번호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송신부에 출력한다.
상술한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단말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사용가능한 블록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CIR의 양상을 2방법 들어, 동일 레벨 CIR이 되는 피크가 복수 있는 케이스 1 (도 20 A), 높은CIR이 되는 피크가 하나 밖에 없는 케이스 2 (도 20 B)로서 나타냈다. 통신 단말장치의 블록 선택부(308)에서는, 기지국 장치에서 지정된 블록에 대해 측정된 CIR이,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임계값 정보를 기초로 임계값 판정이 이루어진다. 도 20 A의 케이스 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로부터 지정된 블록은, 왼쪽으로부터 5 블록이지만, 임계값을 넘는 블록은, 왼쪽으로부터 4 블록까지이다. 또, 도 20 B의 케이스 2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로부터 지정된 블록은 케이스 1과 마찬가지로, 왼쪽으로부터 5 블록이지만, 임계값을 넘는 블록은, 왼쪽으로부터 5 블럭 째뿐이다. 이로 인해, 통신 단말장치에서 선택되는 사용가능 블록은 미리 지정된 블록 중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기지국 장치에 사용가능 블록의 번호를 보고할 때, 블록 번호의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량에 따라, 기지국 장치가 통신 단말장치에 할당하는 블록을 미리 지정함으로써, 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사용 가능 블록의 선택에 요하는 처리량 및 처리 시간을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지국 장치에 보고하는 사용블록 번호의 정보량을 삭감할 수가 있다.
또, 기지국 장치에서 지정하는 블록은, 매회 계산하여 통지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변경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는, 통신 단말장치에 할당하는 블록을 제한한 위에서, 실시형태 1에 적용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2에 적용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실시형태 2에 적용했을 경우, 지정된 블록중에서, CIR의 상위 Nsb 블록에 대해 사용가능 블록으로서 선택되는 것이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MCS를 할당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MCS를 할당하지 않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또, 각 실시형태에서는, 임계값의 산출, 할당 블록수의 산출, 지정 블록의 결정을 기지국 장치에서 했지만, 상위 제어장치에서 해도 좋다. 이러한 산출 및 결정은, 트래픽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했지만, 사용자 수에 기초하여 실시해도 좋다.
또, 각 실시형태에서는,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수를 512로 하고, 1 블록을 32 서브 캐리어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임의로 설정해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상대로부터 통지된 기준에 기초하여, 수신 품질이 상위인 서브 캐리어를 사용 서브 캐리어로서 선택하고, 선택한 서브 캐리어의 평균 회선 품질을 나타내는 보고치를 생성하여, 생성한 보고치와 사용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 상대에게 보고함으로써, 통신 상대는 품질이 좋은 서브 캐리어만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게되고, 그로 인해 자셀 및 주변 셀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가 있으며, 따라서, 시스템 전체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의 회선 품질을 평균하여 보고함으로써, 보고에 필요로 하는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2002년 12월 26 일에 출원한 특허 출원 2002-378076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 이 내용을 여기에 포함시켜 놓는다.
본 발명은, 멀티 캐리어 전송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에 이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Claims (9)

  1. OFDM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한 OFDM 신호를 복조하여, 각 서브 캐리어의 수신 품질을 측정하는 수신 품질 측정 수단과,
    통신 상대로부터 통지된 기준에 기초하여, 수신 품질이 상위인 서브 캐리어를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로서 선택하는 서브 캐리어 선택 수단과,
    상기 서브 캐리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서브 캐리어의 수신 품질을 평균화하는 평균화 수단과,
    상기 평균화 수단에 의해 평균화된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보고치(報告値)를 생성하여, 생성한 보고치와 상기 서브 캐리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 상대에게 보고하는 보고 수단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캐리어 선택 수단은, 수신 품질과 통신 상대로부터 통지된 임계값의 임계값 판정을 기초로, 임계값 이상이 되는 수신 품질의 서브 캐리어를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로서 선택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량에 따라 적응적으로 제어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캐리어 선택 수단은, 통신 상대로부터 통지된 수의 서브 캐리어를 선택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캐리어수는,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량에 따라 적응적으로 제어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캐리어 선택 수단은, 전(全)서브 캐리어 중에서 미리 제한된 서브 캐리어로부터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를 선택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청구의 범위 1에 기재한 무선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장치.
  8. 통신 상대로부터 통지된 기준을 기초로, 수신 품질이 상위인 서브 캐리어를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로서 선택하고, 선택한 서브 캐리어의 평균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보고치를 생성하고, 생성한 보고치와 선택한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 상대에게 보고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자셀 및 주변 셀의 트래픽량에 따른 서브 캐리어의 선택 기준이 되는 정보를 통신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기지국 장치와,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선택 기준 정보와 각 서브 캐리어의 수신 품질을 기초로, 수신 품질이 상위인 서브 캐리어를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로서 선택하고, 선택한 서브 캐리어의 평균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보고치와 선택한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보고하는 통신 단말장치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057009489A 2002-12-26 2003-11-20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0708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78076A JP4256158B2 (ja) 2002-12-26 2002-12-26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JP-P-2002-00378076 2002-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855A true KR20050086855A (ko) 2005-08-30
KR100708291B1 KR100708291B1 (ko) 2007-04-16

Family

ID=3270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489A KR100708291B1 (ko) 2002-12-26 2003-11-20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8254335B2 (ko)
EP (5) EP2533445B1 (ko)
JP (1) JP4256158B2 (ko)
KR (1) KR100708291B1 (ko)
CN (2) CN1732642B (ko)
AU (1) AU2003284586A1 (ko)
ES (4) ES2620769T3 (ko)
HU (1) HUE056912T2 (ko)
WO (1) WO20040621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474B1 (ko) * 2006-04-28 2009-02-24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시스템, 이를 위한 통신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국 및기지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6158B2 (ja) * 2002-12-26 2009-04-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566210B1 (ko) 2003-09-22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US9585023B2 (en) 2003-10-30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Layered reus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26963B2 (en) 2003-10-30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Restrictive reus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926907A (zh) * 2004-03-12 2007-03-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调度方法以及基站装置
CN1965513B (zh) 2004-05-01 2014-11-26 桥扬科技有限公司 用于以时分双工进行通信的方法和装置
US8059589B2 (en) 2004-06-09 2011-11-15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restrictive reuse scheduler
JP4955080B2 (ja) * 2004-06-28 2012-06-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受信局、送信局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周波数ブロック割当方法
US8032145B2 (en) 2004-07-23 2011-10-04 Qualcomm Incorporated Restrictive reuse set management algorithm for equal grade of service on FL transmission
TWI379560B (en) 2004-08-12 2012-12-11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pace frequency block coding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263529A1 (en) * 2004-08-24 2007-11-15 Katsutoshi Ishikura Receiver Apparatus and Transmitter Apparatus
BRPI0515153A (pt) * 2004-09-10 2008-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arelho de comunicação sem fio e método de comunicação sem fio
BRPI0515957A (pt) * 2004-09-29 2008-08-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por rádio e método de comunicação por rádio
CN100578953C (zh) * 2004-11-08 2010-01-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发送装置和导频信号插入方法
JP4684628B2 (ja) * 2004-11-16 2011-05-18 Kddi株式会社 サブキャリア割当装置およびマルチキャリア無線通信システム
US7548752B2 (en) * 2004-12-22 2009-06-16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to support restrictive reuse
JP2006180374A (ja) * 2004-12-24 2006-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基地局装置、通信端末装置及び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EP1835647A4 (en) * 2004-12-28 2012-08-15 Sharp Kk WIRELESS TRANSMITTER, WIRELESS RECEIV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09531B1 (ko) * 2004-12-31 2009-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리어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장치 및방법
WO2006075372A1 (ja) * 2005-01-13 2006-07-20 Fujitsu Limited 無線通信システム
US8306131B2 (en) 2005-02-25 2012-11-06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s systems
JP4971174B2 (ja) * 2005-02-25 2012-07-11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JP4552732B2 (ja) * 2005-03-30 2010-09-2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受信装置及び送受信モードの決定方法
JPWO2006109474A1 (ja) * 2005-03-30 2008-10-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RU2408987C2 (ru) * 2005-04-01 2011-01-10 Нтт Досомо, Инк. 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JP4455389B2 (ja) 2005-04-01 2010-04-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2007221178A (ja) 2005-04-01 2007-08-30 Ntt Docomo Inc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US7711063B2 (en) * 2005-06-10 2010-05-04 Rambus, Inc. Digital transmitter with data stream transformation circuitry
EP1887723A1 (en) * 2005-06-24 2008-02-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s
KR101167326B1 (ko) 2005-08-01 2012-07-19 알까뗄 루슨트 멀티-캐리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데이터를전송하는 방법, 및 이에 대응하는 수신기
ATE368998T1 (de) * 2005-08-01 2007-08-15 Alcatel Lucent Reduzierung des overheads zur kanalzuteilung im abwärtskanal eines mehrträgersystems
ATE366020T1 (de) * 2005-08-01 2007-07-15 Alcatel Lucent Reduzierung des overheads zur kanalzuteilung im abwärtskanal eines mehrträgersystems
CN101223716B (zh) 2005-08-04 2010-10-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移动台装置
US7986612B2 (en) 2005-08-22 2011-07-26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reception quality reporting method
EP1919231A4 (en) * 2005-08-23 2012-01-25 Nec Corp RADIO COMMUNICATION METHOD THAT CAN REDUCE INTER-CELL INTERFERENCE, SYSTEM AND ITS MOBILE STATION AND ITS BASE STATION
CN101273646A (zh) 2005-09-22 2008-09-24 夏普株式会社 通信终端装置、通信控制装置、通信系统以及通信方法
CA2633053C (en) * 2005-12-23 2013-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quality indicator report
CN101346904B (zh) * 2005-12-26 2013-07-10 夏普株式会社 无线发射机及无线发射方法
JP4824401B2 (ja) 2005-12-28 2011-11-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並びに無線チャネル状況の通知方法
WO2007077599A1 (ja) * 2005-12-28 2007-07-12 Fujitsu Limited 受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4347300B2 (ja) * 2006-01-17 2009-10-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WO2007088629A1 (ja) * 2006-02-03 2007-08-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4880703B2 (ja) * 2006-02-10 2012-02-22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リンク品質制御の改良方法および装置
JP2007318579A (ja) * 2006-05-29 2007-12-06 Kyocera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干渉波判定方法
JP5260842B2 (ja) * 2006-06-14 2013-08-14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移動局及び基地局
JP4812534B2 (ja) 2006-06-19 2011-11-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移動局及びチャネル品質情報通知方法
KR100809191B1 (ko) 2006-06-20 2008-02-29 엘지노텔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채널품질상태표시값 전송 장치 및 방법
DE602006004328D1 (de) * 2006-06-23 2009-01-29 Mitsubishi Electric Inf Te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von Kanalzustandsinformationen welche von einer ersten zu einer zweiten Telekommunikationsvorrichtung zu übertragen sind
WO2008007506A1 (fr) * 2006-07-10 2008-01-17 Osaka University Procédé de transfert, système de transfert, appareil transmetteur et appareil récepteur
JP4923848B2 (ja) * 2006-08-21 2012-04-25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移動局及び基地局
WO2008029700A1 (fr) * 2006-09-04 2008-03-13 Sharp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terminal de communication, dispositif de commande de communication, système de communication et procédé de communication
US8355371B2 (en) 2006-09-20 2013-01-15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523968A (zh) * 2006-10-05 2009-09-02 夏普株式会社 无线通信装置、无线通信系统、无线通信方法、报告信息发送方法以及调度方法
US8285216B2 (en) 2006-11-01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Inter-cell power control for interference management
JP4932432B2 (ja) * 2006-11-01 2012-05-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基地局
JP4801740B2 (ja) * 2006-11-01 2011-10-2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JP4818081B2 (ja) * 2006-11-30 2011-11-16 京セラ株式会社 割当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基地局装置
US8462758B2 (en) * 2006-12-20 2013-06-11 Intel Corporation Channel quality information feedback techniques for a wireless system
US8498639B2 (en) * 2007-02-09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channel quality indicator reporting
US7933238B2 (en) * 2007-03-07 2011-04-26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with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JP4869997B2 (ja) * 2007-03-20 2012-02-0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チャネル品質情報報告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CN101272593B (zh) * 2007-03-21 2011-08-0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上行信道探测导频的调度方法及调度器
US20100110986A1 (en) * 2007-04-20 2010-05-06 Toshizo Nogami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1355795B (zh) * 2007-07-24 2013-06-19 夏普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基站、用户设备和通信方法
CN101785265A (zh) 2007-08-07 2010-07-21 夏普株式会社 基站装置、终端装置和通信系统
GB0720723D0 (en) * 2007-10-23 2007-12-05 Icera Inc Repor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EP2207288A1 (en) 2007-10-25 2010-07-14 Sharp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device,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7933350B2 (en) * 2007-10-30 2011-04-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hannel-dependent frequency-domain scheduling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s system
JP4734314B2 (ja) * 2007-12-10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5060933B2 (ja) * 2007-12-12 2012-10-31 Kddi株式会社 無線フレーム制御装置、無線フレーム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JP2010045442A (ja) * 2008-08-08 2010-02-25 Sharp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386493B2 (ja) 2008-09-04 2014-01-15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4734389B2 (ja) * 2008-09-11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0098688A (ja) * 2008-10-20 2010-04-30 Sharp Corp 基地局装置、端末局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8320320B2 (en) * 2008-12-31 2012-11-27 Telecom Italia S.P.A. Method and system for downlink transmission scheduling in multi-carrier networks
JP4481346B2 (ja) * 2009-03-19 2010-06-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4850938B2 (ja) * 2009-08-03 2012-01-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
KR101719003B1 (ko) * 2010-04-12 201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스캐닝 수행 방법 및 장치
EP2561626B1 (en) * 2010-04-20 2018-10-03 Telecom Italia S.p.A.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orresponding network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4785982B2 (ja) * 2010-10-22 2011-10-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2058648A2 (en) * 2010-10-29 2012-05-03 Neocific, Inc. Transmission of synchronization and control signals in a broadband wireless system
CA2843833C (en) * 2011-09-26 2016-06-14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er apparatus and receiver apparatus
KR20130085480A (ko) * 2011-12-07 2013-07-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통신 장치와 방법 및 데이터 통신 시스템과 방법
KR101365496B1 (ko) * 2012-07-06 2014-03-12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Ip 네트워크에서 적응적 트래픽 버퍼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412695B1 (ko) * 2015-07-28 2022-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1051B1 (ko) 1993-03-25 1999-01-15 모리시타 요이찌 디지틀 tv 전송장치
US5726978A (en) * 1995-06-22 1998-03-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daptive channel alloc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system
US6130882A (en) * 1997-09-25 2000-10-1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communication system
JPH11178050A (ja) * 1997-12-10 1999-07-02 Sony Corp 制御情報伝送方法及び送信装置並びに送受信装置
JP2920131B1 (ja) * 1998-01-28 1999-07-19 株式会社次世代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システム研究所 Ofdm信号送出装置
EP1065818A1 (en) 1998-12-17 2001-01-0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ransmitting method and transmitting device
JP2000224140A (ja) * 1999-02-03 2000-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直交周波数分割多重装置
US6330429B1 (en) * 1999-04-14 2001-12-11 Lucent Technologies, Inc. Channel grouping system and metho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3779092B2 (ja) 1999-05-12 2006-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受信装置
JP3678944B2 (ja) * 1999-07-02 2005-08-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3715141B2 (ja) * 1999-07-13 2005-11-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US6654431B1 (en) * 1999-09-15 2003-11-25 Telcordia Technologies, Inc. Multicarrier personal access communication system
JP3618600B2 (ja) * 1999-09-28 2005-02-09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端末局
JP3421671B2 (ja) 1999-09-30 2003-06-30 独立行政法人通信総合研究所 通信システム、選択装置、送信装置、受信装置、選択方法、送信方法、受信方法、および、情報記録媒体
JP3826653B2 (ja) 2000-02-25 2006-09-27 Kddi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のサブキャリア割当方法
US6952454B1 (en) * 2000-03-22 2005-10-0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of real time services and non-real time services for OFDM systems
US6400699B1 (en) * 2000-09-12 2002-06-04 Iospan Wireless, Inc. Transmission scheduler for a multiple antenna wireless cellular network
US6721569B1 (en) * 2000-09-29 2004-04-13 Nortel Networks Limited Dynamic sub-carrier assignment in OFDM systems
US6678523B1 (en) 2000-11-03 2004-01-13 Motorola, Inc. Closed loop method for reverse link soft handoff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US6748222B1 (en) * 2000-11-06 2004-06-08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ad-balanced communication
JP4000057B2 (ja) * 2000-11-17 2007-10-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Ofdm通信装置
US6947748B2 (en) 2000-12-15 2005-09-20 Adaptix, Inc. OFDMA with adaptive subcarrier-cluster configuration and selective loading
CN100456758C (zh) * 2000-12-15 2009-01-28 昂达博思公司 具有基于组的副载波分配的多载波通信方法
US7164669B2 (en) 2001-01-19 2007-01-16 Adaptix, Inc. Multi-carrier communication with time division multiplexing and carrier-selective loading
JP2002217825A (ja) 2001-01-22 2002-08-02 Mitsubishi Materials Corp 基地局、移動局、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無線データ通信網構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120134B2 (en) * 2001-02-15 2006-10-10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channel architectur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543959B2 (ja) * 2001-02-16 2004-07-21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
US7158474B1 (en) * 2001-02-21 2007-01-02 At&T Corp. Interference suppressing OFDM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6940827B2 (en) * 2001-03-09 2005-09-06 Adaptix, Inc.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 for one direction and DSSS for another direction
CA2380039C (en) 2001-04-03 2008-1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data in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596082B2 (en) 2001-06-07 2009-09-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Walsh space assign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855948B2 (en) * 2001-09-05 2010-12-21 Cisco Technology, Inc.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665598B2 (ja) * 2001-09-26 2005-06-29 株式会社東芝 マルチキャリア通信装置
US7773699B2 (en) * 2001-10-17 2010-08-10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quality measurements
US6760388B2 (en) * 2001-12-07 2004-07-06 Qualcomm Incorporated Time-domain transmit and receive processing with channel eigen-mode decomposition for MIMO systems
US7031742B2 (en) * 2002-02-07 2006-04-18 Qualcomm Incorporation Forward and reverse link power control of serving and non-serving base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273869B2 (en) 2002-04-08 2007-09-25 Merck & Co., Inc. Inhibitors of Akt activity
AU2003234547A1 (en) * 2002-05-10 2003-11-1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ransmission-link errors
US7876810B2 (en) * 2005-04-07 2011-01-25 Rambus Inc. Soft weighted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CDMA systems
US20040203476A1 (en) * 2002-10-08 2004-10-14 Jung-Tao Liu Method of feedback for HSDPA system using OFMDA
US7471745B2 (en) * 2002-11-26 2008-12-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quality metric generation within a packet-based multicarrier modulation communication system
JP4256158B2 (ja) * 2002-12-26 2009-04-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7640373B2 (en) * 2003-04-25 2009-12-2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quality feedback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JP4785982B2 (ja) 2010-10-22 2011-10-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474B1 (ko) * 2006-04-28 2009-02-24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시스템, 이를 위한 통신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국 및기지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3444A1 (en) 2012-12-12
EP2533445A1 (en) 2012-12-12
ES2726278T3 (es) 2019-10-03
AU2003284586A1 (en) 2004-07-29
US8254335B2 (en) 2012-08-28
EP3182623A1 (en) 2017-06-21
CN101777959A (zh) 2010-07-14
JP2004208234A (ja) 2004-07-22
CN1732642A (zh) 2006-02-08
EP1578043A1 (en) 2005-09-21
EP1578043A4 (en) 2012-01-04
US20130121202A1 (en) 2013-05-16
EP3573261A1 (en) 2019-11-27
KR100708291B1 (ko) 2007-04-16
ES2620768T3 (es) 2017-06-29
EP2533444B1 (en) 2017-01-04
HUE056912T2 (hu) 2022-03-28
US8670776B2 (en) 2014-03-11
EP3573261B1 (en) 2021-07-07
JP4256158B2 (ja) 2009-04-22
US20090104877A1 (en) 2009-04-23
EP2533445B1 (en) 2017-01-04
ES2885689T3 (es) 2021-12-15
WO2004062148A1 (ja) 2004-07-22
US8369285B2 (en) 2013-02-05
CN1732642B (zh) 2010-05-05
EP3182623B1 (en) 2019-04-10
EP1578043B1 (en) 2013-04-24
ES2620769T3 (es) 2017-06-29
CN101777959B (zh) 2012-05-23
US20060089102A1 (en)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291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US9985743B2 (en) Channel quality indicator for time, frequency and spatial channel in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KR100657882B1 (ko)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RU2372719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осылки по обратной связи информации качества канала и использующие их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ланирования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9853796B2 (e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transmission
KR100566274B1 (ko)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에서 부반송파 할당 장치 및방법
KR100539925B1 (ko)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에서 부반송파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1170474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서브 캐리어의 할당 방법
US8284731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all using a plurality of slots
US2009028517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ntrol station, and multicarrier communication method
JP4734314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4785982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4734389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5306416B2 (ja) 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基地局装置及び送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