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292A -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292A
KR20050079292A KR1020040007460A KR20040007460A KR20050079292A KR 20050079292 A KR20050079292 A KR 20050079292A KR 1020040007460 A KR1020040007460 A KR 1020040007460A KR 20040007460 A KR20040007460 A KR 20040007460A KR 20050079292 A KR20050079292 A KR 20050079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semiconductor substrate
spacers
semiconductor layer
ion impla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5960B1 (ko
Inventor
리우진화
강희성
류충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7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960B1/ko
Priority to US11/049,533 priority patent/US7045429B2/en
Publication of KR20050079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484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multiple gate, at least one gate being an insulated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659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ith asymmetry in the channel direction, e.g. lateral high-voltage MISFETs with drain offset region, extended drain MISF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31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multiple gat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33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lightly 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 e.g. LDD MOSFET's; DDD MOSFET's
    • H01L29/783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lightly 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 e.g. LDD MOSFET's; DDD MOSFET's with asymmetrical source and drain regions, e.g. lateral high-voltage MISFETs with drain offset region, extended drain MISF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반도체 기판의 소정영역 상에 형성된 메사(mesa)형의 반도체층을 이용하여 게이트 전극 및 비대칭의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판의 소정의 영역 상에 메사(MESA)형의 반도체층을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층의 양측에 제1스페이서들을 형성한다. 상기 제1스페이서들의 측벽에 게이트 전극들을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층, 게이트 전극들 및 제1스페이서들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에 저농도 소오스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들의 측벽에 제2스페이서들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들, 제1스페이서들 및 제2스페이서들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에 고농도 소오스 영역을 형성하고, 반도체층에 고농도 드레인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결과물들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어닐링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고농도 드레인 영역 하부의 반도체 기판에 저농도 드레인 영역을 형성한다. 이로써, 나노미터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할 때 발생하는 리소그라피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단채널효과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METHOD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기판의 소정영역 상에 형성된 메사(mesa)형의 반도체층을 이용하여 게이트 전극 및 비대칭의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반도체 소자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개별 소자들의 크기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예컨대,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의 길이가 나노미터(Nanometer)의 크기로 감소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의 길이가 나노미터(Nanometer)의 크기로 축소됨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리소그라피(Lithography) 기술도 발전하였다. 즉, X-선 등을 이용한 노광장치가 개발되어 나노미터(Nanometer)의 크기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광원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복잡하고 구매 비용(Cost)이 고가로 인하여 제조단가가 높아지며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술한 리소그라피 기술로 나노메타(Nanometer)의 크기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여 포화전류(Idsat)를 향상시키어 MOSFET의 스피드을 향상시키나, 반대로 펀치쓰루(Punch Through) 및 DIBL(Drain Induced Barrier Lowering) 현상 같은 단채널효과(Short Channel Effect : SCE)에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대칭의 저농도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갖는 트랜지스터가 "2001 Symposium on VLSI technology Digest of Technical Papers"에서 "Asymmetric Source/Drain Extension Transistor Structure for High Performance Sub-50nm Gate Length CMOS Devices" 제목으로 공지되었다. 즉, 비대칭의 저농도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갖는 트랜지스터는 저농도 소오스 영역에 비하여 저농도 드레인 영역이 짧고 얇기 때문에 포화전류(Idsat)를 높이고 단채널효과(Short Channel Effect : SCE)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공지되었다.
그러나, 비대칭의 저농도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갖는 트랜지스터는, 도 1에서 보여주듯이, 비대칭의 저농도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인 경사각(tiled angle)으로 이온주입하는 방법에 의하여 따른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비대칭의 저농도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갖는 트랜지스터의 형성방법의 문제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 상부에 게이트 전극(15)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15)의 양측에 수직 이온주입(20) 및 경사각 이온주입(25)을 수행한다. 상기 이온주입들에 의하여 비대칭의 저농도 소오스 영역(30) 및 저농도 드레인 영역(35)이 형성한다.
그러나, 도 1에서 보여주듯이, 게이트 전극(15)이 경사각 이온 주입(25) 방향을 가로막아 게이트 전극(15)의 하부 측벽에서부터 저농도 드레인 영역(35) 사이에 심각한 오프셋(offset) 영역(40)을 형성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리소그라피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단채널효과를 억제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도체 기판의 소정의 영역 상에 메사(MESA)형의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층의 양측에 제1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스페이서들의 측벽에 게이트 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들, 제1스페이서들 및 반도체층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에 저농도 불순물 도핑하여 저농도 소오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들, 제1 스페이서들 및 반도체층을 이용하여 상기 저농도 소오스 영역의 측벽 및 게이트 전극들의 하부에 할로(halo) 불순물을 도핑하여 할로 불순물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들의 측벽에 제2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스페이서들, 게이트 전극들 및 제1 스페이서들를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에 고농도 불순물을 도핑하여 고농도 소오스 영역을 형성하고, 반도체층에 고농도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들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어닐링 공정을 수행하여 고농도 드레인 영역에 도핑된 고농도 불순물이 반도체 기판에 확산되어 상기 고농도 드레인 영역 하부의 반도체 기판에 저농도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반도체층은 단결정 실리콘 패턴 또는 다결정 실리콘 패턴일 수 있다.
상기 단결정 실리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전면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개구부 내와 상기 개구부 주변의 패터닝된 절연막 표면에 선택적 에피텍시 성장 공정을 이용하여 단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결정 실리콘막을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 공정을 이용하여 평탄화하는 단계와 상기 패터닝된 절연막을 불산(HF) 용액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메사(MESA)형의 단결정 실리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결정 실리콘막은 100Å 내지 10000Å의 두께일 수 있다. 상기 선택적 에피텍시 성장 공정은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RTCVD(rapid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ALCVD(atomic layer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적 에피텍시 성장 공정은 700℃ 내지 900℃의 온도 및 5 torr 내지 10 torr의 압력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결정 실리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전면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개구부 내와 패터닝된 절연막 표면에 다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결정 실리콘막을 상기 패터닝된 절연막의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 공정을 이용하여 평탄화하는 단계와 상기 패터닝된 절연막을 불산 용액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메사(MESA)형의 다결정 실리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결정 실리콘막은 100Å 내지 10000Å의 두께일 수 있다. 상기 다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LPCVD, RTCVD 또는 ALCVD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700 내지 900℃의 온도 및 5 내지 10 torr의 압력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의 양측에 제1스페이서들을 형성할 시에 반도체층의 일단부를 둘러싸는 제1스페이서 패드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페이서들의 측벽에 게이트 전극들을 형성할 시에 상기 반도체층과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1 스페이서 패드의 일부를 둘러싸는 게이트 전극 패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어닐링 공정은 RTA(rapid thermal annealing) 방식으로 850 내지 1050℃의 온도에서 5 내지 200초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은 P형 반도체 기판이고, 상기 저농도 불순물은 As로 이루어지고, 할로 불순물은 B로, 고농도 불순물은 As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농도 불순물의 이온주입 에너지는 30KeV 이하로 설정하고, As 이온을 1.0E13∼1.0E15 atoms/㎠ 도즈(does)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할로 불순물의 이온주입 조건은 이온주입 에너지를 1 내지 30KeV로 설정하고, B 이온을 1.0E13∼1.0E15 atoms/㎠ 도즈(does)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고농도 불순물의 이온주입 조건은 이온주입 에너지를 1 내지 30KeV로 설정하고, As 이온을 1.0E13∼1.0E15 atoms/㎠ 도즈(does)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은 n 웰이 형성된 P형 반도체 기판이고, 상기 저농도 불순물은 As로 이루어지고, 할로 불순물은 B로, 고농도 불순물은 As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저농도 불순물의 이온주입 조건은 이온주입 에너지를 30KeV 이하로 설정하고, BF2 이온을 1.0E14∼1.0E16 atoms/㎠ 도즈(does)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할로 불순물의 이온주입 조건은 이온주입 에너지를 100KeV 이하로 설정하고, As 이온을 1.0E13∼1.0E15 atoms/㎠ 도즈(does)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고농도 불순물의 이온주입 조건은 이온주입 에너지를 1 내지 30KeV로 설정하고, B 이온을 1.0E14∼1.0E16 atoms/㎠ 도즈(does)로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레이아웃도(5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의 소정영역에 활성영역(55)을 배치하고, 활성영역(55)을 가로지르면서 확장된 일단부(60)를 갖는 반도체층(65)을 x축과 평행하게 배치한다.
계속하여, 반도체층(65)의 확장된 일단부(60)에 대향하는 타단부를 둘러싸는 스페이서 패드(70)를 배치하고, 반도체층(65)과의 접촉되지 않으면서 스페이서 패드(70)의 일부를 둘러싸는 게이트 전극 패드(75)를 배치한다.
계속하여, 반도체층(65, 고농도 드레인 영역)을 금속배선과 접촉하기 위하여 반도체층(65)의 확장된 일단부를 노출시키도록 드레인 콘택홀(80)을 배치하고, 게이트 전극 패드(75)를 금속배선과 접촉하기 위하여 게이트 전극 패드(75)를 노출시키도록 게이트 콘택홀(85)을 배치하며, 반도체층(65)에 의하여 분리된 활성영역(20, 고농도 소오스 영역)의 양측에 활성영역을 금속배선과 접촉하기 위하여 활성영역을 노출시키도록 소오스 콘택홀들(90)을 배치한다.
<실시예1>
도 3a 내지 도 3m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중간 단계 구조물의 단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j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중간 단계 구조물의 단면도들이다.
도 3a 및 도 4a를 참조하면, p형 반도체 기판(100)에 소자분리막(105)을 STI(shallow trench isolation)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계속하여, 소자분리막(105)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1산화막(110)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3b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산화막(110)을 패터닝하여 반도체 기판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15)를 갖는 제1산화막 패턴(110a)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3c 및 도 4c를 참조하면, 선택적 에피텍시 성장 공정(selective epitaxy growth;SEG, 이하에서는 SEG로 명명함)을 통해 개구부(115)에 의하여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이용하여 개구부(115) 내와 개구부(115) 주변의 제1산화막 패턴(110a) 표면에 단결정 실리콘막(120)을 100Å 내지 10000Å의 두께로 성장시킨다.
상기 SEG 공정은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RTCVD(rapid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ALCVD(atomic layer chemical vapor deposition)에서 700℃ 내지 900℃의 온도 및 5 torr 내지 10 torr의 압력에서 수행한다.
이어서, 도 3d 및 4d를 참조하면, 단결정 실리콘막(120)을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 공정을 수행하여 제1산화막 패턴(110a)과 동일하게 편평한 표면을 갖는 반도체층(120a)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3e 및 4e를 참조하면, 반도체층(120a)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제1산화막 패턴(110a)을 불산(HF) 용액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상기 제거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00)의 소정영역에 메사(mesa)형의 반도체층(120a)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3f 및 4f를 참조하면, 반도체층(120a)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2산화막(125)과 제1실리콘질화막(130)을 차례로 증착한다.
이어서, 도 3g 및 4g를 참조하면, 미도시 하였지만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실리콘질화막(130) 상부에 반도체층(65, 도 2참조)의 확장된 일단부(60, 도 2참조)에 대향하는 타단부를 둘러싸도록 제1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계속하여, 먼저, 도 3g에서는 제1실리콘질화막(130)과 제2산화막(125)을 에치백과 같은 식각을 수행하여 반도체층(120a)의 양측에 반도체층(120a)과 후속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도 3i 참조)과의 쇼트(short)를 방지하기 위한 제1스페이서들(130a)을 형성하고, 계속하여 도 4g에서는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하여 제1실리콘질화막(130)과 제2산화막(125)을 식각하여 반도체층(120a)과 후속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 패드(도 4i 참조)와의 쇼트(short)를 방지하기 위한 제1스페이서 패드(130b)를 반도체층(120a)을 둘러싸도록 형성한다.
이어서, 도 3h 및 4h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게이트 산화막(135)과 폴리실리콘막(140)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3i 및 4i를 참조하면, 미도시 하였지만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폴리실리콘막(140) 상부에 반도체층(65, 도 2참조)과 접촉하지 않고, 스페이서 패드(70, 도 2참조) 둘러싸도록 제2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계속하여, 먼저, 도 3i에서는 폴리실리콘막(140)과 게이트 산화막(135)을 에치백 같은 식각을 수행하여 제1스페이서들(130a)의 측벽에 게이트 전극들(140a)을 형성하고, 계속하여, 도 4i에서는 상기 제2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이용하여 폴리실리콘막(140)과 게이트 산화막(135)을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 패드(140b)를 반도체 층(120a)에 접촉되지 않고, 제1스페이서 패드(130b)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한다.
이어서, 도 3j를 참조하면, 게이트 전극들(140a), 제1스페이서들(130a) 및 반도체층(120a)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100)에 저농도 불순물 도핑하여 저농도 소오스 영역(14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저농도 불순물의 이온주입 조건은 이온주입 에너지는 30KeV 이하로 설정하고, As 이온을 1.0E13∼1.0E15 atoms/㎠ 도즈(does)로 진행한다.
계속하여, 반도체 기판(100)에 할로 불순물을 도핑하여 저농도 소오스 영역(145) 측면 및 게이트 전극들(140a)의 하부에 할로 불순물 영역(150)을 형성한다. 상기 할로 불순물의 이온주입 조건은 이온주입 에너지를 1 내지 30KeV로 설정하고, B 이온을 1.0E13∼1.0E15 atoms/㎠ 도즈(does)로 진행한다.
이어서, 도 3k 및 도 4j를 참조하면, 게이트 전극들(140a) 및 게이트 전극의 패드(140b)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에 제3산화막과 제2실리콘질화막을 형성한 후에, 상기 제2실리콘 질화막과 제3산화막을 이방성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들(140a) 및 게이트 전극의 패드(140b) 측벽에 제2스페이서들(160)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3l을 참조하면, 제2스페이서들(160), 게이트 전극들(140a), 제1스페이서(130a)들 및 반도체층(120a)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100)에 고농도 불순물 도핑하여 고농도 소오스 영역(165)을 형성하고, 반도체층(120a)에도 고농도 불순물이 도핑되어 고농도 드레인 영역(170)을 형성한다. 상기 고농도 불순물의 이온주입 조건은 이온주입 에너지를 1 내지 30KeV로 설정하고, As 이온을 1.0E13∼1.0E15 atoms/㎠ 도즈(does)로 진행한다.
이어서, 도 3m을 참조하면, 상기 결과물들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에 어닐링 공정을 수행하여 고농도 드레인 영역(170)에 도핑된 고농도 불순물이 반도체 기판(100)에 확산되어 고농도 드레인 영역(170) 하부의 반도체 기판(100)에 저농도 드레인 영역(17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어닐링 공정은 RTA(rapid thermal annealing) 방식으로 850 내지 1050℃의 온도에서 5 내지 200초 동안 진행된다.
이로써, 반도체 기판(100)의 소정영역 상에 메사(mesa)형의 반도체층(120a)을 형성한 후에, 반도체층(120a)을 이용하여 게이트 전극(130a) 및 비대칭의 불순물 영역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은 실시예1의 p형 반도체 기판에 n형 불순물이 도핑하여 n 웰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과 이온주입 조건을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각 도면에 있어서, 상기 도 3a 내지 도 3j의 참조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표시한 부분은 동일부재를 나타내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언급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중간 단계 구조물의 단면도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p형 반도체 기판(100)에 n형 불순물을 도핑하여 n 웰(103)을 형성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게이트 전극들(140a), 제1스페이서들(130a) 및 반도체층(120a)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100)에 저농도 불순물 도핑하여 저농도 소오스 영역들(147)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저농도 불순물의 이온주입 조건은 이온주입 에너지를 30KeV 이하로 설정하고, BF2 이온을 1.0E14∼1.0E16 atoms/㎠ 도즈(does)로 진행한다.
계속하여, 반도체 기판(100)에 할로 불순물을 도핑하여 저농도 소오스 영역들(147)의 측면 및 게이트 전극들(140a)의 하부에 할로 불순물 영역들(152)을 형성한다. 상기 할로 불순물의 이온주입 조건은 이온주입 에너지를 100KeV 이하로 설정하고, As 이온을 1.0E13∼1.0E15 atoms/㎠ 도즈(does)로 진행한다.
이어서, 도 5c를 참조하면, 제2스페이서들(160), 게이트 전극들(140a), 제1스페이서들(130a) 및 반도체층(120a)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100)에 고농도 불순물을 도핑하여 고농도 소오스 영역들(167)을 형성하고, 반도체층(120a)에도 고농도 불순물이 도핑되어 고농도 드레인 영역(172)을 형성한다. 상기 고농도 불순물의 이온주입 조건은 이온주입 에너지를 1 내지 30KeV로 설정하고, B 이온을 1.0E14∼1.0E16 atoms/㎠ 도즈(does)로 진행한다.
이어서,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결과물들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을 어닐링 공정을 수행하여 고농도 드레인 영역(172)에 도핑된 고농도 불순물이 반도체 기판(100)에 확산되어 고농도 드레인 영역(172) 하부의 반도체 기판(100)에 저농도 드레인 영역(177)을 형성한다.
이로써, 반도체 기판의 소정영역 상에 메사(mesa)형의 반도체층(120a)을 형성한 후에 상기 반도체층(120a)을 이용하여 게이트 전극들(140a) 및 비대칭의 불순물 영역을 갖는 PMOS 트랜지스터을 형성한다.
<실시예3>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은 실시예1과 실시예2의 반도체층(120a)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실시예2에 도시한 NMOS 및 PMOS 트랜지스터 형성방법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반도체층(120a)을 형성하는 방법만을 기술한다. 그리고, 각 도면에 있어서, 상기 도 3a 내지 도 3j의 참조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표시한 부분은 동일부재를 나타내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언급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중간 단계 구조물의 단면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중간 단계 구조물의 단면도들이다.
도 6a 및 도 7a를 참조하면, p형 반도체 기판(100)에 소자분리막(105)을 STI(shallow trench isolation)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미도시 하였지만, p형 반도체 기판(100)에 n형 불순물을 도핑하여 n 웰을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하여, 소자분리막(105)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1산화막(110)을 형성한다. 계속하여, 제1산화막(110)을 패터닝하여 반도체 기판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15)를 갖는 제1산화막 패턴(110a)을 형성한다.
계속하여, 개구부 내와 제1산화막 패턴(110) 표면에 다결정 실리콘막(190)을 100Å 내지 100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그리고 다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RTCVD(rapid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ALCVD(atomic layer chemical vapor deposition) 에서 700℃ 내지 900℃의 온도 및 5 torr 내지 10 torr의 압력에서 수행한다.
이어서, 도 6b 및 도 7b를 참조하면, 다결정 실리콘막(190)을 제1산화막 패턴(110a)의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 공정을 수행하여 제1산화막 패턴(110a)과 동일하게 편평한 표면을 갖는 반도체층(190a)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6c 및 도 7c를 참조하면, 반도체층(190a)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제1산화막 패턴(110a)을 불산(HF) 용액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상기 제거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00)의 소정 부위에 메사(mesa)형의 반도체층(190a)을 형성한다.
이로써, 다결정 실리콘막(190)을 이용하여 메사(mesa)형의 반도체층(190a)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반도체층을 이용하여 게이트 전극 및 비대칭의 불순물 영역을 갖는 반도체 소자를 형성함으로 나노미터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할 때 발생하는 리소그라피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단채널효과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비대칭의 저농도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갖는 트랜지스터의 형성방법의 문제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레이아웃도이다.
도 3a 내지 도 3m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중간 단계 구조물의 단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j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중간 단계 구조물의 단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중간 단계 구조물의 단면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중간 단계 구조물의 단면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중간 단계 구조물의 단면도들이다.
<주요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반도체 기판 20 : 수직 이온주입
25 : 경사각 이온주입 30, 145, 147 : 저농도 소오스 영역
35, 175, 177 : 저농도 드레인 영역 40 : 오프셋(offset) 영역
50 : 레이아웃도 55 : 활성영역
60 : 반도체층의 확장된 일단부 65, 120a, 190a : 반도체층
70, 130b : 스페이서 패드 75, 140b : 게이트 전극 패드
80 : 드레인 콘택홀 85 : 게이트 콘택홀
90 : 소오스 콘택홀들 100 : 반도체 기판
103 : n 웰 105 : 소자분리막
110 : 제1산화막 110a : 제1산화막 패턴
115 : 개구부 120 : 단결정 실리콘막
125 : 제2산화막 130 : 제1실리콘질화막
130a : 제1스페이서들 135 : 게이트 산화막
140 : 폴리실리콘막 140a : 게이트 전극들
150, 152 : 할로 불순물 영역 160 : 제2스페이서들
165, 167 : 고농도 소오스 영역 170, 172 : 고농도 드레인 영역
190 : 다결정 실리콘막

Claims (21)

  1. 반도체 기판의 소정의 영역 상에 메사(MESA)형의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층의 양측에 제1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스페이서들의 측벽에 게이트 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들, 제1스페이서들 및 반도체층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에 저농도 불순물 도핑하여 저농도 소오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들, 제1 스페이서들 및 반도체층을 이용하여 상기 저농도 소오스 영역의 측벽 및 게이트 전극들의 하부에 할로(halo) 불순물을 도핑하여 할로 불순물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들의 측벽에 제2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스페이서들, 게이트 전극들 및 제1 스페이서들를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에 고농도 불순물을 도핑하여 고농도 소오스 영역을 형성하고, 반도체층에 고농도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물들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어닐링 공정을 수행하여 고농도 드레인 영역에 도핑된 고농도 불순물이 반도체 기판에 확산되어 상기 고농도 드레인 영역 하부의 반도체 기판에 저농도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단결정 실리콘 패턴 또는 다결정 실리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결정 실리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전면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개구부 내와 상기 개구부 주변의 패터닝된 절연막 표면에 선택적 에피텍시 성장 공정을 이용하여 단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결정 실리콘막을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 공정을 이용하여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패터닝된 절연막을 불산(HF) 용액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메사(MESA)형의 단결정 실리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결정 실리콘막은 100Å 내지 10000Å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에피텍시 성장 공정은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RTCVD(rapid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ALCVD(atomic layer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에피텍시 성장 공정은 700℃ 내지 900℃의 온도 및 5 torr 내지 10 torr의 압력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실리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전면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개구부 내와 패터닝된 절연막 표면에 다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결정 실리콘막을 상기 패터닝된 절연막의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 공정을 이용하여 평탄화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터닝된 절연막을 불산 용액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메사(MESA)형의 다결정 실리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실리콘막은 100Å 내지 10000Å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LPCVD, RTCVD 또는 ALCVD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700 내지 900℃의 온도 및 5 내지 10 torr의 압력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의 양측에 제1스페이서들을 형성할 시에 반도체층의 일단부를 둘러싸는 제1스페이서 패드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페이서들의 측벽에 게이트 전극들을 형성할 시에 상기 반도체층과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1 스페이서 패드의 일부를 둘러싸는 게이트 전극 패드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공정은 RTA(rapid thermal annealing) 방식으로 850 내지 1050℃의 온도에서 5 내지 200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은 P형 반도체 기판이고, 상기 저농도 불순물은 As로 이루어지고, 할로 불순물은 B로, 고농도 불순물은 As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불순물의 이온주입 에너지는 30KeV 이하로 설정하고, As 이온을 1.0E13∼1.0E15 atoms/㎠ 도즈(does)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 불순물의 이온주입 조건은 이온주입 에너지를 1 내지 30KeV로 설정하고, B 이온을 1.0E13∼1.0E15 atoms/㎠ 도즈(does)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 불순물의 이온주입 조건은 이온주입 에너지를 1 내지 30KeV로 설정하고, As 이온을 1.0E13∼1.0E15 atoms/㎠ 도즈(does)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은 n 웰이 형성된 P형 반도체 기판이고, 상기 저농도 불순물은 As로 이루어지고, 할로 불순물은 B로, 고농도 불순물은 As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불순물의 이온주입 조건은 이온주입 에너지를 30KeV 이하로 설정하고, BF2 이온을 1.0E14∼1.0E16 atoms/㎠ 도즈(does)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 불순물의 이온주입 조건은 이온주입 에너지를 100KeV 이하로 설정하고, As 이온을 1.0E13∼1.0E15 atoms/㎠ 도즈(does)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 불순물의 이온주입 조건은 이온주입 에너지를 1 내지 30KeV로 설정하고, B 이온을 1.0E14∼1.0E16 atoms/㎠ 도즈(does)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KR10-2004-0007460A 2004-02-05 2004-02-05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KR100525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460A KR100525960B1 (ko) 2004-02-05 2004-02-05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US11/049,533 US7045429B2 (en) 2004-02-05 2005-02-02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460A KR100525960B1 (ko) 2004-02-05 2004-02-05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292A true KR20050079292A (ko) 2005-08-10
KR100525960B1 KR100525960B1 (ko) 2005-11-02

Family

ID=34825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460A KR100525960B1 (ko) 2004-02-05 2004-02-05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45429B2 (ko)
KR (1) KR1005259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9436B2 (en) 2008-01-14 2011-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01B1 (ko) * 2003-01-09 2009-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드 게이트를 구비하는 소노스 메모리 소자 및 그제조방법
KR100674970B1 (ko) * 2005-04-21 200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스페이서들을 이용한 미세 피치의 패턴 형성 방법
US8999786B1 (en) * 2007-03-20 2015-04-07 Marvell International Ltd. Reducing source contact to gate spacing to decrease transistor pitch
CN103426756B (zh) * 2012-05-15 2016-02-10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CN103779222A (zh) * 2012-10-23 2014-05-07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Mosfet的制造方法
CN104362177B (zh) * 2014-10-10 2018-09-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nmos器件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2121A (ja) 1996-03-15 1997-09-22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KR100221627B1 (ko) 1996-07-29 1999-09-15 구본준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6180502B1 (en) * 1998-11-30 2001-01-30 Intel Corporation Self-aligned process for making asymmetric MOSFET using spacer gate techniq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9436B2 (en) 2008-01-14 2011-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45429B2 (en) 2006-05-16
US20050176207A1 (en) 2005-08-11
KR100525960B1 (ko)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9486B2 (ja) 半導体装置
KR101792916B1 (ko) 핀펫 소자의 구조 및 형성 방법
US11114551B2 (en) Fin field-effect transistor having counter-doped regions between lightly doped regions and doped source/drain regions
JP4148717B2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3821707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489467B2 (ja) 半導体装置の形成方法
US7052965B2 (en) Methods of fabricating MOS 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pocket regions using implant blocking patterns
KR100840661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704542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7394120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shaped gate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4063380A1 (zh) Mosfet的制造方法
US6432781B2 (en) Inverted MOSFET process
CN109273360B (zh) 半导体装置的制作方法
KR10037012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11075268B2 (en) Transistors with separately-formed source and drain
JP2004311999A (ja) 浅いソース/ドレーン領域を有する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CN109427584B (zh) 一种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及半导体器件
JP3049496B2 (ja) Mosfetの製造方法
JP2008066548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11444195B2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with asymmetric strained source/drain structure
TWI790476B (zh) 積體電路晶粒及其製造方法
KR101033411B1 (ko)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40060487A (ko) 반도체 장치의 트렌지스터 형성 방법
KR100353466B1 (ko)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9722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