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463A -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증축된 건축물 - Google Patents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증축된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463A
KR20050074463A KR1020057005397A KR20057005397A KR20050074463A KR 20050074463 A KR20050074463 A KR 20050074463A KR 1020057005397 A KR1020057005397 A KR 1020057005397A KR 20057005397 A KR20057005397 A KR 20057005397A KR 20050074463 A KR20050074463 A KR 20050074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rcase
floor
corridor
existing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후미 고가와
마사오 고모리
쇼죠 다키가와
히데도시 오오요시
도시오 다치바나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미라쿠루스리코포레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미라쿠루스리코포레숀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미라쿠루스리코포레숀
Publication of KR20050074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46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66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66Enlarging
    • E04G23/027Loft conversion by truss modif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92Repairing or restoring balcon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인접하는 세대(1) 사이에 각 세대에의 출입구(2)에 접속하는 옥외계단(3)을 구비한 계단실형 공동주택에 있어서,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기존 기초부의 외측에 증축용 기초부를 설치하고, 이 증축용 기초부의 위에 지지부재(4)를 세워 설치하고, 이어서 이 지지부재의 꼭대기부에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기존 지붕의 위쪽에 위치하는 증축용 지붕(5)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기존 지붕의 위쪽에 상기 지지부재의 중도부(中途部)에서 지지되는 바닥부재(6)를 설치하여 이 바닥부재와 증축용 지붕과의 사이에 새로운 거주공간(7)을 형성하고, 계속하여 모든 인접하는 세대에 면하여 각 세대간을 연락(連絡)하는 복도(11)를 설치하고, 이 복도에 면하는 위치에 승강기(12) 및 계단(13)을 설치한 후, 상기 옥외계단측 또는 그 반대측에 각 층의 바닥높이와 같은 높이의 신규바닥(9)을 연장 설치하고, 또한 상기 복도에 면하는 현관(10)을 인접하는 세대마다 독립하여 설치한다.

Description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증축된 건축물{METHOD FOR EXTENDING STAIRCASE TYPE APARTMENT HOUSE AND BUILDING EXTENDED USING THAT METHOD}
본 발명은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증축된 건축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거주공간을 큰 폭으로 확장하면서 거주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편(片)복도형 공동주택으로 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인접하는 세대 사이에 각 세대에의 출입구에 접속하는 옥외계단을 구비한 구조의 공동주택은 일반적으로 계단실형 공동주택이라고 불리우고 있다.
이와 같은 계단실형 공동주택중, 1960∼1970년대경에 걸쳐 준공된 주거용 건물은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신속한 개축 등이 요망되고 있는데, 기존의 모든 주거용 건물을 모두 개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는 용이하지 않으며, 막대한 양의 건축폐기재의 발생이나 개축 등에 따른 거주자 이사의 문제도 있다.
또, 이와 같은 계단실형 공동주택은 거주자에 고령자가 많으므로, 상층에 거주하는 고령자에게는 계단에서의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존의 계단실형 공동주택을 편복도형 공동주택으로 개축하여 새롭게 승강기를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1(1999)-159153호 공보 참조).
그러나, 종래의 계단실형 공동주택은, 상기한 문제점에 더하여 외부로의 경로가 인접한 세대와 공통된 계단실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발생시에 피난이 곤란하다는 문제나, 이웃간의 프라이버시 확보가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도 안고 있는데, 상기한 공보에 개시(開示)된 바와 같은 방법에서는 인접한 세대의 출입구는 개축 전과 동일하게 대향하는 공통 공간을 이용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또, 개축에 따른 거주자 이사의 문제에 대해서는 거주자가 살면서 공사를 실시하기 위한 배려가 되어 있지만, 거주하고 있는 방에 인접한 계단부분에서 공사가 행해지므로 공사가 거주자의 일상 생활에 주는 영향은 작다고는 할 수 없었다. 또한, 거주하는 방에 대해서는 거주자가 거주하면서 리폼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시공 후에도 노후화된 채의 상태로 생활을 계속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존의 계단실형 공동주택에 승강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 발생시의 안전성이나 이웃간의 프라이버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시공중에도 거주자가 쾌적하게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동시에, 방의 리폼도 외부로의 이사를 수반하지 않고도 가능한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증축된 건축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발명은, 인접하는 세대 사이에 각 세대에의 출입구에 접속하는 옥외계단을 구비한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으로서,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기존 기초부의 외측에 증축용 기초부를 설치하고, 이 증축용 기초부의 위에 지지부재를 세워 설치하고, 이어서 이 지지부재의 꼭대기부에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기존 지붕의 위쪽에 위치하는 증축용 지붕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기존 지붕의 위쪽에 상기 지지부재의 중도부(中途部)에서 지지되는 바닥부재를 설치하여 이 바닥부재와 증축용 지붕과의 사이에 새로운 거주공간을 형성하고, 계속하여 모든 인접하는 세대에 면하여 각 세대간을 연락(連絡)하는 복도를 설치하여, 이 복도에 면하는 위치에 승강기 및 계단을 설치한 후, 상기 옥외계단측 또는 그 반대측에 각 층의 바닥높이와 같은 높이의 신규바닥을 연장 설치하고, 또한 상기 복도에 면하는 현관을 인접하는 세대마다 독립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복도를 모든 인접하는 세대간을 연락하고 또한 양단부에 위치하는 세대의 측방에 이르는 평면에서 보면 ㄷ자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옥외계단과 반대측에 상기 복도와 면하는 신규의 발코니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승강기 및 계단을 설치한 후, 기존의 옥외계단을 철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새로운 거주공간을 형성한 후, 이 거주공간에 기존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상층의 입주자를 이동시켜서 이 상층의 거주공간을 개장(改裝)하고, 이어서 이 개장된 상층의 거주공간에 기존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중층의 거주자를 이동시켜서 이 중층의 거주공간을 개장하고, 이어서 이 개장된 중층 거주공간에 기존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하층의 거주자를 이동시켜서 이 하층의 거주공간을 개장한다는 일련의 공정을 가장 하층에 이르기까지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개장된 가장 하층의 거주공간에 새로운 입주자를 입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한 발명은, 인접하는 세대 사이에 각 세대에의 출입구에 접속하는 옥외계단을 구비한 계단실형 공동주택을 증축하여 얻어지는 건축물로서,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기존 기초부의 외측에 증축용 기초부가 설치되고, 이 증축용 기초부의 위에 지지부재가 세워 설치되고, 이 지지부재의 꼭대기부에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기존 지붕의 위쪽에 위치하는 증축용 지붕이 설치되고, 이 증축용 지붕의 아래쪽이며 상기 기존 지붕의 위쪽에 상기 지지부재의 중도부에서 지지되는 바닥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이 바닥부재와 증축용 지붕과의 사이에 새로운 거주공간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옥외계단측 또는 그 반대측에 각 층의 바닥높이와 같은 높이의 신규바닥이 연장 설치되고, 또한 모든 인접하는 세대에 면하여 각 세대간을 연락하는 복도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이 복도에 면하는 위치에는 승강기 및 계단이 설치되고, 이 복도에 면하는 현관이 인접하는 세대마다 독립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복도가 양단부에 위치하는 세대의 측방에 이르는 평면에서 보면 ㄷ자형의 복도가 되고, 상기 옥외계단과 반대측에는 이 복도와 면하는 신규의 발코니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한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7항에 기재한 발명은, 기존의 옥외계단이 철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한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을 시공공정순으로 개략적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을 시공공정순으로 개략적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증축방법의 시공 전의 상태를 나타낸 1층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증축방법의 시공 전의 상태를 나타낸 옥상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증축방법의 시공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증축방법의 시공 후의 상태를 나타낸 1층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증축방법의 시공 후의 상태를 나타낸 기존층(2 ~ 5층)의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증축방법의 시공 후의 상태를 나타낸 증설층(6 ~ 7층)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증축방법의 시공 후의 상태를 나타낸 옥상의 평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증축방법의 시공 전의 상태를 나타낸 1층의 평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증축방법의 시공 후의 상태를 나타낸 1층의 평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증축방법의 시공 후의 상태를 나타낸 증설층(6 ~ 7층)의 평면도이며,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증축방법에서의 거주자의 이동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증축된 건축물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방법은, 인접하는 세대 사이에 각 세대에의 출입구에 접속하는 옥외계단을 구비한 구조의 계단실형 공동주택을, 거주공간을 큰폭으로 확장하면서 편(片)복도형의 공동주택으로 개조하는 방법이며, 본 발명에 관한 건축물은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편복도형 공동주택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을 시공공정순으로 개략적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및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증축방법의 시공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증축방법의 시공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증축방법의 시공 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완성상태인 도 6 및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건축물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5층 건물의 계단실형 공동주택을 7층 건물의 편복도형 공동주택으로 증축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음의 설명도 이 도면에 따라서 행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계단실형 공동주택이 4층 건물 이하의 경우나 6층 건물 이상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증축 후의 건축물은 6층 건물 이하나 8층 건물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의 시공 후(증축 후)의 편복도형 공동주택의 평면도에서, 도 10은 1층, 도 11은 2 ~ 5층, 도 12는 6 ~ 7층, 도 13은 옥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시공 전의 상태로서, 인접하는 세대(1) 사이에 각 세대(1)에의 출입구(2)에 접속하는 옥외계단(3)을 구비한 구조의 계단실형 공동주택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7은 1층, 도 8은 옥상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발명에서는, 먼저 이와 같은 기존의 계단실형 공동주택(이하, 기존주택이라고 함)의 기존 기초부의 외측에, 기존주택의 주위를 에워싸도록 증축용 기초부를 설치하고, 이 증축용 기초부 위에 철골기둥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4)를 세워 설치한다(도 2 및 도 9 참조). 그리고, 도 2는 지지부재와 함께 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옥외계단(3)측 또는 옥외계단과 반대측에는 지지부재(4)로서 기존주택의 근방에 위치하는 내측 지지부재(41)와, 이 내측 지지부재(41)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지지부재(42)를 세워 설치한다. 도 2 내지 도 6은 옥외계단(3)측에 내측 지지부재(41) 및 외측 지지부재(42)를 설치한 경우, 도 9 내지 도 13은 옥외계단과 반대측에 내측 지지부재(41) 및 외측 지지부재(42)를 설치한 경우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어서, 지지부재(4)의 꼭대기부에 기존주택의 지붕의 위쪽에 위치하는 건축용 지붕(5)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기존주택의 지붕의 위쪽에 지지부재(4)의 중도부(中途部)에서 지지되는 바닥부재(6)를 설치하여 이 바닥부재(6)와 건축용 지붕(5)과의 사이에 새로운 거주공간(7)을 형성하고, 그리고 지지부재(4)의 외측에 벽부재를 장착함으로써 기존주택의 주위 및 상부를 둘러싼다(도 3 참조).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바닥부재(6)를 상부에 2층 설치함으로써, 새롭게 2층분의 거주공간(7)을 형성한 모양을 나타내고 있지만, 1층분 또는 3층분 이상의 거주공간(7)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바닥부재(6)의 설치는 증축용 지붕(5)을 설치한 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증축용 지붕(5)을 설치하기 전이라도 된다.
그리고, 증축용 지붕(5)에 의해 형성되는 옥상 바닥의 적재하중에 대해서는, 1800N/m2 이상의 수치에 바닥면적을 곱하여 계산한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옥상에 식재부(옥상정원)나 솔라패널(solar panel)을 이용한 발전장치 등을 배설하는 것이 가능하며, 옥상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또한 히트아일랜드(heat island)현상이나 지구온난화의 억제효과도 우수한 건축물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새로운 거주공간(7)을 형성한 후 또는 형성하기 전에, 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도(11)가 모든 인접하는 세대(1)에 면함으로써 각 세대간을 연락하고 또한 양단부에 위치하는 세대(1a),(1b)의 측방에 이르는 평면에서 본 ㄷ자형으로 설치되고, 이 복도(11)에 면하는 외측 위치에 승강기(12) 및 피난계단(13)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복도(11)는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지지부재(41)와 외측 지지부재(42)가 옥외계단(3)측에 세워 설치되는 경우에는, 이들 지지부재(41),(42)의 사이에서 양측지지의 상태로 설치하면 되지만, 도 9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옥외계단과 반대측에 내측 지지부재(41) 및 외측 지지부재(42)가 세워 설치되는 경우에는 새로 설치되는 복도(11)는 지지부재에 대해서는 일측지지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복도(11)를 평면에서 본 형상은 반드시 도시한 예와 같은 ㄷ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인접하는 모든 세대의 주위를 에워싸도록 ㅁ자형, 원형, 타원형 등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승강기(12) 및 피난계단(13)의 설치위치는,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시에 모든 세대(1)의 거주자가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단부에 위치하는 세대(1a),(1b)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의 복도(11)에 면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난계단(13)에 대해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승강기(12)에 대해서는 양쪽에 설치해도 되지만 최소한 어느 한쪽에 설치하면 된다. 또, 일조 조건에 따른 동간 간격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승강기(12) 및 피난계단(13)의 설치위치를 세대의 측방이 아닌 전방측(옥외계단이 있던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복도(11)에 면하는 위치로 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신규로 복도(11), 승강기(12) 및 피난계단(13)이 설치된 후, 기존주택에 대하여 수평방향의 바닥증축을 실시한다.
수평방향의 바닥증축은 기존주택의 옥외계단(3)측 및/또는 그 반대측에 각 층의 바닥높이와 같은 높이의 신규바닥(9)을 연장 설치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편의상, 기존주택의 옥외계단측을 전방, 그 반대측을 후방이라고 칭한다.
이 신규바닥(9)은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옥외계단(3)측과 반대측에 설치해도 되고,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옥외계단(3)측에 설치해도 된다.
또, 신설되는 복도(11)에 면하는 위치에는 옥외계단(3)의 위치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2개 세대의 현관(10)을 독립시켜서 설치하고, 이 현관(10)에서 복도(11)로 직접 나오도록 한다. 여기서, 신규바닥(9)이 옥외계단(3)측과 반대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세대의 기존 방의 일부가 현관(10) 공간으로 되지만, 신규바닥(9)이 옥외계단(3)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신규바닥(9)에 현관(1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옥외계단(3)의 위치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2개 세대의 현관(10)을 독립시켜서 복도(11)에 면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화재나 지진 등의 발생시의 피난경로가 별도로 확보되어 안전성이 높아지는 동시에, 외출시 이웃의 거주자에게 신경 쓸 필요가 없어져, 각 세대가 자유롭게 출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집합주택이면서 단독주택과 같이 넉넉한 현관 앞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 기존의 현관 도어가 있던 부분을 유리창으로 함으로써 거실에의 채광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옥외계단(3)과 반대측에 연장 설치되는 신규바닥(9)에는 새로 발코니(16)가 설치되고, 양단부에 위치하는 세대(1a),(1b)의 측방에 설치되는 발코니는 복도(11)에 면하게 된다. 이로써, 세대(1a),(1b)의 거주자는 현관(10)으로부터 탈출할 수 없는 긴급시에는 이 발코니(16)에서 복도(11)로 탈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양단부 이외의 세대(1c),(1d)의 거주자는 각 세대(1a),(1b)의 발코니를 통하여 탈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기존의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동일층에서 인접하는 세대의 수가 4호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인접하는 세대의 수가 2호인 경우와 6호 이상인 경우에도 당연히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옥외계단(3)에서의 신규바닥(9)의 연장설치시에는, 먼저 기존의 옥외계단(3)을 철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거주자가 철거를 희망하지 않는 경우 등에는 반드시 철거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기존의 옥외계단(3)을 철거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기존의 옥외계단(3)을 철거하는 경우에는, 철거 후에 생긴 공간은, 예를 들면 파이프샤프트의 설치공간으로서 또는 식재(植栽)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지만, 옥외계단(3)을 철거하지 않는 경우에는 피난경로의 선택지(選擇肢)가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샤프트(P)는 통상의 계단실형 공동주택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건의 세대에 대해서 1개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10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샤프트(P)를 증설하여 세대 1건마다 1개의 파이프샤프트를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존 파이프샤프트의 용도를 변경하여 새로운 기능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옥외계단(3)을 철거하는 경우에는 모든 층을 일시에 철거하는 것은 아니고, 상층에서 옥외계단(3)을 철거하여 신규바닥(9)을 설치하고나서, 하층에서 옥외계단(3)을 철거한다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도 4 및 도 5 참조), 도 4는 3층 이상의 옥외계단(3)만을 철거하여 4층과 5층에 신규바닥(9)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5는 2층 이상의 옥외계단(3)을 철거하여 2층과 3층에도 신규바닥(9)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6은 모든 옥외계단(3)을 철거하여 1층에 신규바닥(9)과 복도(11)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새로 형성된 복도(11)와 기존의 세대(1) 또는 신규바닥(9)과의 경계는, 콘크리트타설에 의해 접속 일체화해도 되지만, 가장자리가 단절된 상태로서 익스펜션조인트로 접속하면, 복도(11)에서의 발소리가 실내에 직접 전달되거나 지진의 발생시에 신설부분의 진동이 기존주택부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익스펜션조인트에서의 접속위치를 점선의 원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증축용 지붕(5)의 상부 및 옥외계단(3)과 반대측에 장착되는 벽부재의 외면에는, 식재부(14)와 솔라패널(15)을 설치할 수 있다(도 6 및 도 13 참조). 이와 같이 옥상만이 아닌 외벽에도 식재부(14)와 솔라패널(15)을 설치함으로써 녹피율(綠被率)이 커져서, 근래 대도시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히트아일랜드 현상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CO2의 증가를 억제하여 지구온난화 방지에도 공헌할 수 있는 건축물이 된다. 또한, 옥상에 설치된 식재부(옥상정원)는 거주자의 치유의 공간 또는 휴식의 장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그리고, 증축용 지붕(5) 상부의 옥상에는, 인공지반을 형성하여 이 인공지반상에 옥상정원(식재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인공지반상에는 온실을 설치하여 온실재배를 하거나, 울타리를 별도로 설치하여 동물을 사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재래공법에 의한 시공기술에 더하여, 구조체(스켈톤(Skeleton))내에 프레허브공법이나 유닛공법으로 미리 가공된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거나, 각 세대(인필(infill))를 편성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1층 부분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트런스홀(entrance hall)(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한 도 7 내지 도 13은, 기존주택의 옥외계단이 북향인 경우의 층축방법이지만, 기존주택의 옥외계단이 남향인 경우에는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축이 실시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증축방법의 시공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증축방법의 시공 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시공 후의 평면도에 대해서는 발명의 이해에 필요한 일부 층만을 추출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도 14 및 도 15는 1층(기존층), 도 16은 6 ~ 7층(증설층)을 나타내고 있다.
기존주택의 옥외계단이 남향이라도, 기본적인 증축방법은 상기에 설명한 기존주택의 옥외계단이 북향인 경우와 동일하므로, 도면중의 같은 구성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이하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기존주택의 옥외계단이 북향인 경우에는, 기존 발코니(17)가 옥외계단(3)과 반대측에 있지만, 남향인 경우에는 기존 발코니(17)가 옥외계단(3)과 같은 측에 있어, 이 차이에 의해 일부 증축방법이 달라진다.
구체적으로는 북향인 경우에는, 복도(11)가 기존 발코니(17)와 반대측에 설치되지만, 남향인 경우에는 복도(11)는 기존 발코니(17)와 같은 측에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남향인 경우,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 발코니(17)의 일부를 이용하여 현관(10)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남향·북향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옥외계단(3)을 철거하여 생긴 공간을 화장실이나 조립식목욕탕을 위한 공간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방법에 있어서의 거주자 처리에 대하여, 도 17 및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도 17 내지 도 20에서의 화살표는 거주자의 이동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주택의 상부에 새로운 거주공간(7)(도시한 예에서는 6층과 7층)을 형성한 후, 먼저 이 거주공간(7)에 기존주택의 상층(도시한 예에서는 4층과 5층)의 입주자를 이동시켜서 이 상층의 거주공간을 개장한다.
이어서, 이 개장된 상층의 거주공간에 기존주택의 중층(도시한 예에서는 2층과 3층)의 거주자를 이동시켜서 이 중층의 거주공간을 개장한다(도 18 참조).
이어서, 이 개장된 중층의 거주공간에 기존주택의 하층(도시한 예에서는 1층)의 거주자를 이동시켜서 이 하층의 거주공간을 개장한다(도 19 참조).
그리고, 이와 같은 이동과 개장을 가장 하층(1층)의 개장이 종료하기까지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이 개장된 가장 하층의 거주공간에 새로운 입주자를 입주시킨다(도 20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개축방법과는 달리, 상부에 새로운 거주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시공중에 있어서 거주자는 같은 건물 내에서의 간단한 이사로 완료되고, 막대한 비용을 요하는 외부로의 대규모의 이사를 하지 않는, 또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불가능했던 거주공간의 리폼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증축된 건축물은, 기존의 계단실형 공동주택에 승강기를 설치하여 고령자가 살기 편한 주택으로 개장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 발생시의 피난경로를 확실하게 확보하여 안전성이 높은 주택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인접하는 세대의 거주자에 대한 프라이버시에 대해서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중에도 거주자가 외부로의 이사를 하지 않고 쾌적하게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어 방의 리폼까지도 가능하다.

Claims (7)

  1. 인접하는 세대(1) 사이에 각 세대에의 출입구(2)에 접속하는 옥외계단(3)을 구비한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으로서,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기존 기초부의 외측에 증축용 기초부를 설치하고, 이 증축용 기초부의 위에 지지부재(4)를 세워 설치하고, 이어서 이 지지부재의 꼭대기부에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기존 지붕의 위쪽에 위치하는 증축용 지붕(5)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기존 지붕의 위쪽에 상기 지지부재의 중도부(中途部)에서 지지되는 바닥부재(6)를 설치하여 이 바닥부재와 증축용 지붕과의 사이에 새로운 거주공간(7)을 형성하고, 계속하여 모든 인접하는 세대에 면하여 각 세대간을 연락(連絡)하는 복도(11)를 설치하여, 이 복도에 면하는 위치에 승강기(12) 및 계단(13)을 설치한 후, 상기 옥외계단측 또는 그 반대측에 각 층의 바닥높이와 같은 높이의 신규바닥(9)을 연장 설치하고, 또한 상기 복도에 면하는 현관(10)을 인접하는 세대마다 독립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도를 모든 인접하는 세대간을 연락하고 또한 양단부에 위치하는 세대(1a),(1b)의 측방에 이르는 평면에서 보면 ㄷ자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옥외계단과 반대측에 상기 복도와 면하는 신규의 발코니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및 계단을 설치한 후, 기존의 옥외계단을 철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거주공간을 형성한 후, 이 거주공간에 기존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상층의 입주자를 이동시켜서 이 상층의 거주공간을 개장(改裝)하고, 이어서 이 개장된 상층의 거주공간에 기존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중층의 거주자를 이동시켜서 이 중층의 거주공간을 개장하고, 이어서 이 개장된 중층 거주공간에 기존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하층의 거주자를 이동시켜서 이 하층의 거주공간을 개장한다는 일련의 공정을 가장 하층에 이르기까지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개장된 가장 하층의 거주공간에 새로운 입주자를 입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
  5. 인접하는 세대 사이에 각 세대에의 출입구에 접속하는 옥외계단을 구비한 계단실형 공동주택을 증축하여 얻어지는 건축물로서,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기존 기초부의 외측에 증축용 기초부가 설치되고, 이 증축용 기초부의 위에 지지부재를 세워 설치하고, 이 지지부재의 꼭대기부에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기존 지붕의 위쪽에 위치하는 증축용 지붕이 설치되고, 이 증축용 지붕의 아래쪽이며 상기 기존 지붕의 위쪽에 상기 지지부재의 중도부에서 지지되는 바닥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이 바닥부재와 증축용 지붕과의 사이에 새로운 거주공간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옥외계단측 또는 그 반대측에 각 층의 바닥높이와 같은 높이의 신규바닥이 연장 설치되고, 또한 모든 인접하는 세대에 면하여 각 세대간을 연락하는 복도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이 복도에 면하는 위치에는 승강기 및 계단이 설치되고, 이 복도에 면하는 현관이 인접하는 세대마다 독립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도가 양단부에 위치하는 세대의 측방에 이르는 평면에서 보면 ㄷ자형의 복도가 되고, 상기 옥외계단과 반대측에는 이 복도와 면하는 신규의 발코니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기존의 옥외계단이 철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KR1020057005397A 2002-10-03 2002-12-24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증축된 건축물 KR200500744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91484 2002-10-03
JP2002291484A JP4044408B2 (ja) 2002-10-03 2002-10-03 階段室型共同住宅の増築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て増築された建築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463A true KR20050074463A (ko) 2005-07-18

Family

ID=3206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397A KR20050074463A (ko) 2002-10-03 2002-12-24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증축된 건축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44408B2 (ko)
KR (1) KR20050074463A (ko)
WO (1) WO20040315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057B1 (ko) 2004-05-12 2006-04-28 주식회사 도화구조 캔틸레버 구조를 응용한 건축물 증축 방법
JP4700368B2 (ja) * 2005-02-22 2011-06-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集合住宅及びその改修方法
JP4600182B2 (ja) * 2005-06-28 2010-12-15 株式会社大林組 既存建物の上部増床工法
JP4829599B2 (ja) * 2005-08-12 2011-12-07 森 直樹 階段室型共同住宅の増築方法及びこの方法で増築された建築物
EP1862611A3 (de) * 2006-05-30 2008-02-27 KOROLEV, Igor Gennadijevich Sekundär bebautes Wohnhaus
CN102116095A (zh) * 2009-12-31 2011-07-06 张乾梁 一种住房户型的设计方法
UA88058U (en) * 2013-10-21 2014-02-25 Дмитрий Игоревич Кухарев Secondary structure
JP2016166496A (ja) * 2015-03-10 2016-09-15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屋外階段付き建物
CN110778150A (zh) * 2019-10-29 2020-02-11 绿城建设管理集团有限公司 一种中式空中合院结构
CN111186752B (zh) * 2020-01-21 2021-04-23 山东大学 一种平层与错层入户相结合的加装电梯结构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932A (ja) * 1981-07-15 1983-01-25 Hasegawa Komuten Co Ltd 集合住宅における設備配管及び熱源機器集中システム
JPH0633627B2 (ja) * 1986-09-10 1994-05-02 清水建設株式会社 既存施設上の新築構法
JP4032331B2 (ja) * 1999-05-02 2008-01-16 株式会社環境開発研究所 既存建物の増築方法
JP2002089056A (ja) * 2000-09-18 2002-03-27 Ando Corp 既設中低層集合住宅へのエレベーターの設置工法及び該工法に使用する増築建造物
JP3526029B2 (ja) * 2000-10-26 2004-05-10 株式会社小山工作所 建物のバリアフリー改修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24558A (ja) 2004-04-22
JP4044408B2 (ja) 2008-02-06
WO2004031512A1 (ja) 200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9599B2 (ja) 階段室型共同住宅の増築方法及びこの方法で増築された建築物
KR20050074463A (ko)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증축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증축된 건축물
JP4163539B2 (ja) 建築物の耐震補強増築方法および耐震補強増築建築物
JP2006083691A (ja) 既存共同住宅のバリアフリー増築構造
JP2006307609A (ja) 道路と建築物を共有化した高層建造物
JP3760133B2 (ja) 住戸アクセス用昇降設備の増設方法
JP5398950B2 (ja) 集合住宅
JP2011241569A (ja) 建築物の改築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改築された建築物
EP1308569A2 (en) Hous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JPH10311148A (ja) 建物の増築方法
JP2003105976A (ja) 建築物の増築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て構築された建築物
JP7003564B2 (ja) 建物
JP4966369B2 (ja) 集合住宅
RU2114960C1 (ru) Реконструированное жилое здание и способ реконструкции зданий
JP2005200914A (ja) 集合住宅
JP4597545B2 (ja) 重層長屋住宅
CN212295749U (zh) 一种既有住宅平层入户式加装电梯
JPH10131522A (ja) 住 宅
JP7317782B2 (ja) 建物
JPH09158502A (ja) 集合住宅の構造
RU2347873C1 (ru) Пристраиваемое лиф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конструируемого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JP2002242460A (ja) 住 宅
JP4256239B2 (ja) 共同住宅団地の増築方法および共同住宅団地の増築構造
GB2279378A (en) Prefabricated shaft for lift or stairwell
JPH10311149A (ja) 住宅の最下階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