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027B1 - 이동통신단말기 및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및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027B1
KR100801027B1 KR1020060051919A KR20060051919A KR100801027B1 KR 100801027 B1 KR100801027 B1 KR 100801027B1 KR 1020060051919 A KR1020060051919 A KR 1020060051919A KR 20060051919 A KR20060051919 A KR 20060051919A KR 100801027 B1 KR100801027 B1 KR 100801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subject
user
predetermined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7811A (ko
Inventor
정기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027B1/ko
Publication of KR20070117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6Bracketing for image capture at varying focus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기 및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피사체의 촬영모드선택을 위한 입력부와, 초점설정요청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설정하는 자동초점처리부와, 설정된 초점을 중심으로 피사체를 일정간격에 따라 다수의 이미지로 촬영하는 카메라모듈부와, 촬영된 다수의 이미지중 하나 이상을 정지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휴대폰, 브라켓팅, AF, 셔터, 자동초점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및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hooting using automatic-foc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타입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오픈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에 의하여 사진촬영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시스템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에 브라켓팅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팅 설정을 위한 화면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과정에 따라 피사체의 전후 거리간격으로 피사체가 촬영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브라켓팅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초점의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에 대한 것이다.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는 단말기들이 선보이고 있다. 이들 카메라는 보통 화소가 적게는 30만 내지 500만이상이 지원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에서도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얻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피사체의 초점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카메라 모듈자체의 성능을 개선하거나 포커스(Focus)를 찾아내는 알고리즘을 개선하는 것이 전부였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AF(Automatic Focus)영역에서 렌즈의 초점을 앞뒤로 조절하여 그 부분의 영상을 분석하여 초점을 잡았다. 이를 브라켓팅이라고 한다.
따라서, 종래의 방식에 의할 경우 렌즈와 카메라 바디의 핀이 맞지 않는 경우, AF알고리즘의 한계, 또는 사용자의 손떨림이나 카메라의 흔들림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초점의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사체의 촬영모드선택을 위한 입력부와, 초점설정요청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설정하는 자동초점처리부와, 설정된 초점을 중심으로 피사체를 일정간격에 따라 다수의 이미지로 촬영하는 카메라모듈부와, 촬영된 다수의 이미지중 하나 이상을 정지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한편으로, 피사체의 촬영을 위한 촬영모드에 진입하는 단계와, 초점설정요청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초점을 중심으로 피사체를 일정간격에 따라 다수의 이미지로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된 다수의 이미지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일정간격은 상기 초점으로부터 일정거리 전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정간격은 상기 초점된 피사체로부터 일정시간별로 설정되는 시간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정간격은 초점과 단말기간의 거리비율에 따라 상기 초점된 피사체로부터 일정거리간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간격은 고정 또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입력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초점이 정해지면 일정간격으로 피사체의 이미지를 여러 장 촬영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초점에 맞는 결과물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피사체는 복수 개 선정가능하며, 상기 피사체가 복수 개 선정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피사체 각각에 대해 자동초점이 설정된다. 이 때, 선정가능한 상기 복수의 피사체의 개수는, 소정 개수 이하로 제한된다.
또한, 피사체의 촬영을 위한 촬영모드에 진입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프리뷰(preview) 화면을 키버튼에 대응하는 소정 개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키버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영역 별로 자동 초점이 설정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타입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메인하우징(140), 폴더(130), 메인하우징(140)과 폴더(13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장치(미도시)로 구성된다.
메인하우징(140)은 간편한 키조작을 위하여 사이드키버튼(150)과, USB연결을 위한 포트(160)를 포함한다.
폴더(130)는 표면에 카메라렌즈(110)와, 보조디스플레이패널(120)과 같은 장치를 포함한다. 물론 카메라렌즈(110)의 내부에 공지의 미도시된 씨씨디소자(CCD소자) 등이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오픈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폴더(130)는 메인디스플레이패널(250)과, 소리출력을 위한 스피커(240) 를 포함한다. 메인하우징(140)의 상면에는 단말기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220)와, 음성출력을 위한 마이크(230), 사진촬영을 위한 기능버튼(210)이 구성된다.
따라서 카메라렌즈(110)를 통하여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가 메인디스플레이패널(250)상에 표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에 의하여 사진촬영을 촬영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시스템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시스템구성은 제어부(310), 입력부(320), 디스플레이부(330), 카메라모듈부(340), AF처리부(350), 메모리부(360), 오디오처리부(370), 송수신부(380)를 포함한다.
제어부(310)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기능을 제어하며 다른 구성요소와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한다.
입력부(320)는 도 2에 도시된 키패드(220) 또는 기능버튼(210)이 될 수 있으며, 디지트버튼(0 - 9)과, 특수키버튼(*, # ....), 한글자모 또는 알파벳이 새겨진 문자키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버튼으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3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부(340)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카메라가 구성된다. 또한 카메라는 다양한 화소단위를 갖고 있을 수 있다.
AF처리부(350)는 피사체에 대하여 자동초점을 설정하고 이 피사체로부터 일 정간격, 또는 시간간격, 비율 등에 따라 여러 장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메모리부(360)는 플래쉬메모리, 램(RA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저장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의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361)과 AF처리부(350)에 의하여 처리된 이미지데이터(362) 등이 저장된다.
이외 에도, 벨소리 또는 음성정보를 처리하는 오디오처리부(370)와,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380) 등이 더 포함된다. 물론 오디오처리부(370)는 마이크(230)와 스피커(240)를 포함하고 있어서, 가청음을 출력하거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에 브라켓팅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F브라켓팅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카메라촬영메뉴를 선택한다(단계 S410)."카메라촬영메뉴"를 선택하는 방식은 특정키를 두어 이를 선택하거나, 메뉴방식으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사용자는 "카메라촬영메뉴"에서 브라켓팅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단계 S420). 이를 보여주는 화면예가 도 5에 도시된다. 물론 브라켓팅 설정화면은 예시에 불과하며 단계적으로 설정하거나 선택적으로 해당 항목만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면예에는 자동초점이 정해지면 거리간격, 사진을 찍는 시간간격, 초점거리의 일정비율, 자동초점으로부터 전후로 찍는 장수 등의 항목들이 구성될 수 있다. 즉 거리간격은 초점으로부터 일정거리 전후가 되며, 시간간격은 초점된 피사체로부 터 일정시간별로 설정된다. 또한, 초점거리비율은 초점과 단말기간의 거리비율에 따라 초점된 피사체로부터 일정거리간격이 된다.
항목선택은 롤다운메뉴(510)형태로 미리 정해져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선택하는 방식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접 숫자를 입력하여 설정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즉 이들 거리간격, 일정비율, 시간간격 등은 단말기에서 제공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브라켓팅설정에 따라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피사체의 이미지를 찍기 위해 촬영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단말기는 촬영모드에 놓이게 된다(단계 S610).
이때 도 3에 도시된 AF처리부(350)는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맞추기 위해 반셔터가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단계 S620). 여기서 반셔터는 자동초점(AF: Automatic Focus)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통 특정버튼을 살짝 누르게 되는데 이를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기능버튼(210)을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을 것이다.
확인결과 반셔터가 선택되면, 자동초점기능이 작동하여 피사체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초점을 설정한다(단계 S630). 이와 달리 반셔터가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단말기는 촬영모드상태를 계속유지하게 된다.
자동적으로 초점이 설정되면, 도 3에 도시된 AF처리부(350)는 셔터가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단계 S640). 여기서 셔터는 초점이 자동으로 설정된 후 사진을 찍기 위한 것으로 특정버튼이 완전히 눌러진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확인결과 셔터가 선택되지 않으면, 자동초점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달리, 확인결과 셔터가 선택되면, 단말기는 브라켓팅설정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한다(단계 S650). 이를 개념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 도 7에 도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자동으로 초점이 설정된 AF점(700)으로부터 전후 1㎝간격으로 총 3장의 이미지가 찍히게 된다. 즉 AF점(700)에서 1장, AF점(700)으로부터 1㎝후방향쪽으로 떨어진 1장, AF점(700)으로부터 1㎝앞쪽으로 떨어진 1장이 되어 총 3장의 이미지가 구성된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도 5의 화면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AF점(700)으로부터 시간간격을 두고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말기와 피사체의 거리에 따른 비율을 이용하여 비율이 정해지면 이 비율로부터 피사체로부터 전후 거리간격이 정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자동초점을 한 곳으로 지정하는 경우만을 기술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피사체에 대해 각 피사체에 자동초점을 설정하여 복수 개의 사진을 촬영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 때, 피사체의 개수가 너무 많은 경우를 대비하여 자동 초점이 설정될 피사체의 개수는 소정 개수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피사체의 촬영을 위한 촬영모드에 진입한 경우, 프리뷰 화면을 키버튼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 중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 개의 영역에 대하여 각각 자동초점을 설정하여 복수 개의 사진을 촬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리뷰 화면을 키버튼 1 내지 9에 대응하는 9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사용자가 키버튼 1, 3, 5, 7을 순차적으로 눌러서 특정 영역을 선택하게 되면, 1, 3, 5, 7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초점을 맞추어 순차적으로 4장의 사진이 촬영된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초점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피사체의 촬영을 위한 촬영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초점설정요청에 따라 상기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초점을 중심으로 상기 피사체를 일정간격에 따라 다수의 이미지로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다수의 이미지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간격은 상기 초점으로부터 일정거리 전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정 또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입력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간격은 상기 초점된 피사체로부터 일정시간별로 설정되는 시간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정 또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입력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간격은 초점과 단말기간의 거리비율에 따라 상기 초점된 피사체로부터 일정거리간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정 또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입력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는 복수 개 선정가능하며, 상기 피사체가 복수 개 선정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피사체 각각에 대해 자동초점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선정가능한 상기 복수의 피사체의 개수는,
    소정 개수 이하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촬영을 위한 촬영모드에 진입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프리뷰(preview) 화면을 키버튼에 대응하는 소정 개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키버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영역 별로 자동 초점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
  8. 피사체의 촬영모드선택을 위한 입력부와;
    초점설정요청에 따라 상기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설정하는 자동초점처리부와;
    상기 설정된 초점을 중심으로 상기 피사체를 일정간격에 따라 다수의 이미지로 촬영하는 카메라모듈부와;
    촬영된 다수의 이미지중 하나 이상을 정지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으로부터 일정거리 전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정 또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입력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간격은 상기 초점된 피사체로부터 일정시간별로 설정되는 시간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정 또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입력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간격은 초점과 단말기간의 거리비율에 따라 상기 초점된 피사체로부터 일정거리간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정 또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입력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60051919A 2006-06-09 2006-06-09 이동통신단말기 및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 KR100801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919A KR100801027B1 (ko) 2006-06-09 2006-06-09 이동통신단말기 및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919A KR100801027B1 (ko) 2006-06-09 2006-06-09 이동통신단말기 및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811A KR20070117811A (ko) 2007-12-13
KR100801027B1 true KR100801027B1 (ko) 2008-02-04

Family

ID=3914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919A KR100801027B1 (ko) 2006-06-09 2006-06-09 이동통신단말기 및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0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3528A (ja) * 2004-02-04 2005-08-18 Sony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20060043835A (ko) * 2004-09-16 2006-05-1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촬상 장치 및 오토포커스 합초 시간 통지 방법
KR20060067792A (ko) * 2004-12-15 2006-06-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및 촬영방법
KR20060124392A (ko) * 2005-05-31 2006-12-0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아웃포커스 촬영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이미지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3528A (ja) * 2004-02-04 2005-08-18 Sony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20060043835A (ko) * 2004-09-16 2006-05-1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촬상 장치 및 오토포커스 합초 시간 통지 방법
KR20060067792A (ko) * 2004-12-15 2006-06-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및 촬영방법
KR20060124392A (ko) * 2005-05-31 2006-12-0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아웃포커스 촬영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이미지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811A (ko)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5175B2 (ja) 携帯型電子機器及び表示制御方法
KR100627048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US8427430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0503039B1 (ko) 사용자가 쉽게 증명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디지털카메라의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JP5946970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5407380B2 (ja) 撮像機能を備えた携帯端末
KR101109582B1 (ko)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29382B1 (ko) 이미지 회전 장치 및 방법
JP2004336536A (ja) 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058025B1 (ko) 이중 썸네일 모드를 이용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090052676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007508B2 (en) Portable device, photographing method, and program for setting a target region and performing an image capturing operation when a target is detected in the target region
KR20100056280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389342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10021817A (ko) 사진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1010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01027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
KR10136453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20080090174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2048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음성 출력을 이용한 기능 안내 방법
KR101058023B1 (ko) 이미지 회전 장치 및 방법
KR101246292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편집 방법
KR100697519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이미지 검색 방법
KR10070295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표시하는 방법
KR100624325B1 (ko)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화상데이터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