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3608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3608A
KR20050043608A KR1020040073347A KR20040073347A KR20050043608A KR 20050043608 A KR20050043608 A KR 20050043608A KR 1020040073347 A KR1020040073347 A KR 1020040073347A KR 20040073347 A KR20040073347 A KR 20040073347A KR 20050043608 A KR20050043608 A KR 20050043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recovery
image
unit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3646B1 (ko
Inventor
니시무라시게키
고이즈미히로미츠
이리에노리오
니시무라마사유키
마츠모토다쿠지
오키무라나오마사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05Cleaning of residual to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제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현상제 중에서 회수해야 할 회수 현상제가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 회수 현상제를 수용하는 회수 용기, 회수 용기와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을 접속하고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에서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를 회수하고 반송하는 반송 부품 및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교환 부품을 포함하며, 회수 용기는 교환 부품과 일체화되어 장착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상제 또는 현상제들에 의해 구성되는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및 이들 개별 기능들을 복합시킨 복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화상 형성에 사용되는 현상제들 중에서 회수되는 회수 현상제를 수용하는 회수 용기 등의 유지 보수 또는 각종 취급 시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공정 등을 채용하여 현상제 또는 현상제들에 의해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본적인 화상 형성은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행해지며, 상기 화상 형성에 사용되는 현상제의 일부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회수된다.
즉, 소정의 화상 형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감광 드럼 등 화상 캐리어 상에 형성된 후, 정전 잠상은 2 성분 현상제 등의 현상제에 의해 현상됨으로써 현상제 화상(실제로는 토너 성분으로 구성된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이어서, 이 현상제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 등 중간 전사 유닛을 통해 직접 혹은 간접으로 소정의 기록 용지에 전사된 다음, 정착 처리된다. 이로써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그 화상으로서 단색 화상(주로 흑색 화상)이 아니라 복수 컬러의 단색 현상제 화상을 중첩하여 형성되는 컬러 화상이 형성되는 경우, 상술한 현상 공정 및 현상제 화상 전사 공정은 그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단색 현상제 화상의 수에 의해 동일하게 반복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시에, 상기 화상 캐리어로부터 기록 용지 또는 중간 전사 유닛에 일차 전사(primary transfer)되는 동안 또는 중간 전사 유닛으로부터 기록 용지에 이차 전사(secondary transfer)되는 동안과 같이, 현상제 화상의 전사 시에 전사 종착지에 정상적으로 전사되지 않은 미전사(untransferred) 현상제(주로 토너 성분) 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미전사 현상제는 세정 장치에 의해 화상 캐리어, 중간 전사 유닛으로부터 제거된 후, 상기 미전사 현상제는 회수 용기로 회수된다. 또한 화상으로서 상술한 컬러 화상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감광 드럼 등 복수의 화상 캐리어를 사용하여 소정 컬러의 현상제 화상이 상기 화상 캐리어 상에 각각 형성되고 기록 용지에 전사된다. 또한, 단수 또는 복수의 화상 캐리어 상에 형성된 복수의 단색 현상제 화상이 중간 전사 유닛 상에 중첩되고 기록 용지로 일괄적으로 전사되는 중간 전사 시스템을 채용하는 일이 빈번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회수되어야 할 회수 현상제의 발생 부위가 증가한다. 또한 이와 같이 회수 현상제의 발생 부위가 증가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회수 현상제의 발생 부위로부터 수용 용기로 회수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부품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회수 현상제를 수용하는 회수 용기의 수를 증가시키므로 이 경우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회수 현상제가 회수 용기에 회수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회수 용기에 회수되는 회수 현상제가 가득 차게 되는 경우 장치 본체로부터 이 회수 용기를 제거한 다음 새로운 회수 용기로 교환하고, 이 새로운 회수 용기를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수의 회수 용기가 장치 본체 내에 복수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들 회수 용기의 교환 작업은 회수 용기의 개수만큼 필요하여, 유지 보수 작업은 귀찮은 일이 된다.
예를 들면, 현상 시스템으로서 소위 트리클(trickle) 현상 시스템이 채용되는 경우, 그 현상 시스템을 채용한 현상 장치가 회수 현상제가 발생하는 부위(부품)에 해당하게 되어 회수 현상제의 발생 부품의 개수가 더 증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귀찮은 점은 악화된다. 트리클 현상 시스템은 토너 및 캐리어를 주요 성분으로 하는 2 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 시스템으로서, 상기 2 성분 현상제는 현상 장치에 약간 과잉으로 보급되고 그 현상 장치에 체류하고 있는 더 오래된 현상제가 주로 과잉 현상제로서 상기 장치 외부로 넘치게 되어 회수되는 현상 시스템이다. 이는 현상 장치가 새로운 현상제를 가능한 한 많이 수용하는 상태를 유지하여 현상 성능을 안정화시키도록 보증한다.
이에 반해, 종래에는 세정 장치와 같이 회수 현상제가 발생하는 복수 부위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그 현상제를 회수하는 회수 용기의 유지 보수 작업 및 그 장착 작업의 단순화를 목적으로, 복수의 세정 장치에 의해 회수되는 폐토너(회수 현상제)를 단일 회수 용기에 일괄적으로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가 제안되었다(예를 들면, JP-A-9-325662, JP-A-10-153933 및 JP-B-2912073 참조). 또한, JP-A-9-325662는 단일 회수 용기가 복수의 세정 장치의 폐토너 배출부와 직접 맞물리는 구조를 채용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JP-A-9-325662(청구항 6, 단락 [0007] 및 [0043], 도 1, 도 4), JP-A-10-153933(청구항 1, 단락 [0014] 및 [0035], 도 1) 및 JP-B-2912073(단락 [0006] 및 [0039], 도 1)이 관련 기술로 참조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의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가 단일회수 용기에 일괄적으로 수용되는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는 다음의 문제점에 직면하게 된다.
즉,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내용(耐用) 수명 등의 관점에서 소정 시기에 교환을 필요로 하는 교환 부품(예를 들면 화상 캐리어, 중간 전사 유닛 및 현상 장치)이 착탈 가능하게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 이들 교환 부품을 교환하는 작업에 더해 상술한 회수 용기를 교환하는 작업을 따로 수행할 필요가 있었다. 이런 이유로, 귀찮은 작업이 불편하게도 이 회수 용기 등의 유지 보수 및 취급시에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에게 부과된다.
또한, 회수 용기는 복수의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으로부터 회수 현상제를 일괄적으로 수용하기 때문에, 그 용량이 어느 정도 필요하게 되므로 회수 용기는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대형 회수 용기의 착탈 교환을 용이하게 가능하도록 하는 관점에서, 회수 용기는 자주 장치 본체의 액세스 가능한 일측 표면에 설치된다. 이 경우, 장치 본체는 그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부위에 의해 또한 대형화된다. 이러한 사실은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으로 제작하는데 불리한 요소가 된다. 또한 소용량의 회수 용기가 사용되는 경우, 회수 용기는 비교적 짧은 주기로 채워져야 하고 그 교환 빈도는 높게 되어, 상술한 귀찮은 유지 보수 작업을 자주 반복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회수 현상제를 위한 회수 용기에 더해 교환 부품을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장치의 대형화 등을 초래하지 않고 회수 용기의 유지 보수 등의 시기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현상제로 화상을 형상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제 중에서 회수해야 할 회수 현상제가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 회수 현상제를 수용하는 회수 용기,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에서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를 회수하고 반송하기 위해 회수 용기와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을 접속하는 반송 부품 및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교환 부품을 가지며, 회수 용기는 교환 부품과 일체화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제로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01)로서, 현상제 중에서 회수해야 할 회수 현상제가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03), 회수 현상제를 수용하는 회수 용기(04),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03)에서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를 회수하고 반송하기 위해 회수 용기(04)와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03)을 접속하는 반송 부품(05) 및 장치 본체(01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교환 부품(02)을 가지며, 회수 용기(04)는 교환 부품(02)과 일체화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현상제는 주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색의 미분체(colored fine powder)이고, 구체적으로는 토너를 주요 구성 요소로 갖는 1성분 현상제, 토너와 캐리어를 주요 구성 요소로 갖는 2 성분 현상제 등이다. 이 현상제 중에서 회수되는 회수 현상제로서,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미전사 현상제 등 사용되지 않는 것 또는 트리클 현상 시스템에 의해 회수되는 것을 열거할 수 있다.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03)으로서, 회수 용기(04)로 회수해야 할 회수 현상제가 발생하는 부품이 있다면 어느 부품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현상제를 제거하고 회수하는 세정 장치, 트리클 현상 시스템을 채용하는 (즉, 회수 현상제가 발생하는)현상 장치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이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03)은 교환 작업을 목적으로 장치 본체(01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03)은 대개 잔여 상태에서 (유지 보수 및 점검 등의 특별한 경우에만 착탈 가능하게) 장치 본체(01A)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처럼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03)이 장착되는 경우, 교환 작업을 요하는 회수 용기(04)는 반드시 이러한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03)으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회수 용기(04)의 유지 보수 등의 시기에 편리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본 발명으로부터 이끌어내는 이점이 크게 된다.
교환 부품(02)에 장착되는 회수 용기(04)는 이 회수 용기(04)가 소정 량의 회수 현상제를 수용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 수량에 있어서는 한 개가 바람직하다. 복수의 회수 용기(04)가 있는 경우, 회수 용기(04)의 장착 대상이 되는 교환 부품(02)이 동일한 수로 존재할 필요가 있다. 또한 회수 용기(04)의 크기 및 형상에 있어서도, 회수 용기(04)는 교환 부품(02)의 착탈 시에 이동 방향으로 볼 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측방으로 (직교 방향의 단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크기 및 형상을 가져야 한다. 이 회수 용기(04)는 필요에 따라 그 용기에 누적 수용되는 회수 현상제를 교반(stirring) 또는 균평(leveling) 가능한 부재로 설치할 수 있다.
반송 부품(05)은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03)에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를 회수하고 그것을 회수 용기(04)로 반송할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회수 현상제를 반송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반송 파이프 등의 반송 통로 부재, 그 반송 통로 부재 내에 회수 현상제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 오거 등의 회수 현상제 공급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열거할 수 있다. 이 반송 부품(05)은 통상 그 회수 용기(04)와 결합하는 측(05a)이 회수 용기(04)의 교환 시에 그 용기(04)로부터 이간되는 것이 가능한 결합 구조로 설치된다.
교환 부품(02)으로서, 부품은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므로 그 교환 시기가 도래하여 장치 본체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어, 그 전체(또는 회수 용기를 제외한 부위)가 새로운 교환 부품(부위의 경우, 그 부위를 구성하는 새로운 부품)으로 교환되어야 할 때까지 사용 가능하다. 이 교환 부품(02)의 착탈 시에 이동 방향(D: 도 1의 (b) 참조)은 예컨대 장치 본체(01A)의 상면 방향(본체 상면부를 통과하는 방향), 측면 방향(본체 측면부를 통과하는 방향)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교환 부품(02)으로서, 예를 들면 현상제에 의해 구성되는 화상을 운송하는 드럼 형상, 벨트 형상 등의 광전도체, 중간 전사 유닛 등에 의해 구성되는 적어도 화상 캐리어를 갖는 교환 부품을 열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으로부터 이끌어내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얻는 관점에서, 이 교환 부품(02)은 바람직하게는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이 아니어야 한다. 복수의 교환 부품(02)이 존재하는 경우, 그들 중 하나에 회수 용기(04)가 장착된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에서, 회수 용기는 교환 부품(02)과 일체화되도록 장착된다. 회수 용기(04)를 장착하는 모드로서, 예컨대 회수 용기(04)에 수용되는 회수 현상제의 최종 처리 및 그 용기의 재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회수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교환 부품(0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야 한다. 복수의 교환 부품(02)이 있는 경우, 복수의 회수 용기(04)를 또한 준비할 수 있으며, 회수 용기(04)는 복수의 교환 부품(02)의 전부 또는 일부(한 개는 제외)에 배분되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교환 부품(02)에 대한 회수 용기(04)의 장착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회수 용기(04)는 바람직하게는 교환 부품(02)의 착탈 시의 교환 부품(02)의 이동 방향(D)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 경우, 회수 용기(04)는 또한 교환 부품(02)의 착탈 시에 필요한 이동 공간(E: 도 1의 (a) 및 도 1의 (b) 참조)으로 교환 부품(02)과 일체화되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회수 용기(04)를 부가하는 위치에 의해 이동 공간(E)을 크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점에서, 회수 용기(04)가 교환 부품(02)의 이동 방향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위에 장착되는 경우, 회수 용기(04)의 이동을 위한 여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어쩌면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교환 부품(02)에 대한 회수 용기(04)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 회수 용기(04)는 교환 부품(02)의 하면 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교환 부품(02)의 하면 부위가 또한 교환 부품(02)의 착탈 시의 이동 방향으로 전방측 혹은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술한 부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교환 부품(02)의 이동 공간(E)을 특별히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교환 부품(02)의 하면 부위가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03)의 최하부보다 더 아래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회수 현상제 하면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반송 부품(05)에 의한 회수 현상제의 반송을 양호하게 행하게 하므로 이 배열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회수 용기(04)가 장착되는 교환 부품(02)의 착탈 시에 개폐되는 커버(06)를 갖고 있는 경우, 반송 부품(05)은 커버(06)의 개폐 동작과 함께, 반송 부품(05)이 회수 용기(04)에 결합하는 위치와 반송 부품(05)이 회수 용기(04)로부터 이간된 위치 간에 변위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커버(06)가 개폐되기 때문에, 회수 용기(04)를 향해 또는 회수 용기(04)로부터 반송 부품(05)의 이동은 자동으로 행해진다. 그러므로 회수 용기(04)의 착탈 작업을 수행하기가 더 용이해진다.
상술한 커버(06)는 일반적으로 어떤 지점(fulcrum)에 대해 진동함으로써 개폐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커버(06)는 필요에 따라 슬라이드에 의해 개폐되는 형식이 될 수도 있다. 이 때, 커버(06)와 반송 부품(05) 사이에 배치되어 그 커버(06)의 개폐 동작에 수반되는 운동(회전 운동 등)을 상술한 각각의 위치로 (예를 들면 화살표 H의 방향으로) 반송 부품(05)의 변위를 위해 필요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동력으로 변환하고 그것을 반송 부품(05)으로 전달할 수 있는 메커니즘(07)을 채택함으로서 그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교환 부품(02)의 개폐 시에 교환 부품(02)으로부터 이간된 위치로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03)을 변위할 필요가 있는 경우,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03)은 또한 상술한 반송 부품(05)과 동일한 방법으로 커버(06)의 개폐 동작과 연동되어, 교환 부품(02)에 근접한 위치 및 교환 부품(02)으로부터 이간된 위치로 변위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회수 용기(04)의 교환 시기를 검출하는 제 1 검출부 및 회수 용기(04)가 장착되는 교환 부품(02)의 교환 시기를 검출하는 제 2 검출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검출부 및 제 2 검출부 중 어느 하나가 교환 시기를 검출한 경우 교환 부품(02)의 교환을 촉구하는 정보를 발행하는 부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환을 촉구하는 정보를 발행하는 부위는 예를 들면 교환을 촉구하는 메시지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 또는 소정의 처리 유닛에 교환을 촉구하는 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부위가 있다. 이 경우, 적어도 교환 부품(02) 및 회수 용기(04) 중 하나가 교환 시기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 등은 교환을 촉구하는 정보를 근거로 그 교환 부품(02)을 교환한다. 동시에, 교환 부품(02)과 함께 일체화된 상태에 있는 회수 용기(04) 또한 교환되어 이 배열은 편리하다.
교환 부품(02)을 위한 제 2 검출부는 회수 용기(04)를 위한 제 1 검출부보다 더 이른 시기에 교환 시기를 검출하도록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컨대 낮은 검출 정확도를 갖는 검출부가 제 1 검출부로 채택되더라도, 검출 대상의 회수 용기(04)는 교환 부품(02)과 함께 회수 용기(04)가 충만하게 되기 전에 확실하게 교환될 수 있다.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부착된 회수 용기(04)를 가진 교환 부품(02)을 교환을 위해 장치 본체(01A)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회수 용기(04)는 또한 교환 부품(02)과 일체화된 장치 본체(01A)로부터 동시에 제거된다. 그리고 이렇게 제거된 교환 부품(02) 및 회수 용기(04)는 일체화된 상태의 새로운 교환 부품 및 회수 용기가 장치 본체(01A)에 대신 장착되는 동안 적절히 처리된다. 따라서 회수 용기(04)는 교환 부품(02)과 함께 동시에 교환된다.
그 결과,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가 회수 용기(04)의 교환 작업 및 교환 부품(02)의 교환 작업을 분리하여 수행할 필요 없이 하나의 공정으로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회수 용기(04) 등의 유지 보수 시에 포함되는 귀찮은 일이 경감되고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프린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들 중에 도 2는 컬러 프린터(1)의 전체(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예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개폐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개폐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개폐 커버가 열리고 교환 부품이 장착 또는 제거된 상태를 예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프린터의 전체 구성>
이 컬러 프린터(1)는 옐로(Y, yellow), 마젠타(M, magenta), 시안(C, cyan) 및 흑색(K, black)의 4 색으로 구성된 토너 화상을 전용으로 형성하는 촬상 엔진이 직렬로 배열되어 있는 소위 탠덤 형식 프린터이다. 컬러 프린터(1)는 단색(주로 흑색) 화상에 부가하여 상술한 4 색의 토너 화상을 적절히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컬러(다색)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프린터(1)는 그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촬상 엔진을 구성하는 화상 운송 유닛(2), 노광 유닛(3) 및 현상 유닛(4) 뿐만 아니라 최종 전사 유닛(5), 용지 공급 유닛(6), 정착 유닛(7) 등이 배열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들 부재 중에 하우징(10)은 지지 프레임(11), 외장 부재(12) 등의 구성 부품을 사용하여 소정의 형상 및 구조로 조립되는 3 차원 구조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하우징(10)에서, 외장 부재(12)에 의해 구성된 거의 박스 형태의 외부 형상으로 일 측면부가 그것에 대면하여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이 프린터(1)의 사용자 등을 위한 작업 표면부(10A)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상면부의 일부는 인쇄된 후 배출되는 기록 용지(P)를 수용하기 위하여, 경사면을 가진 용지 배출부(10B)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프린터(1)는 작업 표면부(10A)로 형성된 하우징(10)의 부위(정면 커버)가 그 하면에 위치한 피벗 축(13a)에 대해 진동함으로서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1)는 용지 배출부(10B)로 형성된 그 상면부(상면 커버)(10C)가 그 한쪽 단부측에 위치하는 피벗 축(13b)에 대해 진동함으로서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 표면부(10A)에 있어서, 그 배열은 최종 전사 유닛(5) 및 정착 유닛(7)이 그 위에 장착되고, 작업 표면부(10A)의 개폐 동작 시에 일체로 진동 및 변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개폐 구조가 채택되므로,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소정의 구성 부품(예를 들면 화상 운송 유닛(2) 및 현상 유닛(4))은 노광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필요한 작업(유지 보수 작업, 잼 용지 제거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프린터(1)에서 화상 운송 유닛(2)은 교환 부품으로 취급되므로, 화상 운송 유닛(2)은 도 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유닛 중에서 화상 운송 유닛(2)은 주로 화상 형성 공정에 포함되는 상술한 4 색의 토너 화상을 운송할 수 있는 광전도체 및 중간 전사 유닛 등 화상 캐리어가 일체로 장착되어, 그 화상 캐리어의 수명에 도달한 단계 등에 대응하여 교환 작업을 요청하는 공정 카트리지이다. 도 4, 도 7, 도 8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면 형상이 거의 사다리꼴인 내부 공간을 갖는 형태의 유닛 프레임(20)에는 다음의 것들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이들은 4 색(Y, M, C 및 K)의 토너 화상이 전용으로 형성되는 4 개의 광전도체 드럼(21Y, 21M, 21C 및 21K); 각 광전도체 드럼(21)(Y, M, C 및 K)의 주위 표면을 소정의 배경 전위로 대전하는 대전 롤러(22); 각 광전도체 드럼(21)의 주위 표면에 잔류 및 부착되는 토너 등을 각각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토너 일시 유지 브러시 롤러(23); 4 개의 광전도체 드럼(21) 상에 토너 화상을 전사 및 운송하는 2 개의 제 1 중간 전사 드럼(25, 26); 2 개의 제 1 중간 전사 드럼(25, 26) 상에 토너 화상을 전사 및 운송하는 제 2 중간 전사 드럼(27); 및 각 광전도체 드럼(25, 26 및 27)의 주위 표면에 잔류 및 부착되는 토너 등을 각각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토너 일시 유지 브러시 롤러(28)이다.
광전도체 드럼(21) 상의 토너 화상을 제 1 중간 전사 드럼(25, 26)에 각각 정전기적으로 일차 전사하기 위해, 소정의 전위(예를 들면, +250~500V 정도)로 드럼 표면 전위를 유지하는 제 1 전사 바이어스가 미도시된 바이어스 전원으로부터 제 1 중간 전사 드럼(25, 26)에 인가된다. 또한 제 1 중간 전사 드럼(25, 26) 상의 토너 화상을 제 2 중간 전사 드럼(27)에 정전기적으로 이차 전사하기 위해, 소정의 전위(예를 들면, +650~1200V 정도)로 드럼 표면 전위를 유지하는 제 2 전사 바이어스가 미도시된 바이어스 전원으로부터 제 2 중간 전사 드럼(27)에 인가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운송 유닛(2)에는 그 유닛 프레임(20)의 상면부(20C) 상에 경사 수용식 핸들(29)이 설치된다. 이 배열은 화상 운송 유닛(2)의 착탈 작업이 상기 핸들(29)을 높여서 수동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수행되도록 제공된다. 또한 화상 운송 유닛(2)은 그 유닛 프레임의 측면부(20A, 20B) 및 하면부가 하우징(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위치하면서 유지되도록 배열된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 상면측의 개폐 커버(10C)가 개방된 상태에서, 화상 운송 유닛(2)은 거의 수직으로 상승하는 방식으로 하우징(10)으로부터 제거되거나, 또는 거의 수직으로 하강함으로서 하우징(10)의 장착 부위에 수용되면서 장착될 수 있다.
도 8 등에서 참조 번호 20e는 유닛 프레임(20)의 각 측면부(20A, 20B)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현상 유닛(4)에서 현상 롤러(42)의 베어링부(42a)에 맞추어져 유지되는 베어링 유지 홈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 번호 21a는 광전도체 드럼(21)의 베어링을 나타내고, 25a, 26a 및 27a는 중간 전사 드럼(25, 26 및 27)의 베어링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 번호 20M은 제 2 중간 전사 드럼(27)에 의해 형성된 최종 전사 위치로 반송되는 기록 용지(P)를 유도하는 용지 반송 유도 리브를 나타낸다.
노광 유닛(3)은 화상 운송 유닛(2)의 각 광전도체 드럼(21)에 대해 노광을 행하므로 정전 잠상을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광 유닛(3)은, 현상 유닛(4)이 개재된 화상 운송 유닛(2)의 광전도체 드럼 배치측의 하우징(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설치된다. 이 노광 유닛(3)은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학 시스템 부품 등을 박스 형상의 유닛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적절히 배치함으로 구성된다. 광학 시스템 부품에는 미도시된 반도체 레이저 등의 광원뿐만 아니라,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광전도체 드럼(21) 상에 그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속 Bm을 유도함으로서 주사 노광을 행하는 다면경, 반사경, 각종 렌즈 등이 포함된다. 또한, 프린터(1)에 입력되는 (컬러) 화상 정보를 미도시한 화상 처리부에 의해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한 후의 화상 신호가 노광 유닛(3)에 입력된다.
광전도체 드럼(21)은 현상 유닛(4)에서 노광 간극(도 7 참조)을 통해 상기 광속 Bm(도 4 참조)으로 각각 주사 노광을 행하므로, 상술한 노광 유닛(3)은 각 광전도체 드럼(21) 상에 소정의 전위로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조절되어 있다.
현상 유닛(4)은 노광 유닛(3)으로부터의 노광에 의해 화상 운송 유닛(2)의 각 광전도체 드럼(21) 상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유닛(4)은 화상 운송 유닛(2)과 노광 유닛(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7, 도 9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현상 유닛(4)은 4 색(Y, M, C 및 K)의 현상제로 현상을 행하는 4 개의 현상 장치(41Y, 41M, 41C 및 41K)가 각 광전도체 드럼(21)에 대해 면대면(face-to-face) 관계로 설정되도록 각각 인접한 것 간에 제공되는 간격으로 수직 병치되는(vertically juxtaposed) 위치 관계로, 장방체상의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형 유닛 프레임(서브프레임)(40)의 공간에 장착된다. 화상 운송 유닛(2)의 광전도체 드럼(21)을 향해 노광 유닛(3)으로부터 노광되는 광속 Bm의 통과를 위한 관통하는 광로 공간 S가 각 현상 장치(41)의 상부측에 확보(형성)되어 있다.
각 현상 장치(41)(Y, M, C 및 K)는 (비자성)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2 성분 현상제를 사용하여 소위 자성 브러시 현상을 행하는 2 성분 현상 장치이다. 도 7, 도 10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현상 장치(41)는 소정의 아주 작은 간극을 유지하면서 광전도체 드럼(21)에 인접하여 면대면 관계로 회전 구동되는 현상 롤러(42); 이 현상 롤러(42)에 2 성분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해 회전하는 패들(43); 현상 장치(41)의 현상제 순환/수용부에 수용된 2 성분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패들(43) 측으로 순환 반송하기 위해 회전하는 2 개의 오거(44, 45); 및 현상 롤러(42)에 공급되는 2 성분 현상제를 일정한 층 두께로 제한하는 층 두께 제한 부재(46)로 주로 구성된다. 이들 구성 부재는 현상 장치(41)의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또한, dc 성분이 ac 성분에 중첩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미도시된 바이어스 전원으로부터 현상 롤러(42)에 인가되도록 조절된다.
현상 롤러(42)는 원통형의 회전 슬리브 내에 자석 롤러를 설치함으로 형성된다. 패들(43)은 복수의 평면깃(plate vane)이 회전축에 그 축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수직으로 제공됨으로 형성된다. 오거(44, 45)는 회전축 주위에 반송깃(transporting vane)을 나선으로 권선(winding)함으로 형성된다. 현상제 순환/수용부는 장치 하우징의 일부를 서로 평행하게 중앙 격벽(47)이 개재되고 양 단부에서 서로 연통하는 2 개의 순환/반송 오목부(48A, 48B)로 구분하므로 형성된다. 오거(44, 45)는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순환/반송 오목부(48A, 48B)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도 11 참조; 도면의 백색 화살표는 현상제가 순환 반송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유닛 프레임(40)에 장전되는 현상 장치(41)는 사용하는 경우, 현상 롤러(42)의 베어링부(42a)가 화상 운송 유닛(2)의 유닛 프레임 측면부(20A, 20B)에서 베어링 유지 홈(20e)에 끌어당길 수 있는 방식으로 각각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결과, 현상 롤러(42)는 화상 운송 유닛(2)의 광전도체 드럼(21)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적절히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현상 유닛(4)에서, 2 성분 현상제가 각 현상 장치(41)의 오거(44, 45)에 의해 교반 및 반송되고 패들(43)을 통해 현상 롤러(42)로 공급되는 경우, 현상 롤러(42) 상의 층 두께 제한 부재(46)의 통과는 일정한 층 두께로 제한된 자기 브러시를 형성한다. 이어서, 자기 브러시로 구성되는 2 성분 현상제는 현상 바이어스가 인가된 상태에서 광전도체 드럼(21)의 표면에 미끄러지면서 마찰 접촉하는 방식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자기 브러시의 토너는 광전도체 드럼(21) 상의 정전 잠상부(화상부)에 단지 정전기적으로 부착되어,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최종 전사 유닛(5)은 화상 운송 유닛(2)의 제 2 중간 전사 드럼(27) 상에 전사 및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용지(P)에 최종적으로 전사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 표면부(10A)로 기능하는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있다. 이 최종 전사 유닛(5)은 제 2 중간 전사 드럼(27)에 접하여 전사 닙부(transfer nip portion)를 형성하는 최종 전사 롤러(51)를 회전 가능하게 그 유닛 프레임에 장착함으로 주로 구성된다. 제 2 중간 전사 드럼(27) 상의 토너 화상을 정전기적으로 기록 용지(P) 상에 최종적으로 전사하기 위한 제 2 전사 바이어스가 미도시된 바이어스 전원으로부터 최종 전사 롤러(51)에 인가된다. 또한 최종 전사 롤러(51)에는 세정 블레이드 등 세정 장치가 설치된다.
용지 공급 유닛(6)은 복수의 기록 용지(P)를 적층하여 수용하는 용지 공급 트레이(60)뿐만 아니라, 이 용지 공급 트레이(60)에 적층된 기록 용지(P)를 한 장씩 송출하기 위한 픽업 롤러(62a), 분리 롤러(62b) 등을 포함하는 송출 메커니즘(62)으로 주로 구성된다. 이 용지 공급 유닛(6)으로부터 송출된 기록 용지(P)는 용지 공급 롤러 쌍(65a, 66b), 정합 롤러 쌍(66), 용지 반송 가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용지 공급로(67)를 통해 화상 운송 유닛(2)의 제 2 중간 전사 드럼(27)과 최종 전사 유닛(5)의 최종 전사 롤러(51) 간의 닙(nip)으로 소정의 시기에 반송 및 공급된다.
정착 유닛(7)은 유닛 프레임, 가열 램프가 롤러 공간의 내부에 내장된 가열 롤러(71), 이 가열 롤러(71)와 가압 접촉하여 회전하는 가압 롤러(72) 및 용지 배출 롤러(73)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서, 참조 번호 75는 정착된 기록 용지(P)를 상술한 용지 배출부(10B)로 배출하기 위한 용지 배출구, 76은 정착된 기록 용지(P)를 용지 배출부(10B)로 배출하기 위한 한 쌍의 배출 롤러, 그리고 77은 한 쌍의 용지 반송 롤러(65c), 용지 반송 가이드 등에 의해 형성된 양면 인쇄 시의 반전 재송로(inverting refeeding path)를 나타낸다.
<트리클 현상으로 발생하는 현상제의 회수에 관한 구성>
도 7, 도 10, 도 11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컬러 프린터(1)는 현상 유닛(4)에서 4 개의 현상 장치(41)(Y, M, C 및 K)로 이미 기술된 트리클 현상 시스템을 채용하는 2 성분 현상 장치를 사용한다. 트리클 현상 시스템을 채용한 결과로서, 각 현상 장치(41)로부터 넘쳐서 배출되는 여분의 모든 2 성분 현상제(회수 현상제)는 화상 운송 유닛(2)의 하부(저부)측에 설치된 하나의 현상제 회수 박스(8)에 일괄적으로 회수되도록 배열된다. 각 현상 장치(41)로부터 배출된 회수 현상제(15)는 각 현상 장치(41)와 현상제 회수 박스(8)를 접속하는 관상의(tubular) 현상제 반송 부품(9)에 의해 반송된다.
우선, 트리클 현상 시스템이 채용된 사실에 비추어 현상 장치(41)에는 토너뿐만 아니라 캐리어를 포함하는 2 성분 현상제가 보급된다. 이와 같은 보급은 2 성분 현상제를 미도시된 2 성분 현상제 용기(카트리지식 병)로부터 현상제 보급 유닛을 통해 현상제 순환/수용부(48B)의 소정 부위로 소정의 시기에 적당량만큼 반송함으로서 행해진다. 한편, 오거(44, 45)에 의해 순환 반송된 2 성분 현상제의 일부(여분)를 넘치게 하기 위한 현상제 배출구(49)는 그 현상제 순환/수용부(48B)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다.
현상제 회수 박스(8)는 화상 운송 유닛(2)의 저면부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상면부가 개방되어 장방형으로 형성된 박스 본체(80)로 구성되어 있다. 박스 본체(80)는 그 개방된 상면부를 화상 운송 유닛(2)의 유닛 프레임(20)의 저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체화된다.
이 박스 본체(80)에서, 현상제 반송 부품(9)에 대한 결합구(81)는 세로 방향의 한쪽 단부의 측벽 면에 형성되어 있고, 개폐 커버(82)는 현상제 반송 부품(9)의 결합 작업에 의해 어떤 피벗 축(83)에 대해 진동함으로서 결합구(81)를 개폐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개폐 커버(82)는 나선형의 스프링에 의해 결합구(8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또한 박스 본체(80)의 현상제 수용 공간에서, 세로 방향을 따라 나선으로 권선되어 있는 형태의 현상제 교반/균평 부재(84)는 회전하면서 구동되도록 설치된다. 도면의 참조 번호 85는 예를 들면 현상 장치(41)의 구동 시스템의 회전력을 수신함으로서 현상제 교반/균평 부재(84)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 기어를 나타낸다.
현상제 반송 부품(9)은 각 현상 장치(41)의 상술한 현상제 배출구(49)로부터 넘치는 2 성분 현상제를 자연 낙하하게 하고 회수하기 위한 회수 관상부(collecting tubular portion)(91)뿐만 아니라, 이 회수 관상부(91)에 의해 회수된 2 성분 현상제를 현상제 회수 박스(8)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관상부(92)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회수 관상부(91)에는 각 현상 장치(41)의 후방부와 밀착하여 대각선 아래로부터 현상제 배출구(49)에 접속되는 현상제 수신부(93)를 각각 갖는 접속부(94)가 4 개의 현상 장치(41)(Y, M, C 및 K)의 후방부(현상 롤러(42)가 설치되는 단부와 반대 측의 단부)에 연속하는 방식으로 배치된 공동 구조의 관상 본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관상부의 내부는 회수 현상제가 자유 낙하하는 직선 공동(95)이다. 한편, 반송 관상부(92)는 회수 관상부(91)의 하단부에 연통하여 접속되는 하나의 단부를 갖는 원통형의 관상 본체의 내부 공간에, 그 회수 관상부(91)에서 회수되어 낙하하는 2 성분 현상제를 회수 박스(8)로 반송하기 위해 회전 구동되도록 회전 반송 부재(예를 들면, 오거)(96)가 설치됨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송 관상부(92)에 있어서, 그 선단부(92a)는 회수 박스(8)의 박스 본체(80)의 상술한 결합구(81)에 삽입된다. 반송 관상부(92)는 그 선단부(92a)가 삽입되는 경우, 폐쇄된 상태에서 개폐 커버(82)를 밀어서 열 수 있는 치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현상제 반송 부품(9)은 현상 유닛(4)의 유닛 프레임(40)에 고정된 상태에서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도 7, 도 9 및 도 11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 반송 부품(9)의 회수 관상부(91)는 유닛 프레임(40)에 부착된 각 현상 장치(41)의 후방부에 접속된 상태로 설정되도록 부착되는 한편, 그 반송 관상부(92)는 최하단의 현상 장치(41K)의 하면부에서 통과하여 그 선단부(92a)가 회수 박스(8)와 대향하는 측으로 돌출한다.
또한, 화상 운송 유닛(2)의 교환 시에 현상제 회수 박스(8)는 화상 운송 유닛(2), 즉 교환 부품과 일체화되어 장착되므로, 반송 관상부(92)의 선단부(92a)는 회수 박스(8)(그 결합구(81))로부터 이간되는 위치로 변위된다. 따라서 화상 운송 유닛(2) 및 회수 박스(8)의 착탈 작업을 방해하는 요인은 제거된다.
<현상제 반송 부품이 개폐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변위하는 구조>
특히, 이 예에서 채택된 다음의 구조를 아래와 같이 기술한다. 현상 유닛(4)은 상면 개폐 커버(10C)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화상 운송 유닛(2)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이간 위치)와 화상 운송 유닛(2)에 결합하는 위치(결합 위치) 간에 변이되고, 이 현상 유닛(4)에 부착되는 현상제 반송 부품(9)도 또한 동시에 회수 박스(8)로부터 이간된 위치(이간 위치)에 변위되어 있다. 즉, 도 9 및 도 11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유닛(4)의 유닛 프레임(40)은 그 측면 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유도 플레이트(100A, 100B)에 의해 이간된 위치 및 결합 위치 간에 진퇴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개폐 커버(10C)의 개폐 동작에 의해 대각선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조절된다.
이 메커니즘에서 도 9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홈(40e)이 수직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현상 유닛(4)의 유닛 프레임(40)의 각 슬라이드부(40A, 40B)에 형성된다.
한 쌍의 유도 플레이트(100A, 100B)는 각각 상단부가 외측으로 한번 굴곡된 후 수직으로 상승하도록 다시 굴곡되어 형성된 굴곡 상단부(101)를 갖는 형상의 긴 플레이트이다. 또한 유도 플레이트(100A, 100B)는 유닛 프레임(40)의 상술한 슬라이드 홈(40e)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 플레이트 본체의 내면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림부(102)를 갖는다. 또한 개폐 커버(10C)에 형성된 캠 홈(또는 홀)(15)에 설치되는 맞물림 돌기(103)는 상부 굴곡부(101)의 내면에 형성된다. 또한 맞물림 돌기(104)는 현상 유닛(4) 등의 측면 상에 각각 배치된 하우징(10)의 지지 프레임(11A, 11B)에 형성된 복수의 경사 유도 홀(1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 본체의 외면상에 형성된다.
개폐 커버(10C)의 캠 홈(15) 및 지지 프레임(11A, 11B)의 경사 유도 홀(16)은 유도 플레이트(100A, 100B)가 그 피벗 축(13B)에 대한 커버(10C)의 열림 동작(회전 운동)에 의해 상승되는 경우, 회전 운동이 화상 운송 유닛(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 플레이트(100A, 100B)의 대각선 위쪽의 변위 운동으로 변환됨으로 형성된다. 캠 홈(15)은 개폐 커버(10C)가 폐쇄된 상태에서 피벗 축(13B)의 하면 상에서 피벗 축(13B)에서 이간된 위치로부터 점차 피벗 축(13B)과 근접한 위치로 접근하도록 연장되는 거의 아치형 선(arcuate line)으로 묘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유도 홀(16)에 있어서, 그 하단부는 수직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거의 연장되는 드롭인 위치 홀부(drop-in positioning hole portion)(16a)로 형성되는 반면, 그 드롭인 위치 홀부(16a) 위쪽의 상단부는 화상 운송 유닛(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에서 직선으로 대각선 위쪽으로 연장되는 경사 신장 홀부(inclined elongated hole portion)(16b)로 형성된다.
유도 플레이트(100A, 100B)는 각각 개폐 커버(10C)의 캠 홈(15)에서 그들의 상부 굴곡부(101)에 맞물림 돌기(103)를 설치하고, 그들의 플레이트 본체 상의 복수의 맞물림 돌기(104)를 각각 대응하는 지지 프레임(11A, 11B)의 경사 유도 홀(16)에 설치함으로서 부착된다. 그 결과, 유도 플레이트(100A, 100B)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현상 유닛(4)의 양 측면 상에 위치하도록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대면하는 상태에서 설치된다.
상술한 방식으로 설치된 유도 플레이트(100A, 100B)에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피벗 축(13B)에 대해 개폐 방향(f1 또는 f2)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들의 맞물림부(102)는 캠 홈(15)에 의해 떠 올린 상태에서 상승 또는 하강한다. 동시에, 그들의 맞물림 돌기(104)는 각각 경사 유도 홀(16)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승 또는 하강 방향(g1 또는 g2)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유도 플레이트(100A, 100B)는 고정된 지지 프레임(11A, 11B)에서 볼 때, 수직 방향(m1 또는 m2)으로 거리 H를 이동(변위)하고, 동시에 수평 방향(q1 또는 q2)으로 거리 L을 이동한다. 이 때, 유도 플레이트(100A, 100B)는 그들의 맞물림 돌기(104)가 경사 유도 홀(16)의 드롭인 위치 홀부(16a)에 위치하게 되므로 수평 방향(q1 또는 q2)에 대해 위치하게 된다.
다음, 현상 유닛(4)은 설치된 상태에서 위로부터 유도 플레이트(100A, 100B)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하강하고, 각 플레이트(100) 상의 슬라이드 가능한 맞물림부(102)는 그 유닛 프레임(40)의 양 측면의 슬라이드 홈(40e)에 설치된다. 따라서 현상 유닛(4)은 유도 플레이트(100A, 100B)에 대해 수직 방향(m1 또는 m2)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된다. 이 때 현상 유닛(4)은 하우징(10)에 형성된 수평 설치 면부(11E)(도 14 및 도 15 참조)에 의해 아래쪽 방향 m2에 대해 지지(제한)되도록 조절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수평 설치 면부(11E)는 현상 유닛(4)의 각 현상 장치(41)에서 현상 롤러(42)의 베어링(42a)이 수평 방향에 대해 화상 운송 유닛(2)의 각 프레임 측면부(20A, 20B)에서 베어링 유지 홈(20e)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유도 플레이트(100A, 100B)에 의해 지지되는 현상 유닛(4)에 있어서, 도 14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커버(10C)가 그 피벗 축(13B)에 대해 개폐 방향(f1 또는 f2)으로 이동하는 경우, 유도 플레이트(100A, 10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q1 또는 q2) 및 수직 방향(m1 또는 m2)으로 이동하도록 동작한다. 그 결과, 현상 유닛(4)은 최종적으로 유도 플레이트(100A, 100B)와 연동하여 (수평 설치 면부(11E) 상에서 슬라이드하는 방식으로) 수평 방향(q1 또는 q2)으로 동일한 거리 L을 이동한다. 또한 수직 방향(m1 또는 m2)으로의 유도 플레이트(100A, 100B)의 이동에 대해 현상 유닛(4)은 유도 플레이트(100A, 100B)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현상 유닛(4)은 수평 설치 면부(11E) 상에 장착을 유지하고 그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린터(1)에서 개폐 커버(10C)가 개폐 동작을 하는 경우, 현상 유닛(4)은 유도 플레이트(100A, 100B)에 의해 수평 방향(m1 또는 m2)으로 이동하고, 현상 유닛(4)에 부착된 현상제 반송 부품(9)도 또한 마찬가지로 연동되어 수평 방향(m1 또는 m2)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 반송 부품(9)에서 반송 관상부(92)의 선단부(92a)는 개폐 커버(10C)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수평 방향(m1 또는 m2)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반송 관상부(92)의 선단부(92a)는 회수 박스(8)의 박스 본체(80)의 결합구(8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위치(결합 위치)와 회수 박스(8)의 결합구(81)로부터 인출(pull-out)되어 이간되는 위치(이간 위치) 사이에 변위되도록 조절된다. 또한 이 때, 현상 유닛(4)의 현상 롤러(42)의 베어링부(42a)는 화상 운송 유닛(2)의 베어링 유지 홈(20e)에 설치되거나 인출되도록 변위된다.
<교환 부품의 교환 시기 관리에 관한 구성>
또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프린터(1)에는 회수 박스(8)가 회수 현상제로 충만하게 되어(충만 상태에 도달) 교환 시기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충만 검출부(210)뿐만 아니라, 화상 운송 유닛(2)의 임의의 광전도체 드럼(21) 등이 내용 수명의 끝에 근접하여 교환 시기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수명 검출부(220)가 설치된다. 충만 검출부(210)로서, 광센서가 채택되어 박스 본체(80) 내로 회수된 현상제 중에 충만 상태에 있는 현상제가 검출을 위한 광로(optical path)를 인터럽트하는 경우 충만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수명 검출부(220)로서 인쇄될 용지의 수를 누적하여 계수하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계수기가 사용된다.
또한 충만 검출부(210) 및 수명 검출부(220)로부터의 검출 정보는 프린터(1)의 시스템 제어 유닛(230)으로 입력된다. 교환 시기의 도래는 시스템 제어 유닛(230)에 의해 판단되고 화상 운송 유닛(2)의 교환을 촉구하는 정보(예를 들면, 경고 메시지)가 소정의 표시 유닛(240) 상에 표시된다.
시스템 제어 유닛(230)에 의한 교환 시기 도래의 판단은 두개의 검출부(210, 220) 중의 하나에 의한 교환 시기의 검출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은 충만 상태에 도달하였음을 나타내는 검출 정보가 충만 검출부(210)에 의해 입력된 경우, 또는 임계값을 초과하는 누적 계수값이 검출 정보로서 수명 검출부(220)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행해진다. 표시 유닛(240)은 프린터(1) 상에 설치된 작업 패널의 액정 화면이나, 프린터(1)를 사용하는 단말 장치(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의 표시 화면 등이다. 또한 충만 상태에 이르기 전에 회수 박스(8)의 확실한 교환을 실현하는 관점에서, 수명 검출부(220)가 충만 검출부(210)보다 더 이른 시기에 교환 시기를 검출하도록 조건을 설정한다면 충분하다.
<컬러 화상의 인쇄 동작>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프린터(1)에 의한 컬러 화상의 인쇄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먼저, 4 개의 광전도체 드럼(21)이 화상 운송 유닛(2)에 대전 롤러(2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후, 각각 대전된 광전도체 드럼(21)의 표면에 노광 유닛(3)으로부터 Y, M, C 및 K의 각 컬러로 분해된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레이저 빔 Bm이 인가된다. 이로써 프린터의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각 컬러의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다음, 광전도체 드럼(21) 상의 정전 잠상은 각각 현상 유닛(4)의 각 컬러의 현상 장치(41)에 의해 현상되고, Y, M, C 및 K 각 컬러의 토너 화상으로 가시화된다.
이어서, 광전도체 드럼(21) 상에 형성된 각 컬러의 토너 화상은 정전기적으로 제 1 중간 전사 드럼(25, 26)에 일차 전사된다. 즉, 광전도체 드럼(21Y, 21M) 상에 형성된 옐로 및 마젠타 토너 화상은 서로 위에 중첩되는 방식으로 마젠타 및 옐로의 순서로 제 1 중간 전사 드럼(25)에 연속하여 전사된다. 한편, 광전도체 드럼(21C, 21K) 상에 형성된 시안 및 흑색 토너 화상은 서로 위에 중첩되는 방식으로 시안 및 흑색의 순서로 제 1 중간 전사 드럼(26)에 연속하여 전사된다. 그 결과, 마젠타 토너 화상 및 옐로 토너 화상으로 구성된 다중 토너 화상은 제 1 중간 전사 드럼(25) 상에 형성되고, 시안 토너 화상 및 흑색 토너 화상으로 구성된 다중 토너 화상은 제 1 중간 전사 드럼(65) 상에 형성된다.
이어서, 제 1 중간 전사 드럼(25, 26) 상에 각각 형성된 다중 토너 화상은 정전기적으로 제 2 중간 전사 드럼(27)에 이차 전사된다. 따라서 제 1 중간 전사 드럼(25) 상의 토너 화상(하층 측으로부터의 M 및 Y) 및 제 1 중간 전사 드럼(26) 상의 토너 화상(하층 측으로부터의 K 및 C)이 각각 그 순서대로 제 2 중간 전사 드럼(27)에 전사됨으로서, 토너 화상이 하층 측으로부터 Y, M, C 및 K의 순서대로 중첩되는 다중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다음, 제 2 중간 전사 드럼(27)이 회전하므로, 4 색으로 구성된 이 다중 토너 화상은 다중 토너 화상이 최종 전사 롤러(51)와 가압 접촉되는 최종 전사부를 향하여 반송된다.
이와 같은 토너 화상의 형성과 맞추어 소정의 시기에 기록 용지(P)는 용지 공급 유닛(6)으로부터 최종 전사부를 향하여 공급된다. 즉, 수용 트레이(61)에 수용되는 단지 한 장의 기록 용지(P)가 용지 반송로로 송출되고, 기록 용지(P)는 정합 롤러(66)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된 후 소정의 시기에 그 정합 롤러(66)에 의해 최종 전사부로 공급된다. 따라서 제 2 중간 전사 드럼(27) 상의 4 색(Y, M, C 및 K)의 토너 화상은 제 2 중간 전사 드럼(27)과 최종 전사 롤러(51) 간의 압촉부(pressure contact portion)인 최종 전사부로 공급되는 기록 용지(P)에 일괄적으로 가압 상태에서 정전기적으로 전사된다.
다음, 4 색의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P)는 정착 유닛(7)으로 공급된다. 기록 용지(P)가 그 정착 유닛(7)의 가열 롤러(71) 및 가압 롤러(72) 간의 정착 닙을 통과하여 가열 및 가압되는 정착 처리가 된 후, 기록 용지(P)는 용지 배출부(10B, 10C)로 배출된다. 양면 인쇄가 행해지는 경우, 정착된 후 기록 용지(P)는 용지 배출부(10B)로 배출되는 도중에 대전 롤러 쌍(76)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정지된다는 점 유의해야 한다. 다음, 기록 용지(P)는 대전 롤러 쌍(76)의 역회전에 의해 그 공급 방향의 후단부로부터 반전 재송로(77)로 인입된 후, 기록 용지(P)는 정합 롤러 쌍(66)에 의해 소정의 시기에 최종 전사부로 다시 공급된다.
상술한 일련의 화상 형성 공정을 실행하므로 한 장의 기록 용지(P) 상에 완전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이 프린터(1)와 함께 트리클 현상 시스템이 채용되므로, 컬러 화상 등의 인쇄 작업 시에 2 성분 현상제가 그 현상 유닛(4)의 현상 장치(41)로 보급되는 경우, 그 2 성분 현상제의 잉여분은 현상제 순환/수용부(48B)의 현상제 배출구(49)로부터 유출된다(도 7 및 도 11 참조).
각 현상 장치의 이 현상제 배출구(49)로부터 유출되는 2 성분 현상제는 회수되어 현상제 반송 부품(9)의 회수 관상부(91)를 통해 자유 낙하된 다음, 회수 현상제(15)로서 그 반송 관상부(92)를 통해 회수 박스(8)로 반송되어 회수된다. 한편, 회수 박스(8)에 회수된 회수 현상제(15)는 그 박스 본체(80) 내부의 결합구(81) 근방에 점차 누적된다. 그러나 회수 현상제(15)는 현상제 교반/균평 부재(84)에 의해 교반되는 동안 박스 본체(80)의 가장 내부로 반송되어 균평화된다.
<화상 운송 유닛 및 회수 박스의 교환 작업>
이 프린터(1)에 있어서, 화상 운송 유닛(2)의 교환을 촉구하는 표시가 표시 유닛(240) 상에 제시되고 화상 운송 유닛(2)의 교환 시기가 도래한 경우, 그 화상 운송 유닛(2)의 교환을 실행한다. 그 교환 작업에서는, 하우징(10)의 작업 표면부(10A)가 먼저 개방된 후(도 5), 상면측의 개폐 커버(10C)가 개방 상태로 설정된다(도 6).
이 때, 특히 개폐 커버(10C)가 개방된 경우, 유도 플레이트(100A, 10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피벗 축(13B)에 대한 개방 동작과 연동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현상 유닛(4)은 수평 방향(q2)으로 거리 L을 이동하고 화상 운송 유닛(2)으로부터 이간된 위치로 변위된다(도 13 → 도 14). 그 결과, 현상 유닛(4)의 현상 롤러(42)의 베어링부(42a)는 화상 운송 유닛(2)의 베어링 유지 홈(20e)으로부터 인출되어 이간된 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동시에, 회수 현상제(15)를 반송하는 반송 관상부(92)의 선단부(92a)는 회수 박스(8)의 결합구(81)로부터 인출되어 이간된 상태로 설정된다(도 14). 결합구(81)는 반송 관상부(92)의 선단부(92a)가 인출될 때 개폐 커버(82)에 의해 폐쇄된다. 그 결과, 화상 운송 유닛(2)은 현상 유닛(4)과 현상제 반송 부품(9)의 접속 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가지므로 자유 상태로 설정된다.
다음, 이와 같은 상태에 있는 화상 운송 유닛(2)은 그 유닛 프레임(20)의 상면부(20A) 상에 배치된 핸들(29)이 수동으로 유지되어 수직 방향(m1)으로 상승될 때, 화상 운송 유닛(2)은 하우징(10)의 장착 부위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이 화상 운송 유닛(2)을 제거한 결과, 함께 일체화되어 장착된 회수 박스(8)도 또한 동시에 하우징(10) 내로부터 제거된다. 다음, 이 제거된 이전의 화상 운송 유닛(2) 및 회수 박스(8)는 적절히 처리된다(예를 들면, 필요한 처리 단계를 통해 재사용한다). 특히 이전의 회수 박스(8)가 화상 운송 유닛(2)의 프레임(20)으로부터 제거된 후, 그 박스에 회수되어 있는 회수 현상제(15)는 제거되어 적절히 처리된다.
한편, 제거된 이전의 화상 운송 유닛(2) 등의 대신에, 일체화된 상태의 새로운 화상 운송 유닛(2) 및 회수 박스(8)가 하우징(10)에 새로이 장착된다. 새로운 화상 운송 유닛(2) 및 회수 박스(8)의 장착 작업에서는, 개폐 커버(10C) 등이 개방된 상태에서 그 화상 운송 유닛의 프레임 상면부(20C) 상에 배치된 핸들(29)이 수동으로 유지되어 수직 방향(m2)으로 하강함으로써, 하우징(10)의 장착 부위에 새로운 화상 운송 유닛(2) 및 회수 박스(8)를 설정한다. 이어서, 개폐 커버(10C)가 폐쇄된 다음, 작업 표면부(10A)도 폐쇄된다.
특히 이때 개폐 커버(10C)가 폐쇄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도 플레이트(100A, 100B)는 그 폐쇄 동작과 연동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현상 유닛(4)은 수평 방향(q1)으로 이동하고 화상 운송 유닛(2)에 결합되는 위치로 변위된다(도 14 → 도 13). 그 결과, 현상 유닛(4)의 현상 롤러(42)의 베어링부(42a)는 화상 운송 유닛(2)의 베어링 유지 홈(20e)에 설치되어 결합된 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동시에, 회수 현상제(15)를 반송하는 현상제 반송 부품(9)의 반송 관상부(92)의 선단부(92a)는 개폐 커버를 밀어 올리기 위해 삽입될 때 회수 박스(8)의 결합구(81)에 결합된 상태로 설정된다(도 13). 그 결과, 현상 유닛(4)은 화상 운송 유닛(2)과 일체화된 상태로 설정되고, 회수 박스(8)는 사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다.
따라서 회수 박스(8)는 교환 부품인 화상 운송 유닛(2)과 동시에 교환될 수 있다.
또한 회수 박스(8)는 화상 운송 유닛(2)의 착탈 시에 인출 방향(위쪽 방향 m1)으로 볼 때 후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그리고 장착 방향(아래쪽 방향 m2)으로 볼 때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회수 박스(8)는 또한 화상 운송 유닛(2)의 착탈을 위해 필요한 이동 공간 내에서 화상 운송 유닛(2)과 일체화되어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러한 이동 공간의 폭을 크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프린터(1)가 대형화될 우려가 없다. 더욱이, 회수 박스(8)가 화상 운송 유닛(2)의 하면부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이동 공간을 넓게 할 필요가 없다. 특히 회수 박스(8)는 회수되는 회수 현상제가 발생하는 임의의 현상 장치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수 현상제는 회수 박스(8)로 용이하게 반송되어 회수될 수 있다.
또한 회수 박스(8)의 교환 작업에서, 현상제 반송 부품(9)은 회수 박스(8)를 결합하는 위치와 화상 운송 유닛(2)의 착탈에 필요한 개폐 커버(10C)의 개폐와 연동하여 회수 박스(8)로부터 이간되는 위치 사이에서 변위된다. 따라서 회수 박스(8)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수 박스(8)에 대한 반송 부품(9)의 이동 작업을 수동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어, 교환 작업 동안 사용자가 자신의 손이 더러워지는 것에 대해 염려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이와 같은 배열이 편리하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의 대형화 등을 초래하지 않고 회수 용기의 유지 보수 등의 시기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교환 부품 등을 장착 또는 제거한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컬러 프린터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컬러 프린터의 개폐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컬러 프린터의 IV-IV 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개폐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 개요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낸 화상 운송 유닛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개폐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 개요도.
도 7은 일체화된 상태의 화상 운송 유닛 및 회수 박스를 예시한 개략 단면도.
도 8의 일체화된 상태의 화상 운송 유닛 및 회수 박스를 예시한 사시도.
도 9는 현상 유닛 및 유도 플레이트를 예시한 사시도.
도 10은 회수 박스 및 현상제 반송 부품을 예시한 사시도.
도 11은 현상 장치 및 회수 박스 등의 관계를 예시한 설명도.
도 12는 현상 유닛의 변위 가능한 장착 구조를 예시한 설명도.
도 13은 개폐 커버가 폐쇄된 경우 현상 유닛 및 현상제 반송 부품의 상태(결합 위치에 있는 상태)를 예시한 설명도.
도 14는 개폐 커버가 개방된 경우 현상 유닛 및 현상제 반송 부품의 상태(이간 위치에 있는 상태)를 예시한 설명도.
도 15는 유도 플레이트의 이동 및 그에 수반되는 현상제 반송 부품의 상태(결합 위치 또는 이간 위치에 있는 상태)를 예시한 설명도.
도 16은 교환 시기의 관리에 관한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01 … 화상 형성 장치
01A … 장치 본체
02 … 교환 부품
03 … 현상제 발생 부품
04 … 회수 용기
05 … 반송 부품
06 … 커버
1 … 컬러 프린터
2 … 화상 운송 유닛
8 … 회수 박스
9 … 현상제 반송 부품
10 … 하우징(장치 본체)
15 … 회수 현상제
210 … 충만 검출부(제 1 검출부)
220 … 수명 검출부(제 2 검출부)

Claims (17)

  1. 현상제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현상제 중에서 회수해야 할 회수 현상제가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
    상기 회수 현상제를 수용하는 회수 용기;
    상기 회수 용기와 상기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을 접속하고 상기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에서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를 회수하여 반송하는 반송 부품; 및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교환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회수 용기는 상기 교환 부품과 일체화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는 상기 교환 부품의 착탈 시에 상기 교환 부품의 이동 방향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 상에 위치하는 부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는 상기 교환 부품의 하면 측 부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회수 용기를 장착한 상기 교환 부품의 착탈 시에 개폐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으로, 상기 반송 부품이 상기 회수 용기에 결합하는 위치와 상기 반송 부품이 상기 회수 용기로부터 이간되는 위치 사이에서 변위되도록 상기 반송 부품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의 교환 시기를 검출하는 제 1 검출부 및 상기 회수 용기를 장착하는 상기 교환 부품의 교환 시기를 검출하는 제 2 검출부; 및
    상기 제 1 검출부와 상기 제 2 검출부 중 어느 하나가 교환 시기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교환 부품의 교환을 촉구하는 정보를 발행하는 부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은 회수 현상제가 발생하는 현상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부품은 현상제로 이루어진 화상을 유지하는 화상 캐리어를 적어도 하나 갖는 공정 카트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현상제 발생 부품은 상기 회수 현상제를 제거하고 회수하는 세정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복수 컬러의 현상제로 현상을 행하는 현상 장치;
    상기 복수 컬러의 토너 화상을 수송하는 화상 캐리어가 일체적으로 장착되는 화상 운송 유닛;
    회수되는 회수 현상제를 수용하는 회수 박스; 및
    상기 각 현상 장치와 상기 회수 박스에 접속되며 상기 회수 현상제를 회수하여 반송하는 현상제 반송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현상 장치는,
    상기 화상 운송 유닛의 광전도체 드럼에 근접하여 회전하는 현상 롤러;
    상기 현상 롤러에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해 회전하는 패들(paddle); 및
    상기 현상제를 상기 패들로 반송하기 위해 회전하는 오거(aug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운송 유닛은,
    복수 컬러의 토너 화상을 각각 형성하는 광전도체 드럼;
    상기 광전도체 드럼 상에 상기 토너 화상을 전사하고 운송하는 제 1 전사 드럼; 및
    상기 제 1 전사 드럼 상에 상기 토너 화상을 전사하고 운송하는 제 2 전사 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박스는,
    상기 현상제 반송 부품에 결합하는 결합구;
    상기 결합구의 폐쇄 방향으로 구동하는 개폐 커버; 및
    상기 회수 박스에 수용되는 회수 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반송 부품은,
    상기 각 현상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회수 현상제를 회수하는 회수 관상부(collecting tubular portion); 및
    상기 회수 관상부에 의해 회수된 상기 회수 현상제를 상기 회수 박스로 반송하는 반송 관상부(transporting tubular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관상부는 상기 현상 장치의 후방부에 접속된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반송 관상부가 현상 장치 최하부의 하면부에서 통과하고 상기 반송 관상부의 선단부가 상기 회수 박스에 대향하는 측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반송 관상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는 유닛 프레임의 각 측면부에 슬라이드 홈을 갖는 상기 유닛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유닛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드 홈과 맞물리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화상 운송 유닛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와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화상 운송 유닛과 결합하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커버를 개폐함으로써 대각선으로 이동하도록 조절되는 상기 유닛 프레임의 측면 상에 배치된 한 쌍의 유도 플레이트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운송 유닛과 회수 박스를 교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면 상에 있는 개폐 커버를 개방하는 단계; 및
    현상 장치로부터 이간된 상기 화상 운송 유닛뿐만 아니라 현상제 반송 부품으로부터 이간된 상기 회수 박스를 위로 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운 화상 운송 유닛 및 새로운 회수 박스를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개폐 커버를 폐쇄하여 상기 새로운 화상 운송 유닛을 상기 현상 장치에 결합하고 상기 새로운 회수 박스를 상기 현상제 반송 부품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방법.
KR1020040073347A 2003-11-07 2004-09-14 화상 형성 장치 KR100643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78987 2003-11-07
JP2003378987A JP4682507B2 (ja) 2003-11-07 2003-11-07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608A true KR20050043608A (ko) 2005-05-11
KR100643646B1 KR100643646B1 (ko) 2006-11-10

Family

ID=3454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347A KR100643646B1 (ko) 2003-11-07 2004-09-14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55148B2 (ko)
JP (1) JP4682507B2 (ko)
KR (1) KR100643646B1 (ko)
CN (1) CN10044405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325B1 (ko) * 2004-10-11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칼라 화상형성장치
JP2006110946A (ja) * 2004-10-18 2006-04-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7286790B2 (en) * 2005-09-13 2007-10-23 Xerox Corporation Trickle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and electrophotographic system using the same
JP5050726B2 (ja) * 2007-08-21 2012-10-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35671B2 (ja) * 2008-06-24 2011-07-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24956B2 (ja) * 2009-02-20 2012-04-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像形成構造体
JP5565011B2 (ja) 2010-03-16 2014-08-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67447B2 (ja) * 2010-06-22 2012-11-0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交換用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管理装置及び同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交換用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管理方法並びに管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2234A1 (de) * 1984-09-11 1986-03-20 Sharp K.K., Osaka Elektrophotographisches kopiergeraet
US4757344A (en) * 1985-07-16 1988-07-12 Ricoh Company, Ltd. Imag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cartridges
JP2912073B2 (ja) 1992-03-06 1999-06-28 シャープ株式会社 廃トナー回収装置
US5752137A (en) * 1995-06-09 1998-05-12 Konica Corporation Multi-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detachable units
JP3451507B2 (ja) * 1995-06-16 2003-09-29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324388B2 (ja) * 1996-03-18 2002-09-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9325665A (ja) * 1996-05-31 1997-12-16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679504B2 (ja) 1996-05-31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9325662A (ja) 1996-06-05 1997-12-16 Casio Electron Mfg Co Ltd 廃トナー容器及びタンデム型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342327B2 (ja) 1996-11-21 2002-11-05 京セラ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310126B1 (ko) * 1997-06-06 2002-02-19 이토가 미찌야 감광체드럼이통합된회전형현상유니트
JPH1184968A (ja) 1997-09-01 1999-03-30 Casio Electron Mfg Co Ltd 廃トナー回収装置
JP2001066956A (ja) * 1999-08-30 2001-03-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143236B2 (ja) 1999-10-15 200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242706A (ja) * 2000-03-01 2001-09-07 Hitachi Koki Co Ltd 電子写真装置
US6549737B2 (en) * 2001-09-13 2003-04-1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Process uni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parable unit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uch process unit
JP2003173062A (ja) * 2001-12-07 2003-06-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931961B2 (ja) * 2001-12-20 2007-06-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4522A (zh) 2005-05-11
CN100444054C (zh) 2008-12-17
JP2005141096A (ja) 2005-06-02
US7155148B2 (en) 2006-12-26
JP4682507B2 (ja) 2011-05-11
US20050100354A1 (en) 2005-05-12
KR100643646B1 (ko) 200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583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waste toner recovery device
JP5803472B2 (ja)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5022665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toner container and a process cartridge
US20100080600A1 (en) Collection container, clea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waste toner efficiently
JP200717865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16907A (ja) 廃トナー収納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99651A (ja) 現像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880511B2 (en) Container for waste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206330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80110528A (ko) 화상 형성 장치
JP2012150187A (ja)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43646B1 (ko) 화상 형성 장치
JP370536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
JP393196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
JP2008065229A (ja) トナー格納部品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23148B2 (ja)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392190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20569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20012A (ja) 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83603A (ja)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CN109074013B (zh) 显影剂回收容器
JP3859191B2 (ja) 画像形成装置
JPH0484170A (ja) 画像形成装置
JP6136695B2 (ja)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6774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