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1907A - 축임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축임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1907A
KR20050041907A KR1020040086085A KR20040086085A KR20050041907A KR 20050041907 A KR20050041907 A KR 20050041907A KR 1020040086085 A KR1020040086085 A KR 1020040086085A KR 20040086085 A KR20040086085 A KR 20040086085A KR 20050041907 A KR20050041907 A KR 20050041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s
nozzle
fan
condensat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오야마모토시
Original Assignee
발드윈-저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드윈-저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발드윈-저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4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90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7/00Rotary lithographic machines
    • B41F7/20Details
    • B41F7/24Damping devices
    • B41F7/32Ducts, containers, or like supply devices for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7/00Rotary lithographic machines
    • B41F7/20Details
    • B41F7/24Damping devices
    • B41F7/30Damping devices using spray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Presse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축임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인쇄기 내에 배치된다. 그 장치는, 일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분무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각 노즐은 축임물을 분무하기 위하여 그 노즐에 형성된 배출구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노즐들의 배열방향 내에 정해지는 확장된 부채형상의 영역 내로 축임물을 분무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의 배열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면을 가진다. 상기 장치는, 축임물의 분무 및 정지시에 기류가 상기 노즐쪽으로 유도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적어도 상기 각 노즐의 상기 노즐들의 배열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차단수단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축임물 공급장치{Dampening water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옵셋 인쇄기의 축임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기에 있어서의 축임물 공급을 위하여 일본 특허 제274697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장치가 상업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이 장치는 일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분무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형이다. 각 노즐은 축임물을 분무하기 위해 그 노즐에 형성된 배출구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구는, 노즐들의 배열방향 내에 정해지는 확장된 부채형상의 영역 내로 축임물을 분무하기 위하여, 노즐들의 배열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면을 가지는 슬릿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인쇄기에 의해 발생되어 그 장치 주위를 떠도는 잉크연무를 포함한다. 또한 인쇄기에 의해 보푸라기도 발생되어 그 장치 주위를 떠돈다. 또한, 축임물의 분무시에 특히 각 노즐의 그 노즐들의 배열방향의 양측에 축임물의 영향으로 기류가 발생되어 노즐쪽으로 유도된다. 축임물의 정지시에 상기 기류는 축임물의 영향으로 일순간 강화되어 노즐쪽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상기 잉크와 보푸라기는 상기 기류를 타고 노즐쪽으로 유도되어 그 노즐에 부착되고 축적된다. 그러므로, 노즐로부터 잉크와 보푸라기를 자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상기 배출구가 잉크와 보푸라기에 의해 막힐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장치는 축임물을 상기 부채형상의 영역 내로 적절하게 분무할 수 없으며, 그 결과 인쇄제품의 품질저하나 결함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하며 개선된 옵셋 인쇄기의 축임물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장치는 일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분무노즐을 포함한다. 각 노즐은 축임물을 분무하기 위하여 그 노즐에 형성된 배출구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노즐들의 배열방향 내에 정해지는 확장된 부채형상의 영역 내로 축임물을 분무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의 배열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면을 가진다.
다른 목적은 노즐로부터 잉크나 보푸라기를 자주 제거할 필요가 없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잉크나 보푸라기에 의해 배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축임물을 확장된 부채형상의 영역으로 적절히 분무하여 인쇄제품의 품질저하나 결함을 초래하지 않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축임물의 분무 및 정지시에 기류가 상기 노즐쪽으로 유도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적어도 각 노즐의 상기 노즐들의 배열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차단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들은 축임롤러로 축임물을 분무하기 위하여 축임롤러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다.
각 노즐은 그 노즐에 형성된 그루브를 구비한다. 상기 그루브는 바닥을 가지며 상기 노즐들의 배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바닥에, 상기 노즐들의 배열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차단수단은, 기류가 그루브 및 배출구쪽으로 유도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노즐보다 높다.
상기 차단수단은 각 노즐의 둘레에 배치되는 환상의 차단벽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이 너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가 각 노즐의 둘레에 배치된다. 상기 차단벽은 상기 너트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부채형상의 영역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부채형상의 영역에 인접한 위치에서 끝날 수도 있다.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부채형상의 영역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부채형상의 영역에 접하는 위치에서 끝날 수도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옵셋 인쇄기의 축임물 공급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장치는 일방향(X)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노즐(2)을 구비하는 분무형이다. 상기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이 바(6)에 수납되고 그 스프레이 바(6)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4)를 더 구비한다. 너트(8)가 각 노즐(2)의 둘레에 배치되고 솔레노이드 밸브(4)와 나사결합되어, 그 노즐(2)이 너트(8)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4)에 고정될 수 있다. 축임물이 파이프(10)를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10)가 스프레이 바(6) 내에 수납되어 솔레노이드 밸브(4)에 연결되어 있다. 축임물은 솔레노이드 밸브(4)를 통해 노즐(2)로 공급된다.
각 노즐(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임물을 분무하기 위하여 그 노즐에 형성된 배출구(12)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구(12)는, 상기 노즐(2)들의 배열방향(X) 내에 정해지는 확장된 부채 형상의 영역(14) 내로 축임물을 분무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2)들의 배열방향(X)으로 연장된 단면을 가지는 슬릿을 포함한다. 상기 부채형상의 영역(14)은 소정의 각도(θ1)를 가진다.
상기 노즐(2)들은, 축임롤러(16)로 축임물을 분무하기 위하여, 그 축임롤러(16)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축임롤러(16)는, 판실린더(20)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닥터롤러(18)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파운틴롤러를 포함하며, 축임물을 상기 판실린더(20)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파운틴롤러(16)가 상기 닥터롤러(18)와 협력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인쇄기에 의해 발생되어 장치 주위를 떠도는 잉크연무를 포함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인쇄기에 의해 보푸라기도 발생되어 그 장치 주위를 떠돈다. 또한, 축임물의 분무시에 특히 각 노즐(2)의 그 노즐(2)들의 배열방향(X)의 양측에 축임물의 영향으로 기류(22)가 발생되어 노즐쪽으로 유도된다. 축임물의 정지시에 상기 기류(22)는 축임물의 영향으로 일순간 강화되어 노즐쪽으로 유도된다.
그러한 사정이므로, 상기 장치는, 축임물의 분무 및 정지시에 기류(22)가 노즐(2)쪽으로 유도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적어도 각 노즐(2)의 상기 노즐들의 배열방향(X)의 양측에 배치된 차단수단(24)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잉크와 보푸라기는 단지 노즐쪽으로 유도되지 않는 기류(22)를 탄다. 그러므로 장치는, 잉크와 보푸라기가 노즐(2)에 부착되고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노즐(2)로부터 잉크나 보푸라기를 자주 제거할 필요가 없다. 상기 장치는 또한, 잉크나 보푸라기에 의해 배출구(12)가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축임물을 확장된 부채형상의 영역(14)으로 적절히 분무하여 인쇄제품의 품질저하나 결함을 초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노즐(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노즐에 형성된 그루브(26)를 구비한다. 상기 그루브(26)는 바닥(28)을 가지며 상기 노즐(2)들의 배열방향(X)으로 연장된다. 상기 배출구(12)는 상기 바닥(28)에, 상기 노즐(2)들의 배열방향(X)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차단수단(24)은, 기류(22)가 그루브(26) 및 배출구(12)쪽으로 유도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노즐(2)보다 높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잉크 및 보푸라기가 바닥(28)에 부착되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한 배열은 또한, 배출구(12)가 잉크나 보푸라기에 의해 막히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수단(24)은 각 노즐(2)의 둘레에 배치되는 환상의 차단벽을 포함한다. 상기 차단벽(24)은 상기 너트(8)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벽(24)은, 노즐(2)이 너트(8)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4)에 고정될 때 어려움 없이 장치에 편입될 수 있다.
상기 차단벽(24)은, 각 노즐(2)의 양측에서뿐만 아니라 각 노즐의 둘레에서 기류(22)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기류(22)가 노즐(2)쪽으로 유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차단벽(24)은 상기 부채형상의 영역(14)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부채형상의 영역(14)에 인접한 위치에서 끝난다. 그러므로, 차단벽(24)은 기류(22)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기류(22)는 전혀 노즐(2)쪽으로 유도될 수 없다.
상기 축임롤러(1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2)를 통해 축임물이 분무되는 축임물 수납부분(30)들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2)들은 축임롤러(16)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2)는 연장된 단면을 가지며 축임물을 부채형상의 영역(14)으로 분무한다. 상기 수납부분(30)들은, 도 5에서, 배출구(12)들의 가상의 투사 위치(12')들 주위에 형성된다. 또한, 수납부분(30)들 사이에 축임물이 부족하지 않도록 상기 수납부분(30)들 사이에 중첩부(32)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24)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채형상의 영역(14)쪽으로 연장되어서 그 부채형상의 영역(14)에 접하는 위치에서 끝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단벽(24)이 축임물을 부채형상의 영역의 바깥쪽으로 굴절시켜서 부채 형상의 영역(14)이 각도(θ2)를 가지는 확장된 영역 내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이 시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확장된 영역(14)들에 의해 상기 중첩부(32)가 확장된다. 그러므로, 상기 장치는, 축임롤러(16)의 전 길이에 걸쳐 축임물을 균일하게 분무할 수 있어 인쇄제품의 품질이 개선된다.
상기 차단벽(2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등에 의해 너트(8)에 고정될 수도 있다. 차단벽(24)은 원형 또는 비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환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차단벽(24)은 연속된 것일 수도 있다. 차단벽(24)은 연속되지 않도록 그 차단벽에 형성된 슬릿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벽(2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채 형상의 영역(14)의 각도(θ1)에 대응하는 각도로 바깥쪽으로 경사진 끝부분(34)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벽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굽어진 끝부분(36)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벽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으로 굽어진 끝부분(38)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차단벽(40)이 각 노즐(2)의 상기 노즐(2)들의 배열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로부터 잉크나 보푸라기를 자주 제거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잉크나 보푸라기에 의해 배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축임물을 확장된 부채형상의 영역으로 적절히 분무하여 인쇄제품의 품질저하나 결함을 초래하지 않는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노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축임물 수납부분들을 가지는 도 1의 축임롤러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노즐 4...솔레노이드
8...너트 12...너트
24...차단벽(차단수단)

Claims (8)

  1. 일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분무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각 노즐은 축임물을 분무하기 위하여 그 노즐에 형성된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노즐들의 배열방향 내에 정해지는 확장된 부채형상의 영역 내로 축임물을 분무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의 배열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면을 가지며,
    축임물의 분무 및 정지시에 기류가 상기 노즐쪽으로 유도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적어도 상기 각 노즐의 상기 노즐들의 배열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인쇄기의 축임물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들은, 축임롤러로 축임물을 분무하기 위하여, 상기 축임롤러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인쇄기의 축임물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각 노즐의 둘레에 배치되는 환상의 차단벽을 포함하는 인쇄기의 축임물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노즐은 그 노즐에 형성된 그루브를 구비하며, 상기 그루브는 바닥을 가지며 상기 노즐들의 배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바닥에, 상기 노즐들의 배열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수단은, 기류가 상기 그루브 및 상기 배출구쪽으로 유도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노즐보다 높은 인쇄기의 축임물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각 노즐의 둘레에 배치된 환상의 차단벽을 포함하는 인쇄기의 축임물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너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각 노즐의 둘레에 너트가 배치되며, 상기 차단벽은 상기 너트와 일체로 형성된 인쇄기의 축임물 공급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부채형상의 영역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부채형상의 영역에 인접한 위치에서 끝나는 인쇄기의 축임물 공급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부채형상의 영역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부채형상의 영역에 접하는 위치에서 끝나는 인쇄기의 축임물 공급장치.
KR1020040086085A 2003-10-31 2004-10-27 축임물 공급장치 KR200500419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73833 2003-10-31
JP2003373833 2003-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907A true KR20050041907A (ko) 2005-05-04

Family

ID=34420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085A KR20050041907A (ko) 2003-10-31 2004-10-27 축임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115423A1 (ko)
EP (1) EP1527874B1 (ko)
KR (1) KR20050041907A (ko)
CN (1) CN100402283C (ko)
AT (1) ATE361196T1 (ko)
DE (1) DE60200400621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5348A (zh) * 2015-12-15 2016-03-02 广州九恒条码有限公司 印刷机喷雾装置
CN105398187B (zh) * 2015-12-17 2018-06-05 宁波创源文化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印刷机的给水机构
DE102018104534B3 (de) 2018-02-28 2019-04-25 Baldwin Technology Gmbh Sprührohr und druckmaschinenwalzen-reinigungsvorrichtung mit einem sprühroh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5747A (en) * 1976-05-17 1978-06-20 Specialty Manufacturing Company High pressure coaxial flow nozzles
US5025722A (en) * 1990-01-22 1991-06-25 Ryco Graphic Manufacturing, Inc. Adjustable spray dampening system
JP2893449B1 (ja) * 1998-04-20 1999-05-24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スプレー式湿し水供給装置
US6152032A (en) * 1998-11-05 2000-11-2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Mist containment system for a spray dampener system
US6327974B1 (en) * 1999-03-01 2001-12-11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Spray dampening device having high effective spray frequency and method of using
WO2001026817A2 (en) * 1999-10-12 2001-04-19 Smith Rpm Corporation Spray bar having localized control spray nozzles
DE20022520U1 (de) * 2000-10-31 2001-10-18 Koenig & Bauer Ag Vorrichtung zur Befeuchtung einer Druckpla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27874A2 (en) 2005-05-04
CN1611351A (zh) 2005-05-04
EP1527874B1 (en) 2007-05-02
CN100402283C (zh) 2008-07-16
ATE361196T1 (de) 2007-05-15
EP1527874A3 (en) 2006-02-22
US20050115423A1 (en) 2005-06-02
DE602004006213D1 (de) 2007-06-14
DE602004006213T2 (de)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4659B2 (en) Cleaning apparatus for cylinder surfaces of a printing machine and spray nozzle for such a cleaning apparatus
EP0670215B1 (de)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bedruckten Bogen oder Bahnen in Druckmaschinen
KR100389973B1 (ko) 와이퍼거동에영향을주는영역을가진잉크젯프린트헤드바디
JPH0859016A (ja) 紙葉状材料を非接触に案内する装置
KR101203458B1 (ko) 처리 액체로 처리 대상을 처리하는 노즐 장치 및 방법
EP1080909A4 (en) INK JET PRINTER WITH MAINTENANCE SYSTEM
JP2007521959A (ja) 噴霧装置
KR20050041907A (ko) 축임물 공급장치
JP2008173986A (ja) インキ装置を排気するための装置
WO2004052617A3 (de) Schmelzblaskopf mit zu den spaltplatten definiert befestigtem und senkrecht abnehmbarem düsenpaket
US20100206190A1 (en) Spray dampener
US6302353B1 (en) Turning bar apparatus
JPH0225328B2 (ko)
US5379696A (en) Apparatus for cleaning a roller nip in rotary printing machines
US5887524A (en) Washing device in the printing unit of rotary printing presses
JP2002500974A (ja) 印刷機において制御されないパウダー拡散を防止する方法と装置
EP1834912B1 (de) Bogenverarbeitungsmaschine mit einer Leiteinrichtung zum schwebenden Führen von Bogenmaterial
CN100413685C (zh) 保持印刷机喷嘴束多个喷嘴清洁的方法和装置
JP3867092B2 (ja) オフセット印刷機用湿し水供給装置
US20210008871A1 (en) Spray pipe and printing press roller cleaning device having a spray pipe
JP3697551B2 (ja) エアカーテン装置
JP2001301116A (ja) 印刷機用湿し水供給装置
KR101628862B1 (ko) 웨브 형태의 물질을 코팅하기 위한 장치
WO2010044458A1 (ja) スプレーダンプナ装置
JP4654326B2 (ja) 印刷機用スプレーダンプナ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