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5796A -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 - Google Patents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5796A
KR20050035796A KR1020030071579A KR20030071579A KR20050035796A KR 20050035796 A KR20050035796 A KR 20050035796A KR 1020030071579 A KR1020030071579 A KR 1020030071579A KR 20030071579 A KR20030071579 A KR 20030071579A KR 20050035796 A KR20050035796 A KR 20050035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sertion hole
hotpot
container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훈
Original Assignee
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훈 filed Critical 탁훈
Priority to KR1020030071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5796A/ko
Publication of KR20050035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7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중심에 삽입통공을 갖고 삽입통공 선단에 상광하협으로 상하측으로 돌출된 환턱을 갖으며 외측선단은 상부로 돌출되어 외측으로 절곡된 테이블안착턱을 갖고 테이블안착턱 내측면에 하측으로 요부형성된 국물고임환상홈을 갖으며 상면에서 다수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면을 다수개로 구획 분할시키는 분할턱이 형성된 원형판체의 고기구이판과, 외측 하부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고기구이판의 삽입통공 내측에 삽입되는 상광하협의 하부둘레면을 갖고 하부둘레면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삽입통공 선단의 환턱 상단에 얹혀지는 걸림턱을 갖는 상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전골용기를 구비하여, 구이판과 전골냄비를 하나의 조리기로 결합시킴으로써 식탁의 공간이 협소해지지 않으면서 전골요리와 구이요리를 동시에 즐길 수 있고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비용부담이 없으며 사용후 보관공간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cooking utensil combined casserole and pan for roasted meat}
본 발명은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이판과 전골냄비를 하나의 조리기로 결합시킴으로써 식탁의 공간이 협소해지지 않으면서 전골요리와 구이요리를 동시에 즐길 수 있고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비용부담이 없으며 사용후 보관공간이 최소화되는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골이란, 쇠고기, 돼지고기, 내장 등을 잘게 썰어 양념하여 채소를 섞어서 냄비나 전골틀에 담고, 국물을 조금 부어 즉석에서 볶으며 먹는 음식으로, 한국의 전통적인 요리법으로, 음식상 옆에 화로를 놓고 그 위에 전골틀을 올려놓고 볶으면서 먹는 것을 말하며, 부엌에서 아주 볶아서 담아 올리면 ‘볶음’이라 하고, 국물을 잘박하게 붓고 미리 끓여서 올리면 ‘조치’ 또는 ‘찌개’라고 한다.
재료는 대개 생으로 쓰지만 국물이 탁하게 되거나 익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것은 미리 삶거나 우려서 사용한다. 전골은 원래 궁중음식에서 전수된 것으로, 잔칫상, 주안상을 차릴 때 곁상에 재료와 참기름, 장국 등을 준비하여 즉석에서 볶아 대접하는 것이므로, 뜨겁고 알맞게 익혀 먹을 수 있어 매우 특색 있고 좋은 요리법이다. 전골은 주재료에 따라 조개전골, 내장전골, 도미전골, 생치전골, 송이전골, 낙지전골, 두부전골, 닭전골, 고기전골, 곱창전골, 각색(各色)전골 등 여러 가지로 나뉜다.
또한, 구이는 어패류(魚貝類)나 수조육류(獸鳥肉類)를 반찬으로 만들 때 쓰는 조리법으로, 간장, 기름, 파, 마늘 등의 양념을 하여 굽는 것과 소금과 기름으로 조미하여 굽는 방법 2가지의 기본법이 있다. 이 기본법에 생선이나 고기의 종류에 따라 다른 양념을 더하기도 한다. 고기는 강한 불에 익혀야 맛이 있고, 굽기 전에 양념장을 따로 만들어 고기를 연하게 잔칼질한 다음 양념장에 재워 두어 간이 충분히 배었을 때 굽는 것이 좋다. 쇠고기는 약간 덜 익힌 것이 연하고 맛이 있지만, 돼지고기는 완전히 익혀야 기생충 감염의 위험이 없다. 고추장양념구이를 할 때는 2번 구워야 한다. 먼저 기름과 소금만을 발라 애벌 굽고 고추장양념을 발라 다시 굽는다. 처음부터 고추장양념을 바르면 겉만 타고 속이 익지 않기 때문이다. 이처럼 굽는 방법이 조금씩 다른데, 그 종류로는 너비아니구이, 섭산적구이, 산적구이, 생선구이, 얼간생선과 건어물 구이, 가지구이, 간산적구이, 곱창구이, 김구이, 대합구이, 더덕구이, 생치구이 등이 있다.
이런 구이 중에서 고기를 굽는 판을 고기구이판이라 하고, 그 재료에 따라서, 가는 철사나 구리선으로 엮어서 만든 석쇠(적철;炙鐵)와, 돌로 만든 평평한 판체인 돌구이판과, 알루미늄이나 철로 만든 평평한 판체인 금속구이판 등이 있다.
이런 구이요리나 전골요리은 한국인들이 특히 좋아하여 즐겨 먹는 요리형태로, 구이요리를 위해서는 구이판을 필요로 하고, 전골요리를 위해서는 구이판과는 별도의 전골냄비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 두 가지의 요리는 한 곳에서 요리할 수가 없어 각각 별도의 용기로 각각 요리하면서 즐겨야 되므로, 이를 즐기기 위해서는 많은 조리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로인해 한정된 식탁의 공간이 매우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인해 식탁에 올려놓을 수 있는 반찬의 가짓수가 줄어들어 한정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이판과 전골냄비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되는 비용부담이 있었고, 사용후 보관하기 위해서는 각각 별도의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여 보관공간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이판과 전골냄비를 하나의 조리기로 결합시킴으로써 식탁의 공간이 협소해지지 않으면서 전골요리와 구이요리를 동시에 즐길 수 있고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비용부담이 없으며 사용후 보관공간이 최소화되는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기에 있어서;
중심에 삽입통공을 갖고 삽입통공 선단에 상광하협으로 상하측으로 돌출된 환턱을 갖으며 외측선단은 상부로 돌출되어 외측으로 절곡된 테이블안착턱을 갖고 테이블안착턱 내측면에 하측으로 요부형성된 국물고임환상홈을 갖으며 상면에서 다수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면을 다수개로 구획 분할시키는 분할턱이 형성된 원형판체의 고기구이판과;
외측 하부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고기구이판의 삽입통공 내측에 삽입되는 상광하협의 하부둘레면을 갖고 하부둘레면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삽입통공 선단의 환턱 상단에 얹혀지는 걸림턱을 갖는 상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전골용기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전골용기의 상단에는 하단에 테이퍼돌부가 돌출된 손잡이가 상부중심에 테이퍼요부가 형성된 뚜껑몸체에 끼움결합된 나무재질의 나무뚜껑을 더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의 재질은 순도 98.0∼99.999%의 알루미늄인 특징을 갖는다.
알루미늄(aluminium)은 은백색의 부드러운 금속으로, 전성(展性), 연성(延性)이 풍부하여, 박(箔)이나 철사로 만들 수 있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알루미늄은 98.0∼99.85 %의 순도이며, 주요 불순물은 규소와 철이다. 성질은 순도에 따라 다른데, 전기의 양도체로, 비저항은 구리의 약 1.6배이다. 또 비중으로 보아 전형적인 경금속이다. 공기 중에 방치하면 산화물의 박막(薄膜)을 생성하여 광택을 잃지만, 내부까지 침식되지는 않는다. 공기 중에서 녹는점 가까이 가열하면 흰 빛을 내며 연소하여 산화알루미늄이 된다. 이때 높은 온도가 되므로, 분말을 써서 금속의 야금(冶金)이나 용접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이 전기분해되면 음극에는 알루미늄, 양극에는 산소가 생기는데, 산소는 양극의 탄소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 전기분해 온도는 약 970℃, 전압은 4.5∼6.5볼트(V)이다. 알루미나가 7% 정도일 때가 효율이 좋으며, 감소하면 이른바 양극효과 때문에 좋지 못하므로 휘저어 주어야 한다. 원료인 산화알루미늄은 하루에 몇 번 첨가해 주고, 노 바닥에 괸 알루미늄은 종종 사이펀 등으로 떠낸다. 이때의 제품의 순도는 99.7∼99.9%이다. 전류효율은 80∼90%이고, t당 소비전력은 1만 8000㎾h이다.
이보다 더 정밀하게 할 때는 3층식 알루미늄정제법을 사용한다. 이것은 1922년 후프스가 공업화한 방법인데, 전기로의 하층에 조(粗)알루미늄합금(약 30%의 구리가 함유되어 있다)을 녹이고, 중층에 전해욕(電解浴), 상층에 정제된 알루미늄이 뜨는 전기분해법이며, 순도 99.92∼99.999%의 것을 얻을 수 있다.
전성(展性)·연성(延性)이 풍부하고 비중이 작으며, 열·전기의 전도성이 크고 대기 중에서의 내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판재(板材)·박재(箔材)·봉재(棒材)·선재(線材)·관재(管材)·형재(型材) 등 모든 형태로 가공되어 이용된다. 가벼운 점을 이용하여 항공기·자동차·선박·철도에 사용되고, 전기의 양도체인 점을 이용하여 송전선 등에 사용된다. 또, 식품공업·식기류 등에서 알루미늄이 많이 이용되는 것은 내식성(耐蝕性)과 인체에 해가 없는 점 때문이다. 이밖에 페인트, 알루미늄박에 의한 포장이나 건축재료 및 원자로재 등 현재까지 매우 많은 용도가 알려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를 절취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1)는 삽겹살이나 쇠고리를 굽는 고기구이판(1)과, 고기구이판(10)의 중심측에 삽입 고정되어 전골을 끓이는 전골용기(20)로 구성된다.
고기구이판(10)은 원형판체의 알루미늄 재질로, 중심에 형성된 삽입통공(11)과, 삽입통공(11) 선단에 상광하협으로 상하측으로 돌출된 환턱(12)과, 외측선단이 상부로 돌출되어 외측으로 절곡된 테이블안착턱(13)과, 테이블안착턱(13) 내측면에 하측으로 요부형성되어 국물이나 기름이 고이는 국물고임환상홈(14)과, 상면에서 다수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면을 다수개로 구획 분할시키는 분할턱(15)으로 이루어진다.
전골용기(20)는 통형상의 알루미늄 재질로, 외측 하부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고기구이판(10)의 삽입통공(11) 내측에 삽입되는 수직에 가까운 상광하협의 하부둘레면(21)과, 하부둘레면(21)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삽입통공(11) 선단의 환턱(12) 상단에 얹혀지는 걸림턱(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할턱(15)은 삽겹살이나 쇠고기를 구울 때 기름이나 국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지연시킴으로써 고기가 타는 것을 예방함과 동시에 고기가 마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전골용기(20)의 상단에는 하부에 테이퍼돌부(34)가 돌출된 손잡이(33)가 상부중심에 테이퍼요부(32)가 형성된 뚜껑몸체(31)에 끼움결합된 나무재질의 나무뚜껑(30)을 구비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기구이판(10)과 전골용기(20)의 재질은 순도 98.0∼99.999%의 알루미늄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변색되지 않는 은백색의 아름다운 미감을 창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심부에 안착공(102)이 형성된 테이블(100)의 하부에 통기공(105)을 갖는 구이기받침링(104)이 형성되고 그 중심측 하부에는 가스호스(202)에 의해 연결되어 별도의 점화장치(도시않음)로 점화되는 버너(200)가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테이블(100)의 안착공(102)에 본 발명의 음식물 조리기(1)의 고기구이판(10)을 안착시키면 되는데, 고기구이판(10)의 선단에 형성된 테이블안착턱(13)은 테이블(200)의 안착공(102) 상단에 걸쳐져 고기구이판(10)을 걸림 지지하게 된다.
내부에 전골이 담겨진 상태의 전골용기(20)를 고기구이판(10) 중심부의 삽입통공(11) 내부로 끼워 넣으면, 전골용기(20) 하단부의 수직에 가까운 상광하협의 하부둘레면(21)은 삽입통공(11) 내부로 삽입되고, 하부둘레면(21)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턱(22)은 삽입통공(11)에서 상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데, 상광하협으로 돌출된 환턱(12)의 상단에 얹혀져 고정된다.
고기구이판(10) 하부에 위치된 버너(200)를 별도의 점화장치로 점화시킨 다음, 고기구이판(10) 상면에 삽겹살이나 불고기 등의 고기를 올려놓아 적당히 취향에 맞게 구우면 된다.
센불에 고기를 구우면 육즙은 바깥으로 유출되지 않을지는 모르나, 겉만 익고 속은 익지 않아서 맛이 별로 없기 때문에, 중불로 안과 밖이 고루 익은 상태에서 육즙이 겉으로 보기 좋게 유출된 때(겉으로 보기에 기름기가 잘잘 흐를 때)가 제일 맛있을 때이므로, 이때 시식하면 된다.
이때, 고기구이판(10)의 상면에 위치된 삼겹살이나 불고기에서 우러나온 기름기나 국물은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면을 여러 부분으로 구획하여 구별시킨 다수개의 분할턱(15)에 의해 흐르는 것이 지연되어 고이게 되고, 이렇게 다수개 형성된 분할턱(15) 내부에 고인 기름기나 국물은 고기가 타거나 마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기가 좋은 육질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시식자는 보다 좋은 육질의 고기를 보다 오랜시간동안 시식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고기구이판(10)의 고기가 오랜 시간 구워지게 되면 다수개의 분할턱(15)에 고이고도 많은 기름기와 국물은 흐르게 되고, 이렇게 흐른 기름기나 국물은 고기구이판(10)의 외측선단 내측면에 하부로 요부형성된 국물고임환상홈(14) 내부에 충진되는 바, 국물고임환상홈(14)에 충진된 것이 기름기일 경우에는 휴지 등으로 흡수시켜 버리면 되고, 국물고임환상홈(14)에 충진된 것이 국물일 경우에는 나중에 밥을 비벼서 먹는데 사용하면 된다.
이때, 고기구이판(10)의 상면에 고인 기름기나 국물은 중심부의 삽입통공(11) 내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환턱(12)에 의해 전골용기(20)가 안착된 삽입통공(11) 내부로는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고기구이판(10)의 고기가 익어 가면, 중심측의 삽입통공(11)에 안착된 전골용기(20) 내부의 전골 내용물도 끓기 시작하게 되고, 이때, 사용자는 전골용기(20)의 상단을 덮은 나무뚜껑(30) 상부의 손잡이(33)를 잡고 뚜껑몸체(31)를 전골용기(20) 상단 내주연에서 이탈시킨 다음, 전골용기(20) 내부에서 서서히 우러나는 국물과 내용물을 고기구이판(10)의 고기와 함께 시식하면 된다.
이런 본 발명의 음식물 조리기(1)는 순도가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은백색의 아름다운 미감을 표출하게 되고, 아주 가벼워 취급이 손쉽게 되며, 전골요리와 구이요리를 동시에 저렴하게 즐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이판과 전골냄비를 하나의 조리기로 결합시킴으로써 식탁의 공간이 협소해지지 않으면서 전골요리와 구이요리를 동시에 즐길 수 있고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비용부담이 없으며 사용후 보관공간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를 절취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식물 조리기 10 : 고기구이판
11 : 삽입통공 12 : 환턱
13 : 테이블안착턱 14 : 국물고임환상홈
15 : 분할턱 20 : 전골용기
21 : 하부둘레면 22 : 걸림턱
30 : 나무뚜껑 31 : 뚜껑몸체
32 : 테이퍼요부 33 : 손잡이
34 : 테이퍼돌부 100 : 테이블
102 : 안착공 104 : 구이기받침링
105 : 통기공 200 : 버너
202 : 가스호스

Claims (3)

  1. 음식물 조리기에 있어서;
    중심에 삽입통공(11)을 갖고 삽입통공(11) 선단에 상광하협으로 상하측으로 돌출된 환턱(12)을 갖으며 외측선단은 상부로 돌출되어 외측으로 절곡된 테이블안착턱(13)을 갖고 테이블안착턱(13) 내측면에 하측으로 요부형성된 국물고임환상홈(14)을 갖으며 상면에서 다수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면을 다수개로 구획 분할시키는 분할턱(15)이 형성된 원형판체의 고기구이판(10)과;
    외측 하부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고기구이판(10)의 삽입통공(11) 내측에 삽입되는 상광하협의 하부둘레면(21)을 갖고 하부둘레면(21)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삽입통공(11) 선단의 환턱(12) 상단에 얹혀지는 걸림턱(22)을 갖는 상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전골용기(2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골용기(20)의 상단에는 하부에 테이퍼돌부(34)가 돌출된 손잡이(33)가 상부중심에 테이퍼요부(32)가 형성된 뚜껑몸체(31)에 끼움결합된 나무재질의 나무뚜껑(30)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구이판(10)과 전골용기(20)의 재질은 순도 98.0∼99.999%의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
KR1020030071579A 2003-10-14 2003-10-14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 KR20050035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579A KR20050035796A (ko) 2003-10-14 2003-10-14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579A KR20050035796A (ko) 2003-10-14 2003-10-14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239U Division KR200339055Y1 (ko) 2003-10-14 2003-10-14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796A true KR20050035796A (ko) 2005-04-19

Family

ID=3723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579A KR20050035796A (ko) 2003-10-14 2003-10-14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57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4276A1 (en) * 2007-07-24 2009-01-29 H & Oasis Int. Co., Ltd Functional heating device for cooking
KR101218026B1 (ko) * 2010-03-17 2013-01-02 조종연 구이전골판 및 이를 사용하는 구이전골기
KR101538588B1 (ko) * 2014-06-17 2015-07-21 추일호 구이용 불판
KR102230066B1 (ko) 2020-07-10 2021-03-19 주식회사 라니앤라이프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4276A1 (en) * 2007-07-24 2009-01-29 H & Oasis Int. Co., Ltd Functional heating device for cooking
KR101218026B1 (ko) * 2010-03-17 2013-01-02 조종연 구이전골판 및 이를 사용하는 구이전골기
KR101538588B1 (ko) * 2014-06-17 2015-07-21 추일호 구이용 불판
KR102230066B1 (ko) 2020-07-10 2021-03-19 주식회사 라니앤라이프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7331A (en) Cooking food in a food preparation kit in a microwave and in a thermal oven
CN104473140A (zh) 八宝辣酱及其制备方法
JP2007209458A (ja) 味噌味食品の調理器具及び調理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35796A (ko)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
KR200339055Y1 (ko)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
CN106666649A (zh) 一种蒜茸海鲜烧烤酱
CN102715496A (zh) 一种调味酱及其制备方法
CN201337311Y (zh) 一种多功能自助电火锅
CN102948725A (zh) 一种烤肉调味品
CN1871936A (zh) 一种烧烤调料的制作方法
JP6715746B2 (ja) 冷凍米飯の調理方法
CN201205200Y (zh) 一种多功能火锅
CN201239014Y (zh) 一种带内锅的火锅
JP2002253165A (ja) 調味料
KR200365191Y1 (ko) 3가지 이상의 복합메뉴를 제공하는 로스터
CN209932258U (zh) 一种带挂壁式滤油栅的油碟
JPS6117708Y2 (ko)
CN211748829U (zh) 一种新型组合锅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CN202014535U (zh) 烧烤盘
CN214700806U (zh) 一种用于火锅烧烤铁板烧的一体炉
KR20030039810A (ko) 떡볶이용 떡가래의 제조방법
KR20010084101A (ko) 떡볶이 치킨
CN210784024U (zh) 一种烧煮为一体的无烟烧烤盘
KR200370796Y1 (ko) 분리형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