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5079A -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 Google Patents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5079A
KR20050045079A KR20030079022A KR20030079022A KR20050045079A KR 20050045079 A KR20050045079 A KR 20050045079A KR 20030079022 A KR20030079022 A KR 20030079022A KR 20030079022 A KR20030079022 A KR 20030079022A KR 20050045079 A KR20050045079 A KR 20050045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bracket
curtain
main body
curtain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79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7761B1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79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761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761B1/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필러부에 커튼형 에어백을 수납시키는 구조물의 형태를 변경시켜, 사고시 에어백의 전개를 원활하게 유도함과 더불어 충격 평가 시험시 충분한 지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의 필러부와 차실내의 트림재 사이의 공간에서 커튼형 에어백을 수납하도록 설치되는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필러부에 고정되는 마운팅부를 갖추고서 상기 커튼형 에어백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주몸체부와; 상기 주몸체부의 배면에 일측 선단이 결합됨과 더불어 타측 선단이 상기 필러부에 면착되어 지지되는 보조몸체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bracket structure for receiving curtain airbag}
본 발명은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필러부와 차실내의 트림재 사이에서 커튼형 에어백을 수납시키는 브라켓의 구조를 변경시켜, 사고시 에어백의 전개를 원활하게 유도함과 더불어 충격 평가 시험시 충분한 지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충돌시와 같은 위험 상황을 대비하여 탑승자에 대한 안전 장치의 일환으로 시트 벨트와 함께 에어백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시트 벨트와 에어백 장치는 주행중 충돌과 추돌 및 전복 사고의 발생시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에어백 장치에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전면으로 설치된 에어백과, 차체의 필러부에 설치되어 측면 충돌 사고시 차실내의 측면으로 전개되어 탑승객을 보호하는 커튼형 에어백 등으로 구분되어진다.
그 중에서 커튼형 에어백은 통상 차체측 필러부와 차실내의 트림재 사이의 공간으로 설치되는 데, 이와 같은 커튼형 에어백을 갖춘 차량에서는 북미법규인 충격 평가 시험을 시행하고 있다.
이 경우, 충격 평가 시험을 위해 필러부와 트림재 사이의 공간으로 설치되는 리브 등의 구조물이 커튼형 에어백과 조립위치상 겹치기 때문에, 충격흡수용 구조물을 설치할 수 없었다.
따라서, 커튼형 에어백을 구비한 차량에서 충격 평가 시험의 대응을 위해서는 스틸재의 구조물이 커튼형 에어백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충격 평가 시험시 스틸재의 구조물이 충격에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구조물은 충격 평가 시험의 만족을 위한 최소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작하면, 사고시 커튼형 에어백의 전개시 전개되는 에어백이 구조물에 의해 방해를 받아 원활한 전개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상기와 같이 차체측 필러부와 차실내의 트림재 사이의 공간에서 커튼형 에어백을 지지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구조물이 충격 평가 시험의 만족을 위한 최소의 강성 확보와, 사고시 에어백의 원활한 전개를 위한 최소의 강성 확보에 있어, 각각의 경우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반대인 상반된 구조적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기 때문에 기인하는 현상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체의 필러부에 커튼형 에어백을 수납시키는 구조물의 형태를 변경시켜, 사고시 에어백의 전개를 원활하게 유도함과 더불어 충격 평가 시험시 충분한 지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의 필러부와 차실내의 트림재 사이의 공간에서 커튼형 에어백을 수납하도록 설치되는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필러부에 고정되는 마운팅부를 갖추고서 상기 커튼형 에어백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주몸체부와; 상기 주몸체부의 배면에 일측 선단이 결합됨과 더불어 타측 선단이 상기 필러부에 면착되어 지지되는 보조몸체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을 위한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이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이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필러부(10)에 차실내측으로 트림재(12)가 조립되고, 상기 필러부(10)와 트림재(12)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브라켓(14)과 커튼형 에어백(16)이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14)은 상기 필러부(10)에 고정되는 마운팅부(14b)를 양측 선단에 각각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커튼형 에어백(16)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주몸체부(14a)와, 상기 주몸체부(14a)의 배면에 일측 선단이 결합됨과 더불어 타측 선단이 상기 필러부(10)에 면착되어 지지되는 보조몸체부(14c)를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주몸체부(14a)에는 상기 마운팅부(14b)에 인접한 부위로 부재의 일부가 절개된 형태의 노치부(14d)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노치부(14d)는 상기 커튼형 에어백(16)의 전개시 상기 주몸체부(14a)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커튼형 에어백(16)의 원활한 전개를 돕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몸체부(14c)의 타측 선단부에는 상기 필러부(10)의 내측패널(10a)에 형성된 곡면부(10b)에 대해 소정 길이의 구간에 걸쳐 접촉되는 면착부(14e)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데, 상기 면착부(14e)는 상기 브라켓(14)이 필러부(10)에 대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강성 보강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튼형 에어백(16)은 마운팅 브라켓(18)을 매개로 하여 상기 필러부(10)의 내측패널(10a)에 설치되고, 상기 커튼형 에어백(16)의 내측면은 상기 브라켓(14)의 주몸체부(14a)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필러부(10)와 트림재(12)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에 수납되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기 필러부(10)와 트림재(12) 사이의 공간으로 설치되는 커튼형 에어백(16)에 있어, 상기 브라켓(14)의 배면에서 양측 선단부위로 결합된 보조몸체부(14c)가 상기 필러부(10)의 내측패널(10a)에 지지되어 있음에 따라, 충격 평가 시험시 차실내에서 상기 트림재(12)를 향해 가해지는 외력에도 상기 브라켓(14)은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되어, 충격 평가 시험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몸체부(14c)의 선단에 형성된 면착부(14e)는 상기 필러부(10)의 내측패널(10a)에 형성된 곡면부(10b)에 밀착되는 형태로 절곡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상기 보조몸체부(14c)의 지지력을 한층 더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설치되는 커튼형 에어백(16)에서는, 충돌사고시 상기 커튼형 에어백(16)이 전개될 때, 상기 브라켓(14)의 주몸체부(14a)는 양측 선단의 마운팅부(14b)에 형성된 노치부(14d)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마운팅부(14b)를 기준으로 상기 주몸체부(14a)의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커튼형 에어백(16)은 상기 주몸체부(14a)를 쉽게 전개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브라켓(14)은 필러부(10)와 트림재(12)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커튼형 에어백(16)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음과 더불어, 사고시 에어백의 용이한 전개를 도모할 수 있으며, 충격 평가 시험시 차실내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충분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에 의하면, 차체의 필러부와 트림재 사이의 공간에서 커튼형 에어백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브라켓이 사고시 에어백의 용이한 전개를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충격 평가 시험시 차실내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음에 따라, 상반된 구조적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을 위한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이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이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필러부 12-트림재
14-브라켓 14a-주몸체부
14b-마운팅부 14c-보조몸체부
14d-노치부 14e-면착부
16-커튼형 에어백

Claims (3)

  1. 차체의 필러부와 차실내의 트림재 사이의 공간에서 커튼형 에어백을 수납하도록 설치되는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필러부에 고정되는 마운팅부를 갖추고서 상기 커튼형 에어백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주몸체부와;
    상기 주몸체부의 배면에 일측 선단이 결합됨과 더불어 타측 선단이 상기 필러부에 면착되어 지지되는 보조몸체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는 주몸체부의 양측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부에 인접한 부위에는 부재의 일부가 절개된 형태의 노치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몸체의 타측 선단부는 상기 필러부의 내측패널에 형성된 곡면부와 소정 구간에 걸쳐 면착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된 곡면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KR20030079022A 2003-11-10 2003-11-10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KR10052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9022A KR100527761B1 (ko) 2003-11-10 2003-11-10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9022A KR100527761B1 (ko) 2003-11-10 2003-11-10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079A true KR20050045079A (ko) 2005-05-17
KR100527761B1 KR100527761B1 (ko) 2005-11-10

Family

ID=37244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79022A KR100527761B1 (ko) 2003-11-10 2003-11-10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7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153B1 (ko) 2005-12-12 200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에어백의 간섭을 방지하는 필러 램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7761B1 (ko)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77552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ク装着車両のピラートリム設置構造
US7934746B2 (en) Motor vehicle with an A-column and airbag incorporated therein
US6217061B1 (en) Airbag system within impact countermeasures
US8220826B2 (en) Ramp bracket for curtain airbag of vehicle
JPH05139237A (ja) 助手席用エアバツグモジユールの取付け構造
JP2001219807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付き車両のクォータウィンドガーニッシュ部の構造
JP4632196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ドア開放構造
JP5208930B2 (ja) 膝拘束用エアバッグ装置
JP5000279B2 (ja) 自動車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取付構造
KR20030097137A (ko)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
KR100527761B1 (ko)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JP6996270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の搭載構造
CN110203165B (zh) 仪表板的构造
KR100475966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KR100419735B1 (ko)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KR101003899B1 (ko) 커튼 에어백 모듈
KR100472670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JP3702786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5136754B2 (ja) 車両のアシストグリップ取付ブラケット
KR100552053B1 (ko) 커튼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의 헤드 라이닝 구조
JP3015979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2005014694A (ja) 乗員保護装置
JPH05270340A (ja) エアバッグ構造
JP2531416Y2 (ja)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KR100587407B1 (ko)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