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906A - 자기신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와 이를활용한 복합섬유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신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와 이를활용한 복합섬유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906A
KR20050076906A KR1020040004706A KR20040004706A KR20050076906A KR 20050076906 A KR20050076906 A KR 20050076906A KR 1020040004706 A KR1020040004706 A KR 1020040004706A KR 20040004706 A KR20040004706 A KR 20040004706A KR 20050076906 A KR20050076906 A KR 20050076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self
denier
elon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9141B1 (ko
Inventor
우상원
박시량
권익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40004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14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5Mouse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신장성 및 이수축 향상화하여 고속으로 제조된 자기신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굴절률이 0.03 내지 0.07, 절단신도가 100% 이상, 비수수축률이 30%이상, 단사 섬도가 0.3 내지 3데니어이며, 총 섬도가 50 내지 200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복합사조의 함유율 30 내지 80%, 데니어 비율)를 통상의 피드 롤러를 통과하여 제 1연신 롤러(2)와 접촉식 열판(3)에서 2단계 열처리한 다음 효과사인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와 연속공정으로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사와의 공기 교락한 섬유를 사용해 직편물 용도로 사용시 공정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며, 심색성, 볼륨감, 소프트감, 드라이감 및 반발감 특성이 우수하면서 또한 본 발명의 섬유로 제직 이후 정장복지 및 캐쥬얼 웨어 등 광범위한 직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기신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와 이를 활용한 복합섬유 및 이들의 제조방법{Polyester filament fiber and polyester composite yarn having high shrinking self-extension and manufacturing therof}
본 발명은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에 대한 신장성 및 이수축 향상화하여 롤러와 접촉식 열판에서 이완 열처리 공정을 거쳐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제조한 다음 공기 교락에 의한 복합사의 1단계 생산 공정에 관한 것으로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는 건열 상태에서 8 내지 12%의 신장성 발현으로 고수축사와의 복합없이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사와의 복합 공정을 거친 다음 권취 직전에 인터레이스 노즐을 통과하여 고속으로 제조된 자기신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우수한 촉감, 치수 안정성, 신장탄성률 등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산업자재나 의류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조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가 열에 의해 수축하는 경우 직물이 딱딱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수축률을 제어하거나 알칼리 감량가공을 과하게 처리해도 열수축률이 큰 필라멘트사는 일반적인 열처리 할 경우 경화되어 직물의 표면감이 만족스럽지 못하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열처리에 따라 수축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와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와의 혼합섬유도 알려져 있어 소프트하고 유연한 감촉의 직물 제조가 가능하나 코어(Core)사로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의 수축에 의한 커다란 사장차로 인해 후공정에서의 작업성 및 염색 불균일 문제가 있어 용도전개에 어려움이 있는 현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선행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100℃이상의 열수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의 수축없이 건열조건을 적정화함으로서 작업성이 우수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의 촉감, 적절한 반발감, 볼륨감 및 염색균일성을 향상시키고, 후공정 작업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100℃이상의 열수중에서도 수축함이 없이 자기신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제조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연신사가 통상의 피드롤러를 통과하여 제 1연신 롤러와 접촉식 열판에서 이완 열처리한 다음 제 2연신 롤러를 거친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제조한 다음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사와의 공기 교락에 의해 복합사의 1단계 생산 공정에 관한 것으로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는 건열 상태에서 8 내지 12%의 신장성 발현으로 고수축사와의 복합없이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사와의 복합공정을 거친 다음 권취 바로 직전에 인터레이스 노즐을 통과하여 권취한다.
이러한 공정을 거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는 코어(Core)사와 효과사간에 충분한 이수축 효과를 발현하여 볼륨감, 반발감, 드레이프감 및 공정작업이 향상된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복굴절률이 0.03 내지 0.07, 절단신도가 100% 이상, 비수수축률이 30%이상, 단사 섬도가 0.3 내지 3데니어이며, 총 섬도가 50 내지 200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복합사조의 함유율 30 내지 80%, 데니어 비율)를 통상의 피드 롤러를 통과하여 제 1연신 롤러(2)와 접촉식 열판(3)에서 2단계 열처리한다.
이때 복굴절률이 0.03 미만일 경우 경사변화가 심하여 관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복굴절률이 0.07을 초과하는 경우 복굴절 및 결정화도의 과다 증가에 의해 자기신장성이 발현되지 않는다.
제 1단계 열처리는 제 1연신 롤러(2)에서 열처리 온도는 80℃ 내지 120℃에서 0.03 내지 0.20초간 실시하며 열처리 시간은 제 1연신 롤러(2)의 속도와 공급사인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의 접촉길이를 변경하여 조절한다. 이때 제 1연신 롤러(2)의 열처리 온도가 80℃미만일 경우 자기신장성이 발현되지 않으며 120℃를 초과할 경우 사떨림 및 염색 불균일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저하된다.
제 2단계 열처리는 제 1연신 롤러(2)와 제 2연신 롤러(4)의 속도차에 의해 과공급률이 9 내지 25%인 절첩식 열판에서 이완 열처리를 진행하고, 본 발명에서 공급사인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의 배향도가 상기의 범위일 경우 결정화 제어에 의한 자기신장성 및 농염효과의 발현이 가능하다.
접촉식 열판에서 이완 열처리 공정 중 과공급 비율과 자기신장성과는 어느 정도 비례하나 과공급률이 9%미만일 경우 자기신장성의 발현이 미비하고 과공급률이 25%초과일 경우 사떨림에 의한 작업성 저하 및 염색 불균일이 발생한다.
접촉식 열판(3)의 온도는 150℃ 내지 200℃의 범위에서 진행한다. 이때 접촉식 열판의 온도가 150℃ 미만일 경우 사떨림에 의해 작업성 저하가 발생하며, 200℃초과일 경우 사가 매우 딱딱하게 되어 물성 및 최종 제품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렇게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로부터 제조한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C)는 하기의 두가지 조건을 만족시킨다.
(a): -3%≤ SHW(C) ≤-8%. - 8%≤ SHD(C) ≤ -12%
(b): SHD(C) - SHW(C) ≥ -4%
*SHW: 비수수축률. SHD: 건열수축률(160℃, 10分)
이어서 인터레이스 노즐(5)에서 공기압력이 3.0kgf/cm2 절단신도가 40%이하, 강도가 3g/D이상, 비수수축률이 0%이상, 단사 섬도가 5데니어 이상이며 총 섬도가 50 내지 200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사(B)(복합사조의 함유율 70 내지 20%, 데니어 비율)를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와 미터당 50 내지 폴리에스테르120개 범위의 교락수를 공기 교락시킨 다음 권취 팩키지(6)로 권취한다.
위와 같이 제조한 본 발명의 효과사인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C)는 공급사인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에 비해 결정화도가 증가하고 자연연신 구간이 증가하였으며 복굴절률이 증가되어 100℃의 열수중에서 10분간 방치할 경우 길이방향으로 3 내지 8%의 자기신장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연속 공정으로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사(B)와 공기교락시킨 다음 직편물 제조시 가공에 적정한 볼륨감, 반발감 및 드레이프감을 갖는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으로 제조한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로 직편물 제조시 효과사인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C)의 열적 신장에 의한 볼륨감, 소프트감, 드라이감 및 농염 특성에 더해 태섬도의 코어(Core)사에 의해 반발감, 드레이프감이 극대화된 고급 소모조 제품 및 실크조 용도로 공정작업이 향상된 직편물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들어 좀 더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의 범주나 범위를 국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복굴절률이 0.03 내지 0.07, 절단신도가 130%, 비수수축률이 60%인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로 120데니어 72필라멘트사를 제 1연신 롤러온도 110℃, 접촉식 열판온도 160℃에서 25% 과공급시켜 권취한 다음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무장력하에서 100℃ 끓는 물에 10분간 방치 후 비수수축률을 측정하였으며, 160℃ 건열에 10분간 방치한 다음 건열수축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공정중 공기압력 3.0kgf/cm2으로 절단신도가 40%이하, 강도가 3.5g/D, 비수수축률이 9%, 80데니어 12필라멘트사인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사(B)와 공기교락시켜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1,400 TM으로 연사 후 경사본 수 120본/인치, 위사밀도 80본/인치가 되게 2업(up), 2다운(down) 트윌로 제직 후 일반적인 염가공 조건으로 가공하였다.
실시 예 2
이완 열처리 공정 중 과공급률이 16%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실시 예 3
이완 열처리 공정 중 과공급률이 9%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비교 예 1
제 1연신 롤러의 온도가 7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비교 예 2
제 1연신 롤러의 온도가 13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비교 예 3
이완 열처리 공정 중 과공급률이 3%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비교 예 4
이완 열처리 공정 중 과공급률이 3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비교 예 5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의 복굴절률이 0.1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실시 예 1 내지 3과 비교 예 1 내지 5로 제조한 섬유의 원사물성 및 자기신장성 복합사 직물의 표면감 분석결과는 표 1과 같다.
구분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사(C)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D)
비수(%) 건열(%) 작업성(%) 염색성a 후도(mm) 표면감b
실시 예1 -8 -12 0.84
실시 예2 -5 -9 0.72
실시 예3 -3 -8 0.65
비교 예1 1 2 0.55
비교 예2 -8 -11 × × 0.84
비교 예3 3 4 0.50 ×
비교 예4 -9 -13 × × 0.87
비교 예5 4 6 0.48 ×
* 염색성a, 표면감b: 전문가 10인의 감성평가 결과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로부터 이완 열처리 공정을 거쳐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사와 공기교락시킨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에 관한 것으로 이 섬유를 사용해 직편물 용도로 사용시 공정 작업성과, 심색성, 볼륨감, 소프트감, 드라이감 및 반발감 특성이 매우 우수하면서 또한 본 발명의 섬유로 제직 이후 정장복지 및 캐쥬얼 웨어 등 광범위한 직물로서 사용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B: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사
C: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
D: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1: 피드 롤러
2: 제 1연신 롤러
3: 접촉식 열판
4: 제 2연신 롤러
5: 인터레이스 노즐
6: 권취 팩키지

Claims (4)

  1. 굴절률이 0.03 내지 0.07, 절단신도가 100% 이상, 비수수축률 이 30%이상, 단사 섬도가 0.3 내지 3데니어, 그리고 총데니어가 50 내지 200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복합사 조의 함유율 30 내지 80%, 데니어 비율)에 3 내지 8%의 자기신장율을 부여하되, 이 미연신사를 이완 열처리하여 다음 물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신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
    .
    (a): -3% SHW(C) -8%, - 8% SHD(C) -12%
    (b): SHD(C) - SHW(C) -4%
    * SHW: 비수수축률 . SHD: 건열수축률 (160 ㅧ 10分)
  2. 제 1항에 기재된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와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사를 인터레이스 노즐을 통해 공기교락시켜 다음의 물성에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기신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공기압력: 3.0kgf/cm2
    절단신도: 40%이하
    강도: 3g/D이상
    비수수축률: 0%이상
    단사 섬도: 5데니어 이상
  3.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B)를 연신 롤러로 이완 열처리하되, 제 1단계 열처리는 80 내지 120 로 하며 제 2단계 열처리는 제 1연신롤러(2)와 제 2연신 롤러(4)의 속도차에 의해 9 내지 25% 과공급하고, 이때 접촉식 열판(3)의 온도는 150 내지 165 를 수득하는 단계 및 이 단계에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사(C)와 연속 공정으로 공기교락시킨 다음 인터레이스 노즐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기신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4. 제 3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C)를 이용한 인터레이스 노즐(5)에서 공기 압력이 3.0kgf/cm2, 절단신도가 40%이하, 강도가 3g/D이상, 비수수축률이 0%이상, 단사 섬도가 5데니어 이상이며, 총 섬도가 50 내지 200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사(B)(복합사조의 함유율 70 내지 20%, 데니어 비율)를 미터당 50 내지 120개 범위의 교락수로 공기교락시킨 다음 권취팩키지(6)로 권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신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KR1020040004706A 2004-01-26 2004-01-26 자기신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59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706A KR100559141B1 (ko) 2004-01-26 2004-01-26 자기신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706A KR100559141B1 (ko) 2004-01-26 2004-01-26 자기신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906A true KR20050076906A (ko) 2005-07-29
KR100559141B1 KR100559141B1 (ko) 2006-03-10

Family

ID=3726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706A KR100559141B1 (ko) 2004-01-26 2004-01-26 자기신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1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559B1 (ko) * 2010-03-31 2012-03-16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폐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재생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430303B1 (ko) * 2012-05-18 2014-08-14 주식회사 대영합섬 고속방사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이용한 심색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가연복합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528B1 (ko) 2005-10-17 2010-05-19 주식회사 효성 다색톤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96506B (ko) * 1995-07-25 1997-01-2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559B1 (ko) * 2010-03-31 2012-03-16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폐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재생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430303B1 (ko) * 2012-05-18 2014-08-14 주식회사 대영합섬 고속방사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이용한 심색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가연복합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9141B1 (ko) 200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22838A (en) Composite polyester yarn for woven or knitted fabric
KR100559141B1 (ko) 자기신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76471B1 (ko)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58528B1 (ko) 다색톤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JPS6260504B2 (ko)
KR101989742B1 (ko) 대나무사를 이용하는 멜란지 효과 및 광택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ity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0956497B1 (ko) 방적사효과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0635859B1 (ko)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JP3526990B2 (ja) ポリエステル系異収縮混繊糸
JP2003119640A (ja) ポリエステル混繊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31531B2 (ja) 長・短繊維複合糸およびその糸を用いた織編物
JP2857718B2 (ja) 潜在嵩高糸とその製造方法
KR0122434B1 (ko)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1432527B1 (ko) 수축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 제조방법
JP3877022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糸織物の製造方法
JPS6249380B2 (ko)
JPH1181069A (ja) けん縮糸および織編物とその製造方法
JP2770878B2 (ja) 天然繊維様構造加工糸
JP2002161443A (ja) 捲縮糸
JPH07116662B2 (ja) 成形用経編地
JPH08100347A (ja) 新規なソフト風合い織編物の製造方法
JPH04174741A (ja) カシミア調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99430A (ja) 自発伸長性加工糸の製造法
JPH0849130A (ja) 熱可塑性合成繊維複合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352835A (ja) ポリエステル特殊混繊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