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224A -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224A
KR20050079224A KR1020050008986A KR20050008986A KR20050079224A KR 20050079224 A KR20050079224 A KR 20050079224A KR 1020050008986 A KR1020050008986 A KR 1020050008986A KR 20050008986 A KR20050008986 A KR 20050008986A KR 20050079224 A KR20050079224 A KR 20050079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cus
captured
display
pi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248B1 (ko
Inventor
츠지모토토쿠스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2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Focusing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과제
촬영자의 판단을 불필요하게 하고, 포커스 제어 전후의 복수의 촬상 화상에 대해 자동적으로 촬영한 화상의 핀트의 상태 및 핀트 보케의 영역을 나타낸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우선, 화상 취득부(31, 32, 33)에 있어서 CCD(3)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 중 적어도 포커스 제어에 관련하여 복수의 촬상 화상을 취득한다. 다음에, 화상 비교부(34)는 취득된 복수의 촬상 화상의 포커스 위치의 포커스 상태를 비교한다. 그리고, 핀트 보케 판정부(35)는 비교된 복수의 촬상 화상 중 포커스가 맞지 않는 촬상 화상을 판정한다. 이로써, 에러 표시 신호 발생(36)은 포커스가 맞지 않다고 판정된 촬상 화상에 대해 표시부(6)에 에러 영역의 표시를 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METHOD}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하기 알맞은 촬영 전에 핀트 보케를 검출하는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전자 카메라 장치에서는, 촬영시의 화상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용의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받아들여지는 피사체의 화상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에 의한 촬상 소자에 의해 광전 변환, 신호 변환 및 신호 처리 등이 시행된 후에 표시 장치에 피사체의 모니터 화상(이른바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이 모니터 화상을 보면서 사용자가 소망하는 타이밍에서 셔터를 누르면 촬영이 이루어지고, 신호 처리 후의 피사체의 촬영 화상은 기록 화상의 데이터로서 기억 매체에 기록되고, 보존된다. 또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보존된 기록 화상의 정보를 판독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상에 재생하여 표시하거나 외부 장치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통상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모니터 화상의 해상도는 기록 매체에 보존되는 기록 화상의 해상도보다 낮기 때문에, 기록 화상보다 선명도가 낮은 화상으로서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 시판중인 디지털 카메라의 어떤 기종을 예로 들면, 기록 화상의 해상도는 640×480이고, 모니터 화상의 해상도는 220×279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셔터를 눌렀을 때에 손 떨림이나 포커스가 완전히 맞지 않음 등에 의해 촬영한 화상이 핀트 보케로 되어 있어도, 그 시점에서는 촬상 장치상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되는 화상으로부터는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촬영한 화상을 재생할 때에 화상의 일부를 확대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가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촬영한 화상의 일부를 확대하여 핀트의 확인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기록 모드로 촬영을 행하고, 촬영이 끝나면 재생 모드로 전환하여 그 기록 화상을 재생 및 확대하여 핀트를 확인하고, 핀트 보케가 있으면 재차 기록 모드로 전환하여 다시 촬영한다는 순서를 밟을 필요가 있고, 촬영자에 있어서 조작이 번잡하고도 번거롭다는 문제가 남아 있다. 그래서, 받아들인 모니터 화상의 포커스 위치에 상당하는 화상 부분의 일부를 확대하여 핀트를 확인하면서 촬영하고, 촬영한 화상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는 전자 카메라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특허 문헌 1]
특개평11-196301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전자 카메라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확대 표시된 낮은 해상도의 화상 부분에 의거하여 핀트가 맞았는지의 여부를 촬영자가 판단하여야 하며, 핀트 보케의 판단은 곤란하였다. 또한, 핀트가 맞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촬영하여야 하기 때문에 촬영 기회를 놓쳐 버린다는 불편한 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핀트가 맞았는지의 여부에 관한 촬영자의 판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포커스 제어 전후의 복수의 촬상 화상에 대해 자동적으로 촬영한 화상의 핀트 상태를 촬영자에게 알리고, 또한 촬영된 화상을 확인할 때에 핀트 보케의 영역을 나타내 주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 중 적어도 상기 포커스 제어에 관련하여 복수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과,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상 화상의 포커스 위치의 포커스 상태를 비교하는 화상 비교 수단과, 화상 비교 수단에 의해 비교된 복수의 촬상 화상 중 포커스가 맞지 않는 촬상 화상을 판정하는 초점 안맞음 판정 수단과, 초점 안맞음 판정 수단에 의해 포커스가 맞지 않다고 판정된 촬상 화상에 대해 표시 수단에 에러 영역의 표시를 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에러 표시 신호 발생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 방법은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 중 적어도 포커스 제어에 관련하여 복수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스텝과, 화상 취득 스텝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상 화상의 포커스 위치의 포커스 상태를 비교하는 화상 비교 스텝과, 화상 비교 스텝에 의해 비교된 복수의 촬상 화상 중 포커스가 맞지 않는 촬상 화상을 판정하는 초점 안맞음 판정 스텝과, 초점 안맞음 판정 스텝에 의해 포커스가 맞지 않다고 판정된 촬상 화상에 대해 표시 수단에 에러 영역의 표시를 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에러 표시 신호 발생 스텝을 구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있어서, 화상 취득 수단은 포커스 제어에 관련하는 복수의 촬상 화상으로서 포커스 제어 전에 있어서의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 포커스 제어 후에 있어서의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 및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전에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후단의 처리에 이용 가능하게 취득한다. 화상 비교 수단은 포커스 제어 전에 있어서의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 포커스 제어 후에 있어서의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 및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전에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포커스 위치의 포커스 상태를 비교한다. 초점 안맞음 판정 수단은 비교된 포커스 제어 전에 있어서의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 포커스 제어 후에 있어서의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 및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전에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 중 포커스가 맞지 않는 촬상 화상을 판정한다. 에러 표시 신호 발생 수단은 포커스가 맞지 않다고 판정된 촬상 화상에 대해 표시 수단에 에러 영역의 표시를 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포커스 제어에 관련하는 복수의 촬상 화상으로서는 포커스 제어 전에 있어서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 포커스 제어 후에 있어서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 및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전에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이 사용된다. 이들의 복수의 화상을 이용함에 의해 촬영한 화상을 확대하여 확인하는 일 없이 이들의 화상 중 어느 화상이 촬영자가 의도한 피사체에 핀트가 맞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핀트 어긋남의 가능성이 있을 때는 촬영자에게 경고로서 메시지 또는 소리 등으로 알리고, 실제로 핀트 보케가 생겨 있는 영역을 나타낼 수가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의 한 실시예로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촬상 장치는 주로 광학계 블록과 제어계 블록으로 구성된다. 광학계 블록은 촬영 렌즈(1)와, 오토포커스(AF) 렌즈를 갖는 AF 제어부(2)와, AF 제어부(2)의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회로(8)와, CCD등의 고체 촬상 소자(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계 블록은 신호 처리 회로(4)와, 내부 메모리(5)와, 액정 패널 등의 표시부(6)와, 촬영된 데이터를 기록 매체(12)에 기록하는 기록부(7)와, 고주파 성분으로부터 추출한 초점맞춤을 위한 평가치를 처리하기 위한 평가치 처리 회로(9)와, 핀트 보케가 있을 때에 촬영자에게 메시지 또는 소리 등으로 알리는 경고부(11)와, 반누름 오토포커스 제어의 로크를 지시하여 깊이 눌러 촬영 동작을 지시하는 셔터 키(13)와, 이들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도시하지 않은 전원부로부터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모니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6)가 모니터링 상태로 된다. 그리고, 피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은 촬영 렌즈(1)를 통하여 오토포커스 렌즈(2)에서 초점맞춤되어 CCD 등의 고체 촬상 소자(3)의 수광면에 화상으로서 결상된다. 이 수광면에 결상된 화상은 그 화상을 형성하는 반사광의 광량에 따른 량의 신호 전하로 변환되고, 액정 패널 등의 표시부(6)에 표시된다.
이 때, 입사된 화상을 형성하는 반사광의 데이터는 일단 내부 메모리(5)에 보존되고, 이 보존된 데이터의 고주파 성분이 평가치 처리 회로(9)에 공급되어, 초점맞춤을 위한 평가치가 형성되고, CPU(10)에 보내진다. CPU(10)는 평가치 처리 회로(9)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AF 제어부(2)에 의해 오토포커스 렌즈가 초점맞춤이 되도록 모터 구동 회로(8)를 순차적으로 제어한다. 이 오토포커스 제어는 셔터 키(13)의 반누름(반셔터) 조작시에 실행된다.
도 2에, AF 제어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2에 있어서 촬상된 화상은 CCD 등의 고체 촬상 소자(3)에 의해 광전 변환되고,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21), AGC(Automatic Gain Control)(22) 및 AD(Analog to Digital) 변환부(23)에 의해 신호 변환 처리가 시행된다. 그 후, 신호 처리부(24)에서 CPU(10)로부터의 검출 범위의 선정(C1)에 의거하여 화상의 고주파 성분이 추출되고, AF 검파 회로(25)에 보내진다. AF 검파 회로(25)는 이 입력된 고주파 성분을 1필드 기간 적분하고, CPU(10)는 이 적분치가 최대가 되도록 모터 구동 회로(8)에 제어 신호(C2)를 공급하여 오토포커스 렌즈(27)를 이동시키는 모터(26)를 제어한다.
도 1에 도시한 내부 메모리(5)에는 상기 오토포커스 제어시의 모니터 화상의 선예도(鮮銳度) 데이터도 일시적으로 보존된다. 그리고, 이 오토포커스 제어 상태에 있어서도 표시부(6)에 모니터 화상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셔터 키(13)의 반누름 조작이 이루어지고, 오토포커스 제어의 로크가 지시되면, 도 2에 도시한 오토포커스 제어 방식 등에 의해 화상은 비교적 용이하게 초점맞춤한다. 이 때, 앞의 셔터 키(13)의 반누름 직전의 모니터 화상의 선예도 데이터를 보존한 채, 또한 로크시의 선예도 데이터를 보존하도록 한다. 이 모니터링 상태 및 로크 상태의 모니터 화상도 표시부(6)에 표시되고, 이 후, 셔터 키(13)가 깊이 눌리면 화상 데이터가 캡쳐되는 상태로 되어 내부 메모리(5)에 보존된다. 이 캡쳐 상태도 표시부(6)에 모니터 화상으로서 표시됨과 함께, 이 실제로 캡쳐된 화상의 고주파 성분으로부터도 마찬가지로 선예도 데이터가 산출된다.
상술한 3개 화상의 선예도 데이터, 즉, 모니터 화상, 로크 화상 및 캡쳐 화상의 선예도 데이터가 평가치 처리 회로(9)에 공급되고 연산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CPU(10)는 이 연산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손 떨림이나 핀트 보케를 판단하고, 핀트 보케를 일으키고 있을 가능성이 있을 때는 경고부(11)를 통하여 촬영자에게 알림과 함께 촬영자에 대해 기록 매체(12)에 기록하는지의 여부의 문의를 행하도록 한다.
도 3은, 핀트 보케 검출에 관한 CPU의 기능 블록도이지만, 여기서는 CPU 이외의 메모리(5) 및 평가치 처리 회로(9)를 포함하는 기능 블록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모니터링 화상 취득부(31)는 촬영 직전의 포커스 제어 전에 있어서의 표시부(6)에 표시되는 모니터링시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하는 기능 블록, 반셔터 화상 취득부(32)는 포커스 제어 후에 있어서의 오토포커스 제어의 로크시의 로크 화상을 취득하는 기능 블록이다. 또한, 화상 취득부(33)는 내부 메모리(5)에 촬상 화상의 데이터가 보존되는 캡쳐시의 캡쳐 화상을 취득하는 기능 블록이다.
화상 비교부(34)는 모니터 화상, 로크 화상 및 캡쳐 화상의 포커스 위치의 포커스 상태를 비교하는 기능 블록이고, 핀트 보케 판정부(35)는 화상 비교부(34)에 의해 비교된 모니터 화상, 로크 화상 및 캡쳐 화상 중 포커스가 맞지 않는 촬상 화상을 판정하는 기능 블록이다. 핀트 보케 표시 신호 발생부(36)는 핀트 보케 판정부(35)에 의해 포커스가 맞지 않다고 판정된 촬상 화상에 대해 표시부(6)에 에러 영역의 표시를 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기능 블록이다.
또한, 화상 보존부(37)는 화상 비교부(34)에 의해 비교된 모니터 화상, 로크 화상 및 캡쳐 화상을 보존하는 기능 블록이고, 화상 보간부(38)는 화상 보존부(37)에 보존된 화상 중 핀트 보케 판정부(35)에 의해 포커스가 맞지 않다고 판정된 촬상 화상에 대해 초점 안맞음 결과에 의거하여 보간을 행하는 기능 블록이다. 그리고, 가장 양호한 화상 선택부(39)는 핀트 보케 판정부(35)에 의해 포커스가 맞지 않다고 판정된 촬상 화상을 그 초점 안맞음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화상 보존부(37)에 보존된 화상 중에서 보다 초점맞춤에 가까운 다른 양호한 화상으로 바꾸는 선택을 행하는 기능 블록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트 보케 판정부(35)에 의해 앞의 3개의 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평가치의 차분이 연산됨에 의해 캡쳐한 화상의 핀트 보케 화상 부분이 판정된다. 이 때, 핀트 보케 표시 신호 발생부(36)가 발생한 에러 영역의 표시 신호에 의해 표시부(6)의 프리뷰 화면상에서 핀트 보케가 발생하고 있는 부분을 다른 영역과 다른 색의 마킹을 부가하여 표시하고, 경고부(11)를 통하여 촬영자에게 핀트 보케 경고를 촉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촬영하고 싶은 대상물에 핀트 보케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는, 그 부분이 마킹되기 때문에 촬영자는 용이하게 그 부분을 알 수 있다. 또한, 촬영자는 핀트 보케가 발생하고 있는 부분을 용이하게 알수 있기 때문에 촬영자가 의도하지 않는 곳의 보케나, 깃발 등 항상 움직이고 있는 것의 보케 등의 경우에 충분히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4는 핀트 보케 표시 신호 발생부의 신호 생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핀트 보케 판정부(35)에 의해 포커스가 맞지 않는 부분 또는 포커스가 맞는 부분이 있다고 판정된 촬상 화상(41)에 대해 도 3에 도시한 핀트 보케 표시 신호 발생부(36)는 에러 영역을 나타내는 적색 또는 초점맞춤 영역을 나타내는 청색의 표시 신호(42)를 발생하고 도 1의 표시부(6)에 보내고, 촬상 화상(41)에 적색 또는 청색의 표시 신호(42)를 가산하여 표시부(6)에서 표시한다.
도 5는 평가 처리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모든 화면 AF 검파시, 도 5의 B는 모니터링시, 도 5의 C는 반셔터(로크)시, 도 5의 D는 캡쳐시이다. 도 6은 평가 처리의 조합에 의한 판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의 A는 모니터링시, 도 6의 B는 반셔터(로크)시, 도 6의 C는 캡쳐시이다.
도 5의 A는 모든 화면 AF 검파시에 있어서의 AF 검파 영역이 있는 검파 태두리의 1라인의 화상(51)을 도시하고, 종축은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평가치(선예도), 횡축은 화상의 깊이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5의 A의 모든 화면 AF 검파시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하나의 화상 중에 복수의 선예도의 산(山)(Ⅰ), (Ⅱ), (Ⅲ)이 있다.
도 5의 B에 도시한 모니터링시에는, 이 복수의 산(山) 중에서 가장 선예도가 높은 산(Ⅱ) 하나에 포커스는 맞추어진다. 이 모니터링시를 고려한 경우 2개의 상황을 생각할 수 있다. 즉, 하나는 (a)로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시 산은 높고 거의 핀트가 맞는 초점맞춤 상태이고, 또 하나는 (b)와 같은 산이 낮고 핀트가 맞지 않는 초점 안맞음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셔터 키(11)가 반누름되면 도 5의 C에 도시한 오토포커스 제어의 로크시로 이행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오토포커스 제어 방식 등에 의해 오토포커스 렌즈(27)(도 2 참조)가 포커스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 때, 고려할 수 있는 상황으로서는 (c)와 같은 앞의 (a)와 같이 산이 거의 동등한 선예도의 초점맞춤 상태와, (d)와 같은 모니터링시의 (a) (b)와 같은 산이며 선예도가 높아지는 방향(화살표로 나타내는 산이 커지는 방향), 즉 핀트가 맞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초점맞춤 이행 상태와, (e)와 같은 (d)와는 역으로 산이 작아지고 선예도가 떨어지고(화살표로 나타내는 산이 작아지는 방향) 핀트가 빗나가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초점 안맞음 이행 상태와, (f)와 같은 포커스를 맞추는 산이 (Ⅱ)의 산(점선)으로부터 다른 (Ⅲ)의 산으로 이동하는 상태, 즉 촬영자가 찍고 싶은 것이 아닌 피사체에 핀트가 맞아 버리는 상태가 있다.
다음에, 도 5의 D에 굵은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로 화상을 캡쳐하였을 때에 생각되는 것으로서는, (g)와 같이 로크시에 핀트가 맞은 상태인 채 캡쳐된 초점맞춤 상태와, 그 이외의 (h)와 같이 어떠한 이유에 의해 굵은 선이 변화(내려가면 손 떨림이나 핀트 보케, 올라가면 우연히, 고휘도의 것이 들어간 등)하여 선예도가 변화하는 상태가 있다. 이와 같이 핀트 보케에는 다양한 원인이 고려되며, 실제는 이들의 다양한 요인의 조합 중에서 핀트 보케의 요인이 판단되고 있다.
도 6은, 핀트 보케의 판단을 다양한 요인을 갖는 트리형상의 조합으로 표현한 것이며, ○표는 성공을 나타내고 ×표는 핀트 보케의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6의 A에 도시한 모니터링시에 (a)의 핀트가 맞는 초점맞춤 상태일 때에 다음의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시에 (e)의 산이 작아지는 경우, 또는, (f)와 같이 다른 산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로 된 경우에는 이 후, 촬영된 사진은 핀트 보케 상태로 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들의 경우는 ×표(65) 또는 ×표(66)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핀트 보케로 되기 때문에 경고부(11)(도 1 참조)를 통하여 촬영자에게 경고한다. 또한 도 6의 B의 (c)와 같이 핀트가 맞는 초점맞춤 상태인 채, 또는 (d)와 같이 같은 산에서 더욱 핀트가 맞은 초점맞춤 이행 상태로 이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다음의 도 6의 C에 도시한 캡쳐시에 (g)의 상태, 즉 도 6의 B에 도시한 로크시의 핀트가 맞는 상태일 때만 ○표(61, 63)와 같이 핀트 보케가 없어진다. 그러나, 도 6의 C의 (h)와 같이 캡쳐된 화상이 선예도가 변화한 경우는 핀트 보케로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고, ×표(62, 64)로 되기 때문에 경고부(11)를 통하여 촬영자에게 경고가 발하여진다.
다음에 도 6의 A에 도시한 모니터링시에 (b)와 같이 핀트가 맞지 않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a)와 다른 것은 도 6의 B에 도시한 로크시의 (c)의 선예도의 산이 도 6의 A에 도시한 모니터링시와 같을 때는, ×표(67)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핀트 보케로 되고, 촬영자에게 경고부(11)(도 1 참조)를 통하여 경고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촬영 후에 핀트 보케의 가능성이 있는 것을 특정할 수 있고, 촬영자에게 그 취지를 경고할 수 있다. 그리고 핀트 보케라고 판단된 것은 앞의 3개의 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마킹 처리가 행해지기 때문에 핀트 보케를 수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스타트는 모니터링시를 나타내고, 그와 동시에 그 때의 선예도의 데이터를 도 1의 메모리(5)에 보존하고 있다. 다음에 셔터 키 반누름에 의해 오토포커스 제어가 로크되면, 로크시의 선예도의 데이터가 CCD(3)로부터 신호 처리 회로(4)에 출력된다(스텝 S1). 다음에, 모니터링시와 로크시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선예도의 산의 위치가 같은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2). 여기서 선예도의 산의 위치가 다르면, 촬영자가 의도하는 것이 아닌 것에 핀트가 맞아 버렸다는 것으로 되어 에러 정보가 부가된다(스텝 S5).
판단 스텝 S2에서, 선예도의 산의 위치가 같다고 판단된 경우는, 그 산의 크기의 대소 관계가 판단된다(스텝 S3, S4). 즉, 모니터링시의 핀트가 맞는 경우(도 6의 (a))는, 모니터링시의 선예도의 산의 크기가 로크시의 선예도의 산의 크기와 같거나 또는 커져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3). 그리고, 판단 스텝 S3에 있어서, 모니터링시의 선예도의 산의 크기가 로크시의 선예도의 산의 크기보다 작다고 판단된 경우는, 에러 정보가 부가된다(스텝 S5). 또한, 역으로, 판단 스텝 S3에 있어서 모니터링시의 선예도의 산의 크기가 로크시의 선예도의 산의 크기와 같거나 크다고 판단된 경우는 그대로 화상을 캡쳐하고 캡쳐된 화상으로부터 선예도의 데이터가 제작된다(스텝 S6).
한편, 모니터링시의 핀트가 맞지 않는 경우(도 5의 (b))는, 모니터링시의 선예도의 산의 크기가 로크시의 선예도의 산의 크기보다 큰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4). 여기서는, 선예도의 산의 크기가 로크시의 선예도의 산의 크기보다 커지고 핀트가 맞는 이외는 에러 정보가 부가된다(스텝 S5).
다음에, 판단 스텝 S3에서 모니터링시의 선예도의 산의 크기가 로크시의 선예도의 산의 크기와 같거나 크다고 판단된 경우 및 판단 스텝 S4에서, 모니터링시의 선예도의 산의 크기가 로크시의 선예도의 산의 크기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 및 스텝 S5에 있어서 에러 정보가 부가된 경우에는 화상 정보가 캡쳐된다(스텝 S6). 그리고, 이 캡쳐된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선예도 데이터와 앞의 로크시의 선예도 데이터의 산의 크기가 비교된다(스텝 S7).
이 판단 스텝 S7에 있어서, 캡쳐된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선예도 데이터의 산의 크기가 로크시의 선예도 데이터의 산의 크기와 같지 않다고, 즉 산의 크기가 변화하였다고 판단된 경우는 로크시부터 캡쳐시의 사이에 무엇인지 핀트가 벗어나는 일이 있었다고 간주하고, 에러 정보가 부가되고(스텝 S5), 스텝 S9로 진행한다.
또한, 판단 스텝 S7에 있어서, 캡쳐된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선예도 데이터의 산의 크기가 로크시의 선예도 데이터의 산의 크기와 같다고 판단된 경우는 그대로 다음 스텝으로 진행하고, 지금까지의 일련의 흐름에서 에러 정보가 부가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9).
판단 스텝 S9에서 에러 정보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는 그 화상을 도 1의 기록부(7)에 기록하고(스텝 S11), 재차 엔드의 모니터링 상태로 된다.
판단 스텝 S9에 있어서 에러 정보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는 도 1에 도시한 경고부(11)를 통하여 촬영자에게 핀트 보케의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림과 함께 촬영자에게 화상을 기록하는지의 여부 문의를 행한다(스텝 S10). 이 때, 기록된 화상은 프리뷰 화 등의 확인시에 있어서, 어느 부분에 핀트 보케가 발생하고 있는 것인지 알 수 있도록 앞의 3개의 화상 정보를 이용한 마킹 표시가 행하여진다.
도 8은, 에러 표시에 관련하여 마킹을 행하는 표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A는 어떤 피사체(82)의 기둥(柱)이 앞쪽으로부터 1번, 2번, 3번으로 서있는 상태에서, 2번의 기동에 핀트를 맞추어 촬상 장치(81)에 의해 촬영하려고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도 8의 B와 같이 피사체(82)의 2번의 기둥에 핀트가 맞은 촬영된 경우 즉 촬영에 성공한 경우는 도 1에 도시한 표시부(6)에 표시된 확인 화면(83)에서는 통상의 아무것도 처리되지 않은 피사체(82)의 화상만이 표시되게 된다.
그러나, 의도한 피사체(82)의 2번의 기둥이 아니라, 예를 들면 1번의 기둥에 핀트가 맞아 버렸던 경우, 즉 촬영에 실패한 경우는,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킹이 행하여져 표시된다. 여기서는 핀트가 맞는 방향으로 진행된 점의 1번의 기둥은 85와 같이 파랗게 마킹 표시되고, 핀트 보케가 발생하는 방향으로 진행된 점의 2번 및 3번의 기둥은 86과 같이 붉게 마킹 표시되어 있다. 이 예로 말하면 1번의 기둥이 파랗게 되고 다른 곳은 붉게 되어 있다. 이로써, 어디에 핀트가 맞아 버렸는지를 촬영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촬영시에 손 떨림을 일으켜 버린 경우는 전체적으로 핀트 보케가 발생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82)의 기둥 전부가 붉게 마킹 표시된다. 또한, 그 밖에도 핀트 보케가 발생하고 있는 부분의 윤곽 부분에 마킹 표시를 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실제로 평가치를 표시함에 의해 핀트 보케의 정도를 촬영자에게 알리는 등 다양한 표시 방법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이용하면, 도 1에 도시한 표시부(6)에 모니터링 표시되는 낮은 해상도에 의해 판단할 수 없는 핀트 보케의 발생도 촬상 장치측에서 자동적으로 판단되고, 확인할 때의 프리뷰 화상에 있어서도 핀트 보케가 발생하고 있는 영역을 표시해 주기 때문에 촬영자는 용이하게 핀트 보케 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로크시와 캡쳐시의 시간이 어떤 소정 시간보다 길다고 판단된 때는 종래 행하여지고 있는 포커스 로크 촬영으로 간주하고 재차, 스루 화상을 받아들일 수도 있다. 그리고, 로크 촬영시의 화상의 평가치와 그 후 캡쳐된 화상의 평가치를 비교함에 의해 핀트 보케를 판단하고, 핀트 보케가 발생하고 있는 영역을 마킹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순서도의 꾸미는 방법에 따라서는 캡쳐 전에 에러를 내고 셔터 키(13)를 누를 수 없도록 처리하도록 하는 등도 고려된다.
또한, 촬영시에 3개의 화상 정보를 기록하기 때문에, 후에 퍼스널 컴퓨터 또는 디지털 카메라상에서 화상 처리 등을 행할 때에 손 떨림 방향을 알 수 있어, 그 후의 처리에 유용하게 쓸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촬영할 때에 촬상 장치상의 표시부에서는 확인이 어려웠던 핀트 보케 화상도 촬상 장치측에서 자동적으로 판단되고 영역을 나타내 표시되기 때문에 촬영자는 용이하게 핀트 보케 상태를 알 수 있고, 보다 양호한 화상을 선택하는 등의 지시를 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화상 이외의 포커스 제어 전에 있어서의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 포커스 제어 후에 있어서의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도 취득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 확실하게 핀트가 맞은 피사체의 사진을 찍을 수 있기 때문에 촬상 장치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나 연소자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AF 제어부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핀트 보케 검출에 있어서의 CPU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핀트 보케 표시 신호 발생부의 신호 생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평가 처리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모든 화면 AF 검파시, 도 5의 B는 모니터링시, 도 5의 C는 반셔터(로크)시, 도 5의 D는 캡쳐시.
도 6은 평가 처리의 조합에 의한 판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의 A는 모니터링시, 도 6의 B는 반셔터(로크)시, 도 6의 C는 캡쳐시.
도 7은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에러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촬영 상태, 도 8의 B는 성공예, 도 8의 C는 실패예 1, 도 8의 D는 실패예 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촬영 렌즈 2 : AF 제어부
3 : 고체 촬상 소자 4 : 신호 처리 회로
5 : 내부 메모리 6 : 표시부
7 : 기록부 8 : 모터 구동 회로
9 : 평가치 처리 회로 10 : CPU
11 : 경고부 12 : 기록 매체
13 : 셔터 키 21 : CDS
22 : AGC 23 : AD 변환부
24 : 신호 처리부 25 : AF 검파 회로
26 : 모터 27 : 오토포커스 렌즈
31 : 모니터링 화상 취득부 32 : 반셔터 화상 취득부
33 : 캡쳐 화상 취득부 34 : 화상 비교부
35 : 핀트 보케 판정부 36 : 핀트 보케 표시 신호 발생부
37 : 화상 보존부 38 : 화상 보간부
39 : 가장 양호한 화상 선택부 41 : 화상
42 : 청신호 또는 적신호 61, 63, 68 : 성공
62, 64, 65, 66, 67, 69, 70, 71 : 실패
81 : 촬상 장치 82 : 피사체
83 : 확인 화면 84 : 에러 표시 화면
85 : 청색 마커 86 : 적색 마커
87 : 에러 표시 화면 88 : 적색 마커

Claims (7)

  1. 광학계의 포커스 제어를 통하여 촬상 수단에 의해 피사체를 촬상하고, 표시 수단에 촬상 화상을 표시함과 함께, 기록 수단에 의해 촬상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상기 촬상 화상 중 적어도 상기 포커스 제어에 관련하여 복수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상 화상의 포커스 위치의 포커스 상태를 비교하는 화상 비교 수단과,
    상기 화상 비교 수단에 의해 비교된 복수의 촬상 화상 중 포커스가 맞지 않는 촬상 화상을 판정하는 초점 안맞음 판정 수단과,
    상기 초점 안맞음 판정 수단에 의해 포커스가 맞지 않다고 판정된 촬상 화상에 대해 상기 표시 수단에 에러 영역의 표시를 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에러 표시 신호 발생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제어에 관련하는 복수의 촬상 화상은, 상기 포커스 제어의 전후의 복수의 촬상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상 화상은, 상기 포커스 제어 전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 상기 포커스 제어 후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 및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전에 상기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표시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에러 영역의 표시색을 다른 영역의 표시색과 다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비교 수단에 의해 비교된 복수의 촬상 화상을 보존하는 화상 보존 수단과,
    상기 화상 보존 수단에 보존된 화상 중 상기 초점 안맞음 판정 수단에 의해 포커스가 맞지 않다고 판정된 촬상 화상에 대해 상기 초점 안맞음 결과에 의거하여 보간을 행하는 화상 보간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비교 수단에 의해 비교된 복수의 촬상 화상을 보존하는 화상 보존 수단과,
    상기 초점 안맞음 판정 수단에 의해 포커스가 맞지 않다고 판정된 촬상 화상을, 상기 초점 안맞음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보존 수단에 보존된 화상 중 보다 초점맞춤에 가까운 다른 양호한 화상으로 바꾸는 선택을 행하는 양호한 화상 선택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광학계의 포커스 제어를 통하여 촬상 수단에 의해 피사체를 촬상하고, 표시 수단에 촬상 화상을 표시함과 함께, 기록 수단에 의해 촬상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촬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상기 촬상 화상 중 적어도 상기 포커스 제어에 관련하여 복수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스텝과,
    상기 화상 취득 스텝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촬상 화상의 포커스 위치의 포커스 상태를 비교하는 화상 비교 스텝과,
    상기 화상 비교 스텝에 의해 비교된 복수의 촬상 화상 중 포커스가 맞지 않는 촬상 화상을 판정하는 초점 안맞음 판정 스텝과,
    상기 초점 안맞음 판정 스텝에 의해 포커스가 맞지 않다고 판정된 촬상 화상에 대해 상기 표시 수단에 에러 영역의 표시를 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에러 표시 신호 발생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KR1020050008986A 2004-02-04 2005-02-01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KR1010822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28356 2004-02-04
JP2004028356A JP4352916B2 (ja) 2004-02-04 2004-02-04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224A true KR20050079224A (ko) 2005-08-09
KR101082248B1 KR101082248B1 (ko) 2011-11-09

Family

ID=3467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986A KR101082248B1 (ko) 2004-02-04 2005-02-01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60388B2 (ko)
EP (1) EP1562369A3 (ko)
JP (1) JP4352916B2 (ko)
KR (1) KR101082248B1 (ko)
CN (1) CN10048188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5670A (ko) * 2009-05-21 2010-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31536B1 (ko) * 2007-12-14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5333B2 (en) 2000-06-19 2009-06-30 University Of Washington Integrated optical scanning image acquisition and display
US7901348B2 (en) 2003-12-12 2011-03-08 University Of Washington Catheterscope 3D guidance and interface system
US7530948B2 (en) 2005-02-28 2009-05-12 University Of Washington Tethered capsule endoscope for Barrett's Esophagus screening
EP1954193B1 (en) 2005-11-23 2013-03-06 University of Washington Scanning beam with variable sequential framing using interrupted scanning resonance
US20070213618A1 (en) * 2006-01-17 2007-09-13 University Of Washington Scanning fiber-optic nonlinear optical imaging and spectroscopy endoscope
US9561078B2 (en) 2006-03-03 2017-02-07 University Of Washington Multi-cladding optical fiber scanner
US7483054B2 (en) * 2006-03-16 2009-01-27 Altek Corporation Image unsharpness test method for a camera device
WO2007109622A2 (en) * 2006-03-17 2007-09-27 University Of Washington Clutter rejection filters for optical doppler tomography
JP4985062B2 (ja) * 2006-04-14 2012-07-25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
KR100801027B1 (ko) * 2006-06-09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
JP4775644B2 (ja) * 2006-06-20 2011-09-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761146B2 (ja) * 2006-06-30 2011-08-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01577794B (zh) * 2006-07-25 2011-12-07 富士胶片株式会社 图像摄取系统
US20080084584A1 (en) * 2006-10-04 2008-04-10 Nokia Corporation Emphasizing image portions in an image
US8840566B2 (en) 2007-04-02 2014-09-23 University Of Washington Catheter with imaging capability acts as guidewire for cannula tools
WO2008137710A1 (en) 2007-05-03 2008-11-13 University Of Washington High resoluti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based imaging for intraluminal and interstitial use implemented with a reduced form factor
JP2009086955A (ja) * 2007-09-28 2009-04-23 Toshiba Corp カメラ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1968880A (zh) * 2010-09-10 2011-02-09 中国科学院软件研究所 一种图像散景效果的生成方法
KR20130104437A (ko) * 2012-03-14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이미지촬영 장치 및 방법
CN103324004B (zh) * 2012-03-19 2016-03-30 联想(北京)有限公司 对焦方法和图像捕捉装置
JP6124684B2 (ja) * 2013-05-24 2017-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102602B2 (ja) * 2013-07-23 2017-03-2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装置
CN105934940B (zh) * 2014-01-17 2019-12-24 索尼公司 图像处理装置、方法与程序
CN104168425B (zh) * 2014-09-02 2017-09-19 厦门美图之家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手持拍照抖动或对焦模糊的拍照方法与移动终端
US20200084392A1 (en) * 2018-09-11 2020-03-12 Sony Corporation Techniques for improving photograph quality for poor focus situations
CN115527100B (zh) * 2022-10-09 2023-05-23 广州佳禾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关联数据库的标识分析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7303A (en) * 1983-02-08 1989-05-02 Canon Kabushiki Kaisha Distance measuring device
US5103254A (en) 1990-05-29 1992-04-07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with subject highlighting and motion detection
JPH05127244A (ja) 1991-11-07 1993-05-25 Nikon Corp 焦点状態を表示する表示装置
JPH07281275A (ja) * 1994-04-04 1995-10-27 Nikon Corp カメラ
JP4123586B2 (ja) 1997-08-26 2008-07-23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JP4233624B2 (ja) 1997-12-26 2009-03-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カメラ装置
JP2001045340A (ja) 1998-12-22 2001-02-16 Canon Inc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媒体
JP3803950B2 (ja) 1999-03-04 2006-08-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合成処理方法、画像合成処理装置及び記録媒体
US6750914B2 (en) * 2001-04-12 2004-06-15 Ricoh Company, Limited Image pick-up device
JP3913046B2 (ja) 2001-11-21 2007-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3530907B2 (ja) * 2002-01-31 2004-05-24 ミノルタ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4543602B2 (ja) * 2002-04-17 2010-09-15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
US20040227839A1 (en) * 2003-05-13 2004-11-18 Stavely Donald J.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focus from light collected by the periphery of a le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536B1 (ko) * 2007-12-14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00125670A (ko) * 2009-05-21 2010-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248B1 (ko) 2011-11-09
EP1562369A3 (en) 2008-01-16
CN1655589A (zh) 2005-08-17
CN100481882C (zh) 2009-04-22
US7860388B2 (en) 2010-12-28
US20050206774A1 (en) 2005-09-22
EP1562369A2 (en) 2005-08-10
JP4352916B2 (ja) 2009-10-28
JP2005223528A (ja)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248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US83308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ooting a moving image and a still image simultaneously
KR100932462B1 (ko) 촬상 장치
JP5048468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撮像方法
JP4022828B2 (ja) 撮像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プログラム
JP2005215040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US9065998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provided with an object detection function
JP4645413B2 (ja) 撮像装置
JP4314043B2 (ja) 撮像装置
JP2006019874A (ja) 手ぶれ・ピンボケレベル報知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509267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902577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2005266784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そ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6157604A (ja) カメラ装置及び自動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4908321B2 (ja) 撮像装置
JP4888068B2 (ja) 電子カメラ
JP2006162724A (ja) カメラ装置及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2005284156A (ja) 自動焦点調節機能付きカメラ及びカメラの自動焦点調節方法
JP2000307934A (ja) 撮像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5048559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2009229586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2009229588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2009212644A (ja) 撮影装置
JP3985448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記録媒体
JP4645414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