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5835A - 모터 및 내부공간을 구비한 차량용 와이퍼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및 내부공간을 구비한 차량용 와이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5835A
KR20050045835A KR1020040089974A KR20040089974A KR20050045835A KR 20050045835 A KR20050045835 A KR 20050045835A KR 1020040089974 A KR1020040089974 A KR 1020040089974A KR 20040089974 A KR20040089974 A KR 20040089974A KR 20050045835 A KR20050045835 A KR 20050045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motor bracket
shaft
wip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3081B1 (ko
Inventor
이와타겐고
Original Assignee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5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 B60S1/24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by rotary cranks
    • B60S1/245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by rotary cranks with particular rod arrangements between the motor driven axle and the wiper arm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88Wiper arrangement for crash protection or impact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13Modular wiper assembly
    • B60S1/0422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 B60S1/0425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wiper shaft holders to the transver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13Modular wiper assembly
    • B60S1/0422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 B60S1/0427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wiper motor holder to the transver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41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 B60S1/0444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comprising vibration or noise absorb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Y10T74/18184Crank, pitman, and leve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장치(10)는 크랭크 암(76)에 고정된 와이퍼 모터(72), 와이퍼 암과 제1피봇레버(2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피봇홀더(12), 와이퍼 암과 제2피봇레버(5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피봇홀더, 및 상기 크랭크 암(76)에 연결된 링크기구(78, 84)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모터(72)는 모터 브라켓부(32)에 대하여 상기 와이퍼 암의 대향측의 상기 제1피봇홀더의 모터 브라켓부의 후면에 고정된다. 상기 크랭크 암(76)은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에 대하여 와이퍼 모터(72)의 대향측에 배치된다.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후면과 제1피봇레버(24) 사이의 간격은 모터 브라켓부(32)의 후면과 크랭크 암(76)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된다.

Description

모터 및 내부공간을 구비한 차량용 와이퍼장치{VEHICULAR WIPER DEVICE HAVING MOTOR AND INTERNAL SPACE}
본 발명은 차량의 창유리를 와이핑(wiping)하는 차량용 와이퍼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200969호에 따르면,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장치에는 충격흡수기구가 구비된다. 와이퍼장치는 와이퍼 암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취약부(fragile part)를 포함한다. 차량의 외측에서 와이퍼 모터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취약부는 파손되고, 와이퍼 모터는 상기 취약부에서 와이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런 경우, 상기 와이퍼 모터는 차량의 내측으로 이동되고, 와이퍼 모터에 가해진 충격은 와이퍼장치에 의해 흡수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구에서 상기 고정부는 취약부로 인해 강도가 약해질 수 있고, 와이퍼장치가 쌓인 눈을 와이핑하는 동안 상기 취약부에 고하중이 가해질 경우 취약부는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취약부의 강도가 과도하게 강할 경우, 충격흡수기구가 적절하게 구비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와이퍼 모터에 충돌물(colliding object)(보호대상물(object to be protected))이 충돌해서 외측으로부터 와이퍼 모터에 충격력이 가해진 경우, 충격력은 차량(피충돌물(collided object))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그러나, 충돌물(보호대상물)이 와이퍼 모터와 같이 딱딱하고 큰 물체에 대하여 충돌할 경우, 충돌물에 큰 충격이 가해진다. 이런 경우, 충돌물(보호대상물)에 가해진 충격은 충분히 흡수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200969호에 따른 종래의 와이퍼장치에서, 와이퍼 모터는 모터 브라켓부의 상측에 위치되고, 출력샤프트는 모터 브라켓부를 관통한다. 크랭크 암은 와이퍼의 링크 기구를 이동하기 위해 와이퍼 모터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런 기구에서, 상기 와이퍼 모터는 높이(직교)방향으로 와이퍼 모터가 차체에 고정되도록 고정부에 근접된다. 상기 고정부는 와이퍼의 회전축을 갖는 피봇홀더(pivot holder)의 일부이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 모터와 차체 사이의 간격은 작게 된다. 충돌물(보호대상물)이 엔진후드에 대하여 충돌할 경우, 엔진후드는 변형된다. 이런 기구에서, 상기 엔진후드의 변형된 부분은 그 변형이 시작된 직후 와이퍼 모터에 이르게 되고, 차체의 변형에 의해 충격흡수효과는 충분히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에 충돌이 발생되었을 경우, 와이퍼 모터에 가해지는 충격 및 충돌물(보호대상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며, 피충돌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기구를 가진 차량용 와이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장치는 와이퍼 모터, 크랭크 암, 제1피봇홀더(first pivot holder), 제1피봇레버(first pivot lever), 제2피봇홀더, 제2피봇레버 및 링크기구(link structure)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모터는 출력샤프트(output shaft)를 구비한다. 상기 제1피봇홀더는 차체에 고정되고, 그 일측 축단부가 와이퍼 암에 고정되는 제1피봇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1피봇레버는 상기 제1피봇샤프트의 타측 축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1피봇홀더는 차체에 고정되고, 그 일단이 와이퍼 암에 고정되는 제2피봇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2피봇레버는 상기 제2피봇샤프트의 일측 축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크랭크 암 사이에서, 전후동작됨에 따라 제1피봇샤프트와 제2피봇샤프트에 와이퍼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각각 상기 제1피봇레버와 제2피봇레버를 연결한다.
상기 제1피봇홀더는 와이퍼 모터를 고정하는 모터 브라켓부를 구비한다. 상기 와이퍼 모터는 상기 모터 브라켓부에 대하여 대략 와이퍼 암의 대향측의 모터 브라켓부의 후면측에 배치된다. 상기 크랭크 암은 상기 모터 브라켓부에 대하여 대략 와이퍼 암의 대향측의 모터 브라켓부의 전면측에 배치된다. 상기 모터 브라켓부의 후면과 제1피봇샤프트의 제1피봇레버는 상기 제1피봇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모터 브라켓부와 크랭크 암 사이의 간격보다 큰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다.
또한, 상기 제1피봇홀더는 제1베어링부 및 타워부(tower portion)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베어링부는 상기 제1피봇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타워부는 상기 제1베어링부에 대하여 상기 제1베어링부의 제1피봇레버에서 제1피봇레버의 일측까지 연장된다. 상기 모터 브라켓부는 상기 와이퍼 모터가 고정되도록 상기 타워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상기 와이퍼 모터는 상기 모터 브라켓부에 대하여 제1베어링부의 대향측의 모터 브라켓부의 후면측에 배치된다. 상기 출력샤프트는 모터 브라켓부를 관통하여, 출력샤프트에 고정된 크랭크 암은 상기 제1베어링부 측상의 모터 브라켓부의 전면측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장치는 상기 제1피봇홀더와 제2피봇홀더를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터 브라켓부는 프레임부재를 통해 제2피봇홀더와 연결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퍼장치(10)는 제1피봇홀더(12) 및 제2피봇홀더(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피봇홀더(12) 및 제2피봇홀더(14)는 실질적으로 와이퍼장치(10)의 대칭적인 구조를 이루고, 같은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1피봇홀더(12) 및 제2피봇홀더(14)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소재로 다이캐스트(die-cast)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피봇홀더(12)에는 제1베어링부(16) 및 플랜지(18)(도1)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1베어링부(16)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피봇샤프트(20)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1베어링부(16)는 상기 제1피봇샤프트(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1피봇샤프트(20)의 저단부에는 제1피봇레버(24)가 고정되어 상기 제1피봇샤프트(20)가 제1피봇레버(24)의 전후동작(왕복동작)에 대응하여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피봇홀더(12)는 제1피봇레버(24)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플랜지(18)의 모서리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베어링부(16)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고정부(26)를 구비한다. 상기 제1고정부(26)는 고무 그로밋(rubber grommet)(35)이 구비되는 장착공(mounting hole)(28)을 구비한다. 상기 고무 그로밋(35) 내로 장착볼트(미도시)가 삽입되어 상기 와이퍼장치(10)의 제1피봇홀더(12)는 차체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제1피봇홀더(12)는 상기 제1베어링부(16)에 대하여 상기 제1피봇레버(24)의 일측까지 연장되는 타워부(tower portion)(30)를 구비한다. 즉,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타워부(30)는 상기 제1피봇샤프트(20)의 축방향을 따라 차체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된다.
특히, 상기 타워부(30)는 직교방향으로 도1의 상측에서 하측까지 차체 내로 상기 제1피봇샤프트(2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피봇홀더(12)의 플랜지(18)를 통해 상기 제1피봇홀더(12)의 제1베어링부(16)로부터 연속적으로, 예를 들면 일체로 연장된다. 즉, 상기 타워부(30)는 대략 제1피봇샤프트(20)의 축방향을 따라 직교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와이퍼 모터(72)가 타워부(30)를 통해 차체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특히, 와이퍼 모터(72)가 장착되는 베이스로 제공되는 모터 브라켓부(32)는 타워부(30)를 통해 차체의 엔진리드(rid)(엔진후드)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모터 브라켓부(32)는 상기 타워부(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피봇홀더(12)의 대향측에서 상기 타워부(3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모터 브라켓부(32)는 편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평면은 와이퍼 모터(72)의 크랭크 암(76)이 전후동작을 실행하는 가상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편평면을 포함하는 면과 제1피봇샤프트(20)의 축은 서로 교차한다. 특히,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편평면을 포함하는 면은 상기 제1피봇샤프트(20)의 축과 대략 평행하다.
즉,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평면은 제1링크로드(78)와 제2링크로드(84)가 이동되는 가상 평면과 대략 평행하도록 이루어져, 제1링크로드(78) 및 제2링크로드(84)는 전후동작(왕복동작)을 실행한다.
상기 와이퍼 모터(72)는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후면(32A), 예를 들면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에 대하여 상기 제1베어링부(16)의 대향측에 고정된다. 즉, 상기 와이퍼 모터(32)는 도1의 하측, 예를 들면 도2의 후측 상에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에 고정된다. 상기 모터 브라켓부(32)는 모터 브라켓부(32)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결부(34)를 구비한다. 상기 제1연결부(34)는 상기 와이퍼 모터(72)가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전면측에 장착되는 장착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θ)(도1)만큼 경사진다. 즉, 상기 제1연결부(34)는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후면측에서 전면측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1연결부(34)는 대략 원형단면을 가지며, 원형 샤프트 같은 속이 꽉 찬(solid) 부재이다. 상기 제1연결부(34)는 요홈(recession)(40)을 형성한다. 상기 제1연결부(34)는 프레임부재(42)의 일축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34)는 환상(annular)단면을 갖는 중공(hollow) 샤프트일 수도 있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피봇홀더(12)는 상기 제1베어링부(16)를 소정의 주변공간으로 둘러싸는 주연벽(36)을 구비한다. 상기 주연벽(36)은 상기 제1고정부(26)의 일측, 예를 들면 상기 제1피봇레버(24)가 연장되는 방향의 대향측에 주연벽(36)을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노치(개구부)(38)를 구비한다. 상기 주연벽(36)은 상기 타워부(30)의 측부에서 주연벽(36)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직벽(vertical wall)(44)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수직벽(44)은 직교방향, 예를 들면 대략 수직선(plumb line)을 따라 상기 주연벽(36)의 노치(38)로부터 일체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벽(44)은 주연벽(36)과 타워부(30)의 측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 사이를 수평으로 분리한다.
상기 제2피봇홀더(14)에는 제2베어링부(46) 및 플랜지(48)을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2베어링부(46)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제2피봇샤프트(50)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제2피봇샤프트(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2피봇샤프트(50)의 하단부에는 제2피봇레버(52)가 고정되어서, 상기 제2피봇샤프트(50)는 제2피봇레버(52)의 전후동작(왕복동작)에 대응하여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피봇홀더(14)는 제2피봇레버(52)가 연장되는 방향의 대향측에서 상기 플랜지(48)의 모서리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베어링부(46)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고정부(54)를 구비한다. 상기 제2고정부(54)는 고무 그로밋(35)이 구비되는 장착공(56)을 구비한다. 상기 고무 그로밋(35)에 장착볼트(미도시)가 삽입되어, 상기 와이퍼장치(10)의 제2피봇홀더(14)가 차체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제2피봇홀더(14)는 주연벽(58) 및 제1피봇홀더(12)를 구비한다. 상기 주연벽(58)은 제2베어링부(46)를 소정의 주변공간으로 둘러싼다. 상기 주연벽(58)은 제2고정부(54) 측, 예를 들면 상기 제2피봇레버(52)가 연장되는 방향의 대향측에서 주연벽(58)을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노치(60)를 구비한다.
상기 제2피봇홀더(14)는 상기 제1피봇홀더(12)까지 연장되는 제2연결부(62)를 구비한다. 상기 제2연결부(62)는 실질적으로 원형단면을 갖는 원형 축같은 솔리드 부재이다. 상기 제2연결부(62)는 제1연결부(34)의 축상 대향측에서 상기 프레임부재(42)의 타축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부(62)는 환형 단면을 갖는 중공의 축이다.
상기 프레임부재(42)는 바형상의 변형 가능한(소성변형 가능한) 금속으로 이루어져서, 크림핑(crimping)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42)는 성형공정, 예를 들면 프레임부재(42)가 곧은(straight) 부재로 되는 공정에서 벤딩되지 않는다. 상기 프레임부재(42)의 길이방향 일단은 제1피봇홀더(12)의 제1연결부(34)와 연결되는 제1피연결부(first connected portion)(64)이다. 상기 프레임부재(42)의 길이방향 타단은 제2피봇홀더(14)의 제2연결부(62)와 연결되는 제2피연결부(66)이다. 상기 프레임부재(42)의 제1 및 제2피연결부(64, 66)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피연결부(64)는 제1연결부(34)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피연결부(66)는 제2연결부(62)에 끼움 결합된다. 이런 경우, 상기 제1 및 제2피연결부(64, 66)는 요홈(40)에 크림핑되어, 상기 제1피연결부(64)는 제1연결부(34)에 고정되고, 상기 제2피연결부(66)는 제2연결부(62)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34, 62)는 프레임부재(42)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피봇홀더(12, 14)는 일체형 부재(integrated member), 예를 들면 일체형 모듈로 된 프레임부재(42)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피봇홀더(12)의 모터 브라켓부(32) 후측에는 모터 브라켓부(32)의 후측, 예를 들면 도1의 후측 또는 도2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위치결정핀(positioning pin)(68)이 구비된다. 상기 위치결정핀(68)을 지지하기 위하여 위치결정핀(68) 주위에 탄성 그로밋(70)이 제공된다. 위치결정공(positioning hole)(미도시)은 차체에 형성된다. 상기 위치결정핀(68)을 수용하는 그로밋(70)은 차체의 위치결정공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와이퍼장치(10)가 차체에 대하여 위치가 결정되고, 차체에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즉, 차체의 위치결정공은 상기 와이퍼장치(10)가 일체형 지지핀(supporting pin)을 갖는 와이퍼 모터(72)와 같은 방식으로 차체에 의해 용이하게 위치되고 지지되도록 차체측의 표준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위치결정핀(68) 및 그로밋(70)이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에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이런 구조에서, 상기 와이퍼장치(10)의 위치 및 지지는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에 대하여 와이퍼 모터(72)의 장착 위치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전력원으로 제공되는 와이퍼 모터(72)는 상기 프레임부재(42)에 연결된 제2피봇홀더(12)의 모터 브라켓부(32)에 장착된다. 상기 와이퍼 모터(72)는 모터부(72A) 및 기어부(7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퍼 모터(72)는 제1베어링부(16)의 대향측의 모터 브라켓부(32)의 후면(후측)(32A)에 제공된다. 즉, 상기 와이퍼 모터(72)는 모터 브라켓부(32)에 대하여 차체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와이퍼 모터(72)는 모터 브라켓부(32)에 형성된 관통공(33)(도2)을 관통하고, 상기 제1베어링부(16) 측, 예를 들면 도의 상측 또는 도2의 전면측에서 모터 브라켓부(32)의 전면측으로 돌출되는 출력샤프트(74)를 구비한다. 상기 크랭크 암(76)은 상기 출력샤프트(74)의 축단에 고정된다. 상기 크랭크 암(76)의 일단은 볼조인트(80)를 통해 링크기구를 이루는 제1링크로드(78)의 일단과 연결된다.
상기 링크로드(78)의 타단은 볼조인트(82)(도1)를 통해 제1피봇샤프트(50)의 제2피봇레버(52)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피봇샤프트(50)의 제2피봇레버(52)는 제2피봇홀더(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2피봇레버(52)는 볼조인트(86)를 통해 제2링크로드(84)의 일단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링크로드(84)는 링크기구를 이룬다. 상기 링크로드(84)의 타단은 제2피봇홀더(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피봇샤프트(20)의 제1피봇레버(24)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퍼 모터(72)는 구동전력이 상기 제1링크로드(78) 및 제2피봇레버(52)를 통해 전달되도록 크랭크 암(76)을 회전시켜, 상기 제2피봇샤프트(50)가 회전된다. 또한, 구동전력은 제2피봇레버(52), 제2링크로드(84) 및 제1피봇레버(24)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제1피봇샤프트(20)를 회전시킨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수 B는 상기 제1피봇홀더(12)의 모터 브라켓부(32) 후면(32A), 예를 들면 와이퍼 모터(72)의 장착면과 제2피봇샤프트(50)의 제2피봇레버(52) 사이의 간격이다. 치수 C는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후면(32A)과 크랭크 암(76) 사이의 간격이다. 여기서, 치수 B는 치수 C보다 크게 설정된다. 치수 A는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후면(32A)과 제1피봇샤프트(20)의 제1피봇레버(24) 사이의 간격이다. 특히, 치수 A는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후면(32A)과 제1피봇레버(24)가 제2링크로드(84)와 연결되는 연결부 사이의 간격이다. 치수 A는 치수 B보다 크게 설정된다. 즉,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후면(32A)과 제1피봇레버(24)는 상기 타워부(30)를 통해 치수 A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 모터(72)와 모터 브라켓부(32)는 모두 상기 타워부(30)를 통해 차체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타워부(30)의 높이는 차체의 변형에 의해 얻어진 충격흡수효과를 얻기 위해상기 와이퍼 모터(72)와 차체, 즉 엔진후드 사이의 간격이 10cm보다 크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퍼 암과 와이퍼 날개(blade)(200, 201)는 각각 상기 제1피봇샤프트(20)와 제2피봇샤프트(50)의 축단에 고정된다. 상기 제1피봇샤프트(20)와 제2피봇샤프트(50)는 상기 와이퍼 암과 와이퍼 날개(200, 201)가 제한된 동작범위 내에서 전후동작(왕복동작)을 각각 실행하도록 각각 회전된다.
다음에, 상기 와이퍼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제1 및 제2피봇샤프트(20, 50)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및 제2피봇홀더(12, 14)는, 상기 와이퍼장치(10)의 프레임부재(42)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와이퍼 모터(72)는 조립구조, 예를 들면 조립모듈을 이루도록 상기 피봇홀더(12)의 모터 브라켓부(32)에 직접 고정된다.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에 제공된 위치결정핀(68)과 그로밋(70)은 상기 모터 브라켓부(32)가 차체에 대하여 위치되도록 차체측의 표준위치에 형성된 위치결정공 내로 삽입된다. 상기 장착볼트는 상기 제1 및 제2피봇홀더(12, 14)의 장착공(28, 56)에 각각 구비된 고무 그로밋(35) 내로 삽입되어, 상기 와이퍼장치(10)의 제1 및 제2피봇홀더(12, 14)는 고무 그로밋(35)을 통해 차체에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피봇홀더(12, 14)는 와이퍼장치(10)가 차체, 특히 엔진후드로부터 이격되는 플로팅(floating) 구조를 이루기 위해 차체에 장착되도록 차체의 전면유리에 대하여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 와이퍼 모터(72)는 상기 와이퍼 암과 와이퍼 날개(200, 201)가 각각 전면유리에 붙은 빗방울을 닦기 위해 제한된 동작범위에서 전후동작을 실행하도록 제1 및 제2피봇샤프트(20, 50)를 회전시킨다.
상기 와이퍼 모터(72)는 상기 모터 브라켓(32)의 후면(32A), 예를 들면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에 대하여 제1베어링부(16)와 와이퍼 암의 직교방향 대향측에 배치된다. 상기 와이퍼 모터(72)의 출력샤프트(74)는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에 형성된 관통공(33)을 관통하고, 상기 크랭크 암(76)은 전면측, 예를 들면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전면측, 예를 들면 제1베어링부(16) 및 와이퍼장치(10)의 와이퍼 암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후면(32A)과 제1피봇샤프트(20)의 제1피봇레버(24) 사이의 치수 A는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후면(32A)과 크랭크 암(76) 사이의 치수 C보다 크게 설정된다.
즉, 상기 모터 브라켓부(32)는 제1베어링부(16)에 대하여 제1피봇샤프트(24) 측까지 연장되는 타워부(30)에 연결된다. 상기 모터 브라켓부(32)는 제1베어링부(16)에 대하여 차체의 내측, 예를 들면 도1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퍼 모터(72)와 차체부, 예를 들면 상기 와이퍼 모터의 상측에 위치된 엔진후드 사이의 간격은 보장된다.
또한, 상기 와이퍼 모터(72)는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후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차체와 와이퍼 모터(72) 사이의 간격은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와이퍼 암이 고정된 제1피봇샤프트(20)의 단부는 상기 와이퍼 모터(72)의 직교방향 대향측에 차체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차량이 충돌할 경우, 충돌물(보호대상물)이 상기 와이퍼 모터(72)에 이르는 간격은 충분히 보장된다. 따라서, 차체의 변형에 의해 얻어진 충격흡수효과는 충분히 얻어질 수 있어서, 상기 와이퍼 모터(72) 및 그 외주부에 가해진 충격하중은 충분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충돌물(보호대상물)에 가해진 충격도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후면(32A)과 제1피봇샤프트(20)의 제1피봇레버(24) 사이의 치수 A는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후면(32A)과 크랭크 암(76) 사이의 치수 C보다 크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장치(10)의 구성요소들은 상기 제1피봇샤프트(20)의 축방향, 예를 들면 직교방향으로 분리되게 배치될 수 있어서, 와이퍼 모터(72)가 작동될 경우, 구성요소들 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피봇샤프트(20)의 제1피봇레버(24)와 크랭크 암(76) 간의 간섭은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 암(76)에 연결된 제1링크로드(78)와 제1피봇레버(24)에 연결된 제2링크로드(84) 같은 링크기구들 간의 간섭도 피할 수 있다.
상기 와이퍼장치(10)의 구성요소들은 링크기구 같은 구성요소들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제1피봇샤프트(20)의 축방향에 직교된 수평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반대로 통상적인 구조에서, 큰 모터 브라켓부는 상기 링크로드와 피봇레버가 상기 크랭크 암(76)의 이동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되지 않도록 상기 와이퍼 모터(72)의 장착 부위와 와이퍼장치(10)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큰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와이퍼장치(10)의 모터 브라켓부(32)는 통상적인 구조의 모터 브라켓부와 비교하여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장치(10)에서,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후면(32A)에서 크랭크 암(76)까지의 높이,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후면(32A)에서 제2피봇샤프트(50)의 제2피봇레버(52)까지의 높이 및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후면(32A)에서 제1피봇샤프트(20)의 제1피봇레버(24)까지의 높이는 서로 각각 다르다. 즉, 상기 제1링크로드(78)의 이동 가능한 영역과 상기 제2링크로드(84)의 이동 가능한 영역은 상기 제1피봇샤프트(20)의 축방향(높이방향)으로 서로 직교되게 분리되어, 상기 제1링크로드(78)와 제2링크로드(84) 사이의 간섭은 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퍼장치(10)가 차지한 영역은 그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1피봇샤프트(20)의 축방향에 직교된 방향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링크로드(78, 84)는 제조고정에서 벤딩되지 않으므로, 제1 및 제2링크로드(78, 84)가 연장된 부재일지라도 상기 제1 및 제2링크로드(78, 84)의 좌굴강도(buckling strength)는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34)는 제1연결부(34)가 상기 와이퍼장치(10)에서 와이퍼 모터(72)의 장착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θ)만큼 경사지도록 상기 제1피봇홀더(12)의 모터 브라켓부(32)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제2연결부(62)는 덮개 형상을 가진 프레임부재(42)를 통해 제1연결부(34)와 연결된 제2피봇홀더(14)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 일체형 구조를 갖는 와이퍼 모듈을 이룬다.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제1연결부(34)는 전면측, 예를 들면 상기 와이퍼 모터(72)의 장착면에 대하여 도1에서 상기 모터 브라켓부(32)의 상측에 소정 각도(θ)만큼 경사진다. 따라서, 상기 모터 브라켓부(32)는 모터 브라켓부(32)가 차체의 내부 깊은 부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상기 제1피봇샤프트(20)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피봇샤프트(20, 5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34)와 제2연결부(62)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부재(42)는 제조공정에서 벤딩될 필요가 없는 단순한 바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재(42)의 좌굴강도는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피봇샤프트(20, 50)의 축단부에 고정된 와이퍼 암 및 와이퍼 날개(200, 201)는 상기 와이퍼장치(10)의 전면유리 같은 창유리의 표면을 와이핑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피봇샤프트(20, 50)의 축단부는 차체로부터 외측까지 돌출될 필요가 있다. 상기 제1 및 제2피봇홀더(12, 14)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베어링부(16, 46)로부터 상기 와이퍼장치(10)의 베어링부(16, 46)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고정부(26, 54)를 통해 차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피봇샤프트(20, 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베어링부(16, 46)는 차체에 근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퍼장치(10)는 상기 제1베어링부(16)에 근접된 제1고정부(26) 및 상기 제2베어링부(46)에 근접된 제2베어링부(46)를 통해 차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 브라켓부(32)는 상기 베어링(16, 46)에 대하여 차체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타워부(30)에 의해 차체의 외측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체와 와이퍼 모터(72) 간의 간격은 충분히 확보되는 반면, 상기 제1 및 제2피봇샤프트(20, 50)는 차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와이퍼장치(10)는 상기 와이퍼 암의 회전축으로 제공되는 와이퍼장치(10)의 제1 및 제2피봇샤프트(20, 50)의 장착부위가 정확하게 안정화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26, 54)를 통해 차체에 고정된다.
또한, 빗방울 및 차체의 세척수 같은 물은 상기 제1피봇샤프트(20)가 관통하는 피봇공(pivot hole)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봇공은 차체의 엔진후드에 형성될 수 있다. 차체 내로 물이 들어오는 경우, 상기 제1피봇레버(24)와 링크기구, 예를 들면 제2링크로드(84)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부 내로 흐를 수 있고, 상기 링크기구에 포함된 윤활유(lubricant grease)가 링크기구 밖으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링크기구 내에 마모가 야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퍼장치(10)에서, 빗방울 같은 물은 상기 제1베어링부(16)를 둘러싸는 주연벽(36)에 의해 차단(catch)될 수 있고, 상기 제1피봇레버(24)가 연장되는 방향의 대향측에서 상기 주연벽(36)을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노치(38)로부터 배수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상기한 구조의 링크기구 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직벽(44)은 상기 주연벽(36)으로부터 도1의 하측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특히, 상기 수직벽(44)은 실질적으로 직교방향으로 상기 주연벽(36)의 노치(38)로부터 연장된다. 따라서, 물이 상기 피봇공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주연벽(36)에 의해 차단될 경우에도, 물이 상기 타워부(30)에 의해 유도된(introduce) 와이퍼 모터(72) 같은 다른 부위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런 와이퍼장치(10) 구조에서, 충돌이 차량에 발생된 경우, 피충돌물(차량)에 가해진 충격은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충돌이 차량에 발생된 경우, 상기 와이퍼 모터(72)에 가해진 충격하중은 충분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충돌물(보호대상물)에 가해진 충격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장치(10)는 크기나 무게면에서 감소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4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장치(10)의 제1피봇홀더(12)에 제1워터캡(101)이 제공되고, 상기 와이퍼장치(10)의 제2피봇홀더(14)에 제2워터캡(102)이 제공된다.
상기 제1워터캡(101)은 원통부(101A), 주연벽부(101B) 및 외부주연부(outer circumferential portion)(101C)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부(101A)는 상기 제1피봇샤프트(20)의 축방향을 따라 제1베어링부(16)의 외측 주변부에 결합된다. 상기 주연벽부(101B)는 상기 원통부(101A)로부터 상기 원통부(101A)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외부주연부(101C)는 상기 주연벽부(101B)의 반경방향 외측부로부터 상기 제1피봇샤프트(20)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주연벽부(101B)는 상기 주연벽부(101B)의 내측 및 외측이 상기 원통부(101A)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개구부(노치)를 갖는 터브부(tub portion)(101D)를 구비한다.
유사하게, 상기 제2워터캡(102)은 원통부(102A), 주연벽부(102B) 및 외부주연부(102C)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부(102A)는 상기 제2피봇샤프트(50)의 축방향을 따라 제2베어링부(46)의 외측 주변부에 결합된다. 상기 주연벽부(102B)는 상기 원통부(102A)로부터 상기 원통부(102A)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외부주연부(102C)는 상기 주연벽부(102B)의 반경방향 외측부로부터 상기 제2피봇샤프트(50)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주연벽부(102B)는 상기 주연벽부(102B)의 내측 및 외측이 상기 원통부(102A)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개구부(노치)를 갖는 터브부(102D)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와이퍼장치(10)에서, 빗방울이나 세척수 같은 물은 상기 제1 및 제2워터캡(101, 102)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수집된 물은 상기 주연벽부(101B)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터브부(101D, 102D)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차체의 피봇공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상기 링크기구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워터캡(101, 102)은 상기 제1 및 제2피봇홀더(12, 14)로부터 분리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워터캡(101, 102)은 상기 제1 및 제2피봇홀더(11, 14)의 결합 부위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결합부위를 생략한 피봇홀더가 다른 형상을 가질 경우에도, 각 워터캡(101, 102)은 상기 제1 및 제2피봇홀더(12, 14)의 결합부위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결합부위를 포함하는 다른 피봇홀더를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캡(101, 102)은 상기 피봇홀더(12, 14)를 형성하는 소재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워터캡(101, 102)은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수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워터캡(101, 102)의 제조비용도 감소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워터캡(101, 102)은 워터캡(101, 102)이 차체 특히, 피봇공에 근접되게 배치될 수 있고, 차체와 간섭된다. 따라서, 상기 워터캡(101, 102)의 배치는 보다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6 및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와이퍼장치(10)에서, 상기 제1 및 제2피봇홀더(12, 14)는 프레임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부재(42), 모터 브라켓부(32)의 제1연결부(34) 및 제2피봇홀더(14)의 제2연결부(62)는 제1실시예의 와이퍼장치(10)로부터 생략된다.
상기 제1피봇홀더(12)는 고무 그로밋(35)이 삽입되는 장착공(116)을 구비한 고정부(제1고정부(26))를 구비한다. 상기 제2피봇홀더(14)는 고무 그로밋(35)이 각각 삽입되는 장착공(28, 56)을 갖는 고정부(제2고정부(124, 134))를 구비한다.
장착볼트는 상기 제1피봇홀더(12)의 고정부(26, 114) 장착공(28, 116)에 각각 제공되는 고무 그로밋(35) 내로 삽입되어, 상기 와이퍼장치(10)의 제1피봇홀더(12)가 상기 고무 그로밋(35)을 통해 차체에 나사 결합되게 한다. 유사하게, 장착볼트는 상기 제2피봇홀더(14)의 고정부(54, 124, 134) 장착공(56, 126, 136)에 각각 제공되는 고무 그로밋(35) 내로 삽입되어, 상기 와이퍼장치(10)의 제2피봇홀더(14)가 상기 고무 그로밋(35)을 통해 차체에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피봇홀더(12, 14)는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의 와이퍼장치(!0)와 같은 방식으로 차체의 전면유리에 대하여 하부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구조에서, 상기 제1 및 제2피봇홀더(12, 14)는 상기 프레임부재(42)와 연결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1 및 제2피봇홀더(12, 14)는 복수의 나사부에서 각각 차체에 나사 결합되므로, 상기 와이퍼장치(10)는 차체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이런 구조에서, 차체와 와이퍼 모터(72) 사이의 간격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제1 및 제2피봇샤프트(20, 50)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차체로부터 돌출되고,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차량에 충돌이 발생한 경우, 차체의 변형에 의해 충격이 충분히 흡수될 수 있고, 상기 와이퍼 모터(72)에 가해진 충격하중은 충분히 감소된다.
또한, 이런 구조에서, 상기 제1 및 제2피봇홀더(12, 14)는 딱딱한 프레임부재를 통해 서로 단단하게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에 충돌이 발생한 경우, 차체의 변형에 의해 충격은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이런 구조에서, 상기 제1 및 제2피봇홀더(12, 14)는 제1 및 제2피봇홀더(12, 14)에 링크기구를 연결하기 전에 차량에 각기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공정이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고, 제1 및 제2피봇홀더(12, 14) 중 하나가 파손되었을 경우, 용이하게 대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장치는 차량에 충돌이 발생되었을 경우, 와이퍼 모터에 가해지는 충격 및 충돌물(보호대상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며, 피충돌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의 제1피봇홀더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와이퍼장치 12: 제1피봇홀더
14: 제2피봇홀더 16: 제1베어링부
20: 제1피봇샤프트 24: 제1피봇레버
26: 제1고정부 30: 타워부
32: 모터 브라켓부 36: 주연벽
42: 프레임부재 46: 제2베어링부
50: 제2피봇샤프트 52: 제2피봇레버
72: 와이퍼 모터 74: 출력샤프트
76: 크랭크 암 78: 제1링크로드(링크기구)
84: 제2링크로드(링크기구)

Claims (9)

  1. 출력샤프트를 갖는 와이퍼 모터;
    상기 출력샤프트에 고정되는 크랭크 암;
    차체에 고정되고, 일측 축단부에 와이퍼 암이 고정된 제1피봇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피봇홀더;
    상기 제1피봇샤프트의 타측 축단부에 고정된 제1피봇레버;
    차체에 고정되고, 일측 축단부에 와이퍼 암이 고정된 제2피봇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피봇홀더;
    상기 제2피봇샤프트의 타측 축단부에 고정된 제2피봇레버; 및
    상기 와이퍼 모터의 회전력을 전후동작에 따라 각각 제1피봇샤프트와 제2피봇샤프트에 전달하도록 크랭크 암, 제1피봇레버 및 제2피봇레버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피봇홀더는 와이퍼 모터가 고정되는 모터 브라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모터는 와이퍼 암이 상기 모터 브라켓부에 대하여 대향측의 모터 브라켓부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크랭크 암은 와이퍼 모터가 상기 모터 브라켓부에 대하여 대향측의 모터 브라켓부의 전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 브라켓부의 후면과 상기 제1피봇샤프트의 제1피봇레버는 상기 제1피봇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모터 브라켓부의 후면과 크랭크 암 간의 거리 보다 큰 거리로 서로 이격된
    차량용 와이퍼장치.
  2. 출력샤프트를 갖는 와이퍼 모터;
    상기 출력샤프트에 고정되는 크랭크 암;
    차체에 고정되고, 일측 축단부에 와이퍼 암이 고정된 제1피봇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피봇홀더;
    상기 제1피봇샤프트의 타측 축단부에 고정된 제1피봇레버;
    차체에 고정되고, 일측 축단부에 와이퍼 암이 고정된 제2피봇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피봇홀더;
    상기 제2피봇샤프트의 타측 축단부에 고정된 제2피봇레버; 및
    상기 와이퍼 모터의 회전력을 전후동작에 따라 각각 제1피봇샤프트와 제2피봇샤프트에 전달하도록 크랭크 암, 제1피봇레버 및 제2피봇레버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피봇홀더는,
    상기 제1피봇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베어링부;
    상기 제1베어링부에 대하여 상기 제1베어링부로부터 상기 제1피봇레버 측까지 연장되는 타워부; 및
    상기 와이퍼 모터가 고정되도록 상기 타워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모터 브라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모터는 제1베어링부가 상기 모터 브라켓부에 대하여 대향측의 모터 브라켓부 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샤프트는 상기 출력샤프트에 고정된 크랭크 암이 상기 모터 브라켓부에 대하여 상기 제1베어링부의 동일측에 있는 모터 브라켓부의 전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모터 브라켓부를 관통하며,
    상기 모터 브라켓부의 후면과 상기 제1피봇샤프트의 제1피봇레버는 상기 제1피봇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모터 브라켓부의 후면과 크랭크 암 사이의 간격 보다 큰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차량용 와이퍼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브라켓부는 상기 와이퍼 모터에 장착되는 모터 브라켓부 후면에 대하여 전면측에 소정 각도(θ)만큼 경사지도록 상기 모터 브라켓부로부터 상기 제2피봇홀더까지 돌출된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피봇홀더는 상기 제1피봇홀더까지 돌출된 제2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바형상의 프레임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와이퍼장치.
  4. 출력샤프트를 갖는 와이퍼 모터;
    상기 출력샤프트에 고정되는 크랭크 암;
    차체에 고정되고, 일측 축단부에 와이퍼 암이 고정된 제1피봇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피봇홀더;
    상기 제1피봇샤프트의 타측 축단부에 고정된 제1피봇레버;
    차체에 고정되고, 일측 축단부에 와이퍼 암이 고정된 제2피봇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피봇홀더;
    상기 제2피봇샤프트의 타측 축단부에 고정된 제2피봇레버; 및
    상기 와이퍼 모터의 회전력을 전후동작에 따라 각각 제1피봇샤프트와 제2피봇샤프트에 전달하도록 크랭크 암, 제1피봇레버 및 제2피봇레버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피봇홀더는,
    상기 제1피봇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베어링부;
    상기 제1베어링부에 대하여 상기 제1베어링부로부터 상기 제1피봇레버 측까지 연장되는 타워부; 및
    상기 와이퍼 모터는 프레임부재를 통해 상기 제2피봇홀더와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타워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모터 브라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모터는 제1베어링부가 상기 모터 브라켓부에 대하여 대향측의 모터 브라켓부 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샤프트는 상기 출력샤프트에 고정된 크랭크 암이 상기 모터 브라켓부에 대하여 상기 제1베어링부의 동일측에 있는 모터 브라켓부의 전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모터 브라켓부를 관통하며,
    상기 모터 브라켓부의 후면과 상기 제1피봇샤프트의 제1피봇레버는 상기 제1피봇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모터 브라켓부의 후면과 크랭크 암 사이의 간격 보다 큰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차량용 와이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브라켓부는 상기 와이퍼 모터에 장착되는 모터 브라켓부 후면에 대하여 전면측에 소정 각도(θ)만큼 경사지도록 상기 모터 브라켓부로부터 상기 제2피봇홀더까지 돌출된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피봇홀더는 상기 제1피봇홀더까지 돌출된 제2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바형상의 프레임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와이퍼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봇홀더는 차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베어링부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1베어링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피봇홀더는 차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2베어링부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2베어링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고정부를 구비한
    차량용 와이퍼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크랭크 암과 제2피봇샤프트의 제2피봇레버 사이를 연결하는 제1링크로드; 및
    상기 제2피봇샤프트의 제2피봇레버와 제1피봇샤프트의 제2피봇레버 사이를 연결하는 제2링크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브라켓부의 후면과 상기 제2피봇샤프트의 제2피봇레버는 제1피봇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모터 브라켓부의 후면과 크랭크 암 사이의 간격보다 큰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모터 브라켓부의 후면과 상기 제1피봇샤프트의 제1피봇레버는 상기 제1피봇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모터 브라켓부의 후면과 제2피봇샤프트의 제2피봇레버 사이의 간격보다 큰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차량용 와이퍼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봇홀더는 제1베어링부와 서로 둘러싼 소정의 공간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제1베어링부를 둘러싸는 주연벽을 포함하고,
    상기 주연벽은 상기 제1피봇레버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향측 상의 주연벽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주연벽은 직교방향으로 상기 주연벽에서 타워부의 측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수직벽을 포함하는
    차량용 와이퍼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봇홀더 또는 제2피봇홀더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워터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캡은,
    상기 제1피봇홀더 또는 제2피봇홀더 중 하나 이상의 축방향을 떠라 상기 제1베어링부 또는 제2베어링부 중 하나 이상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원통부로부터 연장되는 주연벽부; 및
    상기 제1피봇샤프트 또는 제2피봇샤프트 중 하나 이상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주연벽부의 방사상 외주부로부터 연장되는 외주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연벽부는 상기 주연벽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터브부를 구비하며,
    상기 터브부는 상기 원통부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주연벽부와 주연벽부의 외측 사이를 서로 연통하는
    차량용 와이퍼장치.
KR1020040089974A 2003-11-11 2004-11-05 모터 및 내부공간을 구비한 차량용 와이퍼장치 KR100903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81141 2003-11-11
JP2003381141A JP4146329B2 (ja) 2003-11-11 2003-11-11 車両用ワイパ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835A true KR20050045835A (ko) 2005-05-17
KR100903081B1 KR100903081B1 (ko) 2009-06-18

Family

ID=3454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974A KR100903081B1 (ko) 2003-11-11 2004-11-05 모터 및 내부공간을 구비한 차량용 와이퍼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49394B2 (ko)
JP (1) JP4146329B2 (ko)
KR (1) KR100903081B1 (ko)
CN (1) CN100471733C (ko)
DE (1) DE102004054590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914A (ko) * 2004-12-14 2006-06-19 주식회사 캄코 와이퍼 링크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0895B2 (ja) * 2006-03-14 2012-03-07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装置
JP4629612B2 (ja) * 2006-05-18 2011-02-09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装置
JP4938526B2 (ja) 2007-03-28 2012-05-23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ワイパ装置
JP5122849B2 (ja) * 2007-03-28 2013-01-16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装置
DE102007040504A1 (de) * 2007-08-28 2009-03-05 Robert Bosch Gmbh Wischanlage mit einem Wischantrieb zum Antrieb eines Wischgestänges
DE102007061105B4 (de) * 2007-12-19 2018-05-03 Robert Bosch Gmbh Befestigungsrohr sowie Wischanlage
JP4972585B2 (ja) * 2008-03-07 2012-07-11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装置
US8234746B2 (en) * 2008-09-22 2012-08-07 Robert Bosch Gmbh Water blocker for wiper system
US8281452B2 (en) * 2008-12-11 2012-10-09 Asmo Co., Ltd. Wiper device
DE102010029105B4 (de) * 2009-10-21 2018-01-11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ervorrichtung
DE102009054908A1 (de) * 2009-12-17 2011-06-22 Robert Bosch GmbH, 70469 Scheibenwischvorrichtung
DE102010001968A1 (de) * 2010-02-16 2011-08-18 Robert Bosch GmbH, 70469 Wischergestänge
JP4989742B2 (ja) 2010-03-04 2012-08-01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装置
JP5706426B2 (ja) * 2010-08-23 2015-04-22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装置
DE102010063022A1 (de) * 2010-12-14 2012-06-14 Robert Bosch Gmbh Wischeranlage für ein Fortbewegungsmittel, insbesondere ein Kraftfahrzeug
KR101888898B1 (ko) * 2011-05-19 2018-08-16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와이퍼 장치, 와이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와이퍼 장치의 제조 장치
DE102011081027A1 (de) * 2011-08-16 2013-02-21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erlager-Rohrverbindung
JP5804276B2 (ja) 2012-04-25 2015-11-0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フロントワイパ装置の支持構造
JP5865306B2 (ja) * 2013-07-31 2016-02-17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装置
DE102014207287A1 (de) * 2014-04-16 2015-10-22 Robert Bosch Gmbh Wischeranlage
FR3023795B1 (fr) * 2014-07-15 2017-12-22 Valeo Systemes Dessuyage Platine d'essuie-glace,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JP2016094081A (ja) * 2014-11-13 2016-05-26 アスモ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パ装置及び車体前部構造
US20180201228A1 (en) * 2015-09-08 2018-07-19 Asmo Co., Ltd. Wiper device
WO2017043324A1 (ja) * 2015-09-08 2017-03-16 アスモ 株式会社 ワイパ装置
CN107284415A (zh) * 2016-03-31 2017-10-24 博世汽车部件(长春)有限公司 刮水器组件
CN113825681A (zh) * 2019-04-01 2021-12-21 特瑞克产品公司 具有铰接枢轴的刮水器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564U (ja) 1982-09-27 1984-04-0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ウインドウオツシヤ液噴射装置
GB2238231A (en) * 1989-11-04 1991-05-29 Wypertech Wiper assembly
JP2707375B2 (ja) * 1991-07-30 1998-01-28 株式会社ミツバ モジユラ型ワイパ装置
JP2576190Y2 (ja) * 1992-09-02 1998-07-09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ワイパピボットの取付構造
FR2720354B1 (fr) * 1994-05-26 1996-06-21 Valeo Systemes Dessuyage Module d'essuyage pour une vitre de véhicule automobile.
JP2852004B2 (ja) * 1994-12-08 1999-01-27 株式会社ミツバ パイプ式モジュラワイパ装置におけるパイプ締結方法
ES2177712T3 (es) * 1996-03-26 2002-12-16 Bosch Gmbh Robert Pieza tubular moldeada de soporte.
DE19904155A1 (de) * 1999-02-03 2000-08-10 Bosch Gmbh Robert Rohrplatin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JP4708560B2 (ja) * 2000-12-28 2011-06-2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パ装置
JP3934509B2 (ja) * 2002-08-22 2007-06-20 アスモ株式会社 防水キャップとピボットホルダとの固定構造及びモジュール型ワイ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914A (ko) * 2004-12-14 2006-06-19 주식회사 캄코 와이퍼 링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54590B4 (de) 2012-10-25
CN100471733C (zh) 2009-03-25
DE102004054590A1 (de) 2005-06-02
JP4146329B2 (ja) 2008-09-10
JP2005145093A (ja) 2005-06-09
US20050097700A1 (en) 2005-05-12
US7249394B2 (en) 2007-07-31
KR100903081B1 (ko) 2009-06-18
CN1616280A (zh) 200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081B1 (ko) 모터 및 내부공간을 구비한 차량용 와이퍼장치
JP3900375B2 (ja) 自動車のワイパー装置
JP4981340B2 (ja) 減速装置付きモータ
US20130174368A1 (en) Displaceable axial body for a wiper pivot device of a motor vehicle
US7222386B2 (en) Wiper pivot and vehicle wiper device having the same
JP2007181383A (ja) モータ装置及びワイパ装置
GB2228188A (en) Support for windscreen wiper mechanism
KR20060004291A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US6862772B2 (en) Wiper arm
JP3218003B2 (ja) ワイパ装置
KR200284952Y1 (ko) 와이퍼 아암용 피봇축의 충격흡수장치
JP4425222B2 (ja) ワイパピボットおよびワイパ装置
JP6854701B2 (ja) ワイパ装置
JP4442857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6802757B2 (ja) ワイパ装置
KR20010042597A (ko) 대향 와이퍼 시스템
KR100521679B1 (ko) 자동차용 윈드 실드 와이퍼 구동기구
KR200162442Y1 (ko) 범퍼의 고정구조
JP2024059003A (ja) 車両前部構造
KR100210478B1 (ko) 범퍼
CN114655134A (zh) 前围板排水结构
KR20060066914A (ko) 와이퍼 링크 구조
KR20020038123A (ko) 자동차 와이퍼 피벗축 이탈구조
KR19990037586U (ko) 자동차용 와이퍼
KR20050045183A (ko)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와이퍼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