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010B1 -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010B1
KR100197010B1 KR1019960060972A KR19960060972A KR100197010B1 KR 100197010 B1 KR100197010 B1 KR 100197010B1 KR 1019960060972 A KR1019960060972 A KR 1019960060972A KR 19960060972 A KR19960060972 A KR 19960060972A KR 100197010 B1 KR100197010 B1 KR 100197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guide rail
auxiliary arm
glass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192A (ko
Inventor
권혁종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0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7010B1/ko
Publication of KR1998004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유리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작동하는 경우 가이드레일과 벨트라인이 항상 평행한 상태를 유지되게 하므로서 도어유리의 궤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유리를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가이드레일(10)에 회전운동을 전달해주게 된 기어박스(110)가 연결되고, 이 기어박스(11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메인 아암(40)에 보조 아암(70)이 연결되어 교차각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가이드레일(10)을 승하강시키도록 된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아암(70)의 선단부에 롤러(81)가 회전가능하게 내장된 브래킷(82)이 삽입주재(83)를 매개로 하여 부착설치되고, 상기 보조 아암(7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요홈(71)을 따라 상기 메인 아암(40)의 중심축(41)이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며, 상기 보조 아암(70)의 후단부는 탄성수단(92)이 개재된 상태에서 연결부재(93)를 매개로 하여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최상부로 상승된 유리의 하단부에 벨트라인이 경사지게 위치되는 경우에도, 가이드레일과 벨트라인을 평행하게 유지시키게 되어, 도어유리가 승하강되는 동작에서 흔들림과 이에 따른 소음이 억제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
본 고안은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유리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작동하는 경우 가이드레일과 벨트라인이 항상 평행한 상태를 유지되게 하므로서 도어유리의 궤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는 프레스로 가공한 얇은 판의 도어패널이 안쪽과 바깥부분으로 되어 있어 이것을 상자모양으로 점용접한 것으로, 이러한 도어가 차체에 대해 회전식으로 개폐되어질 수 있도록 도어힌지에 의해 차체의 필라부분에 연결설치되고, 도어의 상단부에는 운전자가 외부상황을 관측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로 된 창문이 구비되어 있어 차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등 필요에 따라서 창문유리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창문유리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도어 레귤레이터는 도어의 내측에 구비된 핸들에 의하여 부채골 모양의 기어를 돌려서 작동시키는 수동식과 전동기에 의해 작동시키는 자동식으로 구분된다.
즉,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종래의 자동식 승하강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유리를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가이드레일(100)과,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전달해주게 된 기어박스(110),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일단부와 패널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롤러가이드(120)를 연결시켜주는 메인 아암(130) 및, 일단부는 상기 기어박스의 회전체(1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안내 채널(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보조 아암(160)에 x자 형태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기(140)의 회전운동이 워엄과 워엄휘일로 구성된 기어박스(110)를 통하여 레귤레이터에 힘을 전달되게 되면, 상기 보조 아암(160)의 교차각이 변화하면서 가이드레일(100)을 승하강시키게 됨에 따라 도어유리도 상하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아암(160)의 선단부에 축설치된 상기 가이드레일(100)이 상승되면 유리의 하부 단면 즉, 벨트라인(150)과 안내채널(150)이 서로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어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등이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벨트라인(150)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예컨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00)에 안착되어 최상부로 상승된 유리의 하단부와 가 위치되는 벨트라인(150)이 경사지게 위치되면, 상기 가이드레일(100)과 벨트라인 (150)사이가 평행하게 위치되지 못하게 되므로, 유리가 승하강되는 동작에서 흔들림과 이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벨트라인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에도 가이드레일에 안착된 유리가 승하강되는 동작에서 유동됨이 없이 원할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된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의 벨트라인과 가이드레일이 평행하게 유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의 벨트라인과 가이드레일이 경사지게 유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제3도는 고안에 따른 차량 도어유리 승하강 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어유리 승하강 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이드 레일 110 : 기어박스
40 : 메인 아암 41 : 중심축
50 : 회전체 60 : 벨트라인
70 : 보조 아암 71 : 장요홈
72 : 이동축 81 : 롤러
82 : 브래킷 83 : 삽입부재
91 : 샤프트 92 : 탄성수단
93 : 연결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유리를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가이드 레일에 회전운동을 전달해주게 된 기어박스와, 이 기어박스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메인 아암에 연결된 보조 아암과 교차각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승하강시키도록 된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아암의 선단부에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내장된 브래킷이 연결부재를 매개로 하여 부착설치되고, 상기 보조 아암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요홈을 따라 상기 메인 아암의 중심축이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며, 상기 보조 아암의 후단부는 탄성수단이 개재된 상태에서 연결부재를 매개로 하여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도어유리를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가이드레일(10)에 회전운동을 전달해주게 된 기어박스(110)와, 이 기어박스(110)의 회전력을 메인 아암(40)과 보조 아암(70)의 교차각을 변화시키면서가이드레일(10)을 승하강시키도록 된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10)과 보조 아암(70)의 선단부 사이에 롤러(8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브래킷(82)이 삽입부재(83)를 매개로 하여 삽입설치되고, 상기 보조아암(7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요홈(71)을 따라 이동축(72)를 매개로 하여 메인 아암(40)이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며, 상기 보조 아암(70)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십입된 샤프트(91)에는 탄성수단(92)이 개재된 상태에서 연결부재(93)를 매개로 하여 차체에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아암(40)의 일단부는 내측면에 수용홈이 형성된 롤러가이드(30)에 삽입되어 도면상 좌우로 이동하도록 되고, 타단부는 기어박스(20)에 연결되어 기어박스에 구비된 회전체(50)의 기어작동에 의해 도어유리를 상하로 이동시켜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아암(70)의 일단부는 롤러(81)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브래킷(82)의 측부에 용접 등으로 부착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92)이 개재된 상태에서 삽입주재(83)을 통하여 도어트림의 소정위치에 부착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아암(40)의 중앙에 관통삽입된 이동축(41)은 보조 아암(70)애 대해 축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보조 아암(70)의 중앙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요홈(71)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하면서 보조 아암(70)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도어유리를 승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이동축(41)이 보조 아암(70)의 장요홈(71)에 삽입되어져 상기 기어 박스(20)에 내장설치된 회전체(50)의 작동에 따라 도어유리를 평행하게 승하강 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창문유리의 승하강에 따른 수평방향의 유동을 방지함과 더불어 도어유리를 지지하기 위해 메인 아암(40)의 선단부가 롤러가이드(30)의 중심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기어박스(20)의 작동에 따라 도어유리가 승하강되는 도중 상기 롤러(81)의 좌우이동에 의해 평행이 유지되고, 상기 롤러가이드(30)의 좌우회동에 의해 창문유리의 유동이 방지되며, 상기 탄성수단(92)의 충격흡수에 의해 흔들림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기어 박스(20)의 회전운동이 워엄과 워엄휘일로 구성된 레귤레이터를 통하여 메인 아암(40)에 전달되면, 이 메인 아암(40)의 중심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된 중심축(41)이 상기 보조 아암(70)의 장요홈(71)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이때 상기 메인 아암(40)과 보조 아암(70)의 교차각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보조 아암(70)이 전달받는 유동을 탄성수단(92)가 흡수하게 되며, 상기 메인 아암(40)의 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레일(100)과 보조 아암(70)의 선단부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롤러(81)가 벨트라인(60)에 수평을 유지시키면서 승하강됨에 따라 도어유리도 흔들림없이 상하로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에 의하면, 보조 아암의 산단부에 좌우로 이동되는 롤러와,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요홈 및, 후단부에 탄성수단을 각각 설치하므로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최상부로 상승된 유리의 하단부에 벨트라인이 경사지게 위치되는 경우에도, 가이드레일과 벨트라인을 평행하게 유지시키게 되어, 도어유리가 승하강되는 동작에서 흔들림과 이에 따른 소음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어유리를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가이드레일(10)에 회전운동을 전달해주게 된 기어박스(110)가 연결되고, 이 기어박스(11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메인 아암(40)에 보조 아암(70)이 연결되어 교차각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가이드레일(10)을 승하강시키도록 된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아암(70)의 선단부에 롤러(81)가 회전가능하게 내장된 브래킷(82)이 삽입부재(83)를 매개로 하여 부착설치되고, 상기 보조 아암(7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요홈(71)을 따라 상기 메인 아암(40)의 중심축(41)이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며, 상기 보조 아암(70)의 후단부는 탄성수단(92)이 개재된 상태에서 연결부재(93)를 매개로 하여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
KR1019960060972A 1996-12-02 1996-12-02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 KR100197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972A KR100197010B1 (ko) 1996-12-02 1996-12-02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972A KR100197010B1 (ko) 1996-12-02 1996-12-02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192A KR19980043192A (ko) 1998-09-05
KR100197010B1 true KR100197010B1 (ko) 1999-06-15

Family

ID=1948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972A KR100197010B1 (ko) 1996-12-02 1996-12-02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70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192A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20019A1 (en) Vehicle Window Regulator Having a Floating Window Carrier
US4908988A (en) Self-driving closure device
EP0384685B1 (en) Power window apparatus
US6427385B1 (en) Window lift mechanism
KR100197010B1 (ko) 차량 도어유리의 승하강 장치
JPS5855313B2 (ja) 自動車の窓昇降装置
CN112477562A (zh) 一种车辆的车门开关装置和车辆
US5720508A (en) Powered glare screen device
US2872184A (en) Window regulator mechanism
CN210554815U (zh) 一种对开门设备及轿厢
JPH0681537A (ja) 窓ガラス角度調節装置
KR0126151Y1 (ko) 차량 도어유리의 가이드레일용 이동체
CN112721591A (zh) 一种车辆的车门开关装置和车辆
JP3407907B2 (ja) 自動車の可動ルーフ装置
JP3558512B2 (ja) 車両の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JPH0439984Y2 (ko)
KR20040040571A (ko) 선루프용 디플렉터의 개방각도 조절장치
KR200142281Y1 (ko)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장치
KR100422688B1 (ko)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가이드 레일 구조
CN115675033A (zh) 一种汽车及其凸轮侧滑门
KR20240079614A (ko) 차량의 도어 개폐 장치
JPH052784Y2 (ko)
RU2222438C2 (ru) Автомобиль,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прогулочный
KR20050034468A (ko)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스토퍼 구조
JPH06146708A (ja) ウインドレギユレ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