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911A -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911A
KR20050072911A KR1020040001048A KR20040001048A KR20050072911A KR 20050072911 A KR20050072911 A KR 20050072911A KR 1020040001048 A KR1020040001048 A KR 1020040001048A KR 20040001048 A KR20040001048 A KR 20040001048A KR 20050072911 A KR20050072911 A KR 20050072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ement
group
weight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봉
이일오
황홍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비
Priority to KR1020040001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2911A/ko
Publication of KR20050072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91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하여 시멘트 조성물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경화된 시멘트 조성물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시멘트 조성물의 첨가제인 시멘트 혼화제 및 제조방법에 관한것으로 시멘트 혼화제는 알콕시 폴리 알킬렌 글리콜 모노 아크릴산 에스테르게 단랑체 40 내지 90 중량%와, (메타)아크릴산 단량체 60 내지 10중량 % 중합시켜 얻어진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시멘트 입자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조성물의 유동성을 높임과 아울러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경화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compound agent of c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경화되지 않은 시멘트 조성물에 투입하여 시멘트 조성물의 점도 및 단위 함수량을 감소시키고, 경화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981년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기 열화가 사회 문제화된 이래, 콘크리트의 시공성과 내구성 향상에 가장 영향력을 크기 미치는 시멘트 혼화제에 대한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조성물 예를 들면 콘크리이트, 모르타르, 시멘트 페이스트는 시멘트와 물의 수화반응에 의해 배합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컨시스턴시(consistency)가 저하된다. 이러한 현상은 콘크리트에서 일반적으로 슬럼프 손실이라 불리우고 있고, 슬럼프 손실은 경화되지 않은 생콘크리트의 운반가능한 시간을 제한한다.
또한, 콘크리트 2차 제품의 제조 공장에서는 시멘트 조성물의 펌프 압송을 일시 중단한 후 압송을 재개 했을 때 압송압이 급격히 증가되거나 펌프가 막힐 수 있다. 또한, 콘크리이트의 유동성이 떨어지는 시기에 형틀에 시멘트 조성물을 다져 넣은 경우 밀도가 낮게 성형되어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일으킨다.
현재 이러한 시멘트 조성물의 슬럼프 손실을 개선하기 위한 용도로 시판되는 시멘트 혼화제로는 나프탈렌계, 아미노 설폰산계 및 폴리 카르보닌계 등으로 된 AE(Agent)감수제가 있다.
폴리카르본산계 AE 감수제로서 일본특허공개 소59-18338호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와, (메타)아크릴산계 단량체 및 이들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공중합체가 개시되어 있고, 일본특허공개 평 5-238795호에는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폴리알킬렌글리콜 디에스테르계 단량체와 해리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다른 특정의 단량체와의 공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폴리카르본산계 AE감수제는 시멘트 조성물에 대해 감수능과 슬럼프 손실을 다소 개선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만 충분히 개선되지는 않았다.
예를 들면, 시멘트 조성물을 고강도로 형성하고자 물/시멘트비를 15 내지 40중량%로 극단적으로 억제한 경우 폴리 카르본산계의 AE 감수제를 투여 하여도 시멘트 조성물이 충분한 유동성을 갖기 어렵고, 슬럼프 손실도 크기 때문에 시공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 밖에도 시멘트 조성물의 슬럼프 손실 방지능을 개선하기 방안으로 일본 특허공개 소 54-139929호에는 나프탈렌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을 입자상 제조하여 시멘트 조성물에 서서히 용해 시킴으로써, 슬럼프 손실을 방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특허공개 소 60-16851호에는 올레핀과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르본산 무수물과의 공중합체의 입자상물을 시멘트조성물에 서서히 가수분해시켜 슬럼프 손실을 방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들은 입자상의 혼화제가 용액 중에 분산된 것을 적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용액내에 불균일하게 분포되거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특성이 변화될 수 있어 보관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소 63-162562호에는 폴리아크릴산 등의 유기함수 겔에 시멘트 분산제를 함유시키고, 시멘트 조성물 중에서 서서히 분산제를 방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데 물에 녹지 않는 겔을 포함하기 때문에 분리, 침강 등에 의한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강도 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철근의 부식억제제들은 가공되지 않은 콘크리트와 함께 미리 섞어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통상 콘크리트를 혼합 할 때 첨가한다.
또한, 고속도로와 다리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들은 콘크리트의 안정성과 강도를 높이기 위해 금속보강제를 박아넣는다. 이들 보강제들의 예로서는 보강철근, 철망, 금속섬유 등을 들수 있고, 통상적으로 가공되지 않거나 경화되지 않은 콘크리트로 성형하여 이용한다.
한편, 금속섬유의 경우, 콘크리트를 혼합하는 동안 넣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금속 보강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습도, 이산화탄소,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과 같은 대기 오염물질들이 콘크리트 구조를 침투하여 보강제를 부식시킨다.
또한, 콘크리이트 구조물은 염화나트륨과 염화 칼슘과 같은 염화물이 콘크리트구조물 내부로 침투해서 금속을 부식시킨다.
이러한 콘크리이트 구조물의 부식을 억제하기 위한 부식방지제로서 미국특허 제5,597,514호에는 벤조산, 알온산 그리고 벤조트리아졸 또는 톨리 트리아졸과 같은 트리아졸들의 혼합물을 콘크리트를 혼합할 때 첨가하여 주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 제5,750,053호에는 알카리 금속 글루코헵타노에트와 알카리 금속 몰리브데이트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시멘트의 유동성을 부여하기 위한 혼화제와 부식 방지제를 각각 별도로 첨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시멘트 조성물의 점도 및 단위 함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멘트 조성물의 압축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멘트 조성물의 유동성 향상과 부식억제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혼화제 및 제조방법은 알콕시 폴리 알킬렌 글리콜 모노(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게 단량체 40 내지 90 중량%와 (메타)아크릴산 단량체 60 내지 10중량%를 중합시켜 얻어진 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량체들에 방음과 부식억제기능을 갖는 인산염(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을 상기 단량체 전체에 대해 0.01 내지 5중량%의 비로 더 첨가하고 중합반응시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시멘트 혼화제는 상기 중합체를 알카리성 물질로 중화시켜 얻어진 중합체염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시멘트 혼화제 및 제조방법을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시멘트 혼화제를 제조하기 위해 적용되는 소재의 하나인 알콕시 폴리 알킬렌 글리콜 모노(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아래의 화학식 1로 표현된다.
R3
|
CH2=C-COO-(R2O)m R1
위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4인 알킬기이고, R2O은 탄소 원자수가 2 내지 4인 옥시알킬렌기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R2O이 탄소 원자수가 2 내지 4인 옥시알킬렌기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경우에는 블록상으로 부가되어 있거나, 랜덤상으로 부가되어 있어도 된다.
R3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m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로 3 내지 30정도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20m으로 표기된 옥시알킬렌기는 몰수(m)가 9인 옥시알킬렌기와, 몰수(m)가 23인 옥시알킬렌기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다.
여기서, 몰수(m)가 9인 옥시알킬렌기는 시멘트의 퍼짐성 즉 유동성을 향상시키고, 몰수(m)가 23인 옥시알킬렌기는 시멘트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시멘트 혼화제를 제조하기 위해 적용되는 또 다른 소재인 (메타)아크릴산 단량체는 아래의 화학식 2로 표기된다.
R3
|
CH2=C-COOM1
위 화학식 2에서, R3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이고, M1은 수소원자, 1가 금속원자, 2가 금속원자, 암모늄, 유기아민기 중 어느 하나이다.
1가 금속원자의 예로서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원자가 적용될 수 있고, 2가 금속원자의 예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원자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유기 아민기의 예로서는 메틸아민, 디메틸 아민, 트리메틸 아민,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 아민, 프로필 아민, 디프로필 아민, 트리프로필 아민, 이소프로필 아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M1은 수소원자와 1가 금속원자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된다.
화학식 1로 표현된 단량체와 화학식 2로 표현된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얻기 위해서는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위 단량체 성분들을 공중합시키면 된다. 공중합은 용매를 이용한 중합 또는 괴상 중합의 방법에 의해 실시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용매로서 물을 이용하여 중합을 실시할 경우에는 중합 개시제로 암모늄, 알칼리 금속의 과황산염 또는 과산화수소 등의 수용성 중합 개시제가 사용된다. 또한 저급 알코올,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케톤 화합물을 용매로 하는 중합을 실시할 경우에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러옥사이드, 쿠멘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등과 같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방향족 아조화합물 등이 중합 개시제로 사용된다. 이때 아민 화합물을 촉진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물-저급알콜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중합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종의 중합 개시제 또는 중합 개시제와 촉진제의 조합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중합온도는 사용하는 용매나 중합개시제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하면 되고, 통상 30℃ 내지 100℃의 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한편, 위와 같은 중합 과정을 통해 얻어진 중합체인 시멘트 혼화제의 분자량 조절을 위해 티올계 연쇄 이동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되는 티올계 연쇄 이동제는 일반식 HS-R5-E로 표기된다.
상기 일반식에서 R5는 탄소수가 1 내지 2인 알킬기를 나타내고, E는 OH, -COOM2, -COOR6 또는 SO3M2기를 나타내며, M2는 수소, 1가 금속, 2가 금속, 암모늄기 또는 유기 아민기를 나타내며, R6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킬기를 나타내며, S는 1 또는 2인 정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티올계 연쇄 이동제의 예로서는 메르캅토 에탄올, 티오글리세롤, 티오글콜산, 2-메르캅토 프로피온산,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 티오사과산, 티오글리콜산 옥틸,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 옥틸 등이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중합체는 시멘트 조성물의 공기의 침투율을 높이면서 유동성을 향상시미는 시멘트 혼화제로 사용된다.
또 다르게는 위에서 얻어진 중합체를 다시 알칼리성 물질로 중화시켜 얻어진 중합체염을 시멘트 혼화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화용 알칼리성 물질로는 1가 금속 및 2가 금속의 수산화물, 염화물 및 탄소염 등의 무기물, 암모니아, 유기 아민 등이 적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물질과 아래의 화학식 3으로 표기된 방음 및 부식 방지용 인산염(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을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물질 대비 0.01 내지 5wt%비로 더 첨가하고 중합반응을 거쳐 중합체로 제조한다.
R3 O
| ||
CH2=C-COO-(R4O)n-P-(OH)2
상기 화학시 3에서 R3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이고, R40은 C2 내지 C4인 알킬기이고, n은 정수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온도계, 교반기, 적하 깔때기, 질소 도입관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글래스제 반응기에 물 250g을 주입하고 교반하면서 반응 용기 내부를 질소로 치환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82℃ 까지 가열시켰다. 이어서 과황산 암모늄1g을 주입하고, 3분간 교반한 후 메톡시 폴리 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9개) 117g, 메톡시 폴리 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 몰수 23개) 171g, 메타크릴산 40g, 아크릴산 23g,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0.576g,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 3.2g, 물 136g을 혼합한 단량체 수용액과, 6.21%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85.3g을 3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다시 4.76%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9.45g을 한번에 투입하였다. 그후, 1시간 동안 계속해서 82℃로 온도를 유지시켜 중합 반응을 완결시켰다. 중합이 완료된 후 실온으로 냉각한 다음 3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91.382g을 30분 동안 적하 하여 중화시켰다. 중량평균 분자량이 17,852인 중합체를 얻었다.
아래의 표 1에 실시예 1의 제조과정에 적용된 원료를 기재하였다.
No. 원료명 반응조초기투입(g) 단량체(g) 개시제초기투입(g) 개시제후기투입(g)
1 250
2 메톡시 폴리 에닐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9몰) 117
3 메톡시 폴리 에닐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23몰) 171
4 메타크릴산 40
5 아크릴산 23
6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10% 수용액) 0.576
7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 3.2
8 136
9 과황산암모늄 1 5.3 0.45
10 80 9
11 수산화나트륨 31.382
12 60
[실시예 2]
온도계, 교반기, 적하 깔때기, 질소 도입관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글래스제 반응기에 물 270g을 주입하고 교반하면서 반응 용기 내부를 질소로 치환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82℃ 까지 가열시켰다. 이어서 과황산 암모늄1g을 주입하고, 3분간 교반한 후 메톡시 폴리 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 몰수 23개) 282g, 메타크릴산 47g, 아크릴산 34g,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 4 g, 물 142g을 혼합한 단량체 수용액과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86.3g을 3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다시 4.76%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9.45g을 한번에 투입하였다. 그후, 1시간 동안 계속해서 82℃로 온도를 유지시켜 중합 반응을 완결시켰다. 중합이 완료된 후 실온으로 냉각한 다음 3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75.194g을 30분 동안 적하하여 중화시켰다. 중량평균 분자량이 14,795인 중합체를 얻었다.
실시예2의 제조과정에 적용된 원료를 아래의 표 2에 기재하였다.
No. 원료명 반응조초기투입(g) 단량체(g) 개시제초기투입(g) 개시제후기투입(g)
1 270
2 메톡시 폴리 에닐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23몰) 282
3 메타크릴산 47
4 아크릴산 34
5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 4
6 142
7 과황산암모늄 1 6.3 0.45
8 80 9
9 수산화나트륨 25.194
10 50
[ 실시예3]
온도계, 교반기, 적하 깔때기, 질소 도입관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글래스제 반응기에 물 250g을 주입하고 교반하면서 반응 용기 내부를 질소로 치환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82℃ 까지 가열시켰다. 이어서 과황산 암모늄1g을 주입하고 3분간 교반한 후 메톡시 폴리 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9개)288g, 메타크릴산 40g, 아크릴산 23g,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 3.2g, 물 136g을 혼합한 단량체 수용액과 6.21%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85.3g을 3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다시 4.76%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9.45g을 한번에 투입하였다. 그 후, 1시간 동안 계속해서 82℃로 온도를 유지시켜 중합 반응을 완결시켰다. 중합이 완료된 후 실온으로 냉각한 다음 3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91.382g을 30분 동안 적하 중화시켰다.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12인 중합체를 얻었다.
실시예 3의 제조과정에 적용된 원료를 아래의 표 3에 기재하였다.
No. 원료명 반응조초기투입(g) 단량체(g) 개시제초기투입(g) 개시제후기투입(g)
1 250
2 메톡시 폴리 에닐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9몰) 288
3 메타크릴산 40
4 아크릴산 23
5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 3.2
6 136
7 과황산암모늄 1 5.3 0.45
8 80 9
9 수산화나트륨 31.382
10 60
한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을 통해 제조된 시멘트 혼화제에 대해 아래의 표 4에 기재된 테스트 조건에 의해 한국표준규격 KSF2560-97에 의해 슬럼프 손실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가 표 5에 기재되어 있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골재(쇄석)/모래(g) 2,330/1,863 2,330/1,863 2,330/1,863
시멘트(g) 736 736 736
물(g) 386 386 386
혼화제(40%) 5.2 5.2 5.2
수소이온농도(PH) 6.83 6.79 6.80
점도(cps/50 rpm) 271.8 271.8 271.8
중량평균분자량 17,852 14,795 20,012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슬럼프로스(초기)mm 186 188 184
슬럼프로스(1시간)mm 173 175 171
슬럼프로스(1.5시간)mm 159 161 156
위 표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시멘트 혼화제가 투입된 콘크리이트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슬럼프 손실이 크게 저하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시멘트 입자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조성물의 유동성을 높임과 아울러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경화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인산염을 첨가시 부식억제 및 방음 기능을 함께 갖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40 내지 90 중량%,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 60 내지 10중량%를 중합반응시켜 얻어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
    <화학식 1>
    R3
    |
    CH2=C-COO-(R2O)m R1
    <화학식 2>
    R3
    |
    CH2=C-COOM1
    상기 R1은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4인 알킬기 이고, 상기 R2O은 탄소 원자수가 2 내지 4인 옥시알킬렌기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m은 옥시알킬렌기의 부가 몰수이고,
    상기 R3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이고, 상기 M1은 수소원자, 1가 금속원자, 2가 금속원자, 암모늄, 유기 아민기 중 어느 하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알킬렌기는 몰수가 9인 옥시알킬렌기와, 몰수가 23인 옥시알킬렌기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에 대해 하기 화학식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0.01 내지 5중량%비로 더 첨가하여 중합반응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
    <화학식 3>
    R3 O
    | ||
    CH2=C-COO-(R4O)n-P-(OH)2
    상기 R40은 C2 내지 C4인 알킬기이고, n은 정수이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를 알카리성 물질로 중화시켜 얻어진 중합체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
  5.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40 내지 90 중량%,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 60 내지 10중량%를 중합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의 제조방법.
    <화학식 1>
    R3
    |
    CH2=C-COO-(R2O)m R1
    <화학식 2>
    R3
    |
    CH2=C-COOM1
    상기 R1은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4인 알킬기 이고, 상기 R2O은 탄소 원자수가 2 내지 4인 옥시알킬렌기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m은 옥시알킬렌기의 부가 몰수이고,
    상기 R3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이고, 상기 M1은 수소원자, 1가 금속원자, 2가 금속원자, 암모늄, 유기 아민기 중 어느 하나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m은 몰수가 9인 옥시알킬렌기와 몰수가 23인 옥시알킬렌기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에 대해 하기 화학식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0.01 내지 5중량%비로 더 첨가하여 중합반응에 의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의 제조방법.
    <화학식 3>
    R3 O
    | ||
    CH2=C-COO-(R4O)n-P-(OH)2
    상기 R40은 C2 내지 C4인 알킬기이고, n은 정수이다.
  8.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를 알카리성 물질로 중화시켜 중합체염으로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의 제조방법.
KR1020040001048A 2004-01-08 2004-01-08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72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048A KR20050072911A (ko) 2004-01-08 2004-01-08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048A KR20050072911A (ko) 2004-01-08 2004-01-08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911A true KR20050072911A (ko) 2005-07-13

Family

ID=3726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048A KR20050072911A (ko) 2004-01-08 2004-01-08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291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470B1 (ko) * 2007-06-04 2008-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멘트 혼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KR100893585B1 (ko) * 2008-07-07 2009-04-17 명흥식 분쇄효율과 조기압축강도를 개선하기 위한 시멘트 첨가제
KR100914597B1 (ko) * 2007-03-06 2009-08-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멘트 혼화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조성물
KR101876181B1 (ko) * 2017-10-23 2018-07-09 주식회사 실크로드시앤티 서중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2571B1 (ko) * 2018-05-11 2019-04-25 주식회사 실크로드시앤티 극서 콘크리트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597B1 (ko) * 2007-03-06 2009-08-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멘트 혼화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조성물
KR100860470B1 (ko) * 2007-06-04 2008-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멘트 혼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KR100893585B1 (ko) * 2008-07-07 2009-04-17 명흥식 분쇄효율과 조기압축강도를 개선하기 위한 시멘트 첨가제
KR101876181B1 (ko) * 2017-10-23 2018-07-09 주식회사 실크로드시앤티 서중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2571B1 (ko) * 2018-05-11 2019-04-25 주식회사 실크로드시앤티 극서 콘크리트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4259B2 (ja) 不飽和ジカルボン酸誘導体およびオキシ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アルケニルエーテルに基づくコポリマー、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
KR100481059B1 (ko) 시멘트 혼화제용 공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용도
JP3995264B2 (ja) 改良されたセメント混合生成物
JP5156642B2 (ja) 不飽和モノカルボン酸誘導体またはジカルボン酸誘導体およびオキシ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アルケニルエーテルをベースとするコポリマー、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使用
CN102503217B (zh) 一种高保坍型聚羧酸系高性能减水剂及其制备方法
US20110136944A1 (en) Copolymers based on unsaturated mono- or di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oxyalkyleneglycol-alkenyl ethers,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CN106084147B (zh) 一种具有减水性能的减缩剂的制备方法
US8536251B2 (en) Copolymer containing acid building blocks and various types of polyether building blocks
KR20070033929A (ko) 시멘트 혼화제용 폴리카르복실산계 중합체 및 시멘트혼화제
US5736600A (en) Mortar admixtures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US5604273A (en) Drying shrinkage cement admixture
JP2013531603A (ja) ホスフェート−含有ポリカルボキシレートポリマー分散剤
JPS5945949A (ja) セメント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149808B1 (en) Cement admixture and cement composition comprising this
KR20050072911A (ko)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
JP4772004B2 (ja) 収縮低減機能と減水機能を併せ持つ一液型セメント用添加剤組成物及びセメント組成物
KR20180075385A (ko)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 조성물
KR100938027B1 (ko) 석유화학산업의 부산물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용 혼화제 및이의 제조방법
CN108752538A (zh) 一种高含泥体系超长保坍混凝土专用型聚羧酸系减水剂
CN114685799B (zh) 一种固体缓蚀型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KR100655561B1 (ko) 시멘트 혼화제
JPH0153221B2 (ko)
JPS6071559A (ja) モルタル配合物の製造方法
JP2003212623A (ja) セメント混和剤及びセメント硬化物の製造方法
JP2005126279A (ja) セメント混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