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5351A -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과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5351A
KR20060025351A KR1020040074112A KR20040074112A KR20060025351A KR 20060025351 A KR20060025351 A KR 20060025351A KR 1020040074112 A KR1020040074112 A KR 1020040074112A KR 20040074112 A KR20040074112 A KR 20040074112A KR 20060025351 A KR20060025351 A KR 20060025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image
window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0076B1 (ko
Inventor
김종신
배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4007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076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폴더와 하폴더로 이루어지며, 상폴더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메인창 및 보조창을 각각 구비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상폴더의 내측면에 구비된 메인창에 상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과 메일 사서함 관리, 동영상 보기, 인터넷 게임 및 삼자간의 화상 통화와 관련된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사용자 선택 신호와 상폴더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데, 보조창이 좌우로 이동하여 상폴더와 일정 간격을 가지고, 일정 간격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하 또는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즉, 보조창이 위치 이동했고 사용자 선택 신호가 수신됐으면, 메인창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화상과는 독립적인 제2 화상을 보조창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상폴더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그로 인한 사용자별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메인창, 보조창, 위치 이동

Description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과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 DISPLAY OF DUAL FOLD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AL FOLD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창 및 보조창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폴더 외부에 보조 표시창을 구비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켜 주기 위하여 단말기 외부 형태 역시 일체형에서부터 폴더형 및 듀얼 폴더형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면서도 각종 부가 서비스 기능들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공급되고 있다.
이 중, 상폴더 외부에 보조 표시창(Liquid Crystal Display)을 더 구비한 듀얼 폴더형(Dual Folder) 이동통신 단말기는 플립형(일체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해 본체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며, 폴더 내부에 메인 표시창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로 인해, 근래 들어서는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 수요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폴더를 열어 단말기 전체의 동작을 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는 내부 표시부 및 키 입력부 등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없다.
하지만, 폴더 외부에 구비된 보조 표시창을 통해 사용자에게 날짜와 시간, 통신 감도, 배터리 잔여량 및 문자 메시지 수신 등과 같은 간단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보조 표시창은 상기와 같이 정적이고 단순한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 전부일 뿐, 사용자 요구에 맞춰 그 외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란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 및 기능상 한계성이 있다.
이처럼, 기존의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외부에 구비된 보조 표시창은 그 활용 용도가 너무 미비하기 때문에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무료감을 줄 수 있 으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역시 간단하고 정적인 정보이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응용 범위를 제한한다. 이는 곧,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 만족도 저하를 가져온다.
따라서, 폴더 외부에 구비된 보조 표시창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화면 표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폴더와 하폴더가 비 접촉한 상태에서 상폴더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을 좌우로 이동한 후 상하 또는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폴더 메인창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과는 독립적인 제2 영상을 보조창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 외부에 보조창을 더 구비한 듀얼 폴더(DUAL FOLDER)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외측면에 보조창을 구비하고, 내측면에 상대방 음성을 출력하는 수화부 및 메인창을 구비한 상폴더; 및 상기 상폴더와 접촉 또는 비접촉되며, 사용자 선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패드(KEY PAD)와 사용자 음성을 상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화 부가 내측면에 구비된 하폴더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창은,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상폴더와 일정 간격을 가지며, 상기 일정 간격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하 또는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창은, 상기 키 패드를 통해 요청 받은 제1 서비스 관련 화상인 제1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보조창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1 화상과는 독립적인 제2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는, 상폴더와 하폴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폴더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메인창과 보조창을 구비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폴더와 하폴더가 접촉한 또는 비 접촉한 상태인지를 감지하고, 상기 상폴더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구조변경 감지부; 상기 보조창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창에 제1 화상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메인창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화상과는 독립적인 제2 화상을 상기 보조창에 디스플레이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1 및 제2 화상 및 화상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제1 화상을 상기 메인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메인창 표시부; 및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제2 화상을 상기 보조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메인창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조변경 감지부는, 상기 보조창이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상폴더와 일정 간격을 가지며, 상기 일정 간격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하 또는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인지를 감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은, 상폴더와 하폴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폴더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메인창 및 보조창을 각각 구비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상폴더의 내측면에 구비된 메인창에 상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과 메일 사서함 관리, 동영상 보기, 인터넷 게임 및 삼자간의 화상 통화, 단문 메시지 및 동영상 송신, 인터넷 검색과 관련된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상기 상폴더와 하폴더가 비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폴더의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c)상기 보조창이 위치 이동했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1 화상과 독립적인 제2 화상을 상기 보조창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는, 상폴더와 하폴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폴더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메인창 및 보조창을 각각 구비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상기 상폴더의 내측면에 구비된 메인창에 상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과 메일 사서함 관리, 동영상 보기, 인터넷 게임 및 삼자간의 화상 통화, 단문 메시지 및 동영상 송신, 인터넷 검색과 관련된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b)상기 상폴더와 하폴더가 비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폴더의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 및 c)상기 보조창이 위치 이동했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1 화상과 독립적인 제2 화상을 상기 보조창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 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폴더 외측면에 구비되어 날짜와 시간, 통신 감도, 배터리 잔여량 및 문자 메시지 수신 여부 등과 같은 제2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 라 함)를 보조창이라 명명하고, 상폴더 내측면에 구비되어 각종 모드별(동영상, 음악 감상, 화상 통신 등) 관련 정보인 제1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LCD를 메인창이라 명명한다. 이때, 메인창의 크기는 보조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폴더(110)와 하폴더(120)로 이루어지며, 상폴더(110)는 제1 화상을 출력하는 메인창(111)과 음향을 출력하는 수화부(112)를 내측면에 구비하고, 제2 화상을 출력하는 보조창(113)을 외측면에 구비한다.
그리고, 하폴더(120)는 내측면에 신호 입력을 위한 키 패드(121)와 음향 송신을 위한 송화부(122)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조를 이루는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폴더(110)와 하폴더(120)가 접촉한 상태에서는 상폴더(110)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113)만이 외부에 노출되는데, 보조창(113)은 제2 화상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조정이 가능하여 상폴더(110)와 위 아래로 겹치지 않는 공간까지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제2 화상은 날짜와 시간, 통신 감도, 배터리 잔여량 및 문자 메시지 수신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폴더(110)와 하폴더(120)가 비 접촉한 상태에서는 상폴더(110) 내측면에 구비된 메인창(111)과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113)이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는데, 메인창(111)은 제1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며, 보조창(113)은 메인창(111)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화상과는 독립적인 제2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도 1b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창(113)은 상, 하폴더(110, 120)와 위 아래로 겹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 또는 최대 360도까지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보조창(113)의 위치 조정으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폴더(110)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113)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부가 서비스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인창 (111)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화상과는 독립적으로 보조창(113)에 제2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상, 하폴더(110, 120)가 비 접촉한 상태로서, 상폴더(110)의 보조창(113)은 상, 하폴더(110, 120)와 위 아래로 겹치지 않는 공간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화상 통화 중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검색하고자 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인창(111)에 화상 통화와 관련된 제1 화상(상대방 또는 본인 얼굴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보조창(113)에는 전화번호 검색과 관련된 제2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 중 3자간의 화상 통신이나 단문 메시지 송수신, 뮤직 비디오 감상, 메일 사서함 검색, 동영상 게임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인창(111)에 음성 통화와 관련된 제1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보조창(113)에는 앞서 언급한 부가 서비스와 관련된 제2 화상을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단말기가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하여 물체를 촬영하고자 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보조창(113)에 촬영하고자 하는 물체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화상 통화 중에 타 사용자 단말기로 동영상을 전송하거나, 인터넷 검색 등을 하고자 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인창(111)에 화상 통화와 관련된 제1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보조창(113)에는 동영상 전송 또는 인터넷 검색 등과 관련된 제2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면, 단말기 사용자는 보조창(113)을 상하, 좌우 또는 일정 각도 회전시켜 촬영하고자 하는 물체를 자세히 확인한 후 촬영하는데,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촬영된 영상을 보조창(113)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촬영 영상을 바로 확인 및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폴더(110)와 하폴더(120)가 비 접촉한 상태에서 상폴더(110)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113)을 상하, 좌우 또는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적인 변경이 뒷받침되는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인창(111)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과는 독립적인 제2 영상을 보조창(113)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는 곧,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가져온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조를 이루는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에 대해 알아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200)는 무선 처리부(210)와 음성 처리부(220), 키 입력부(230), 구조변경 감지부(240), 중앙 제어부(250), 메모리부(260), 메인창 표시부(270) 및 보조창 표시부(28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200)는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의 100) 내부에 포함된 구조를 이루나,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자체가 화면 표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무선 처리부(210)는 기지국 및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며, 음성 처리부(220)는 중앙 제어부(250)의 제어 하에 무선 처리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거나, 단말기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는 음성을 상대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키 입력부(2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단말기 사용자가 키 패드(121)를 통해 입력하는 신호를 중앙 제어부(250)로 전달한다.
구조변경 감지부(240)는 상폴더(도 1의 110)와 하폴더(120)가 접촉 또는 비 접촉한 상태인지를 감지하며, 상폴더(110)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113)이 상하 또는 좌우,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인지를 감지한다.
중앙 제어부(250)는 키 입력부(23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라 상폴더(110) 내측면에 구비된 메인창(111)에 제1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폴더(110)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113)에 제2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중앙 제어부(250)는 상폴더(110)와 하폴더(120)가 비접촉한 상태이며, 보조창(113)은 좌측으로 이동한 후 소정 각도(일반적으로 180도) 회전한 상태인지를 구조변경 감지부(240)를 통해 확인한다.
메모리부(2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frame)으로 구성된 제1 및 제2 화상 및 화상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메인창 표시부(270)는 중앙 제어부(250)의 제어 하에 제1 영상을 상폴더(110) 내측면에 구비된 메인창(111)에 디스플레이한다.
보조창 표시부(280)는 중앙 제어부(250)의 제어 하에 제2 영상을 상폴더(110)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113)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면, 상기한 구성을 이루는 화면 표시 장치(2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알아본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화면 표시 장치(200)의 중앙 제어부(250)는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가 요구한 제1 서비스를 제공(S310)함과 동시에 제1 서비스와 관련된 제1 화상을 메인창(111)에 디스플레이한다(S311).
이때, 제1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에서부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 검색, 메일 사서함 관리, 동영상 보기 및 3자간의 화상 통화에 이르기까지 각종 부가 서비스를 포함한다.
이후, 단말기 사용자를 통해 상폴더(110)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113)의 위치가 좌측으로 변경된 후 소정 각도 회전될 경우, 구조변경 감지부(240)는 이러한 보조창(113) 위치 변경을 감지(S320)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변경한 보조창(113)으로의 화면 표시 요청을 키 입력부(230)로부터 수신(S330)하면, 중앙 제어부(250)는 메인창(111)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제1 영상과는 독립적인 제2 영상을 보조창 (113)에 동시 디스플레이한다(S340).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조 변경 감지 후, 사용자 선택 신호 수신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선택 신호 수신이 먼저 이루어진 후 구조 변경 감지가 추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250)가 보조창(113)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2 영상은 단말기 사용자가 제공받길 원하는 제2 서비스 관련 영상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이 동일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영상 디스플레이에 대한 표시예가 첨부된 도 4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영상 디스플레이에 대한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화상 통화 중 상대방이 요청한 특정인의 전화 번호를 검색하고자 경우, 중앙 제어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창(111)에는 화상 통화 중인 상대방의 얼굴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보조창(113)에는 전화 번호 검색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뮤직 비디오 감상 중에 인터넷 게임을 하고자 할 경우, 중앙 제어부(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창(111)에는 감상 중인 뮤직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보조창(113)에는 인터넷 게임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중앙 제어부(250)는 구조변경 감지부(240)를 통해 보조창(113)의 위치 이동을 감지(S350)하거나, 키 입력부(230)를 사용자 선택 신호를 수신(S360)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제1 또는 제2 영상 표시를 종료한다(S370).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과 장치는 상폴더와 하폴더가 비 접촉한 상태에서 상폴더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을 상하, 좌우 또는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메인창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과는 독립적인 제2 영상을 보조창에 동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가져온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과 장치는 상폴더와 하폴더가 비 접촉한 상태에서 상폴더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을 좌우로 이동한 후 상하 또는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폴더 메인창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과는 독립적인 제2 영상을 보조창에 동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폴더 외부에 보조창을 더 구비한 듀얼 폴더(DUAL FOLDER)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외측면에 보조창을 구비하고, 내측면에 상대방 음성을 출력하는 수화부 및 메인창을 구비한 상폴더; 및
    상기 상폴더와 접촉 또는 비접촉되며, 사용자 선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패드(KEY PAD)와 사용자 음성을 상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화부가 내측면에 구비된 하폴더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창은,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상폴더와 일정 간격을 가지며, 상기 일정 간격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하 또는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창은, 상기 키 패드를 통해 요청 받은 제1 서비스 관련 화상인 제1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보조창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1 화상과는 독립적인 제2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은,
    날짜와 시간, 통신 감도, 배터리 잔여량 및 문자 메시지 수신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과 메일 사서함 관리, 동영상 보기, 인터넷 게임, 삼자간의 화상 통화, 단문 메시지 및 동영상 송신, 인터넷 검색과 관련된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4. 상폴더와 하폴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폴더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메인창과 보조창을 구비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폴더와 하폴더가 접촉한 또는 비 접촉한 상태인지를 감지하고, 상기 상폴더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구조변경 감지부;
    상기 보조창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창에 제1 화상을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상기 메인창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화상과는 독립적인 제2 화상을 상기 보조창에 디스플레이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1 및 제2 화상 및 화상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제1 화상을 상기 메인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메인창 표시부; 및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제2 화상을 상기 보조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메인창 표시부
    를 포함하는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변경 감지부는,
    상기 보조창이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상폴더와 일정 간격을 가지며, 상기 일정 간격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하 또는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상, 하폴더가 비 접촉한 상태에서 상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과 메일 사서함 관리, 동영상 보기, 인터넷 게임 및 삼자간의 화상 통화와 관련된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은, 상기 제2 화상과 동일한 화상인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
  8. 상폴더와 하폴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폴더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메인창 및 보조창을 각각 구비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상폴더의 내측면에 구비된 메인창에 상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과 메일 사서함 관리, 동영상 보기, 인터넷 게임 및 삼자간의 화상 통화, 단문 메시지 및 동영상 송신, 인터넷 검색과 관련된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상기 상폴더와 하폴더가 비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폴더의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c)상기 보조창이 위치 이동했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1 화상과 독립적인 제2 화상을 상기 보조창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보조창이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상폴더와 일정 간격을 가지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간격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하 또는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10. 상폴더와 하폴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폴더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메인창 및 보조창을 각각 구비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상기 상폴더의 내측면에 구비된 메인창에 상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과 메일 사서함 관리, 동영상 보기, 인터넷 게임 및 삼자간의 화상 통화, 단문 메시지 및 동영상 송신, 인터넷 검색과 관련된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b)상기 상폴더와 하폴더가 비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폴더의 외측면에 구비된 보조창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 및
    c)상기 보조창이 위치 이동했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1 화상과 독립적인 제2 화상을 상기 보조창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40074112A 2004-09-16 2004-09-16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과장치 KR100640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112A KR100640076B1 (ko) 2004-09-16 2004-09-16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112A KR100640076B1 (ko) 2004-09-16 2004-09-16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351A true KR20060025351A (ko) 2006-03-21
KR100640076B1 KR100640076B1 (ko) 2006-10-30

Family

ID=3713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112A KR100640076B1 (ko) 2004-09-16 2004-09-16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0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388B1 (ko) * 2005-08-12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태스킹 기능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10090086A (ko) * 2010-02-02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2742168A (zh) * 2010-02-04 2012-10-17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双显示单元的移动设备及用于控制双显示单元的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388B1 (ko) * 2005-08-12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태스킹 기능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10090086A (ko) * 2010-02-02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2742168A (zh) * 2010-02-04 2012-10-17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双显示单元的移动设备及用于控制双显示单元的方法
CN102742168B (zh) * 2010-02-04 2015-06-17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双显示单元的移动设备及用于控制双显示单元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0076B1 (ko) 2006-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7216B2 (en) Mobile terminal and video sharing method thereof
JP4061473B2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7627349B2 (en) Alternative notifier for multimedia use
RU261989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олосового вызов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голосового сигнала
US20100053301A1 (en) Terminal and call providing method thereof
CN1308810B (zh) 采用便携式通信终端的电视电话系统
CN104731514B (zh) 触摸操作区域单握触摸操作的识别方法及装置
US20050219216A1 (en) Mobile electronic equipment
KR2009006788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전화 연결 방법
CN104350740A (zh) 利用无线外围视频会议装置进行视频会议
CN105915521A (zh) 多方通话管理的方法、装置及终端
JP2024517756A (ja) 表示制御方法、電子デバイス、およ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TWI342145B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94113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visual data processing
US20050088513A1 (en) Open-to-view video telephony ca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640076B1 (ko)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과장치
JP2007150866A (ja)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視野角変更方法、及び携帯電話機の視野角変更プログラム
JP2004222094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0735705B1 (ko)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JP2005191832A (ja) 携帯電話
KR20060004427A (ko) 휴대폰 화면 자동 전환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화면 자동전환 방법
JP2008227775A (ja) 通信端末装置
CN108055389A (zh) 未接来电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20050042852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KR1005265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