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0498A -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0498A
KR20050070498A KR1020030100097A KR20030100097A KR20050070498A KR 20050070498 A KR20050070498 A KR 20050070498A KR 1020030100097 A KR1020030100097 A KR 1020030100097A KR 20030100097 A KR20030100097 A KR 20030100097A KR 20050070498 A KR20050070498 A KR 20050070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resin composition
unsaturated polyester
weight
polyest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251B1 (ko
Inventor
김재학
김명훈
이주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피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피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피아이
Priority to KR102003010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25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52Polycarboxylic acids or polyhydroxy compound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two components contains aliphatic unsatu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건조성, 연마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자동차 및 차량보수 퍼티도료의 바인더로 적용할 수 있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산 10 중량부 및 알코올 11 내지 15 중량부를 축합반응시켜 수득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00 내지 130,000이고, 불휘발분 산값이 40 이하이며, 점도가 T 내지 Z 인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의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은 수지조성물 자체에 탁월한 연마성과 건조성능을 부여함으로써 이를 사용한 자동차 및 차량보수 퍼티도료에서 우수한 작업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퍼티용 불포화폴리에스테르뿐만 아니라, 연마성이 요구되는 기술분야에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건조성과 연마성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상온에서 단시간 내에 경화되는 작업성과, 주원료의 다양한 선택에 따라 각종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욕조, 정화조와 같은 건축자재, 탱크, 파이프 등과 같은 공업재료, 선박, 자동차 등의 수송기기, 전기절연재료, 겔 코트, 레진 콘크리트, 퍼티도료 등 각종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및 차량 보수용 퍼티도료는 첫째, 상온에서 빠른 경화성을 나타내야 하며, 둘째, 연마성이 우수할 것, 셋째, 기존 재료와의 부착성이 우수해야 하는 성능이 요구된다. 여기서 연마성능은 보수과정에서의 작업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에 공건성(공기와의 반응에 의한 건조성)을 부여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공건성 부여를 위해 알릴화합물 또는 요오드가 80이상의 동식물유 등을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도입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수지가격의 상승과 함께 기존재료와의 부착성을 취약하게 하여 적용하기는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 시에 연마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다가 알코올알릴에테르 성분량을 조절하고, 연마보조제(예: 4-(Dimethylamino)benzaldehyde, (CH3)2NC6H4CHO)를 투입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도료배합상에서 안료성분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연마성능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연마보조제의 투입방법으로는 연마성능을 어느 정도 충족시킬 수는 있으나 수지가격이 상승하여 현실적이지 못하고, 불포화에스테르수지의 근본적인 연마성능의 개선 없이 도료배합의 조절만으로는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자동차 및 차량보수용 퍼티도료에 사용시 탁월한 작업성(특히, 연마성)을 나타내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을 개발이 요청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성, 연마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자동차 및 차량보수 퍼티도료의 바인더로 적용할 수 있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산 10 중량부 및 알코올 11 내지 15 중량부를 축합반응시켜 수득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00 내지 130,000이고, 불휘발분 산값이 40 이하이며, 점도가 T 내지 Z 인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알코올은 다가 알코올알릴에테르 1 내지 35 중량%, 디에틸렌글리콜 60 내지 90 중량%, 및 다가 알코올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다가 알코올알릴에테르는 상기 산 100 몰부에 대하여 5 내지 30몰부 사용한다. 또한, 상기 산은 불포화 다염기산의 함량이 65 내지 95 중량%, 및 포화 다염기산 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불포화 다염기산은 상기 산 100 몰부에 대하여 65 내지 95 몰부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은 수지조성물 자체에 탁월한 연마성과 건조성능을 부여함으로써 이를 사용한 자동차 및 차량보수 퍼티도료에서 우수한 작업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은 산 10 중량부에 대하여 알코올 약 11 내지 15 중량부를 축합반응시켜 수득된다.
상기 산은 불포화 다염기산의 함량 65 내지 95 중량%, 및 포화 다염기산 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불포화 다염기산은 상기 산 100 몰부에 대하여 65 내지 95 몰부 사용한다.
상기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에 사용되는 불포화 다염기산으로는 무수 말레인산, 말레인산, 퓨마릭산, 무수 이타콘산, 이타콘산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으며, 상기 포화다염기산으로는 무수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아디픽산, 테트라하이드로 무수프탈산, 세바신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산성분 혼합물 중에서 불포화 다염기산의 함량은 65 내지 95몰%, 포화 다염기산은 5 내지 35 몰%를 사용하고, 불포화 다염기산과 포화 다염기산은 각각 2종 이상으로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성분 혼합물 중에서 불포화 다염기산의 함량이 산 총 몰수의 65 내지 95 몰%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불포화 다염기산의 함량이 65 몰%미만일 경우에는 건조성저하로 작업성에 문제가 되고, 또한, 산성분과 알코올성분과의 반응성이 떨어져 수지합성에 오랜시간이 소요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불포화 다염기산의 함량이 95 몰%를 초과하는 경우 겔화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져 반응 조절이 어렵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알코올은 다가 알코올알릴에테르 1 내지 35 중량%, 디에틸렌글리콜 60 내지 90 중량%, 및 다가 알코올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다가 알코올알릴에테르는 상기 산 100 몰부에 대하여 5 내지 30몰부 사용한다.
상기 다가 알코올알릴에테르 단위를 함유하는 알코올의 구체적 예로서는 펜타에리트리트트리아릴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알릴에테르, 글리세린 모노알릴에테르, 트리메틸올, 에탄디알릴에테르, 글리세린 디알릴에테르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분자 중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여야 한다.
상기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수첨 비스페놀A, 비스페놀A 디옥시프로폭시에테르, 1,9-노난디올,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2,3-부틸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트,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은 다가 알코올알릴에테르 1 내지 35 중량%, 디에틸렌글리콜 60 내지 90 중량%, 및 다가 알코올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다가 알코올알릴에테르 단위를 함유하는 알코올의 함량은 산 100 몰에 대하여 5 내지 30몰 부를 사용한다.
알코올성분 혼합물 중에서 다가 알코올알릴에테르 단위를 함유하는 알코올의 함량이 산 총 몰수의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연마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도료의 작업성 향상을 달성할 수 없다. 또한, 다가 알코올알릴에테르 단위를 함유하는 알코올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합성시 급격한 점도상승현상 및 겔화현상이 발생하여 결과물을 얻어내기가 어렵게 되고, 도료의 불안정한 저장안정성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상기의 알코올성분 혼합물에서 디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은 상기 알코올의 총 함량에 대하여 60 내지 9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디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이 6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연마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고, 디에틸렌글리콜 함량이 90 중량%를 초과하면, 수지경도 및 건조성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 불휘발분 산값이 40 이하의 범위를 갖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00 내지 130,000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산값이 40를 초과하는 경우 도료에 적용할 수 있는 적정점도를 맞출 수 없고, 알코올 성분의 과다로 인해 건조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고. 결과적으로 경도가 매우 약화되어 도막의 연질화가 우려된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조성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 미만이 되면, 소지와의 밀착성 및 연마성 저하가 예상되고, 130,000를 초과하면 수지상에서의 적정점도 조절이 어렵고 용제와의 상용성이 저하되어 도료의 불안정한 저장안정성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이상의 조건으로 제조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조성물은 액상의 중합성불포화화합물로 희석하여 최종 결과물을 얻게 된다. 중합성불포화화합물은 주로 스티렌이 사용되며, 바람직한 함량은 수지 총량에 데해 20 내지 50 중량%이다. 20 중량% 미만이면 반응성이 약화되어 고경도의 도막을 얻기 어렵고 도료의 연마시 흠집발생과 도막을 매끄럽게 연마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50 중량%를 초과하면 도막의 육지성이 취약하게 되고 경화성과 부착성도 저하된다.
상기 본 발명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온도계, 교반기, 콘덴서, 수분분리기(Decanter)가 설치된 4구 플라스크에 다가 알코올알릴에테르 단위를 함유하는 알코올의 함량이 산 총 몰수의 5 내지 30%범위, 디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이 알코올 총 함량에 대하여 60내지 90 중량%, 기타 일반 다가 알코올의 함량이 알코올 총 함량에 대하여 5내지 30 중량%에 해당하는 알코올 혼합물을 넣는다.
이어서, 불포화 다염기산의 함량이 산 총 몰수의 65 내지 95 몰%, 포화 다염기산의 함량이 산 총 몰수의 5 내지 35 몰%에 해당하는 산 혼합물을 넣는다. 그리고 중합금지제로 하이드로퀴논을 총 배합비의 0.01 중량% 내지 0.05 중량%를 투입한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주입(20~50LPM) 하에서 가열하여 반응온도를 140℃내지 160℃까지 승온시킨 후, 이 온도범위에서 약 2시간 내지 5시간정도 유지한다. 이때 탑(top)온도는 100℃~105℃범위로 유지한다. 탑 온도가 95℃이하로 떨어지기 시작하면, 탑(top)온도를 100℃~105℃범위로 유지하면서 반응온도를 약 170℃내지 200℃까지 약 2시간에서 4시간에 걸쳐 승온 시킨다. 이 온도범위에 도달하면 수지내용물 총량대비 2~5%범위에 해당하는 톨루엔을 투입하여 순회반응(REFLUX)을 시작한다. 반응 진행에 따른 탈수량을 확인하면서 점도 및 산값을 확인하여 적정값에 도달하면 반응을 종결한다.
반응물의 점도가 가드너점도(25℃)로 S-X 와 산값 40이하가 되면 급냉하여 반응온도 130℃이하에서 하이드로퀴논을 수지내용물 총량대비 0.04%내지 0.2%범위에 해당하는 량을 투입한다. 100℃이하에서 수지내용물 총량대비하여 20 내지 50%범위에 해당하는 스티렌모노머를 투입, 희석하여 최종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조성물을 얻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온도계, 교반기, 콘덴서, 수분분리기(Decanter)가 설치된 4구 플라스크에 에틸렌글리콜 260g, 디에틸렌글리콜 670g, 트리메틸올프르판디알릴에테르 321g, 퓨마릭산 812g,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456g, 하이드로퀴논 0.25g을 차례로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주입 하에서 가열하여 반응온도를 140℃내지 150℃까지 승온시킨 후, 이 온도에서 약 4시간정도 유지한 후 반응온도를 약 170℃내지 180℃까지 4시간에 걸쳐 승온시켰다. 이 온도에 도달하자마자 수지내용물대비 2%에 해당하는 톨루엔을 투입하여 순회반응을 실시하였다. 유지반응하면서 점도가 T-U와 산값 30이하를 확인한 후 급냉하여 130℃에서 하이드로퀴논을 1.180g 투입하고, 100℃이하에서 스티렌 1274g을 투입, 희석하여 점도 V+, 산값 25, 불휘발분 65%인 최종결과물을 얻었다.
실시예2
온도계, 교반기, 콘덴서, 수분분리기(Decanter)가 설치된 4구 플라스크에 에틸렌글리콜 260g, 프로필렌글리콜 480.1g, 트리메틸올프르판디알릴에테르 321g, 무수말레인산 687.4g,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456g, 하이드로퀴논 1.102g을 차례로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주입 하에서 가열하여 반응온도를 140℃내지 150℃까지 승온시킨 후, 이 온도에서 약 4시간정도 유지한 후 반응온도를 약 170℃내지 180℃까지 4시간에 걸쳐 승온시켰다. 이 온도에 도달하자마자 수지내용물대비 2%에 해당하는 톨루엔을 투입하여 순회반응을 실시하였다. 유지반응하면서 점도가 U-V와 산값 30이하를 확인한 후 급냉하여 130℃에서 하이드로퀴논을 1.70 주투입하고, 100℃이하에서 스티렌 906g을 투입, 희석하여 점도 W+, 산값 30, 불휘발분 65%인 최종결과물을 얻었다.
실시예3
온도계, 교반기, 콘덴서, 수분분리기(Decanter)가 설치된 4구 플라스크에 디에틸렌글리콜 1221.3g, 트리메틸올프르판디알릴에테르 107g, 퓨마릭산 928g,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304g, 하이드로퀴논 1.28g을 차례로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주입 하에서 가열하여 반응온도를 140℃내지 150℃까지 승온시킨 후, 이 온도에서 약 4시간정도 유지한 후 반응온도를 약 170℃내지 180℃까지 4시간에 걸쳐 승온시켰다. 이 온도에 도달하자마자 수지내용물대비 2%에 해당하는 톨루엔을 투입하여 순회반응을 실시하였다. 유지반응하면서 점도가 V-W와 산값 30이하를 확인한 후 급냉하여 130℃에서 하이드로퀴논을 1.92g 투입하고, 100℃이하에서 스타이렌 1027.8g을 투입, 희석하여 점도 X+, 산값 23, 불휘발분 70%인 최종결과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온도계, 교반기, 콘덴서, 수분분리기(Decanter)가 설치된 4구 플라스크에 에틸렌글리콜 223.2g, 프로필렌글리콜 411.5g, 트리메틸올프르판디알릴에테르 642g, 퓨마릭산 870g,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380g, 하이드로퀴논 0.253g을 차례로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주입 하에서 가열하여 반응온도를 140℃내지 150℃까지 승온시킨 후, 이 온도에서 약 4시간정도 유지한 후 반응온도를 약 170℃내지 180℃까지 4시간에 걸쳐 승온시켰다. 이 온도에 도달하자마자 수지내용물대비 2%에 해당하는 톨루엔을 투입하여 순회반응을 실시하였다. 유지반응하면서 점도가 T-U와 산값 30이하를 확인한 후 급냉하여 130℃에서 하이드로퀴논을 1.190g 투입하고, 100℃이하에서 스타이렌 1015g을 투입, 희석하여 점도 V+, 산값 22, 불휘발분 70%인 최종결과물을 얻었다.
비교예
온도계, 교반기, 콘덴서, 수분분리기(Decanter)가 설치된 4구 플라스크에 에틸렌글리콜 749g, 1,4-부탄디올 544g, 퓨마릭산 1000g,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13100g, 하이드로퀴논 1.08g을 차례로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주입 하에서 가열하여 반응온도를 150℃내지 170℃까지 승온시킨 후, 이 온도에서 약 2시간정도 유지한 후 반응온도를 약 190℃내지 210℃까지 4시간에 걸쳐 승온시켰다. 유지반응하면서 점도가 S-T와 산값 40이하를 확인한 후 급냉하여 130℃에서 하이드로퀴논을 6.20g 투입하고, 100℃이하에서 스타이렌 1545g을 투입, 희석하여 점도 T+, 산값 32, 불휘발분 65%인 최종결과물을 얻었다.
원료명 배합량
도료-I 도료-II
실시예 1~4의 수지 38 -
비교수지 - 38
드라이어(건조촉진제)* 0.9 0.9
분산제 0.5 0.5
중합금지제 0.15 0.15
경화촉진제 0.3 0.3
증점제 0.75 0.75
백색안료** 3 3
유동성조절제 0.4 0.4
체질안료*** 48 48
방향제 1 1
희석제 7 7
합계 100 100
상기 표 1에서 드라이어(건조촉진제)*로는 옥텐산 코발트, 나프텐산 코발트, 옥텐산망간, 나프텐산 망간 또는 디메틸아닐린 등의 아민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백색안료** 티탄백을 사용하며 이와 함께 착색안료로는 시아닌믈루, 워칭레드, 망간블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체질안료***로는 탄산칼슘, 탈크, 마이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시험예
상기 각 실시 예에서 얻어진 퍼티용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조성물을 아래의 도료배합에 사용하여 각각의 도막 특성을 평가하였다.
표 1의 도료-I, II에 대한 평가를 위해 15X30Cm틴판에 500㎛로 도장하여 1시간 자연건조후(25℃) 실시하였다. 연마성 시험방법으로는 위의 도료 / 튜브경화제=70 / 2로 혼합하여 15X30Cm틴판에 500㎛로 도장하여 1시간 자연건조 후(25℃) 3M sand paper 180#으로 50회 왕복(1분30초)기계 연마하여 연마 감량을 측정한다. 기준은 7g이상일 때 효과적인 작업성을 나타낸다. 연마성이 떨어지면 작업시 시간의 지연과 더불어 작업효율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생산성이 저하된다.
연마 측정기기는 모델명 RANDOM ORBITAL SANDER(PHOENIX사 제품)를 사용하였고, 도료점도 측정기기는 모델명 POISE VISCOTESTER VT-04(RION사 제품)를 사용하였다.
예 \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비 고
헤라작업성 퍼짐성좋고, 작업시 부드러움 퍼짐성좋고, 작업시 부드러움 퍼짐성좋고, 작업시 부드러움 부드러움 힘이들고 뻑뻑함 헤라작업시
연마함량 7.5 7.4 7.2 7.5 5.5 #180,기계연마
저장성(poise)(저장전/저장후) 700/703 702/705 702/703 705/707 800/810 after40℃×21days
건조성(min)(연마가능시간) 18~22 18~22 18~22 18~22 25~30 25℃
상기 표 2에서 저장안정성 허용범위는 초기점도± 15POISE 이고, 건조성 허용범위는 25 분 이내이다. 상기 표 2의 결과는 참조하면 이러한 본 실시예들에 의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료는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을 제조하여, 퍼티도료에 사용 시 건조성과 연마성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여 우수한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불포화폴리에스터수지조성물은 수지 자체의 건조성능과 연마성능이 매우 탁월하기 때문에 자동차 및 차량보수용 도료에 적용 시 별도의 건조제와 연마보조제의 사용 없이 매우 우수한 작업성을 갖게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산 10 중량부 및 알코올 11 내지 15 중량부를 축합반응시켜 수득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00 내지 130,000이고, 불휘발분 산값이 40 이하이며, 점도가 T 내지 Z 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은 불포화 다염기산의 함량이 65 내지 95 몰%; 및 포화 다염기산 5 내지 35 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의 불포화 다염기산이 무수 말레인산, 말레인산, 퓨마릭산, 무수 이타콘산, 및 이타콘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다염기산이 무수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아디픽산, 테트라하이드로 무수프탈산, 및 세바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다가 알코올알릴에테르 1 내지 35 중량%;디에틸렌글리콜 60 내지 90 중량%; 및 다가 알코올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다가 알코올알릴에테르는 상기 산 100 몰부에 대하여 5 내지 30몰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알릴에테르가 펜타에리트리트트리아릴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알릴에테르, 글리세린 모노알릴에테르, 트리메틸올, 에탄디알릴에테르, 및 글리세린 디알릴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수첨 비스페놀A, 비스페놀A 디옥시프로폭시에테르, 1,9-노난디올,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2,3-부틸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트, 및 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합금지제인 하이드로퀴논 0.05 내지 0.2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촉진제, 분산제, 경화촉진제, 증점제, 착색안료, 유동성조절제, 체질안료, 방향제, 및 희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20030100097A 2003-12-30 2003-12-30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KR100574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097A KR100574251B1 (ko) 2003-12-30 2003-12-30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097A KR100574251B1 (ko) 2003-12-30 2003-12-30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498A true KR20050070498A (ko) 2005-07-07
KR100574251B1 KR100574251B1 (ko) 2006-04-26

Family

ID=37260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097A KR100574251B1 (ko) 2003-12-30 2003-12-30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2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865B1 (ko) * 2009-12-31 2012-05-14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골프공 코팅용 도료 조성물
KR20160070489A (ko) * 2014-12-10 2016-06-20 주식회사 휴비스 열접착성이 향상된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섬유
KR101944707B1 (ko) * 2018-09-28 2019-02-01 박도선 차량의 판금도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048B1 (ko) 2010-08-13 2012-09-20 세원화성 주식회사 저비중 접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75083B1 (ko) 2012-10-16 2014-03-17 애경화학 주식회사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42577B1 (ko) * 2015-01-27 2015-08-07 광진산업(주) 친환경 미끄럼방지 포장재
KR102065574B1 (ko) * 2017-12-27 2020-01-13 주식회사 삼양사 고광택 및 고경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865B1 (ko) * 2009-12-31 2012-05-14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골프공 코팅용 도료 조성물
KR20160070489A (ko) * 2014-12-10 2016-06-20 주식회사 휴비스 열접착성이 향상된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섬유
KR101944707B1 (ko) * 2018-09-28 2019-02-01 박도선 차량의 판금도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4251B1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shra et al. (UV/Oxidative) dual curing polyurethane dispersion from cardanol based polyo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CN102712820B (zh) 辐射可固化水性涂料组合物
US4517322A (en) Acrylated alkyd and polyester resins
JP5348515B1 (ja) 酸化重合型不飽和樹脂用硬化促進剤、印刷インキ及び塗料
KR101865833B1 (ko) 내식성이 우수한 수용성 에폭시, 알키드 하이브리드 아크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98567B1 (ko) 변성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유·무기 도료 조성물
KR100574251B1 (ko)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CA2002253C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atings
CN111944415A (zh) 一种紫外光固化涂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TW201538559A (zh) 阻燃性聚酯
TW570935B (en) Curable unsaturated resin composition
CN112778464A (zh) 一种不含苯乙烯的不饱和聚酯树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281344B1 (ko) 선박용 수용성 에폭시 에스테르 변성 비닐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료 조성물
KR101783122B1 (ko) 카르복실 폴리에스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분체도료 조성물
JP2001504894A (ja) ワニス組成物、製造方法およ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部品
JP5418729B2 (ja) 印刷インキ及び塗料
KR101111526B1 (ko) 2액형 에폭시 하도용 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20477A (ko) 육안 선영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함유하는 pcm용 도료 조성물
KR102433987B1 (ko) 공기 건조형 겔코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26485B1 (ko) 저온 경화형 수지를 함유하는 분체도료 조성물
JPS58176209A (ja) 紫外線硬化性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CN111019069B (zh) 一种水性环氧有机硅丙烯酸酯复合树脂及其制备方法
KR100193392B1 (ko) 도료용 열경화형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도료 조성물
JP4911485B2 (ja) 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S601901B2 (ja) 塗料用空気硬化性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