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408A - 젓가락용 보조구 - Google Patents

젓가락용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408A
KR20050062408A KR1020040107534A KR20040107534A KR20050062408A KR 20050062408 A KR20050062408 A KR 20050062408A KR 1020040107534 A KR1020040107534 A KR 1020040107534A KR 20040107534 A KR20040107534 A KR 20040107534A KR 20050062408 A KR20050062408 A KR 20050062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adapter
supporter
chopstick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3345B1 (ko
Inventor
이노마따유꼬
이시이겐슈운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2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젓가락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이것을 안정적으로 바르게 쥘 수 있는 젓가락용 보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젓가락(2A, 2B) 각각을 서로의 선단부(2c)가 후단부(2a)를 지지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어댑터(10)와,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102)의 베이스 부근에 닿게 하여 어댑터(10)를 그 베이스 위에 지지하는 서포터(20)를 젓가락용 보조구(1)에 설치한다. 어댑터(10)에 대해 서포터(20)를 착탈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젓가락용 보조구 {ASSIST TOOL FOR CHOPSTICKS}
본 발명은 젓가락을 쥐는 방법의 연습 등에 사용하는 젓가락용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보조구로서, 예를 들어 상하의 젓가락 사이에 우레탄고무 등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배치하여 상하의 젓가락 후단부 사이에 적정한 간극을 마련하면서 젓가락 선단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한 보조구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75085호 공보
상술한 보조구는 상하의 젓가락을 적정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그 적정한 간격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 우수하다. 그러나, 젓가락을 사용하기 시작한 유아에게 있어서는 2개의 젓가락을 손의 어느 부분으로 쥐면 좋을지 알 수 없어, 젓가락의 유지가 불안정해져 젓가락의 사용 방법이 생각한 바와 같이 숙달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즉, 바르게 젓가락을 쥐는 방법에 있어서는, 하부의 젓가락을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의 베이스 부근에 꽉 눌러 고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술한 보조구에 있어서도 하부의 젓가락을 그와 같이 쥐기만 하면 상부의 젓가락도 자연스럽게 바르게 쥘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손가락과 젓가락의 위치 관계를 습득할 수 없으면 상하의 젓가락을 불안정한 자세로 쥘 우려를 배제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젓가락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이를 안정적으로 바르게 쥐게 되고,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른 적절한 보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젓가락용 보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첨부 도면의 참조 부호를 괄호쓰기로 부기하지만, 그에 의해 본 발명이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하의 젓가락(2B, 2A) 각각을 서로의 선단부(2c)가 후단부(2a)를 지지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어댑터(1O)와,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102)의 베이스 부근에 닿게 하여 상기 어댑터를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하는 서포터(20)를 구비한 젓가락용 보조구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 젓가락용 보조구에 따르면, 어댑터에 의해 상하의 젓가락을 바른 위치 관계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서포터를 이용하여 어댑터를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의 베이스 부근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젓가락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상하의 젓가락을 바른 위치 관계로 안정적으로 쥘 수 있다. 또한, 유아 등이 젓가락을 쥐는 방법을 배우는 경우의 숙달도 빨라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가 상기 어댑터에 대해 착탈 가능해도 좋다. 어댑터를 착탈 가능하게 하면, 어댑터에 의한 보조 효과, 즉 상하의 젓가락을 검지 손가락의 베이스 부근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를 이용할지 여부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어댑터에 대한 상기 서포터의 부착 위치가 상기 젓가락의 상기 지지점 주위로 변경 가능해도 좋다. 서포터의 부착 위치를 지지점 주위로 변경함으로써, 오른손으로 젓가락을 쥐는 경우와 왼손으로 젓가락을 쥐는 경우 중 어느 쪽에 대해서도 상하의 젓가락에 대한 어댑터의 방향을 적정화할 수 있다. 개인차의 조정을 가능하게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검지 손가락의 베이스 부근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만곡한 손가락 걸이부(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손가락 걸이부를 설치함으로써, 서포터를 검지 손가락의 베이스 부근에 의해 피트시켜 서포터에 의한 어댑터의 지지를 보다 한층 안정되게 하여 서포터에 의한 지지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어댑터에 대해 상하의 젓가락이 착탈 가능해도 좋다. 어댑터로부터 젓가락을 제거하면 일절 보조 효과를 이용하지 않고 젓가락을 쥐는 연습을 할 수 있다. 특히 어댑터를 착탈 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어댑터 및 서포터를 사용하는 단계, 어댑터만을 사용하는 단계, 어댑터조차도 사용하지 않는 단계의 3 단계로 나누어 젓가락을 쥐는 방법을 연습할 수 있어, 보조구를 사용할지 여부의 선택밖에 할 수 없는 종래의 보조구와 비교하면 보다 자연스럽게 무리없이 젓가락의 사용 방법을 익힐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젓가락용 보조구 있어서,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젓가락을 상기 선단부가 개방되도록 압박하는 스프링 수단(12)이 마련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스프링 수단을 마련한 경우에는, 젓가락을 손에 쥐었을 때에 상하의 젓가락 사이에 충분한 간극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하의 젓가락에 대해 각 손가락을 자연스럽게 또한 무리없이 댈 수 있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젓가락용 보조구의 일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구(1)는 하부의 젓가락(2A) 및 상부의 젓가락(2B)을 보조구(1)에 적합하게 하기 위한 어댑터(10)와, 어댑터(10)를 사용자의 손의 소정 위치 상에서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2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젓가락(2A, 2B)의 상하는 오른손잡이인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 젓가락(2A, 2B)을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젓가락(2)이라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10)는 어댑터 본체(11)와, 그 어댑터 본체(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어댑터 스프링(12)을 구비하고 있다. 도1 및 도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어댑터 본체(11)는 개략 원형의 상부판(13) 및 하부판(14)과 그들을 소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15)을 갖고 있다. 이들 상부판(13), 하부판(14) 및 측벽(15)은 예를 들어 수지를 소재로 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다. 측벽(15)은 어댑터(10) 주위의 일정 범위에 한해서 설치되고, 그에 의해 어댑터(1O)의 내부에는 양단부가 개구된 젓가락 삽입 공간(11a)이 형성된다.
측벽(15)의 내면측은 젓가락(2)을 외측으로부터 지탱하는 젓가락 받침면(16)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젓가락 받침면(16)의 중앙에는 젓가락(2)의 후단부(2a)에 설치된 환형의 오목부(2b)와 맞물리는 돌기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젓가락 받침면(16)끼리의 간격은 돌기부(16a)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최소이다. 돌기부(16a)로부터 젓가락 받침면(16)의 양단부를 향할수록 젓가락 받침면(16)의 간격이 점차 확대되도록 각 젓가락 받침면(16)에는 구배가 부여되어 있다. 단, 이와 같은 젓가락 받침면(16)의 구배는 필수는 아니며, 젓가락 받침면(16)과 어댑터 스프링(12) 사이에 삽입된 젓가락(2)을 적절한 범위에서 개폐할 수 있는 여유가 젓가락(2A, 2B)과 젓가락 받침면(16) 사이에 있으면 된다. 또한, 젓가락(2)의 오목부(2b)도 필수는 아니며, 이와 같은 오목부(2b)가 없는 젓가락에도 어댑터(10)는 적용할 수 있다.
어댑터 스프링(12)은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어댑터 스프링(12)은 상부판(13) 및 하부판(14)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속이 빈 베어링부(122)와, 그 베어링부(12a)보다도 젓가락 앞측에 배치되는 스프링부(12b)를 갖고 있다. 어댑터 스프링(12)의 베어링부(12a)와 젓가락 받침면(16) 사이에는 젓가락(2)을 통과시킬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된다. 그들 간극에 젓가락(2A, 2B)을 통과시킴으로써, 젓가락(2A, 2B)은 어댑터 스프링(12)의 베어링부(12a)와 젓가락 받침면(16)의 돌기부(16a)에 의해 적절히 협입된 상태에서 어댑터(1C)를 거쳐서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젓가락(2A, 2B) 각각의 후단부(2a) 사이에는 어댑터 스프링(12)의 베어링부(12a)가 개재되어 일정한 간극이 확보되고, 또한 젓가락(2A, 2B)의 서로의 선단부(2c)는 후단부(2a)[보다 구체적으로는 어댑터 스프링(12)과 젓가락 받침면(16)의 돌기부(16a)에 끼워진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다. 또, 젓가락(2)을 어댑터(10)에 통과시킨 상태에 있어서 어댑터 스프링(12)의 스프링부(12b)는 약간 압축되고, 그 압축에 대한 탄성 복원력으로 젓가락(2A, 2B)은 젓가락 끝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또, 도4에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판(13)의 내면에 돌조(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조(17)와 어댑터 스프링(12)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어댑터 스프링(12)의 주위 방향에의 회전이 저지되어, 젓가락(2)을 제거해도 어댑터 스프링(12)의 방향은 변화하지 않는다.
도2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판(13) 및 하부판(14)의 각각의 중심에는 관통 구멍(13a, 1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판(14)에는 관통 구멍(14a)의 중심을 통과하여 젓가락 삽입 공간(11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중심선(CL)에 관하여 대칭으로 한 쌍의 고정 구멍(14b, 14c)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13a, 14a) 및 고정 구멍(14b, 14c)은 서포터(20)를 부착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터(20)는 손가락 걸이부(21)와, 그 손가락 걸이부(21) 위에 설치된 지지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손가락 걸이부(21)는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의 베이스 부근에 끼워 맞출 수 있도록 개략 U자형으로 만곡한 손가락 접촉면(21a)을 갖고 있다. 지지부(22)는 어댑터(10)와 동일 형태 동일 크기의 개략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22a)의 중앙에는 연결축(23)이, 그 연결축(23)으로부터 편심한 위치에는 스토퍼축(2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연결축(23)의 상단부에는 소경부(23a)가 설치되고, 그 소경부(23a)의 베이스부에는 적절한 빠짐 방지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플랜지부(23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서포터(20)는 전체를 수지로 형성해도 좋지만, 강성이 요구되는 지지부(22)의 연결축(23)이나 스토퍼축(24)을 경질 수지로 성형하고, 이를 인서트로서 손가락 걸이부(21)를 손가락에 대한 적합성이 높은 유연한 엘라스토머 등으로 일체로 성형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보조구(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유아가 젓가락의 사용 방법을 처음으로 배우는 경우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젓가락(2A, 2B)을 어댑터(10)에 장착하는 동시에,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터(20)의 연결축(23)을 어댑터 본체(11)의 하부판(14)의 관통 구멍(14a) 및 어댑터 스프링(12)의 중심 구멍(12c)을 통하여 소경부(23a)를 다시 상부판(13)의 관통 구멍(13a)에 끼워 맞춘다. 이 때 스토퍼축(24)은 다음과 같이 하여 하부판(14)의 고정 구멍(14b, 14c) 중 어느 한 쪽에 끼워 맞춘다. 즉, 젓가락(2)을 오른손으로 쥐는 경우에는 도5의 하측의 고정 구멍(14b)에, 젓가락(2)을 왼손으로 쥐는 경우에는 도5의 상측 고정 구멍(14c)에 스토퍼축(24)을 장착한다. 이에 의해, 젓가락(2)과 손가락 걸이부(21)의 주위 방향에 관한 위치 관계가 변화한다. 도2에 있어서 손가락 걸이부(21)의 위치를 고정하여 생각한 경우, 고정 구멍(14b)에 스토퍼축(24)을 장착하면 젓가락(2)은 실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정 구멍(14c)에 스토퍼축(24)을 장착하면 젓가락(2)은 상상선의 방향으로 연장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젓가락(2)을 오른손으로 쥐도록 스토퍼축(24)을 고정 구멍(14b)에 장착한 것으로 한다.
서포터(20)를 어댑터(10)에 부착한 후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손(100)의 검지 손가락(102)의 베이스 부근에 서포터(20)의 손가락 걸이부(21)를 끼워 맞추어 보조구(1)를 위치 결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어댑터 스프링(12)의 스프링부(12b)의 복원력에 의해 어댑터(10)에 통과된 하부의 젓가락(2A)과 상부의 젓가락(2B) 사이에 충분한 간극이 마련되어 있고,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 손가락(102) 및 중지 손가락(103)을 상부의 젓가락(2B)에, 약지 손가락(104)을 하부의 젓가락(2A)에 각각 자연스럽게 또한 무리없이 붙일 수 있다. 이 후, 도10에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100)의 볼록한 부분을 상부의 젓가락(2B)에 붙임으로써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젓가락(2A, 2B)을 바르게 쥘 수 있다.
이상의 사용 방법에 따르면, 어댑터(10)에 의해 젓가락(2A, 2B)이 바른 위치 관계로 연결되고, 또한 서포터(20)에 의해 젓가락(2A, 2B)이 손(100)의 바른 위치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젓가락에 익숙해져 있지 않은 사용자라도 용이하게 또한 바르게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다.
젓가락의 사용 방법을 연습하고 있는 과정의 사용자가 서포터(20)에 의한 보조를 필요로 하지 않을 정도로 젓가락(2A, 2B)을 쥐는 방법에 익숙해진 경우에는, 서포터(20)를 어댑터(10)로부터 제거하여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10)를 검지 손가락(102)의 베이스 부근에 직접 닿게 하여 젓가락(2A, 2B)을 쥐도록 하면 된다. 또한, 어댑터(10)에 의한 보조를 필요로 하지 않을 정도로 젓가락의 사용 방법에 익숙진 경우에는, 어댑터(10)로부터 젓가락(2A, 2B)을 제거하여 젓가락(2A, 2B)으로만 연습을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도시한 보조구(1)에 따르면 젓가락의 사용 방법을 3단계로 나누어 습득할 수 있다. 또, 보조구(1)는 유아의 젓가락 연습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젓가락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없는 각종 사용자에 대해 어댑터(10) 및 서포터(20)를 이용하여 적절한 보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어, 어댑터(10)에 관해서는 젓가락(2)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으면 되고, 그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해도 좋다. 어댑터 스프링(12)은 예를 들어 스프링 재료를 루프형 또는 U자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라도 좋다. 어댑터 스프링(12)의 스프링부(12b)는 베어링부(12a)가 젓가락(2A, 2B)을 압박할 수 있는 한 생략해도 좋다. 서포터(20)의 손가락 걸이부(21)의 손가락 접촉면(21a)은 적절하게 변형 가능하다. 손가락 접촉면(21a)에 미끄럼 방지 수단을 마련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젓가락용 보조구에 따르면, 어댑터에다가 서포터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젓가락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상하의 젓가락을 자연스럽게 바른 위치 관계에서 안정적으로 쥘 수 있고, 또한 유아 등이 젓가락을 쥐는 방법을 배우는 경우 숙달도 빨라지게 되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특히 어댑터에 대해 서포터를 착탈 가능하게 하고, 또한 어댑터에 대해 젓가락을 착탈 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단계적인 젓가락의 사용 방법의 습득을 가능하게 하여 종래보다도 자연스럽게 무리없이 젓가락의 사용 방법을 배울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젓가락용 보조구의 사시도.
도2는 젓가락용 보조구의 평면도.
도3은 젓가락용 보조구의 정면도.
도4는 젓가락용 보조구의 어댑터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5는 젓가락용 보조구의 어댑터의 바닥면도.
도6은 젓가락용 보조구에 이용되는 서포터의 평면도.
도7은 젓가락용 보조구에 이용되는 서포터의 정면도.
도8은 어댑터와 서포터의 연결 부분에 관한 도2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9는 젓가락용 보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도9에서 젓가락에 손가락을 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도10에서 또한 엄지 손가락을 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서포터 없이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 상태를 도9에 대응시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젓가락용 보조구
2A, 2B : 젓가락
2a : 젓가락의 후단부
2c : 젓가락의 선단부
10 : 어댑터
11 : 어댑터 본체
11a : 젓가락 삽입 공간
12 : 어댑터 스프링
l2a : 베어링부
12b : 스프링부
13 : 상부판
14 : 하부판
15 : 측벽
16 : 젓가락 받침면
20 : 서포터
21 : 손가락 걸이부
22 : 지지부
23 : 연결축
24 : 스토퍼축

Claims (6)

  1. 상하의 젓가락 각각을 서로의 선단부가 후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한 상태에서 연결하는 어댑터와,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의 베이스 부근에 닿게 하여 상기 어댑터를 상기 베이스 위에 지지하는 서포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용 보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가 상기 어댑터에 대해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용 보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에 대한 상기 서포터의 부착 위치가 상기 젓가락의 상기 지지점 주위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용 보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가 상기 검지 손가락의 베이스 부근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만곡된 손가락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용 보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에 대해 상하의 젓가락이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용 보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젓가락을 상기 선단부가 개방되도록 압박하는 스프링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용 보조구.
KR1020040107534A 2003-12-19 2004-12-17 젓가락용 보조구 KR101223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23568A JP4540976B2 (ja) 2003-12-19 2003-12-19 箸用補助具
JPJP-P-2003-00423568 2003-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408A true KR20050062408A (ko) 2005-06-23
KR101223345B1 KR101223345B1 (ko) 2013-01-16

Family

ID=3451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534A KR101223345B1 (ko) 2003-12-19 2004-12-17 젓가락용 보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82378B2 (ko)
EP (1) EP1543752A1 (ko)
JP (1) JP4540976B2 (ko)
KR (1) KR101223345B1 (ko)
CN (1) CN100562275C (ko)
MY (1) MY134418A (ko)
TW (1) TWI3454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015B1 (ko) 2006-01-06 2007-03-12 김성훈 젓가락
WO2008014479A2 (en) * 2006-07-28 2008-01-31 Fresh Express, Inc. Eating utensil
US7520548B1 (en) * 2007-10-08 2009-04-21 Ming-Huang Liu Chopsticks gripper
US20110020773A1 (en) * 2008-03-28 2011-01-27 International Invention Inc. Apparatus for training in the use of chopsticks
CN101991331A (zh) * 2009-08-05 2011-03-30 胡泽明 训练用筷子及其使用方法
US7887112B1 (en) * 2009-11-25 2011-02-15 Levenson Donald R Food clip utensil
TWM387487U (en) * 2010-01-11 2010-09-01 Guo-Guang Huang Two-way chopsticks helper
JP5576725B2 (ja) * 2010-06-28 2014-08-20 レック株式会社 箸補助具
JP2012040069A (ja) * 2010-08-16 2012-03-01 Hikone Jijogu Kikaku Kk 箸と箸ホルダーセット
US20120068487A1 (en) * 2010-09-21 2012-03-22 Alison Wong Collapsible chopsticks with integrated case, clip, and stand
TWI507157B (zh) * 2011-01-31 2015-11-11 Chat Ming Woo 筷子
JP5839447B2 (ja) * 2011-06-16 2016-01-06 ひこね自助具企画株式会社 箸ホルダー
US8870254B2 (en) 2011-08-02 2014-10-28 Edward E. Marshall, III Chopsticks utensil
CN104023596B (zh) 2011-12-20 2016-09-21 泽明创新工业有限公司 筷子
JP5943520B2 (ja) * 2012-11-30 2016-07-05 ひこね自助具企画株式会社 箸ホルダー
CN105142466B (zh) 2013-04-25 2017-12-01 胡泽明 具有铰链机构的筷子
USD732900S1 (en) * 2013-06-19 2015-06-30 Charming Innovative Industries Co., Limited Ergonomic device for chopsticks
CN104771043B (zh) * 2015-04-24 2017-02-22 上海理工大学 柔性关节连接的抓握式筷柄
JP6263680B1 (ja) * 2016-12-12 2018-02-14 三千男 中屋 箸の持ち方訓練具
CN106510392A (zh) * 2016-12-31 2017-03-22 陈留香 餐具
US10780568B2 (en) 2017-04-10 2020-09-22 Mark David Gusack Configurable tool set for manipulating objects
JP1600817S (ko) 2017-06-21 2018-04-02
JP6954600B2 (ja) * 2017-06-22 2021-10-27 コンビ株式会社 箸および箸用の補助具
CN108497877A (zh) * 2018-05-14 2018-09-07 冯奕标 一种练习用筷子
US11511395B2 (en) 2020-10-12 2022-11-29 Inoobi, inc. Grasping tool
USD997660S1 (en) 2022-01-25 2023-09-05 Inoobi, inc. Finger-mounted gripp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3825A (en) * 1965-06-25 1967-06-06 Thomas N Arima Chopstick manipulator
JPS60109478U (ja) * 1983-12-28 1985-07-25 マスセツト株式会社 箸用補助具
JPH0387628U (ko) * 1989-12-22 1991-09-06
JPH03275085A (ja) 1990-03-24 1991-12-05 Ace Denken:Kk パチンコ機
JP2844327B2 (ja) * 1995-11-02 1999-01-06 廣幸 中川 食事用自助装具
US5611586A (en) * 1995-12-18 1997-03-18 Kang; Sue-May Device for helping a disabled person use chopsticks
CA2169420C (en) * 1996-02-13 2004-09-14 Ronald Hui Chopstick holder
JP3034180U (ja) * 1996-07-30 1997-02-14 株式会社オーバル 箸の正しい持ち方習得用器具
JPH10225361A (ja) * 1997-02-14 1998-08-25 Toshikatsu Izumi 箸の支持具
JP3429710B2 (ja) * 1999-07-05 2003-07-22 大和合成株式会社 手障害者用箸保持具
US20020096898A1 (en) * 2001-01-19 2002-07-25 Sue-May Kang Assist device for using chopsticks
JP3087628U (ja) * 2002-01-30 2002-08-16 勇次 布施 身体障害者用箸
JP2003275085A (ja) * 2002-03-22 2003-09-30 Takayuki Yoshida 箸補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34418A (en) 2007-12-31
KR101223345B1 (ko) 2013-01-16
CN100562275C (zh) 2009-11-25
JP4540976B2 (ja) 2010-09-08
JP2005177183A (ja) 2005-07-07
US20050134065A1 (en) 2005-06-23
CN1628580A (zh) 2005-06-22
TW200528049A (en) 2005-09-01
TWI345455B (en) 2011-07-21
US7182378B2 (en) 2007-02-27
EP1543752A1 (en)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345B1 (ko) 젓가락용 보조구
WO2003015589A8 (en) Studying chopstick for developing children&#39;s intellectual powers
JP2017046851A (ja) 矯正用指当て具を有する練習用箸
JP2018518248A (ja) 容器把持補助具
JP5674360B2 (ja) 箸補助具及び弾性部材
JP3144710U (ja) 箸補助具
KR20110006268A (ko) 젓가락용 보조구
US11575269B1 (en) Watch band changing cradles for smart watches
JP2007244510A (ja) 点眼補助具
WO2017010155A1 (ja) 電子機器カバー
KR200373176Y1 (ko) 유아용 변기 보조 좌대
JP2012095941A (ja) 飲食用具
JP2010119733A (ja) 箸補助具及び補助具付き箸
KR200461643Y1 (ko) 골프 볼마커 착탈장치
US7635231B2 (en) Writing assistance device
JP2007132062A (ja) キー保持用具及びキー管理ケース
KR200466896Y1 (ko) 퍼프의 탈착이 용이한 진동퍼프
KR20190134206A (ko) 흡착식판
JP3108532U (ja) 箸の使い方練習用箸
JP3177752U (ja) 訓練箸
KR200216488Y1 (ko) 젓가락
KR101922480B1 (ko) 딸깍이 결합형 음료용기
JP3058140B2 (ja) 陰茎絞扼リングのホルダーへの嵌着具
KR102130399B1 (ko) 교정용 필기구 홀더
JP2863718B2 (ja) 箸の持ち方練習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