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670A -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670A
KR20100125670A KR1020090044493A KR20090044493A KR20100125670A KR 20100125670 A KR20100125670 A KR 20100125670A KR 1020090044493 A KR1020090044493 A KR 1020090044493A KR 20090044493 A KR20090044493 A KR 20090044493A KR 20100125670 A KR20100125670 A KR 20100125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hotographing direction
area
information
color coord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840B1 (ko
Inventor
박정우
박치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4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84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이로 센서 없이 영상 촬영 방향을 감지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촬영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 영역의 색좌표 정보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 영상 촬영방향의 변화를 인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이로 센서 없이 영상 촬영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한 방향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저장 및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Figure P1020090044493
영역 설정, 색좌표 정보 검출, 촬영방향 검출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본 발명은 자이로 센서 없이 영상 촬영 방향을 감지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통하여 영상을 촬영 할 때 사용자의 취향이나 촬영 환경 등에 따라서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가로 방향이나 세로 방향으로 돌려서 촬영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하였을 때 영상의 방향도 함께 회전된 상태로 표현되므로 영상을 인식하는데 매우 큰 불편함이 따른다. 그러므로, 돌려서 촬영한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브라우징 하는 경우 상기 촬영한 방향에 관계없이 정상적인 방향으로 보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자이로 센서 없이 라이브뷰 영상의 영역 설정을 통하여 영상 촬영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한 방향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저장 및 재생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촬영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 영역의 색좌표 정보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 영상 촬영방향의 변화를 인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촬영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상기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색좌표 정보를 검출하는 제1 검출부; 상기 색좌표 정보 및 제1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시의 상기 영역의 색좌표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촬영방향 정보를 검출하는 제2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촬영방향 정보는 영상파일의 썸네일 정보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검출된 촬영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촬영방향을 변경하여 저장하거나,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영방향이 변경된 저장 영상을 재생하거나, 촬영방향이 변경되지 않은 저장 영상에 대해 상기 썸네일 정보 영역의 촬영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방향을 변경한 후 재생하는 영상 재생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은 (a) 촬영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 영역의 색좌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색좌표 정보 및 제1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시의 상기 영역의 색좌표 정보를 비교하여 촬영방향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c) 제2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검출된 촬영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촬영방향을 변경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촬영방향 정보는 영상파일의 썸네일 정보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은 (a) 촬영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 영역의 색좌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색좌표 정보 및 제1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시의 상기 영역의 색좌표 정보를 비교하여 촬영방향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c) 제2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검출된 촬영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촬영방향을 변경하여 저장하거나,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촬영방향이 변경된 저장 영상을 재생하거나, 촬영방향이 변경되지 않은 저장 영상에 대해 상기 촬영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방 향을 변경한 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촬영방향 정보는 영상파일의 썸네일 정보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이로 센서 없이 영상 촬영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한 방향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저장 및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특히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일종으로서 디지털 촬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이미지 처리장치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 예들 및 그 변형 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는 촬상소자(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물론 촬상소자(30)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촬상소자(30)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6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60)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CPU(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변경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영역 설정부(51), 색좌표 정보 검출부(52), 비교부(53), 촬영방향 검출부(54), 영상 저장 제어부(55) 및 영상 재생 제어부(56)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영역 설정부(51), 색좌표 정보 검출부(52), 비교부(53), 촬영방향 검출부(54), 영상 저장 제어부(55) 및 영상 재생 제어부(56) 등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내의 구성요소가 아닌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영역 설정부(51), 색좌표 정보 검출부(52), 비교부(53), 촬영방향 검출부(54), 영상 저장 제어부(55) 및 영상 재생 제어부(56)를 구비하면 족 하다. 영역 설정부(51), 색좌표 정보 검출부(52), 비교부(53), 촬영방향 검출부(54), 영상 저장 제어부(55) 및 영상 재생 제어부(56)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80)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1)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영상 파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70)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영구 장착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기능을 설명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 영역의 색좌표 정보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 영상 촬영방향의 변화를 인식하고, 변경된 촬영 방향으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며, 저장된 영상을 재생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영역 설정부(51), 색좌표 정보 검출부(52), 비교부(53), 촬영방향 검출부(54), 영상 저장 제어부(55) 및 영상 재생 제어부(56)를 포함한다.
영역 설정부(51)는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설정한다. 도 3a에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부(80)에 라이브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제1 영역(301a) 내지 제5 영역(305a)을 설정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영역 설정은 반드시 제1 영역(301a) 내지 제5 영역(305a)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영역(301a) 내지 제5 영역(305a)을 설정하였다고 가정한다.
색좌표 검출부(52)는 라이브뷰 영상의 제1 영역(301a) 내지 제5 영역(305a)으로부터 색좌표 정보를 검출한다.
색좌표 정보 검출이 완료된 후, 사용자로부터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비교부(53)는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전의 제1 영역(301a) 내지 제5 영역(305a)의 색좌표 정보 및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 후의 제1 영역(301a) 내지 제5 영역(305a)의 색좌표 정보를 비교한다.
촬영방향 검출부(54)는 비교부(53)의 비교 결과에 따라 촬영방향 정보를 검출한다. 도 3b에는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전의 제1 영역(301a) 내지 제5 영역(305a) 및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 후의 제1 영역(301b) 내지 제5 영역(305b)의 변화 즉, 색좌표 정보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제1 영역(301a) 내지 제5 영역(305a) 및 제1 영역(301b) 내지 제5 영역(305b) 비교 시에 제1 영역(301a) 내지 제5 영역(305a)이 위/우 방향으로 이동하였음을 보여주고 있고, 이때 촬영 방향 검출부(54)는 촬영방향이 가로방향임을 검출한다.
도 3c에는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전의 제1 영역(301a) 내지 제5 영역(305a) 및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 후의 제1 영역(301c) 내지 제5 영역(305c)의 변화 즉, 색좌표 정보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제1 영역(301a) 내지 제5 영역(305a) 및 제1 영역(301b) 내지 제5 영역(305b) 비교 시에,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전의 제1 영역(301a)이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 후의 제2 영역(302c)으로,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전의 제2 영역(302a)이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 후의 제4 영역(304c)으로,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전의 제3 영역(303a)이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 후의 제1 영역(301c)으로,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전의 제4 영역(304a)이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 후의 제3 영역(303c)으로 이동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촬영방향 검출부(54)는 촬영방향이 세로 90도 방향임을 검출한다.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촬영방향 검출부(54)는 세로 270도, 가로 270도의 촬영방향도 검출할 수 있다.
촬영방향 검출 후, 사용자에 의해 제2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영상 저장 제어부(55)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이때 영상 저장 제어부(55)는 검출한 촬영방향 정보는 영상 파일 즉, Exif 파일의 소정 영역에 저장하는데, Exif 파일 중 APP1(application marker segment 1) 영역에는 압축된 영상 데이터의 촬영 일시나, 제품명 등의 부가 정보 또는 썸네일(thumbnail)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촬영방향 정보는 썸네일 정보 영역에 기록한다.
영상 저장 제어부(55)는 썸네일 정보 영역에 촬영방향 정보를 기록한 후, 영상 촬영시의 방향대로 저장하거나, 검출된 촬영방향으로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0도로 촬영된 영상의 경우, 이를 반대 90도로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재생 제어부(56)는 사용자의 재생 명령에 의해 영상 저장 제어부(55)에 의해 저장된 영상을 재생한다. 영상 저장 제어부(55)가 영상 촬영시의 방향 대로 저장한 경우, 영상 재생 제어부(56)는 썸네일 정보 영역으로부터 촬영방향을 검출하여 촬영방향을 변경(90도로 촬영된 영상의 경우, 이를 반대 90도로 변경)하여 재생한다. 영상 저장 제어부(55)가 촬영방향을 변경하여 저장한 경우, 영상 재생 제어부(56)는 저장된 영상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자이로 센서 없이 영역 설정 및 비교에 의해 영상 촬영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한 방향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기기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는 촬영방향을 검출하고 영상을 저장하는 방법이, 도 5에는 촬영방향을 검출하여 영상을 저장한 후 재생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디스플레이부(80)에 라이브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401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고(도 3a 참조), 설정된 영역에서 색좌표 정보를 추출한다(403단계).
이어서,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이 수신되면(405단계),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 전 설정 영역의 색좌표 정보 및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 후 설정 영역의 색좌표 정보를 비교하고(407단계), 비교결과에 따라 촬영방향 정보를 검출한다(409단계). 설정영역의 색좌표 정보 비교에 따른 촬영방향 정보 검출에 대한 내용은 상기에 설명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촬영방향 정보 검출이 완료된 후, 제2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영상을 촬영하고(411단계), 생성된 영상 파일의 썸네일 정보 영역에 촬영방향 정보를 기록한다(413단계).
이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검출된 촬영방향에 따라 영상의 방향을 변경하여 저장한다(415단계).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디스플레이부(80)에 라이브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501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고(도 3a 참조), 설정된 영역에서 색좌표 정보를 추출한다(503단계).
이어서,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이 수신되면(505단계),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 전 설정 영역의 색좌표 정보 및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 입력 후 설정 영역의 색좌표 정보를 비교하고(507단계), 비교결과에 따라 촬영방향 정보를 검출한다(509단계). 설정영역의 색좌표 정보 비교에 따른 촬영방향 정보 검출에 대한 내용은 상기에 설명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촬영방향 정보 검출이 완료된 후, 제2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영상을 촬영하고(511단계), 생성된 영상 파일의 썸네일 정보 영역에 촬영방향 정보를 기록한다(513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두 가지 방법으로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데(515단계), 첫 번째 방법은 검출된 촬영방향에 따라 영상의 방향을 변경하여 저장하거나, 두 번째 방법은 촬영방향 그대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재생 버튼이 입력되면(517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영상을 재생하는데(519), 촬영방향이 변경되어 저장된 영상인 경우 그대로 재생하거나, 촬영방향이 그대로 저장된 영상인 경우 썸네일 정보 영역에 기록된 촬영방향 정보에 따라 촬영방향을 변경하여 재생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도 1 중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상세 블록도 이다.
도 3은 도 1 중 촬영방향 변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Claims (9)

  1. 촬영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 영역의 색좌표 정보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 영상 촬영방향의 변화를 인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상기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색좌표 정보를 검출하는 제1 검출부;
    상기 색좌표 정보 및 제1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시의 상기 영역의 색좌표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촬영방향 정보를 검출하는 제2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촬영방향 정보는 영상파일의 썸네일 정보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제2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검출된 촬영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촬영방향을 변경하여 저장하거나,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방향이 변경된 저장 영상을 재생하거나, 촬영방향이 변경되지 않은 저장 영상에 대해 상기 썸네일 정보 영역의 촬영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방향을 변경한 후 재생하는 영상 재생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6. (a) 촬영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 영역의 색좌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색좌표 정보 및 제1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시의 상기 영역의 색좌표 정보를 비교하여 촬영방향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c) 제2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검출된 촬영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촬영방향을 변경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촬영방향 정보는 영상파일의 썸네일 정보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8. (a) 촬영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 영역의 색좌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색좌표 정보 및 제1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시의 상기 영역의 색좌표 정보를 비교하여 촬영방향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c) 제2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검출된 촬영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촬영방향을 변경하여 저장하거나,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촬영방향이 변경된 저장 영상을 재생하거나, 촬영방향이 변경되지 않은 저장 영상에 대해 상기 촬영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방향을 변경한 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촬영방향 정보는 영상파일의 썸네일 정보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20090044493A 2009-05-21 2009-05-21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580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493A KR101580840B1 (ko) 2009-05-21 2009-05-21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493A KR101580840B1 (ko) 2009-05-21 2009-05-21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670A true KR20100125670A (ko) 2010-12-01
KR101580840B1 KR101580840B1 (ko) 2015-12-29

Family

ID=4350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493A KR101580840B1 (ko) 2009-05-21 2009-05-21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8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6814A (ja) * 2001-08-02 2003-02-14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及び撮影システム
KR20050079224A (ko) * 2004-02-04 2005-08-0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JP2007306500A (ja) * 2006-05-15 2007-11-22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傾き補正装置及び画像傾き補正方法
JP2008172667A (ja) * 2007-01-15 2008-07-24 Tamron Co Ltd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6814A (ja) * 2001-08-02 2003-02-14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及び撮影システム
KR20050079224A (ko) * 2004-02-04 2005-08-0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JP2007306500A (ja) * 2006-05-15 2007-11-22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傾き補正装置及び画像傾き補正方法
JP2008172667A (ja) * 2007-01-15 2008-07-24 Tamron Co Ltd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840B1 (ko) 201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1277A (ko)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영상 촬영 방법
KR20120065758A (ko)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JP200718093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JP2010237761A (ja) 電子機器
KR101319544B1 (ko) 인물의 등장 장면을 검출하는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검출 방법
KR20130111866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290819A5 (ko)
KR20120081517A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8199330A (ja) 動画像管理装置
KR10158084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0200079A (ja) 撮影制御装置
JP5262801B2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再生プログラム
JP5375165B2 (ja) 撮像装置
JP2009171362A (ja) 撮影装置、撮影方法
CN102316256B (zh) 便携式设备及再现显示方法
KR101276724B1 (ko)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KR20090090214A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110090086A (ko)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729486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10183216A (ja) 撮影装置、画像再生装置、及び撮影結果報知方法
JP6128929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560744B2 (ja) 撮像装置、動画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89615B2 (ja) 撮像装置
JP5200959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20090102431A (ko) 영상의 흔들림 정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