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139B1 - 출입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출입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139B1
KR101324139B1 KR1020110084416A KR20110084416A KR101324139B1 KR 101324139 B1 KR101324139 B1 KR 101324139B1 KR 1020110084416 A KR1020110084416 A KR 1020110084416A KR 20110084416 A KR20110084416 A KR 20110084416A KR 101324139 B1 KR101324139 B1 KR 101324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sliding rail
pinion ge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882A (ko
Inventor
신진철
Original Assignee
신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철 filed Critical 신진철
Priority to KR1020110084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139B1/ko
Priority to PCT/KR2012/006720 priority patent/WO2013028022A2/ko
Publication of KR2013002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1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2Telescopic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는 여닫이문을 개폐할 때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함께 이용하기 때문에 여닫이문을 효율적으로 개폐할 수 있고,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단순하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라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비용이 적게 소요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여닫이문 뿐만 아니라 미닫이문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출입문 개폐장치, 이를 구비하는 여닫이문의 개폐구조 및, 미닫이문의 개폐구조{Apparatus for opening/closing door and, structure for opening/closing hinged door and sliding do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출입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여닫이문을 개폐할 때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함께 이용하기 때문에 여닫이문을 효율적으로 개폐할 수 있고,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단순하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라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비용이 적게 소요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여닫이문 뿐만 아니라 미닫이문에도 적용할 수 있는 출입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출입문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여닫이문의 개폐구조 및 미닫이문의 개폐구조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자동문은 개폐장치에 의해서 자동으로 열고 닫히는 문으로서, 편리하다는 장점과, 손으로 직접 문을 만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위생적이라는 장점과, 냉/난방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자동문에는 회동식 자동문과 슬라이딩식 자동문이 있다.
회동식 자동문은 출입문이 회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문이다. 즉, 회동식 자동문은 회동 기준점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여닫이문에 적용된다. 이러한 회동식 자동문은, 미닫이문의 슬라이딩을 위한 측면쪽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회동식 자동문은 모터와, 한쪽 끝단이 모터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단이 출입문에 연결된 링크 조립체를 구비하는데, 모터가 링크 조립체를 직접 회동시킴으로써 출입문이 개폐된다. 이러한 회동식 자동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422612호 등에 그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회동식 자동문은 감속비(링크 조립체의 회동속도에 대한 모터의 회전속도 비율)가 60(모터의 회전속도):1(링크 조립체의 회동속도) 내지 1000:1 정도로 크고 링크 조립체의 작은 회동각도로 출입문의 회동을 제어하기 때문에 출입문을 개폐를 정확하게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닫이문이 완전히 개폐될 때까지 오로지 모터의 회전운동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링크 조립체 등에 무리가 많이 간다. 아울러, 상기 모터와 링크 조립체로 구성되는 개폐장치는 슬라이딩에 의해 개폐되는 자동문 즉, 미닫이문에 적용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직선운동에 의한 여닫이문의 개폐장치를 고안한 바 있는데, 상기 개폐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8758호에 그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폐장치는 이동평판이 직선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여닫이문을 개폐한다.
그러나, 상기 개폐장치는 여닫이문을 90도 이상의 각도로 열기 어렵고, 이동평판과 여닫이문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무리가 많이 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여닫이문을 개폐할 때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함께 이용하여 여닫이문을 효율적으로 개폐할 수 있고,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단순하여 전문가가 아니라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비용이 적게 소요되어 경제적이고, 여닫이문 뿐만 아니라 미닫이문에도 적용할 수 있는 출입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출입문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여닫이문의 개폐구조 및 미닫이문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는, 벽체 또는 천정에 고정되는 모터부; 모터부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 피니언 기어의 축 또는 모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문이 닫혀있는 경우에 상기 문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한쪽 끝단은 문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 및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서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레일을 슬라이딩시키는 랙 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는, 벽체 또는 천정에 고정되는 모터부; 모터부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 피니언 기어의 축 또는 모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문이 닫혀있는 경우에 상기 문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 및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서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레일을 슬라이딩시키는 랙 기어;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레일에 설치되고, 한쪽 끝단은 문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바; 및 슬라이딩 레일의 양쪽 끝단에 설치된 한쌍의 롤러와, 한쌍의 롤러를 무한궤도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와, 와이어의 타측에 결합되고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 및, 와이어의 일측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바에 고정된 이동부재를 구비하는 2배속 이동부;를 포함한다. 고정부재가 프레임에 고정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레일이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이동부재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 바가 상기 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는, 여닫이 문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벽체 또는 천정에 고정되는 모터부; 모터부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 피니언 기어의 축 또는 모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여닫이 문이 닫혀 있는 경우에 여닫이 문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서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레일을 슬라이딩시키는 랙 기어; 및 선단은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단은 천정 또는 벽체 또는 모터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중앙부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회동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는, 여닫이 문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벽체 또는 천정에 고정되는 모터부; 모터부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 피니언 기어의 축 또는 모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여닫이 문이 닫혀 있는 경우에 여닫이 문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 및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서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레일을 슬라이딩시키는 랙 기어;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레일에 설치된 슬라이딩 바; 선단은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단은 천정 또는 벽체 또는 모터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중앙부에는 슬라이딩 바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회동바; 슬라이딩 레일의 양쪽 끝단에 설치된 한쌍의 롤러와, 한쌍의 롤러를 무한궤도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와, 와이어의 타측에 결합되고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 및, 와이어의 일측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바에 고정된 이동부재를 구비하는 2배속 이동부;를 포함한다. 고정부재가 프레임에 고정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레일이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이동부재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 바가 상기 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회동바의 선단에서부터 중앙부까지는 원호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프레임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프레임은 슬라이딩 레일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랙기어는 피니언 기어를 중심으로 여닫이 문의 반대쪽에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홈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레일의 외측면에는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홈이 형성되며, 슬라이딩 레일이 프레임에 설치된 경우에 내측홈과 외측홈은 서로 마주보게 되고, 내측홈과 외측홈에는 가이드 부재(45)가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바는 슬라이딩 레일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슬라이딩 레일은 슬라이딩 바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여닫이문의 개폐구조는, 슬라이딩 레일의 한쪽 끝단은 여닫이문의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여닫이문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열리기 시작할 때에는 슬라이딩 레일의 슬라이딩이 상기 연결부에 의해 제한된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에 의해서 여닫이문이 회동되어 열리기 시작하고, 여닫이 문이 열리기 시작한 후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여닫이문이 회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문의 또 다른 개폐구조는, 슬라이딩 바의 한쪽 끝단은 여닫이문의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여닫이문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열리기 시작할 때에는 슬라이딩 레일의 슬라이딩이 상기 연결부에 의해 제한된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에 의해서 여닫이문이 회동되어 열리기 시작하고, 여닫이 문이 열리기 시작한 후에는 슬라이딩 레일과 슬라이딩 바가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여닫이문이 회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미닫이문의 개폐구조는, 프레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슬라이딩 레일의 한쪽 끝단은 미닫이문의 연결부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레일의 슬라이딩에 의해 미닫이문이 슬라이딩되어 개폐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의 또 다른 개폐구조는, 한쌍의 롤러(62)(63)와, 한쌍의 롤러(62)(63)를 무한궤도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61)와, 와이어(61)의 일측(64)과 제1 미닫이문(9a)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제1 연결부재(65) 및, 와이어(61)의 타측(66)과 제2 미닫이문(9b)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제2 연결부재(67)를 구비하는 이동유니트(60); 벽체 또는 천정에 고정되는 모터부; 모터부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 피니언 기어의 축 또는 모터부에 설치된 프레임; 프레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 제1,2 미닫이문과 나란하게 설치되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한쪽 끝단은 와이어의 일측에 연결되는 슬라이딩 레일; 및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서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레일을 슬라이딩시키는 랙 기어;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레일이 와이어의 일측(64)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1,2 미닫이문이 슬라이딩되어 개폐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여닫이문을 개폐할 때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함께 이용하기 때문에 여닫이문을 효율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둘째,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단순하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라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비용이 적게 소요되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셋째, 여닫이문 뿐만 아니라 미닫이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넷째, 2배속 이동부를 갖기 때문에 여닫이 문이 열리는 각도를 크게 할 수 있고, 미닫이 문의 슬라이딩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다섯째, 위의 효과를 가지는 여닫이문의 개폐구조 및 미닫이문의 개폐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출입문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출입문 개폐장치가 여닫이 문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4a는 도 1의 출입문 개폐장치에 구비된 모터부, 피니언 기어, 프레임, 랙기어, 슬라이딩 레일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b는 도 1의 출입문 개폐장치에 구비된 가이드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도 1의 출입문 개폐장치가 여닫이 문을 개방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의 변형예가 작동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의 출입문 개폐장치가 미닫이 문을 개방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9a는 도 7의 출입문 개폐장치가 미닫이 문에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로서, 미닫이 문이 닫힌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9b는 도 9a의 미닫이 문에 설치된 이동유니트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10a는 도 7의 출입문 개폐장치가 미닫이 문에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로서, 미닫이 문이 개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b는 도 10a의 미닫이 문에 설치된 이동유니트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출입문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출입문 개폐장치에 구비된 모터부, 피니언 기어, 프레임, 랙기어, 슬라이딩 레일, 슬라이딩 바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출입문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5a 내지 도 15d는 도 11의 출입문 개폐장치가 여닫이 문을 개방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16a 내지 도 16d는 도 11의 출입문 개폐장치가 여닫이 문을 개방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의 변형예가 여닫이문을 완전히 개방한 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가 미닫이 문을 개방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에 구비된 회동바와 가이드 레일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회동바와 가이드 레일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1a 내지 도 21e는 도 19의 출입문 개폐장치가 여닫이문을 개방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의 변형예가 여닫이문을 완전히 개방한 것을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는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모두 이용하여 여닫이 문을 개폐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즉, 닫혀진 여닫이문을 개방하기 시작할 때에는 모터의 회전력(회전운동)을 이용하여 여닫이 문을 개방하고, 이어서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여닫이 문을 회동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는 미닫이 문을 개폐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는 2배속 이동부를 이용하여 여닫이 문이 개방되는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미닫이 문이 슬라이딩되는 거리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가 여닫이 문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10), 모터부(10)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20), 모터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30), 피니언 기어(20)와 맞물리는 랙기어(50) 및, 랙기어(50)에 결합된 슬라이딩 레일(40)을 포함한다.
모터부(10)는 여닫이 문(1)을 개폐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모터부(10)는 천정(2) 또는 벽체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부(10)는 천정(1) 또는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1)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3) 및, 모터(13)의 회전수(R.P.M.)를 감속하는 감속기(15)를 구비한다. 모터(13)의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20)로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20)는 감속기(15)의 출력축(16)에 연결된다. 피니언 기어(20)와 랙기어(50)는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이에 따라 모터(13)의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20)와 랙기어(50)로 전달되면서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랙기어(50)는 피니언 기어(20)를 중심으로 여닫이 문(1)의 반대쪽에 설치된다. 이것은 피니언 기어(20)의 회전력이 여닫이 문(1)을 회전시키는 것과 랙기어(50)의 직선운동이 여닫이 문(1)을 개방시키는 것을 모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프레임(30)은 모터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프레임(30)은 감속기(15)의 출력축(16)이 관통하는 관통공(31)과, 내측면에 형성된 내측홈(33)을 구비한다.
프레임(30)은 모터부(10), 바람직하게는 감속기(15)의 출력축(16)에 설치되는데, 상기 출력축(16)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여닫이 문(1)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열리기 시작할 때에는 슬라이딩 레일(40)의 슬라이딩이 여닫이 문(1)의 연결부(4)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피니언 기어(20)의 회전력이 여닫이문(1)을 회동시켜 여닫이 문(1)을 개방시키고, 여닫이 문(1)이 열리기 시작한 후에는 슬라이딩 레일(40)이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을 하여 여닫이문(1)을 회동시킨다.
슬라이딩 레일(40)은 프레임(3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슬라이딩 레일(40)은 한쪽 끝단에 설치된 고리부재(41)를 구비한다. 고리부재(41)는 여닫이 문(1)의 연결부(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부(4)와 고리부재(41)를 관통하는 핀부재(5)에 의해서 연결부(4)와 고리부재(41)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고리부재(41)는 슬라이딩 레일(40)의 한쪽 끝단과 반대쪽 끝단 모두에 설치되거나 양쪽 끝단 중에서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20)를 중심으로 랙기어(50)와 여닫이 문(1)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해야 하는데, 이를 고려하여 고리부재(41)를 슬라이딩 레일(40)에 설치하고, 이 고리부재(41)를 여닫이문(1)에 연결한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레일(40)의 외측면에는 슬라이딩 레일(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홈(43)이 형성되는데, 외측홈(43)은 내측홈(33)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외측홈(43)과 내측홈(33)에는 가이드 부재(45)가 설치되어 슬라이딩 레일(4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가이드 부재(45)는 내측홈(33)에 삽입되는 부분(47)과 외측홈(43)에 삽입되는 부분(48)으로 이루어진다. 외측홈(43)에 삽입되는 부분(48)은 슬라이딩 레일(4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고 내측홈(33)에 삽입되는 부분(47)은 가이드 부재(45)를 내측홈(33)에 결합시킨다. 상기 부분(47)은 부분(48) 보다 그 두께가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내측홈(33)에 삽입되는 부분(47)에는 돌기(47a)가 형성되고, 돌기(47a)는 가이드 부재(45)를 내측홈(33)에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그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단순하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라도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비용이 적게 소요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기존의 수동문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모터부(10)의 회전력이 피니언 기어(20)와 랙기어(50)를 통해 전달되지만, 상기 피니언 기어(20)와 랙기어(50)를 대신하여 타이밍 벨트 또는 체인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함께 이용하여 여닫이문을 개폐한다는 것에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이 있는데,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범위 내에서 피니언 기어(20)와 랙기어(50)의 기능을 하는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러한 다른 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의 작동과정을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닫이 문(1)이 닫혀진 상태에서 여닫이 문(1)을 열기 위해 모터(13)가 구동하여 피니언 기어(20)가 회전하면 랙기어(50)에 회전력이 전달은 되지만 슬라이딩 레일(40)의 슬라이딩이 연결부(4)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레일(40)이 슬라이딩될 수 없고 피니언 기어(20)의 회전력에 의해서 여닫이문(1)이 회동기준점(7)을 기준으로 회동을 개시하게 된다.
일단, 여닫이 문(1)이 회동하면,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레임(30)이 여닫이문(1)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 기어(20)의 회전력은 랙기어(5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슬라이딩 레일(40)이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딩 레일(40)의 이러한 직선운동은 피니언 기어(20)가 랙기어(50)의 끝단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도 5d는 여닫이 문(1)이 개방된 것을 보여준다.
한편, 여닫이 문(1)이 개방되는 각도는 슬라이딩 레일(40)의 길이와 랙기어(50)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크게 될 수 있다. 도 6은 슬라이딩 레일(40) 및 랙기어(50)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여닫이 문(1)의 개방되는 각도를 크게 한 것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가 미닫이 문을 개방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7 내지 도 8d에서 도 1 내지 도 6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a)는, 출입문 개폐장치(100)에 비해서, 회전방지부재(35)를 더 구비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그 구조가 동일하다.
회전방지부재(35)는 프레임(30)의 측면홈(34)에 삽입되는 돌기라인(36) 및 모터부(1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볼트(38)를 구비한다. 출입문 개폐장치(100)에서는 프레임(30)이 감속기(15)의 출력축(16)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데, 출입문 개폐장치(100a)는 회전방지부재(35)를 구비하기 때문에 프레임(30)의 회전이 방지된다.
회전방지부재(35)는 프레임(30)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미닫이문(8)을 효율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출입문 개폐장치(100a)의 고리부재(41)가 미닫이 문(8)의 연결부(4)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레일(40)이 -x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미닫이 문(8)이 개방되고, 슬라이딩 레일(40)이 +x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미닫이 문(8)이 폐쇄된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d에서는 이해와 도시의 편의를 위해서 회전방지부재(35)를 생략하였다.
도 9a는 출입문 개폐장치(100a)가 미닫이 문에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로서 미닫이 문이 닫힌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b는 미닫이 문에 설치된 이동유니트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이다.
상기 미닫이 문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1,2 미닫이문(9a)(9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닫이 문에는 이동유니트(60)가 구비된다. 출입문 개폐장치(100a)는 제3 연결부재(68)에 의해 와이어(61)의 일측(64)에 연결된다.
이동유니트(60)는 한 쌍의 롤러(62)(63)와, 한 쌍의 롤러(62)(63)를 무한궤도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61)와, 와이어(61)의 일측(64)과 제1 미닫이문(9a)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제1 연결부재(65) 및, 와이어(61)의 타측(66)과 제2 미닫이문(9b)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제2 연결부재(67) 및, 슬라이딩 레일(40)을 상기 일측(64)에 연결하는 제3 연결부재(68)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일측(64)은 한 쌍의 롤러를 연결하는 와이어 중에서 롤러의 한쪽 부분의 와이어를 의미하고 상기 타측(66)은 롤러의 다른쪽 부분의 와이어를 의미한다.
미닫이 문이 닫혀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레일(40)이 -x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와이어(61)의 일측(64)은 -x 방향으로 이동되고 와이어(61)의 타측(66)은 +x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일측(64)과 연결된 제1 미닫이 문(9a)은 -x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타측(66)과 연결된 제2 미닫이 문(9b)은 +x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도 10a는 미닫이 문이 열려진 것을 보여주고, 도 10b는 미닫이 문이 열려진 경우의 이동유니트(60)를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에 구비된 모터부, 피니언 기어, 프레임, 랙기어, 슬라이딩 레일, 슬라이딩 바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의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내지 도 10b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20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10), 모터부(10)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20), 모터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30), 피니언 기어(20)와 맞물리는 랙기어(50), 랙기어(50)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40), 슬라이딩 레일(4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 바(70) 및, 슬라이딩 레일(40)에 대해서 슬라이딩 바(70)를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2배속 이동부(80)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요소 중에서 모터부(10), 피니언 기어(20), 프레임(30), 랙기어(50), 슬라이딩 레일(40)은 제1 실시예의 모터부(10), 피니언 기어(20), 프레임(30), 랙기어(50), 슬라이딩 레일(40)과 각각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슬라이딩 바(70)는 슬라이딩 레일(40)의 하부에 설치된다. 슬라이딩 레일(40)의 내측면에는 내측홈(46)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바(70)의 외측면에는 외측홈(71)이 형성되는데, 내측홈(46)의 선단쪽에는 가이드 부재(49)가 설치되고 외측홈(71)의 후단쪽에는 가이드 부재(73)가 설치된다. 가이드 부재(49)(73)는 가이드 부재(45)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가이드 부재(49)(73)는 서로 협력하여 슬라이딩 바(7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고, 슬라이딩 바(70)가 슬라이딩 레일(4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슬라이딩 바(70)의 앞쪽 끝단에는 고리부재(75)가 설치되는데, 고리부재(75)는 여닫이 문(1)의 연결부(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2배속 이동부(80)는,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레일(40)의 양쪽 끝단에 설치된 한쌍의 롤러(81)(82)와, 한쌍의 롤러(81)(82)를 무한궤도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83)와, 와이어(83)의 타측(84)에 결합되고 프레임(30)에 고정된 고정부재(85) 및, 와이어(83)의 일측(86)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바(70)에 고정된 이동부재(87)를 구비한다.
2배속 이동부(80)는 슬라이딩 바(70)를 슬라이딩 레일(40)에 대해서 슬라이딩시킨다. 예를 들어, 피니언 기어(20)가 작동하여 슬라이딩 레일(40)이 +x 방향(일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슬라이딩되면 롤러(81)(82)도 상기 소정거리만큼 +x 방향(일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고정부재(85)는 프레임(30)에 고정되고 프레임(30)은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부재(87)는 프레임(30)에 대해서 상기 소정거리의 2배만큼 +x 방향(일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동부재(87)에 결합된 슬라이딩 바(70)는 프레임(30)에 대해서 상기 소정거리의 2배만큼 +x 방향으로 이동되고, 슬라이딩 레일(40)에 대해서는 상기 소정거리만큼 +x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5a 내지 도 15d 및, 도 16a 내지 도 16d는 이러한 출입문 개폐장치(200)의 작동과정을 보여준다. 한편, 여닫이 문(1)의 개방각도는 슬라이딩 레일(40) 및 슬라이딩 바(70)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더 커질 수 있다. 출입문 개폐장치(200)도, 출입문 개폐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여닫이 문(1)의 개방 초기에는 회전력으로 여닫이문(1)을 개방시키고, 그 이후에는 슬라이딩 레일(40)과 슬라이딩 바(70)의 직선운동으로 여닫이문(1)을 개방시킨다.
도 17은 슬라이딩 레일(40) 및 슬라이딩 바(70)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여닫이 문(1)의 개방각도를 90도 이상이 되도록 한 것을 보여준다.
한편, 도 18a 내지 도 18d는 출입문 개폐장치(200)가 미닫이 문(8)에 적용된 것을 보여준다. 슬라이딩 레일(40)과 슬라이딩 바(70)가 완전히 신장되고 고리부재(75)가 연결부(4)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바(70)가 -x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미닫이 문(8)이 개방된다. 이 때, 출입문 개폐장치(200)는 슬라이딩 바(70)와 2배속 이동부(80)를 구비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레일(40)과 슬라이딩 바(70)의 길이를 짧게 하더라도 미닫이 문(8)의 슬라이딩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에 구비된 회동바와 가이드 레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상기 회동바와 가이드 레일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여닫이 문(1)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90)과,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모터부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 모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 랙기어에 결합된 슬라이딩 레일 및, 여닫이 문(1)과 슬라이딩 레일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회동바(95)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요소 중에서 모터부, 피니언 기어, 프레임, 랙기어, 슬라이딩 레일은 전술한 출입문 개폐장치(100)의 모터부, 피니언 기어, 프레임, 랙기어, 슬라이딩 레일과 각각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가이드 레일(90)은 여닫이 문(1)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가이드 레일(90)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내부공간(91)과 슬릿(92)을 구비한다.
회동바(95)는 그 선단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96)와, 후단에 설치된 회동기준축(97) 및, 중간부에 설치된 연결부재(98)를 구비한다.
가이드 롤러(96)는 내부공간(91)에서 슬라이딩(이동)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동기준축(97)은 천정 또는 벽체 또는 모터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회동바(95)가 회동되는 기준축이 된다. 연결부재(98)는 슬라이딩 레일의 고리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21a 내지 도 21e는 이러한 출입문 개폐장치(300)가 개폐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도 2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닫이 문(1)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모터부가 작동하여 그 구동력이 피니언 기어와 랙기어를 통해서 슬라이딩 레일에 전달되더라도 슬라이딩 레일의 슬라이딩이 제한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레일이 슬라이딩될 수 없고,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에 의해서 여닫이 문(1)이 회전하게 되어 여닫이 문(1)이 열리기 시작한다.
일단, 여닫이 문(1)이 열리기 시작한 후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슬라이딩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레일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도 21b 내지 도 21e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닫이 문(1)이 개방된다.
이 때, 회동바(95)는 선단에서부터 중앙부까지 원호 형상으로 휘어져 있기 때문에 여닫이문(1)의 개방각도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도 21e는 회동바(95)가 휘어져 있기 때문에 여닫이 문(1)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개방각도가 더 커진 것을 보여준다. 이에 비해서, 도 22는 직선인 회동바(95a)를 갖는 출입문 개폐장치(300a)에 의해서 여닫이 문(1)이 최대로 개방된 것을 보여주는데, 여닫이 문(1)의 최대 개방각도가 출입문 개폐장치(300)의 경우에 비해서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출입문 개폐장치(300)(300a)는 회동바(95)(95a)를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딩 레일 및 랙기어의 길이가 짧더라도 여닫이문(1)의 개방각도를 크게 할 수 있고, 여닫이 문(1)의 회동방향과 피니언기어의 회전방향이 일치하여 구동력의 낭비가 없으며, 회동바(95)와 여닫이문(1)의 간섭을 없앨 수 있으므로 여닫이문(1)의 개방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회동바(95)(95a)는 출입문 개폐장치(100) 뿐만 아니라 출입문 개폐장치(2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출입문 개폐장치(200)에서는 슬라이딩 바(70)의 고리부재(75)가 연결부재(98)에 연결된다. 회동바(95)(95a)를 갖는 출입문 개폐장치(200)의 구조 및 그 작동과정은 본 명세서의 내용을 참조한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0 : 모터부 20 : 피니언 기어
30 : 프레임 40 : 슬라이딩 레일
50 : 랙기어 60 : 이동유니트
70 : 슬라이딩 바 80 : 2배속 이동부
90 : 가이드 레일 95, 95a : 회동바
100, 100a, 200, 300, 300a : 출입문 개폐장치

Claims (12)

  1. 벽체 또는 천정에 고정되는 모터부;
    모터부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
    피니언 기어의 축 또는 모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여닫이 문이 닫혀있는 경우에 상기 여닫이 문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한쪽 끝단은 상기 여닫이 문의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레일; 및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서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레일을 슬라이딩시키는 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여닫이 문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열리기 시작할 때에는 슬라이딩 레일의 슬라이딩이 상기 연결부에 의해 제한된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에 의해서 여닫이 문이 회동되어 열리기 시작하고, 여닫이 문이 열리기 시작한 후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여닫이 문이 회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2. 벽체 또는 천정에 고정되는 모터부;
    모터부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
    피니언 기어의 축 또는 모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여닫이 문이 닫혀있는 경우에 상기 여닫이 문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 및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서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레일을 슬라이딩시키는 랙 기어;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레일에 설치되고, 한쪽 끝단은 상기 여닫이 문의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바; 및
    슬라이딩 레일의 양쪽 끝단에 설치된 한쌍의 롤러와, 한쌍의 롤러를 무한궤도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와, 와이어의 타측에 결합되고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 및, 와이어의 일측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바에 고정된 이동부재를 구비하는 2배속 이동부;를 포함하고,
    고정부재가 프레임에 고정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레일이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이동부재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 바가 상기 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여닫이 문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열리기 시작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 바의 슬라이딩이 상기 연결부에 의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여닫이 문이 회동되어 열리기 시작하고, 상기 여닫이 문이 열리기 시작한 후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바가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상기 여닫이 문이 회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3. 여닫이 문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벽체 또는 천정에 고정되는 모터부;
    모터부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
    피니언 기어의 축 또는 모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여닫이 문이 닫혀 있는 경우에 여닫이 문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서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레일을 슬라이딩시키는 랙 기어; 및
    선단은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단은 천정 또는 벽체 또는 모터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중앙부에는 슬라이딩 레일의 한쪽 끝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회동바;를 포함하며,
    상기 여닫이 문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열리기 시작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슬라이딩이 상기 중앙부에 의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여닫이 문이 회동되어 열리기 시작하고, 상이 여닫이 문이 열리기 시작한 후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이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상기 여닫이 문이 회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4. 여닫이 문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벽체 또는 천정에 고정되는 모터부;
    모터부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
    피니언 기어의 축 또는 모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여닫이 문이 닫혀 있는 경우에 여닫이 문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 및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서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레일을 슬라이딩시키는 랙 기어;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레일에 설치된 슬라이딩 바;
    선단은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단은 천정 또는 벽체 또는 모터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중앙부에는 슬라이딩 바의 한쪽 끝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회동바;
    슬라이딩 레일의 양쪽 끝단에 설치된 한쌍의 롤러와, 한쌍의 롤러를 무한궤도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와, 와이어의 타측에 결합되고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 및, 와이어의 일측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바에 고정된 이동부재를 구비하는 2배속 이동부;를 포함하고,
    고정부재가 프레임에 고정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레일이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이동부재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 바가 상기 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여닫이 문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열리기 시작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 바의 슬라이딩이 상기 중앙부에 의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여닫이 문이 회동되어 열리기 시작하고, 상기 여닫이 문이 열리기 시작한 후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바가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상기 여닫이 문이 회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회동바의 선단에서부터 중앙부까지는 원호 형상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레일은 프레임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프레임은 슬라이딩 레일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며,
    랙기어는 피니언 기어를 중심으로 상기 여닫이 문의 반대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홈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레일의 외측면에는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홈이 형성되며, 슬라이딩 레일이 프레임에 설치된 경우에 내측홈과 외측홈은 서로 마주보게 되고, 내측홈과 외측홈에는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8.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바는 슬라이딩 레일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슬라이딩 레일은 슬라이딩 바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미닫이 문이 닫혀있는 경우에 상기 미닫이 문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레일의 한쪽 끝단은 미닫이 문의 연결부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레일의 슬라이딩에 의해 미닫이문이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 문은 제1 미닫이 문(9a)과 제2 미닫이 문(9b)을 포함하며,
    한쌍의 롤러(62)(63)와, 한쌍의 롤러(62)(63)를 무한궤도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61)와, 와이어(61)의 일측(64)과 제1 미닫이문(9a)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제1 연결부재(65) 및, 와이어(61)의 타측(66)과 제2 미닫이문(9b)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제2 연결부재(67)를 구비하는 이동유니트(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제1 미닫이 문(9a)과 제2 미닫이 문(9a)과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한쪽 끝단이 상기 와이어(61)의 일측(64)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이 상기 와이어(61)의 일측(64)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1 미닫이 문(9a) 및 제2 미닫이 문(9b)이 슬라이딩 되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KR1020110084416A 2011-08-24 2011-08-24 출입문 개폐장치 KR101324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416A KR101324139B1 (ko) 2011-08-24 2011-08-24 출입문 개폐장치
PCT/KR2012/006720 WO2013028022A2 (ko) 2011-08-24 2012-08-23 출입문 개폐장치, 이를 구비하는 여닫이문의 개폐구조 및, 미닫이문의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416A KR101324139B1 (ko) 2011-08-24 2011-08-24 출입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882A KR20130021882A (ko) 2013-03-06
KR101324139B1 true KR101324139B1 (ko) 2013-10-31

Family

ID=4774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416A KR101324139B1 (ko) 2011-08-24 2011-08-24 출입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4139B1 (ko)
WO (1) WO201302802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9513A (zh) * 2014-03-19 2014-06-25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研究所 自动启闭锁紧的舱口盖装置
WO2022139701A1 (en) * 2020-12-22 2022-06-30 BAŞARAN, Sedat Open-close mechanism with coordinate finding tool for doors or window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830B1 (ko) * 2002-03-27 2005-03-22 주식회사 윈스피아 창문 자동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597Y1 (ko) * 2005-01-31 2005-04-22 권오원 전동창문용 구동장치
KR101004032B1 (ko) * 2008-07-30 2010-12-31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동력배가장치를 이용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125848B1 (ko) * 2009-12-17 2012-03-28 (주) 금강씨에스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830B1 (ko) * 2002-03-27 2005-03-22 주식회사 윈스피아 창문 자동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8022A2 (ko) 2013-02-28
WO2013028022A3 (ko) 2013-05-16
KR20130021882A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87220B (zh) 一种推拉平开门窗五金系统及其使用方法
US6257303B1 (en) Rack and pinion door drive system
KR101438961B1 (ko) 슬라이딩 도어
EP2078813A2 (en) Actuating system and folding panel assembly
WO2008151503A1 (fr) Vitre à commande électrique
KR101324139B1 (ko) 출입문 개폐장치
UA89722C2 (ru) Петля для двери, окон или подоб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CN101936117A (zh) 推拉平开门窗
EP1333142A3 (en) Door closing arrangement for controlling closure sequence of turnable double doors
EP2019180A2 (en) An operating device for windows
KR20110060692A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CN201763156U (zh) 推拉平开门窗
RU121849U1 (ru) Механизм открывания петли
RU2630566C1 (ru) Механизм прислонно-сдвижной двери
JP2010042812A (ja) ダブルスライド式プラットホームゲート
KR102257515B1 (ko) 연동 개폐 및 댐핑수단을 포함한 하단 댐핑형 여닫이 도어
CN211115505U (zh) 隐藏式平开上悬五金系统
CN207728296U (zh) 一种伸缩式平移门
EP2003082A1 (en) Motorized elevator door
KR102117782B1 (ko) 연동 개폐가 가능한 양문 개폐형 여닫이 도어
AU2004231268A1 (en) Garage door drive system
CN219138774U (zh) 一种链盒式开窗器
JPH076453Y2 (ja) 扉の開閉装置
KR20180002870U (ko) 개폐가 용이한 자동문
KR102179836B1 (ko) 이중 레일 구조의 폴딩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