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4611A - 용융물 출탕통 - Google Patents

용융물 출탕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4611A
KR20050034611A KR1020047005463A KR20047005463A KR20050034611A KR 20050034611 A KR20050034611 A KR 20050034611A KR 1020047005463 A KR1020047005463 A KR 1020047005463A KR 20047005463 A KR20047005463 A KR 20047005463A KR 20050034611 A KR20050034611 A KR 20050034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
tap
tapping
groov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요일까
요키라아크소아리
Original Assignee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filed Critical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Publication of KR20050034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61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4Charging or discharging liquid or molten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2Casings; Linings; Walls; Roofs incorporating 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부와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특히 용해로에서 슬래그 등의 용융물을 출탕하는데 사용되며,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제조되고, 냉각로 (8) 가 형성되어 있는 용융물 출탕통 (1, 9, 10) 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용융물 출탕통 (1, 9, 10) 의 바닥부 (2) 에는 1 이상의 홈 (3) 이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용융물 출탕통{MELT LAUNDER}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서 한정된 용융물 출탕통 (melt launder) 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해로에서 슬래그 등의 용융물을 출탕하는데 사용되는 용융물 출탕통에 관한 것이다. 용융물 출탕통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제조되고 그 가장자리에는 냉각로가 형성되어 있다.
용해로에서 슬래그 등의 용융물을 출탕하기 위해서, 수냉되거나 냉각되지 않은 구리 출탕통을 종종 사용하였다. 노 외부로 출탕될 때, 용융물의 온도는 매우 높다. 노에서 용융물을 출탕할 때, 다소 고형화된 슬래그의 일부가 출탕통으로 유입하여, 이 고형화된 슬래그는 열에 의해 유발되는 손상, 즉 열팽창 등에 대하여 출탕통을 보호해준다. 하지만, 출탕 시작 단계에서, 용융 슬래그와 접촉하는 출탕통 표면은 슬래그가 고형화되기 전에 고온으로 종종 가열되어, 이로 인하여 출탕통내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냉각로가 형성되어 있는 용융물 출탕통이 종종 사용되어, 이러한 손상에 대하여 출탕통을 보호한다.
공보 제 JP-A-7305966 호에서는, 변형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출탕통내에 수로를 뚫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출탕통내에 수로가 배치되어 전체 출탕통의 하우징을 보호한다. 공보 제 FI 990513 호에서는, 가장자리에 냉각로가 형성되어 있는 출탕통에 대해서 개시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구리 용해시 슬래그 등의 용융물을 출탕하는 것과 관련하여, 출탕통 손상을 수리하기 위해서 냉각시킴으로써, 용융 구리가 출탕되어 조동이 냉각로에 유입하여 폭발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출탕통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용융물 출탕통의 단면도, 및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용융물 출탕통의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방지하는 용융물 출탕통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용융물과 접촉하는 바닥부에 홈이 제공되고, 이 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슬래그로 교체되는 내화재로 충진되는 개선된 용융물 출탕통이 실현된다. 상기 내화재는 출탕 시작 단계에서 가능한 변형 손상에 대하여 출탕통을 보호한다. 용융물의 표면 위에서, 용융물 출탕통 가장자리에는 냉각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 냉각수로는 어떠한 경우에도 물이 용융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부에 기재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다른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출탕통은, 특히 출탕 초기 단계에서 슬래그 등의 용융물을 출탕하는 것과 관련하여 유발된 용융물 출탕통 손상을 유리하게 방지한다. 출탕통 바닥부에서 본 발명에 따라서 제공된 홈은 고온을 견디는 내화재로 충진된다. 출탕통 바닥부상에 배치된 내화성 물질은 출탕통 바닥을 마모에 대하여 유리하게 보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출탕통을 사용함으로써, 출탕통의 수명을 더 길게 하고, 이는 비용을 절감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내화성 물질이 제거될 때 이는 자생적으로 슬래그로 교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 출탕통의 바닥부에는 이의 길이방향으로 진행하는 필요한 수의 홈이 배열되어 있고, 상기 홈은 횡방향 홈에서 출탕통의 양단부에서 끝난다. 상기 횡방향 홈은 출탕통 일방의 가장자리에서 타방의 가장자리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길이방향의 홈의 깊이는 용융물 출탕통의 크기에 따라서 5 ~ 25 mm 인 것이 유리하고, 이 홈의 폭은 용융물 출탕통의 크기에 따라서 5 ~ 25 mm 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길이방향의 홈 간의 거리는 5 ~ 25 mm 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길이방향 홈은 출탕통 가장자리에 배치된 냉각수로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 거리는 적어도 30 mm 인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1 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구리판으로 제조된 용융물 출탕통 (1) 이 도시되었고, 이 출탕통의 바닥부 (2) 상에는 홈 (3) 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은 용융물 출탕통의 중앙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리판의 바닥부에 형성된 홈 (3) 은 적어도 하나로 어떠한 원하는 개수만큼 둘 수 있다. 출탕통 바닥부에서, 비냉각 영역, 즉 최하부 냉각로 사이에 홈이 배치되어 있다. 홈은 주조에 의해서 또는 만들어 놓은 출탕통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하게 형성된 홈은 냉각로 (8) 의 가장자리로부터 30 mm 보다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없다. 홈은 어떠한 가능한 형태라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홈은 서로 20 mm 의 거리로 떨어져 있으며 10 ~ 20 mm 깊이 및 10 mm 의 폭을 가진다. 이들 값은 용융물 출탕통의 크기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용융물 출탕통은 이 출탕통의 길이방향으로 필요한 수의 홈을 포함하고, 또한 출탕통의 양단부에는 횡방향 홈 (단면도에서 보이지 않음)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횡방향 홈은, 출탕통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출탕통의 일방 가장자리에서 타방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출탕통의 수명이 더 길어지게 된다. 출탕통의 양단부에서, 길이방향 홈은 횡방향 홈에서 끝난다. 홈 (3) 뿐만 아니라 횡방향 홈은, 용융 슬래그 (5) 를 출탕할 때 부분적으로 마모되어 고형화된 슬래그로 자생적으로 교체되는 내화재로 충진된다. 출탕통의 가장자리 (7) 에는 냉각로 (8) 가 배열되어 있고, 이 냉각로는 용융물 (5) 이 출탕될 때 용융물 아래에 있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냉각로 (8) 는 주입성형 (slip casting) 에 의해서 또는 굽은 구리 빌렛 (billet) 의 가장자리 (7) 에 길이방향 구멍을 뚫음으로써 제조된다. 냉각로내에는 과도한 가열을 방지하는 물이 흐른다. 필요한 수의 냉각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의 단면도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용융물 출탕통 (9) 의 단부를 도시하였다. 용융물 출탕통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제조된 2 개의 직선판을 상호 밀착 연결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가장자리 (7) 와 바닥부 (2) 는 이러한 판으로 형성된다. 용융물 (5) 과 접촉하는 바닥부 (2) 의 영역에는 홈 (3) 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은 내화성 물질로 충진된다. 용융물 출탕통에는, 길이방향으로 진행하는 필요한 수의 홈 (3) 과, 출탕통의 양단부에 배열된 2 개의 횡방향 홈 (12) 이 형성되어 있다. 횡방향 홈은, 출탕통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있고, 출탕통의 일방 가장자리 (7) 에서 타방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 출탕통의 수명이 더 길어지게 된다. 출탕통의 양단부에서, 출탕통의 길이방향 홈은 횡방향 홈에서 끝난다. 슬래그를 출탕하거나 출탕통을 세정할 때 홈이 부분적으로 마모되고, 그것은 고형화된 슬래그 (6) 로 자생적으로 교체된다. 홈은 주조에 의해서 또는 미리 형성된 출탕통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냉각로 (8) 는 용융물 출탕통의 길이방향으로 가장자리 (7) 에 배치되기 때문에, 용융물의 표면 아래에 있지 않다.
도 3 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하였다. 용융물 출탕통 (10) 의 바닥부 (11) 와 가장자리 (7) 는 별개로 제조되었다. 금속으로 된 바닥부 (11) 는 금속재를 굽힘가공하여 만들어지며 또한 이에는 홈 (3) 이 형성되어 있다. 직선판으로 형성된 가장자리 (7) 는 바닥부 (11) 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컴팩트성과 열전달이 달성된다. 용융물 출탕통에는 길이방향으로 필요한 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출탕통의 양단부에는 횡방향 홈 (단면도에서 보이지 않음) 이 형성되어 있다. 횡방향 홈은, 출탕통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출탕통의 일방 가장자리에서 타방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출탕통의 작동 수명이 더 길어진다. 출탕통의 양단부에서, 길이방향 홈은 횡방향 홈에서 끝난다. 홈 (3) 뿐만 아니라 횡방향 홈은, 용융 슬래그 (5) 를 출탕할 때 부분적으로 마모되어 고형화된 슬래그 (6) 로 자생적으로 교체되는 내화성 물질로 충진된다. 가장자리 (7) 에는 용융물 (5) 의 표면 위에 배치된 냉각로 (8) 가 형성되어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전술한 설명에만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바닥부와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특히 용해로에서 슬래그 등의 용융물을 출탕하는데 사용되며,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제조되고, 냉각로 (8) 가 형성되어 있는 용융물 출탕통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 출탕통 (1, 9, 10) 의 바닥부 (2) 에는 1 이상의 홈 (3) 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출탕통.
  2. 제 1 항에 있어서, 바닥부 (2) 에는 1 이상의 길이방향 홈 (3) 과 횡방향 홈 (12) 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출탕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홈 (3, 12) 내에는 내화성 물질이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출탕통.
  4.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화성 물질은 고형화된 용융물 (6) 로 자생적으로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출탕통.
  5.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 (3) 은 5 ~ 25 mm 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5 ~ 25 mm 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출탕통.
  6.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 (3) 간의 거리는 5 ~ 2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출탕통.
  7.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 (3) 은 최하부 냉각로 (8) 로부터 적어도 30 mm 거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출탕통.
  8.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융물 출탕통 (1) 은 단일 부재를 굽힘가공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출탕통.
  9.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융물 (5) 의 표면 위에 유지되는 냉각로 (8) 가 용융물 출탕통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출탕통.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용융물 출탕통 (9) 은 2 개의 직선판으로 제조되고 V-형상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출탕통.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용융물 출탕통의 바닥부와 가장자리는 별개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출탕통.
KR1020047005463A 2001-10-19 2002-10-08 용융물 출탕통 KR200500346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12024A FI114568B (fi) 2001-10-19 2001-10-19 Sularänni
FI20012024 2001-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611A true KR20050034611A (ko) 2005-04-14

Family

ID=856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463A KR20050034611A (ko) 2001-10-19 2002-10-08 용융물 출탕통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936216B2 (ko)
EP (1) EP1436562A1 (ko)
JP (1) JP4223953B2 (ko)
KR (1) KR20050034611A (ko)
CN (1) CN100436997C (ko)
AU (1) AU2002329303B2 (ko)
BR (1) BR0213344B1 (ko)
CA (1) CA2466802A1 (ko)
EA (1) EA005333B1 (ko)
FI (1) FI114568B (ko)
MX (1) MXPA04003481A (ko)
PE (1) PE20030655A1 (ko)
PL (1) PL368377A1 (ko)
WO (1) WO2003033982A1 (ko)
YU (1) YU31604A (ko)
ZA (1) ZA2004023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749A (ko) * 2012-02-09 2014-09-24 오토텍 (핀랜드) 오와이 용융물 출탕통 제조 방법 및 용융물 출탕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6087B2 (en) 2007-06-21 2015-10-13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Molten metal transfer system and rotor
CN103375994A (zh) * 2012-04-27 2013-10-30 四川绿冶科技有限责任公司 高温熔液排料管及有高温熔液排料管的熔炼炉
DE102012010808A1 (de) * 2012-06-01 2013-12-05 Kme Germany Gmbh & Co. Kg Anordnung zum kleinstückigen Erstarren von bei der Metallerzeugung anfallenden flüssigen Schlacken
CN102839246A (zh) * 2012-08-30 2012-12-26 江苏永钢集团有限公司 水冷下渣沟头
CN103952570A (zh) * 2014-04-15 2014-07-30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埋管式v型铜水套流槽
US10138892B2 (en) 2014-07-02 2018-11-27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Rotor and rotor shaft for molten metal
US10947980B2 (en) 2015-02-02 2021-03-16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Molten metal rotor with hardened blade tips
US11149747B2 (en) 2017-11-17 2021-10-19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Tensioned support post and other molten metal devices
US11358216B2 (en) * 2019-05-17 2022-06-14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System for melting solid metal
US11873845B2 (en) 2021-05-28 2024-01-16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Molten metal transf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02272A (en) * 1920-02-14 1924-07-22 American Abrasive Metals Compa Launder trough
JPS5285004A (en) 1976-01-09 1977-07-15 Sanyo Special Steel Co Ltd Furnace wall for superhighhpower arc furnace for steel making
JPS5432193A (en) * 1977-08-17 1979-03-09 Nippon Kokan Kk <Nkk> Molten slag runner for production of hard granulated slag
SE419373B (sv) * 1978-12-15 1981-07-27 Josef Gustavsson Loprenna till sodapanna
US4426067A (en) * 1983-01-07 1984-01-17 The Calumite Company Metallic sectional liquid-cooled runners
CN2132958Y (zh) * 1992-06-30 1993-05-12 首钢总公司 复合式出钢槽
US5346182A (en) * 1993-06-16 1994-09-13 Kubota Corporation Teeming trough
CN2250509Y (zh) * 1994-12-12 1997-03-26 冶金工业部洛阳耐火材料研究院 整体结构平炉出钢槽
JP3265148B2 (ja) 1995-03-07 2002-03-1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炉水冷溶滓樋
JPH0995709A (ja) * 1995-09-29 1997-04-08 Nippon Steel Corp 水冷溶滓樋
LU90195B1 (de) * 1998-01-15 1999-07-16 Wurth Paul Sa Abstichrinne fuer eine Eisenschmelze
FI109308B (fi) * 1999-03-10 2002-06-28 Outokumpu Oy Menetelmä sulakourun valmistamiseksi ja menetelmällä valmistettu sulakouru
JP2000319712A (ja) * 1999-04-30 2000-11-21 Nippon Steel Corp 水冷式溶滓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749A (ko) * 2012-02-09 2014-09-24 오토텍 (핀랜드) 오와이 용융물 출탕통 제조 방법 및 용융물 출탕통
US9534846B2 (en) 2012-02-09 2017-01-03 Outotec (Finland) Oyj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lt launder and a melt lau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114568B (fi) 2004-11-15
EA200400354A1 (ru) 2004-10-28
JP4223953B2 (ja) 2009-02-12
WO2003033982A1 (en) 2003-04-24
FI20012024A0 (fi) 2001-10-19
CN1571910A (zh) 2005-01-26
PL368377A1 (en) 2005-03-21
CN100436997C (zh) 2008-11-26
CA2466802A1 (en) 2003-04-23
FI20012024A (fi) 2003-04-20
YU31604A (sh) 2005-09-19
AU2002329303B2 (en) 2008-04-17
EA005333B1 (ru) 2005-02-24
ZA200402338B (en) 2004-10-07
US6936216B2 (en) 2005-08-30
JP2005505742A (ja) 2005-02-24
US20040245684A1 (en) 2004-12-09
MXPA04003481A (es) 2004-07-30
PE20030655A1 (es) 2003-09-15
BR0213344B1 (pt) 2013-07-02
BR0213344A (pt) 2004-10-26
EP1436562A1 (en)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4611A (ko) 용융물 출탕통
RU2144570C1 (ru) Охлаждающая плита для шахтных печей
JP4482276B2 (ja) 冷却エレメント
AU2002212376A1 (en) Cooling element
AU2002329303A1 (en) Melt launder
KR100342274B1 (ko) 용광로용냉각판
WO2001063193A1 (en) Heat exchange pipe with extruded fins
KR19990067865A (ko) 용광로용 냉각판
JP4064387B2 (ja) 炉体水冷ジャケット
US4564950A (en) Guard arrangement for a bottom electrode of a direct-current arc furnace
JPH08246014A (ja) 高炉水冷溶滓樋
EP127280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oling element and a cooling element
AU200124839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oling element and a cooling element
EP0235340B1 (en) An anode system for plasma heating usable in a tundish
JP7040859B2 (ja) スラグ排出孔構造及びスラグ排出方法
JPS6131876A (ja) なべ炉の運転確実性を高める方法並びに装置
US5409197A (en) Cooling member for blast furnace tap opening
FI116317B (fi) Jäähdytyselementti ja menetelmä jäähdytyselementin valmistamiseksi
KR20050034581A (ko) 보강재를 갖춘 냉각판
JPH08167474A (ja) 直流アーク炉の炉壁電極
JPH1151361A (ja) 灰溶融炉出滓樋の冷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