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278A -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 - Google Patents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278A
KR20050029278A KR1020057001360A KR20057001360A KR20050029278A KR 20050029278 A KR20050029278 A KR 20050029278A KR 1020057001360 A KR1020057001360 A KR 1020057001360A KR 20057001360 A KR20057001360 A KR 20057001360A KR 20050029278 A KR20050029278 A KR 20050029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lower heat
wall portion
opening
shie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5520B1 (ko
Inventor
카와무라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카이샤 도요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카이샤 도요토미 filed Critical 카부시키카이샤 도요토미
Publication of KR20050029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4Radiation heating stoves and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 for convec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8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solely adapted for radiation heating
    • F24C1/1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solely adapted for radiation heating with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02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 F24C5/08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2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테두리체의 상방벽부를 저온도로 유지함과 아울러, 방사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를 제공한다. 테두리체(1) 내에 연소통(3)과 반사판(4)을 설치한다. 반사판(4)과 상방벽부(1E)의 사이에 설치된 하측 차열판(5b)을 개구부(2)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부착한다. 연소통(3)으로부터 발생한 열선은 경사된 하측 차열판(5b)에서 반사되어 개구부(2)로부터 테두리체(1)의 전방에 방사한다. 하측 차열판(5b)에는 연소통(3)으로부터 발생된 열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열기 충돌부재(6)를 부착한다. 고온이 되는 하측 차열판(5b)으로부터의 방사열을 개구부(2)로부터 테두리체(1)의 전방에 방사한다. 테두리체(1)의 후방벽부(1B)의 흡기구멍(1b)으로부터 끌어 들인 냉기를 상측 차열판(5a)과 하측 차열판(5b)사이로부터 테두리체(1)의 전방으로 유도한다. 열기 충돌부재(6)를 뛰어 넘을때에 확산되어 온도가 내려간 열기는, 토출구(1a)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따라서 하측 차열판(5b)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에 방출된다.

Description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REFLECTION TYPE OIL BURNING APPLIANCE}
본 발명은, 테두리체의 상방벽부(상판)의 온도를 종래보다 내릴 수 있는 반사식 석유연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테두리체의 상방벽부(상판)의 온도를 내림과 아울러, 연소통으로부터 방사되는 열선을 테두리체밖으로 반사시켜서, 방사 효율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에 관한 것이다.
테두리체의 내부에, 연소통과, 연소통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선을 연소통의 뒷 측에 위치해서 전방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구비하고, 테두리체의 전방 벽부에 형성한 개구부로부터 열선을 전방을 향해서 방사하는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석유연소 기기에서는, 연소통으로부터는 복사열(열선)과 고온의 배기가스(열기)가 방출되고 있다. 연소통으로부터 상승하는 고온의 배기가스(열기)는, 반사판의 상부와 테두리체의 상방벽부(상판)의 사이에 형성된 1장 이상의 차열판에 의해 유도되어서, 테두리체의 전방벽부에 형성된 개구부로 흐른다. 이 차열판의 전방측의 선단으로부터 테두리체의 밖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개구부로부터 나오면 바로 상승한다. 그 때문에 테두리체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측 가장자리부와 테두리체의 상방벽부의 전방측 부분의 온도가 고온이 된다.
또한, 이 차열판은 연소통 바로위에 있기 때문에, 연소통으로부터 상방으로 방사된 열선과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해 차열판은 고온으로 되어 있고, 그 결과 고온의 차열판에 의해 테두리체의 상방벽부 전체의 온도도 상승시켜 버린다.
최근, 미국의 안전규격(UL)이나 프랑스의 안전규격(NF)은, 난방기에 의한 유아 등의 화상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접촉해도 경도의 화상에 그치도록, 테두리체의 온도를 내리던지, 개구부 근방의 고온부분에 손이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 가드를 설치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테두리체의 온도를 내리는 기술로서,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49-6199호 공보에 나타낸 종래의 기술에서는, 고온이 되는 하측 차열판과 테두리체의 상방벽부 사이에 상측 차열판을 설치하고, 상하의 차열판 사이와 상측 차열판과 상방벽부 사이의 공간에, 전동팬을 이용해서 강제적으로 송풍하고, 상방벽부의 온도를 내리고 있다. 그렇지만 이 기술을 이용하면, 전동팬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석유연소 기기의 가격이 높아진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50-15885호 공보에는, 차열판의 선단 하측에, 배기가스의 유출 각도를 바꾸는 핀을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핀은, 배기가스의 흐름을 전방으로 향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 결과, 배출된 배기가스가 상방벽부에 근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테두리체의 상방벽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4-110308호 공보(미국 특허 제5,226,811호)에는, 하측 차열판의 선단부의 중앙부분 아래에, 가로방향과 아래쪽 방향의 양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측 차열판을 따라 흘러 온 배기가스(열기)가 충돌하는 열기 충돌부재를 형성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열기 충돌부재를 하측 차열판에 설치함으로써, 배기가스를 확산시켜, 열기가 집중적으로 배출되는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테두리체의 상방벽부의 선단 중앙부의 온도가 국부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4-110308호 공보(미국 특허 제5,226,811호)에 나타낸 구조를 채용해도, 테두리체를 소형화하거나 연소통의 발열량이 커졌을 때에는, 고온의 연소 배기가스(열기)는 테두리체의 전방벽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나오고나서 상승하고, 테두리체의 상방벽부의 전방부분에 접해서 그 부분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 때문에 종래의 구조에서는, 테두리체의 온도를 낮게 한다는 과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없었다.
또, 연소통으로부터 발생해서 반사판에서 반사된 열선은, 테두리체의 전방벽부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테두리체의 전방으로 방사된다. 종래의 구조에서는, 연소통으로부터 상방으로 방사되어서 하측 차열판에서 반사된 열선은 테두리체 내의 하방을 향해서 방사되어, 개구부를 향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방사 효율이 나쁘고, 이것이 테두리체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반사판에서 반사되어서 개구부로부터 전방으로 방사되는 열선의 일부는, 바닥면에 도달하여 바닥면을 따뜻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반사판에서 반사된 열선의 방사 각도에서는, 테두리체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바닥면에는 도달하지만, 테두리체에 가까운 부분의 바닥면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테두리체에 가까운 부분의 바닥면의 온도가 낮아진다. 바닥면의 온도가 낮은 부분이 있으면, 이 부분으로부터 열이 빼앗겨서 난방 효율을 저하시킨다. 그 때문에, 바닥면의 넓은 범위를 따뜻하게 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중앙종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실시예를 정면에서 봤을 때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4는 도3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주요부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는, 도면에 나타낸 부호를 이용해서 설명하면, 테두리체(1)와, 연소통(3)과, 반사판(4)과, 차열판(5)과, 열기 충돌부재(6)와 격벽부(8) 등으로 구성된다. 테두리체(1)는, 개구부(2)를 갖는 전방벽부(1A)와, 전방벽부(1A)와 대향하는 후방벽부(1B)와, 전방벽부(1A)와 후방벽부(1B)를 연결하는 2개의 측방 벽부(1C 및 1D)와, 각 벽부의 상측 끝부에 연결된 상방벽부(1E)를 갖는다. 연소통(3)은, 테두리체(1) 내에 배치되어, 열선 방사부분(3A)의 주위에 열선을 방사한다. 격벽부(8)는, 연소통(3)의 열선 방사부분(3A)이 돌출하는 구멍부(8A)를 갖고 테두리체(1)의 내부를 가로방향으로 연장한다. 반사판(4)은, 연소통(3)의 열선 방사부분(3A)의 후방위치와 양측위치에 배치되어서 열선을 개구부(2)측으로 반사시킨다. 복수장의 차열판(5)은, 반사판(4)과 상방벽부(1E)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서 연소통(3)으로부터의 열이 상방벽부(1E)에 도달하는 것을 차폐하는 하측 차열판(5b)과 상측 차열판(5a)을 포함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측 차열판(5b)과 상측 차열판(5a) 사이에 공기통로(9)를 형성한다. 또, 후방벽부(1B) 및/또는 측방 벽부(1C,1D)에는, 공기통로(9)에 테두리체(1)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1개 이상의 흡기구멍(1b)을 형성한다. 또한 전방벽부(1A)에는, 흡기구멍(1b)으로부터 공기통로(9)에 들어간 공기를 전방벽부(1A)의 전방으로 토출하는 토출구(1a)를 형성한다. 열기 충돌부재(6)는, 하측 차열판(5b)에 형성되고, 개구부(2)를 정면측에서 봤을 때의 가로방향과 아래쪽 방향의 각각으로 연장되고, 하측 차열판(5b)을 따라 개구부(2)를 향해서 흐르는 열기가 충돌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 하측 차열판(5b)과 격벽부(8)의 사이의 거리가 개구부(2)에 근접함에 따라서 길어지도록 하측 차열판(5b)은 경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열기 충돌부재(6)를 뛰어 넘은 열기가 유속을 빠르게 하면서 하측 차열판(5b)을 따라서 흐르는 길이만큼 연소통(3)측으로 내려간 위치에 열기 충돌부재(6)를 설치한다. 이렇게 하면 열기 충돌부재(6)를 뛰어넘을 때에 확산되어서 온도를 내린 배기가스 즉 열기는, 그 후에도 하측 차열판(5b)의 하면을 따라 흐르고, 유속을 빠르게 해서 테두리체(1)의 전방을 향해서 방출된다. 개구부(2)로부터 방출되는 열기의 유속이 늘면, 개구부(2)로부터 방출된 열기의 상승 각도는, 개구부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부터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개구부(2)로부터 방출된 열기에 의해 테두리체(1)의 상방벽부(1E)가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방벽부(1E)의 온도상승을 종래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체(1)의 후방벽부(1B)에 형성된 1개 이상의 흡기구멍(1b)으로부터 끌어 들인 냉기(테두리체의 외부의 공기)는, 상측 차열판(5a)과 하측 차열판(5b) 사이를 흐르고, 테두리체(1)의 전방의 토출구(1a)로부터 방출된다. 이 토출구(1a)로부터 방출된 공기는, 열기 충돌부재(6)를 뛰어넘어 흘러온 배기가스의 상방을 흐르고, 개구부(2)로부터 방출되는 배기가스가 위로 향하는 것을 억제한다. 즉, 토출구(1a)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하측을 따르도록, 하측 차열판(5b)의 선단으로부터전방을 향해서 배기가스가 방출된다. 그 결과, 고온의 배기가스를 테두리체(1)의 상방벽부(1E)의 앞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고, 상방벽부(1E)의 온도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차열판(5b)은, 열기 충돌부재(6)보다 개구부(2)측에 위치하는 전방부분의 경사각도를, 전방부분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부분의 경사각도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토출구(1a)로부터 방출되는 공기를 보다 전방으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열기 충돌부재(6)는, 연소통(3)에 대응하는 중앙부(6a)의 높이가 상기 중앙부(6a)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6b)보다 낮아지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열기가 측부(6b)보다 중앙부(6a)쪽을 용이하게 뛰어넘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면, 중앙부(6a)를 뛰어 넘는 열기의 유속의 저하가 작아진다. 그 결과, 하측 차열판(5b)의 선단의 중앙부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방출되는 가장 높은 온도의 열기를 테두리체(1)의 상방벽부(1E)의 앞부분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방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방벽부(1E) 앞끝에 있어서의 중앙부분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하측 차열판(5b)을 따라 개구부(2)를 향하는 열기의 흐름은, 열기 충돌부재(6)에 의해 방해된다. 그 때문에 하측 차열판(5b)이 고온이 되고, 고온이 되는 하측 차열판(5b)으로부터의 방사열이 증대되고, 이 방사열은 개구부(2)로부터 테두리체(1)의 전방에 방사된다. 그 결과, 테두리체(1)의 전방에 방사되는 열선이나 방사열이 늘어나고, 방사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열기 충돌부재(6)에는, 중앙부(6a)를 제외한 측부(6b)에 복수의 관통 구멍(6c)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열기 충돌부재(6)의 중앙부(6a)에 의해 일단 막아져서 좌우로 나눠진 열기는 좌우 측부(6b)의 관통 구멍(6c)을 통과한다. 그 결과, 열기는 열기 충돌부재(6)의 중앙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좌우로 확산됨과 아울러, 이 관통 구멍(6c)을 열기가 통과함으로써 교반되어, 열기의 온도를 내릴 수 있다. 관통 구멍(6c)을 통과한 열기도, 다시 하측 차열판(5b)의 하면을 따라 가속되어서 개구부(2)측으로 흘러 나온다.
하측 차열판(5b)에는, 연소통(3)과 대향하는 대향영역과 열기 충돌부재(6)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격벽부(8)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출부(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개의 돌출부(7)는, 대향영역측으로부터 열기 충돌부재(6)측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연소통(3)으로부터 발생되어 대향영역에 닿은 열기를 방사상으로 확대하면서 개구부(2)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형성한다. 이러한 복수개의 돌출부(7)는 열기를 방사상으로 넓히면서 개구부(2)로 유도하므로, 개구부(2)를 향하는 열기가 분산되고, 개구부(2)로부터 방출되는 온도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열기가 열기 충돌부재(6)를 뛰어넘을 때에도 확산되어서 온도를 내리므로, 상방벽부(1E)의 온도상승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복수개의 돌출부(7)는 하측 차열판(5b)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돌출부(7)의 각각의 표면형상은, 연소통(3)으로부터 발생한 열선이 난반사되도록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하측 차열판(5b)에서 반사된 열선이 확산해서 방사된다. 또한, 난반사된 열선은 확산되면서 개구부(2)로부터 방사되므로, 테두리체(1)의 전방이나 바닥면을 광범위로 균일하게 따뜻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반사판(4)에서 반사되어 전방에 방사되는 열선이나 반사판(4)으로부터의 방사열은 테두리체(1)의 전방이나 테두리체(1)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바닥면을 향해서 방사하고 있고, 한편, 하측 차열판(5b)에서 반사된 열선이나 하측 차열판(5b)으로부터의 방사열은 테두리체(1)에 가까운 부분의 바닥면을 향해서 방사하고 있기 때문에, 테두리체(1)의 전방이나 바닥면을 광범위하게 따뜻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되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 일례의 중앙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1에 있어서는, 부호1은 테두리체를 나타내고 있다. 테두리체(1)는 개구부(2)를 갖는 전방벽부(1A)와, 전방벽부(1A)와 대향하는 후방벽부(1B)와, 전방벽부(1A)와 후방벽부(1B)를 연결하는 2개의 측방벽부(1C 및 1D)와, 각 벽부의 상측끝부에 연결된 상방벽부(1E)를 갖는다. 테두리체(1)의 전방벽부(1A)의 상측반부에는, 개구부(2)가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체(1)의 내부에는, 주위에 열선을 방사하는 연소통(3)이 배치되어 있다. 연소통(3)의 후방에는, 연소통(3)의 배부와 측면 사이에 간격을 두어서 위치하고, 그 양끝부가 테두리체(1)의 개구부(2)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부에 접속된 반사판(4)이 배치되어 있다. 반사판(4)은, 연소통(3)으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개구부(2)의 방향으로 반사한다. 격벽부(8)는, 연소통(3)의 열선 방사부분(3A)이 돌출되는 구멍부(8A)를 가지고 테두리체(1)의 내부를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차열판(5)은 반사판(4)과 상방벽부(1E)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서 연소통(3)으로부터의 열이 상방벽부(1E)에 도달하는 것을 차폐하는 하측 차열판(5b)과 상측 차열판(5a)을 포함하고 있다. 하측 차열판(5b)과 상측 차열판(5a)의 사이에는, 공기통로(9)가 형성되어 있다. 또, 후방벽부(1B) 및/또는 측방벽부(1C,1D)에는 공기통로(9)에 테두리체(1) 바깥의 공기를 공급하는 1이상의 흡기구멍(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벽부(1A)에는, 흡기구멍(1b)으로부터 공기통로(9)에 들어간 공기를 전방벽부(1A)의 전방에 토출하는 토출구(1a)를 형성하고 있다. 공기통로(9)는, 반사판(4)과 테두리체(1)의 후방벽부(1B)의 사이에도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차열판(5)은, 하측 차열판(5b)과 격벽부(8)의 사이의 거리가 개구부(2)에 근접함에 따라서 길어지도록 경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상측 차열판(5a)도 하측 차열판(5b)과 같이 경사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차열판(5b) 및 상측 차열판(5a)은, 열기 충돌부재(6)보다 개구부(2)측에 위치하는 전방부분의 경사각도를 이 전방부분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부분의 경사각도보다 작게 하고 있다.
연소통(3)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선은, 주위에 배치된 반사판(4)에 의해 테두리체(1)의 개구부(2)를 향해서 반사되어서 난방에 이용되고 있다. 한편, 연소통(3)으로부터 방출된 배기가스(열기)는 상승해서 차열판(4)의 상부와 테두리체(1)의 상방벽부(1E)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차열판(5)에 포함되는 하측 차열판(5b)에 있어서, 경사된 하측 차열판(5b)의 하면을 따라 테두리체(1)의 개구부(2)의 방향으로 유도되어, 테두리체(1) 밖으로 방출된다.
흡기구멍(1b)으로부터 끌어 들인 냉기(테두리체의 외부의 공기)는, 반사판(4)의 배면과 테두리체(1)의 후방벽부(1B)의 사이를 통과하고, 그 후 경사하는 공기통로(9)를 통과하여 테두리체(1)의 개구부(2)상에 위치하는 토출구(1a)로부터 테두리체(1)의 밖으로 방출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연소통(3)에서 발생한 열선은 상방에도 방사되어, 하측 차열판(5b)의 하면에서 반사한다.
하측 차열판(5b)이 경사되지 않는 구조에서는, 연소통(3)으로부터 상방에 방사된 열선은 상하방향으로 반사를 반복할 뿐으로 개구부(2)를 향하는 것이 아니다.그 때문에 테두리체(1)안이 고온이 되고, 테두리체(1)의 전방을 향해서 방사되는 열선이 적어지고, 방사 효율이 나빠진다. 본 발명과 같이, 하측 차열판(5b)과 격벽부(8)의 거리(높이 치수)가, 테두리체(1)의 전면의 개구부(2)측이 커지(높아지는)도록, 하측 차열판(5b)을 경사시키면, 연소통(3)으로부터 발생한 열선이 경사된 하측 차열판(5b)에 의해 테두리체(1)의 개구부(2)측의 하부를 향해서 반사된다. 또, 열선이 개구부(2)로부터 전방에 방사되기 때문에, 테두리체(1)의 전방에 방사되는 열선이 많아지고, 테두리체(1)안의 온도상승을 막을 수 있다.
열기 충돌부재(6)가, 하측 차열판(5b)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열기 충돌부재(6)는, 개구부(2)를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횡방향과 아래쪽 방향의 각각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측 차열판(5b)을 따라 개구부(2)를 향해서 흐르는 열기가 충돌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열기 충돌부재(6)는, 열기 충돌부재(6)를 뛰어넘은 열기가 유속을 빠르게 하면서 하측 차열판(5b)을 따라 흐르는 길이만큼 연소통(3)측으로 내려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하측 차열판(5b)의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의 약 1/4 길이치수 만큼, 개구부(2)로부터 후방에 열기 충돌부재(6)가 위치하고 있다. 연소통(3)으로부터 방출된 배기가스는, 하측 차열판(5b)에 있어서, 경사된 하측 차열판(5b)의 하면을 따라 테두리체(1)의 개구부(2)의 방향으로 흐르고, 하측 차열판(5b)에 부착된 칸막이판 형상의 열기 충돌부재(6)에 의해 일단 막아져서, 그 후 열기 충돌부재(6)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확산된다. 이 때문에, 열기 충돌부재(6)에 의해, 하측 차열판(5b)의 하면에 열기가 일시적으로 체류한다. 이렇게 열기가 일시적으로 체류하면, 하측 차열판(5b)의 열기 충돌부재(6)보다 후방측의 부분이, 열기에 의해 고온이 되고, 그 결과, 하측 차열판(5b)으로부터의 방사열이 늘어난다. 이 방사열은 테두리체(1)의 개구부(2)로부터 테두리체(1)의 전방을 향해서 방사된다.
이처럼, 반사판(4)에서 반사되어 전방으로 방출되는 열선에 더해서, 하측 차열판(5b)으로부터의 열선이나 방사열이 테두리체(1)의 전방에 방사됨으로써, 방사 효율이 향상되어 효율적으로 난방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2)로부터 테두리체(1)의 전방을 향해서 방사되는 열선의 일부가 바닥면에 도달함으로써 바닥면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종래는, 반사판(4)에서 반사해서 전방으로 방출되는 열선이 바닥면의 테두리체(1)에 가까운 부분에 도달하지 않고, 테두리체(1)에 가까운 부분의 바닥면의 온도가 낮아져 버렸다. 본 발명에서는 하측 차열판(5b)에서 반사한 열선이나 하측 차열판(5b)으로부터의 방사열이, 테두리체(1)에 가까운 바닥면을 향하므로, 테두리체(1)에 가까운 부분의 바닥면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바닥면을 광범위에 걸쳐서 따뜻하게 할 수 있고,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통로(9)를 통과하여 토출구(1a)로부터 테두리체(1)의 전방에 방출되는 공기류는, 경사된 하측 차열판(5b)의 하면을 따라서 전방에 흐르는 배기가스의 상층을 흐르고, 배기가스를 전방을 향해서 흐르도록 방향짓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열기 충돌부재(6)에 의해, 일단 막아져서 열기 충돌부재(6)의 전체를 따라 확산된 열기는, 열기 충돌부재(6)을 뛰어넘을 때에 확산되어 온도가 내려가고, 테두리체(1) 밖으로 방출된다. 그 때문에, 배기가스의 최고 온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배기가스가 테두리체(1)밖으로 나왔을 때에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상승력은 약해진다. 그 결과, 토출구(1a)로부터 테두리체(1)밖으로 방출되는 공기류에 의해 배기가스를 테두리체(1)의 전방으로 유도할 수 있고, 상방벽부(1E)의 전방 가장자리부의 온도상승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연소통(3)의 발열량이 크고 배기가스 온도가 높을 때에는 열기 충돌부재(6)를 부착해도 배기가스의 최고 온도가 높고, 테두리체(1)의 상방벽부(1E)의 전방 가장자리부의 온도가 기대한 만큼 낮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대책으로서, 도3 및 도4에 나타내는 기타의 실시예와 같이, 연소통(3)과 대향하는 대향 영역(10)과 열기 충돌부재(6)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측 차열판(5b)의 부분(11)에, 격벽부(8)측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돌출부(7)를 형성한다. 이 경우, 복수개의 돌출부(7)는, 대향영역(10)측으로부터 열기 충돌부재(6)측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연소통(3)으로부터 발생되어 대향 영역에 도달한 열기를 방사상으로 넓히면서 개구부(2)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간격을 두어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라면, 연소통(3)으로부터 상승하는 배기가스는 돌출부(7) 사이에 유도되어, 개구부(2)를 향하는 배기가스는 하측 차열판(5b)을 따라 돌출부(7)의 사이를 흘러서 방사상으로 확대된다. 그 결과, 배기가스의 열기가 분산되어져서 온도를 내릴 수 있고, 또한, 개구부(2)를 향하는 배기가스는 열기 충돌부재(6)를 뛰어넘을 때에 확산되어서 온도를 내리므로, 상방벽부(1E)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차열판(5b)을 물결모양으로 프레스로 형성하여, 돌출부(7)를 하측 차열판(5b)의 하면으로부터 연속해서 돌출된 일체 성형구조로서 구성하면, 연소통(3)으로부터 발생한 열선은 하측 차열판(5b)과 연속하는 돌출부(7)의 경사면에서 난반사를 일으켜서 확산하면서 방사된다. 그 때문에 바닥면을 향하는 열선이 일부분에만 집중하지 않고, 테두리체(1)의 전방이나 바닥면에 균일하게 도달하게 되어, 열선의 방사 효율이 좋아져서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2 및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기 충돌부재(6)는, 연소통(3)에 대응하는 중앙부(6a)의 높이가 상기 중앙부(6a)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6b)보다 낮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기가스로 이루어진 열기는, 측부(6b)보다 중앙부(6a)쪽이 용이하게 뛰어넘을 수 있고, 중앙부(6a)의 열기 유속의 저하는 작아진다. 그 결과, 하측 차열판(5b)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열기가 기세좋게 방출되기 때문에, 고온의 열기는 테두리체(1)의 상방벽부(1E)의 앞부분으로부터 멀어지고, 상방벽부(1E)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열기 충돌부재(6)에는, 도2 및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6a)를 제외한 측부(6b)에 복수의 관통 구멍(6c)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통 구멍(6c)을 형성하면, 열기 충돌부재(6)로 막아졌던 열기의 일부가 좌우 측부(6b)의 관통 구멍(6c)을 통과함으로써, 고온의 열기가 중앙부(6a)에 집중되지 않고 좌우로 확산한다. 또한, 관통 구멍(6c)을 통과할 때에, 열기는 교반되어서 온도가내려가고, 평균화된 온도의 열기가 열기 충돌부재(6)의 전체로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흐르도록 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하측 차열판(5b)에는 열기의 흐름을 가로막는 열기 충돌부재(6)를 설치하고, 열기 충돌부재(6)에 의해 고온이 되는 하측 차열판(5b)으로부터의 방사열을 늘리고, 이 방사열이 개구부(2)로부터 테두리체(1)의 전방에 방사되도록 했기 때문에, 테두리체(1)의 전방의 광범위를 따뜻하게 할 수 있고, 난방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측 차열판을 개구부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지어 부착하고, 반사판에서 반사된 열선에 더해서, 하측 차열판의 경사된 면에서 반사된 열선이 개구부로부터 테두리체의 전방에 방사되도록 했기 때문에, 방사 효율이 좋아짐과 아울러, 열선에 의한 테두리체 내의 온도상승을 막고, 테두리체 내를 저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테두리체의 후방벽부에 형성한 1개 이상의 흡기구멍으로부터 끌어 들인 테두리체의 밖의 공기는, 상측 차열판과 하측 차열판의 사이를 흐르고, 테두리체 전방의 토출구로부터 방출된다. 이 토출구로부터 방출되는 공기는, 열기 충돌부재를 뛰어넘어 흘러온 배기가스의 상방을 흐르고, 개구부로부터 방출되는 배기가스가 위로 향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열기의 흐름을 가로막는 열기 충돌부재의 위치를 하측 차열판 앞쪽 가장자리가 아닌 연소통측에 가깝게 했으므로, 배기가스는 열기 충돌부재를 뛰어넘고나서, 다시 한번, 하측 차열판을 따라 앞부분의 개구부를 향해서 유속을 빠르게 하면서 흘러서 전방으로 방출된다. 개구부로부터 방출되는 열기의 유속이 늘면, 개구부로부터 방출된 열기의 상승 각도는, 개구부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개구부로부터 방출된 열기에 의해 테두리체의 상방벽부가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방벽부의 온도상승을 종래보다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개구부로부터 방출된 열기에 의해 테두리체의 상방벽부가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방벽부의 온도상승을 종래보다 억제할 수 있다.

Claims (8)

  1. 개구부(2)를 갖는 전방벽부와, 상기 전방 벽부와 대향하는 후방벽부와, 상기 전방벽부와 상기 후방벽부를 연결하는 2개의 측방벽부와, 상기 각 벽부의 상측 끝부에 연결된 상방벽부를 갖는 테두리체(1);
    상기 테두리체(1)안에 배치되어, 열선 방사부분의 주위에 열선을 방사하는 연소통(3);
    상기 연소통(3)의 상기 열선 방사부분이 돌출되는 구멍부를 갖고 상기 테두리체(1) 내부를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격벽부;
    상기 연소통(3)의 상기 열선 방사부분의 후방위치와 양측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열선을 상기 개구부(2)측에 반사시키는 반사판(4);
    상기 반사판(4)과 상기 상방벽부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배치되어 상기 연소통(3)으로부터의 열이 상기 상방벽부에 도달하는 것을 차폐하는 하측 차열판(5b)과 상측 차열판(5a)을 포함하는 복수장의 차열판(5);
    상기 하측 차열판과 상기 상측 차열판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
    상기 후방벽부 및/또는 상기 측방벽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공기통로에 상기 테두리체 밖의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구멍(1b);
    상기 전방벽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흡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공기통로에 들어온 상기 공기를 상기 전방벽부의 전방으로 토출하는 토출구(1a); 및
    상기 하측 차열판에 형성되어서, 상기 개구부를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횡방향과 아래방향 각각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측 차열판을 따라 상기 개구부를 향해서 흐르는 열기가 충돌하는 열기 충돌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차열판과 상기 격벽부 사이의 거리가 상기 개구부에 근접함에 따라서 길어지도록 상기 하측 차열판이 경사되어 있는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로서,
    상기 열기 충돌부재(6)는, 상기 열기 충돌부재(6)를 뛰어넘은 상기 열기가 유속을 빠르게 하면서 상기 하측 차열판(5b)을 따라 흐르는 길이만큼 상기 연소통(3)측으로 내려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충돌부재(6)는 상기 연소통(3)에 대응하는 중앙부(6a)의 높이가 상기 중앙부(6a)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6b)보다 낮게 설정되어, 상기 열기가 상기 측부보다 상기 중앙부쪽을 용이하게 뛰어넘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충돌부재(6)의 상기 측부(6b)에는, 상기 개구부(2)를 향해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6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차열판(5b)에는, 상기 연소통(3)과 대향하는 대향영역과 상기 열기 충돌부재(6)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격벽부(8) 측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돌출부(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7)는 상기 대향 영역측으로부터 상기 열기 충돌부재(6)측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연소통(3)으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대향영역에 닿은 상기 열기를 방사상으로 넓히면서 상기 개구부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간격을 두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7)는 상기 하측 차열판(5b)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7)의 각각의 표면형상은, 상기 연소통(3)으로부터 발생한 열선이 난반사하도록 정해져 있는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7)의 높이 치수는, 상기 열기 충돌부재(6)의 높이 치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충돌부재(6)는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7)의 상기 개구부측의 끝부와 전부 대향할 수 있는 상기 횡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차열판(5b)은, 상기 열기 충돌부재보다 상기 개구부측에 위치하는 전방부분의 경사각도가, 상기 전방부분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부분의 경사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
KR1020057001360A 2002-08-01 2003-08-01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 KR101035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24693 2002-08-01
JP2002224693 2002-08-01
JPJP-P-2003-00188765 2003-06-30
JP2003188765A JP2004125384A (ja) 2002-08-01 2003-06-30 反射式石油燃焼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278A true KR20050029278A (ko) 2005-03-24
KR101035520B1 KR101035520B1 (ko) 2011-05-23

Family

ID=3189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360A KR101035520B1 (ko) 2002-08-01 2003-08-01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548370B1 (ko)
JP (1) JP2004125384A (ko)
KR (1) KR101035520B1 (ko)
CN (1) CN1306221C (ko)
ES (1) ES2672306T3 (ko)
WO (1) WO2004016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4065A (zh) * 2016-07-29 2019-04-02 株式会社Posco 烧结设备和使用该烧结设备制造烧结矿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6459Y2 (ko) * 1973-07-20 1977-08-19
JPS6066946U (ja) * 1983-10-07 1985-05-13 シャープ株式会社 燃焼器
AU571593B2 (en) * 1983-10-26 1988-04-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bustion apparatus
JPS6096841A (ja) * 1983-11-01 1985-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装置
US4653464A (en) * 1984-05-31 1987-03-31 Toshiba Heating Appliances Co., Ltd. Portable heating unit
JPH0689937B2 (ja) * 1988-06-10 1994-11-14 三洋電機株式会社 暖房器
JPH0648265Y2 (ja) * 1988-09-02 1994-12-12 三洋電機株式会社 暖房機
JP2680626B2 (ja) * 1988-09-05 1997-11-19 三洋電機株式会社 暖房機
JP2543332Y2 (ja) * 1991-02-28 1997-08-06 株式会社トヨトミ 石油燃焼器
CN2106309U (zh) * 1991-11-12 1992-06-03 广州市建新五金厂 两用煤油取暖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25384A (ja) 2004-04-22
CN1671996A (zh) 2005-09-21
EP1548370A4 (en) 2010-08-04
CN1306221C (zh) 2007-03-21
EP1548370B1 (en) 2018-05-02
EP1548370A1 (en) 2005-06-29
ES2672306T3 (es) 2018-06-13
KR101035520B1 (ko) 2011-05-23
WO2004016989A1 (ja)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0133A1 (en) Gas cooking stove
KR101035520B1 (ko)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
JP2543332Y2 (ja) 石油燃焼器
JP2018031492A (ja) 赤外線温風暖房機
IE914515A1 (en) Radiant and convected air heating apparatus
JP2008281220A (ja) 電気ストーブの送風構造
JP2004125383A (ja) 反射式石油燃焼機器
US5368012A (en) Wall furnace with side vented draft hood
US2487775A (en) Fluid fuel burning space heater
CN220379659U (zh) 火排、燃烧器和热水器
JP4352963B2 (ja) 温風暖房機のルーバ構造
JP4021341B2 (ja) 暖房機
JP3955519B2 (ja) こんろバーナの構造
CN215175255U (zh) 一种灶具
KR950000268B1 (ko) 적외선 스토브
JP3564695B2 (ja) 温風暖房器の置台構造
CN202253659U (zh) 燃气灶具分火盖
JPH0788167B2 (ja) 車両用暖房装置
KR0123678Y1 (ko) 열집약형 캐비넷히터
JP3565014B2 (ja) 温風暖房機の温風構造
JP2021042880A (ja) 気化式燃焼装置
JP4484419B2 (ja) 温風暖房機のルーバー構造
JP4259690B2 (ja) 温風暖房機
JPS5919853Y2 (ja) 燃焼装置
JP2003042454A (ja) 石油燃焼器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