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0028A - 발열체 - Google Patents

발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0028A
KR20050060028A KR1020047007554A KR20047007554A KR20050060028A KR 20050060028 A KR20050060028 A KR 20050060028A KR 1020047007554 A KR1020047007554 A KR 1020047007554A KR 20047007554 A KR20047007554 A KR 20047007554A KR 20050060028 A KR20050060028 A KR 20050060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weight
hydrophilic
organic filler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오루 우스이
마코토 구리하라
유키오 우르메
히로타카 오마에
Original Assignee
마이코루 프로다쿠쓰 가부시키가이샤
마이코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코루 프로다쿠쓰 가부시키가이샤, 마이코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이코루 프로다쿠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0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02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6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adhesive, self-sti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의 존재에 의해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발열조성물을, 주머니형상, 시트형상 등의 원하는 형체의 통기성 수용체내에 봉입하고, 점착제층을 형성한 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점착제층으로서 함수친수성 겔제를 사용했을 때에, 이 함수친수성 겔의 문제점인 붙일 때 및 사용초기에 있어서의 신체에 주는 차가운 촉감을 줄이고, 사용성에 우수한 함수친수성 겔 점착체층을 가진 발열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공기의 존재에 의해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발열조성물을, 주머니형상, 시트형상 등의 원하는 형체의 통기성 수용체내에 봉입하고, 상기 수용체에 친수성 고분자 증점제로 얻어지는 함수친수성 겔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발열체로서, 상기 함수친수성 겔제에 유기질 충전체를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열체{HEAT GENERATING ARTICLE}
본 발명은, 공기의 존재에 의해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발열조성물을, 주머니형상, 시트형상 등의 원하는 형체의 통기성 수용체내에 봉입하고, 점착제층을 형성한 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직접 점착할 때의 신체에 주는 서늘한 감을 줄이고, 사용성이 우수한 피부점착용 발열성 시트제 등으로서 사용하는 데에 적합한 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발열성 시트제 등으로서 사용되는 발열체는, 일반적으로 철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발열조성물을, 주머니형상, 시트형상 등의 통기성 수용체내에 봉입하여 구성된 발열체부분과, 그 한쪽면에 피부에 밀착시키기 위해 형성된 점착층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발열성 시트제의 점착층에 대해서는, 비수계(非水系) 점착제를 사용한 것이 많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비수계 점착제는, 수분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 붙이면 발열체의 열에 의해 피부표면과 점착층의 사이에 땀 등의 액체가 체류하여, 점착층의 점착력이 저하하여 벗겨지기 쉬워지고, 또한 반대로 강력한 점착력으로 하면 벗길 때 등에 피부표면의 각질을 파괴하거나, 체모 등을 잡아 당겨 고통을 수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친수성 점착제를 사용한 발열성 시트제 등으로서 사용되는 발열체는, 일반적으로 습포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함수친수성 겔을 점착층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겔속의 물에 의해 붙일 때 등 및 사용초기에 있어서 신체에 주는 싸늘한 냉감(서늘한 감)이 문제가 되고, 특히 겨울철의 추운 시기에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 따라서는 견디기 어렵다. 또한 초기 점착시의 차가운 촉감을 주지 않는 것으로서, 습포약(濕布藥)에서는, 붙일 때의 습포기제층과 환부의 사이에 개재하여, 그 습포기제에 의한 촉감(차가움)을 완화시키는 촉감완화층을 형성한 것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8-268879호에서 제안되어 있다. 이 제안에 의하면, 습포약을 환부에 붙였을 때, 환부에는 제일 먼저 촉감완화층이 닿고, 그 후, 습포기제층이 열전달 및 복사열에 의해 따뜻하게 되어 연화되었을 때에 촉감완화층이 습포기제로 메워져, 습포기제의 온도가 피부온도에 가까워진 상태로 피부에 닿게 된다. 이에 의하여, 환부의 피부에는 습포약을 붙일 때의 습포기제에 의한 촉감(특히 냉감)이 즉시 전달되지 않고 완화된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붙인 초기단계에서 습포약 전체의 중량을 촉감완화층의 피부접촉부분의 점착력만으로 유지하지 않으면 안되어, 현실적이지 않다. 또한, 촉감완화층은, 일부 시간경과에 따라 피부측에 메워지는 두께이기 때문에, 피부의 경도의 개인차 또는 부위에 따른 피부의 탄력의 차이에 따라서는, 붙인 초기에 습포기제가 피부에 닿아 차가운 촉감을 주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외에는, 차가운 촉감을 줄인다고 하는 제안은 되어 있지 않고, 문제는 해결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상황이다.
그러나, 함수친수성 겔은, 신체로부터 분비된 땀 등의 수분을 흡수하여, 박리시에도 피부표면의 각질을 파괴하지 않고, 또한, 체모 등도 잡아당기는 일이 없기 때문에, 벗길 때, 사용자에게 고통을 주는 일이 없고, 또한, 함수친수성 겔층에 항알레르기성 물질이나 보습제, 경피흡수약제 등의 수용성물질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수계 점착제보다도 피부에 적합하고, 안전하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이 함수친수성겔의 문제점인 붙일 때 및 사용초기에의 신체에 주는 차가운 촉감을 줄여, 사용성이 뛰어난 함수친수성 겔점착제층을 가진 발열성 시트제 등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발열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공기의 존재에 의해서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발열조성물을, 주머니형상, 시트형상 등의 원하는 형체의 통기성 수용체내에 봉입하고, 상기 수용체에 친수성 고분자 증점제로부터 얻어지는 함수친수성 겔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발열체에 있어서, 유기질 충전제를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함수친수성 겔제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함에 따라, 붙일 때 및 사용초기에서의 신체에 주는 차가운 촉감을 줄이고, 사용성이 뛰어난 발열성 시트제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의 발열체는, 청구의 범위 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기의 존재에 의해서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발열조성물을, 주머니형상, 시트형상 등의 원하는 형체의 통기성 수용체내에 봉입하고, 상기 수용체에 친수성 고분자 증점제로부터 얻어지는 함수친수성 겔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발열체로서, 상기 함수친수성 겔제에 유기질 충전제를 포함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의 범위 제 2에 기재된 발열체는, 청구의 범위 제 1에 기재된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유기질 충전제는 다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의 범위 제 3에 기재된 발열체는, 청구의 범위 제 1에 기재된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유기질 충전제는 친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의 범위 제 4에 기재된 발열체는, 청구의 범위 제 1에 기재된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유기질 충전제는, 결정 셀룰로오스, 목분, 식물건조분말, 펄프, 재생 셀룰로오스, 파이버편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의 범위 제 5에 기재된 발열체는, 청구의 범위 제 1∼4에 기재된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 증점제는, 폴리아크릴산염, 폴리아크릴산염, 셀룰로오스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의 범위 제 6에 기재된 발열체는, 청구의 범위 제 1∼4에 기재된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함수친수성 겔제는, 친수성 고분자 증점제가 1∼30중량%, 물이 1∼80중량%, 보습제가 80중량%이하, 경화제가 5중량%이하, 유기질 충전제가 1∼30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의 범위 제 7에 기재된 발열체는, 청구의 범위 제 6에 기재된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다가알콜, 혹은, 당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의 범위 제 8에 기재된 발열체는, 청구의 범위 제 6에 기재된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2가 금속화합물, 혹은, 3가 금속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의 범위 제 9에 기재된 발열체는, 청구의 범위 제 1∼4에 기재된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피부붙임용 발열성 시트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발열체(발열성 시트제)의 일실시예의 설명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열체는, 상기와 같이, 함수친수성 겔제에 유기질 충전제를 포함시킴으로써, 붙일 때 및 사용초기에 있어서의 신체에 주는 차가운 촉감을 줄여, 사용성이 뛰어난 발열체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열체에 사용되는 함수친수성 겔제는, 피부와의 밀착성이나 보형성이 양호한 등의 관점에서, 예컨대,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염, 셀룰로오스유도체 등의 고분자 증점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친수성 고분자 증점제 성분 1∼30중량%, 물 1∼80중량%, 보습제 0∼80중량%, 2가 금속화합물 및/또는 3가 금속화합물 등의 경화제 0∼5중량%, 그리고, 유기질 충전제 1∼30중량%을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수친수성 겔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염, 셀룰로오스유도체 등의 친수성 고분자 증점제 로 구성된다.
상기 폴리아크릴산으로서는,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고, 그 분자량 및 직쇄형상, 분기형상 등의 형상에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폴리아크릴산염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칼륨, 폴리아크릴산모노에탄올아민, 폴리아크릴산디에탄올아민, 폴리아크릴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아크릴산의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유도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에틸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증점제 이외에는,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로서,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전분인산 에스테르나트륨,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필리돈, 폴리비닐필리돈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구아검, 아라비아검, 트래건트검, 카라야검, 카라기난(carrageenan), 칸텐, 잔탄(xanthan gum), 젤란검, 커트란(curdlan), 풀루란(pullulan), 펙틴, 데스트린, 키친, 키토산, 키토사민, 젤라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분자 증점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것의 합계 배합량은, 함수친수성 겔제조성물 전체의 1∼30중량%, 바람직하게는 2∼2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15중량%이고, 배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점착력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고, 지나치게 많으면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에 문제가 생기거나, 점착력이 강하게 되어 시트제를 벗길 때에 아픔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상기 함수친수성 겔제에 사용하는 수분배합량은, 함수친수성 겔제 조성물 전체의 1∼80중량%, 바람직하게는 5∼7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이고, 배합분이 지나치게 적으면 겔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지나치게 많으면 필수성분을 충분히 배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다가알콜 및/또는 당류 등의 보습제는, 다가알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당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멀티톨, 전분당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함수친수성 겔제에 대한 해당 다가알콜 및/또는 당류 등의 보습제의 배합량은, 함수친수성 겔제 조성물 전체의 0∼80중량%, 바람직하게는 5∼7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이고, 80중량%보다 많으면 겔의 응집력이 저하하여, 박리시에 점착제가 피부에 남는 경우가 있다.
상기 경화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염, 셀룰로오스유도체 등과 가교를 하는 것으로, 2가금속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황산칼슘, 질산칼슘, 염화칼슘, 초산칼슘, 산화칼슘, 인산칼슘, 수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질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나마그네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합성히드로타르사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3가금속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카리명반, 암모늄명반, 철명반, 수산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알루미늄글리시나이트초산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함규산알루미늄, 메타규산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함수친수성 겔제에 대한 경화제의 배합량은, 함수친수성 겔제조성물 전체의 0∼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중량%이고, 5중량%보다 많으면 점도가 높아지고 작업성에 문제가 생기거나, 겔이 딱딱하게 되어 점착력저하를 위한 적절한 점착력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함수친수성 겔제에 사용하는 유기질 충전제는,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성분으로, 발열체를 피부에 직접 붙일 때 및 사용초기에의 신체에 주는 차가운 촉감을 줄이는 것이다. 통상, 충전제는, 습포제, 퍼프제, 화장용 겔시트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점착층의 점도를 조정하거나 가교제로서의 역할을 하여 보형성의 향상을 도모하거나, 증량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목적으로서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또한, 거의가 무기질 충전제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질 충전제를 함수친수성겔 점착제에 배합함으로써, 상기 충전제의 역할을 구비하면서, 더욱 유기질 충전제가 가진 저열전도성 및 저열용량성을 살려, 그 결과, 발열성 시트제를 피부에 직접 붙일 때 및 사용초기에서의 신체에 주는 차가운 촉감을 줄일 수 있었다.
상세하게는, 신체의 온도 및 발열성 시트제의 온도가 충분히 올라갈 때까지의 비정상상태에서, 저열전도 및 저열용량이 되기 때문에 피부접촉계면의 단위시간당의 온도상승이 증가하여, 신체로부터의 체온을 급격히 빼앗는 일없이 차가운 촉감을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함수친수성 겔제에 대한 해당 유기질 충전제의 배합량은, 함수친수성 겔제 조성물 전체의 1∼30중량%, 바람직하게는 5∼2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이고, 1중량%보다 적으면 만족스러운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또한, 30중량 %보다 많으면 점도가 높아져 시트형상이 되지 않는다.
이 유기질 충전제로서는, 입자표면이 다공성이면 공기층의 존재로, 더욱 열전도성 및 열용량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즉, 유기질 충전제로서 다공성인 것을 사용하면, 열전도성 및 저열용량성에 의해서, 피부로부터의 체온을 급격히 빼앗는 일 없이 차가운 촉감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이 유기질 충전제가 더욱 친수성이면 함수친수성 겔제중에 있어서의 분산이 용이하고 균일해지기 때문에, 유기질 충전제의 역할이 더욱 효과적이 되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유기질 충전제로서는, 결정 셀룰로오스, 목분, 식물건조분말, 펄스, 재생 셀룰로오스, 파이버편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특히, 결정 셀룰로오스가 안전성, 취급성, 보존성 및 안정성 등의 시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결정 셀룰로오스로서는, ??-셀룰로오스를 광산으로 부분적으로 저분자화한 것으로, 그 결정을 주로 포함하는 미분말이고, 예컨대, 아사히가세이사제의 아비셀(상품명)을 들 수 있다. 분말체의 입도 분포나 표면처리방법의 차이에 따라 몇가지 등급이 존재하지만, 어느 등급의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건조분말로서는, 린터, 리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펄프로서는, 쇄목 펄프, 아황산 펄프, 크래프트 펄프, 반화학 펄프, 리파이너그랜드펄프, 린터 펄프 등을 들 수 있다. 상의 재생 셀룰로오스로서는, 비스코스레이온, 셀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파이버편으로서는, 아세테이트섬유, 비닐론, 아라미드섬유, 동암모니아섬유, 비단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함수친수성 겔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은 한 상기 성분의 이외에, 통상, 습포제, 퍼프제, 화장용 겔시트 등으로 사용하고 있는 성분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무기분말체, 경피흡수약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향료, 색소, 착색안료, 유화제, 항알레르기제, 미용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열체에 사용되는 발열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화학카이로라 불리는 발열체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철분 등의 금속가루와 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금속가루에 산화반응을 일으켜 pH의 조정이나 촉매작용을 가진 활성탄, 금속분말 표면의 산화피막을 파괴하여, 산화반응을 지속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염화물, 더욱 물에 의한 끈적거림을 없애기 위해서 사용되는 보수제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금속가루로서는, 주철가루, 환원철가루, 전해철가루 등이 사용된다. 또한, 활성탄으로서는, 야자껍질가루, 목분탄, 피트탄 등이 사용된다. 반응조제로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황산칼륨, 황산마그네슘, 황산나트륨 등이 사용된다. 보수제로서는, 버미큐라이트, 파라이트, 크리스트바라이트, 실리카겔, 목분, 흡수성 폴리머 등이 사용된다. 이들을 구체적인 예로 하는 발열조성물의 조성비율은, 철분 40∼75중량%, 물 10∼40중량%, 보수제 1∼40중량%로 하는 것이, 안전성, 경제성, 보존성 및 기동, 지속시간 등의 시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열체는, 상기의 발열조성물을 통기성의 수용체내에 수납하는 것으로, 이러한 수용체는, 예를 들면, 통기성을 가진 편평형상의 포재와 시트형상 비통기성 포재로 구성된다. 상기 통기성을 가진 편평형상 포재는, 기재와 피복재로 구성되어, 이 중 적어도 한쪽이 전체면, 혹은, 일부에 통기성을 가지고 있으며, 발열조성물을 수납하였을 때, 내부의 발열조성물이 누설되지 않고, 더욱이, 함수친수성 겔제층을 형성한 피부에 붙이는 타입의 발열성 시트제 등의 발열체로서 구성되었을 때에, 통기성에 의해서 내부발열조성물이 발열하여, 원하는 온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예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철분 50중량%, 활성탄 5중량%, 염화나트륨 5중량%, 보수제 10중량%, 물 30중량%을 혼합하여 발열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발열조성물(1)을, 나일론 스판본드 부직포에 미세다공질 폴리에틸렌시트가 라미네이트된 다공질필름(닛토라이프텍사제 프레슬론)으로 이루어지는 통기성시트(2)와, 나일론 스판 본드 부직포(아사히가세이제)에 폴리에틸렌필름을 라미네이트한 비통기성시트(3)를 지름 50mm 정도의 편평한 원반형의 주머니형상으로 적층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수용체(4)에 충전하였다.
한편, 표 1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혼합 믹서로 혼합교반하여 함수친수성 겔제 조성물을 조정하였다. 이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함수친수성 겔제조성물(5)을 폴리에틸렌필름을 배접한 폴리에스테르섬유/폴리올레핀섬유의 스판레이스부직포(눈금 90∼110g/m2)(6)에 1000∼1200g/m2의 양을 균일하게 도공하여, 캐스팅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박리필름(7)을 씌워, 시트형상으로 성형한 후, 포장하여, 숙성시킨 후, 발열조성물을 충전한 수용체(4)와 같은 크기로 블랭킹하여, 상기의 수용체(4)의 비통기성시트(3)와 핫멜트(8)에 의해 접착하여, 발열체(10)로서의 발열성 시트제를 얻었다. 얻어진 발열성시트제는 밀봉주머니로 밀봉하였다.
(사용감의 평가)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2의 성분으로부터 조정된 발열성 시트제에 대하여, 온도 20℃, 습도 50%로 설정된 방에 있어서, 전문 패널리스트 10명의 복부에, 밀봉주머니로부터 꺼낸 발열성 시트제를 바로 붙여, 사용감의 관능평가를 하였다. 평가기준은 하기와 같이 점수화하여, 10명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그 평가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2점: 붙였을 때 및 사용초기에의 차가운 촉감에 견딜 수 있다.
1점: 붙였을 때 및 사용초기에의 차가운 촉감에 약간 견딜 수 있다.
0점: 붙였을 때 및 사용초기에의 차가운 촉감에 견딜 수 없다.
표 2
사용감의 관능평가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1.40 1.60 1.80 1.95 1.20 1.10 0.10 0.50
표 2의 결과로부터, 각 실시예의 것은, 각 비교예의 것과 비교하여 붙일 때 및 사용초기에의 차가운 촉감이 저감되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절한 점착력을 가지며, 붙였을 때 및 사용초기에의 신체에 주는 차가운 촉감을 줄여, 사용성에 뛰어난 발열성 시트제 등의 발열체를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공기의 존재에 의해서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발열조성물을, 주머니형상, 시트형상 등의 원하는 형체의 통기성 수용체내에 봉입하고, 상기 수용체에 친수성 고분자 증점제로부터 얻어지는 함수친수성 겔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발열체로서, 상기 함수친수성 겔제에 유기질 충전제를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질 충전제는 다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질 충전제는 친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질 충전제는, 결정 셀룰로오스, 목분, 식물건조분말, 펄프, 재생 셀룰로오스, 파이버편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 증점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염, 셀룰로오스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친수성 겔제는, 친수성 고분자 증점제가 1∼30중량%, 물이 1∼80중량%, 보습제가 80중량%이하, 경화제가 5중량%이하, 유기질 충전제가 1∼30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다가알콜, 혹은, 당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2가금속화합물, 혹은, 3가금속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9.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피부붙임용 발열성 시트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KR1020047007554A 2002-10-31 2003-04-09 발열체 KR200500600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18000 2002-10-31
JP2002318000A JP4323155B2 (ja) 2002-10-31 2002-10-31 発熱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028A true KR20050060028A (ko) 2005-06-21

Family

ID=3221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554A KR20050060028A (ko) 2002-10-31 2003-04-09 발열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197502A1 (ko)
EP (1) EP1557146A1 (ko)
JP (1) JP4323155B2 (ko)
KR (1) KR20050060028A (ko)
CN (1) CN1310628C (ko)
CA (1) CA2435262A1 (ko)
WO (1) WO20040392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035A (ko) * 2018-12-13 2020-06-23 (주)지엘 쑥 하이드로 겔이 도포된 핫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04010C (zh) * 2003-08-11 2008-07-23 麦考尔株式会社 生热体
JP2005255649A (ja) * 2004-03-15 2005-09-22 Mycoal Products Corp 貼付シート
US20070277806A1 (en) * 2004-07-14 2007-12-06 Toshihiro Dodo Heat Generating Pad And Method Of Use Of The Same
CA2573818A1 (en) * 2004-07-14 2006-01-19 Mycoal Products Corporation Active iron powder and heat generating body
JP2006306828A (ja) * 2005-03-28 2006-11-09 Ooshin Mlp:Kk シート状パック化粧料及びパック化粧料用キット
WO2006112533A1 (en) * 2005-04-18 2006-10-26 Showa Denko K.K. Water-containing gel for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070089730A1 (en) * 2005-10-24 2007-04-26 Gunz Gregory L Khem-gz
JP2008018110A (ja) * 2006-07-14 2008-01-31 Ferric Inc 粘着面が二重の貼付用温熱体構造物
JP5343003B2 (ja) * 2006-08-10 2013-11-13 リチャージャブル バッテリー コーポレイション 酸素活性ヒー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830152A1 (en) * 2011-04-12 2012-10-18 Mycoal Co., Ltd. Heat generating body
GB201117673D0 (en) * 2011-10-12 2011-11-23 Mentholatum Company The Ltd Heat patches
WO2016001978A1 (ja) 2014-06-30 2016-01-07 花王株式会社 冷却用貼付シート
CN105885801A (zh) * 2014-09-23 2016-08-24 李敬武 新型蓄冷剂、制备方法和含有新型蓄冷剂的医用冷敷产品
CN111031973A (zh) * 2017-08-23 2020-04-17 花王株式会社 温热器具
EP4087441A4 (en) * 2020-01-07 2023-06-07 ELC Management LLC METHOD AND SYSTEM FOR MULTI-LAYER COSMETIC PADS AND THEIR USE
CN117481901B (zh) * 2023-10-31 2024-05-28 武汉天天健康生物工程有限公司 与耦合剂协同治疗颈肩腰腿风湿疼的热疗贴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9345A (en) * 1985-03-09 1989-06-13 Nippon Oil And Fats Co., Ltd. Hydrated adhesive ge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H0641578B2 (ja) * 1987-04-24 1994-06-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親水性粘着剤組成物
US5084986A (en) * 1987-12-22 1992-02-04 Mycoal Warmers Company Limited Disposable warmer holder
JPH02149272A (ja) * 1988-11-30 1990-06-07 Maikoole Kairo Kk 使いすてカイロ
DK168420B1 (da) * 1992-03-27 1994-03-28 Coloplast As Varmebandage
JP3575828B2 (ja) * 1994-05-17 2004-10-13 マイコール株式会社 温熱用具
JPH08206147A (ja) * 1995-02-06 1996-08-13 Akio Usui 発熱体及びこれを用いる貼付剤
JPH08268879A (ja) 1995-03-28 1996-10-15 Hiroyuki Komata 湿布薬
GB2303208B (en) * 1995-07-08 1998-01-21 Akio Usui Viscous liquid exothermic composition,exothermic device made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xothermic device
JPH0987171A (ja) * 1995-09-25 1997-03-31 Lion Corp 水性粘着剤組成物の製造法
US6264681B1 (en) * 1996-04-11 2001-07-24 Kabushiki Kaisha Genchi Kenkyusho Foot warming exothermic device
JPH10324622A (ja) * 1997-05-21 1998-12-08 Nitto Denko Corp シート状貼付材
CA2303276A1 (en) * 1997-08-29 1999-03-11 Avery Dennison Corporation Biological fluid absorb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PH11235356A (ja) * 1998-02-23 1999-08-31 Fuerikku Kk 粘着性発熱シート
US20020081321A1 (en) * 1998-10-13 2002-06-27 Masayuki Konno Gel sheet for cosmetic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U6076200A (en) * 1999-07-08 2001-01-3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Exothermic bandage
KR100349495B1 (ko) * 2000-06-12 2002-08-21 한웅코텍 주식회사 탄성 함수 겔 시트
JP2002177313A (ja) * 2000-12-15 2002-06-25 Kao Corp 温熱具
US20020121624A1 (en) * 2001-03-01 2002-09-05 Akio Usui Flowing exothermic composition, heater element using the sam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533827Y (zh) * 2002-03-18 2003-02-05 张世周 粘贴翼式热敷袋
JP4093348B2 (ja) * 2002-05-20 2008-06-04 マイコール株式会社 足温用発熱体及び足温用発熱体の製造方法
JP2004208978A (ja) * 2002-12-27 2004-07-29 Mycoal Products Corp 発熱組成物及び発熱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035A (ko) * 2018-12-13 2020-06-23 (주)지엘 쑥 하이드로 겔이 도포된 핫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0628C (zh) 2007-04-18
EP1557146A1 (en) 2005-07-27
CN1571655A (zh) 2005-01-26
JP4323155B2 (ja) 2009-09-02
JP2004149476A (ja) 2004-05-27
CA2435262A1 (en) 2004-04-30
WO2004039294A1 (ja) 2004-05-13
US20040197502A1 (en) 200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60028A (ko) 발열체
CN1149060C (zh) 一次性身体热护垫
KR0173549B1 (ko)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체 및 이 발열체의 제조방법
JP4527724B2 (ja) 発熱体及び型成形発熱体用包材
EP1707165A1 (en) Sheet-like face pack and kits for face packs
US6264681B1 (en) Foot warming exothermic device
JP3344686B2 (ja) インキ状ないしクリーム状の発熱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発熱体並びにこの発熱体の製造方法
WO2006006656A1 (ja) 発熱体
JPWO2006006655A1 (ja) 発熱パッド及びその使用方法
JP4093346B2 (ja) 美顔用発熱体
TW200414897A (en) Exothermic composition and exothermic element
CN1248898A (zh) 一次性热护颈
JPWO2006006653A1 (ja) マイクロヒー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EP1782775A1 (en) Heat generating bod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WO2006006647A1 (ja) 活性鉄粉及び発熱体
EP1566156B1 (en) Heating element
WO2006006665A1 (ja) 発熱組成物及び発熱体
JPWO2006006645A1 (ja) 発熱混合物の製造方法、発熱混合物、発熱組成物及び発熱体
JP4279372B2 (ja) 美顔用粘着性発熱シート
JPWO2006006646A1 (ja) 活性鉄粉、発熱組成物及び発熱体
KR20110115063A (ko) 접착성 함수 겔시트
JPWO2006006649A1 (ja) 湿潤性発熱組成物圧縮体、発熱体及び湿潤性発熱組成物圧縮体の製造方法
JP2000000260A (ja) 発熱体
JP2005255649A (ja) 貼付シート
JP2005095495A (ja) 身体清浄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