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2413A - 주출용기 - Google Patents

주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2413A
KR20050052413A KR1020047009749A KR20047009749A KR20050052413A KR 20050052413 A KR20050052413 A KR 20050052413A KR 1020047009749 A KR1020047009749 A KR 1020047009749A KR 20047009749 A KR20047009749 A KR 20047009749A KR 20050052413 A KR20050052413 A KR 20050052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wall
container
base cup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2310B1 (ko
Inventor
다쓰오 쓰바키
시게오 이이즈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050052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62Brushes where the reservoir is specifically intended for being refilled when emp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45D24/26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with flexible walls of the liquid, paste, or powder stor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41Flexible or deformable reservoirs, e.g. resilient bulbs, compressibl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Abstract

박리가 용이한 형태의 적층 스퀴즈용기이고, 입구통부에 제 1 역지밸브를 설치한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형성한 바닥부에, 제 2 역지밸브를 설치한 베이스컵을 기밀하게 조립한 주출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와 베이스컵의 안정하고 강고한 조립의 확보와, 확실한 기밀접촉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을 위해 입구통부 (6)를 제 1 역지밸브(18)로 개폐하고, 바닥부(8)에 외층(2)과 내층(3) 사이로의 외부공기 침입구인 개구부(15)를 형성한 스퀴즈성 데라미 보틀인 용기본체(1)의 바닥부(8)에 형성한 통기구멍(25)을 제 2 역지밸브(27)로 개폐하는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의 베이스컵(20)을, 기밀하게 나사맞춤 외부장착조립하고, 바닥부(8)의 바닥둘레벽(9)에 설치한 보강재로서 기능하는 단부(11)에 근접하여, 베이스컵(20)과의 사이를 기밀하게 시일하는 시일부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와 베이스컵(20)과의 조립부분의 벽구조를, 다수의 요철에 의해, 형상유지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양자를 밀접하게 끼워맞춤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출용기{FILL-OUT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내부로 외부공기를 침입시키지 않고, 내용물의 주출이 가능한 주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형(정형)으로 성형된 외층과, 이 외층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한 내층으로 구성되는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의 바닥부에 기밀하게 외부장착부착되는 베이스컵과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주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외층의 안쪽에 내층을 박리 가능하게 적층하고, 상부에 내용물의 주출구를 형성하는 입구통부를 설치하며,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의 바닥부의 바닥벽에 위치하고 있는 외층의 일부에, 이 외층과 내층과의 사이에 외부공기를 도입하는 개구부를 형성한 스퀴즈변형 가능한 용기본체와, 용기본체내부로의 내용물 역류 및 외부공기의 유입을 저지하기 위해, 용기본체의 입구통부를 개폐하는 제 1 역지밸브와, 용기본체의 바닥부에 기밀하게 바깥에서 끼우고, 바닥판에 통기구멍을 형성한 베이스컵과, 이 베이스컵의 통기구멍에 부착되어, 외부공기의 도입을 허용하는 제 2 역지밸브로 구성한 용기를, 본 출원인은 이미 출원한 바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출원 2002-129195호 명세서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용기본체의 바닥부에 대해서, 베이스컵이 보강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에, 용기의 바닥부는, 안정한 강도와 자립기능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자원절약화의 요망이 높아짐에 의해, 용기본체의 스퀴즈성을 높이면, 그만큼, 용기본체가 변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이 변형이 쉬운 정도에 따라서는, 용기본체와 베이스컵과의 사이의, 결합의 강함 및 시일성의 확실함이 저하하는 것은 아닌가하는 불안함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외층의 안쪽에 내층을 박리 가능하게 적층하고, 상부에 내용물의 주출구를 형성하는 입구통부를 설치하며,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의 바닥부의 바닥벽에 위치하고 있는 외층의 일부에, 이 외층과 내층과의 사이에 외부공기를 도입하는 개구부를 형성한 스퀴즈변형 가능한 용기본체를 가지는 것,
이 용기본체내부로의 내용물 역류 및 외부공기의 유입을 저지하여, 용기본체의 입구통부를 개폐하는 제 1 역지밸브를 가지는 것,
용기본체의 바닥부에 나사맞춤하여 외부장착되는 통벽을 가지고, 바닥판에 통기구멍을 형성한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의 베이스컵을 가지는 것,
이 베이스컵의 통기구멍에 조립되어, 외부공기의 도입을 허용하는 제2 역지밸브를 가지는 것,
용기본체의 바닥부의 바닥둘레벽에 설치한 제 1 시일부와, 베이스컵의 통벽의 안둘레면에 설치한 제 2 시일부와의 기밀접촉에 의해, 용기본체의 바닥둘레벽과 베이스컵의 통벽과의 조립을 기밀하게 한 것,
에 있다.
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스퀴즈 가능한 용기본체의 몸통부를 누르면, 입구통부를 폐쇄하고 있는 제 1 역지밸브가 개방되어, 내용물이 입구통부에서 용기본체 밖으로 주출된다.
용기본체의 누름을 해제하면, 내용물의 주출이 멈추고, 외층이 탄성회복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기 시작하며, 제 1 역지밸브의 기능에 의해, 입구통부가 폐쇄되어, 용기본체내부로의 내용물 역류 및 외부공기의 침입을 저지한다.
이 때, 내층은 부피축소 변형한 상태를 유지한 그 대로이므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외층과, 부피축소 변형상태를 유지하는 내층과의 틈새가 감압상태가 되어, 제 2 역지밸브가 베이스컵의 통기구멍을 개방하고, 외부공기를 통기구멍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서, 외층과 내층과의 사이로 유입시켜, 신속하게 외층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킨다.
외층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한 후, 다시 용기본체의 몸통부를 누르면, 외층과 내층과의 사이가 가압상태가 되고, 제 2 역지밸브의 기능에 의해, 통기구멍을 폐쇄하여, 내층과 외층과의 사이에 유입한 외부공기의 역류, 즉 유출을 방지한다.
이 때문에, 다시, 용기본체의 몸통부를 눌렀을 때에, 내층과 외층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통해서, 부피축소변형하고 있는 내층 내부의 내용물을 가압할 수가 있고, 다시 제 1 역지밸브가 입구통부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확실히 주출할 수 있다.
용기본체의 바닥부에 개구부를 형성한 구조이더라도, 바닥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베이스컵을, 용기본체의 바닥부에 나사맞춤하여 외부장착시키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컵에서 용기본체의 바닥부를 보강하게 되어, 이에 따라 용기본체의 스퀴즈성이 높아진 구성이더라도, 용기의 바닥부의 형태를 안정하게 유지하여, 안정한 자립기능을 발휘한다.
용기본체의 베이스컵과의 조립부분인 바닥부의 바닥둘레벽에는, 베이스컵과 나사맞춤 결합하기 위한 나사돌기가 형성되는데, 이 나사돌기는 바닥둘레벽을 요철변형시켜서 둘레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개개의 나사돌기가 보강돌출조로서도 기능하는 것이 되고, 이에 따라 용기본체의 스퀴즈성을 높이더라도, 용기본체와 베이스컵과의 조립력을, 강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된다.
또한, 베이스컵의 제 2 시일부와 기밀접촉하여, 용기본체의 바닥부의 바닥둘레벽과 베이스컵의 통벽과의 조립을 기밀한 것으로 하는 바닥부의 제 1 시일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로써 용기본체에 대한 베이스컵의 기밀한 조립을 확실히 확보하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에, 용기본체의 바닥부의 바닥둘레벽에, 단부를 둘레로 형성하여, 해당 단부에 근접하여 제 1 시일부를 설치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베이스컵의 제 2 시일부와 기밀하게 접촉하여, 용기본체의 바닥부의 바닥둘레벽과 베이스컵의 통벽과의 조립을 기밀한 것으로 하는 바닥부의 제 1 시일부는, 단부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단부가 발휘하는 보강작용에 의해 안정하여 자기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되고, 이에 따라 용기본체에 대한 베이스컵의 기밀한 조립을 더욱 확실히 확보하는 것이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에, 용기본체의 바닥부의 바닥벽에, 이 바닥벽의 외층에 형성된 절단부를 개구시켜,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용성(相溶性)이 거의 없는 외층 파리손과 내층 파리손을 함께 압출한 적층 파리손을, 금형의 핀치 오프부에서 눌러 찌부러뜨려 성형되는 절단부에, 용이하게 발생하는 바닥갈라짐을 그 대로 개구부로서 사용할 수 있어, 번거로운 후가공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개구부를 바닥부에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에, 제 1 시일부와 제 2 시일부의 한쪽을 둘레돌출조구조로 하고, 다른쪽을 평활한 둘레면구조로 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시일부와 제 2 시일부와의 기밀접촉상태를, 선접촉상태로 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국부적인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강고하고 안정한 기밀접촉상태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에, 제 1 시일부와 제 2 시일부중 어느 한쪽을 바닥부의 바닥둘레벽 또는 통벽의 안둘레면에 고정되는 고리형상 탄성부재로 구성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시일부와 제 2 시일부와의 기밀접촉상태를, 고리형상 탄성부재를 통하여 접촉상태로 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해당 부재의 탄성변형력을 이용하여, 강고하고 안정한 기밀접촉상태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에, 용기본체의 입구통부에 연이어 통하는 통로를 내부에 형성한 자루부에, 복수개의 빗살편을 정렬형성하고, 이 각 빗살편에, 빗살편의 중간높이위치에, 정렬방향으로 개구한 주출구멍과, 이 주출구멍과 통로를 연이어 통하는 주출통로를 형성한 빗을 입구통부에 부착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본체의 몸통부를 잡은 손에 의해, 이 몸통부를 눌러 부피축소방향으로 스퀴즈변형시키면, 내용물인 염모제가, 직접 각 빗살편 사이로 주출되기 때문에, 그 대로, 즉 몸통부를 잡은 채, 빗으로 두발을 빗어, 주출한 염모제를 두발에 도포할 수 있고, 또한 다시 몸통부에 대한 누름에 의해, 빗살편 사이로의 염모제 주출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두발에 대한 염모제를 적당량씩 도포하는 것을 연속하여 달성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반단면한 전체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바닥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반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베이스컵을 편평하게 절단한 바닥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바닥벽의 절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로서, 도 4(a)는 개구부 형성전의 상태도, 도 4(b)는 개구부 형성부의 상태도이다.
도 5는, 용기 바닥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반단면도이다.
도 6은, 용기 바닥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반단면도이다.
도 7은, 용기 바닥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반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제 2 역지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제 2 역지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제 2 역지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제 2 역지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제 2 역지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출용기의 일실시예에, 빗(33)을 부착한 예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출용기는, 용기본체(1)와, 이 용기본체(1)의 바닥부 (8)에 기밀하게 나사맞춤하여 외장조립한 베이스컵(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빗 (33)은, 용기본체(1)의 입구통부(6)에, 부착체(29)를 통해서, 그 내부에 형성한 통로(37)를 입구통부(6)에 연이어 통하게 한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다.
용기본체(1)는, 누름에 의한 탄성변형 및 이 변형의 회복이 가능한 외층(2)과, 이 외층(2)에 대하여 상용성이 낮은 합성수지로서, 오므라짐변형이 자유롭고, 박리가능한 내층(3)이 적층된 적층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몸통부(4)의 상부에 어깨부(5)를 통해서 짧은 원통형상의 입구통부(6)를 구비하고 있고, 이 입구통부 (6)의 바깥둘레면에는 나사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본체(1)의 내,외층 사이에, 입구통부에서 바닥부에 걸쳐서 축방향으로 뻗은 일정폭의 접착층을 설치하면 내용물의 안정한 토출을 가능하게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또한 접척층을 2개 이상 설치하는 경우는, 대칭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부(4)의 하단에는, 아래쪽의 단부(7)를 통해서, 바닥둘레벽(9)과 바닥벽 (13)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바닥부(8)(이하, 도 2 참조)가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바닥둘레벽(9)에는, 나사돌기(10)와 단부(11)와 제 1 시일부 (12)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13)에는, 용기본체(1)를 블로우성형하였을 때에, 블로우금형에 의해 막힌 절단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단부(14)의 외층(2)이 개방되어 개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8)에 있어서의 나사돌기(10)는, 그 자체가 국부적으로 만곡성형된 둘레돌출조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력한 자기형상 유지력을 발휘한다. 단부 (11)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형태의 경우, 나사돌기(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돌기(10)의 상부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제 1 시일부(12)는, 단부(11)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시일부(12)는, 단부(11)와 일체로 성형된 둘레돌출조구조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나사돌기(10)와 단부(11) 사이에 위치한 평활한 바깥둘레면 구조로 되어 있고,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단부(7)와 단부(11) 사이에 위치한 평활한 바깥둘레면구조로 되어 있고, 어느 쪽의 경우도, 보강리브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부분과 조합하여, 안정하고 강고하게 자기형상을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개구부(15)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13)에, 파팅라인을 따라 성형된 외층(2)의 절단부(14)를, 예를 들면, 바닥벽(13)에 대해서, 파팅라인을 따라 끼움지지력을 작용시킴으로써, 도 4(a)에 나타낸 성형시의 상태로부터,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어 열어서 개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단부(14)를 밀어 열어서 개구부(15)를 형성한 경우는, 바닥부 (8)에 바닥갈라짐이 생겨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지만, 바닥부(8)에 나사맞춤되어 외부장착된 베이스컵(20)이, 바닥부(8)의 바깥테두리체로서 작용하여 보강하기 때문에, 주출용기는 안정한 자립기능을 구비한다.
제 1 역지밸브(18)(도 1 참조)는, 중간마개패킹(16)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개구부(17)에, 밸브편(19)이 개폐자유롭게 설치되어, 입구통부(6)의 개구끝단에 기밀하게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컵(20)은, 통벽(21)의 하단에 바닥판(24)을 연이어 설치한 바닥을 가지는 원통형상을 하고, 바닥부(8)에 나사맞춤하여 외부장착되어 있다. 통벽(21)의 안둘레면에는, 나사돌기(10)와 나사맞춤하는 나선돌기(22)를 구비하고, 또한 제 1 시일부(12)에 대향하는 부분에, 이 제 1 시일부(12)와 기밀하게 접촉하는 제 2 시일부(2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바닥판(24)의 중앙에는 통기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시일부(23)는, 도 2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평활한 안둘레면구조를 하고 있으며,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둘레돌출조구조를 하고 있으며,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작은 둘레돌출조의 조합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벽과 일체구조인 상기 실시형태를 대신하여,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 1 시일부(12)와 제 2 시일부(23)중 어느 한쪽을 바닥부(8)의 바닥둘레벽 또는 통벽(21)의 안둘레면에 고정되는 0링이나 어느 하나의 벽에 누름접촉하는 탄성변형다리부를 가지는 시일부재 등의 고리형상 탄성부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고리형상 탄성부재의 탄성변형력을 이용하여, 제 1 시일부(12)와 제 2 시일부(23)를 강고하고 안정한 기밀접촉상태로 한다.
베이스컵(20)의 통기구멍(25)에는, 제 2 역지밸브(27)가 부착되어 있다. 제 2 역지밸브(27)는, 도 2, 도 5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의 경우, 바닥판 (24)의 상면에, 통기구멍(25)을 둘러싸도록 밸브유지통(26)이 세워 형성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밸브편(28)으로 통기구멍(25)을 개폐하 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제 2 역지밸브(27)에 관한 구조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24)의 중앙에 천장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밸브유지통(26)을 세워 형성함과 동시에, 이 밸브유지통(26)의 주위에 통기구멍(25)을 형성하여, 이 통기구멍(25)을 개폐할 수 있는 원판형상의 밸브편(28)을 가지는 제 2 역지밸브(27)를, 밸브유지통(26)에 바깥에서 끼워서 고정한 구조이더라도 좋다. 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장을 가지는 통형상의 밸브유지통(26)의 정상벽에 통기구멍(25)을 형성하여, 이 통기구멍(25)을 개폐하는 밸브편(28)을 가지는 제 2 역지밸브(27)를, 밸브유지통(26)에 씌워 끼운 상태로 부착한 구조이더라도 좋다.
나아가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밸브유지통(26)을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한 구조라든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유지통(26)을 설치하지 않고, 통기구멍(25)의 개구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절개부분을 형성하여, 이 절개부분을 포함한 통기구멍(25)에 전체를 덮는 밸브편(28)을 가지는 제 2 역지밸브(27)를, 절개부분을 실질적인 통기구멍(25)으로서 작용시키기 위해, 이 절개부분을 막지 않는 구성으로, 통기구멍(25)에 걸어맞춤 부착시키는 구조이더라도 좋다.
빗(33)을 용기본체(1)에 설치하는 부착체(29)는, 입구통부(6)에 나사맞춤 외부장착하는 나사맞춤통(30)의 상단에, 안날밑형상의 어깨벽편(31)을 통해서, 입구통부(6)와 연이어 통하는 결합통편(32)을 세워 연이어 설치하여 구성되고, 입구통부(6)에 나사맞춤부착하는 것에 의해, 중간마개패킹(16)의 입구통부(6)에 대한 부착을 유지하는 동시에, 중간마개패킹(16)에 대한 제 1 역지밸브(18)의 부착을 확보한다.
빗(33)은, 용기본체(1)로부터 주출된 내용물이 지나는 통로(37)를 형성하는 자루부(35)와, 이 자루부(35)의 한쪽 측면에, 상하로 직렬 또한 등간격으로 세워 설치된 복수개의 빗살편(34)과, 자루부(35)의 하단에 수직형상으로 연이어 설치되고, 부착체(29)의 결합통편(32)에 기밀하게 끼워 넣어져 결합하는 부착통편(36)으로 구성되고, 상단과 하단을 제외한 각 빗살편(34)의 중앙부에는, 상하방향 즉 정렬방향으로 개구한 주출구멍(39)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주출구멍(39)은 빗살편 (34)내에 형성된 주출통로(38)에 의해, 통로(37)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또, 도시하는 실시예(도 1 참조)의 경우, 자루부(35)의 하단에는, 부착통편 (36)을 둘러싸는 형태이고, 아래쪽으로 지름이 확대된 스커트형상의 통편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 통편은, 그 하단부를 부착체(29)의 어깨벽편(31)에 바깥에서 끼우게 함으로써, 빗(33)의 부착체(29)에 대한 조립을 강고하고 안정한 것으로 한다.
또한, 부착체(29)를 설치하지 않고, 빗(33)을 직접 용기본체(1)에 조립하여도 좋지만, 그 경우에는 용기본체(1)에 대한 빗(33)의 조립에 의해서, 입구통부(6)에 대한 중간마개패킹(16)의 기밀한 조립, 및 중간마개패킹(16)에 대한 제 1 역지밸브(18)의 안정한 조립의 확보를 달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도 1 참조)의 경우, 복수개의 빗살편(34)은, 용기본체(1)로부터 주출된 내용물이 지나는 통로(37)를 형성하는 자루부(35)의 한쪽측면에, 상하로 직렬 또한 등간격으로 세워 형성된 가로빗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자루부(35)의 위쪽에 위치하여, 좌우로 넓어지는 세로빗 형상으로 등간격으로 세워 형성하는 것이라도 좋고, 혹은 해당 빗살편(34)을 복수열로 설치한 브러쉬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염모제 등의 내용물은, 용기본체(1)의 몸통부(4)의 누름에 의해서, 빗(33)이 어떠한 방향으로 되어 있어도, 내층(3)내부가 확실히 가압상태가 되고, 제 1 역지밸브(18)의 기능에 의해, 입구통부(6)가 개구되기 때문에, 통로(37) 및 주출통로 (38)를 통하여 주출구멍(39)에서 빗살편(34) 사이로 주출되어, 빗살편(34)에 의한 브러쉬에 의해 두발에 도포된다.
몸통부(4)의 누름을 해제하면, 가압상태이었던 내층(3) 내부가 감압상태가 되고, 제 1 역지밸브(18)가 닫힘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부공기 및 주출 내용물이 내층(3)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몸통부(4)의 누름을 해제하면, 외층(2)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을 시작하지만, 외층(2)으로부터 박리된 내층(3)은, 제 1 역지밸브 (18)에 의해 외부공기가 침입하지 않기 때문에, 오므라짐형상으로 부피축소변형한 상태가 되어, 외층(2)과 내층(3)과의 사이는 부압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제 2 역지밸브(27)가 열린 상태가 되어, 베이스컵(20)의 통기구멍(25)으로부터 용기본체(1)의 개구부(15)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외층(2)과 내층 (3)과의 사이로 침입하여, 외층(2)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다.
다시, 용기본체(1)의 몸통부(4)를 누르면, 제 2 역지밸브(27)가 닫힌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층(2)과 내층(3)과의 사이에 침입한 외부공기는, 그대로 가둬진 상태가 되므로, 내층(3)은 가압상태가 되어, 내용물의 주출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본체와 베이스컵과의 조립을, 나사맞춤결합에 의해 달성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본체의 스퀴즈성이 증대하여도, 용기본체와 베이스컵과의 조립강도가 거의 저하하지 않고, 이에 따라 자원절약화를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스퀴즈성을 안전하게 높여, 용기 사용의 용이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컵의 제 2 시일부와 기밀하게 접촉하여, 용기본체에 형성되는 제 1 시일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용기본체의 바닥부와 베이스컵과의 기밀한 조립을,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본체에 형성되는 제 1 시일부를, 보강부로서 기능하는 단부에 근접하여 설치하였기 때문에, 용기본체의 스퀴즈성을 높였다고 하여도, 제 1 시일부의 형상유지력을 충분히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용기본체의 바닥부와 베이스컵과의 기밀한 조립을 확실하고 강력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파팅라인을 따라 외층에 형성된 절단부를 개구한 것을 개구부로서 사용하였기 때문에, 상용성이 거의 없는 외층부분과 내층부분과의 적층구조에 의해서 용이하게 발생하는 바닥갈라짐을 그 대로 개구부로서 사용할 수 있고,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번거로운 성형조작, 및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시일부를 둘레돌출조구조와 평활둘레면구조의 조합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단하고, 블로우성형이더라도, 적당히 성형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시일부와 제 2 시일부와의 기밀한 접촉상태를, 고리형상 탄성부재를 통해서 접촉상태로 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해당 부재의 탄성변형력을 이용하여, 강고하고 안정한 기밀접촉상태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본체에 수용한 내용물을, 직선형상으로 정렬배치한 복수개의 빗살편 사이로 주출 가능하게 빗을 조립하였기 때문에, 누름조작에 의해 주출한 내용물을 직접 각 빗살편 사이로 주출하여, 그 대로 이 빗으로 내용물을 두발에 도포할 수가 있고, 또한 이 도포조작을 연속하여 행할 수도 있기 때문에, 내용물을 두발에 도포하는 것을 양호하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6)

  1. 외층(2)의 안쪽에 내층(3)을 박리 가능하게 적층하여, 상부에 내용물의 주출구를 형성하는 입구통부(6)를 설치하고,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의 바닥부(8)의 바닥벽(13)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외층(2)의 일부에, 이 외층(2)과 내층(3)과의 사이에 외부공기를 도입하는 개구부(15)를 형성한 스퀴즈변형 가능한 용기본체(1)와, 이 용기본체(1)내부로의 내용물의 역류 및 외부공기의 유입을 저지하고, 상기 입구통부(6)를 개폐하는 제 1 역지밸브(18)와, 상기 바닥부(8)에 나사맞춤 외부장착하는 통벽(21)을 가지며, 바닥판(24)에 통기구멍(25)을 형성한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의 베이스컵(20)과, 상기 통기구멍(25)에 부착되어, 외부공기의 도입을 허용하는 제 2 역지밸브(27)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부(8)의 바닥둘레벽(9)에 설치한 제 1 시일부 (12)와, 상기 통벽(21)의 안둘레면에 설치한 제 2 시일부(23)의 기밀접촉에 의해, 상기 바닥둘레벽(9)과 통벽(21)과의 조립을 기밀하게 한 주출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용기본체(1)의 바닥부(8)의 바닥둘레벽(9)에, 단부(11)를 둘레에 형성하고, 해당 단부(11)에 근접하여 제 1 시일부(12)를 설치한 주출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용기본체(1)의 바닥부(8)의 바닥벽(13)에, 이 바닥벽(13)의 외층(2)에 형성된 절단부(14)를 개구시켜, 개구부(15)를 형성한 주출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시일부(12)와 제 2 시일부(23)의 한쪽을 둘레돌출조구조로 하고, 다른쪽을 평활한 둘레면구조로 한 주출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시일부(12)와 제 2 시일부(23)의 어느 한쪽을 바닥부(8)의 바닥둘레벽(9) 또는 통벽(21)의 안둘레면에 고정되는 고리형상 탄성부재로 구성한 주출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본체(1)의 입구통부(6)에 연이어 통하는 통로(37)를 내부에 형성한 자루부(35)에, 복수개의 빗살편(34)을 정렬형성하고, 이 각 빗살편(34)에, 해당 빗살편(34)의 중간높이 위치에 정렬방향으로 개구한 주출구멍(39)과, 해당 주출구멍(39)과 통로(37)를 연이어 통하는 주출통로(38)를 형성한 빗(33)을, 상기 입구통부(6)에 부착한 주출용기.
KR1020047009749A 2002-09-30 2003-09-30 주출용기 KR100992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87155A JP3994142B2 (ja) 2002-09-30 2002-09-30 注出容器
JPJP-P-2002-00287155 2002-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413A true KR20050052413A (ko) 2005-06-02
KR100992310B1 KR100992310B1 (ko) 2010-11-05

Family

ID=3204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749A KR100992310B1 (ko) 2002-09-30 2003-09-30 주출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99945B2 (ko)
EP (1) EP1547939B1 (ko)
JP (1) JP3994142B2 (ko)
KR (1) KR100992310B1 (ko)
CN (1) CN100460290C (ko)
AU (1) AU2003266688A1 (ko)
DE (1) DE60317224T2 (ko)
WO (1) WO20040289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090A (ko) * 2014-11-18 2017-07-19 가부시끼가이샤 헤이와 가가꾸 고교쇼 고점성 액체용 이중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1795B2 (en) 2007-08-20 2015-06-23 Procter & Gamble Supportable pressurizable container and base cup therefor with alignment tabs
US8439223B2 (en) * 2007-08-20 2013-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ase cup for a supportable pressurizable container
JP5077553B2 (ja) * 2007-12-19 2012-11-21 花王株式会社 スクイズ容器
US20110155771A1 (en) * 2009-08-10 2011-06-30 Brooks Dennis L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smoother, faster discharge of fluid from containers
JP5652766B2 (ja) * 2011-03-29 2015-01-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
US9420877B2 (en) 2011-11-22 2016-08-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9510669B2 (en) 2011-11-22 2016-1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ndle having an inner cavity
US9510664B2 (en) 2011-11-22 2016-12-06 The Procter & Gamble Co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9463593B2 (en) 2011-11-22 2016-10-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9756931B2 (en) 2011-11-22 2017-09-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JP6004646B2 (ja) * 2011-12-26 2016-10-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プレーノズル付き容器
EP2840929A1 (en) * 2012-04-27 2015-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licator assembly for applying a composition
CN105188850A (zh) 2013-05-16 2015-12-23 宝洁公司 毛发增稠组合物及使用方法
CN104839983A (zh) * 2014-02-15 2015-08-19 陈晓容 一种头皮给药梳
CN104397969A (zh) * 2014-12-21 2015-03-11 王志成 一种带孔齿梳子
KR200482051Y1 (ko) * 2015-05-22 2016-12-08 마루니 코리아 주식회사 플라스틱 이중 용기
JP6794163B2 (ja) * 2016-07-29 2020-12-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124522Y1 (ko) * 1966-08-09 1966-12-14
US4209027A (en) * 1974-06-21 1980-06-24 Shila Morganroth Hair treatment devices and packaging therefor
US3995772A (en) * 1975-07-07 1976-12-07 Liautaud James P Non-pressurized fluid product dispenser
US4842165A (en) 1987-08-28 1989-06-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silient squeeze bottle package for dispensing viscous products without belching
US5301838A (en) * 1991-01-23 1994-04-12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Multilayer bottle with separable inner laye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JP2579322Y2 (ja) * 1992-09-04 1998-08-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
JPH0627523A (ja) 1992-07-13 1994-02-04 Olympus Optical Co Ltd データ写し込み装置
JP2609416B2 (ja) 1993-07-15 1997-05-1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アブレイシブウォータージェットノズル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595396Y2 (ja) * 1993-10-14 1999-05-31 武内プレス工業株式会社 多層押圧式容器
JP3579844B2 (ja) * 1994-11-10 2004-10-20 花王株式会社 髪用泡状塗剤塗布用具
FR2753437B1 (fr) * 1996-09-16 1998-10-30 Oreal Conditionnement pour produit de consistance liquide a pateuse
JP3616218B2 (ja) * 1996-10-03 2005-02-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US6332726B2 (en) * 1998-06-30 2001-12-25 Kao Corporation Container provided applicator
JP2000062861A (ja) * 1998-08-17 2000-02-29 Kao Corp 塗布具
JP4586223B2 (ja) 1999-11-19 2010-11-24 大成化工株式会社 吐出容器
JP4443013B2 (ja) * 2000-08-01 2010-03-31 花王株式会社 二重容器用キャップ
JP2002129195A (ja) 2000-10-30 2002-05-09 Lion Corp 粒状洗剤組成物
US6675812B1 (en) * 2002-05-07 2004-01-13 Lien L. Wiley Dispenser with comb or brush with optional sponge for cream, lotion, gel or liqu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090A (ko) * 2014-11-18 2017-07-19 가부시끼가이샤 헤이와 가가꾸 고교쇼 고점성 액체용 이중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94142B2 (ja) 2007-10-17
US20060151539A1 (en) 2006-07-13
US7299945B2 (en) 2007-11-27
EP1547939B1 (en) 2007-10-31
CN1596216A (zh) 2005-03-16
WO2004028925A1 (ja) 2004-04-08
EP1547939A4 (en) 2006-09-06
AU2003266688A1 (en) 2004-04-19
EP1547939A1 (en) 2005-06-29
JP2004123130A (ja) 2004-04-22
CN100460290C (zh) 2009-02-11
KR100992310B1 (ko) 2010-11-05
DE60317224D1 (de) 2007-12-13
DE60317224T2 (de) 200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310B1 (ko) 주출용기
US7104426B2 (en) Dispensing container
JP5538057B2 (ja) 吐出容器
JP6437369B2 (ja) 二重容器
BR112012020834B1 (pt) embalagem
JP2004231280A (ja) 合成樹脂製容器
JP2017178434A (ja) 積層剥離容器及びプリフォーム
KR20190127682A (ko) 적층박리용기
JPH1045180A (ja) 液体注出容器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CN114007949B (zh) 双层容器用注出盖以及双层容器
JP4039507B2 (ja) チューブ容器
WO2003093132A1 (fr) Recipient verseur
JP2019081591A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JP4003937B2 (ja) 注出容器
JP3994147B2 (ja) 櫛歯容器
JP4043682B2 (ja) チューブ容器
JP6839988B2 (ja) 二重容器
JP2003321074A (ja) 注出容器
JP5762923B2 (ja) 吐出容器
JP6896342B2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JP4432073B2 (ja) 注出キャップ
JP7218062B2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CN112770978B (zh) 带盖容器
JP6942008B2 (ja) 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