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514A - 자동차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변위되는 창유리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변위되는 창유리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514A
KR20050033514A KR1020047004989A KR20047004989A KR20050033514A KR 20050033514 A KR20050033514 A KR 20050033514A KR 1020047004989 A KR1020047004989 A KR 1020047004989A KR 20047004989 A KR20047004989 A KR 20047004989A KR 20050033514 A KR20050033514 A KR 20050033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owden
length
intersecting
re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리퍼트우베
셀리거틸만
크리제올라프
캅스로버트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코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코부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코부르크
Publication of KR20050033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51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05F11/48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with two cable connections to the window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05F11/485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with cable tensio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20Adjustable with specific transmission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 변위되는 창유리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구동 방향에 대하여, 창유리의 조정 방향을 따라 전방 및 후방에 배열된 2개의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1, 41, 32, 42), 및 구동부(10)에 의하여 구동되며, 2개의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 내 창유리의 조정 방향을 따라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1, 41, 32, 42) 사이를 이동하는 케이블(2)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은 보덴 피복부(81 내지 8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케이블의 길이는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의 교차 영역에 배열되며, 보덴 피복부(81 내지 84)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조정 장치(60, 61)에 의하여 서로 상대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구동측 보덴 케이블(27) 상의 보덴 피복부(85, 86) 길이는 비구동측 보덴 케이블(26) 상의 보덴 피복부(83, 84) 길이와 상대적으로 변경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 변위되는 창유리 조정 장치 {DEVICE FOR ADJUSTING A WINDOW PANE DISPLACED BY A DOUBLE-STRANDED CABLE WINDOW LIFTER ON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 이동되는 창유리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독일특허 DE 37 27 153 A1에는 2개의 가이드 레일을 갖는 자동차의 창유리 조정용 보덴 케이블(Bowden cable) 윈도우 리프터가 공지되어 있으며, 창유리를 이동시키는 보덴 케이블이 결합되고 크랭크를 갖는 케이블 드럼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 레일 상으로 슬라이딩 포지티브 로킹 작용으로 안내되는 종동부에 의하여 창유리가 지지됨으로써 창유리가 상승 및 하강한다. 창유리의 임의의 구부러진 위치를 보정하고, 창유리가 그 말단 에지에서 차량 도어의 창유리 리세스의 상부 및 하부 에지와 동일 평면으로 확실하게 폐쇄되도록 2개의 종동부 중 적어도 하나가 가이드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인트레인먼트 플레이트(entrainment plate) 및 창유리를 지지하는 홀딩 플레이트(holding plate)로 분할됨으로써, 이들 플레이트 사이에는 인트레인먼트 플레이트 상에 장착된 편심 볼트가 위치되고 이들 볼트로 창유리의 평면이 경사져서 창유리의 하강선을 고정, 즉 창유리의 상부 에지가 대응하는 창유리 밀봉부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차량의 Z-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종래 기술로부터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독일특허 DE 37 27 153 A1에 따른 멀티-파트 종동부를 갖는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가 공지되어 있다. 종동부 중 한 부분은 케이블 연결부와 결합되고 종동부 중 다른 한 부분은 유리 고정구와 결합된다. 2개의 종동부 부분을 서로에 대하여 Z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창 리프터 내 케이블의 인장 상태를 변경시키지 않고 창유리의 상부 에지를 결합된 창유리의 연장 방향과 평행인 위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창유리를 자동차의 Z-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는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는 2개의 가이드 레일(21, 22)을 포함하고, 가이드 레일 상에는 창유리(1)의 하부 에지와 연결하기 위한 슬라이딩 종동부(11, 12)가 가이드 레일(21, 22)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21, 22)의 말단에는 윈도우 리프터 케이블(2)을 안내하는 고정 케이블 가이드 장치(31, 32, 41, 42)가 있다. 도 1에 따른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의 개략적인 도면에 있어서, 자동차의 구동 방향(X-방향)에 대한 2개의 전방 케이블 가이드 장치(31, 32) 및 2개의 후방 케이블 가이드 장치(41, 42)는 가이드 레일(21, 22)의 말단에 제공되고, 이러한 용어에서 각각은 차량의 A-기둥 및 B-기둥에 각각 인접하여 배열된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31, 32, 41, 4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도면에서는 케이블 풀리(cable pulley)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로서 또한 설계될 수 있다.
힘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윈도우 리프터 케이블(2)의 폐쇄 케이블 루프는 가이드 레일(21, 22)을 따라 방향 전환 장치(31, 32, 41, 42) 사이의 케이블 섹션(21, 22)으로 연장되므로 케이블(2)은 두 지점에서 종동부(11, 12)에 연결되고 교차점(25)을 형성하는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를 지나 관련 다른 가이드 레일(21, 22) 또는 구동부(10)로 안내된다. 구동부(10)는 케이블(2)이 여러 개의 루프로 드럼을 둘러싸고 있는 케이블 드럼을 포함하고, 필요한 경우 케이블(2)과 케이블 드럼 사이를 케이블 니플 장착부를 통해 확실하게 연결시킴으로써 케이블(2)로의 힘 전달이 보장된다. 구동력은 전기 모터 또는 크랭크 중 어느 한 가지에 의하여 발생되어 케이블 드럼을 포함하는 기어부 내로 전달된다.
도 1에 예시된 개방형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 시스템의 대안으로서, 케이블(2) 중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는 독일특허 DE 37 27 153 A1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서와 같이 보덴 피복부(Bowden sheath)로 구성될 수 있다.
창유리(1)의 Z-위치는 한쪽 부분은 케이블(2)에 연결되고 다른쪽 부분은 창유리(1)에 연결되는 적어도 두 부분으로 된 종동부(11, 12)를 통해 상기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 조정된다. 2개의 종동부 부분의 위치를 Z 방향으로 상호 조정함으로써 창유리(1)를 평행 위치로 세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동부(11, 12)가 접근하기 곤란하거나 또는 세트 전에 창유리(1)의 하강 라인을 창유리의 선호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창유리(1)의 하강 라인 세트가 복잡하고 공지된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트에 비하여 시간이 많이 걸린다. 또한 종동부를 2개의 부분으로 된 구조로 하게 되면 비용이 매우 비싸지게 되고, 이로써 이러한 두 부분으로 된 설계 때문에 예를 들어 압력 주조 금속으로 제조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고 공차에 매우 민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류의 종동부는 전체적으로 보아 이들 종동부의 제조가 비교적으로 비용 집약적이 되도록 작은 제조 공차를 가져야 한다.
독일특허 DE 198 37 560 C2에는 창유리가 고정되는 2개의 상승 및 하강 종동부를 갖춘 자동차 도어용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가 공지되어 있다. 종동부는 폐쇄 케이블 루프를 통해 역동작 드라이브에 연결되므로 폐쇄 케이블 루프는 케이블 풀리 및 연결 케이블 풀리를 갖는 2개의 십자로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를 형성한다. 연결 케이블 풀리에는, 편심륜이 제공되고 연결 케이블 풀리에 대하여 스프링 보조식으로 셋업된 스프링 인장 장치가 위치된다. 윈도우 리세스에 대하여 윈도우 프레임 내에 경사지게 배열된 창유리의 경우, 상승 시 창유리는 2개의 종동부 중 하나의 상측에 있는 접촉점의 윈도우 프레임에 맞대어 한쪽 측면 상에 정지한다. 케이블 풀리는 스프링 인장 장치에 저항하지 못하고 창유리가 윈도우 프레임에 맞대어 회전하고 정렬되도록 다른 하나의 종동부를 이동시킨다. 창유리가 정렬된 후 스프링 인장 장치는 창유리를 조정하기 위한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회전 로크가능 크로스 바 상에 케이블 편향 장치로서 고정된 케이블 가이드 롤러를 가진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케이블 편향 장치 상에 장착되고, 이중 케이블 롤러로서 설계된 편향 장치를 가진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 사이 교차점의 공간 위치를 좌우하는 추가의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를 가진 도 3과 유사한 개략도이다.
도 5는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영역에 장착된 이중 케이블 롤러를 가진 도 3에 도시된 케이블 편향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원형 디스크 상에 장착된 2개의 케이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 케이블 편향 장치를 가진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축을 따라 함께 결합된 2개의 케이블 편향 부재를 구비한 케이블 편향 장치를 가진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보덴 피복부에 섹션별로 장착된 교차 케이블 스트랜드 및 보덴 피복부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장치를 가진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보덴 케이블을 사용하는 폐쇄 시스템 및 교차하는 보덴 스트랜드의 결합 조정 장치를 가진 유형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2개의 중첩된 평면에 장착된 2개의 캠 플레이트 및 2개의 보덴 소켓을 가진 도 9에 따른 조정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중첩된 평면에 배열된 2개의 캠 플레이트 및 4개의 보덴 소켓을 가진 도 9에 따른 조정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톱니를 가진 로드 기어부를 가진 조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평행 4변형 레버 기어부를 가진 조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5는 대향하여 대각선 변위가능한 슬라이드를 구비한 슬라이더를 가진 조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6은 2개의 보덴 소켓의 피벗을 수용하는 보정 슬라이드를 구비한 회전가능 레버를 가진 조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간단한 고정이 보장되며, 자동차의 창유리 위치를 매우 정밀하게 조정하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 이동되는 자동차 창유리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 및 제15항의 특징부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으로 창유리 평면 내에서 시간이 덜 소모되는 방식으로 움직이고 구조 및 조작이 간단한 조정 수단을 갖는 자동차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레버에 의하여 창유리의 위치를 매우 간단하고 상당히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개방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 시스템 및 보덴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 시스템 양자 모두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개방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 시스템에 있어서 케이블 섹션은 비스듬하게 정렬된 케이블 섹션, 즉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의 경로 길이가 이동가능한 케이블 롤러를 통해 변경될 수 있도록 그들의 장력까지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아이디어에 좌우된다. 이와 같이 하나 또는 2개의 종동부를 두 부분으로 만들지 않고 제조 및 조립 비용을 적게 들여서 창유리의 위치를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개방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 시스템 및 보덴 윈도우 리프터 시스템 양자 모두의 여러 가지 상이한 실시예, 즉 모든 실시예가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에 대향하여 작용하는 길이 변화를 공통으로 가질 수 있지만, 이 길이 변화는 상이한 수단을 통해 발생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는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개방된 케이블 가이드를 갖고, 교차하는 케이블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수단은 개방된 케이블 가이드 상에 케이블 편향 장치 내에 결합되어 설계된 케이블 편향 부재로서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 편향 장치는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 중 하나는 조정가능한 길이만큼 길어지고 다른 하나의 케이블 스트랜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짧아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자동차의 A 기둥에 인접하는 종동부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경사 스트랜드, 즉 하나의 케이블 스트랜드는 일정 길이만큼 길어지고 복귀 스트랜드, 즉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 중 다른 하나의 케이블 스트랜드는 동일한 길이만큼 짧아진다. 케이블 편향 부재를 케이블 편향 장치 내에 결합시킴으로써 부품의 개수 및 장치의 복잡함이 최저로 유지된다.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의 길이를 반대로 변경, 즉 하나의 케이블 스트랜드는 길게 하고 다른 하나의 케이블 스트랜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정가능한 길이만큼 짧게 하는 케이블 편향 장치는 이동 및 회전 양자 모두의 경우에 조정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임의의 만곡된 형상 또는 편향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것은 이동 및 회전 시 순전히 섹션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 케이블 편향 장치에는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수단으로서 적어도 전방 및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가 형성되고, 양쪽 말단이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에 연결되며 그 경사는 로킹가능한 세팅 장치로 조정될 수 있는 스위블 크로스 바(swivel cross bar)를 갖는다.
종동부 사이 및 창유리의 상기 두 가지 조정으로 인하여, 케이블 상에 작용하는 임의의 다른 인장 수단은 조정 장치가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상에 직접 결합되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다.
케이블 편향 장치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 중 교차 영역에 장착되므로 일회의 조작으로 창유리의 정렬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케이블 편향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원형인 형상의 경로 상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경사 케이블 및 복귀 케이블은 예로서 공통 축을 따라 이동하는 이중 케이블 롤러 상으로 안내되므로, 이중 케이블 롤러 축이 안내되어 고정되는 경로는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 중 하나의 케이블 스트랜드를 짧게할 때 다른 하나의 케이블 스트랜드가 동일한 길이만큼 길어지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2개의 종동부 중 하나의 양쪽 말단 위치에 있는 이중 케이블 롤러가 하나의 케이블 섹션은 최대한으로 미리 신장시키고 다른 하나의 케이블 섹션은 신장된 위치에 그대로 유지시킨다.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는 이중 케이블 롤러의 회전 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장착된다. 이로써 이중 케이블 롤러는 전방 및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영역에 장착된다.
자동차 도어의 설치 조건에 잘 맞도록 하기 위하여, 이중 케이블 롤러가 이동하는 경로는 윈도우 리프터 케이블 중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를 변경시키는 다른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를 통해 그 형상 및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의 추가적인 특징은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 중 적어도 하나에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의 교차점의 공간 위치에 영향을 미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케이블 편향 장치는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원형 디스크 상에 장착된 적어도 2개의 케이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케이블 편향 장치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또한 회전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는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 중 하나에 맞대어 지지된다. 원형 디스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케이블 편향 장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케이블 편향 장치가 축을 따라 함께 결합된 2개의 케이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편향 부재 각각은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 중 하나를 편향시킴으로써 케이블 편향 장치는 축을 따라 변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케이블 편향 장치의 상기 실시예에서, 편향 장치가 변위가능하게 장착된 축은 하부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와 하부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와의 연결선과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이동한다. 상기 케이블 편형 장치는 하부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와 하부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사이 또는 상부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와 상부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는 케이블 길이 보정 작용 및 케이블 인장 트래킹 작용의 이중 기능을 할 수 있다.
보덴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가 보덴 케이블로서 형성되고 보덴 피복부의 적어도 섹션별로 장착되며,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수단은 보덴 피복부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조정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해소된다.
보덴 피복부의 길이를 변경시켜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의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그 결과로 얻어진 상이한 케이블 섹션 길이를 사용하여 간단한 수단으로 창유리를 윈도우 프레임에 대하여 정렬시킬 수 있다.
보덴 피복부의 길이를 변경시켜 창유리를 조정하는 것은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에 서로 독립적으로 장착된 조정 장치를 통해 실행되고, 상기 조정 장치에 의하여 종동부에 연결된 하나의 보덴 케이블 중 보덴 케이블 니플 사이의 보덴 피복부 길이는 소정의 길이만큼 길어지고 종동부에 연결된 다른 하나의 보덴 케이블 중 보덴 케이블 니플 사이의 보덴 피복부 길이는 동일한 길이만큼 짧아진다.
또한, 보덴 피복부의 길이를 변경시켜 창유리를 조정하는 것은 2개의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 중 하나의 길이는 조정가능한 길이만큼 길어지고 다른 하나의 보덴 케이블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짧아지도록 함께 결합된 조정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서로 독립적인 조정 장치에 있어서, 보덴 피복부의 길이는 이동 및/또는 회전에 대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조정 장치는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와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사이의 영역에 배열된다.
함께 결합된 조정 장치는 여러 가지 상이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기능 원리는 동일하게 유지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조정 장치는 보덴 케이블의 보덴 소켓이 지지되어 있는 각도 조정가능한 캠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각도 조정가능한 캠 플레이트는 2개의 중첩된 평면에 장착되고 나선형 형상의 만곡면을 가지며, 상기 만곡면 상에는 각각 하나의 보덴 스트랜드부의 보덴 피복부에 연결된 보덴 소켓이 결합되는 반면 각각 다른 하나의 보덴 스트랜드의 보덴 피복부는 소켓을 통해 조정 장치의 하우징에 직접 연결된다.
또한 각도 조정가능 캠 플레이트는 2개의 중첩된 평면에 장착되고, 보덴 피복부에 연결된 모든 보덴 스트랜드부의 보덴 소켓이 결합되는 나선형 형상의 만곡면을 갖는다.
윈도우 리프터를 간단하게 조정하기 위하여 조정 장치는 조정 공구를 수용하는 포지티브 로킹 영역을 갖는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조정 장치는 상부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또는 하부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와 조정 장치 사이에 장착된 2개의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의 보덴 스트랜드부에 연결된 톱니가 있는 2개의 로드와 맞물리는 톱니가 있는 휠을 갖는다.
톱니가 있는 로드는 보덴 스트랜드부의 보덴 소켓에 연결되거나 또는 보덴 소켓 상에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조정 장치는 대향하여 장착된 관절형 조인트가 보덴 케이블의 보덴 소켓에 연결된 평행 4변형 레버 기어를 포함한다. 스핀들 조정부가 평행 4변형 레버 기어의 대향하여 장착된 관절형 조인트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기능한다.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조정 장치는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대향하여 정렬된 경사를 갖는 슬라이드를 구비한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에는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 중 각각 하나의 보덴 피복부의 보덴 소켓에 연결된 2개의 피벗이 장착된다.
제5 실시예에 있어서, 조정 장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대향하는 말단에 제공된 2개의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레버를 갖고, 상기 레버에는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 중 2개의 보덴 피복부의 보덴 소켓에 연결된 피벗이 결합된다.
개별 케이블 섹션 내에 개방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 시스템과 보덴 피복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가 적어도 섹션 별로 개방되는 케이블 가이드를 갖고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수단은 케이블 편향 부재로서 개방 케이블 가이드에 배치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의 실시예 대한 다음의 설명은 도 1에 예시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의 동일한 기능부에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케이블 롤러 또는 케이블 가이드로서의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1, 32) 및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41, 42)의 실시예는 임의의 구조를 갖고, 또한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크랭크 핸들 또는 전기 모터식 드라이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케이블 드라이브(9)의 종동부(11, 12)의 가이드 레일(21, 22)도 임의의 구조를 갖는다.
도 2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는, 도 1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따라, 창유리(도시되지 않음)의 하부 에지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종동부(11, 12),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1, 32 및 41, 42), 및 케이블 드라이브(10) 및 종동부(10)에 연결되며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로 방향 전환 장치(31, 32 및 41, 42) 둘레에 케이블 루프를 형성하는 윈도우 리프터 케이블(2)을 갖는다.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1, 32 및 41, 42)는, 자동차의 구동 방향으로 보아,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1, 32) 및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41, 42)로 구성되고, 상부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1), 하부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2)는 물론 상부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41) 및 하부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42)가 케이블의 방향 전환을 위하여 제공되도록 이들 전환 장치는 2개의 가이드 레일(도시되지 않음)의 상부 말단 및 하부 말단 상에 각각 장착되거나 또는 도어 내부 패널 상에 직접 고정된다.
케이블(2)은 여러 개의 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고, 이들 섹션 중 제1 섹션(21)은 상부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1)와 하부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2) 사이를 창유리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고 제1 종동부(11)에 연결되는 반면, 케이블(2)의 제2 섹션(22)은 상부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41)와 하부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42) 사이를 창유리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고 제2 동동부(12)에 연결된다.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1, 32)와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41, 42) 사이에는 케이블(2)의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가 배치되고, 이들 케이블 스트랜드 중 하나의 케이블 스트랜드(23)는 대각선 케이블을 형성하며 다른 하나의 케이블 스트랜드(24)는 윈도우 리프터 드라이브(9)에 연결되는 복귀 케이블을 형성한다. 대각선 케이블(23) 및 복귀 케이블(24)은 케이블 교차점(25)에서 교차한다.
창유리의 하강선을 조정, 즉 창유리를 창유리 평면 또는 자동차의 Z-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하여, 창유리 하부 에지의 전방 및 후방 모서리가 대응하여 상승 및 하강하도록 전방 및/또는 후방 종동부(11, 12)가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상승 및 하강은 창유리의 소정 위치, 예를 들면 창유리의 최대 상부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서 실행되거나 또는 조정 장치에 의하여 창유리를 정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지 위치에서 웨지형 갭(wedged gap)이 창유리의 상단 에지에 형성된 경우, 종동부(11, 12)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상승 및/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창유리의 상부 에지가 조정 장치와 동일 평면으로 폐쇄되거나 또는 창유리의 상부 에지가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창유리는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과제에 필요한 창유리의 조정이 도 2 내지 도 8에 예시된 조정 수단의 목적이고,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하여 예를 들면 전방 종동부(11)가 소정량만큼 하강된다.
전방 종동부(11)를 실선으로 예시된 위치로부터 쇄선으로 예시된 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하여, 말단이 전방 하부 케이블 가이드 롤러(32) 및 후방 하부 케이블 가이드 롤러(42)에 연결되고 이들 말단 사이에 제공된 로터리 조인트(rotary joint)(51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크로스 바(cross bar)(51)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차량 도어의 저부(15)에 연결된 세팅 장치(52)는 크로스 바(51) 상의 로터리 조인트(510)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되고, 이로써 세팅 장치(52)를 조작함으로써 도어 베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크로스 바(51)의 거리가 세팅 장치(52) 옆에 그려진 이중 화살표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크로스 바(51)의 말단에 연결된 케이블 가이드 롤러(32, 42)는 로터리 조인트(510)를 중심으로 피벗되고,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의 길이는 서로 대향하여 변경됨으로써, 예를 들어 도 2에 예시된 구조에서 하나의 종동부(11)는 쇄선에 대응하여 하강하는 반면 다른 하나의 종동부(12)는 상승하여 위치를 보정하고 창유리를 정렬시킨다.
케이블 가이드 롤러(32, 42)를 상승 및 하강시킬 때의 이동을 보정하기 위하여 타원형 구멍(511, 512)이 크로스 바(51)에 형성된다.
세팅 장치(52)는 도어 베이스(15) 상의 세팅 너트(522) 및 크로스 바(51) 상의 나사 헤드와 대향하는 말단(523)에 의하여 지지되는 조정 나사(521)를 포함한다. 나사 헤드를 회전시킴으로써 크로스 바(51)와 도어 베이스(15) 사이의 거리가 전술한 바와 같이 변경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장치에 비하여 부품 개수가 감소된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용 조정 장치의 도면으로서, 상기 조정 장치에는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 중 하나를 조정가능한 길이만큼 길게 하는 도중에 케이블 스트랜드(24, 23) 중 다른 하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짧게 하는 케이블 편향 장치(53) 내에 케이블 편향 부재가 결합된다. 케이블 편향 장치(53)는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의 교차점(25) 영역에 장착되고,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와 활성적으로 연결된 이중 케이블 롤러를 포함한다.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는 서로 이격된 상태, 즉 상이한 평면에 이중 케이블 롤러(53)의 회전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장착된다.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의 길이가 대향하여 변경되도록 케이블 편향 장치(53)를 제1 위치(C)로부터 제2 위치(D)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케이블 편향 장치(53)가 대략 원형 형상의 경로 상에서 제1 위치(C)로부터 제2 위치(D)로 회전하게 된다.
전방 종동부(11)를 실선으로 예시된 위치로부터 쇄선으로 예시된 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하여, 도 3의 개략도에 따른 케이블 편향 장치(53)는 위치(C)로부터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 및 케이블 편향 장치(53)가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위치(D)로 회전하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조정 장치에 대응하는 조정 장치의 개략도로서, 다른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71, 72)를 추가함으로써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와 케이블 편향 부재의 이동 경로와의 교차점(25)이 영향을 받는다.
도 4에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일점 쇄선(15)은 예를 들면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의 2개의 가이드 레일과 함께 연결되고 케이블 드라이브가 상측에 고정되어 있는 윈도우 리프터 베이스 플레이트의 말단을 표시한다. 2개의 다른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71, 72)를 추가함으로써, 이중 케이블 롤러로서 설계된 케이블 편향 부재(54)의 이동 경로는 하나의 대응하는 가이드 및 지지 장치가 이중 케이블 롤러 또는 케이블 편향 부재용으로 제공되도록 윈도우 리프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완전히 위치된다.
도 3에 따른 조정 장치와 유사한 이중 케이블 롤러(54)는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와 활성적으로 연결되므로,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가 이중 케이블 롤러(54)의 회전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장착된다.
전방 종동부(11)를 실선으로 예시된 위치로부터 쇄선으로 예시된 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하여, 이중 케이블 롤러(54)는 위치(E)로부터 쇄선으로 도시된 위치(F)로 회전한다. 케이블 편향 장치(54)가 배치된 상기 위치에서,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도 또한 쇄선에 따라 이동한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편향 장치(53, 54)는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의 교차점(25) 영역에 장착된다. 도 5에는 이중 케이블 롤러로서 또한 형성되는 케이블 편향 장치(55)가 전방 하부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2) 영역에 장착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배열은 전방 종동부(11)의 동일한 위치 변경에 대하여 케이블 편향을 비교적 짧게 할 수 있지만 보다 긴 케이블 루프를 필요로 한다. 케이블 편향 장치(55)를 2개의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1, 32 및 41, 42) 중 하나의 영역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편향 장치가 간단한 수단으로 구조적 조건에 잘 맞을 수 있도록 케이블 편향 장치의 배열을 잔유롭게 선택하는데 도움을 준다.
전방 종동부(11)를 실선으로 예시된 위치로부터 쇄선으로 예시된 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하여, 이중 케이블 롤러(55)는 위치(G)로부터 쇄선으로 도시된 위치(H)로 회전한다. 케이블 편향 장치(55)가 배치된 상기 위치에서,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는 쇄선에 대응하여 이동한다.
도 6에는 자신의 중심축(56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원형 디스크(560)를 갖고 2개의 케이블 편향 부재(561, 562)가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케이블 편향 장치(56)를 갖는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 이동되는 창유리 조정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2개의 케이블 편향 부재(561, 562)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는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 중 하나의 스트랜드와 접해 있다. 이로써 조정된 관련 케이블 스트랜드(23, 24)를 길게 함으로써 2개의 종동부(11, 12) 중 적어도 하나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도 6은 전방 종동부(11)의 제1 위치가 실선으로 도시된 도면으로서, 대각선 케이블(23)은 제1 케이블 편향 부재(561)를 통해 편향되는 반면 제2 케이블 편향 부재(562)는 복귀 케이블(24) 상에 이 케이블을 편향시키지 않고 지지된다. 전방 종동부(11)를 쇄선으로 예시된 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하여, 회전가능한 원형 디스크(560)는 제1 케이블 편향 부재(561)의 위치(I)로부터 제1 케이블 편향 부재(561)의 위치(K)로 자신의 중심축(563)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케이블 편향 부재(562)는 복귀 케이블(24)을 편향시키는 반면 제1 케이블 편향 부재(561)는 케이블 편향 부재(561, 562) 및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가 쇄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배치될 때까지 대각선 케이블(23)의 편향부를 후측으로 끌어 당긴다.
도 6에 따른 원형 디스크(560)를 가진 케이블 편향 장치(56)의 회전에 대한 대안으로서 케이블 편향 장치의 병진 운동이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자동차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 이동되는 상기 창유리 조정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편향 장치(57)는 축(570)을 통해 함께 결합되고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 중 각각 하나의 스트랜드 상에 지지되는 2개의 케이블 편향 부재(571, 572)를 갖고, 축(570)이 위치(L)로부터 위치(M)로 변위되는 도중에 케이블 스트랜드(23, 24)의 방향 및 길이가 미미하지만 변경되므로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의 교차점(25)이 이동한다. 축(570)은 상기 축(570)이 대응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된 타원형 가이드(573)에 장착된다.
전방 종동부(11)를 실선으로 예시된 위치로부터 쇄선으로 예시된 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하여, 케이블 편향 장치(57)는 실선으로 도시된 케이블 편향 부재(571, 572)의 위치로부터 쇄선으로 예시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4)가 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한다.
도 2 내지 도 7에 예시된 실시예는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 이동되는 창유리의 위치가,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의 길이를 대응하여 반대로 변경함으로써 조정되는 개방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는 도 8의 개략도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보덴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또한 적용된다.
도 8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있어서,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는 보덴 피복부(81, 82)에 섹션별로 장착된다. 2개의 보덴 피복부(81, 82)의 각기 한쪽 말단에는,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의 길이를 대응하여 반대로 변경시키는 보덴 피복부(81, 82)의 길이 변경 장치(58, 59)가 배치된다.
보덴 피복부(81, 82)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2개의 장치(58, 59) 중 하나의 장치(58)는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 이동되는 창유리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고정 위치로부터 릴리스되고 조정 후에는 다시 고정될 수 있는 활성 구성부로서 형성된다. 보덴 피복부(82)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다른 하나의 장치(59)는 하나의 장치(58)를 통한 제1 보덴 피복부(81)의 길이 변경으로 케이블의 장력이 변경됨에 따라 길이의 대응하는 변경을 보정하는 비활성 스프링-인장식 구성부로서 설계된다.
도 7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 이동되는 창유리 조정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편향 장치(57)의 축(570)은 창유리의 조정 방향에 대하여 하부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2)와 하부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42)의 연결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위치된다. 케이블 편향 장치(57)의 상기 배열은 상부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1)와 상부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41) 사이의 케이블 편향 장치(57) 배열까지 도 7에 도시된 정렬과 평행인 임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8은 기다란 보덴 피복부(81, 82) 및 제1 위치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제1 보덴 피복부(81) 상에 작용하는 장치(58)를 화살표(N) 방향으로 조정한 후의 전방 종동부(11)가 실선으로 도시되고, 제2 보덴 피복부(82)의 길이를 변경시키도록 다른 하나의 장치(59)의 대응하는 길이 보정 부분이 쇄선(이중 화살표(O))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 이동되는 창유리의 위치 및 정렬을 조정하기 위하여, 관련 케이블 편향 부재 또는 케이블 편향 장치 또는 보덴 피복부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장치가 릴리스된 다음 창유리가 최대 상단 위치, 즉 차량 도어의 창유리 리세스의 상단 에지에 맞대어진 정지 위치까지 혹은 대안으로서 조정 장치의 정지 위치로 이동된다. 케이블 편향 부재의 상단 창유리 에지의 상기 위치에서, 케이블 편향 장치 또는 보덴 피복부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장치는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 자신들의 길이가 역으로 변경되거나 또는 보덴 피복부(81, 82)의 길이를 역으로 변경시키도록 조정된다. 상기 조정이 끝난 후 케이블 편향 부재, 케이블 편향 장치 및 보덴 피복부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장치의 공간 위치가 고정되어 창유리를 평행으로 하강시키는 것이 보장된다.
도 8에 따른 조정 장치와 달리, 도 9 내지 도 1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조정 장치는 함께 결합되고 2개의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 중 하나의 기다란 부분과 다른 하나의 보덴 케이블의 대응하는 짧은 부분을 연결하는 조정 장치를 갖는다. 이로써 하나의 보덴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의 보덴 피복부의 길이는 다른 하나의 보덴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의 보덴 피복부의 길이에 역으로 변경되어, 예를 들면 조정 장치에 의하여 분할된 드라이브쪽 보덴 케이블의 보덴 피복부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길어지고 브라이브가 아닌쪽 보덴 케이블의 보덴 피복부 또는 보덴 피복부 양자 모두는 짧아진다.
이를 위하여 조정 장치는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의 교차점 또는 보덴 크로스(20)에 위치되고, 역전 드라이브(reversing drive)(10)는 드라이브쪽 보덴 케이블(27)에 장착된다.
도 9에는 보덴 크로스(20)에 장착된 제1 조정 장치(60, 61)가 도시되어 있고, 이들 조정 장치의 상이한 구조 및 기능을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조정 장치(60, 61)는 상기 조정 장치(60, 61)를 통해 보덴 케이블부(261, 262, 271, 272)로 각각 분할되고 각각이 보덴 소켓(90)을 통해 케이블 가이드(31, 32, 41, 42)에 연결되는 보덴 피복부(83 내지 86)를 갖는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의 교차점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 가이드에는 보덴 피복부(83 내지 86)로 안내되어 폐쇄 루프를 형성하는 케이블(2)이 방향을 바꾸어 케이블 니플(15, 16)을 통해 이중 스트랜드 보덴 윈도우 리프터의 창유리(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는 종동부(11, 12)에 연결된다.
창유리의 평행 위치 하강을 조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보덴 케이블(26, 27)의 보덴 피복부(83 내지 86)의 길이를 변경, 즉 길게 하거나 또는 짧게 한다. 이를 위하여 하나의 보덴 케이블(26 또는 27)의 보덴 피복부(83, 84 및 85, 86) 양자 모두 또는 각각 하나의 보덴 피복부를 길게 하거나 또는 짧게 하는 한편, 동일한 보덴 케이블의 다른 하나의 보덴 피복부는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도 9에 보덴 소켓 영역의 조정 장치(60, 61)에 도시된 화살표는 조정 장치(61)의 캠 플레이트를 회전시킴으로써 관련 보덴 케이블(26, 27)의 보덴 피복부(83 내지 86)의 길이를 역으로 조정하여 평행 위치의 편차(x)가 보정되도록 종동부(11, 12)에 기입된 화살표에 대응하여 하나의 종동부(11)는 상승되고 다른 하나의 종동부(12)는 하강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 또는 도 12는 도 9에 따른 조정 장치의 두 가지 변형예의 도면으로서, 이들의 구조 및 기능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의 보덴 케이블 중 각각 하나의 보덴 피복부의 길이는 변경될 수 있는 한편, 동일한 보덴 케이블 중 다른 하나의 보덴 피복부는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조정 장치(6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드라이브쪽 보덴 케이블(27)은 조정 장치(60)에 의하여 드라이브쪽 보덴 케이블부(271, 272)로 분할되고, 이들 중 하나의 보덴 케이블부(271)는 보덴 소켓(95)이 조정 장치(60)의 하우징(800)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길이가 변하지 않는 보덴 피복부(86)를 갖는 한편, 다른 하나의 보덴 피복부(85)의 길이는 변경될 수 있다. 보덴 피복부(85)는 조정 장치(60)의 하우징(600) 내 개구부를 통해 안내되고 캠 플레이트(602)의 나선형 교차부의 만곡면(603) 상에 지지되는 보덴 소켓(91)에 연결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드라이브가 아닌쪽의 보덴 케이블(26)은 조정 장치(60)에 의하여 2개의 보덴 케이블부(261, 262)로 분할된다. 드라이브가 아닌쪽의 보덴 케이블부(261)에서 보덴 케이블에는 길이가 변경되지 않고 보덴 소켓(96)이 조정 장치(60)의 하우징(600)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보덴 피복부(83)가 제공된다. 다른 하나의 보덴 케이블부(262)는 보덴 소켓(262)이 조정 장치(60)의 하우징(600) 내 개구부를 통해 안내되고 캠 플레이트(602)에 대하여 상이한 평면에 장착된 캠 플레이트(601)의 나선형 만곡면(604) 상에 지지되는 보덴 피복부(84)를 구비한 보덴을 갖는다.
함께 결합된 캠 플레이트(601, 602)는 상기 캠 플레이트(601, 602)를 하나의 회전 방향이나 또는 다른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조정 공구를 수용하는 포지티브 로킹 영역(605)을 갖는다. 함께 결합된 캠 플레이트(601, 602)가 도 10의 캠 플레이트(601, 602) 내에 기입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캠 플레이트(601, 602)의 만곡면(603, 604)의 나선형 형상부를 통해 보덴 피복부(85)를 짧게 하는 보덴 소켓(91)이 조정 장치(61)의 하우징(600) 밖으로 강제로 밀려나는 한편, 보덴 피복부(84)의 보덴 소켓(92)은 스프링의 장력을 통해 조정 장치(60)의 하우징(600) 내로 강제로 들어가므로, 드라이브가 아닌쪽의 보덴 케이블(26)이 드라이브쪽의 보덴 케이블(27)에 대하여 길어진다.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 사이의 길이 비율을 변경시킴으로써 도 9에 따라 종동부(15)는 상승하는 한편 종동부(16)는 하강한다.
보덴 케이블(26, 27)의 보덴 케이블부(261, 262; 271, 272) 내 보덴 케이블 피복부(83 내지 86) 모두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는 경우, 캠 플레이트의 보다 작은 세팅각으로 동일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보덴 케이블부(261, 262; 271, 272) 모두의 보덴 피복부(83 내지 86)는 도 11 및 도 12에 따른 조정 장치(61)에 연결되는 자신들의 말단에 각각이 조정 장치(61)의 하우징(610) 내 개구부를 통해 결합되고 중첩된 평면에 장착된 캠 플레이트(611, 612)에 맞대어 지지되는 보덴 소켓(91 내지 94)이 제공된다.
도 10에 따른 캠 플레이트(601, 602)와 달리 도 11 및 도 12에 따른 캠 플레이트(611, 612)는 180°에 걸쳐 이동하고 그 상측에 보덴 소켓(91 내지 94)이 지지되어 있는 2개의 나선형 형상의 만곡면(613, 614 및 616, 617)을 갖는다. 캠 플레이트(611, 612)가 도 11에 기입된 화살표 방향으로 포지티브 로킹 영역(615) 내에 삽입된 조정 공구로 회전하는 경우, 보덴 소켓(91, 93)은 조정 장치(61)의 하우징(610)으로부터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강제로 밀려나는 한편, 보덴 소켓(92, 94)은 스프링 장력을 통해 동일한 하우징 상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조정 장치(61)의 하우징(610) 내로 강제로 들어간다.
도 12는 캠 플레이트(611, 612)의 대응하는 회전 후의 보덴 소켓(91 내지 94) 내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의 비교에서 한쪽의 캠 플레이트(601, 602) 및 캠 플레이트의 보다 작은 조정 각도를 가진 다른쪽의 도 11 및 도 12에 따른 캠 플레이트의 구조를 갖는 캠 플레이트(611, 612)의 만곡면(603, 604 및 613, 614 및 616, 617)의 제안된 상승으로 보덴 피복부(83 내지 86) 내에 동일한 길이의 변경이 달성될 수 있다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의 결합된 길이를, 하우징(620) 내에 장착된 기어 휠(621)을 포함하고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 중 각각 하나의 보덴 케이블부(261, 272)의 보덴 소켓(91, 94) 상에 형성된 톱니를 가진 2개의 로드 (910, 940)와 결합되는 톱니를 가진 로드 기어로 조정하는 조정 장치(62)의 도면이다. 각각의 다른 보덴 케이블부(271, 262)는 톱니를 가진 로드 기어의 하우징(620)에 고정된 보덴 소켓(95, 96)과 연결된다.
톱니를 가진 휠(621)을 톱니를 가진 로드(940, 910)와의 결합부를 통해 한쪽 방향 또는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하나의 보덴 소켓(91 또는 94)은 하우징(620)의 내부로 이동하는 한편, 다른 보덴 소켓(91 또는 94)은 조정 장치(62)의 하우징(620)의 외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보덴 피복부(83 또는 85)의 길이는 길어지는 한편, 다른 보덴 피복부(85 또는 83)는 동일한 양으로 짧아진다. 따라서, 종동부(11, 12)는 도 9의 개략도에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하므로 종동부(11, 12)에 연결된 창유리가 정렬된다.
도 14는 평행 사변형 레버 기어로서 형성된 조정 장치(63)의 도면이다. 평행 사변형 레버 기어는 관절형 조인트(632 내지 635)를 통해 함께 연결된 4개의 레버 암(831)으로 구성된다. 관절형 조인트(632 내지 635)는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의 보덴 피복부(83 내지 86)의 보덴 소켓(91 내지 94)에 연결되고, 조정 장치(63)의 하우징(630) 내에 장착된다. 평행 사변형 레버 기어는 관절형 조인트(632, 634 및 633, 635)가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고 역으로 서로 떨어져 이동하도록 가위형의 차량 잭 방식으로 스핀들 드라이브(636, 637, 638)에 의하여 조정된다.
스핀들 기어는 드라이브 헤드(637)를 통해 회전하고 조인트(632 내지 635) 중 하나, 즉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조인트(632)에 연결된 스핀들 너트(638)와 결합되는 스핀들(636)을 가짐으로써, 드라이브 헤드(637)의 한쪽 회전방향 또는 다른쪽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인하여 평행 사변형 레버 기어가 이에 대응하여 구조가 변경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의 보덴 피복부(83 내지 86)의 길이 변경으로 인하여 윈도우 리프터의 종동부(11, 12) 중 어느 하나가 상승 및 하강된다.
도 15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조정 장치(64)는 하우징(640) 내 보덴 케이블(26, 27)의 보덴 크로스에 장착된 슬라이더(641)를 갖고, 상기 슬라이더는 슬라이더(641) 상에 기입된 이중 화살표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641)는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 내 보덴 피복부(84, 86)의 보덴 소켓(91, 92)에 연결되는 피벗(644, 645)이 장착된, 슬라이더(641)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역으로 경사지는 슬라이드(642, 643)를 갖는다.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의 다른쪽 보덴 피복부(83, 85)는 자신의 말단 또는 보덴 소켓(95, 96)을 통해 조정 장치의 하우징(640)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슬라이더(641)를 어느 한쪽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보덴 소켓(91, 92)에 연결된 피벗(644, 645)이 보덴 소켓(91, 92)의 거리를 관련 보덴 케이블(26, 27) 중 다른 보덴 피복부(83, 85)의 관련 다른 보덴 소켓(95, 96)에 대하여 감소 또는 증가시키도록 슬라이드(642, 643) 내 자동 가이드를 통해 움직이고, 이에 상응하여 보덴 케이블(26, 27)이 길어지거나 또는 짧아지며 종동부(11, 12)가 이동한다.
도 16에 따른 조정 장치(65)의 실시예는 상기 조정 장치(65)가 하우징(650)에 장착되며 축(65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회전가능 레버(651)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5에 따른 조정 장치(64)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회전가능한 레버(651)에는 보덴 소켓(91, 92)에 연결되는 피벗(655, 656)이 장착된 보정 슬라이드(652, 653)이 위치한다.
회전가능한 레버(651)가 축(654)을 중심으로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보정 슬라이드(652, 653)에 장착된 피벗(655, 656) 즉 상기 피벗에 연결된 보덴 소켓(91, 92)은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의 길이가 보덴 소켓(91, 92)의 하우징 포트, 및 하우징(650)에 견고하게 연결된 관련 다른 보덴 피복부(83, 86)의 소켓(95, 96)에 대하여 변경되도록 이동한다.

Claims (31)

  1. 자동차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 이동되는 창유리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구동 방향에 대하여 상기 창유리의 조정 방향을 따라 장착된 2개의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상기 자동차의 구동 방향에 대하여 상기 창유리의 조정 방향을 따라 장착된 2개의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상기 창유리의 조정 방향을 따라 상기 2개의 전방 및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와 상기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사이의 영역에서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로 연장되는 구동가능한 케이블로서, 상기 케이블 스트랜드의 길이는 상기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 중 하나는 조정가능한 길이만큼 길게 하고 상기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 중 다른 하나는 조정가능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짧게 하는 길이 조정 수단을 통해 서로 상대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구동가능한 케이블, 및
    상기 창유리와 함께, 상기 창유리의 조정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블을 통과해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종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는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개방되는 케이블 가이드를 갖고, 상기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길이 조정 수단은 하나의 케이블 편향 장치(53 내지 57) 내에 커플링되는 케이블 편향 부재로서 상기 개방된 케이블 가이드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 편향 장치는 상기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 중 하나가 조정가능한 길이만큼 길어질 때 상기 케이블 케이블 스트랜드(23, 24) 중 다른 하나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편향 장치(53 내지 57)는 이동 및/또는 회전 시에 조정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편향 장치(53 내지 56)는 제1 위치(C, E, G, I, I')로부터 제2 위치(D, F, H, K, K')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편향 장치(51, 52)에는 상기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방 및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1, 32; 41, 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편향 장치(51, 52)는 스위블 크로스 바(51)를 가지며,
    상기 스위블 크로스 바의 말단은 상기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1, 32; 41, 42)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블 크로스 바의 경사는 로킹가능한 세팅 장치(52)에 의해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편향 장치(53 내지 56)는 상기 2개의 크로스 바 스트랜드(23, 24)의 교차 영역(25)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편향 장치(53 내지 56)는 대략 원형인 경로 상에서 제1 위치(C, E, G, I, I')로부터 제2 위치(D, F, H, K, K')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편향 장치는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와 활성적으로 연결되는 이중 케이블 롤러(53 내지 55)로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는 상기 이중 케이블 롤러(53 내지 55)의 회전축을 따라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케이블 롤러(55)는 전방 케이블 편향 장치 또는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1, 32; 41, 42) 영역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의 상기 교차점(25)의 공간 위치에 영향을 미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71, 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편향 장치(56)는, 자신의 축(56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원형 디스크(560) 상에 장착된 적어도 2개의 케이블 편향 부재(561, 562)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편향 부재(561, 56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 중 하나에 맞대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편향 장치(56)는 상기 원형 디스크(560)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위치(I, I')로부터 제2 위치(K, K')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편향 장치(57)는 축(570)을 따라 함께 커플링된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편향 부재(571, 572)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편향 부재 각각은 상기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23, 24) 중 하나를 편향시키고, 상기 케이블 편향 장치(57)는 상기 축(570)을 따라 변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축(570)은, 상기 창유리의 조정 방향에 대하여, 상기 하단 전방 케이블 편향 장치(32)와 상기 하단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42)의 연결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편향 장치(57)는 상기 하단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2)와 상기 하단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42)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편향 장치(57)는 상기 상단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1)와 상기 상단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41)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자동차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 이동되는 창유리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구동 방향에 대하여 상기 창유리의 조정 방향을 따라 장착된 2개의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상기 자동차의 구동 방향에 대하여 상기 창유리의 조정 방향을 따라 장착된 2개의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상기 창유리의 조정 방향을 따라 상기 2개의 전방 및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와 상기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사이의 영역에서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로 연장되는 구동가능한 케이블로서, 상기 케이블 스트랜드의 길이는 상기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 중 하나는 조정가능한 길이만큼 길게 하고 상기 2개의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 중 다른 하나는 조정가능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짧게 하는 길이 조정 수단을 통해 서로 상대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구동가능한 케이블, 및
    상기 창유리와 함께, 상기 창유리의 조정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블을 통과해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종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하는 케이블 스트랜드는 보덴 피복부(81 내지 86)의 적어도 일부 섹션에 장착되는 보덴 케이블(26, 27)로 구성되고,
    상기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의 길이 조정 수단은 상기 보덴 피복부(81 내지 86)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조정 장치(58 내지 6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조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11, 12)에 연결된 상기 하나의 보덴 케이블(26, 27) 중 보덴 케이블 니플(15, 16) 사이의 보덴 피복부(81, 82)의 길이는 소정의 양만큼 길어지고, 상기 종동부(11, 12)에 연결된 상기 다른 하나의 보덴 케이블(27 또는 26) 중 보덴 케이블 니플(15, 16) 사이의 보덴 피복부(82 또는 81)의 길이는 동일한 양만큼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58, 59)는 이동 및/또는 회전 시에 서로 독립적으로 보덴 피복부(81, 82)의 길이를 조정하고, 상기 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와 상기 후방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31, 32; 41,42) 사이의 영역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덴 피복부(83 내지 86)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상기 조정 장치(60 내지 65)는 함께 커플링되고, 상기 2개의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 중 하나는 조정가능한 길이만큼 서로 길게 되는 반면 다른 하나의 보덴 케이블(27, 26)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짧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덴 피복부(83 내지 86)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상기 조정 장치(60 내지 65)는 상기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의 교차 영역(20)에 장착되고, 구동측 보덴 케이블(27)의 적어도 하나의 보덴 피복부(85, 86)의 길이를 비구동측 보덴 케이블(26)의 적어도 하나의 보덴 피복부(83, 84)의 길이에 대해 서로 상대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덴 케이블(26, 27)의 보덴 소켓(91 내지 94)에 의하여 연결되는 각도 조정가능한 캠 플레이트(601, 602; 611, 612)를 구비한 조정 장치(60, 61)를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가능한 캠 플레이트(601, 602)는 2개의 중첩된 면에 배열되며, 보덴 피복부(84, 85)에 연결된 각각의 보덴 케이블부(262, 272)의 보덴 소켓(91, 92)에 의하여 연결된 나선형 형상의 만곡면(603, 604)을 갖는 한편, 각각의 다른 보덴 케이블부(261, 271)의 보덴 피복부(83, 86)는 소켓(95, 96)을 통해 상기 조정 장치(60)의 하우징(600)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가능한 캠 플레이트(611, 612)는 2개의 중첩된 면에 장착되며, 상기 보덴 피복부(83 내지 86)에 연결된 상기 보덴 케이블부(261, 262; 271, 272)의 상기 보덴 소켓(91 내지 94)에 의하여 연결되는 나선형 형상의 만곡면(613, 614, 616, 61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60, 61)는 조정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포지티브 로킹 영역(605, 61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62)는 상기 조정 장치(62)와 상기 상단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또는 상기 하단 케이블 방향 전환 장치 사이에 장착된 상기 2개의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의 보덴 케이블부(261, 272)에 연결되는 2개의 톱니형 로드(910, 940)와 맞물리는 톱니형 휠(62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형 로드(910, 940)는 상기 보덴 케이블부(261, 272)의 상기 보덴 소켓(91, 94)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보덴 소켓(91, 94)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63)는 평행 4변형 레버 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 기어는 대향하는 관절형 조인트(632 내지 635)가 상기 보덴 케이블(26, 27)의 상기 보덴 소켓(91 내지 9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 4변형 레버 기어의 상기 대향하는 조인트(632 내지 635)의 거리를 조정하는 스핀들 조정 장치(636 내지 6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64)는 자신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서로 상대적으로 경사진 슬라이드(642, 643)로 구성되고,
    상기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의 각각의 보덴 피복부(84, 86)의 보덴 소켓(91, 92)에 연결된 2개의 피벗(644, 645)이 상기 슬라이드(642, 64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65)는 상기 교차하는 보덴 케이블(26, 27)의 2개의 보덴 피복부(84, 86)의 상기 보덴 소켓(91, 92)에 연결된 상기 피벗(655, 656)과 결합되는 2개의 슬라이드(652, 653)를 대향하는 말단에 포함하는, 축(65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레버(65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47004989A 2001-10-05 2002-10-04 자동차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변위되는 창유리 조정 장치 KR200500335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51068A DE10151068B4 (de) 2001-10-05 2001-10-05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r von einem doppelsträngigen Seilfensterheber bewegten Fensterscheibe eines Kraftfahrzeugs
DE10151068.3 2001-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514A true KR20050033514A (ko) 2005-04-12

Family

ID=770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989A KR20050033514A (ko) 2001-10-05 2002-10-04 자동차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변위되는 창유리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011130A1 (ko)
EP (1) EP1432885B1 (ko)
JP (1) JP2005504906A (ko)
KR (1) KR20050033514A (ko)
DE (2) DE10151068B4 (ko)
ES (1) ES2253564T3 (ko)
WO (1) WO20030317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7459B1 (fr) * 2002-03-19 2004-07-09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Procede d'assemblage de portiere
DE10255461B4 (de) * 2002-11-25 2007-05-16 Faurecia Innenraum Sys Gmbh Fensterheberanordnung sowie Kraftfahrzeugtür
US7287804B2 (en) 2003-03-31 2007-10-30 Ohi Seisakusho Co., Ltd. Tension controller and opening-and-closing device for vehicle having the same
DE102004048924C5 (de) * 2004-10-06 2014-11-27 Küster Automotive Door Systems GmbH Vorrichtung zum Heben und Senken einer Fensterscheibe
DE102005037324B4 (de) * 2005-08-04 2008-06-19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Kraftübertragungselement, Fensterheber und Kraftfahrzeugtür mit einem Fensterheber
US7958676B2 (en) 2005-09-12 2011-06-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Deflection device for an adjustment device of a motor vehicle
DE102007040282C9 (de) 2007-08-24 2016-03-10 Küster Holding GmbH Abdeckeinrichtung für den Fahrzeuginnenraum
US8375691B2 (en) * 2008-06-03 2013-02-1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Synthetic fiber rope with coupling element
DE202008016221U1 (de) 2008-12-06 2010-04-2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Einstellvorrichtung
DE102010031013A1 (de) 2010-07-06 2012-01-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Kraftfahrzeug-Fensterheber
FR2989037B1 (fr) * 2012-04-10 2017-02-10 Inteva Products France Sas Leve-vitre comprenant un support pour la fixation d'un brin de cable entre deux extremites de premier et deuxieme rails de guidage
DE102012103829A1 (de) * 2012-05-02 2013-11-0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inrichtung zur Türscheibenführung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12020281A1 (de) 2012-10-17 2013-05-08 Daimler Ag Fensterhebe-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FR3003510B1 (fr) * 2013-03-21 2015-03-27 Inteva Products France Sas Arret de gaine pivotant pour gaine, support, rail de guidage, ensemble, leve-vitre, procede de montage correspondants
DE102013007377A1 (de) 2013-04-27 2014-03-20 Daimler Ag Fensterhebe-Einrichtung und Seitenwand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216889A1 (de) * 2016-09-06 2018-03-0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Fensterheber, mit einer schräg erstreckten Wellenachse
US20200071981A1 (en) * 2018-08-31 2020-03-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Window lifter assembly for adjusting a window pane
DE102019201793A1 (de) * 2019-02-12 2020-08-13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Kraftfahrzeugtüre
US11193320B2 (en) * 2019-11-04 2021-12-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Window regulator assembly
US11525297B2 (en) * 2020-06-30 2022-12-13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Integrated window regula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12944134A (zh) * 2021-02-05 2021-06-11 苏州长平视听设备有限公司 电动升降挂架
CN113062674A (zh) * 2021-04-09 2021-07-02 合肥工业大学 一种基于线驱机构的自动开关窗户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1971A (en) * 1975-09-02 1977-01-11 Freedland Industries Corporation Unit window regulator assembly
IT1064159B (it) * 1976-11-10 1985-02-18 Sessa T Alzacristallo a filo di tipo perfezionato
DE3727153A1 (de) * 1987-08-14 1989-02-23 Kuester & Co Gmbh Bowdenzug-fensterheber
DE3803118A1 (de) * 1988-02-03 1989-08-17 Porsche Ag Fuehrungseinrichtung fuer eine in der hoehe verstellbare fensterscheibe
US5001867A (en) * 1989-09-26 1991-03-26 Gencorp Inc. Door glass cassette for vehicles
US5490354A (en) * 1991-09-16 1996-02-13 Brose Fahre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able mechanism for raising and lowering windows of motor vehicles
FR2728007A1 (fr) * 1994-12-07 1996-06-14 Rockwell Body & Chassis Syst Leve-vitre du type bowden pour porte de vehicule
DE19544630C1 (de) * 1995-11-30 1997-06-19 Brose Fahrzeugteile Bowdenrohr-Fensterheber mit Seillängenausgleich
US5964063A (en) * 1996-07-22 1999-10-1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otor-vehicle door having window winder, method of assembling the door, and window sash assembly suitable for use in the door
DE19654851C1 (de) * 1996-12-30 1998-06-10 Brose Fahrzeugteile Seilfensterheber mit einer Führungsschiene
DE19837560C2 (de) * 1998-08-19 2000-06-21 Kiekert Ag Doppelsträngiger Seilfensterheber
DE19943338B4 (de) * 1998-09-22 2004-08-12 Küster & Co GmbH Vorrichtung zum Heben und Senken einer Fensterscheibe in einem Kraftfahrzeug
DE19852977C1 (de) * 1998-11-17 1999-10-07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r Gewährleistung einer Relativbewegung zwischen Teilen eines Seilfensterhebers
KR100363987B1 (ko) * 1999-06-16 2002-12-11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
DE19944916A1 (de) * 1999-09-14 2001-03-15 Brose Fahrzeugteile Seil- oder Bowdenfensterheber
ES2228421T3 (es) * 2000-03-06 2005-04-16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tems-France Modulo de puerta de vehiculo con panel de puerta integrada.
US6430873B1 (en) * 2000-03-08 2002-08-13 Atoma International Corporation Dual drum and rail window regulator drive system
US6453615B1 (en) * 2000-10-17 2002-09-24 Lear Corporation Vehicle door subassembly, door and method for making the door
FR2815667B1 (fr) * 2000-10-24 2003-08-01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Systeme de fixation d'un leve-vitre sur une porte sans cadre de vehic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2885B1 (de) 2005-12-28
WO2003031756A1 (de) 2003-04-17
DE10151068A1 (de) 2003-04-24
JP2005504906A (ja) 2005-02-17
EP1432885A1 (de) 2004-06-30
DE50205468D1 (de) 2006-02-02
DE10151068B4 (de) 2005-09-29
US20050011130A1 (en) 2005-01-20
ES2253564T3 (es)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3514A (ko) 자동차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터에 의하여변위되는 창유리 조정 장치
US5012613A (en) Power window apparatus
JPS62189282A (ja) 自動車用サツシユレスドアのウインドウレギユレ−タ
KR970000137A (ko) 건축물의 개방부의 베인 차폐물용 제어 및 현가장치
KR19980032919A (ko)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
KR100253989B1 (ko) 차량도어에서 하강될수 있는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용 안내장치
US7596907B2 (en) Force transmission element, window lifter and motor vehicle door with a window lifter
JP4018102B2 (ja) ウィンドウ昇降装置
EP0982165B1 (de) Seilfensterheber für eine Kraftfahrzeugtür
JPH07172742A (ja) 扉の懸架装置
JPS5855313B2 (ja) 自動車の窓昇降装置
EP0710759B1 (de) Elektromotorisch verstellbare Ausstellschere
US5081792A (en) Window regulator with orthogonal pushout for flush window
WO2022194685A1 (de) Baugruppe einer verstell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KR100252595B1 (ko) 자동문개폐장치
WO1994015054A1 (de) Antrieb für eine bogenschiebetür
EP1631519B1 (en) Telescopic curvilinear elevator doors
WO1997002968A2 (de) Antriebsaggregat für eine motorisch bewegbare 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DE19856460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heben und Absenken einer Fensterscheibe in einer Kraftfahrzeugtür
WO2022074021A1 (de) Fensterheberbaugruppe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seilantriebsgehäuses
KR100214673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
EP1528219B1 (de) Rollabschluss
KR100197010B1 (ko)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
JP3982663B2 (ja) 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
CN117321280A (zh) 用于安装到建筑物墙壁上的推拉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