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083B1 -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083B1
KR101375083B1 KR1020120115010A KR20120115010A KR101375083B1 KR 101375083 B1 KR101375083 B1 KR 101375083B1 KR 1020120115010 A KR1020120115010 A KR 1020120115010A KR 20120115010 A KR20120115010 A KR 20120115010A KR 101375083 B1 KR101375083 B1 KR 101375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unsaturated polyester
polyester resin
polyunsaturated polyunsatu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민
김영용
박희수
김상훈
이창호
최광식
Original Assignee
애경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경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52Polycarboxylic acids or polyhydroxy compound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two components contains aliphatic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5Germanium, tin, lead, arsenic, antimony, bismuth, titanium, zirconium, hafnium, vanadium, niobium, tantalum,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08K5/08Quin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신율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가알코올인 디에틸렌글리콜(DEG) 20~30중량부, 1,6-헥산디올(1,6-HD) 1~5중량부와; 포화염기산인 테레프탈산(TPA) 10~20중량부, 무수프탈산(PAn) 5~8중량부, 아디프산(Adipic Acid) 3~10중량부와; 불포화염기산인 무수말레산(MAn) 3~10중량부와; 스티렌모노머(SM) 40~50중량부와; 테레프탈산(TPA)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매 0.1~0.5중량부와; 중합금지제 0.005~0.02중량부와; 코발트계 경화촉진제 0.1~0.5중량부와; 아민계 경화촉진제 0.005~0.02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은 기존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같이 상온에서 단시간 내에 경화되는 특성을 가지면서도 기계적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보다 훨씬 우수한 인장신율을 나타내므로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고탄성 및 고신율을 요하는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Unsaturated polyester resin having high elongation and elasticity modulus and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가알코올인 디에틸렌글리콜(DEG) 20~30중량부, 1,6-헥산디올(1,6-HD) 1~5중량부와; 포화염기산인 테레프탈산(TPA) 10~20중량부, 무수프탈산(PAn) 5~8중량부, 아디프산(Adipic Acid) 3~10중량부와; 불포화염기산인 무수말레산(MAn) 3~10중량부와; 스티렌모노머(SM) 40~50중량부와; 테레프탈산(TPA)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매 0.1~0.5중량부와; 중합금지제 0.005~0.02중량부와; 코발트계 경화촉진제 0.1~0.5중량부와; 아민계 경화촉진제 0.005~0.02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불포화 다염기산과 포화 다염기산을 다가알코올과 축중합 반응시킴으로써 에스테르화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공중합 가능한 스티렌 등의 모노머류에 용해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불포화 다염기산으로서는 예컨대, 말레산, 무수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무수 이타콘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메틸테트라하이드로 무수프탈산, 테트라브로모 무수프탈산, 테트라클로로 무수프탈산, 무수 헤트산, 무수 하이믹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화 다염기산으로서는, 예컨대, 프탈산, 무수프탈산, 할로겐화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헥사하이드로프탈산, 헥사하이드로무수프탈산, 헥사하이드로테레프탈산, 헥사하이드로이소프탈산, 호박산, 말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1,12-도데칸2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3-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3-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무수물, 4,4'-비페닐디카르복실산, 또한 이들의 디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수소화 비스페놀 A,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비스페놀 A와 프로필렌 옥시드 또는 에틸렌 옥시드의 부가물, 1,2,3,4-테트라히드록시부탄, 글리세린, 트리메틸올 프로판, 1,3-프로판디올, 1,2-시클로헥산글리콜, 1,3-시클로헥산글리콜, 1,4-시클로헥산 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파라크실렌 글리콜, 비시클로헥실-4,4'-디올, 2,6-데칼린 글리콜, 2,7-데칼린 글리콜, 비스히드록시에틸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상온에서 단시간 내에 경화되는 작업성과, 뛰어난 내열성, 내식성을 갖고 있으며, 주원료의 다양한 선택에 따라 각종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욕조, 정화조와 같은 건축자재, 탱크, 파이프 등과 같은 공업재료, 선박, 자동차 등의 수송기기, 전기절연재료, 겔 코트, 레진 콘크리트, 퍼티도료 등 각종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 종래기술을 살펴 보면, 한국등록특허 10-0574251에 산 10 중량부 및 알코올 11 내지 15 중량부를 축합반응시켜 수득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00 내지 130,000이고, 불휘발분 산값이 40 이하이며, 점도가 T 내지 Z인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특2002-0077633에 0.5 - 1.5몰 중량부의 무수프탈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화이염기산 무수물로써 사용하고, 0.5 - 1.5몰 중량부의 α, β- 불포화 이염기산 무수물과 다가알콜로써 0 - 0.5몰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0.5 - 1.0몰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0.5 - 1.5몰 중량부의 디에틸렌글리콜, 0.5 - 1.0몰 중량부의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외에 0 - 1.5몰 중량부의 네오펜틸렌그리콜, 0 - 1.5몰 중량부의 비스페놀-A, 0 - 1.5몰 중량부의 수소화비스페놀-A를 반응기에 투입하고, 질소기류하에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11-0075198에 다가 알코올의 알릴에테르 단위를 가지며, 불포화 다염기산을 함유한 다염기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11-0135686에 포화염기산인 이소프탈산 120 내지 200중량부, 테레프탈산 40 내지 90중량부와 α,β-에틸렌계 불포화디카르복실산인 무수말레인산 40 내지 70중량부, 푸마르산 150내지 220중량부와 다가알코올인 네오펜틸글리콜 180 내지 20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70 내지 90중량부와 반응촉매 0.3 내지 0.6중량부, 비닐단량체인 스틸렌모노머 400 내지 450중량부로 조성되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3,500 내지 6,000이고 불휘발분 55 내지 60중량%이고, 산값이 20이하이며, 점도가 L 내지 N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지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온에서 단시간 내에 경화되는 특성으로 인해 기계적 특성, 특히 강도 및 경도가 높아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건축자재, 탱크, 자동차 부품 등으로 사용할 정도로 강도 및 경도가 높은 반면, 신율 및 탄성률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으므로 러버를 대체할 수 있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이 요구되는 분야에는 그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같이 상온에서 단시간 내에 경화되는 특성을 가지면서도 기계적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보다 훨씬 우수한 인장신율 및 고탄성율을 나타내므로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고탄성율 및 고신율을 요하는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다가알코올인 디에틸렌글리콜(DEG) 20~30중량부, 1,6-헥산디올(1,6-HD) 1~5중량부와; 포화염기산인 테레프탈산(TPA) 10~20중량부, 무수프탈산(PAn) 5~8중량부, 아디프산(Adipic Acid) 3~10중량부와; 불포화염기산인 무수말레산(MAn) 3~10중량부와; 스티렌모노머(SM) 40~50중량부와; 테레프탈산(TPA)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매 0.1~0.5중량부와; 중합금지제 0.005~0.02중량부와; 코발트계 경화촉진제 0.1~0.5중량부와; 아민계 경화촉진제 0.005~0.02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고신율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는 25℃에서 점도 1.5~2.0 poise, 산값 25~30㎎KOH/g, 고형분 57~59%, 경화후 인장신율 150~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촉매는 하이드레이트 모노부틸틴 옥사이드 또는 디부틸틴 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중합금지제는 하이드로퀴논, 톨루하이드로퀴논, 메틸하이드로퀴논, 파라 t-부틸카타콜, 페놀티아진, 클로라닐, 트리페닐포스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코발트계 경화촉진제는 나프텐산코발트(Cobalt Naphthenate) 또는 옥텐산코발트(Cobalt Octeno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아민계 경화촉진제는 방향족 아민류, 3급 아민류, 4급 암모늄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반응기에 다가알코올인 디에틸렌글리콜(DEG) 20~30중량부 및 1,6-헥산디올(1,6-HD) 1~5중량부와, 포화염기산인 테레프탈산(TPA) 10~20중량부 및 테레프탈산(TPA)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매 0.1~0.5중량부를 투입하고 반응온도 210~220℃ 에서 1차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1차반응단계에서 산값을 측정하여 5 이하가 되면 1차반응을 종료시키는 단계; 상기 1차반응단계 종료 후의 반응물에 무수프탈산(PAn) 5~8중량부, 아디프산(Adipic Acid) 3~10중량부, 무수말레산(MAn) 3~10중량부를 투입하고 반응온도 200~210℃에서 2차반응시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얻는 단계; 상기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냉각하면서 중합금지제 0.005~0.02중량부를 투입한 후, 140~150℃에서 스틸렌모노머 40~50중량부를 투입하여 희석하는 단계; 상기 희석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에 코발트계 경화촉진제 0.1~0.5중량부와 아민계 경화촉진제 0.005~0.02중량부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촉매는 하이드레이트 모노부틸틴 옥사이드 또는 디부틸틴 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중합금지제는 하이드로퀴논, 톨루하이드로퀴논, 메틸하이드로퀴논, 파라 t-부틸카타콜, 페놀티아진, 클로라닐, 트리페닐포스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코발트계 경화촉진제는 나프텐산코발트(Cobalt Naphthenate) 또는 옥텐산코발트(Cobalt Octeno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아민계 경화촉진제는 방향족 아민류, 3급 아민류, 4급 암모늄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은 기존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같이 상온에서 단시간 내에 경화되는 특성을 가지면서도 기계적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보다 훨씬 우수한 인장신율 및 고탄성율을 나타내므로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고탄성 및 고신율을 요하는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 주형인장시험 그래프
도 2는 기존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 주형인장시험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 탄성복원율
도 4는 본 발명의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 탄성복원율 그래프
도 5는 탄성복원율 비교시험 사진
본 발명은 다가알코올인 디에틸렌글리콜(DEG) 20~30중량부, 1,6-헥산디올(1,6-HD) 1~5중량부와; 포화염기산인 테레프탈산(TPA) 10~20중량부, 무수프탈산(PAn) 5~8중량부, 아디프산(Adipic Acid) 3~10중량부와; 불포화염기산인 무수말레산(MAn) 3~10중량부와; 스티렌모노머(SM) 40~50중량부와; 테레프탈산(TPA)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매 0.1~0.5중량부와; 중합금지제 0.005~0.02중량부와; 코발트계 경화촉진제 0.1~0.5중량부와; 아민계 경화촉진제 0.005~0.02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신율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는 25℃에서 점도 1.5~2.0 poise, 산값 25~30㎎KOH/g, 고형분 57~59%, 경화후 인장신율 150~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촉매는 하이드레이트 모노부틸틴 옥사이드 또는 디부틸틴 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합금지제는 하이드로퀴논, 톨루하이드로퀴논, 메틸하이드로퀴논, 파라 t-부틸카타콜, 페놀티아진, 클로라닐, 트리페닐포스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발트계 경화촉진제는 나프텐산코발트(Cobalt Naphthenate) 또는 옥텐산코발트(Cobalt Octeno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민계 경화촉진제는 방향족 아민류, 3급 아민류, 4급 암모늄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반응기에 다가알코올인 디에틸렌글리콜(DEG) 20~30중량부 및 1,6-헥산디올(1,6-HD) 1~5중량부와, 포화염기산인 테레프탈산(TPA) 10~20중량부 및 테레프탈산(TPA)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매 0.1~0.5중량부를 투입하고 반응온도 210~220℃ 에서 1차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1차반응단계에서 산값을 측정하여 5 이하가 되면 1차반응을 종료시키는 단계; 상기 1차반응단계 종료 후의 반응물에 무수프탈산(PAn) 5~8중량부, 아디프산(Adipic Acid) 3~10중량부, 무수말레산(MAn) 3~10중량부를 투입하고 반응온도 200~210℃에서 2차반응시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얻는 단계; 상기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냉각하면서 중합금지제 0.005~0.02중량부를 투입한 후, 140~150℃에서 스틸렌모노머 40~50중량부를 투입하여 희석하는 단계; 상기 희석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에 코발트계 경화촉진제 0.1~0.5중량부와 아민계 경화촉진제 0.005~0.02중량부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촉매는 하이드레이트 모노부틸틴 옥사이드 또는 디부틸틴 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합금지제는 하이드로퀴논, 톨루하이드로퀴논, 메틸하이드로퀴논, 파라 t-부틸카타콜, 페놀티아진, 클로라닐, 트리페닐포스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발트계 경화촉진제는 나프텐산코발트(Cobalt Naphthenate) 또는 옥텐산코발트(Cobalt Octeno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민계 경화촉진제는 방향족 아민류, 3급 아민류, 4급 암모늄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는 다가알코올인 디에틸렌글리콜(DEG) 20~30중량부, 1,6-헥산디올(1,6-HD) 1~5중량부와; 포화염기산인 테레프탈산(TPA) 10~20중량부, 무수프탈산(PAn) 5~8중량부, 아디프산(Adipic Acid) 3~10중량부와; 불포화염기산인 무수말레산(MAn) 3~10중량부와; 스티렌모노머(SM) 40~50중량부와; 테레프탈산(TPA)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매 0.1~0.5중량부와; 중합금지제 0.005~0.02중량부와; 코발트계 경화촉진제 0.1~0.5중량부와; 아민계 경화촉진제 0.005~0.02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료로 사용되는 다가알코올은 디에틸렌글리콜(DEG) 및 1,6-헥산디올(1,6-HD)이며, 포화염기산은 테레프탈산(TPA), 무수프탈산(PAn), 아디프산(Adipic Acid)이고, 불포화염기산은 무수말레산(MAn)이다.
특히, 본 발명의 핵심적 특징은 1,6-헥산디올(1,6-HD)과 아디프산(Adipic Acid)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것인데, 다음 그림과 같이 원료중 1,6-HD와 Adipic acid의 영향으로 긴 탄소사슬을 갖는 Resin chain이 형성되고, 경화된 Resin은 긴 탄소사슬에 의해서 인장신율 및 탄성율을 갖게 되며, 특히 탄소사슬의 109도의 사슬각이 109도 이상으로 증가하여 넓은 각으로 탄소사슬이 인장되거나 인장된 후 수축복원될 수 있고, 각 탄소사슬을 가교하는 스티렌 모노머 가교각도도 적은 전단력으로 쉽게 변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반적인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에 비해 Chain stretching이 좋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고신율 및 고탄성율의 특성을 얻게 되는 것이다.
Figure 112012084120844-pat00001
Figure 112012084120844-pat00002
촉매로는 반응을 향상시켜주는 산화주석 계통의 하이드레이트 모노부틸틴 옥사이드 또는 디부틸틴 옥사이드를 테레프탈산(TPA) 100중량부에 대하여 0.1~0.5중량부 사용한다. 촉매량이 0.1중량부 이하이면 반응 시간이 길어지고 반응온도를 220℃이상에서 반응하여 반응하기가 어려우며 0.5중량부 이상이면 반응이 빠르고 색상이 붉어 질수 있으며 가격적으로 많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중합금지제로는 수지 합성 중 가열에 의한 이중결합의 파괴로 수지가 겔화되는 것을 막고 스티렌모노머 희석제가 포함된 수지의 안정성을 유지하게 하기 위하여 하이드로퀴논, 톨루하이드로퀴논, 메틸하이드로퀴논, 파라 t-부틸카타콜, 페놀티아진, 클로라닐, 트리페닐포스핀 등을 사용하며, 전체 수지에 대하여 0.005~0.02중량부 사용하는데 이것은 수지의 경화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가사시간을 고려하여 적정량 투입한다.
경화촉진제로는 나프텐산코발트(Cobalt Naphthenate) 또는 옥텐산코발트(Cobalt Octenoate)에서 선택되는 코발트계 경화촉진제를 0.1~0.5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향족 아민류, 3급 아민류, 4급 암모늄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민계 경화촉진제를 0.005~0.02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는 25℃에서 점도 1.5~2.0 poise, 산값 25~30㎎KOH/g, 고형분 57~59%, 경화후 인장신율 140~180%, 경화후 자기복원율 103~105%인 것이 특징이다.
25℃에서 점도 1.5~2.0 poise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1.5 미만이면 재료분리 또는 혼화성에 문제가 있고, 고형분 57~59%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수지 물성 자체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산가가 30을 초과하는 경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자량이 낮아지고 미 반응한 다염기산이 존재하여 수지의 강도가 낮아지고 수지의 백탁현상이 심하게 나타남으로 산가는 25~30으로 조절하여야 한다.
고신율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합성
교반기, 환류냉각기, 불활성 가스 도입관, 온도계등 2리터 4구플라스크의 반응기의 청결상태, 밸브의 상태, 콘덴서의 냉각수 및 반응기의 질소라인 등을 확인하였다.
반응기에 다가알코올인 디에틸렌글리콜(DEG) 25중량부 및 1,6-헥산디올(1,6-HD) 5중량부와, 포화염기산인 테레프탈산(TPA) 15중량부 및 테레프탈산(TPA)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매 0.3중량부를 투입하고 반응온도 210℃에서 1차반응시켰다.
1차반응물의 산값을 측정하여 5 이하에서 1차반응을 종료시킨 후, 1차반응물에 무수프탈산(PAn) 5중량부, 아디프산(Adipic Acid) 10중량부, 무수말레산(MAn) 6중량부를 투입하고 반응온도 210℃에서 2차반응시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물을 얻었다.
생성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물을 냉각하면서 중합금지제(하이드로퀴논) 0.01중량부를 투입한 후, 150℃에서 스틸렌모노머 40중량부를 투입하여 희석하여 점도를 조절하고, 50℃ 이하에서 코발트계 경화촉진제(Cobalt Octenoate) 0.3중량부와 아민계 경화촉진제(방향족 아민) 0.01중량부를 투입하여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제조하였다.
고신율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경화물의 주형인장시험
상기 제조된 고신율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경화하여 두께 3mm, 폭12mm의 평판시편을 제작하여 종래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와 주형인장 비교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신율 및 고탄성율 수지는 인장응력 290 N에서도 파단되지 않고 110% 이상 늘어나므로 파단응력까지 인장시험을 실시할 수 없었던 반면, 종래 수지는 판단응력 2700 N에서 파단되는 순간까지도 신율이 5%에 불과한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고신율 및 고탄성율 수지는 종래 수지에 비하여 신율이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신율 및 고탄성율 수지는 시험력 200N에서 신율이 142.2% 이었으나, 시험력 제거시로 부터 3시간 경과후 신율이 초기시험편의 103.4%로 복원됨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고신율 및 고탄성율 수지는 신율이 우수한 것 뿐만 아니라 자기복원력도 우수한 고탄성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는 반면, 종래의 수지(도 5의 죄측 시편)는 인장 후에도 전혀 자기복원력이 없어 탄성율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는 댐퍼 등에 사용하고 있는 고무(Rubber)의 열화를 방지하면서도 기존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같이 상온에서 단시간 내에 경화되는 특성을 가지면서도 기계적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탄성 및 고신율을 요하는 고무(Rubber)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다가알코올인 디에틸렌글리콜(DEG) 20~30중량부, 1,6-헥산디올(1,6-HD) 1~5중량부와; 포화염기산인 테레프탈산(TPA) 10~20중량부, 무수프탈산(PAn) 5~8중량부, 아디프산(Adipic Acid) 3~10중량부와; 불포화염기산인 무수말레산(MAn) 3~10중량부와; 스티렌모노머(SM) 40~50중량부와; 테레프탈산(TPA)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매 0.1~0.5중량부와; 중합금지제 0.005~0.02중량부와; 코발트계 경화촉진제 0.1~0.5중량부와; 아민계 경화촉진제 0.005~0.02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는 25℃에서 점도 1.5~2.0 poise, 산값 25~30㎎KOH/g, 고형분 57~59%, 경화후 인장신율 140~180%, 경화후 자기복원율 103~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하이드레이트 모노부틸틴 옥사이드 또는 디부틸틴 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금지제는 하이드로퀴논, 톨루하이드로퀴논, 메틸하이드로퀴논, 파라 t-부틸카타콜, 페놀티아진, 클로라닐, 트리페닐포스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계 경화촉진제는 나프텐산코발트(Cobalt Naphthenate) 또는 옥텐산코발트(Cobalt Octeno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경화촉진제는 방향족 아민류, 3급 아민류, 4급 암모늄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요하는 고무(Rubber) 열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Rubber)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8. 반응기에 다가알코올인 디에틸렌글리콜(DEG) 20~30중량부 및 1,6-헥산디올(1,6-HD) 1~5중량부와, 포화염기산인 테레프탈산(TPA) 10~20중량부 및 테레프탈산(TPA)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매 0.1~0.5중량부를 투입하고 반응온도 210~220℃ 에서 1차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1차반응단계에서 산값을 측정하여 5 이하가 되면 1차반응을 종료시키는 단계;
    상기 1차반응단계 종료 후의 반응물에 무수프탈산(PAn) 5~8중량부, 아디프산(Adipic Acid) 3~10중량부, 무수말레산(MAn) 3~10중량부를 투입하고 반응온도 200~210℃에서 2차반응시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얻는 단계;
    상기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냉각하면서 중합금지제 0.005~0.02중량부를 투입한 후, 140~150℃에서 스틸렌모노머 40~50중량부를 투입하여 희석하는 단계;
    상기 희석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에 코발트계 경화촉진제 0.1~0.5중량부와 아민계 경화촉진제 0.005~0.02중량부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하이드레이트 모노부틸틴 옥사이드 또는 디부틸틴 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금지제는 하이드로퀴논, 톨루하이드로퀴논, 메틸하이드로퀴논, 파라 t-부틸카타콜, 페놀티아진, 클로라닐, 트리페닐포스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계 경화촉진제는 나프텐산코발트(Cobalt Naphthenate) 또는 옥텐산코발트(Cobalt Octeno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경화촉진제는 방향족 아민류, 3급 아민류, 4급 암모늄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방법
KR1020120115010A 2012-10-16 2012-10-16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375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010A KR101375083B1 (ko) 2012-10-16 2012-10-16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010A KR101375083B1 (ko) 2012-10-16 2012-10-16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083B1 true KR101375083B1 (ko) 2014-03-17

Family

ID=5064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010A KR101375083B1 (ko) 2012-10-16 2012-10-16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0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52B1 (ko) * 2015-10-28 2016-11-04 (주)대우건설 변성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보수용 탄성 주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1411B1 (ko) * 2017-11-07 2018-10-25 애경화학 주식회사 고 내충격성을 가지는 의류 단추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251B1 (ko) 2003-12-30 2006-04-26 주식회사 디피아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KR20110075198A (ko) * 2009-12-28 2011-07-06 조광페인트주식회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도료 조성물
KR20110135686A (ko) * 2010-06-11 2011-12-19 윤재선 필라멘트 와인딩으로 제조되는 피브이씨 에프알피 이중 복합관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251B1 (ko) 2003-12-30 2006-04-26 주식회사 디피아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KR20110075198A (ko) * 2009-12-28 2011-07-06 조광페인트주식회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도료 조성물
KR20110135686A (ko) * 2010-06-11 2011-12-19 윤재선 필라멘트 와인딩으로 제조되는 피브이씨 에프알피 이중 복합관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52B1 (ko) * 2015-10-28 2016-11-04 (주)대우건설 변성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보수용 탄성 주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1411B1 (ko) * 2017-11-07 2018-10-25 애경화학 주식회사 고 내충격성을 가지는 의류 단추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0944B2 (ja) 生分解性高分子量脂肪族ポリエステ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85499B1 (ko) 고신율 및 고강성을 가지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US10570107B2 (en) Vinyl-containing compound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KR101375083B1 (ko) 고신율 및 고탄성율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911411B1 (ko) 고 내충격성을 가지는 의류 단추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
CN111978444B (zh) 一种基于有机多元酸的光固化树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218484A (zh) 制造高性能聚醚酯树脂和热固性塑料的方法
CN108623796B (zh) 一种以废对苯二甲酸生产对苯型不饱和聚酯树脂的方法
KR101425403B1 (ko) 디사이클로펜타디엔으로 개질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8085245A1 (en) Good weathering, uv-resistant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rising fumaric acid
KR101425402B1 (ko) 광경화 시트용 우레탄 하이브리드 비닐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4684695A (en) Flame-retardant,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nd composition therefor
US10280255B2 (en) Renewable resins and unsaturated polyest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11234179B (zh) 一种含有聚酯结构的乙烯基酯树脂及其制备方法
US20140031490A1 (en) Glycerol based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and raw materials therefor
EP3106486A1 (en) Cross-linked unsaturated polycarbonate resins
KR102545381B1 (ko) 재활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플레이크를 이용한 친환경 내식성 인발성형용 비닐에스테르수지의 제조방법
KR102221532B1 (ko) 탄소 섬유 강화 수지용 조성물, 탄소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경화물
KR101425401B1 (ko) 아크릴 개질된 사출용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I448482B (zh) 聚酯材料及其製造方法
KR101406827B1 (ko) 시트몰딩컴파운드용 우레탄 하이브리드 비닐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5626978B (zh) 一种粉末涂料用聚酯树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705287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
CN116143997A (zh) 力学性能增强的环氧乙烯基树脂的制备方法
JPH08311180A (ja) 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