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8970A - 코인 호퍼 - Google Patents

코인 호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8970A
KR20050058970A KR1020040104237A KR20040104237A KR20050058970A KR 20050058970 A KR20050058970 A KR 20050058970A KR 1020040104237 A KR1020040104237 A KR 1020040104237A KR 20040104237 A KR20040104237 A KR 20040104237A KR 20050058970 A KR20050058970 A KR 20050058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hopper
rotating disk
guide
stir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8255B1 (ko
Inventor
아베히로시
이노즈카다카시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8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교반기의 회전중심을 다수의 코인이 집결하는 개소에 치우치게 하는 동시에, 교반기의 회전방향을 회전 디스크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코인의 원활한 교반과 효율적인 송급을 조장한다.
산적 상태로 복수의 코인을 보류하는 호퍼 보울(2)과, 호퍼 보울(2)을 상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지지 고정하는 호퍼 본체(3)와, 호퍼 보울(2)의 바닥부에서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 복수의 코인 걸음핀(57)을 갖는 회전 디스크(50)와, 회전 디스크(50)보다도 호퍼 보울(2)측에 위치하고, 회전 디스크(50)에 대해 단차를 갖는 고정 가이드(60)와, 고정 가이드(60)보다도 호퍼 보울(2)측에 위치하고, 다수의 코인이 집결하는 개소에 회전중심을 치우치게 위치하여 회전 디스크와 동일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교반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코인 호퍼{COIN HOPPER}
본 발명은 코인 보울 내에 산적(散積) 상태에서 보류된 코인을 지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코인 호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코인에는, 통화인 코인, 게임기의 메달이나 토큰 등의 대용 경화 또는 유사한 것도 포함된다.
종래, 원판형상 코인을 지급하는 장치로서 여러 가지의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선반 휠이 핀 휠의 정상부 전방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핀이 핀 휠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선반 휠의 둘레 가장자리부 사이에서 핀 휠의 둘레 가장자리상에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또한 3개의 다리를 갖도록 도시된 교반기가 선반 휠의 중앙부에 걸쳐 놓여, 호퍼내의 코인을 교반하는 것이다.
이 장치는 핀 휠과, 선반 휠과, 교반기가 원추체에 의해 서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호퍼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 회전수로 회전한다.
코인은 처음에 호퍼로부터 홈에 도달한다. 핀 휠과 이것에 관련되는 요소가 어떤 각도를 이루고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인은 중력에 의해 홈중에 한쪽으로 치우친다. 코인은 그 후 교반기에 의해 교반되고, 핀 휠의 외부의 핀에 의해 걸어맞추어진다. 코인은 시계의 2시에 해당하는 위치에 접근할 때까지는 서로 겹쳐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와이퍼가 겹쳐 있는 코인에 걸어맞추어지고, 이것을 호퍼의 속으로 쓸어 떨어뜨린다. 선반 휠의 정상부상을 통과한 코인은 나이프에 걸어맞추어진다. 코인은 그 후 나이프를 가로질러 진행한다. 그리고 배출 슈트의 속으로 가속 방출된다. 슈트는 코인 편향기를 가지고 코인에 걸어맞추어지고 코인을 중앙을 향해서 편향한다. 코인은 그 후 자유롭게 외부로 방출된다.
나이프는 부착 장치에 따라, 부착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태양으로 피벗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사이즈의 코인을 수용하도록 각종 직경의 선반 플레이트 및 교반기가 핀홀상에 위치된다(특허문헌 1 참조, 제 1 종래기술이라고 함).
또, 특허문헌 2는 경화가 호퍼 내에 산적 형상으로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동 모터를 시동함으로써, 송출 링과 교반장치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호퍼내의 경화를 교반하면서 송출 링의 내주면에 밀착한 경화를 경화 이송클릭과 고정의 직립 지지판의 표면에 의해 집어 올려, 표면에 대해 미는 힘을 작용하면서 상방에 위치하는 경화 송출 개구에까지 보내진다.
특히, 이 장치는 송출 링에 의한 호퍼내의 경화의 집기를 좋게 하기 위한 것으로, 교반장치는 원판상에 누름판 및 나사에 의해 고정된 합성 고무제의 복수개의 방사상 팔을 갖는 판 형상 교반 부재를 구비하고, 원판을 송출 링의 내측의 하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직립 지지판에 형성된 원형 구멍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판 형상 교반 부재를 지지판 앞쪽면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교반장치에 의해 교반되는 코인은 호퍼 내에서 송출 링에 대해 역회전하는 교반장치에 의해 교반되고, 송출 링의 이송클릭에 효율적으로 집힌다(특허문헌 2 참조, 제 2 종래기술이라고 함).
(특허문헌 1) 일본 특개소50-63997호 공보(도 2 및 도 3 11쪽)
(특허문헌 2) 일본 특개소60-24689호 공보(도 1∼도 3 2쪽)
제 1 종래기술에서는, 코인이 교반기에 의해 교반되는 중에 핀 휠의 회전방향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시계의 문자판으로 비유하면, 호퍼의 정면에서 보아 6시에서 5시, 4시 방향의 개소에서 그 코인의 이동이 완만하게 되어, 다수의 코인이 집결되는 경향이 있다.
이 코인 이동이 완만해지는 장소에서는, 코인끼리의 대류가 시작되고, 서로 상반되는 움직임을 하는 코인에 의해, 핀 휠과 선반 휠이 이루는 코인 송급 통로(Pa)에는 코인이 도입되지 않아 헛돌기 상태가 발생한다.
그 결과, 코인 송급 통로(Pa)에서는, 코인의 송급 불균일을 발생하거나, 빈 송급을 하거나 하여 송급 효율이 나빠, 소요 코인의 적확한 지급을 할 수 없었다.
게다가, 교반기는 그 출력축의 축심이 호퍼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호퍼의 바닥부 근처의 코인을 교반할 때까지 도달하지 않아, 코인의 교반 효율의 저하를 한층더 초래하고 있었다.
또 이 장치는, 코인의 송급 궤도에서의 코인의 분리나 코인의 안정된 송급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대책, 또는 지급구에서의 코인 막힘 대책으로서 와이퍼나 나이프 등의 조정부품을 배열 설치할 필요가 있어, 그 만큼, 어떻게 해도 부품수가 많아져서 코스트가 높아지는 동시에, 선반 휠의 교환 때마다 와이퍼나 나이프의 조정을 필요로 하여, 조립제작 등에 시간이 들거나 해서 번거로웠다.
또한, 이 장치의 선반 휠은 핀 휠의 정상부에 회전가능 또한 교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용해야 할 코인의 사이즈에 따라 핀 휠의 직경과 소정 관계의 직경치수를 갖고 있다.
그렇지만, 이 교환가능한 선반 휠에 반해 핀 휠은 고정되어 있고, 거기에 심어 설치된 핀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코인 사이즈에 대응하여 선반 휠을 교환한 경우, 선반 휠과 핀과의 사이에서 송급되는 코인의 핀에 대한 위치관계에 어긋남이 발생하고, 그 결과 코인의 송급 불균일 등 코인의 송급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제 2 종래기술에서는, 코인은 송출 링의 이송클릭에 의한 미는 힘과, 역회전하는 교반장치의 판 형상 교반 부재에 의한 미는 힘과의 사이에서 비벼지면서 교반되므로, 송출 링보다 회전수가 많게 역회전하는 교반장치에 대해 큰 마찰 저항 인자가 되고, 그 때문에 교반 부재를 마모시켜, 부재자체의 수명을 단축시켜, 자칫하면 열화손상된 교반 부재에 의해 코인 자체가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다.
또한, 교반 부재를 단시간에 교환하지 않으면 안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첫째, 코인을 효율적으로 집고, 송급하는 것이 가능한 코인 호퍼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둘째, 코인막힘을 발생하지 않는 코인 호퍼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셋째, 코인 사이즈의 적용범위를 확대한 코인 호퍼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코인 호퍼는 산적 상태에서 코인을 보류하는 호퍼 보울과, 소정 각도로 상향으로 경사지고,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코인 걸음체 사이에, 상기 호퍼 보울내의 코인을 1개씩 받아 들여서 송출하는 회전 디스크와, 상기 회전 디스크의 상기 호퍼 보울측에 상기 회전 디스크보다도 작은 직경, 또는 동심원 형상이고, 소정량 돌출하는 고정 가이드와, 상기 고정 가이드보다도 상기 호퍼 보울측에 소정량 돌출하고, 또한 상기 회전 디스크의 회전축에 대해 하측에 위치하는 교반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산적 상태에서 코인을 보류하는 호퍼 보울을 대좌부 전방에 갖고,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걸음체를 갖는 회전 디스크와, 회전 디스크에 재치되고, 회전 디스크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또한, 동심원 형상으로 적당한 두께만큼 돌출하는 고정 가이드와, 고정 가이드보다도 호퍼 보울측에 소정량 돌출한 교반기를 설치하고, 호퍼 보울내의 산적상태로 보류된 코인을 교반하고, 효율적으로 코인을 지급하도록 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코인 호퍼의 실시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코인 호퍼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1 실시예의 코인 호퍼(1)는 산적 상태로 복수의 코인을 보류하는 호퍼 보울(2)과, 그 호퍼 보울(2)을 상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지지 고정하는 호퍼 본체(3)를 갖고 있다.
또, 호퍼 보울(2)은 호퍼 본체(3)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교반기(70)를 향함에 따라서 깊이가 증가하고 경사진 형상인 호퍼 헤드부(2a)와, 상부에 코인이 투입되기 위한 코인 투입구(2b)와, 호퍼 본체(3)에 부착 고정하는 부착 다리부(2c)와, 호퍼 본체(3)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몸체부(2d)를 갖고 있다.
또한, 호퍼 본체(3)는 수평한 재치대부(3a)와, 재치대부(3a)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세워 설치된 지지측벽부(3b)와, 끼워맞춤 몸체부(2d)를 수용하는 환상끼워맞춤부(3c)와, 환상끼워맞춤부(3c)에 일체로 형성된 대좌부(3d)와, 환상끼워맞춤부(3c)에 일체로 형성된 호퍼 보울 부착부(3e)를 갖고, 대좌부(3d)를 통하여 지지측벽부(3b)에 호퍼 본체(3)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다.
호퍼 본체(3)에는, 튀겨내기 롤러 부착부(10)와,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부착부(20)와, 코인 센서 부착부(30)와, 슈트(40)와, 코인 커버(45)가 도면에서 좌측 상부에 위치하여 배열 설치되고, 호퍼 보울(2)의 바닥부로부터 전방에 걸쳐서, 회전 디스크(50)와, 고정 가이드(60)와, 그리고 교반기(70)가 도면에서 중앙에 위치하여 각각 장착되어 있다.
도 2부터 도 10을 사용하여, 코인 호퍼(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호퍼 본체(3)에는, 도면에서 중앙부근에서, 환상끼워맞춤부(3c)를 형성하는 내주측벽(3f)의 하부에 환상 돌출부(3g)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돌출부(3g)는 대좌부(3d)와의 사이에 개재된 도 7에 도시하는 회전체(51)의 상면 외주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 돌출부(3g)의 표면에는, 호퍼 초과 코인 방지팁(3h)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호퍼 초과 코인 방지팁(3h)은 회전 디스크(50)의 회전중심(P)의 약간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 팁(3h)의 상면은 재치대부(3a)에 대해 거의 수직을 이루고 있다. 슈트(40)를 향해서 환상 돌출부(3g) 표면으로부터 상방을 바라보는 각도로 뻗어 있다. 코인을 회전 디스크(50)로부터 띄워서 하방의 호퍼 보울(2)내로 낙하시키도록 하고 있는데, 내주 측벽(3f)에 따라 슈트측으로 이동한 경우, 이 상면에 의해 코인을 기립시켜서, 보울(2)내로 낙하시켜 슈트(40)와 코인 걸음핀(57) 사이에 코인이 끼워져 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코인 걸음핀(57)은, 핀뿐만 아니라 판 형상 등의 걸음재를 사용해도 지장이 없다. 따라서, 코인 걸음핀(57)은 걸음체(57)라고 표현해도 지장이 없다.
또한, 회전 디스크(50)로부터 슈트(40)에의 코인 통로에는, 디스크(50)측으로부터 튀겨내기 롤러 부착부(10),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부착부(20), 코인 센서 부착부(30)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튀겨내기 롤러 부착부(10)에 튀겨내기 롤러(11)가 장착되고,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부착부(20)에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이 장착되고, 코인 센서 부착부(30)에 코인 센서(31)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과 코인 센서(31)는 서로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에서 좌측 상부의 슈트(40)는 단면 채널형으로 형성되고, 슈트(40)의 내면(41)과 호퍼 본체(3)의 대좌부(3d) 상면에서 단면 직사각형이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경사지는 코인 지급 통로(Pb)를 형성하고 있다.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은, 회전 디스크(50)의 상면으로부터 슈트(40)측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바라보는 각도로 돌출하는 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팁(21)은 거의 직각 삼각형이고, 그 사면은 대좌부(3d)의 상면으로부터 슈트(40)를 향해서 상방을 향하고 있다. 팁(21)은 허용 코인의 통로의 약간 외측에 고정된다. 상류의 코인 이송 통로(Pm)로부터 이송되는 슈트(40)에 진입할 수 없는 외경을 갖는 허용되지 않은 코인을, 회전 디스크(50)로부터 띄워서 호퍼 보울(2)내로 낙하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면중에 슈트(40)에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과 일체로 연결된 코인 센서(31)가 배치되어 있다. 슈트 내면(41)과 대좌부(3d) 상면에 코인 지급 통로(Pb)를 형성한다. 슈트(40)는 판금가공 등으로 절곡된 강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의 덮개 형상을 하는 동시에, 코인 센서(31)와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이 이동하는 부위에 걸쳐서 절결부(43)를 갖고 있다. 통로(Pb)의 좌단이 지급구(42)이다.
코인 센서(31)는 코인 센서(31)가 코인 지급 통로(Pb)내에 돌출하지 않도록, 슈트 내면(41) 및 대좌부(3d) 상면으로부터 후퇴한 위치에 설치되고, 튀겨내기 롤러(11)에 대해 적당하게 간격을 갖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 코인 센서(31)는 튀겨내기 롤러(11)와 슈트(40)와의 사이에 있어서,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과 함께, 코인 이송 통로(Pm)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7을 사용하여, 상기한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은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부착부(20)에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이 장착되어 있지만, 다른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으로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인 통로에는 디스크(50)측으로부터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부착부(20a), 튀겨내기 롤러 부착부(10),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부착부(20)를 갖고, 튀겨내기 롤러 부착부(10)를 사이에 두고,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부착부(20)과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부착부(20a) 2개소의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부착부를 갖고 있어, 양쪽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부착부(20, 20a)상에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a)이 설치되어 있다.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a)은 직사각형의 가늘고 긴 판 형상이며, 디스크(50)측의 선단부를 사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 튀겨내기 롤러(11)에 팁(21a)이 닫지 않도록 브리지 형상을 이루고, 팁(21a)의 양측에 일체로 성형된 도시하지 않은 지주로 코인 통로보다 상측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0)에서는, 튀겨내기 롤러(11)로 코인을 튀겨낸 후에 활기가 붙은 허용되지 않은 코인을 호퍼 헤드부(2a)로 되돌리고 있었는데,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a)에서는, 튀겨내기 롤러(11)로 코인을 튀겨내기 전에 디스크(50)로부터 온 허용되지 않은 코인은,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a)의 사면 형상 선단부에 의해 허용되지 않은 코인을 호퍼 헤드부(2a)로 되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도 7의 예에서는, 코인의 활기에 의해 코인이 슈트(40)와 회피 팁(21) 사이에 끼어버릴 우려가 있었는데, 도 15, 도 16의 예에서는 허용되지 않은 코인에 활기가 붙어있지 않으므로, 코인 보울(2)내에 확실하게 낙하된다.
따라서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0)대신에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a)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전술의 코인 센서(31)는 예를 들면 U자형 전자 센서가 사용되고, 피검출체인 코인의 검지부(31a)가 넣어진 그 U자형부를 통로(Pb)의 양쪽 사이드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코인 센서(31)는 코인 지급 통로(Pb)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결부(43)를 이동하는 동시에, 슈트(40)의 폭방향을 그 내면(41)과 호퍼 본체(3) 상면을 따라서 코인 지급 통로(Pb)에 걸치도록 슈트(40)에 구비되어 있다.
즉, 코인 센서(31)의 검지부(31a)는, 슈트 내면(41) 및 대좌부(3d) 상면으로부터 코인 지급 통로(Pb)내에 돌출하지 않도록, 슈트(40)에 위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코인이 검지부(31a)에 충돌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코인 센서(31)는 도립 U자형 전자 센서에 한하지 않고 도립 U자형의 광학 센서도 사용가능하고, 비U자형의 전자 센서 등도 사용가능하다. 또, 비U자형 전자 센서의 경우는, 검지부가 슈트 내면(41)측이거나 또는 대좌부(3d)측중 어느 하나의 면으로부터 후퇴하여 슈트(40)에 위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코일이 검지부에 충돌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도 3에서, 고정 가이드(60)는 그 거의 4분의 3의 외주가, 회전 디스크(50)와 동심원 형상이고 또한 소직경이고, 4분의 1이 접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체로서 눈물방울 형상이다. 필요한 코인 두께의 적어도 2/3의 판두께의 판 형상체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판재 등 비교적 딱딱하여 강성이 있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회전 디스크(50)의 상면에 대해 그 판두께 만큼 돌출하여 대좌부(3d)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가이드(60)의 두께는 두꺼워도 코인의 두께와 동일하다. 왜냐하면, 송급 가이드(63a, 63b)에서, 코인이 2장 겹쳐서 안내되지 않기 위해서이다.
또, 고정 가이드(60)는 회전 디스크(50)상에 있어서, 그 외주측면과 회전 디스크(50)의 표면으로 코인 이동경로(Pm)를 형성하고 있다.
즉, 고정 가이드(60)는 외주측면을 이루는 그 판두께면이 회전 디스크(50) 표면에 대해 직각인 면을 갖고, 그 직각인 면과 회전 디스크(50)의 표면으로 코인을 코인 지급 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이동시키는 코인 이송 통로(Pm)를 형성하고 있다.
이 고정 가이드(60)에는, 원형인 코인 송급 가이드(63a)와 원형인 코인 송급 가이드(63a)의 상부 외주에,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코인 송급 가이드(63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수평의 코인 송급 가이드(63b)는 두께가 다른 코인에 대응하기 위해 다른 원형인 코인 송급 가이드(63a)보다 두꺼운 형상으로 하기 때문에, 그 수평의 코인 송급 가이드(63b)의 선단부 측면에 별도의 피스(61)를 부착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이 별도의 피스를 부착함으로써, 가이드(63b)의 두께는 코인 두께를 초과한다. 또, 별도의 피스(61)의 가이드면은 회전 디스크 상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져 있다. 이 경사에 의해 튀겨내기 롤러(11)에 의해 코인이 별도의 피스(61)의 가이드면에 밀린 경우, 코인 분력작용 때문에 회전 디스크 상면으로 밀어붙여져, 코인이 가이드(63b)로부터 낙하하지 않고 밀어내어진다.
또한, 이 별도의 피스(61), 송급 가이드부 자체를 두껍게 일체 형성해도 좋다.
또, 별도의 피스(61)는 평면에서 보아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고정 가이드(60)에 부착 고정하는 나사용 구멍(61c)과, 고정 가이드(60)에 위치결정하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결정 핀이 심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별도의 피스(61)는 회전 디스크(50)와 동일하게 강재로 이루어지고, 특히 금속제의 코인의 접촉에 의한 경년마모에 견딜 수 있도록 담금질된 강철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가이드(60)는 도 7, 8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전동 기어(83b)의 볼록면(83c)이 위치가능한 원형구멍(62)과, 별도의 피스(61)를, 부착고정하기 위한 부착구멍(61b)과 위치결정 핀이 삽입되는 위치결정 구멍(61a)이 뚫어 설치되고, 스페이서(65)를 통하여 대좌부(3d)에 부착고정하는 부착구멍(64)이 뚫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고정 가이드(60)의 둥근 구멍(58)은 제 2 전동 기어(83b)의 볼록면(83c)에 끼워맞추어지므로, 그 중심이 회전 디스크(50)와 동축을 이루는 도 7에 도시하는 중심위치(P)에 대해 하방향으로 약간 치우치는 동시에, 회전 디스크(50)의 반시계방향쪽으로 약간 치우쳐 위치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고정 가이드(60)는 회전 디스크(50)에 대해서는, 스페이서(65)에 의해 접촉하지 않도록 약간의 간극을 가지고 호퍼 본체(3)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회전 디스크(50)의 코인 걸음핀(57)의 사이에 위치한 코인에 중심(P)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 송급 가이드(63a) 및 회전 디스크(5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걸음핀(57)에 의해 밀려서 원형인 송급 가이드(63a)가 회전하면서, 코인 이송 통로(Pm)가 하류방향으로 송급된다.
또한, 코인은 고정 가이드(60)의 접선방향에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송급 가이드(63b)와, 코인 걸음핀(57)에 의해 밀리면서, 1개마다의 코인이 정렬된 상태에서, 튀겨내기 롤러(11)와 마주 대하는 별도의 피스(61)를 부착한 수평의 송급 가이드(63b)로 이동한다.
이때, 코인은 튀겨내기 롤러(11)에 의해, 송급 가이드(63b)측으로 밀린다. 그러나, 별도의 피스(61)에 의해 가이드(63b)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튀겨내기 롤러(11)에 의해 밀어붙여진 경우라도 코인과 가이드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낙하하는 일이 없다. 다른 두께의 것이라도, 또는 그 두께 방향의 양쪽 모퉁이각이 무디어진 형상이라도, 별도의 피스(61)에 의해 수평의 송급 가이드(63b)상에 유지된다.
또한, 코인은 코인 걸음핀(57)의 압출력에 의해, 튀겨내기 롤러(1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돌진한다. 튀겨내기 롤러(11)의 접촉위치가 코인의 직경부를 지나친 직후, 코인은 튀겨내기 롤러(11)의 복귀력에 의해 통로(Pb)내를 향하여 튀겨내어진다.
이때, 슈트(40)의 코인 지급 통로(Pb)를 통과할 수 없는 외경을 가진 코인은, 튀겨내기 롤러(11)와 슈트(40) 사이에 설치된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의 사면에 충돌하고, 그 상단부가 상방으로 튀어 오르기 때문에 통로(Pb)로부터 벗어나고, 따라서 배척되어 호퍼 보울(2)내로 낙하한다.
혹은, 튀겨내기 롤러(11)로 코인을 치기 전에 디스크(50)로부터 온 허용되지 않은 코인은,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a)의 사면 형상 선단부에 의해 허용되지 않은 코인을 호퍼 보울(2)내로 되돌리도록 낙하시킨다.
또, 이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 혹은 21a)은 코인 지급 통로(Pb)에 대해 코인 센서(31)를 연동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으므로, 코인의 외경에 따라 미리 상하 조정을 할 수 있다.
튀겨내기 롤러(11)에 의해 튀겨내어져,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 혹은 21a)의 하방을 통과한 코인은, 슈트(40)내로 진입한다.
슈트(40)내로 진행한 코인은 튀겨내기 롤러(11)와 적당하게 간격을 가지고 슈트(40)의 코인 지급 통로(Pb)에 직교방향에 걸쳐서 설치된 코인 센서(31)에 의해 검지된다. 계수하고, 이 검지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계수기에 의해 카운트하여, 코인의 지급수로 한다. 그리고 슈트(40)의 코인 지급구(42)를 거쳐서 지급된다.
이 슈트(40)내로 튀겨내어진 코인은, 튀겨내기 롤러(11)와 슈트(40)내의 코인 센서(31)가 적당하게 간격을 갖고 떨어져 있으므로, 튀겨내기 롤러(11)에 의해 다 튀겨지고 나서 코인 센서(31)에 의해 검지되게 된다.
또, 코인 센서(31)는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 혹은 21a)의 상하 이동에 따라, 그 검지부(31a)가 코인 지급 통로(Pb)를 직교하도록 절결부(43)를 상하 이동하는 동시에, 슈트 내면(41)과 대좌부(3d) 상면으로부터 코인 지급 통로(Pb)내로 돌출하지 않도록,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부착부(20) 혹은 (20과 20a)에 설치했으므로, 가령, 슈트(40)내로 튀겨내어진 코인이, 겹쳐서 슈트(40)의 코인 지급 통로(Pb)내에 체류하여, 코인막힘이 발생했다고 해도, 코인막힘의 내부압력에 의한 코인 센서(3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슈트(40)의 코인 지급 통로(Pb)내에 체류한 코인막힘에 의한 내부압력은 슈트 내면(41)과 호퍼 본체(3) 상면에 가해지고, 슈트(40)와 호퍼 본체(3)가 코인 센서(31)를 보호한다.
코인 센서(31)의 검출신호를 카운트한 지급수가 소정수에 달한 경우, 코인 지급 종료 신호가 출력되어 기어드 모터(80)는 정지하고, 코인 호퍼(1)는 정지한다.
도 4 및 도 4의 일부 확대도인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좌부(3d)의 배면에는, 모터 예를 들면 기어드 모터(80)와, 튀겨내기 롤러 부착부(10)가,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부착부(20)와, 코인 센서 부착부(30)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튀겨내기 롤러 부착부(10)는 튀겨내기 롤러(11)와 튀겨내기 롤러(11)를 회전 자유롭게 피벗식 부착한 회전운동 암(12)과, 회전운동 암(12)에, 항상,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수단 등에 의해 하향의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 축(13)과, 튀겨내기 롤러(11)가 이동하는 튀겨내기 롤러용 긴 구멍(14)으로 구성되고, 튀겨내기 롤러(11)는 호퍼 본체(3)에 형성된 튀겨내기 롤러용 긴 구멍(14)으로부터 코인 이송 통로(Pm)측에 노출되게 되어 있다.
도 5, 도 6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부착부(20)는,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을, 혹은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부착부(20과 20a)에 설치된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a)을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더(23)와, 그 슬라이더(23)의 하부에 있어서 회전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3)를 상하 이동하는 캠(22)과, 그 캠(22)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지지측벽부(3b)에 뚫어서 설치된 복수의 노치 구멍(25)을 선택하여 회전운동함으로써, 캠(22)의 회전운동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캠(22)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고정된 핸들(26)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측벽부(3b)에는 캠(22)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을 따라 노치 구멍(25)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22)은 캠의 원판중심으로부터 변심시켜서 캠축(27)을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캠축(27)에 고정되어 있는 핸들(26)을 회전함으로써, 캠은 변심하여 회전운동하므로 캠에 접촉하고 있는 슬라이더(23)의 최하위부에서 앵글 형상으로 구부러지고, 캠(22)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더 하판(29)을 상하이동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 하판(29)과 일체인 슬라이더(23)가 상하이동 하게 된다. 슬라이더 하판(29)이 캠(22)과 접촉하고, 핸들(26)의 돌기부(24)가 노치 구멍(25)에 삽입되어 캠(22)이 고정된다. 즉, 슬라이더(23)가 위치결정되어 고정된다. 캠의 외주부분에서, 캠(22)이 고정되는 노치 구멍(25)에 마주 대한 복수개의 개소는, 원형상의 캠(22)의 외주부를 평면 형상으로 가공한 캠 평면부(28)를 가지고, 슬라이더 하판(29)이 캠(22)에 밀착하도록 되어 있다.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 혹은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a)을 상하 조정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23)를 상하 이동하기 위해 핸들(26)을 돌려서 적당하게 노치 구멍(25)을 선택하여 핸들(26)선단의 돌기부(24)를 노치 구멍(25)에 삽입하여 조정위치를 정한다. 이것에 의해, 캠(22)이 소정 각도로 정지하기 때문에, 그 위상에서의 캠의 반경에 따른 위치에 슬라이더(23)가 위치한다. 바꾸어 말하면, 팁(21) 혹은 팁(21a) 및 코인 센서(31)가 선택 노치 구멍(25)에 대한 위치에 유지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인 호퍼(1)의 중앙 종단면 사시도에서, 도면에서 중앙으로부터 우측 상부에 위치하여 기어드 모터(80)의 출력축(81)과, 회전 디스크(50)를 회전시키는 회전체(51)와, 그 회전체(51)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전동 내치 기어(5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코인 호퍼(1)에 의하면, 소요 개수의 코인 지급 신호를 받아서 시동하는 기어드 모터(80)는 회전 디스크(50)와 교반기(70)를 회전한다.
교반기(70)의 동력전달 등은, 호퍼 본체(3)에 배열 설치된 출력축(81)에 피벗식 부착된 구동 기어(82)와, 구동 기어(82)에 맞물리는 제 1 전동 기어(83a)와 함께 일체 형성된 제 2 전동 기어(83b)를 갖는 전동 기어(83)와, 전동 기어(83)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회전 디스크(50)의 회전중심(P)보다도 하방에 있고, 또한, 회전방향의 하류측에 구동 기어(82)를 배치하고 피벗축(84), 전동 기어(83)를 포함하는, 교반기(70)는 제 2 전동 기어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동 기어(83b)는 전동 내치 기어(52)에 맞물려 있고, 회전체(51)에 고정된 회전 디스크(50)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출력축(81)은 기어드 모터(8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 전동 기어(83a)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전동 기어(83b)는 전동 내치 기어(52)에 맞물려 회전체(5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체(51)에 부착고정된 회전 디스크(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있다.
또, 제 1 전동 기어(83a)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전동 기어(83b)는 피벗축(84)을 중심으로 교반기(7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교반기(70)는 제 1, 제 2 전동 기어(83a, 83b)를 통하여 회전되고, 또한 회전 디스크(50)는 전동 내치 기어(52)를 개재하여 회전하므로, 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 디스크(50)는 전동 기어(52)를 통하여 기어(83)로부터 동력전달을 받아서 회전하므로, 교반기와는 회전수가 다르다. 회전 디스크(50)와 교반기(70)와의 회전비는 5:6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 디스크(50)와 교반기(70)가 서로 동일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해도 코인에 주는 교반능력이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교반기(70)는 그 회전축을 이루는 피벗축(84)을 회전 디스크(50)와 고정 디스크(60)와의 동축중심(P)에 대해 하방향으로 치우치는 동시에, 회전 디스크(50)의 반시계방향쪽으로 치우친 위치를 이룬다.
이 교반기(70)의 치우친 위치는, 코인이 교반기(70)에 의해 교반되는 중에 회전 디스크(50)의 회전방향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그 코인의 이동이 완만하게 되는 개소, 즉 시계의 문자판으로 비유하면, 호퍼 본체(3)의 정면에서 6시로부터 5시, 4시 방향의 개소와 대략 일치한다.
왜냐하면, 비교적 다수의 코인이 밀집하는 개소에서는 이 코인 이동이 완만하게 되므로, 회전 디스크(50)의 회전에 의해 코인도 동일 방향으로 보내진다. 그러나, 걸음체에 의해 1개씩 코인이 송출되므로 송출되지 않은 코인이 체류하는 것이다. 이 개소에, 교반기(70)를 위치하여 교반함으로써, 다수의 코인을 교반할 수 있다.
게다가, 회전 디스크(50)는 교반기(70)와는 회전수가 다르고, 교반기(70)에 비해 회전수가 적은 동시에 회전속도가 느리므로, 이 회전 디스크(50)에 회전수가 많고, 회전속도가 빠른 교반기(70)를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교반기(70)는 코인을 교반하여 코인의 자세를 적극적으로 변경한다. 그 때문에 코인은 걸음체에 의해 걸어지기 쉽게 되어 이빠짐 없이 걸음체에 걸어진다.
교반기(70)는 반경방향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6개의 팔(71)을 가지고 별 모양을 하고 있으므로, 코인의 교반, 이동 및 풀기 상승효과를 가져와서 교반효율을 향상하고 있고, 또한 팔(71)은 선단을 향해서 예각을 이루는 첨형부(71a)와, 회전방향 측면을 부각(俯角)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코인 릴리프면(71b)에 의해 코인과의 접촉충돌 마찰을 완화하여 교반기(70)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하고 있다.
교반기(70)는 고정 가이드(60)의 상면에 있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합성 고무, 예를 들면 우레탄고무로 이루어지는 적당하게 두께를 갖는다.
또, 교반기(70)의 중심부는 상면측이 호퍼 보울(2)측에 돌출하도록 콘 형상으로 부푼 형상을 갖는 동시에, 하면측이 피벗축(84)의 머리부에 헐겁게 끼워지는 끼워맞춤 구멍(72)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교반기(70)는 팔(71)의 기초부 주변에 교반기(70)를 제 2 전동 기어(83b)를 나사에 의해 고정하기 위해 부착구멍(83f)이 뚫어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반경방향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6개의 팔(71)을 갖고 별모양을 한 교반기(7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반기(70)의 팔(71)을 3개로 할 수 있다. 선단을 향해서 예각을 이루는 첨형부(71f)와, 회전방향 측면을 부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코인 릴리프면(71e)은 6개의 팔(71)을 갖는 교반기(70)의 첨형부(71a)보다 첨형부(71f)는 매끄러운 활처럼 만곡형상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코인 릴리프면(71e)도 코인 릴리프면(71b)보다도 릴리프각을 다소 크게 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코인 릴리프를 위한 경사각을 다소 크게 하고 있다.
6개의 팔(71)의 교반기(70)의 경우, 교반성이 좋은 반면, 코인이 팔(71)의 릴리프면(71b)에 박히는 일이 있다. 그러나, 첨형부(71f)를 매끄러운 만곡형상으로 하고, 코인 릴리프면(71e)도 릴리프각을 다소 크게 함으로써, 코인이 교반기(70)의 상면측으로 부드럽게 안내되어 팔(71)의 릴리프면(71e)에 박히는 일이 일어나지 않게 되었다.
또한, 교반기(70)의 형상을 별 모양이나 거의 삼각형의 형상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피벗축(84)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일 팔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교반기(70)는 회전 디스크(50)와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중, 회전체(51)는 그 상면에 회전 디스크(50)를 면일치로 끼워맞추도록 동심원 형상으로 돌출한 돌출형 내주 가장자리(51a)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돌출형 내주 가장자리(51a)에 전동 내치 기어(52)가 형성된 원형의 중공부(58)를 갖는다. 회전체(51)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아세탈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넛 형상의 얇은 원판 형상을 하고 있다.
또, 회전체(51)는 그 하면에, 도시하지 않은 환상의 스러스트 베어링이 끼워지는 환상 홈(54)이 형성되고, 도 3에 도시한 호퍼 본체(3)의 환상 칼라부(39)와 대좌부(3d)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은, 예를 들면 링 형상의 지지대에 적당하게 간격을 두고 복수의 원추대 형상 회전자가 끼워진 것이다.
또한, 회전체(51)의 상면에는, 회전 디스크(50)를 일체적으로 부착 고정하는 부착구멍(55)이 뚫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체(51)에는, 그 중심축보다 아래 위치에서 회전체(51)의 외주측면에 접하고, 회전체(5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2개의 외주면의 가장자리에서 회전하는 외측 가이드롤러(56a, 56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동 내치 기어(52)의 하부에 갖는 내주측면에는, 중심축보다 상방 위치에 회전체(51)의 내주측면에 접촉하고, 회전체(5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2개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체(5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선상에서, 또한, 전동 내치 기어(52)의 바로 하부의 위치에 1개, 합쳐서 3개가 내주면의 가장자리에서 회전하는 내측 가이드롤러(56b, 56b, 56b)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디스크(50)는 호퍼 본체(3)의 환상 돌출부(39)의 내경에 헐겁게 끼워지는 외경을 갖는 동시에, 회전체(51)의 돌출형 내주 가장자리(51a)에 끼워맞추는 내경의 둥근 구멍(58)을 갖는 예를 들면 강재로 이루어지는 도넛 형상의 얇은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이 회전 디스크(50)는 그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코인 걸음핀(57)이 심어 설치되고, 또한 회전체(51)에 일체로 고정하기 위한 부착구멍(59)이 뚫어서 설치되어 있다.
이 전동 기어(83)의 제 2 전동 기어(83b)는 그 상면부에, 고정 가이드(60)를 끼워맞추는 볼록면부(83c)가 형성되는 동시에, 피벗축(84)에 끼워넣는 관통 구멍(83d)과, 교반기 위치결정겸 회전 방지용 구멍(83e)이 뚫어서 설치되고, 또한 교반기 부착구멍(83f)이 나사새김 되어 있다.
또한, 전동 기어(83)의 제 1 전동 기어(83a)는 그 하면이 직접 호퍼 본체(3)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호퍼 본체(3) 상면과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스러스트 와셔가 끼워지고, 피벗축(84)을 중심으로 호퍼 본체(3)상에서 원활하게 회전하게 되어 있다.
이 스러스트 와셔는, 예를 들면 합성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섬유와 흑연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면압에 의한 소성 변형이 없고, 마찰 계수가 작은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코인 호퍼에서의 코인의 적응 범위에 대해서 기재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코인 직경에 대응하도록 코인 센서(31)를 부착하여 일체화한 슬라이더(23)를 상하 가동하여 코인 센서(31)의 위치를 코인 직경에 맞추도록 적당하게 코인 센서(31)의 위치조정을 행함으로써 광범위하게 코인 직경에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로 코인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10센트 유로의 직경은 19.7φ이며 2유로의 직경은, 25.7φ이다. 본 발명의 코인 호퍼(1)에 있어서는, 코인 센서(31)의 코인 직경에 대응한 위치조정만으로 그 외에 부품의 교환을 하지 않더라도 10센트 유로의 직경으로부터 2유로의 직경까지는 코인의 지급을 행할 수 있다.
또한 25.7φ 이상의 코인에 적응시키기 위해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회전 디스크(50) 및 고정 가이드(60)를 큰 직경의 코인 직경에 대응하도록 교환함으로써 26φ로부터 38φ까지의 대직경의 코인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63a를 더욱 소직경의 고정 디스크로 변경하고, 걸음체(57)의 간격이 보다 큰 회전 디스크(50)로 교환한다.
또한, 이들 교환용 회전 디스크와 교환용 고정 가이드를 코인 사이즈에 대응하여 복수 조합함으로써, 1대의 코인 호퍼로 다종 코인의 지급에 대응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인 사이즈에 대응한 교환용 회전 디스크와 교환용 고정 가이드로 교환해도, 회전 디스크의 코인 걸음핀(57)과, 고정 가이드의 송급 가이드에 의해 굴림 지지하면서 안정한 자세로 코인을 송급하고, 계수하고, 지급할 수 있어, 종래 장치와 같이, 선반 휠과 핀 휠의 조합을 바꿀 때마다 코인과 핀끼리의 위치관계의 어긋남을 기인으로 하는 코인의 불안정 송급에 의한 송급 불균일 등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일은 없어, 효율적이고 또한 안정된 코인 송급이 가능하다.
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가이드(60)에는, 별도의 피스(61)를 부착한 수평의 코인 송급 가이드(63b)의 아래쪽을 갈고랑이 형상으로 절결한 코인 릴리프 가이드(66)가 형성되어 있어, 교반기(70)와 회전 디스크(50)에 대해 역행 이동하는 코인의 릴리프 장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11∼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기본적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도 1∼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기본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이 중복되므로 제 2 실시예에서는 기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코인 호퍼(1)에서의 제 2 실시예의 전달기구도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제 2 실시예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코인 걸음핀(57)에 의해 코인을 1개씩 송출하는 회전 디스크(50)와, 전동 내치 기어(52)와, 구동 기어(82)와, 전동(傳動) 기어(83)와, 피벗축(84)과 전동 기어의 역전 방지의 기능을 갖는 원웨이 클러치(10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2는, 전동 기어(83)의 축 구멍에 전동 기어(83)의 역전 방지의 기능을 갖는 원웨이 클러치를 전동 기어(83)에 압입하여 고정하기 전의 원웨이 클러치(100)를 전동 기어(83)로부터 분리한 분해도이다.
또, 도 13은 전동 기어(83)의 축 구멍에 전동 기어(83)의 역전 방지의 기능을 갖는 원웨이 클러치(100)를 압입한 전동 기어(83)의 정면도이다.
전동 기어(83)의 중심축에 원웨이 클러치(100)를 압입하고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회전 디스크의 백래시를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기어(83)가 원웨이 클러치(100)를 갖지 않는 구성의 경우에 있어서는, 구동 기어의 백래시 및 전동 기어(83)의 백래시가 전동 내치 기어(52)에 전달되기 때문에 전동 내치 기어(52)에서의 백래시가 증대화된다.
즉, 기어드 모터(80)에 의해 구동 기어(8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 전동 기어(83a)와 제 2 전동 기어(83b)가 일체 구성된 전동 기어(8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래서, 전동 기어(83)와 함께 원웨이 클러치(10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원웨이 클러치(100)를 전동 기어(83)와 피벗축(84) 사이에 개재시킨 전동 기어(83)는 역회전이 억제되고 전동 기어(83)는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된다. 구동 기어(82) 및 전동 기어(83)가 정지상태일 때에는, 구동 기어(82)의 기어 톱니와 전동 기어(83)를 구성하는 제 2 전동 기어(83b)의 기어 톱니의 맞물림에 있어서, 각 기어의 톱니는 반시계방향만의 톱니측 방향이 접촉한다. 따라서 기어 전체의 백래시가 없어져, 각각의 기어에의 부하 및 기어의 마모를 경감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4에서, 회전체(51)의 온도 및 또는 습도에 있어서의 미소 치수변화에의 대응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전체(51)는 열가소성 수지(폴리아세탈)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특히 폴리아세탈 수지는, 온도 및 또는 습도의 환경변화를 받기 쉽고, 수분의 흡수성이 높고 온도의 영향을 받기 쉬운 수지이다.
회전체(51)는 상기한 폴리아세탈 수지를 재질로 하여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및 또는 습도의 변화의 영향을 받아 미묘하게 팽창·수축한다. 수치로 나타내면 100μ∼200μ 정도이지만, 회전체(51) 및 회전 디스크(50)의 부드러운 회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회전체(51)가 온도 및 또는 습도의 변화를 크게 받아도, 회전체(51)의 팽창·수축에 대하여, 회전체(51)에의 회전구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허용할 수 있는 위치에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체(51)에는, 그 중심선(X)보다 아래 위치에서 회전체(51)의 외주측면에 접하고, 회전체(51)의 중심선(Y)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2개의 외주면의 가장자리에서 회전하는 외측 가이드 롤러(56a, 56a)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체(51)의 중심점(C1)으로부터의 각도(b1)로 나타내면 편측 37.5°가 바람직하다. 또, 회전체(51)의 내주측면에는, 그 중심선(X)보다 하방위치에서 회전체(51)의 내주측면에 접하고, 회전체(51)의 중심선(Y)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2개의 내주면의 가장자리에서 회전하는 내측 가이드롤러(56b, 56b)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체(51)의 중심점(C1)으로부터의 각도(a1)로 나타내면 편측 62°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외측 가이드롤러(56a, 56a)를 회전체(51)의 중심점(C1)으로부터의 각도(b1)로 편측 37.5°, 내측 가이드롤러(56b, 56b)를 회전체(51)의 중심점(C1)으로부터의 각도(a1)로 편측 62°로 하여 나타냈지만, 적당히 좋은 각도로 조정하는 것으로 좋고, 상기 설정각도에 구애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외측 가이드롤러(56a, 56a)와 내측 가이드롤러(56b, 56b)를 회전체(51)에 설치하고, 상기한 폴리아세탈 수지의 특성의 영향을 경감하고 있다.
즉, 온도 혹은 습도가 높을 때는, 회전체(51)가 약간 팽창하므로, 각 2개의 외측 가이드롤러(56a, 56a)와 내측 가이드롤러(56b, 56b)에 의해, 회전체(51)가 팽창하여 높이나 내경의 변화분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 각 2개의 외측 가이드롤러(56a, 56a)와 내측 가이드롤러(56b, 56b)를 위치결정하여 부착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회전체(51)의 외주측면에 접한 외측 가이드롤러(56a, 56a)의 위치로부터 회전체(51)의 높이가 팽창 때문에 미묘하게 높아져 위로 올라가고, 또 내경도 미묘하게 커지지만, 외측 가이드롤러(56a, 56a)의 최적의 부착위치에서, 회전체(51)의 높이의 변화분이 최소한으로 된다. 동시에, 회전체(51)의 내주측면에 접한 내측 가이드롤러(56b, 56b)의 영향도 최소한으로 된다.
또, 온도나 습도가 낮을 때는, 회전체(51)가 약간 수축하므로, 각 2개의 내측 가이드롤러(56b, 56b)와 외측 가이드롤러(56a, 56a)에 의해, 회전체(51)가 수축했을 때의 높이나 내경의 변화분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도록 각 2개의 내측 가이드롤러(56b, 56b)와 외측 가이드롤러(56a, 56a)를 위치결정하여 부착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회전체(51)의 내주측면에 접한 내측 가이드롤러(56b, 56b)의 위치로부터 회전체(51)의 내경이 수축 때문에 미묘하게 작아지고, 또한 높이도 미묘하게 작아지기 때문에 회전체(51)가 전체적으로도 내려가지만, 내측 가이드롤러(56b, 56b)의 최적의 부착 위치에서, 회전체(51)의 내경의 변화분이 최소한으로 된다. 동시에, 회전체(51)의 외주측면에 접한 외측 가이드롤러(56a, 56a)의 영향도 최소한으로 된다.
따라서 온도 및 또는 습도의 변화에 있어서의 회전체(51)의 팽창·수축 에 대한 회전구동에의 악영향이 경감되어, 온도 및 또는 습도의 변화에 대해서도 회전체(51)는 그 영향을 받지 않고 부드러운 회전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코인 호퍼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변경, 개량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호퍼 본체에 회전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크상에 코인 걸음핀을 복수 설치한 회전 디스크와, 회전 디스크를 개재하여 호퍼 본체에 부착 고정한 고정 가이드와, 고정 가이드를 개재하여 회전 디스크와 고정 가이드의 동축 중심에 대해 그 회전중심이 치우친 교반기를 구비함으로써, 호퍼 보울내에 산적된 코인을 효율좋게 교반하여 이동하고, 이 교반에 의해 코인의 효율적인 송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반기를 회전 디스크가 이루는 회전중심에 대해 하방향에 치우친 위치로 함으로써, 회전 디스크의 회전과 협동하여, 코인을 교반하고, 따라서 호퍼 보울 바닥부의 코인을 효율 좋게 교반할 수 있다. 또, 교반기와 회전 디스크와의 동일회전에 힘입어, 다수의 코인이 집결한 개소에서 교반기에 의해 코인을 교반할 수 있고, 따라서 코인을 효율적으로 집어, 회전 디스크와 고정 가이드가 이루는 코인 이동통로에 효율적으로 도입하여 반송할 수 있다.
회전 디스크의 걸음체에 걸린 코인은 고정 가이드의 둘레 가장자리로 안내되면서 지급구로 이동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나이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코인 직경 변경시의 조정이 불필요한 동시에 부품수가 감소하여 코스트 삭감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 장치에 발견되는 것과 같은, 코인 이송 통로에 대한 코인의 도입 반입의 헛돌기나, 코인의 송급 불균일 등에 의한 빈 송급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 송급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코인 센서의 설정위치를 코인 직경에 맞추기 위해 가변으로 되어 있는 것, 및 코인 직경에 대하여 적당한 회전 디스크 및 고정 가이드로 변경가능하기 때문에 처리하는 코인의 적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게다가, 교반기는 회전 디스크의 회전중심의 하방위치에서 회전 디스크와는 다른 회전중심축을 이루는 피벗축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디스크와는 다른 회전수, 또는 회전방향으로 교반기를 회전할 수 있어 코인의 교반 효율이나 송급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복수의 팔과의 사이에서 코인끼리에게 미는 힘을 부여하여 코인의 움직임을 활발하게 하여 이동시키고, 따라서 다수의 코인이 집결한 개소에서, 코인을 교반하여, 코인의 자세나 위치를 랜덤하게 회전시킴으로써, 다수의 코인을 코인 이송 통로에 위치시킬 수 있다.
게다가, 코인과의 접촉시의 마찰 저항을 경감하고, 교반기가 회전 디스크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교반기의 마모를 억제하여 내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게다가, 코인 이송 통로에 송급된 코인을 1개마다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정렬하여 코인 지급구측에 안내할 수 있고, 따라서 코인 1개마다의 지급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코인의 송급 자세를 안정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특히 금속제 코인의 접촉 등에 의한 경년마찰에 견딜 수 있다.
게다가, 코인에 대응한 피스로 교환할 수 있는 동시에, 마모된 피스를 신규한 피스로 교환할 수 있다.
게다가, 수평의 코인 송급 가이드에 진입하는 코인을, 튀겨내기 롤러에 의해 1개마다 코인 센서를 향해서 튀겨낼 수 있고, 따라서 슈트에서의 코인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코인의 계수 및 지급을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코인 센서가 코인 지급 통로에 돌출하지 않고, 따라서 코인 지급 통로내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코인막힘에 의한 물리적인 영향은 직접 없어, 코인 센서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코인 센서와 튀겨내기 롤러사이에 적당하게 간격을 만듦으로써, 코인 센서와 튀겨내기 롤러사이에서 코인이 코인 센서에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코인에 의한 코인 센서의 오동작을 회피할 수 있어, 코인을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다.
게다가,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을 코인 이송 통로에 배치했으므로, 허용되지 않은 대직경 코인은 회피 팁에 의해 이송 통로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 허용되지 않은 코인을 배척하여 허용되지 않은 코인이 슈트내에 진입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슈트내에서의 코인막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과 함께 코인 센서를 코인의 직경에 대응하여 코인 지급 통로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이동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코인에 대응한 정확한 계수를 할 수 있는 동시에, 슈트내에서 코인 센서와 코인이 간섭하는 일이 없다.
게다가, 구동 기어에 맞물리는 제 1 전동 기어에 의해 교반기를 회전하고, 제 1 전동 기어에 일체 형성된 제 2 전동 기어에 맞물리는 전동 내치기어에 의해 회전 디스크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동력전달계를 구성할 수 있고, 따라서 조밀한 구조로, 코인의 교반 효율의 향상 및 코인의 송급 효율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게다가, 회전 디스크와 고정 가이드를, 코인에 대응한 교환용의 회전 디스크와 고정 가이드에 적당하게 교환 조합함으로써 적용범위가 넓은 다른 코인에 대응하여 원활하고 또한 효율적인 코인 송급을 할 수 있어, 종래 장치와 같이, 코인 사이즈의 변화에 의해 코인과 핀끼리의 위치관계의 어긋남에 의한 코인의 송급 불균일 등 코인의 송급에 불량을 가져오는 일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코인 호퍼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제 1 실시예의 호퍼 보울을 떼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중앙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제 1 실시예의 기어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회전 디스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고정 가이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예의 전달기구도이다.
도 12는 원웨이 클러치와 전동 기어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원웨이 클러치를 전동 기어에 압입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제 2 실시예의 회전체와 가이드롤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교반기 및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교반기 및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코인 호퍼 2 호퍼 보울
3 호퍼 본체 11 튀겨내기 롤러
20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부착부
20a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부착부
21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21a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
22 캠 23 슬라이더
24 돌기부 25 노치 구멍
26 핸들 30 코인 센서 부착부
31 코인 센서 40 슈트
41 슈트 내면 42 코인 지급구
50 회전 디스크 52 전동 내치 기어
57 코인 걸음체 60 고정 가이드
61 별도의 피스 63a 원형인 코인 송급 가이드
63b 수평의 코인 송급 가이드
70 교반기 71 팔
71a 첨형부 71f 첨형부
71b 코인 릴리프면 71e 코인 릴리프면
80 모터 82 구동 기어
83 전동 기어 83a 제 1 전동 기어
83b 제 2 전동 기어 84 피벗축
P 동축중심 Pb 코인 지급 통로
Pm 코인 이송 통로 100 원웨이 클러치

Claims (18)

  1. 산적 상태에서 코인을 보류하는 호퍼 보울(2)과, 소정 각도로 상향으로 경사지고,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코인 걸음체(57) 사이에, 상기 호퍼 보울(2)내의 코인을 1개씩 받아 들여서 송출하는 회전 디스크(50)와, 상기 회전 디스크(50)의 상기 호퍼 보울(2)측에 상기 회전 디스크(50)보다도 소직경이고, 또한 동심원 형상으로서, 소정량 돌출하는 고정 가이드(60)와, 상기 고정 가이드(60)보다도 상기 호퍼 보울(2)측에 소정량 돌출하고, 또한 상기 회전 디스크(50)의 회전축(P)에 대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교반기(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70)를 상기 회전 디스크(50)의 회전방향쪽으로 치우치게 하여, 상기 회전 디스크(5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70)는, 상기 호퍼 본체(3)에 고정 설치된 피벗축(84)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디스크(5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70)는, 반경방향으로 신장하는 복수의 팔(7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팔(71)은, 선단을 향하여 예각을 이루는 첨형부(71a, 71f)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팔(71)의 측면의 코인 접촉부에 릴리프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코인 릴리프면(71b, 71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가이드(60)는, 상기 회전 디스크(50)와 코인 이송 통로(Pm)를 형성하는 원형의 코인 송급 가이드(63a)의 상부 외주에,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코인 송급 가이드(63b)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의 코인 송급 가이드(63b)의 선단부에 교환가능한 별도의 피스(6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의 코인 송급 가이드(63b)로의 코인 통과시에, 이 수평의 코인 송급 가이드(63b)를 향하여 하방으로 탄성 복귀하도록 이동가능한 튀겨내기 롤러(11)를 배열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본체(3)의 코인 지급구(42)측에 슈트(40)가 설치되고, 상기 슈트(40)에 있어, 이 슈트 내면(41)과 상기 호퍼 본체(3) 상면으로 형성되는 코인 지급 통로(P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70)는, 상기 호퍼 본체(3)에 배열 설치된 모터(80)의 출력축(81)에 설치된 구동 기어(82)와, 이 구동 기어(82)에 맞물리는 제 1 전동 기어(83a)와 일체 형성된 제 2 전동 기어(83b)로 구성되는 전동 기어(83)와, 상기 전동 기어(8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피벗축(84)에 의해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디스크(50)는, 상기 제 2 전동 기어(83b)에 맞물리는 전동 내치 기어(52)를 개재하여 상기 교반기(70)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12.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 디스크(50)와, 상기 회전 디스크(50)의 내측에 전동 내치 기어(52)를 갖고, 상기 회전 디스크(50)의 내원중에는, 구동 기어(82)와, 전동 기어(83)를 갖고 있고, 상기 전동 기어(83)의 중심축에 원웨이 클러치(100)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본체(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회전 디스크(50)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고정 가이드(60)는, 그 각각에 있어서 필요한 코인에 대응한 간격으로 배치한 복수의 코인 걸음체(57)를 갖는 교환용의 회전 디스크와, 상기 교환용의 회전 디스크에 대응한 교환용의 고정 가이드로 교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이한 직경의 코인 사이즈에 대한 코인 센서(31)의 위치조정 기구로서,
    호퍼 본체(3)의 배면부에 갖는 슬라이더(23)와, 상기 슬라이더(23)에 설치된 코인 센서 부착부(30)에 장착된 코인 계수용 코인 센서(31)를 갖고, 상기 코인 센서(31)와 일체로 된 상기 슬라이더(23)의 하부위치에 설치된 상기 슬라이더(23)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캠(22)과, 지지측벽부(3b)를 사이에 두고 상기 캠(22)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고정된 핸들(2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 센서(31)와 일체인 상기 슬라이더(23)의 위치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핸들(26)의 선단에 갖는 돌기부(24)와, 상기 돌기부를 삽입하는 지지측벽부(3b)에 천공 설치된 복수의 노치 구멍(2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 지급 통로(Pb)에 돌출하지 않는 위치에 코인 센서(31)를 설치하고, 상기 코인 센서(31)가 상기 튀겨내기 롤러(11)에 대하여 적당 간격을 가지고 배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 센서(31)가, 상기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 21a)에 연결되고, 상기 허용되지 않은 코인 회피 팁(21, 21a)에 연동하여 상기 코인 지급 통로(Pb)에 직교하도록 상기 슈트 내면(41) 또는 상기 호퍼 본체(3) 상면을 따라 직교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18. 제 1 항에 있어서, 온도나 습도에 의해, 회전 디스크(50)를 조립한 회전체(51)가 팽창 및 수축하기 때문에, 그 변화분을 흡수하기 위하여, 내측 가이드롤러(56b)와 외측 가이드롤러(56a)를 설치하고 있고, 내측 가이드롤러(56b)는, 회전체(51)의 내주측면에 밀접하여 복수개 설치되고, 또한 외측 가이드롤러(56a)는, 회전체(51)의 외주측면에 밀착하여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호퍼.
KR1020040104237A 2003-12-12 2004-12-10 코인 호퍼 KR100668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14354 2003-12-12
JP2003414354 2003-12-12
JP2004247722A JP4810691B2 (ja) 2003-12-12 2004-08-27 コインホッパー
JPJP-P-2004-00247722 2004-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970A true KR20050058970A (ko) 2005-06-17
KR100668255B1 KR100668255B1 (ko) 2007-01-12

Family

ID=3452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237A KR100668255B1 (ko) 2003-12-12 2004-12-10 코인 호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97769B2 (ko)
EP (1) EP1544805B1 (ko)
JP (1) JP4810691B2 (ko)
KR (1) KR100668255B1 (ko)
DE (1) DE602004009520T2 (ko)
TW (1) TWI2631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7410B2 (ja) * 2005-07-01 2012-08-08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ホッパ
JP2008067754A (ja) * 2006-09-12 2008-03-27 Samii Kk 遊技媒体払出装置
TWM329217U (en) * 2007-09-19 2008-03-21 Shang Yang Ind Co Ltd Guided knife of a coin counting device
JP5281425B2 (ja) * 2009-01-29 2013-09-04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のメダル搬送装置
JP5441256B2 (ja) * 2009-12-28 2014-03-1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繰出装置および硬貨処理装置
CA2830627C (en) * 2011-03-22 2019-05-14 Precision Planting Llc Seed meter
JP6402332B2 (ja) * 2015-09-09 2018-10-10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ホッパー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8158A (en) * 1958-08-19 Power driven fare collecting and registering apparatus
US4036242A (en) * 1973-08-01 1977-07-19 Spiral Step Tool Company Hopper payout for various coin denominations
US3942544A (en) * 1973-08-01 1976-03-09 Spiral Step Tool Company Hopper payout for various coin denominations
US4148331A (en) * 1977-06-10 1979-04-10 Bally Manufacturing Corporation Coin-agitating method and means for coin-counting and dispensing machines
JPS57123572U (ko) * 1981-01-27 1982-08-02
JPS5941094A (ja) * 1982-08-31 1984-03-07 角野 博光 ホツパ−型コイン類払出し装置
JPS6024689A (ja) * 1983-07-20 1985-02-07 旭精工株式会社 硬貨送出装置
US4574824A (en) * 1984-07-10 1986-03-11 Igt Agitator for coin hopper
JPS6267690A (ja) * 1985-09-20 1987-03-27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硬貨送出装置
GB8625531D0 (en) * 1986-10-24 1986-11-26 Coin Controls Coin dispensing apparatus
JPS63314868A (ja) * 1987-10-03 1988-12-22 Nec Corp Mos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7122909B2 (ja) * 1987-10-06 1995-12-25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処理機の選別装置
US4923430A (en) * 1987-10-14 1990-05-08 Kabushiki Kaisha Sigma Coin payout apparatus in gaming device
JP2946468B2 (ja) * 1990-03-13 1999-09-06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送出装置
JPH0644305B2 (ja) * 1990-06-13 1994-06-08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送出装置
US5098339A (en) * 1991-01-23 1992-03-24 7's Unlimited, Inc. Coin feeding device
US5190495A (en) * 1991-02-14 1993-03-02 Bally Manufacturing Corporation High capacity coin hopper for a gaming machine
US5163868A (en) * 1991-06-12 1992-11-17 Adams Thomas P Powered rail coin sorter
JPH0528340A (ja) * 1991-07-19 1993-02-05 Asahi Seiko Kk コイン送出装置
US5295899A (en) * 1992-03-03 1994-03-22 Adams Thomas P Two disc coin handling apparatus
JPH0651959U (ja) * 1992-12-18 1994-07-15 株式会社オーイズミ 硬貨等の送出装置における1枚宛て規制装置
JP2839443B2 (ja) * 1994-06-17 1998-12-16 日本信号株式会社 硬貨貯留放出機構
TW382111B (en) * 1998-05-21 2000-02-11 Asahi Seiko Co Ltd Coin accommodation funnel device
AU761666B2 (en) * 1999-02-24 2003-06-05 Asahi Seiko Kabushiki Kaisha A coin dispensing apparatus
JP3821983B2 (ja) * 1999-04-28 2006-09-13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硬貨処理機の硬貨搬送通路装置
JP4235743B2 (ja) * 1999-06-25 2009-03-11 旭精工株式会社 高速のコイン払い出し装置
JP3857841B2 (ja) * 1999-11-04 2006-12-13 三洋電機株式会社 硬貨払出し装置
US6350193B1 (en) * 2000-07-17 2002-02-26 International Game Technology Coin hopper coin feeder mechanism
NL1019509C2 (nl) * 2001-12-06 2003-06-10 Suzo Internat Nl B V Inrichting voor het afgeven van schijfvormige voorwerpen zoals munten.
JP2003216996A (ja) * 2002-01-18 2003-07-31 Nissetsu Sangyo Kiki Co Ltd メダル繰り出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10691B2 (ja) 2011-11-09
EP1544805B1 (en) 2007-10-17
JP2005196731A (ja) 2005-07-21
TW200523821A (en) 2005-07-16
US20050153646A1 (en) 2005-07-14
TWI263173B (en) 2006-10-01
US7497769B2 (en) 2009-03-03
EP1544805A1 (en) 2005-06-22
KR100668255B1 (ko) 2007-01-12
DE602004009520T2 (de) 2008-07-31
DE602004009520D1 (de)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8124B1 (ko) 코인 송출 장치
JP2011118808A (ja) コイン送出装置
CN101263531B (zh) 硬币处理设备
JP2008097322A5 (ko)
KR100668255B1 (ko) 코인 호퍼
JPH03158991A (ja) ホッパー型メダル払出装置
GB2250018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disk-shaped objects
JP3139697B2 (ja) ホッパー装置
JP5382510B2 (ja) コインホッパ
JP2010262520A5 (ko)
JP2008217581A (ja) 円板状体の繰出し装置
JP5789819B2 (ja) コインホッパ
JP4403242B2 (ja) 球体送り出し装置
JP5370737B2 (ja) コインホッパ
JP3049198U (ja) ホッパー装置
JP3709771B2 (ja) コイン払出装置
JPH03158988A (ja) ホッパー型メダル払出装置
JP4042130B2 (ja) メダル類のホッパー装置
JP2024017583A (ja) コインホッパ、コインホッパの回転体、およびコイン処理装置
JPH10277257A (ja) ホッパー装置
JP2004086528A (ja) ホッパー型コイン払出し装置
JP2004110745A (ja) メダル類のホッパー装置
JP2004110744A (ja) メダル類のホッパー装置
JPS6359198B2 (ko)
JP4487013B1 (ja) 円板状体繰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