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919A -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 - Google Patents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919A
KR19980032919A KR1019970053282A KR19970053282A KR19980032919A KR 19980032919 A KR19980032919 A KR 19980032919A KR 1019970053282 A KR1019970053282 A KR 1019970053282A KR 19970053282 A KR19970053282 A KR 19970053282A KR 19980032919 A KR19980032919 A KR 19980032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er
vehicle
lever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롤링 라인홀트
핑크 마르틴
Original Assignee
맨프레드 트이플
아이 에프 이 인더스트리-아인리히퉁겐 페르티궁스-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T184396A external-priority patent/AT405555B/de
Application filed by 맨프레드 트이플, 아이 에프 이 인더스트리-아인리히퉁겐 페르티궁스-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맨프레드 트이플
Publication of KR19980032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91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 E05D15/104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railway-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07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railway-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05F15/64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allowing or involving a secondary movement of the wing, e.g. rotational or transvers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 E05D2015/103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the wing supported on arms extending from the carriage
    • E05D2015/103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the wing supported on arms extending from the carriage the carriage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 E05D2015/105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with slanted or curved track sections or 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32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Y2201/236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using force or torque
    • E05Y2201/238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using force or torque reaction force or torqu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3Multiple fun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하나이상의 도어판(1)과, b) 캐리어 레일(7)과, c) 상기 캐리어 레일(7)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6)와, d) 선회가능한 캐리어 기계장치부(2, 3, 4, 5)와, e) 상기 캐리어 기계장치부(2, 3, 4, 5)의 안내페그(8)가 내부에 연장되어 있는 안내라인(9)과, f) 선형구동부(10, 21)와, g) 상기 가압요소(15)상에서 슬라이더(6)에 작용하는 상기 선형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h) 상기 가압요소(15)는 슬라이더(6)의 운동에 따라서 양측 지점간을 운동하는데, 상기 양측지점은 상기 도어판(1)의 외향선회 지점 및 상기 도어판(1)의 내향 선회 지점에 해당하며,
i) 상기 가압요소(15)는 상기 캐리어 기계장치부(2, 3, 4, 5)의 한 요소와 연결되어 있어서 그 위치변경은 도어윙(1)의 내향 및 회향선회에 작용하거나 적어도 실제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
본 발명은
a) 하나이상의 도어판과,
b) 차량내에 붙박이식으로 장착된 상기 도어판을 이송하는 캐리어 레일과,
c) 상기 캐리어 레일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와,
d) 경우에 따라서는 평행사변형 링크를 이루어 상기 도어판을 슬라이더와 연결하는 선회가능한 캐리어 기계장치부와,
e) 상기 캐리어 기계장치부의 요소와 연결되어 있는 안내페그가 내부에 연장되어 있어서 상기 캐리어 기계장치부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붙박이식으로 차량내에 장착된 안내레일과,
f) 도어윙 즉 슬라이더를 상기 캐리어 레일을 따라 운동시키는 선형구동부와,
g) 상기 슬라이더에 가압요소의 선형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두 가지 종래 기술의 원리상 단점을 배제하고 그 장점은 취하며, 닫힘대기 및 조절이 손쉽고 본 발명의 목적을 간단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도어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은 EP 0 643 190 A2에 공지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스텝-다운 기어부의 반작용역률은 커플링봉에 의해, 상기 도어윙의 닫힘단 모서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도어-트리형 파이프를 오픈동작 초기에 그리고 닫힘동작 끝에서 선회시키는데 사용된다.
DE 43 16 253 A1에는 이와 유사한 구조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 기술에서는 상기 도어 트리형 파이프(door tree-shaped pipe)를 안전하게 각각의 상대적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커플링봉은 각각 초과-데드센터-위치를 차지한다.
DE 32 31 181 C2에는 다른 구성이 알려져 있다. 구동장치를 통한 이 기술에서는 상기 구동장치가 고정형 아암을 수단으로하여 도어윙 상부에 작용한다는 것만 전술하고 있다. 이는 역동적이며 운동하는데에 발생하는 문제들을 상기 평행사변형 링크가 선회하는 동안에 최소한으로 감소시키는데에 아주 필수적인 사항이다.
DE 34 19 338 C2에는 무단 순환 로우프 또는 운전벨트형태의 도어용 선형구동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 구동장치에서는 도어의 운동을 조절하는데 상기 운전벨트 회전롤러의 직경을 이용한다. 도어윙이 순환운동할 경우에 형성되는 링크 지점은 역회전 디스크에 약 90°를 이루어 연장되어 있다. 이로써 도어들은 차체가 움직이면 끌어당겨지고 열릴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도록 보인다. 이러한 구동원리로 인해 특정한 도어라인이 (이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하여 아무것도 진술되어 있지 않음) 서두에 설명한 명세서에서와는 다르게 풀려버릴 수 있다.
처음에 언급한 명세서와 다르게 마지막에 언급한 명세서가 갖는 장점은 이 구동부는 닫히는 동작이 끝날 때에 그리고 열리는 동작이 시작될 때에 직접 도어가 상기 상태에 있을 때 선회운동을 지지하는 힘을 인가하는 점이다. 그러나 벨트 운동을 상기와 같이 동작시킴으로써 도어연결 아마추어가 롤러를 부분적으로나마 선회운동시켜야만 할 경우에는 저항을 쉽게 받고 빨리 손상된다.
본 발명에 따라 두 지점간을 운동하는 슬라이더와 관련하여 가압요소가 구성되는데, 이 때 상기 두 지점 중 한 지점은 도어판의 바깥쪽으로 선회한 개방위치에 있고 다른 한 지점은 도어판의 안족으로 선회한 폐쇄된 위치에 해당하는데, 여기서 상기 가압요소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지점으로 운동함으로써 캐리어 기계장치부의 슬라이더측 링크지점은 소정 회전역률로 장착되고 이러한 방식에 의해 내향 및 외향 선회동작에 작용하거나 적어도 실제로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선형구동부는 순환하는 무단밴드, 체인, 벨트 또는 유사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가압요소를 이루는 롤러 주위의 슬라이더를 회전하는데, 이 롤러는 캐리어 기계장치부의 선회축에 연결되어 있거나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선형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두개의 스토퍼사이에서 회전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가압요소를 이루는 스핀들 너트와 연동하는 스핀들이며, 톱니바퀴, 기어셋트, 벨트 또는 그와 같은 것에 의해 상기 캐리어 기계부의 슬라이더측 회전축과 연동하는 스핀들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선형구동부는 제 1 실시예에서 무단 밴드 또는 유사 종류로 이루어졌던 것과 유사하지만 상기 캐리어 기계장치부는 평행사변형 링크가 아니고 오히려 간단한 구조의 선회아암이다.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매우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해진다.
도 1 내지 도 5 는 여러 가지 다른 닫힘 상태에서 일련의 닫힘 동작을 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선회식 슬라이딩도어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핀들 구동부가 달린 도어의 제 2 실시예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9 는 도어가 닫힘단 모서리 영역내에 있을 때 도어판이 폐쇄된 지점에서 잠그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 는 캐리어 기계장치부가 평행사변형 링크를 이루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도어판, 도어윙2, 3, 4, 5 : 캐리어 기계장치부,
6 : 슬라이더7 : 캐리어 레일
8 : 안내 롤러, 안내 페그, 제어 롤러
10, 21 : 선형 구동부15 : 가압요소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선회식 슬라이딩도어의 본 발명 요소를 절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어윙(1)은 문에 고정된 선회축(2, 3)과 그리고 슬라이딩 고정된 선회축(4, 5)으로 이루어진 평행사변형 링크에 의해 슬라이더(6)에 지지된다. 상기 슬라이더(6)는 차량내에 고정 장착된 캐리어 레일(7)상에서 진행한다. 적용시에는 상기 캐리어 레일(7)을 축상 고정시키지만 그 축 둘레로 선회가능하게 차량박스안에 장착되도록 주의해야 한다.
상기 캐리어 레일(7) 상의 슬라이더(6)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평행사변형 링크의 각각의 상대적 위치(2, 3, 4, 5)들은 상기 평행사변형 링크에 맞도록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축(2, 4)들간을 연결하는 연결아암과 연결되어 있으며 안내라인(9)내에서 운동하는 제어롤러(8)에 의해 결정된다.
도어 구동부는 무단 순환 톱니벨트(10)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벨트는 두 개의 붙박이 회전롤러(11, 12) 및 슬라이더(6) 및 슬라이딩 고정된 회전롤러(13, 14)에 의해 슬라이더(6)에 그리고 상기 평행사변형 링크의 축(4)과 회전고정 연결된 회전롤러(15)의 둘레를 회전한다. 상기 톱니벨트(10)의 구동은 상기 양측 회전롤러(11, 12) 중 하나에 작용하는 모터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여기에 하나의 기어를 사이에 끼워넣을 수도 있는데 이는 종래의 발명이며 본 발명의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하여는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평행사변형 링크(2, 3, 4, 5)의 상대적 위치들이 상기 안내롤러(8)에 의해서 안내라인(9) 안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회전하는 톱니벨트(10)에서 도 1 에 도시된 위치에의 인장력이 상기 슬라이더(6)에 작용하고 더불어 상기 도어(1)들이 슬라이딩하는데에 작용한다. 도 1 에 도시된 위치는 도어를 열 경우에는 끝지점에 해당하는데, 종래기술에 속하고 본 발명의 기술요점이 아닌, 적당한 센서 및 제어회로를 사용함으로써, 도 1 에 도시된 위치에서는 단지 도어윙(1)의 닫힘동작만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폐쇄동작시에 상기 슬라이더(6)는 결국 도 2 에 도시된 위치로 들어간다. 즉 이 위치는 도어판(1)의 순수 병진운동 라인의 끝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지점에서 상기 도어판(1)이 닫히듯이 차량케이스 쪽으로 일직선을 이루어 도어 개구부내로 선회해 들어가는 선회운동이 일어난다. 이 위치에 도달하면 본 발명에 의해 성취되는 효과들이 생긴다: 회전하는 톱니벨트(10)를 화살표(16)의 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회전롤러(15) 및 상기 케이스 본체(2, 3, 4, 5)의 상부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역률이 가해진다. 이 회전역률은 상기 링크평행사변형(2, 3, 4, 5)의 선회 및 상기 도어판(1)의 선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판(1)의 다른 선회운동을 나타낸 도 3 및 도 4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용은 상기 안내롤러(8)가 선회운동을 하는 영역내에 있는 상기 라인(9)이 차량에 이미 정지된 상기 평행사변형 선회축(4)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어 있을 경우에 특히 뚜렷한 큰 효과를 지니게 된다.
도 5 에는 상기 도어윙(1)이 완전히 닫혀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평형사변형 링크(2, 3, 4, 5)는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 상응하는 상대적 위치를 갖고 있다.
상기 도어를 여는 동작은 닫힘폐쇄동작과 유사하게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화살표(16, 도 3)의 방향에 반대로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반시계방향의 회전역률이 상기 링크 4각형(2, 3, 4, 5)과 연동관계에 있는 회전롤러(15)에 유도되어 상기 링크 4각형 및 도어판(1)을 선회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라인(9)에 있는 안내롤러(8)는 상기 라인(9)의 곡선부내에 슬라이딩된다. 이는 차량과 관련하여 아직도 정지상태에 있는 상기 평행사변형 링크의 선회축(4) 둘레로의 회전운동에 상응하는 동작이다. 이 회전운동이 일어나는 중에 상기 롤러(8)가 상기 라인(9)의 직선부에 도달하면 이 힘은 상기 선회축(4)의 회전운동선의 끝에 그리고 상기 회전롤러(15) 및 상기 톱니벨트(10)의 슬라이더부분에 회전식으로 고정된 부분의 끝에 가해진다.
이를 통해 형성된 반동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6)는 캐리어 레일(7)을 따라 오프셋운동을 하며 이때 점점 더 완전 선회하는 상기 도어판(1)은 병진운동하여 개구방향만으로 운동해 들어간다. 이 운동은 다른 센서들이 장착되어 이 지점에 도달했는지를 인식하고 구동을 멈추는 도 1 에 도시된 지점에 도달했을 때에 끝난다.
이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톱니벨트(10)를 선회축(4)에 축상으로 회전고정 연결된 회전롤러(15) 주위로 선회시키지 않아도 된다. 기어교체, 마찰기어교체, 또는 벨트부에 의해 선회축(4)에 작용하는 다른 하나의 회전롤러를 사전에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로써 모터 및 프랜지로된 기어 셋트를 사용했을 때 얻어낸 것과는 다른 작동률이나 회전역률이 문을 개방하고 닫히는 데에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축판을 사용해서 상기 톱니벨트를 톱니봉과 같은 종류로서 알맞게 선택된 톱니바퀴에 장착시켜 움직이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은 상기 톱니벨트의 강한 장응력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닫힘동작이 일어날 시에 또한 슬라이딩운동 및 평행사변형 링크의 선회운동을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로써 각 기호에 맞는 열고 닫는 운동을 창출해 낼 수 있다. 이를 위하여서는, 도어가 닫힘 단부영역내에 있을 경우에, 단지 롤러(8)가 있는 영역안에 있는 라인(9)의 형태를 그에 상응하도록 적절하게 맞추기만 하면 된다.
윙이 두 개인 도어를 구성할 시에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가벼운 도어의 제조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회전롤러(12)를 기어로 구성하여 거울형태의 장치를 두번째 설치하고 또한 구동장치로써 운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톱니벨트(10)를 전체 정면 폭에 걸쳐 당겨서 양측 도어윙들 각각이 양측 중 일측에 구성된 드럼에 의해 구동될 수 있게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톱니벨트(10)를 토크 배열함으로써 경우에 따라서는 경사지게 구성된 회전롤러(11, 12)와 조합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더에 장착된 회전롤러(13, 14, 15)가 톱니벨트의 타측 드럼으로 인하여 방해받지 않고서 양측 슬라이더 상의 거의 동일한 면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격면과 마모면에서 합당하다면 상기 회전하는 구동수단(10)을 톱니벨트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당연히 로우프나 체인 또는 다른 유사 구동요소를 사용하면 된다. 이때 사정에 따라 해당하는 칩구조를 장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칩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원 취지상으로는 당위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하는 구동수단장치 역시 장점을 갖고 있다. 즉 주기적으로 재회전하는 대기 동작시에 상기 구동수단을 소정 간격으로 슬라이딩 시켜서 높은 장력이 미치는 지점이 구동시간이 경과되는 중에는 전체 구동수단에 의해 왕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력이 동일하게 분배되어 수명도 역시 확실히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스핀들 구동부를 적용시키기로 한다. 도 6 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캐리어 레일(7)을 따라 진행하며 소정의 평행사변형 링크에 있어서 슬라이더측 선회축(4, 5)에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더(6)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선회축(4)은 자신쪽으로 스핀들너트(19)가 구성되어 있는 원추형 톱니(18)로 다듬어진 원추기어(17)를 받치고 있다. 상기 스핀들너트(19)는 스핀들(21) 위를 진행하는데, 이 스핀들은 선형구동요소이며 이 요소는 제 1 실시예에서는 톱니벨트(10)로써 구성되어 있었다.
이 장치의 작동방식은 도 1 내지 도 5 에 마크된 실시예와 완전히 유사하다: 도 6 에 도시된 닫힘단-위치에서는 오픈시에 상기 스핀들(21)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역률이 스핀들너트(19)에 전해진다. 이 너트에 전해진 회전역률은 원추형기어(18, 17)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평행사변형 링크상부에 인가되며 도어윙의 선회에 작용하게 된다. 상기 평행사변형 링크의 선회운동이 안내장치(8, 9: 도 1 참조)(도 6 이 개략도인 관계로 도시하고 있지 않음)에 의해 일측단부에서 이루어지면, 발생한 상기 슬라이더(6)의 반동력에 의해 열림방향으로(도 6 에 따르면 우측방향) 운동한다. 도어의 닫히는 동작 역시 이와 비슷하게 이루어진다.
이 변형예들은 각기 다르게 변형하여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원추형기어 대신에 가격이 저렴한 크라운톱니를 이용하거나 마모기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 을 보면 케이스 본체의 양측이 캐리어 레일(7)에 평행하게 진행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없는데, 이것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 형태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회식 슬라이딩도어의 구성은 종래에 설명한 장점외에도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해 상기 도어의 닫힘단 모서리(22)가 폐쇄된 위치에서 기호에 맞도록 선택가능한 힘을 받도록 손쉽게 구성할 수 있다는 또하나의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에는 세가지의 바람직한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어(1)는 닫힘단 모서리(22)의 역역으로 안내되어 닫힘 지점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고성능 라인에서 인장력에 대응할 시에 발생되는 하부압력으로 인해 양측 라인들사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윙(1) 내부에는 라인(23)이 구비된다. 이 라인은 하나의 선회아암(25)에 장착된 롤러 또는 유사한 장치(24)와 연동한다. 상기 선회아암(25)은 사실상 수직축(26) 둘레로 선회가능하며, 이로써 상기 도어윙이 열리는 동작이 상기 분권 닫힘모서리(22) 영역내에서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인 도어에서 선회레버(25)는 상기 도어윙과 차량에 붙박이식으로 고정된 프레임간에서 함께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윙이 꽉끼어서 움직이도록 그리고 열릴 때 안전하게 열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적용 분야마다 따로 정해져 있는 스프링의 인장력하에 있는 선회레버(25)가 도어윙을 닫힘위치로 또는 열림위치로 옮겨놓도록 하는 구성이 공지된 바 있다. 고속라인용으로서 고유한 선회구동부를 구비시키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 선회구동부는 특수한 도어용 구동부와는 무관하게 상기 선회레버(25)의 상대적인 위치를 도어를 운전함에 따라 제어하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닫힘단 모서리 영역내에 있는 회전롤러(11)는 적당한 캐리어와 고정아암(27)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 고정아암은 도어판(1)이 닫히는 지점에 도달했을 경우 볼트(28)을 사용하여 상기 선회레버(26)의 그루브(29)안에 맞물리며 이 볼트를 폐쇄된 지점안으로 밀어넣어 그곳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7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링크사각형(2, 3, 4, 5)용 라인(9)을 도 1 내지 5에 따른 실시예와 다르게 구성해야 하며, 도어구동부를 다른 위치에 위치시켜서 상기 톱니벨트(10)의 운동방향이 달라지지 않도록 그리고 상기 회전롤러(11, 12)의 회전방향 역시 달라지지 않도록 할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 변형례에서 선회동작시에 상기 톱니벨트(10)의 회전롤러(15)와 선회축(4)은 사실상 상기 롤러(8) 라인(9)의 곡선부 중간지점에 놓인다.
차단레버(27)는 폐쇄동선의 끝부분에서 회전롤러(11)의 방향에 반대되도록 회전하는데, 이는 예를 들어 가압회전을 통해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어 구동부가 회전롤러(11) 영역내에 직접 플랜지되는 경우 상기 차단레버(27)의 선회동작은 모터 회전역률의 반동운동으로서 바람직하게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구동부에 의해 촉진된다.
도 8 은 닫힘단 모서리 영역내에서 이루어지는 이러한 잠금동작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상기 라인(8, 9)은 다시 제 1 실시예에서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선회레버(25)는 연결링크(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링크는 중간레버(31)에서 상응하는 롤러와 연동한다. 상기 중간레버(31)는 차단레버(27)와 작동상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차단레버(27)는 다시 회전롤러(11)상으로 작용하는 도어작동용 개별 구동부와 연동한다.
연결링크를 제어함으로써 도어판(1)을 상기 닫힘단 모서리(22) 영역내에 고정하는 것에 더하여 열리는 동작을 상응하도록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왜냐하면 상기 연결링크 라인(30)은 일반적으로 상기 연결링크가 뻗어있는 양측 길이방향으로 동력을 인가하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링크(30)를 그에 맞게 곡선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마찰부가 탈락했을 경우에도 록킹부를 형성할 수 있다. 왜냐면 상기 도어판(1)위에 작용하는 힘이 크면 상기 도어판(1)의 닫힘단 모서리를 여는 동작은 중간레버(31)와 연동하기에 알맞는 형태를 가진 연결링크(30)로 인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안전상의 문제를 볼때 그와 같은 자가 차단방식의 구성은 많은 적용예에 있어서 바람직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다른 변형예에서는 도 9 에 따라 선회레버(25)가 닫힘 지점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레버(27)를 위한 자신의 연결아암(32)은 자체 장착된 데드센터(death-point)에 의해 장착된다. 이로 인해 도어판(1)에 작은 힘이 인가되기 때문에 여는 동작은 구동장치를 따로 작동시키지 않고서도 가능하다. 도 9 는 다시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에 해당하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라인(8, 9)과 관련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데드센터는 상기 차단레버(27)의 축이 연결아암(32)에 의해서 스캐닝될 경우에 형성된다. 상기 차단레버(27)는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의 반동력에 의해 운동한다.
도 10 내지 도 12 는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된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캐리어 기계부는 일측은 수직축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더(6) 쪽으로 기울고 타측은 마찬가지로 수직축에 의해 선회가능학 도어판에 고정된 캐리어 아암(34)에 물려있는 하나의 선회아암(33)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회아암(33)은 구동아암(35)과 회전고정되도록 연결되어 있는데, 이 구동아암에는 선형구동부(10)가 맞물려 있어서 구동아암(35) 및 선회아암(33)의 상대적 위치가 도어 고정된 라인(9)내에서 운동하는 라인롤러(8)로 인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선형구동부(10)는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회전롤러(11, 11', 12, 12') 둘레를 도어프레임 고정된 축에 의해 진행하는 벨트트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때 하나의 롤러,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롤러(11)가 상기 도어윙(1)의 닫힘단 모서리 영역 내에서 기어(37)에 의해 구동된다.
도 7, 8 및 9 에 따른 실시형태에서와 유사하게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수직축(26) 즉 예를 들자면 도어 트리타입 파이프로 구성가능한 또 하나의 수직축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축(26)에는 도어판(1)의 라인(23)내에서 진행하는 롤러(24)를 운반하는 선회레버(25)가 회전고정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어(37)는 회전가능하게 현수되어 있고, 기어하우징에는 래시(36)가 선회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데, 그 타측단은 축(26)과 연결되어 있고 더불어 선회레버(25)와 회전고정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동작방식은 다음과 같다: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0의 상단의 실시예로 볼 때 닫힘동작은 기어(37)에 의해서 롤러(11)이 시계방향쪽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37)의 회전역률은 자신의 하우징, 래시(36) 선회레버(25) 및 롤러들(24, 39)에 의해서 도어판(1)내의 라인(23)으로 인가되어 축(26)이 회전하지 않게 된다.
구동된 롤러(11)를 통하여 동작하도록 오프셋된 톱니벨트(10)는 구동레버(35)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레버의 상대적 위치는 슬라이더(6)에 대향하도록 롤러(8) 및 그 라인(9)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6) 및 도어구동부 및 도어의 각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부분들은 도어 닫힘 방향으로 라인(10)을 따라 운동한다.
이 닫힘동작이 수행될 시에 상기 롤러(8)는 라인(9)의 곡선형 부분에 도달한다. 이로써 상기 슬라이더(6)에 대향하는 구동레버(35)의 상대적 위치가 달라진다. 상기 구동레버가 선회레버(33)와 회전고정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윙(1)의 닫는 선회를 위한 상대적 위치 변화가 일어난다. 이 닫는 선회동작은 이전에 도어 트리형 파이프(26)에 맞물린 것과 같은 기어(37)의 반동역률에 의해 지지된다.
도어윙(1)이 꽉 닫히도록 닫힘동작선의 끝부분에 누르는 힘이 강할수록 상기 반동역률도 강해진다. 상기 도어 트리형 파이프(26)의 선회는 상기 래시(36)가 도 10 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과-데드센터-위치내로 회전하여 들어갈 수 있도록 안내된다. 때문에 도어를 열때는 에너지가 없는 구동부를 사용해서는 불가능하다.
상기 도어를 열 때 롤러(1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구동부가 필요하다. 이것은 롤킹이 불가능하기 때문인데, 이로써 상기 변동역률이 래시(36)를 반시계방향으로 데드센터에 의해 회전시키며, 더불어 도어 트리핑 파이프(26) 상부에 여는 동작에서와 같이 작용하게 된다.
완전히 열린 위치에 도달하기전에는 상기 도어판이 길이방향으로 더 이상 슬라이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선회레버(25)에는 조절롤러(39)가 구비되어 있다. 이 조절롤러는 도어가 닫히는 지점에 이르면 도어판(1)의 리세스(40)부 안에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도어판의 병진운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어 트리형 파이프(26)를 회전시키고 그와 연결된 선회레버(25)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조절롤러(39)는 상기 리세스부(40)영역에서 나와 도어판에 의해 롤링할 수 있게 된다. 역으로, 이 조절롤러는 문이 닫히게될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도어판(1)이 닫는 선회동작을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가능한 도어 바이패스구동은 기어하우징에 연결된 스프링(38)에 의해 개략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스프링은 위급한 경우에는 도어 구동부의 데드센터위치를 극복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초과-데드센터-기계부 대신에 연결링크라인을 도 8 에 도시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찬가지로 기어(모터)의 반동역률이 문을 열 경우에 도어판(1) 즉 도어 트리형 파이프(26)의 선회동작을 지지하게 된다.
윙이 두 개 달린 도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닫힘단 모서리용 록킹기계부재는 적당한 종래의 전이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두 번째 도어윙의 구동기계부 즉 안내기계부에 적용되는데, 이는 운반수단으로서의 도어구성 분야에 있는 당업자들이 적용시키는 데에는 본 발명의 사상으로 볼 때 아무런 문제가 없다. 선택할 장치들 각각을 닫힘단 모서리 영역내에 선택하는 것은 의도하는 효과 및 적용분야에 따라 달라지며, 이 분야의 당업자가 마찬가지로 쉽게 선택하고 자신의 필요에 맞게 적용시키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차단레버(27)의 운동을 모터 반동역률로 작용시키고 이를 통해 부가적인 구동을 방지하려는 것은 이러한 구성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변형예에 속한다. 이상과 같이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에 부가적으로 편향동작은 모터 반동역률을 사용하여 상기 동작을 한 단계에 걸쳐 자동으로 연속수행함으로써, 센서나 제어에 따라 달라지는 구동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따라 특별히 감독할 필요 없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기본사상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스핀들을 사용하면 원추형 기어 또는 스핀들 구동용 크라운 기어셋트를 사용하여 차단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그에 상응하는 반동역률을 편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는 스핀들에 평행하게 놓인 전자모터를 가진 스핀들용 톱니벨트 구동부를 사용할 경우에도 역시 가능하다. 만약 이 구동부를 사용한다면 상기 모터의 위치는 해당하는 반동역률을 편향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는 동작 즉 도어판을 닫힘단 모서리 영역내에 고정시키는 동작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사상을 이용했는가와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과 청구항에서 가압요소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예를 들자면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톱니벨트(10)와 회전롤러(15)간의 마찰지점이고, 제 2 실시예에서는 기어들(17, 18)이 맞물리는 지점이며 제 3 실시예에서는 구동레버(35)가 각도를 조정하는 지점을 의미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톱니벨트(10)을 상기 평행사변형 링크의 회전 지점(3, 4) 연결요소가 연장된 지점에 고정시키도록 하는데 이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자면 가압지점에 해당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로 다르게 변형하여 구성가능하다. 또한 제 1 변형예에서는 인가 가능한 역률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톱니벨트를 양측 슬라이더측에 선회축 주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측의 선회축에서와 다른 사각형 링크(2, 3, 4, 5) 부재위로 작용할 수 있다는 상기와 같은 가능성은 이상에서 이미 설명하였는데, 이로써 적당한 포오크형 캐리어를 사용하면 상기 톱니벨트(10)를 휘지 않고서도 가능하다. 그와 같은 캐리어는 본 발명의 제 3 변형예에도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직접 속하지는 않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상태에 속하는 부재들은 상술한 설명에서는 개략적인 설명이라는 이유로 인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다. 이에 해당하는 일예를 들자면 바닥영역내에 다른 도어라인, 도어운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 구동부가 없을 경우를 대비한 비상장치, 특히 고속차량 및 그와 비슷한 다른 차량일 경우에 필요한 압축용 특수 구성장치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내용없음.

Claims (8)

  1. a) 하나 이상의 도어판(1)과,
    b) 차량 내에 붙박이식으로 장착된, 상기 도어판(1)을 이송하는 캐리어 레일(7)과,
    c) 상기 캐리어 레일(7)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6)와,
    d) 경우에 따라서는 평행사변형 링크(2, 3, 4, 5) 형태를 이루며, 상기 도어판을 슬라이더와 연결하는 선회가능한 캐리어 기계장치부(2, 3, 4, 5; 33, 35)와,
    e) 상기 캐리어 기계장치부(2, 3, 4, 5; 35)의 요소와 연결되어 있는 안내페그(8)가 내부에 연장되어 있어서 상기 캐리어 기계장치부의 상대적 위치 결정하는 차량내에 붙박이식으로 장착된 안내라인(9)과,
    f) 도어윙(1) 및 슬라이더(6)를 상기 캐리어 레일(7)을 따라 운동시키는 선형구동부(10, 21)와,
    g) 상기 슬라이더(6)에의 가압요소(15, 29; 35)상으로 작용하는 선형구동부(10, 21)를 포함하는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도어에 있어서,
    h) 상기 가압요소(15, 19; 35)는 슬라이더(6)의 운동에 따라서 양측 지점간을 운동하는데, 상기 양측 지점은 상기 도어판(1) 일측의 외향선회 지점 및 상기 도어판(1) 타측의 내향선회 지점에 해당하며,
    i) 상기 가압요소(15, 19; 35)는 상기 캐리어 기계장치부(2, 3, 4, 5; 33)의 한요소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가압 지점(15, 19; 35)이 일측 지점에서 타측 지점으로 운동함으로써 상기 캐리어 기계부는 소정 회전역률을 받게 되어 상기 도어윙(1)의 내향선회 및 외향선회에 작용하거나 적어도 양측 선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구동부는 회전하는 톱니벨트(10), 로우프, 체인 또는 유사 종류이며, 상기 가압요소(15; 35)는 상기 캐리어 기계장치부(2, 3, 4, 5; 35)의 선회축에 평행한 축 둘레를 완전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요소는 톱니벨트(10)에 의해 둘러싸이는 롤러(15)인데, 이 롤러는 상기 캐리어 기계장치부 중에서 하나 이상의 슬라이더측 선회축(4, 5)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동부는 스핀들/스핀들너트-결합부(21, 19)를 둘러싸며, 상기 스핀들너트(19)는 가압요소로서 상기 스핀들(21) 둘레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스핀들너트(19)의 회전은 기어 즉 예를 들어 원추형 기어셋트(18, 17)에 의해서 상기 캐리어 기계장치부(2, 3, 4, 5)의 하나의 슬라이더측 선회축(4, 5)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
  5.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판(1)에는 선회레버(25) 상부에 장착되는 롤러(24)와 연동하는 라인(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레버(25)는 상기 도어판(1)의 제 1 외향선회 지점은 상기 도어판(1)의 제 2 내향선회 지점에 해당하는 두 개의 지점 사이에 있는 수직축(26) 둘레를 선회가능하며, 상기 도어의 슬라이더 지점에서는 상기 선형구동부(10, 21)와 연결된 차단레버(27)가 상기 선회레버를 자신의 제 2 지점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레버(27)의 운동은 도어 닫힘동작이 끝나는 단계에서 구동부의 반동역률에 의해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
  7. 제 5 항 또는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레버(27)는 선택적으로 중간링크(32, 31)에 의해서 상기 선회레버(25)의 연결링크(30)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
  8. 제 5 항 또는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레버(27)는 선택적으로 중간링크(32)에 의하여 데드센터 기계장치부로서 상기 선회레버(25)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
KR1019970053282A 1996-10-21 1997-10-17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 KR199800329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184396A AT405555B (de) 1996-10-21 1996-10-21 Schwenkschiebetüre für fahrzeuge
AT96-1843 1996-10-21
AT97-1512 1997-09-09
AT151297 1997-09-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919A true KR19980032919A (ko) 1998-07-25

Family

ID=25596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282A KR19980032919A (ko) 1996-10-21 1997-10-17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837209A3 (ko)
JP (1) JPH10169298A (ko)
KR (1) KR19980032919A (ko)
CN (1) CN1186147A (ko)
CA (1) CA2219002A1 (ko)
CZ (1) CZ333097A3 (ko)
PL (1) PL322704A1 (ko)
TR (1) TR19970116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6869B2 (en) 2000-05-25 2004-12-07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Powered sliding panel with secondary articulation for a motor vehicle
US6539669B1 (en) * 2000-09-14 2003-04-01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Plug door drive system
US6684567B2 (en) * 2001-12-18 2004-02-03 Westinghouse Air Brake Tecnologies Corporation Plug door drive system
DE202004002908U1 (de) * 2004-02-25 2004-05-06 Gebr. Bode Gmbh & Co. Kg Vorrichtung zur Verriegelung einer Schwenkschiebetür für Fahrzeuge zur Personenbeförderung, insbesondere Fahrzeuge des öffentlichen Personennahverkehrs
AT500462B1 (de) * 2004-04-23 2010-02-15 Knorr Bremse Gmbh Schiebetür bzw. schwenkschiebetür
DE102005005802B3 (de) * 2005-02-09 2006-06-14 Hübner GmbH Ausstellschiebetürsystem für ein Fahrzeug
GB0601669D0 (en) * 2006-01-27 2006-03-08 Delphi Tech Inc Door operating mechanism
JP4753797B2 (ja) * 2006-05-31 2011-08-24 共栄工業株式会社 収納庫
ES2390717B1 (es) * 2009-11-24 2013-10-03 Masats, S.A. Mecanismo para realizar el cierre y la apertura de una hoja de puerta oscilocorredera (swinging-sliding)
CN102561877A (zh) * 2011-12-29 2012-07-11 深圳市方大自动化系统有限公司 一种半高安全门传动系统
AT512365A1 (de) * 2012-03-22 2013-07-15 Knorr Bremse Gmbh Antriebsmodul für eine Schwenkschiebetüre eines Schienenfahrzeugs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AT514886B1 (de) * 2013-09-23 2015-10-15 Knorr Bremse Ges Mit Beschränkter Haftung Schienenfahrzeug, Schwenkschiebetürmodul und Türantriebssteuerung mit dynamisch aktiver Schließfunktion
DE102013111890A1 (de) * 2013-09-23 2015-03-26 Knorr-Bremse Gmbh Schwenkschiebetürmodul für ein Schienenfahrzeug mit mehreren über einen Bowdenzug gekoppelten Übertotpunktverriegelungen
US9476245B2 (en) 2014-08-29 2016-10-25 Strattec Power Access Llc Door cable pulley system
GB2548318A (en) * 2016-01-12 2017-09-20 S G Technical Systems Ltd Access Doors
JP6697933B2 (ja) * 2016-04-01 2020-05-2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グドア装置
AT520172B1 (de) * 2016-12-14 2019-07-15 Knorr Bremse Gmbh Spindelantrieb zum Antreiben und Verriegeln von Schwenkschiebetüren für Fahrzeuge aller Art
CN108005513B (zh) * 2018-01-15 2023-11-21 南京创想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塞拉门的底部锁闭装置
CN108159974A (zh) * 2018-03-26 2018-06-15 卢园园 多管式医学试管自动摇匀装置
JP2019173327A (ja) 2018-03-27 2019-10-1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グドア開閉装置
FR3084617B1 (fr) * 2018-08-03 2022-05-13 Renault Sas Dispositif de guidage d'un ouvrant coulissant de vehicule
AT521810B1 (de) * 2018-09-11 2021-05-15 Ultimate Europe Transp Equipment Gmbh Zugmitteltrieb zum Antreiben und Verriegeln von Türen für Schienenfahrzeuge
EP3643866A1 (en) * 2018-10-23 2020-04-29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Fastening arrangement for vehicle sliding door
CN110094134A (zh) * 2019-05-14 2019-08-06 清华大学 一种客车大开度前滑滑移门系统
US11864669B2 (en) * 2020-11-25 2024-01-09 Hussmann Corporation Merchandiser including track door system
AT524124B1 (de) * 2021-03-02 2022-03-15 Jarolim Reinhold Schwenkschiebetürantrieb
CN113968298B (zh) * 2021-12-13 2022-10-25 浙江佳佳童车有限公司 一种可变型式电动童车车门
JP2024068429A (ja) 2022-11-08 2024-05-2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診断装置、診断方法、及び診断プログラム
CN117248799B (zh) * 2023-11-20 2024-03-12 浙江极氪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一种尾门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5894A1 (en) * 1982-04-16 1984-04-25 LILJA, Tonny A remotely controlled driving device for sliding doors
EP0400188B1 (de) * 1989-06-02 1993-10-13 IFE Industrie-Einrichtungen Fertigungs-Aktiengesellschaft Schwenkschiebetür für Fahrzeuge
DE4316253A1 (de) * 1993-05-14 1994-11-17 Bode & Co Geb Vorrichtung zur Bewegung einer Schwenkschiebetür für Fahrzeuge zur Personenbeförderung, insbesondere Schienen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7209A2 (de) 1998-04-22
CN1186147A (zh) 1998-07-01
JPH10169298A (ja) 1998-06-23
TR199701164A2 (en) 1998-06-22
CA2219002A1 (en) 1998-04-21
CZ333097A3 (cs) 1998-05-13
PL322704A1 (en) 1998-04-27
EP0837209A3 (de) 2000-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2919A (ko) 차량의 선회식 슬라이딩 도어
US5711112A (en) Double-drive automatic sliding door operator
US5271182A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nel of a window, door, ventilation hatch, or similar closure
US5483769A (en) Door drive equipment for mass transit vehicle
CA2210627C (en) Swivel-sliding door system for a vehicle
CA2557149A1 (en) Window regulator
GB2186631A (en) Method and device for regulating vehicle door window
US20020066231A1 (en) Drive for doors, in particular garage doors
US4475312A (en) Door assembly
CN210049773U (zh) 一种升降折叠门窗
CN111247303B (zh) 用于关闭和打开向内转动门的至少一个扇叶的系统
US6786540B2 (en) Drive device for motor vehicle sliding sunroofs
FI121418B (fi) Rahtilaivan lastiluukun käyttömekanismi
US4199019A (en) Venetian blind construction
KR930002107Y1 (ko) 전동식 커튼 개폐장치
EA039735B1 (ru) Ворота
KR100252595B1 (ko) 자동문개폐장치
KR20220138944A (ko) 3 연동 슬라이딩 도어 장치
KR101324139B1 (ko) 출입문 개폐장치
JP2558597B2 (ja) 折り戸装置
US3678985A (en) Device for closing a hatch or the like
KR950007710Y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SU602463A1 (ru) Привод раздвижной двухстворчатой двери кабины лифта
KR100424364B1 (ko) 지붕의 개폐장치
CN220077208U (zh) 一种无人机储存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