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456A -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그 디스크형기록매체의 판별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그 디스크형기록매체의 판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456A
KR20050086456A KR1020057008244A KR20057008244A KR20050086456A KR 20050086456 A KR20050086456 A KR 20050086456A KR 1020057008244 A KR1020057008244 A KR 1020057008244A KR 20057008244 A KR20057008244 A KR 20057008244A KR 20050086456 A KR20050086456 A KR 20050086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tray
recording medium
shaped recording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히로 무라타
요이치로 미츠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6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45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0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or absence of record in accessible stored position or on turnt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11B19/124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involving the detection of diameter of disk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전면패널(11)의 횡장개구(橫長開口)(12)의 내측에 있어서 하변의 부분에 중심에 대하여 좌우대칭으로 베어(bare)디스크(52, 53)의 에지(edge)를 검출하는 검출부(71, 72)를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또한 트레이(13)의 아래 면에 설치된 결여부(缺如部)(61, 62)를 가지는 반사막(60)을 검출하는 검출부(73)를 상기 검출부(72)의 측방에 설치하고, 이들 3개의 검출부(71, 72, 73)의 검출출력의 조합에 의해 베어디스크(52, 53)가 어긋난 상태로 설치되었을 경우에 트레이(13)의 삽입동작을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광디스크 플레이어(player)에 있어서, 서로 규격이 다른 복수 종류의 광학 픽업을 턴테이블에 대하여 서로 반대측에 있어서 트레이의 배출방향으로 설치했을 경우, 트레이에 그 배출방향으로 늘어나는 큰 개구(開口)가 형성되어, 이러한 개구에 의해 예를 들면 8cm의 베어디스크가 상기의 개구를 통해 드라이브 내로 탈락하여 광학 픽업 등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그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판별방법{Disk-ty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of distinguishing disk-lik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그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판별방법에 관하여, 특히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기록재생 위치에 장착하고, 헤드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도록 한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그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판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회전시키면서 광학 픽업(pick up)에 의하여 재생동작 또는 기록동작을 행하도록 한 디스크식 기록재생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구성하는 광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의하여 회전시키면서, 광학 픽업을 상기 광디스크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광학 픽업이 광디스크에 대하여 액세스 되어 이것에 의하여 소정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여기서 광디스크는 그 포맷에 따라 광학 픽업의 레이저광의 파장이 달라, 예를 들면 CD(콤팩트 디스크)의 경우에는 780nm의 레이저광이 이용된다. 이에 대하여 DVD(Digital Versatile Disc)의 경우에는 650nm의 레이저광이 이용된다. 또한 기록 가능한 고밀도 기록용의 포맷의 이른바 DVR(Digital Versatile Disc Rewritable)의 경우에는, 사용되는 레이저광의 파장이 405nm로 되어 있다.
또한 특허 제2939970호 공보에는, 기록매체로서의 디스크를 장착하는 서브트레이와, 이 서브트레이를 보관 유지하는 메인트레이와, 이 메인트레이를 복수매 수납하는 케이스를 갖춘 디스크 플레이어(player)에 있어서, 각 메인트레이는 디스크를 장착한 서브트레이를 케이스 내에 있는 스톡(stock) 위치로 유지했을 때, 디스크 센터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투공(透孔)을 형성하여, 이 투공(透孔)을 통하여 디스크 로딩(loading) 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선상(軸線上)에 디스크의 지름에 따른 위치에 복수의 검출구멍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이 투공(透孔)을 통하여 상하방향으로 늘어나는 수직선상에 복수매의 메인트레이를 사이에 둔 위치에 한 조(組)의 투광부(投光部)와 수광부(受光部)로 이루어진 디스크 검출소자를 설치하고, 또한 서브트레이는 투공을 통하여 디스크 로딩(loading) 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선상에 서브트레이 검출구멍을 형성하여, 메인트레이가 케이스 밖에 있는 오픈(open)위치로부터 스톡(stock)위치로 이동할 때 또는 서브트레이가 스톡(stock)위치로부터 재생(play)위치로 이동할 때, 투광부(投光部)로부터 투광(投光)한 빛을 검출구멍 및 투공 및 서브트레이 검출구멍을 통하여 수광부(受光部)에서 검출하는 것으로 디스크의 크기 및 디스크의 유무, 또한 디스크가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도록 한 디스크 검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포맷이 다른 광디스크에 대한 기록재생을 위하여, 모든 포맷의 파장의 레이저광을 사출(射出)하는 것이 가능한 광학 픽업(pick up)을 이용하면, 단일의 광학 픽업(pick up)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종류의 광디스크에 대하여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로는 특히 DVR용과 DVD/CD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2개의 렌즈와 상기 각각의 파장의 레이저광 사출부(射出部)를 단일의 픽업에 탑재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픽업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조정도 복잡하고 번거롭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VR용의 광학 픽업과 DVD/CD용의 광학 픽업을 각각 설치하고, 이들을 턴테이블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광학 픽업은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켜 기록 또는 재생동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광학 픽업을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하여 그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액세스하기 위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트레이에 의해 공급하는 경우에는, 트레이에 상기의 액세스가 가능한 개구(開口)가 형성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의 광디스크가 놓이는 위치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각각 반경방향으로 광학 픽업을 이동시켜 액세스하기 위한 개구(開口)를 형성하면,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큰 개구(開口)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개구를 통해 디스크형 기록매체, 특히 베어(bare)디스크가 트레이의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위험이 있다. 그리고 낙하한 디스크가 드라이브 내에서 탈락하여 광학 픽업 등을 파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파손하지 않더라도, 디스크가 어긋나게 놓인 경우에는, 미스척킹(mis-chucking)에 의하여 베어 디스크의 기록면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 제293997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검출소자는, 서브트레이 및 메인트레이의 중심부에 있어서 그 삽입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가 삽입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게 위치된 경우에는 그 검출동작을 행할 수 있지만, 삽입방향이 아니고 중심부에 대하여 측방으로 어긋나 위치되었을 경우에는 검출동작을 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턴테이블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하도록 포맷이 다른 복수의 광학 픽업을 배치하고, 이에 의해 트레이에 큰 개구가 형성되었을 경우에, 이 개구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 및 확실히 해소하도록 이루어진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그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판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디스크식 기록 재생장치의 주요부 사시도(斜視圖)이다.
도 2는, 디스크식 기록 재생장치의 트레이를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베이스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베이스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베이스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베이스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DVR용 카트리지를 장착한 베이스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8은, DVR용 카트리지를 장착한 베이스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9는, DVR용 카트리지를 장착한 베이스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베어(bare)디스크를 탑재한 베이스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베어디스크를 탑재한 베이스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베어디스크를 탑재한 베이스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광디스크의 검출부의 설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검출부를 설치한 전면패널의 배면측(背面側)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5는, 트레이의 저면도(底面圖)이다.
도 16은, 트레이를 삽입한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7은, 12cm의 베어디스크를 위치한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8은, 8cm의 베어디스크를 위치한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9는, 트레이를 뗀 상태의 전면패널을 비스듬히 위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트레이를 전면패널의 횡장개구(橫長開口)로부터 꺼낸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21은, 베어디스크를 측방으로 옮기어 위치한 상태의 트레이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22는, 베어디스크를 측방으로 옮기어 위치한 상태의 트레이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3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4는, 시스템의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25는, 검출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원발명의 주요한 발명은,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기록재생 위치에 장착하고, 헤드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경로 상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중심의 이동경로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한 조(組)의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장착의 유무 및 상기 이동경로에 대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중심이 측방으로 어긋나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한 조(組)의 검출수단은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중심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검출수단은 발광부(發光部)와 수광부(受光部)를 갖추어, 상기 발광부가 발한 빛이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되면 검출동작을 행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본원발명의 다른 주요한 발명은,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트레이 상에 위치하고, 상기 트레이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기록재생 위치에 장착하여, 헤드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삽입경로 상에, 상기 트레이의 소정의 부위를 검출하는 트레이 검출수단과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검출하는 디스크 검출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 검출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삽입방향에 따라 그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피검출부(被檢出部)를 구비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디스크 검출수단은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직접 검출하여, 상기 디스크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과 상기 트레이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의 조합에 의해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상기 트레이에 바르게 위치되었는지 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크기의 검출을 행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또한 상기 트레이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패널의 상기 개구의 주변부에 상기 트레이 검출수단과 상기 디스크 검출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레이 검출수단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추는 것과 동시에, 상기 트레이 측에 반사부 또는 비반사부로 구성되는 피검출부가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가 발한 빛을 상기 피검출부가 반사하는지 반사하지 않는지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수광부가 검출동작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또 상기 디스크 검출수단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추고, 상기 발광부가 발한 빛을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반사하여 상기 수광부가 검출동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트레이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위치하는 위치면과는 반대측의 이면(裏面)에 상기 트레이의 삽입방향에 따라 반사막이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반사막이 결여(缺如)된 결여부(缺如部)가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검출수단이 상기 결여부(缺如部)를 검출했을 때 상기 디스크 검출수단이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올바르게 위치되었다고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올바르게 위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크 검출수단은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중심의 이동 경로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한 조(組)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트레이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위치하는 위치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에 상기 트레이의 삽입방향에 따라서 반사막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반사막이 결여(缺如)된 결여부(缺如部)가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검출수단이 상기 결여부를 검출했을 때 상기 디스크 검출수단이 상기 디스크를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바르게 위치되었다고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바르게 위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별방법에 관한 주요한 발명은,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트레이 상에 위치하고, 상기 트레이를 삽입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기록재생 위치에 장착하여, 헤드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를 삽입하기 위한 전면패널의 개구의 주변부에 상기 트레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피검출부를 검출하는 트레이 검출수단과, 상기 트레이 상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검출하는 디스크 검출수단을 설치하여 두고,
상기 트레이를 삽입했을 때 상기 트레이 검출부의 검출출력과 상기 디스크 검출부의 검출출력의 조합에 의해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크기 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바르게 위치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판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405nm의 Blu-ray 레이저광, 780nm의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CD, 650nm의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DVD 등의 각종의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에 대응하는 디스크 플레이어(player)에 있어서, 단일의 광학 픽업으로 상기의 모든 포맷에 대응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 서로 포맷이 다른 2종류의 광학 픽업을 설치하여, 이러한 광학 픽업을 턴테이블 또는 스핀들모터의 서로 대칭인 양측에 탑재한다. 그리고 트레이의 중앙부에는 상기 2종류의 광학 픽업에 대응하는 큰 개구를 형성한다. 또 트레이 상에는 Blu-ray의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광디스크를 수납한 카트리지에 추가하고, 직경이 12cm와 8cm의 각각의 베어(bare)디스크를 직접 위치하기 위한 가이드나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가이드나 홈에 바르게 정합(整合)되지 않고, 그들로부터 튀어나온 상태로 특히 베어(bare)디스크가 위치되면, 베어디스크가 올바르게 척킹(chucking) 되지 않고, 미스척킹(miss-chucking)에 의해 베어디스크의 기록면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있다. 또한 직경이 작은 8cm의 디스크가 트레이의 상기의 개구를 통해 그 아래쪽에 있어 드라이브 내로 낙하하면, 광학 픽업 등을 손상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원발명에 포함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는, 3개의 광학식 검출장치와 트레이의 아래 면에 설치된 반사부를 설치하여 베어디스크의 위치를 판별하고 있다. 특히 한 조(組)의 검출부는 트레이의 폭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좌우대칭인 위치에 놓여져, 베어디스크가 각각의 센서 위를 통과하는 타이밍을 검출한다. 이에 대해 나머지 또 하나의 검출부는 트레이에 설치한 상기 반사부를 보고 트레이의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검출부의 검출출력의 조합에 의해 트레이와 베어디스크의 상대위치를 판단하여, 베어디스크가 정규의 위치에 놓여있지 않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트레이의 삽입동작, 즉 로딩동작을 중지하고, 특히 8cm의 베어디스크가 드라이브의 내부에 탈락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특히 트레이 상에 형성된 삽입방향으로 긴 개구에 의해 초래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 구성의 설명
도 1 및 도 2는 본원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디스크식 기록재생장치의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장치는 평평한 직방체(直方體) 모양으로 이루어진 외함(外函)(10)을 갖추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상부를 개방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외함(外函)(10)의 전면 측의 개구(開口)를 폐쇄하는 전면패널(11)에는 횡장개구(橫長開口)(12)가 형성되어 이 횡장개구(橫長開口)(12)에 의해 인출(引出)이 가능하도록 트레이(13)가 외함(外函)(10) 내에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트레이(13)는 그 거의 중앙부에 카트리지 또는 베어(bare)디스크를 받아들이는 오목부(14)를 가짐과 동시에, 오목부(14)를 가로지르도록 세로방향으로 늘어나는 개구(開口)(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開口)(15)의 안쪽 측에는 U자형의 절단면(16)이 설치되고, 앞쪽에는 반원형의 절단면(17)이 형성되어 있다.
또 트레이(13) 위에 있어서 그 안쪽의 내부에는 구동유닛(18)이 설치되고, 또한 구동유닛(18)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19)가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13)는 외함(10)의 내측에 있어서 그 양측의 단부(段部)(20)에 의하여 접을 수 있도록 지지되는 것과 동시에, 구동유닛(18)의 출력단을 구성하는 피니언(pinion;맞물리는 한 쌍의 크고 작은 톱니바퀴 가운데 작은 톱니바퀴)이 단부(段部)(20)의 아래쪽의 잠금부(lock)(21)와 맞물려, 이것에 의하여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장개구(橫長開口)(12)에 대하여 인출 및 수납이 자유로이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외함(10)의 저판(底板)의 상부에는 도 3~도 6에 나타내는 베이스유닛(25)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유닛은 금속판제의 새시(sash)로 구성되어 그 거의 중앙부에는 브래킷(braket)(26)을 통하여 회전구동부를 구성하는 턴테이블(27)이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27)은 그 아래쪽의 모터에 의하여 직접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베이스유닛(25)은 상기 턴테이블(27)에 대하여 그 앞쪽에 DVD용 픽업(31)이, 안쪽에 DVR용 픽업(32)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DVD용 픽업(31)은 가이드 로드(guide road)(33)와 전송나사(34)에 의하여 그 양측이 지지되는 것과 동시에, 전송나사(34)가 스텝모터(35)에 의하여 회전구동되어 이에 의해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안쪽의 DVR용 픽업(32)은 양측의 한 조(組)의 가이드 로드(guide road)(37, 38)에 의하여 안내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DVR용 픽업(32)을 광디스크에 대하여 그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송나사(3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송나사(39)는 스텝모터(40)에 의해서 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전송나사(39)는 픽업(32)의 너트(41)에 결합되어 있다.
또 베이스유닛(25) 상에는 그 전방의 양측으로 한 조의 서포트 로드(support road)(45)가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후방의 양측에는 일체로 서포트 암(support arm)(46)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서포트 로드(45) 및 서포트 암(46)은 베이스유닛(25)이 승강기구(昇降機構)에 의해 상승하면, 트레이(13)의 개구(47, 48)로부터 돌출하도록 되고, 이에 의해 트레이(13) 상에 설치되는 DVR용 카트리지(51)를 그 4개의 코너 부분에서 아래쪽 면으로부터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디스크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형 기록매체, 특히 베어(bare)디스크의 검출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외함(10)의 전면 측에 설치되고 있는 전면패널(11)의 내측에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린트기판(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린트기판(70)은 디스크의 좌측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71)와 디스크의 우측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72)와 트레이(13)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73)를 갖추고 있다. 또한 이들 검출부(71, 72, 73)는 각각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광소자(受光素子)(71a, 72a, 73a)와, 발광소자(71b, 72b, 73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검출부(71)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렉서블(flexible) 기판(74)에 의해 전기 공급이 행해지는 것과 동시에, 검출 신호가 꺼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검출부(71~73)를 갖추는 프린트기판(70)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패널(11)의 내측에 있어서 횡장개구(12)의 아랫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검출부(71, 72, 73)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도록, 전면패널(11)의 횡장개구(12)의 아래쪽의 주변부에는 가로방향으로 U자형의 절단면(76, 77, 78)이 형성되어 이러한 절단면(76~78)에 의해 각각 검출부(71~73)의 검출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검출부(71, 72)는 둘 다 베어(bare)디스크(52, 53)를 직접 검출하도록 되어 있고, 이들 발광소자(71b, 72b)가 발하는 빛을 베어디스크(52, 53)의 표면에서 반사하여 수광소자(受光素子)(71a, 72a)가 검출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해 트레이(13)는 그것 자신이 빛을 반사하지 않으므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아래쪽 면에는 트레이(13)의 삽입방향에 있어서 상기 개구(15)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반사막(60)이 설치되어 있다. 반사막(60)은 한 조의 결여부(缺如部)(61, 62)를 갖추고 있다. 결여부(缺如部)(61)는 직경이 8cm인 베어디스크(53)의 에지(edge)의 검출에 연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결여부(缺如部)(62)는 직경이 12cm인 베어디스크(52)의 에지(edge)의 검출과 거의 연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13)의 윗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DVR용 카트리지(51)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14)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이 오목부(14) 내에는 또한 12cm의 베어디스크(52)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81)가 형성되고, 또한 이 오목부(81)와 동심원 모양으로 직경이 8cm인 베어디스크(53)를 받아들이기 위한 오목부(8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7은 오목부(81)에 12cm의 베어디스크(52)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8은 오목부(82)에 8cm의 베어디스크(53)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23에 의거해 설명한다. 제어동작을 행하는 컨트롤러(65)의 입력 측에는 DVR용 카트리지(51)를 검출하는 스위치(66), 검출부(71, 72, 73)의 수광소자(受光素子)(71a, 72a, 73a)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컨트롤러(65)의 출력 측에는 상기 검출부(71, 72, 73)의 발광소자(71b, 72b, 73b)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컨트롤러(65)에 의해 상기 트레이(13)의 삽입을 행하기 위한 모터(19)의 제어가 행해지도록 접속되어 있다.
(2) 동작의 설명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에 관한 기록 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트레이(13)의 오목부(14)에 DVR용 카트리지(51)가 설치된 상태로 이 트레이(13)가 외함(10) 내에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DVR용 카트리지(51)가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장치에 장착된다. 이때 스텝모터(35) 및 전송나사(34)에 의해 DVD용 픽업(31)이 DVR용 카트리지(51)의 외부측에 있어서 트레이(13)의 전방측의 부분으로 후퇴한다. 그리고 이때에는 DVR용 카트리지(51)는 베이스유닛(25) 상의 한 조의 서포트 로드(support road)(45)와 한 조의 서포트 암(support arm)(46)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이들 서포트 로드(support road)(45)와 서포트 암(support arm)(46)은 둘 다 베이스유닛(25)의 상승동작에 의해 트레이(13)의 개구(47, 48)를 통하여 트레이(13)의 오목부(14) 상에 임하여, DVR용 카트리지(51)를 바르게 위치 결정한다.
이에 대해 베어디스크(52)가 트레이(13)의 오목부(14)에 설치된 상태로 트레이(13)가 삽입되면, 트레이(13)는 외함(10) 내에 삽입된다. 이때의 베어디스크(52)의 베이스유닛(25) 상에 있어서의 위치관계는 도 10~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즉 이 경우에는 스텝모터(40)에 의해 전송나사(39)가 DVR용 픽업(32)를 트레이(13)의 안쪽의 부분으로 후퇴시킨다. 즉 베어디스크(52)에 대하여 그 외부측에 DVR용 픽업(32)이 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베어디스크(52)의 투영면적의 내측에 DVR용 픽업(32)의 적어도 렌즈부분이 들어가지 않도록 후퇴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스텝모터(35)에 의해 전송나사(34)를 통하여 DVD용 픽업(31)이 베어디스크(52)의 아래쪽 면에 위치하도록 된다. 이러한 상태에 대하여 턴테이블(27)에 의해 베어디스크(52)가 회전구동되어 이 베어디스크(52)에 대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기록 재생장치는, DVD/CD, DVR의 2개의 서로 호환성이 없는 포맷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사용할 수 있는 기록 재생장치이다. 여기서 베이스유닛(25)은 금속판 또는 수지(樹脂)에 의하여 형성되고, 이 장치의 외함(10) 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유닛(25) 상에 있어 DVD/CD용의 픽업(31)을 앞쪽 혹은 전방 측에 배치하는 것과 동시에, DVR용 픽업(32)을 안쪽 측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광디스크 회전용 모터는 턴테이블(27)과 함께 공통화하여 단일의 것을 이용하고, 이 턴테이블(27)을 중심으로 상기 2종류의 픽업(31, 32)을 턴테이블(27)의 원주방향으로 180도 어긋난 위치에서 각각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2종류의 픽업(31, 32)은 각각 독립적으로 틸트(tilt) 및 위치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 기록 재생장치의 외함(10)의 전면패널(11)에 설치되어 있는 검출부(71, 72, 73)에 의한 베어디스크(52, 53)의 검출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13) 상에는 DVR용 카트리지(51)를 수납하는 오목부(14) 안에 또한 12cm의 베어디스크(52)를 수납하는 오목부(81)와 8cm의 베어디스크(53)를 수납하는 오목부(8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6은 카트리지(51), 베어디스크(52, 53)의 어느 것도 설치되어 있지 않은 빈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7은 12cm의 베어디스크(52)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8은 8cm의 베어디스크(53)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특히 베어디스크(52, 53)의 좌우를 각각 검출하는 검출부(71, 72) 및 이러한 검출부(71, 72)와 대응하여 형성되는 U자형 절단면(76, 77)은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13)의 중심부에 있어서 오목부(81, 82)의 중심을 통과하는 삽입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오목부(81)에 바르게 12cm의 베어디스크(52)가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한 조의 검출부(71, 72)는 거의 동시에 U자형 절단면(76, 77)을 통해 검출동작을 행한다. 이때의 검출동작이 도 25의 패턴 1에 해당한다.
검출부(71, 72)에 의한 검출동작과 거의 동기하여 검출부(73)가 트레이(13)의 이면의 반사막(60)의 결여부(缺如部)(62)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어, 검출부(73)가 반사막(60)의 결여부(62)에 의하여 비반사를 검출하고 있는 타이밍에 한 조의 검출부(71, 72)가 검출동작을 행하게 되었을 경우에, 12cm의 베어디스크(52)가 바르게 장착된 것이라고 판단한다.
이것은 8cm의 베어디스크(53)의 경우에 대해서도 같으며, 트레이(13)의 오목부(82)에 8cm의 베어디스크(53)가 바르게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좌우 한 조의 검출부(71, 72)가 거의 동시에 검출동작을 행하게 된다. 또한 이때에는 트레이(13)의 아래쪽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여부(61)가 비반사상태를 검출하고 있다. 즉 검출부(73)이 트레이(13)의 아래쪽 면의 결여부(61)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로 한 조의 검출부(71, 72)가 거의 같은 타이밍에 베어디스크(53)의 에지를 검출하면, 도 25에 대하여 패턴 2 상태가 된다. 즉 검출부(73)의 검출출력이 하이레벨(Hi level) 상태로 검출부(71, 72)가 하이레벨(Hi level)에서 로우레벨(Low level)로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8cm의 베어디스크(53)의 바른 설치가 검출된다.
이것에 대하여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8cm의 베어디스크(53)가 트레이(13)의 좌우의 어느 쪽인가의 방향, 예를 들면 왼쪽으로 어긋난 상태로 설치되어 오목부(82)에 대하여 베어디스크(53)가 바르게 정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25의 패턴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검출동작이 행해지지 않는다. 이것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트레이(13)가 삽입되면,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좌측의 절단면(76)을 통하여 좌측의 검출부(71)가 올바른 타이밍보다도 빨리 검출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 검출동작은 검출부(73)가 결여부(61)를 검출하는 것보다도 전에 행해진다. 그리고 검출부(73)가 결여부(61)를 통과한 후에 우측의 검출부(72)가 검출동작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검출부(71, 72)의 타이밍의 차이와 검출부(73)의 검출동작으로부터 어느 쪽으로부터 어긋난 상태에서의 검출이라도, 8cm의 베어디스크(53)의 올바르지 않은 장착동작이 검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검출에 연동하여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컨트롤러(65)는, 트레이(13)를 삽입하는 모터(19)의 동작을 정지하고, 반대로 이 트레이(13)를 배출하는 것에 의하여, 문제를 미연에 해소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러(65)의 CPU는 카트리지(51)의 검출용의 스위치(66)의 검출출력을 읽어들이고, 카트리지(51)가 장착되었는지의 검출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카트리지(51)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발광기(71b, 72b, 73b)의 모두의 발광동작을 정지시킨다. 이것에 대하여 스위치(66)가 OFF의 경우에는 모든 발광기(71b, 72b, 73b)를 ON 상태로 한다. 그리고 이 상태로 모터(19)를 구동하여, 트레이(13)의 삽입동작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3개의 검출부(71, 72, 73)에 의한 검출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여기서 검출부(71, 72)에 의한 검출동작이 검출부(73)의 출력이 로우레벨인 상태에서 행해졌을 경우에는, 베어디스크(52, 53)가 어긋난 것이라고 판단하여 로딩을 중지한다. 그리고 또한 컨트롤러(65)는 모터(19)를 역회전하여 트레이(13)를 배출한다. 이것에 대하여 검출부(73)가 하이레벨 상태로 검출부(71, 72)가 검출동작을 행하게 된 경우에는 정상적인 것이라고 판단하여 로딩을 속행한다.
이상 본원발명에 포함되는 발명을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원발명에 포함되는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원발명에 포함되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검출부(71, 72, 73)의 설치위치, 또는 그 검출동작 등에 대하여는 각종의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본원발명의 주요한 발명은,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기록재생 위치에 장착하고, 헤드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경로 상에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중심의 이동경로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한 조의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검출수단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장착의 유무 및 이동경로에 대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중심이 측방으로 어긋나 있는지 어떤지를 검출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의하면,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중심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측방으로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어긋난 상태로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그것을 한 조의 검출수단의 타이밍의 차이에 의하여 확실히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특히 측방으로 어긋난 채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장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다.
본원발명의 다른 주요한 발명은,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트레이 상에 설치하고, 트레이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기록재생 위치에 장착하고, 헤드에 의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트레이의 삽입경로 상에, 트레이의 소정의 부위를 검출하는 트레이 검출수단과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검출하는 디스크 검출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의하면, 트레이의 소정의 위치에 올바르게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삽입동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있어서 문제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판별방법에 관한 주요한 발명은,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트레이 상에 설치하고, 트레이를 삽입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기록재생 위치에 장착하고, 헤드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트레이를 삽입하기 위한 전면패널의 개구의 주변부에 트레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피검출부를 검출하는 트레이 검출 수단과, 트레이 상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검출하는 디스크 검출수단을 설치해 두고, 트레이를 삽입했을 때에 트레이 검출부의 검출출력과 디스크 검출부의 검출출력의 조합에 의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크기 또는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올바르게 설치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판별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록매체의 판별방법에 의하면,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크기 또는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올바르게 설치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상기 트레이 검출부의 검출출력과 디스크 검출부의 검출출력의 조합에 의하여 확실히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1)

  1.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기록 재생 위치에 장착하고, 헤드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경로 상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중심의 이동경로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한 조(組)의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장착의 유무 및 상기 이동경로에 대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중심이 측방으로 어긋나 있는지 어떤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조(組)의 검출수단은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중심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발광부와 수광부(受光部)를 갖추어 상기 발광부가 발한 빛이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되면 검출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트레이 상에 설치하고, 상기 트레이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기록재생위치에 장착하고, 헤드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삽입경로 상에, 상기 트레이의 소정의 부위를 검출하는 트레이 검출수단과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검출하는 디스크 검출수단을 설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검출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삽입방향에 따라 그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피검출부를 구비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디스크 검출수단은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직접 검출하고, 상기 디스크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과 상기 트레이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상기 트레이에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어떤지 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크기의 검출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開口)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패널의 상기 개구의 주변부에 상기 트레이 검출수단과 상기 디스크 검출수단이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검출수단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추는 것과 동시에, 상기 트레이 측에 반사부 또는 비반사부로 이루어진 피검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가 발한 빛을 상기 피검출부가 반사하는지 반사하지 않는지를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광부가 검출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검출수단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추고, 상기 발광부가 발한 빛을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반사하여 상기 수광부가 검출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설치하는 설치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에 상기 트레이의 삽입방향을 따라서 반사막이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크기와 대응하여 상기 반사막이 결여(缺如)된 결여부(缺如部)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 검출수단이 상기 결여부를 검출했을 때에 상기 디스크 검출수단이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올바르게 설치되었다고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올바르게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검출수단은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중심의 이동경로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한 조(組)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트레이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설치하는 설치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에 상기 트레이의 삽입방향을 따라서 반사막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크기와 대응하여 상기 반사막이 결여된 결여부가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검출수단이 상기 결여부를 검출했을 때에 상기 디스크 검출수단이 상기 디스크를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올바르게 설치되었다고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올바르게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1.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트레이 상에 설치하고, 상기 트레이를 삽입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기록재생위치에 장착하고, 헤드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를 삽입하기 위한 전면패널의 개구의 주변부에 상기 트레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피검출부를 검출하는 트레이 검출수단과, 상기 트레이 상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검출하는 디스크 검출수단을 설치하여 두고,
    상기 트레이를 삽입했을 때에 상기 트레이 검출부의 검출출력과 상기 디스크 검출부의 검출출력의 조합에 의해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크기 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올바르게 설치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판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판별 방법.
KR1020057008244A 2002-11-27 2003-11-13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그 디스크형기록매체의 판별방법 KR200500864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44716A JP2004178711A (ja) 2002-11-27 2002-11-27 ディスク式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およびその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判別方法
JPJP-P-2002-00344716 2002-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456A true KR20050086456A (ko) 2005-08-30

Family

ID=3237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244A KR20050086456A (ko) 2002-11-27 2003-11-13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그 디스크형기록매체의 판별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91455B2 (ko)
JP (1) JP2004178711A (ko)
KR (1) KR20050086456A (ko)
CN (1) CN100409339C (ko)
WO (1) WO2004049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2130B2 (ja) * 2003-08-20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トレイ
US20060212884A1 (en) * 2003-09-28 2006-09-21 Dongzuo Yang Slot-in disc loading system with various disc size compatibility
US7770189B2 (en) * 2004-11-16 2010-08-03 Transpacific Electronics, Llc Tray used in an optical disk drive
US7155730B2 (en) * 2004-04-15 2006-12-26 First International Computer, Inc. Structure for quickly installing and removing an optical disk drive
KR100616091B1 (ko) 2004-10-30 2006-08-28 주식회사 케이엠씨 광디스크 플레이어
US8057115B2 (en) * 2006-07-28 2011-11-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carrier
JP2009277340A (ja) * 2008-04-18 2009-11-26 Seiko Epson Corp ディスク処理装置のディスク搬送機構およびディスク処理装置
KR102538909B1 (ko) * 2016-01-14 2023-06-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전자부품 및 적층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21631A1 (de) 1987-07-28 1989-02-09 Bader Paul Verschluss fuer eine maennliche harnroehre
JPH01124963A (ja) 1987-11-10 1989-05-17 Tokyo Gas Co Ltd 燃料電池
JPH0454600Y2 (ko) * 1987-12-17 1992-12-22
JP2628872B2 (ja) 1987-12-22 1997-07-09 旭化成工業株式会社 偏平ブラシレスモータ用コイル
JPH0617213Y2 (ja) * 1988-02-12 1994-05-0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1170355U (ko) * 1988-05-18 1989-12-01
JPH0357767A (ja) 1989-07-24 1991-03-13 Omron Corp 運行ダイヤの自動設定ファジィ制御装置
JPH073495Y2 (ja) * 1989-10-05 1995-01-30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ディスクサイズ検出装置
JPH05144151A (ja) * 1991-11-19 1993-06-11 Sony Corp デイスク状記録媒体搬送装置
JPH07320390A (ja) * 1994-05-26 1995-12-08 Sony Corp ピックアップ装置の初期設定方法とそのディスク再生装置
JP2939970B2 (ja) 1995-03-07 1999-08-2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ィスク検出装置
US5974016A (en) * 1997-05-30 1999-10-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c reader with automatic closing tray
DE69933355T2 (de) * 1998-12-23 2007-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Wiedergabe und Aufzeichnung von Aufzeichnungsmedien unterschiedlicher Grössen
EP1104926A4 (en) * 1999-05-14 2005-01-05 Mitsubishi Electric Corp DISC APPARATUS
KR100396619B1 (ko) * 2000-12-20 2003-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체인저에서의 광 기록매체 크기 판별장치 및 방법
TWI285885B (en) * 2001-10-17 2007-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k cartridge and disk driv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15882A1 (en) 2006-01-19
WO2004049325A1 (ja) 2004-06-10
JP2004178711A (ja) 2004-06-24
US7191455B2 (en) 2007-03-13
CN1717729A (zh) 2006-01-04
CN100409339C (zh)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1200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US5953293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disk-like recording medium
JP3867419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20050086456A (ko) 디스크식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그 디스크형기록매체의 판별방법
US7178156B2 (en) Disk cartridge having identification element and disk drive apparatus which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element
US6262960B1 (en) Disc driving device
JP4032552B2 (ja)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装置および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6973660B2 (en) Disk driver
JP3447812B2 (ja) ディスクが収納されるカートリッジとこのカートリッジを扱うディスク装置
KR100423920B1 (ko) 디스크형기록매체의기록장치,재생장치,또는기록및재생장치
JP2002157853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05189912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駆動装置
KR100754159B1 (ko) 디스크 수납용 어댑터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0195617B1 (ko) 광디스크 안착유무 표시기능이 구비된 광디스크 체인저의트레이
KR100590227B1 (ko) 멀티 체인저의 광디스크 인식장치 및 그 방법
JP3570002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JP3467924B2 (ja) ディスク装置
JPH11167759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0100052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H08106703A (ja) 情報記録媒体取扱装置
JP2000100051A (ja) ディスク交換装置
JP2002260365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用いるディスク装置
JPH0732736U (ja) 記録媒体用トレイおよびそれを用いる記録媒体の有無検出装置
JPH0982016A (ja) 記録媒体検出装置及び当該検出装置を有するディスク装置
JPH05347063A (ja)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