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123A - 자동차 와이퍼 피벗축 이탈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와이퍼 피벗축 이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123A
KR20020038123A KR1020000068176A KR20000068176A KR20020038123A KR 20020038123 A KR20020038123 A KR 20020038123A KR 1020000068176 A KR1020000068176 A KR 1020000068176A KR 20000068176 A KR20000068176 A KR 20000068176A KR 20020038123 A KR20020038123 A KR 20020038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wiper
pivot shaft
wiper pivot
pedestr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국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2000006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8123A/ko
Publication of KR20020038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12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36Attachement of separate wiper shaft holders to the vehicle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가 자동차 전방에서 충돌하였을 때에 와이퍼 피벗축에 의해 부상을 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와이퍼 피벗축 이탈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체결볼트(4)를 통해 카울판넬(5)에 고정되는 피벗축 하우징(6)에 삽입되는 와이퍼 피벗축(3)의 하단부가 링크로드(7)에 연결되고, 와이퍼 피벗축(3)의 상단부가 부시(8) 및 와셔(9)를 통해 견고하게 지지되었기 때문에 보행자의 머리부위(1)등이 본넷트(2)의 후단부에 부딪히게 되면 그 부위가 변형되면서 와이퍼 피벗축(3)에 닿게 되더라도 와이퍼 피벗축(3)이 변형을 일으키지 않게 되므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더욱 심한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와이퍼 피벗축(3)의 상단부에 연장부(3')를 형성하는 한편, 피벗축 하우징(6)의 상단에 대응되는 와이퍼 피벗축(3)의 중앙부에 형성한 상광하협의 테이퍼홈(31)에 탄성변형이 자유로운 고정링(3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와 충돌한 보행자가 와이퍼 피벗축(3)에 충돌하게 되는 경우에 와이퍼 피벗축(3)이 이탈되면서 그 충격을 완화시켜 줄 수 있게 되므로 부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와이퍼 피벗축 이탈구조{DETACHABLE PIVOT SHAFT OF WINDSHIELD WIPER}
본 발명은 보행자가 자동차 전방에서 충돌하였을 때에 와이퍼 피벗축에 의해 부상을 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와이퍼 피벗축 이탈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보행자가 와이퍼 피벗축에 충돌되었을 때에 피벗축 하우징의 하부로 와이퍼 피벗축이 이탈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그 전방에서 보행중인 보행자와 충돌하였을 때에는 보행작가 본넷트의 후단부에 머리를 부딪히게 되는 일이 많게 되는 바, 종래에 있어서는 도 1과 같이 보행자의 머리부위(1)등이 자동차 본넷트(2)의 후단부에 부딪히게 되면 그 부위가 변형되면서 본넷트(2) 후단부의 아랫쪽에 설치되는 와이퍼 피벗축(3)에 닿게 되어 심한 부상을 입게 되는 일이 많았다.
즉, 종래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체결볼트(4)를 통해 카울판넬(5)에 고정되는 피벗축 하우징(6)에 삽입되는 와이퍼 피벗축(3)의 하단부가 링크로드(7)에 연결되고, 와이퍼 피벗축(3)의 상단부가 부시(8) 및 와셔(9)를 통해 견고하게 지지되었던 바, 이와 같은 종래구조에 있어서는 보행자의 머리부위(1)등이 본넷트(2)의 후단부에 부딪히게 되면 그 부위가 변형되면서 와이퍼 피벗축(3)에 닿게 되더라도 와이퍼 피벗축(3)이 변형을 일으키지 않게 되므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더욱 심한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자동차와 충돌한 보행자가 본넷트 후하단부 아랫쪽에 위치하는 와이퍼 피벗축에 충돌하였을 때에 그 충격을 완화시켜 부상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와이퍼 피벗축 이탈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관계하는 피벗축의 설치상태도
도 2는 종래구조의 종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와이퍼 피벗축이 이탈되기 전의 종단면도
도 3b는 동 실시예의 와이퍼 피벗축이 이탈된 후의 종단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동 실시예의 고정링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머리부분2 : 본넷트
3 : 와이퍼 피벗축3' : 연장부
4 : 체결너트5 : 카울판넬
6 : 피벗축 하우징7 : 링크로드
31 : 테이퍼홈32 : 고정링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와이퍼 피벗축의 상단부에 연장부를 형성하고, 피벗축 하우징의 상단에 대응되는 와이퍼 피벗축의 중앙부를 이탈이 가능한 고정링을 통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에서 도 5까지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잇는 바, 본 발명은 체결볼트(4)를 통해 카울판넬(5)에 고정되는 피벗축 하우징(6)에 삽입되는 와이퍼 피벗축(3)의 하단부가 링크로드(7)에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피벗축(3)의 상단부에 연장부(3')를 형성하는 한편, 피벗축 하우징(6)의 상단에 대응되는 와이퍼 피벗축(3)의 중앙부에 형성한 상광하협의 테이퍼홈(31)에 탄성변형이 자유로운 고정링(32)을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링(32)은 도 5와 같이 일측이 절개되어 충격이 가해진 경우 절개부위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된 형태를 갖으며,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10은 전면유리, 11은 대쉬판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3a와 같이 와이퍼 피벗축(3)의 연장부(3')가 피벗축 하우징(6)의 상단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행자가 자동차에 충돌하여 본넷트(2)의 후단부를 변형시키고 와이퍼 피벗축(3)의 상단부에 충돌하는 경우 와이퍼 피벗축(3)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의해 고정링(32)이 탄성변형되어 확개되므로 도 3b와 같이 와이퍼 피벗축(3)이 하강하게 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퍼 피벗축(3)의 상단부에 연장부(3')를 형성하고, 피벗축 하우징(6)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와이퍼 피벗축(3)의 중앙부에 형성한 테이퍼홈(31)에 탄성 변형이 자유로운 고정링(32)을 설치하여 와이퍼 피벗축(3)의 상단부로부터 일정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와이퍼 피벗축(3)이 하강하면서 이탈되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와 충돌한 보행자가 와이퍼 피벗축(3)에 충돌하게 되는 경우에 와이퍼 피벗축(3)이 이탈되면서 그 충격을 완화시켜 줄 수 있게 되므로 부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체결볼트(4)를 통해 카울판넬(5)에 고정되는 피벗축 하우징(6)에 삽입되는 와이퍼 피벗축(3)의 하단부가 링크로드(7)에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피벗축(3)의 상단부에 연장부(3')를 형성하는 한편, 피벗축 하우징(6)의 상단에 대응되는 와이퍼 피벗축(3)의 중앙부에 형성한 상광하협의 테이퍼홈(31)에 탄성변형이 자유로운 고정링(3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피벗축 이탈구조.
KR1020000068176A 2000-11-16 2000-11-16 자동차 와이퍼 피벗축 이탈구조 KR20020038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176A KR20020038123A (ko) 2000-11-16 2000-11-16 자동차 와이퍼 피벗축 이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176A KR20020038123A (ko) 2000-11-16 2000-11-16 자동차 와이퍼 피벗축 이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123A true KR20020038123A (ko) 2002-05-23

Family

ID=1969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176A KR20020038123A (ko) 2000-11-16 2000-11-16 자동차 와이퍼 피벗축 이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81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8139A (zh) * 2013-03-23 2013-09-2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雨刮安装支架
CN103847696A (zh) * 2012-11-30 2014-06-11 博世汽车部件(长沙)有限公司 车辆雨刮器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7696A (zh) * 2012-11-30 2014-06-11 博世汽车部件(长沙)有限公司 车辆雨刮器系统
CN103318139A (zh) * 2013-03-23 2013-09-2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雨刮安装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8975A (ko) 자동차의 휀더부 구조
KR20020038123A (ko) 자동차 와이퍼 피벗축 이탈구조
KR100412846B1 (ko) 자동차 후드의 충격흡수장치
KR100381540B1 (ko) 자동차용 보조범퍼의 설치구조
KR200174349Y1 (ko) 자동차의 공압 실린더형 범퍼
KR100456940B1 (ko) 저속 충돌 및 보행자 보호를 위한 크래쉬 박스 적용구조
KR100380378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펜더패널 및 후드패널의충격흡수구조
KR100412351B1 (ko) 프론트 필러부의 결합구조
KR100193165B1 (ko) 자동차의 측면충돌대비 도어가니시 보강구조
KR200152676Y1 (ko) 프론트 범퍼페시아 변형방지용 브라켓
KR100350268B1 (ko) 자동차용 범퍼의 사이드부 보강구조
KR20020074727A (ko) 자동차용 피봇홀더의 충격흡수구조
KR200157593Y1 (ko) 자동차의 도아 임팩트바 취부구조
KR19980046655U (ko)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KR200188449Y1 (ko) 자동차 루프헤더부의 보강구조
KR100193664B1 (ko) 자동차용 범퍼
KR100280661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KR970000907Y1 (ko) 승용차용 오일탱크의 취부구조
KR19990006367U (ko) 자동차의 범퍼구조
KR19990008804A (ko)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9980024569U (ko) 충돌시 탑승자 보호 기능을 갖는 자동차 프레임
KR19980061025U (ko) 차량의 전방프레임 충격흡수구조
KR20030032522A (ko) 자동차용 범퍼 레인프 장착구조
KR19980034024U (ko) 자동차용 캉가루 범프의 취부구조
KR19990034883A (ko) 자동차의 프론트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