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086A -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086A
KR20110090086A KR1020100009670A KR20100009670A KR20110090086A KR 20110090086 A KR20110090086 A KR 20110090086A KR 1020100009670 A KR1020100009670 A KR 1020100009670A KR 20100009670 A KR20100009670 A KR 20100009670A KR 20110090086 A KR20110090086 A KR 20110090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data
image
uni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614B1 (ko
Inventor
정동진
노대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9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614B1/ko
Priority to US13/013,897 priority patent/US8902124B2/en
Publication of KR20110090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들 각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제공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들 각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부들과;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기록하는 표시 메모리, 상기 표시 메모리에의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어드레스부, 기록된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 각각을 판독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표시 어드레스부들을 구비하는 표시 구동부;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자는 별도의 분류 작업 없이 원하는 영상을 곧바로 피촬영자에게 보여줄 수 있으며, 피촬영자는 양질의 필터링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수의 표시부들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듀얼 디스플레이(Dual Display)들을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들에서 동일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촬영할 이미지(Liveview), 촬영된 이미지(Preview, playback) 등을 상기 듀얼 디스플레이들에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한다. 다만, 촬영자가 확인하는 메인 LCD와 관측자(피촬영자)가 확인하는 서브 LCD는 좌우가 바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뿐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표시부들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들 각각에 대하여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여 촬영자가 선택적으로 관측자에게 영상을 확인시켜 줄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촬영자는 별도의 분류 작업 없이 원하는 영상을 곧바로 피촬영자에게 보여줄 수 있으며, 피촬영자는 양질의 필터링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들 각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제공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들 각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부들과;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기록하는 표시 메모리, 상기 표시 메모리에의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어드레스부, 기록된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 각각을 판독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표시 어드레스부들을 구비하는 표시 구동부;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제1 영상을 형성하는 제1 영상 데이터와 제2 영상을 형성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표시 메모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 어드레스부,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하는 제1 표시 어드레스부,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제공하는 제2 표시 어드레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표시부들은 상기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와 상기 제2 표시 어드레스부는 제1 영상 데이터를 각각 판독하여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는 제1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2 표시 어드레스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이한 제2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어드레스부는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제2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는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2 영상을 선택하지 않으므로 인해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기울임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서 서로 대항하는 면들 각각에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외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복수의 영상들 각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제공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들 각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부들과;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기록하는 표시 메모리, 상기 표시 메모리에의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어드레스부, 기록된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 각각을 판독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표시 어드레스부들을 구비하는 표시 구동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들 각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 어드레스부에 의해 상기 표시 메모리에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표시 어드레스부들 각각에 의해 상기 표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 각각을 판독하여 해당 표시부들 각각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들 각각은 제공받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들 각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기록 어드레스부에 의해 상기 표시 메모리에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 어드레스부들 각각에 의해 상기 표시 메모리에 저장된 동일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동일한 영상 데이터를 해당 표시부들 각각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부들은 상기 동일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동일한 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복수의 표시 어드레스부들 각각에 의해 상기 표시 메모리에 저장된 다른 영상 데이터들 각각을 판독하여 해당 표시부들 각각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부들은 상기 다른 영상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다른 영상들 각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 어드레스부들은 제1 표시 어드레스부와 제2 표시 어드레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부들은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에 의해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 어드레스부에 의해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제2 표시부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와 상기 제2 표시 어드레스부는 상기 표시 메모리에 저장된 동일한 제1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각각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1 표시와 상기 제2 표시부 각각은 상기 동일한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2 표시 어드레스부는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제2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는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2 영상을 선택하지 않으므로 인해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제1 표시부에 상기 제1 영상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여,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기울임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부를 구비하여,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는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2 표시부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 영상의 선택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1 표시부에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표시부에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기울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구비하여,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기울임으로써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센싱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 영상을 선택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자는 별도의 분류 작업 없이 원하는 영상을 곧바로 피촬영자에게 보여줄 수 있으며, 피촬영자는 양질의 필터링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SP/CPU와 표시 구동부 및 표시부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dual LCD와 자이로 센서를 장착한 디지털 카메라에서 영상들을 표시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 예로서 dual LCD와 선택 버튼을 장착한 디지털 카메라에서 영상들을 표시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LCD와 외부 모니터에 영상들을 표시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로 디지털 카메라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는 비디오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TV, 디지털 액자,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디지털 기기에 적용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광학부(11), 상기 광학부(11)를 구동하는 광학 구동부(12), 촬상 소자(21), CDS/AMP(22), A/D 컨버터(23), 화상 입출력 제어부(24), 프로그램 저장부(30), 메모리(40), 표시 구동부(50), 상기 표시 구동부(50)로부터 각각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는 제1 표시부(61)와 제2 표시부(62), 기록 제어부(71)와 기록부(72), 조작부(810, 센서부(820 및 DSP/CPU(90) 등을 구비한다.
상기 광학부(11)는 광학 신호를 집광하는 렌즈, 상기 광학 신호의 양(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광학 신호의 입력을 제어하는 셔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이들 렌즈들은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셔터로 가리개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기계식 셔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셔터 장치 대신 촬상 소자(21)에 전기 신호의 공급을 제어하여 셔터 역할을 행할 수도 있다.
상기 광학부(11)를 구동하는 광학 구동부(12)는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조정, 조리개 조정, 줌, 초점 변경 등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셔터의 동작 등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광학 구동부(12)는 DSP/CPU(9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이에 따라 상기 광학부(11)를 구동할 수 있다.
촬상 소자(21)는 광학부(11)를 통해 입력된 광학 신호를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광전 변환 소자로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어레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어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DS/AMP(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증폭기(amplifier); 22)는 CCD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에 포함된 저주파 노이즈를 제거함과 동시에 전기 신호를 임의의 레벨까지 증폭시킨다. A/D컨버터(23)는 CDS/AMP(22)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A/D컨버터(23)는 생성한 디지털 신호를 화상 입출력 제어부(24)에 출력한다.
촬상 소자(21)는 DSP/CPU(90)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타이밍 제너레이터(TG)는 촬상 소자(21)에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여 광전 변환 소자 각 화소의 노광 기간을 제어하거나 전하의 독출을 제어한다. 따라서 촬상 소자(21)는 TG로부터 제공되는 타이밍 신호에 따라 일 프레임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3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작동하는 필요한 OS,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30)로서 E2PROM, 플래쉬 메모리, RO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40)는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여러 개 영상들의 영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으며, 포커스 제어시의 영상 신호를 차례대로 유지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화상 입력 제어부(21)에 영상을 읽고 쓰는 것이 제어될 수 있다.
표시 구동부(50)는 제1 표시부(61) 및 제2 표시부(62)에서 각종 설정 화면 또는 촬영으로 생성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동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기록부(72)에 기록된 화상을 구현하는 것이나, 또는 메모리(40)로부터 실시간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61) 및 제2 표시부(62)로 LCD, OLED, PDP, ED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는
기록 제어부(71)는 기록부(72)로의 영상 데이터의 기입, 또는 기록부(72)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독출을 제어한다. 기록부(72)는, 예를 들면 광디스크(CD, DVD, 블루레이디스크 등),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반도체 기억매체 등으로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 제어부(71), 기록부(72)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서 착탈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조작부(81)는 촬영자(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조작하거나 촬영시 각종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키,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다이얼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 온/오프, 촬영 개시/정지, 재생 개시/정지/서치, 광학계의 구동, 모드 변환, 메뉴 조작, 선택 조작 등의 촬영자 조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셔터 버튼은 촬영자에 의한 반누름, 완전누름, 해제가 가능하다. 셔터 버튼은 반누름(S1조작)되었을 때 포커스 제어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반 누름 해제로 포커스 제어가 종료된다. 상기 셔터 버튼은 완전누름(S2조작)되었을 때 촬영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신호는 DSP/CPU(90) 등에 전송되어, 이에 따라 해당 구서 요소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부(82)는 디지털 카메라의 배치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자이로 센서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기울임 정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 신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기울이고,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해 상기 기울임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신호는 DSP/CPU(90)에 입력되어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판단할 수 있다.
DSP/CPU(90)는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 안에 설치된 각 구성 요소의 처리를 제어한다. DSP/CPU(90)는, 예를 들면 포커스 제어나 노출 제어에 기초하여 광학 구동부(11)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광학부(10)를 구동시킨다. 또한, DSP/CPU(90)는 조작부(81)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DSP/CPU(90)가 하나로만 이루어진 구성이지만, 신호계의 명령과 조작계의 명령을 각각 CPU에서 수행하는 등 여러 개의 CPU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DSP/CPU(90)는 압축 처리 전의 영상 신호를 받아 예를 들면 JPEG압축 형식 또는 LZW압축 형식 등의 압축 형식으로 화상 신호를 압축 처리한다.또한,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SP/CPU와 표시 구동부 및 표시부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DSP/CPU(90)는 베이스 밴드/프로세서(BBP; 91) 를 구비한다. 상기 BBP(91)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기능과 중앙 처리 기능을 행한다. 상기 BBP(91)로부터 로부터 소정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 제어 신호는 표시 구동부(50)로 전송된다. 상기 표시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 메모리(52)에 기록된다. CS(CHIP SELECT), RS(RESISTER SELECT), WR 신호(WRITE) 왁 같은 제어 신호에 의해 기록 어드레스부(51)에서 상기 기록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동작에서 표시 데이터의 판독은 표시 어드레스부들(54, 55) 각각의표시 어드레스에 따라 표시 메모리52)로부터 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표시부들(61, 62)을 구비하고, 표시부들(61, 62) 각각에 대하여 상이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자 상기 표시부들(61, 62) 각각과 대응하여 복수 개의 표시 어드레스부들(54, 55)을 구비한다. 표시 어드레스 생성은 내장 클럭부(53)에서 생성되는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행해질 수 있다. 이 내장 클럭에 의한 동작과 상기 표시 데이터/제어 신호의 제공은 서로 무관하게 행해진다.
상기 표시 메모리(52)는 복수의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비트맵 메모일 일 수 있다. 상기 표시 메모리(52)로 그래픽 램(RAM)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상기 표시 메모리(52)에 복수의 영상들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영상들 중 취사 선택하여 제1 표시부(61) 및 제2 표시부(62)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54)에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 신호에 의해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1 DRIVER IC(56)를 통해 제1 표시부(6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표시 어드레스부(55)도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 신호에 의해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2 DRIVER IC(57)를 통해 제2 표시부(62)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1 표시부(61)와 상기 제2 표시부(62)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서로 대항하는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은 렌즈가 배치된 면을, 후면은 촬영자(사용자)가 접근하는 면일 수 있다. 재생 모드에서 상기 제2 표시부(62)에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촬영자(사용자)가 상기 제2 표시부(62)를 통해 상기 제1 영상을 확인 한 후 상기 제1 영상을 선택한다면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1 표시부(6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62)에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촬영자(사용자)가 상기 제2 표시부(62)를 통해 상기 제2 영상을 확인 한 후 상기 제2 영상을 선택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제1 표시부(61)에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61)에서는 이전에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상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DSP/CPU(90)의 BBP(91)는 복수의 영상들 각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제공한다. 제공받은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표시 메모리(52)에 기록한다. 이때, 기록 어드레스부(51)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의 기록을 상기 표시 메모리(52)에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1 표시 어드레스부(54)에서 상기 표시 메모리(52)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표시부(61)에 제공하고, 상기 제1 표시부(61)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제2 표시 어드레스부(55)에서 상기 표시 메모리(52)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2 표시부(62)에 제공하고, 상기 제2 표시부(62)에서 판독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기록 어드레스부(51)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상기 표시 메모리(52)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영상 데이터와 제2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표시 어드레스부(54)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2 표시부(62)에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촬영자(사용자)는 상기 제1 영상을 확인한다. 촬영자(사용자)가 상기 제1 영상을 선택하는 경우 제1 표시 어드레스부(55)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표시부(61)에 상기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54)와 상기 제2 표시 어드레스부(55)는 동일한 제1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각각 제1 표시부(61)와 제2 표시부(62)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표시부(610와 상기 제2 표시부(62)는 동일한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표시 어드레스부(54)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2 표시부(62)에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촬영자(사용자)는 상기 제2 영상을 확인한다. 촬영자(사용자)가 상기 제2 영상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제1 표시 어드레스부(55)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제1 표시부(61)에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54)는 이전에 판독한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표시부(61)에 제공하여 상기 제1 표시부(61)에서 상기 제1 영상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54)는 제1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제1 표시부(61)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표시부(61)에서는 상기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반면, 상기 제2 표시 어드레스부(55)는 제2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제2 표시부(62)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표시부(62)에서는 상기 제1 영상과 상이한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62)에서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제1 표시부(61)에서는 상기 제2 영상과 상이한, 보다 구체적으로 재생 순서상으로 상기 제2 영상 이전의 제1 영상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표시부(61)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촬영자(사용자)의 선택은 도 1에 도시된 조작부(81)를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 또는 센서부(82) 더욱 구체적으로 자이로 센서에 의해 촬영자(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를 기울이는 행위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촬영자(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61)에 상기 제2 표시부(62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지 판단하는바, 상기 촬영자(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자(사용자)의 선택은 조작부를 통해 감지하거나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이로 센서와 같은 센서부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 배치하는 표시부들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표시부들 중 어느 하나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자(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확인하여 원하는 영상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각 표시부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재생 모드를 실행한다(S11).
상기 제1 표시부가 켜져 있는지를 판단한다(S12).
상기 제1 표시부가 켜져 있지 않다면, 상기 제1 표시부를 켠다(S13).
상기 제1 표시부가 켜져 있다면, 또는 상기 제1 표시부를 켠 후, N번째 영상(제N 영상)을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14).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N 영상을 선택할지 판단한다(S15).
선택하는 경우, 제N 영상을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16).
그리고 마지막 영상인지 판단하여(S17), 마직막 영상인 경우 다음 영상을 도출하고(S18), 상기 다음 영상을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여 상기 과정들을 반복한다.
또한, 상기 제N 영상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다음 영상을 도출하고(S18), 상기 다음 영상을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여 상기 과정들을 반복한다. 따라서, 상기 제N 영상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N 영상을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사용자가 확인 가능한 제2 표시부와 사용자 이외의 관측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제1 표시부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dual LCD와 자이로 센서를 장착한 디지털 카메라에서 영상들을 표시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재생 모드(PALY BACK MODE)를 실행한다. 촬영자(사용자)는 후면 LCD(62)를 통해 재생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에 관측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전면 LCD(6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면 LCD(61)는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개별적으로 전원 ON/OFF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 LCD(61)를 켠 상태에서, N번째 영상인 'A' 영상을 후면 LCD(62)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촬영자가 상기 N번째 영상을 확인하고 전면 LCD(61)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를 기울임(S)으로서 촬영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에 장착된 자이로 센서에 의해 상기 기울임(S)를 감지하여, 도 8과 같이 N번째 영상인 'A' 영상을 전면 LCD(61)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전면 LCD(61)에서는 이와 같이 촬영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촬영자가 관측자에세 보여주고 싶은 영상만을 ㅇ용이하게 취사 선택하여 보여줄 수 있다. 그러므로 관측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영상만을 별도로 추출할 필요가 없으며, 별도의 분류 작업 없이도 손쉽게 관측자에세 원하는 영상을 보여줄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 예로서 dual LCD와 선택 버튼을 장착한 디지털 카메라에서 영상들을 표시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본 실시 예는 도 4 내지 8에 도시된 실시 예와 유사하며, 다만 촬영자(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자이로 센서가 아닌 선택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함을 예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재생 모드(PALY BACK MODE)를 실행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LCD(61)를 개별적으로 전원 ON/OFF 할 수 있다. 상기 전면 LCD(61)의 전원을 켠 후, 도 11을 참조하면, N번째 영상인 'A' 영상을 후면 LCD(62)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촬영자가 상기 N번째 영상을 확인하고 전면 LCD(61)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경우, 디지털 카메라(100)에 배치된 선택 버튼을 촬영자가 눌러 선택 신호를 입력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선택 신호에 의해 상기 N번째 영상인 'A' 영상을 전면 LCD(61)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촬영자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상기 N번째 영상인 'A' 영상은 전면 LCD(61)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며, 따라서 관측자는 상기 N번째 영상인 'A' 영상을 확인할 수 없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LCD와 외부 모니터에 영상들을 표시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인 LCD 모니터에서의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서도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는 바, 촬영자의 선택 신호 입력은 상기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다. 다만, 디지털 카메라(100)의 후면 LCD(62)에 디스플레이되는 N번째 영상인 'A' 영상을 촬영자가 확인하고 촬영자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외부 LCD 모니터(61')에 상기 N번째 영상인 'A'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에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는 전면 LCD(61)를 구비하는바, 결과적으로 전면 LCD(61)와 상기 외부 모니터(61')는 동일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2)

  1. 복수의 영상들 각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제공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들 각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부들;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기록하는 표시 메모리, 상기 표시 메모리에의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어드레스부, 기록된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 각각을 판독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표시 어드레스부들을 구비하는 표시 구동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제1 영상을 형성하는 제1 영상 데이터와 제2 영상을 형성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표시 메모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 어드레스부,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하는 제1 표시 어드레스부,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제공하는 제2 표시 어드레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부들은 상기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와 상기 제2 표시 어드레스부는 제1 영상 데이터를 각각 판독하여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는 제1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2 표시 어드레스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이한 제2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어드레스부는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제2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는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2 영상을 선택하지 않으므로 인해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기울임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서 서로 대항하는 면들 각각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외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1. 복수의 영상들 각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제공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들 각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부들과;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기록하는 표시 메모리, 상기 표시 메모리에의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어드레스부, 기록된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 각각을 판독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표시 어드레스부들을 구비하는 표시 구동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들 각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록 어드레스부에 의해 상기 표시 메모리에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표시 어드레스부들 각각에 의해 상기 표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 각각을 판독하여 해당 표시부들 각각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들 각각은 제공받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들 각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기록 어드레스부에 의해 상기 표시 메모리에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 어드레스부들 각각에 의해 상기 표시 메모리에 저장된 동일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동일한 영상 데이터를 해당 표시부들 각각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부들은 상기 동일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동일한 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복수의 표시 어드레스부들 각각에 의해 상기 표시 메모리에 저장된 다른 영상 데이터들 각각을 판독하여 해당 표시부들 각각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부들은 상기 다른 영상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다른 영상들 각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 어드레스부들은 제1 표시 어드레스부와 제2 표시 어드레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부들은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에 의해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 어드레스부에 의해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제2 표시부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와 상기 제2 표시 어드레스부는 상기 표시 메모리에 저장된 동일한 제1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각각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1 표시와 상기 제2 표시부 각각은 상기 동일한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 표시 어드레스부는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제2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는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2 영상을 선택하지 않으므로 인해 상기 제1 표시 어드레스부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제1 표시부에 상기 제1 영상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기울임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 영상의 선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영상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1 표시부에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영상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표시부에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기울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기울임으로써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센싱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 영상을 선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00009670A 2010-02-02 2010-02-02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43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670A KR101643614B1 (ko) 2010-02-02 2010-02-02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3/013,897 US8902124B2 (en) 2010-02-02 2011-01-26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ing different images respectively on display unit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670A KR101643614B1 (ko) 2010-02-02 2010-02-02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086A true KR20110090086A (ko) 2011-08-10
KR101643614B1 KR101643614B1 (ko) 2016-07-29

Family

ID=4434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670A KR101643614B1 (ko) 2010-02-02 2010-02-02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02124B2 (ko)
KR (1) KR101643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7197B2 (en) * 2015-10-09 2018-01-23 Disney Enterprises, Inc. Secure network matchmaking
TWI652664B (zh) * 2018-04-11 2019-03-01 點晶科技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顯示系統以及影像檢測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501A (ko) * 2004-03-31 2005-10-0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보조 액정화면을 구비한 휴대폰
KR20060025351A (ko) * 2004-09-16 2006-03-2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과장치
JP2007228084A (ja) * 2006-02-21 2007-09-06 Olympus Imaging Corp 画像装置、処理画像の選択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080034238A1 (en) * 2006-08-03 2008-02-07 Hendry Ian C Multiplexed graphics architecture for graphics power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5099B2 (en) * 2006-05-30 2013-10-08 Ati Technologies Ulc Device having multiple graphics subsystems and reduced power consumption mode, software and methods
KR100782509B1 (ko) * 2006-11-23 2007-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모드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그표시부의 화면전환 방법
US7995003B1 (en) * 2007-12-06 2011-08-09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and displaying high-resolution imag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501A (ko) * 2004-03-31 2005-10-0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보조 액정화면을 구비한 휴대폰
KR20060025351A (ko) * 2004-09-16 2006-03-2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과장치
JP2007228084A (ja) * 2006-02-21 2007-09-06 Olympus Imaging Corp 画像装置、処理画像の選択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080034238A1 (en) * 2006-08-03 2008-02-07 Hendry Ian C Multiplexed graphics architecture for graphics power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02124B2 (en) 2014-12-02
KR101643614B1 (ko) 2016-07-29
US20110187740A1 (en)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776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RU2518215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отображением и его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KR101700363B1 (ko) 적절한 밝기를 갖는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75454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using duplex thumbnail mode
KR1018146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070279512A1 (en) Imaging apparatus
KR101357776B1 (ko) 설정정보 변경이 용이한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311861A (ja) 撮影装置及び方法
US8797445B2 (en) Digital photograph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2165090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0041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20026381A1 (en)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the method
KR101770298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4696322B2 (ja) 撮像装置
JP586803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4136958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制御方法
KR101643614B1 (ko)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20159190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maging device
JP2007028486A (ja) デジタルカメラ
JP5414411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38274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mage capture apparatus
JP2007336522A (ja) 撮像装置
JP2002135636A (ja) 電子カメラ
KR20130092213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621731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