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2578A -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2578A
KR20050082578A KR1020040011060A KR20040011060A KR20050082578A KR 20050082578 A KR20050082578 A KR 20050082578A KR 1020040011060 A KR1020040011060 A KR 1020040011060A KR 20040011060 A KR20040011060 A KR 20040011060A KR 20050082578 A KR20050082578 A KR 20050082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sliding door
child lock
sett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815B1 (ko
Inventor
정종영
Original Assignee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8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0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차량 슬라이딩 도어 설정 상태의 조작에 의해 차량의 도어 스위치 조작시 액츄에이터에 의한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에 있어서, 차일드 락 설정 레버(1)에 연결되어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차일드 락 설정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일드 락 감지 센서(10),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락 설정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락 감지 센서(20),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도어 손잡이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고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 상기 각각의 센서(10, 20, 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의 설정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0), 상기 제어부(5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도어 래치를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1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A sliding door opening structure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의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설정 상태에 따라 차량의 도어 개폐 조작을 감지하고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도어의 개폐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인원이 탑승하게 되는 승합차는 승차 및 하차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채용하고 있다. 상기한 슬라이딩 도어는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의 한쪽면에 설치되는데, 근래에는 양측에 모두 설치되는 차량도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일실시예의 전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일실시예의 후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의 내측 및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를 조작하면 그 조작력을 링크를 통해 전달되어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의 부주의한 조작에 의해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일드 락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차일드 락은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차일드 락 설정 레버(1)를 조작하여 a 위치에 놓이게 하면 래치와 연결되어 있는 고정 레버(2)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 차량의 내부에서 도어 손잡이를 조작하여도 조작력이 전달되지 못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차일드 락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차일드 락 설정 레버(1)를 aa 위치에 놓이게 하여 도어 손잡이의 조작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우선 탑승자는 도어 락 노브(2)를 조작하여 링크 로드(3)를 bb 에서 b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어 락 노브(2)의 설정에 의해 래치(미도시)와의 연결이 단락되어 도어의 내측 및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를 조작하여도 조작력이 래치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개방되어 있는 도어가 자중에 의해 스스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홀드 오픈 락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홀드 오픈 락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도어의 여러 고정 상태 설정은 각각의 설정 상태를 설정하기 위해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설정 레버를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레버 설정시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설정되고 해제된다. 특정의 목적을 위해서 설정 상태가 해제된 후 목적 달성을 이룬 후, 고정 상태를 재설정하는 것을 잊고 차량을 주행하게 되면, 도어의 고정 상태가 설정되지 않아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 도어의 차일드 락 설정과 같은 도어의 고정 상태가 설정되면 차량의 탑승자가 도어 손잡이의 조작을 감지한 후 액츄에이터에 의해 차량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일실시예의 전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일실시예의 후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블록도로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에 있어서, 차일드 락 설정 레버(1)에 연결되어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차일드 락 설정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일드 락 감지 센서(10),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락 설정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락 감지 센서(20),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도어 손잡이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고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 상기 각각의 센서(10, 20, 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의 설정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0), 상기 제어부(5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도어 래치를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100)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100)는 제어부(5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래치 링크(110)를 동작시켜 차량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해서는 차량의 탑승자는 도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손잡이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차량의 주행 도중 차량의 내측에서 실수로 도어 손잡이를 조작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일드 락을 설정할 필요가 있게 된다. 차량의 운전자는 차일드 락 설정 레버(1)를 a 위치에서 aa 위치로 조작하여 차일드 락이 설정되도록 하면 차일드 락 설정 레버(1)의 위치 변화를 감지한 차일드 락 감지 센서(10)에서 차일드 락 조작 신호가 출력되어 제어부(50)로 입력되고, 제어부(50)에서는 액츄에이터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액츄에이터(100)를 제어하도록 한다.
차일드 락 설정 상태에서는 차량의 탑승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의 내부 손잡이를 조작하게 되면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제어부(50)로 입력된다. 그러나 제어부(50)는 차일드 락 조작 신호가 이미 입력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내부 손잡이가 조작되는 것으로 판단되어도 제어부(50)에서는 액츄에이터(100)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
차일드 락 설정 상태에서의 도어의 동작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어의 차일드 락 설정이 필요하지 않게되었을 경우에는 운전자는 차일드 락이 해제되도록 차일드 락 설정 스위치를 aa 위치에서 a 위치로 조작하면 차일드 락 감지 센서(10)에서의 신호 출력이 정지되어 차일드 락의 설정이 해제되고, 도어의 내부 손잡이를 조작하여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제어부(50)로 입력되면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가능하게 된다.
차량 도어가 도어 내측과 외측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작하여도 개방되지 않도록하기 위해서는 차량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차량의 운전자는 차량의 인스트러먼트 판넬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고정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도어 락 감지 센서(20)에서 출력되는 도어 락 설정 신호가 제어부(50)로 입력된다.
도어 락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50)는 차량 도어의 개방을 위해 도어 손잡이를 조작하여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에서 도어 손잡이 조작 신호가 출력되어도 액츄에이터(100)가 동작하지 않게하여 차량 도어의 개방을 방지한다.
차량 도어의 개방이 필요하게 되면 도어 락이 해제되도록 도어 고정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어부(50)는 도어 손잡이 조작에 의해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에서 도어 손잡이 조작 신호가 출력되면 액츄에이터(100)가 동작하도록 하여 차량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어 손잡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차량 도어의 개방과 폐쇄에는 많은 힘이 들기 때문에 노약자의 경우 차량 도어의 개폐가 불확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차량 탑승자가 차량 도어의 내측 또는 외측 손잡이에 손을 대면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는 이를 감지하여 손잡이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신호는 제어부(50)로 입력된다.
제어부(50)는 입력된 신호에 의해 차량 도어가 개폐 또는 폐쇄 상태로 설정하려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출력된 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100)가 동작되어 차량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한다.
또한, 도어 손잡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많은 화물을 휴대하는 경우에는 차량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의 인스트러먼트 판넬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개방 스위치를 조작하면, 도어 개방 신호가 제어부(50)로 입력되고 제어부(50)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액츄에이터(100)가 래치 링크(110)를 동작시키도록 하여 차량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도어의 차일드 락 설정, 도어 락 설정과 같은 도어의 동작 상태를 설정하면 제어부는 차량 탑승자의 도어 조작을 감지하여 차량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으로서 적은 힘으로도 차량의 도어 조작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일실시예의 전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일실시예의 후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일실시예의 전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일실시예의 후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일드 락 감지 센서 20 : 도어 락 감지 센서
30 :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 50 : 제어부
100 : 액츄에이터

Claims (1)

  1.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에 있어서, 차일드 락 설정 레버(1)에 연결되어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차일드 락 설정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일드 락 감지 센서(10),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락 설정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락 감지 센서(20),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도어 손잡이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고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 상기 각각의 센서(10, 20, 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의 설정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0), 상기 제어부(5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도어 래치를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
KR1020040011060A 2004-02-19 2004-02-19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 KR100573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060A KR100573815B1 (ko) 2004-02-19 2004-02-19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060A KR100573815B1 (ko) 2004-02-19 2004-02-19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578A true KR20050082578A (ko) 2005-08-24
KR100573815B1 KR100573815B1 (ko) 2006-04-26

Family

ID=37268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060A KR100573815B1 (ko) 2004-02-19 2004-02-19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8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71A (ko) 2018-06-26 2020-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2106A (ja) * 1995-10-20 1997-04-28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遠隔操作式チャイルドロック装置
KR970039720U (ko) * 1995-12-26 1997-07-29 차일드 록 원격 해제 장치
JPH10140899A (ja) * 1996-11-13 1998-05-26 Tokai Rika Co Ltd チャイルドロックシステム
KR19980051422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어린이 보호용 도어로크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71A (ko) 2018-06-26 2020-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US11473348B2 (en) 2018-06-26 2022-10-18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door latch assembly of sliding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3815B1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88410B1 (en) Door latch arrangement
EP3064695B1 (en) Vehicle-do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3947278B2 (ja) 車両のドアロック解除機構
JP6716827B2 (ja) 自動車ドアラッチ
JP2002106249A (ja) ドアの自動開閉装置
KR101875630B1 (ko)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방법 및 도어 개폐 시스템
JP2018516325A (ja) 自動車ドアラッチを制御する方法
US7397146B2 (en) Child lock apparatus
JP2004176470A (ja) 車両用ドア作動システム
JP2008248625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US105446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door
KR10057381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
JP4694293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制御装置
JP2006299567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制御装置
JP2008144418A (ja) チャイルドロック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法
JP2017159744A (ja) 車両用ドア装置
JP6086377B2 (ja) 車両用ドア制御装置
JP2005139671A (ja) 車両用ドア制御装置
JPH04136385A (ja) 自動車のドアロック構造
JP4747712B2 (ja) 車両ドア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5240309A (ja) チャイルドロック制御装置
KR100534312B1 (ko) 자동차의 도어 언래치 장치
KR20070063324A (ko) 도어개폐장치
US20050146215A1 (en) Motor vehicle locking system
JP4285189B2 (ja) 車両の扉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