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268B1 - 적외선 스토브 - Google Patents

적외선 스토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268B1
KR950000268B1 KR1019920013467A KR920013467A KR950000268B1 KR 950000268 B1 KR950000268 B1 KR 950000268B1 KR 1019920013467 A KR1019920013467 A KR 1019920013467A KR 920013467 A KR920013467 A KR 920013467A KR 950000268 B1 KR950000268 B1 KR 950000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burner
stove
plate
cool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3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448A (ko
Inventor
미노루 미즈노
와기지 스기모또
미노루 고구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30010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적외선 스토브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적외선 스토브트의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적외선 스토브의 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적외선 스토브의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적외선 스토브의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적외선 스토브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 : 스토브케이스 2, 6 : 가스버너
3 : 배기유도판 4, 7 : 철망(다공체)
9 : 냉각용 공기통로 10 : 트인구멍
21, 61 : 연소판 31 : 배기유도판의 상판부
32 : 배기유도판의 배면벽부(벽체) 41, 71 : 상측연장부
42, 72 : 앞측연장부 170, 51 : 배기배출구
52 : 열복사용 창(트인구멍) 411 : 하단
551 : 수직벽(벽체) A, B, C, D : 적외선 스토브
H : 배기 K : 냉각용 공기류
M : 배기구
본 발명은 가스, 석유등의 연료를 불꽃구멍이 형성된 연소판을 가지는 버너로 연소하여 주로 복사열로 난방을 하는 적외선 스토브에 있어서의 이산화질소(이하 NO2라 한다)의 발생을 억제하는 적외선 스토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케이스내에 세라믹재의 연소판을 연소면으로 하는 버너를 설치한 적외선 스토브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트브는 보통 케이스의 전면이 트인구멍으로 되어 열의 복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케이스의 상면에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 연소식 난방기기에서는 연소에 따른 이산화질소(NO2)의 발생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 이산화질소를 줄이기 위해 다음의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
(a) 배기구에 환원촉매를 배치한다.
(b) 고온으로 되어 있는 연소불길 근방에 여분의 공기가 들어가 이산화질소의 생성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소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벽을 부가적으로 설치한다.
그러나, 환원촉매를 이용하는 방법은 값이 비싸면서 상태가 쉽게 나빠진다는 결점이 있으며, 또한 연소부로의 공기차단벽은 이 벽이 복사열을 흡수하므로서 복사효율을 떨어뜨린다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발명으로 일본국 특허공개 평 3-16476 호 공보에는, 배기구에 철망등을 설치하여, 통기저항의 증가에 의하여 실내공기가 배기고온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기의 유속분포의 균일화에 의하여 배기구 근방에서의 배기고온부의 발생을 방지하여 고온의 배기와 공기가 혼합되어 생성되는 NO2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적외선 스토브의 경우에서는 적외선 스토브의 내구성, 기능 및 형태를 크게 변형시키지 않고 NO2의 배출량을 어느정도 줄일 수는 있으나, 케이스 상면에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을 뿐 별도의 냉각용 통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배기의 냉각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를 냉각하여 NO2의 발생을 더욱 억제한 적외선 스토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한다.
(1) 앞면을 트인구멍으로 한 스토브케이스와, 상기 트인구멍을 향하도록 설치한 연소판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스토브케이스내에 배치된 버너와, 상기 버너의 상측 앞측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구비한 적외선 스토브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버너의 상단부와 접합하며 대략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측연장부와 이 상측연장부의 상단에서 대략 앞측으로 연장되는 앞측연장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배기구의 근방에 배치하는 양호한 열전도성을 가지는 다공체와, 상기 다공체의 상기 상측연장부의 배면에 형성된 냉각용 공기통로를 구비한다.
(2) 상기 (1)의 적외선 스토브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공기통로를 상기 다공체의 상기 상측연장부와 이상측연장부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한다.
(3) 앞면을 트인구멍으로 한 스토브케이스와, 상기 트인구멍을 향하도록 설치한 연소판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스토브케이스내에 배치된 버너와, 상기 버너의 상측 앞측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구비한 적외선 스토브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버너의 상단부와 접합하며 대략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측연장부와 이 상측연장부의 상단에서 상기 트인구명 근방까지 대략 앞측으로 연장되는 앞측연장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배기구의 근방에 배치하는 양호한 열전도성을 가지는 다공체를 상기 배기유도판의 하측에 상기 상판부 및 상기 배면벽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략 평행하게 설치하여 이 간격을 냉각용 공기통로로 한다.
(1)항의 작용에 대하여, 버너의 연소에 의한 드래프트 효과에 의해서 냉각용 공기통로에 상향의 냉각용 공기류가 발생하여, 이 냉각용 공기류가 다공체의 상측연장부를 배면에서 냉각한다.
다공체의 앞측연장부는 배기에 의해서 가열되기 때문에 열을 흡입하지만, 이 열은 배기에 의해서 쉽게 가열되지 않는 상측연장부로 전달되고, 이 상측연장부가 냉각용 공기류에 의해서 냉각되어 방열하기 때문에 앞측연장부는 간접적으로 냉각된다.
따라서, 배기가 다공체의 주로 앞측연장부를 통과할 때 유속분포가 균일화되어 배기가 균일한 온도로 되므로 국부적인 배기고온부의 발생이 억제됨과 아울러 냉각되므로 배기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낮아진다.
(2)항의 작용에 대하여, 다공체의 상층연장부와, 이 상측연장부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벽체와의 사이에 냉각용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래프에 의한 냉각용 공기류는 벽체로 안내되어 효율좋게 상측연장부와 접촉하여 이것을 냉각시킨다.
(3)항의 작용에 대하여, 상판부와 배면벽부를 구비하며 버너의 상측에 배치되어 배기를 앞면의 트인구멍으로 유도하는 배기유도판을 구비한 적외선 스토브에 있어서는, 배기유도판의 상판부 하측에 열이 축적되므로, 이 축적된 부분에 배기고온부가 쉽게 발생한다.
그러나 양호한 열전도성을 가지는 다공체를 배기유도판의 하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략 평행하게 설치하여 이 간격을 냉각용 공기통로 했기 때문에, 이 냉각용 공기통로내에서 발생하는 드래프트 효과에 의한 냉각용 공기류는 배기유도판의 배면벽부에 의하여 안내되어 다공체의 상측연장부와 효율좋게 접촉하여 냉각시킨 후 배기유도판의 상판부 하측을 통과하여 앞명의 트인구멍으로 빠져나간다. 따라서 상판부 하측에서 열이 축적된 부분은 냉각용 공기류에 의해서 배출되어 없어져 배기고온부의 발생이 억제된다.
(1)항의 효과에 대하여, 배기의 유속분포가 균일화되어 배기가 대략 균일한 온도로 되므로써 국부적인 배기고온부의 발생이 억제됨과 아울러 배기가 앞측연장부를 통과할 때 냉각되므로 배기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낮아진다.
따라서 냉각용 배기통로가 없는 종래의 것보다 NO2의 발생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2)항의 효과에 대하여, 냉각용 공기류는 벽체에 의하여 안내되기 때문에 효율좋게 상측연장부와 접촉하여 이것을 냉각시키므로, 이 결과, 앞측연장부의 온도가 효율좋게 낮아지므로 상기 (1)항의 것보다도 더 NO2의 발생이 감소한다.
(3)항의 효과에 대하여, 냉각용 공기류는 배기유도판의 배면벽부에 의하여 안내되기 때문에 효율좋게 상측연장부와 접촉하여 이것을 냉각시킨다. 이 결과, 앞측연장부의 온도가 효율좋게 낮아져서 NO2의 발생을 억제함과 아울허, 배기유도판과 다공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냉각용 공기통로내를 흐르는 냉각용 공기류에 의해서 상판부 하측의 열이 축적되는 부분이 배출되어 없어지므로 배기고온부의 발생이 억제되어 NO2의 발생이 감소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청구항 3에 대응)를 제 1 도 및 제 2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나타내는 적외선 스토브(A)는 스토브케이스(1)와, 스토브케이스(1)내에 배치되는 가스버너(2)와, 배기(H)를 유도하는 배기유도판(3)과, 다공체인 철망(4)을 구비하고 있다.
스토브케이스(1)(금속제)는 다리부(11), 반사판(13), 반사판 고정부재(141), 배면판(15), 상판(16) 및 앞면의 트인구멍(10)내를 배기배출구(170)와 구획하는 틀(17)을 각각 접합하므로써 구성되며, 가스버너(2)의 상측과 반사판(13)사이에는 배기구(M)가 형성되어 있다.
또, 101은 트인구멍(10)의 앞측에 부착된 커버, 171은 배기(H) 및 실내공기(P)의 공기량 및 풍향의 유출각도를 결정하는 루버, 18은 틀(17)에 피스로 고정되어 열이 상판(16)에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차열판이며, 이 차열판(18)은 상판부(181)와 배면벽부(182)를 구비하며, 배기유도판(3)과의 사이에 통로(180)를 형성하며, 이 통로(180)로 흐르는 실내공기(P)는 배기유도판(3) 및 차열판(18)을 냉각시킨다.
가스버너(2)(상하 2단)는, 세라믹제로 된 판에 다수개의 작은 불꽃구멍을 형성하고 트인구멍부(10)와 평행하도록 연소면이 약간 상향배치되는 연소판(21)과, 이 연소판(21)의 배면에 형성되며 연료가스와 연소용 공기를 혼합하는 혼합실(22, 23)로 구성되어 있으며, 흡입구(도시하지 않았음)에서 흡입된 공기와 노즐(도시하지 않았음)에서 분출되는 연료가스를 혼합실(22, 23)내에서 혼합하고 있다.
배기유도판(3)은, 그 일단이 상기 틀(17)에 피스 고정되어 있으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판부(31) 및 이 상판부(31)의 타단에서 대략 하측으로 연장되는 배면벽부(32)와, 이것들의 양측에 형성된 측판(33)을 구비하며, 상기 가스버너(2)의 상측에 위치하여 가스버너(2) 상측에 형성된 상기 배기구(M)를 통과한 배기(H)를 배기배출구(170)로 유도한다.
다공체인 철망(4)(SUS304제)은 두께가 0.4mm. 20메시의 것으로, 이 철망(4)은, 하단(411)이 연소판(21)의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4)의 상단 가장자리와 기밀하게 접합되어 대략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41)와 이 상측연장부(41)의 상단에서 배기배출구(170) 근방까지 대략 앞측으로 연장되는 앞측연장부(42)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앞측연장부(42) 및 상측연장부(41)의 단부는 조구(34 ; hoisting accessory)에 의하여 배기유도판(3)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철망(4)과 배기유도판(3)사이, 즉 철망(4)의 앞측연장부(42)와 배기유도판(3)의 상판부(31)와의 사이 및 상측연장부(41)와 배면벽부(32)와의 사이에는 냉각용 공기통로(9)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적외선 스토브(A)의 장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판부(31)와 배면벽부(32)를 구비하며 가스버너(2)의 상측에 배치되어 배기구(M)를 통과한 배기(H)를 앞측의 트인구멍부(10)내의 배기배출구(170)로 유도하는 배기유도판(3)을 구비한 형식의 적외선 스토브에서는, 상기 배기유도판(3)의 상판부(31) 하측에 열이 쉽게 축적되므로, 이 축적부분에 배기고온부가 쉽게 발생한다.
그러나, 열전도성이 양호한 철망(4)의 다공판을 배기유도판(3)의 하측에 상판부(31) 및 배면벽부(3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략 평행하게 설치하여 냉각용 공기통로(9)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냉각용 공기통로(9)내에서 발생되는 드래프트에 의한 냉각용 공기류(K)가 냉각용 공기통로(9)의 최하단의 공기도입구(40)에서 도입되어 배면벽부(32)에 의하여 안내되어 철망(4)의 상측연장부(41)와 접촉하여 효율좋게 냉각시키므로, 이 결과 철망(4)의 앞측연장부(42)는 냉각된다.
그후, 상기 냉각용 공기류(K)는 배기유도판(3)의 상판부(31) 하측을 통과하여 앞면의 트인구멍(10)내의 배기배출구(170)로 빠져나감에 따라 상판부(31) 하측의 열이 축적된 부분은 냉각용 공기류(K)에 의해서 배출되어 없어지므로, 배기고온부의 발생이 억제되어 결과적으로 NO2의 발생이 감소한다.
또한, 배기(H)는 냉각용 공기통로(9)내에서 냉각용 공기류(K)와 섞이지만, 배기(H)가 철망(4)을 통과할 때 유속분포가 균일화되어 국부적인 배기고온부의 발생이 억제되고, 아울러 냉각되어 배기온도가 충분히 낮아지기 때문에 NO2의 발생이 극히 적어직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청구항 2에 대응)를 제 3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3 도에 나타낸 적외선 스토브(B)는, 상면에 배기배출구(51)를 형성한 스토브케이스(5)와, 스토브케이스(5)내에 배치되는 가스버너(6)와, 상측연장부(71) 및 앞측연장부(72)를 일체로 형성하며 배기배출구(51)의 상부에 장착되는 철망(7)과, 철망(7)의 상측연장부(71)와 상단틀(55)의 벽체인 수직벽(55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용 공기통로(9)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브케이스(5)는, 가로가 긴 대략 직육면체를 이루고 있으며, 앞면에서 상면에 걸쳐서 연속해서 트인구멍으로 된 열복사용 창(5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다리부(53)가 부착되어 있다. 열복사용 창(52)내에는 반사판(54)과 연소부 고정부재(5a)가 끼워넣어져 있으며, 가스버너(2)의 상측과 연소부 고정부재(5a)와의 사이에는 배기구(M)가 형성되어 있다. 또 열복사용 창(52) 외측에는 보호망(56)이 부착되어 있다.
연소부 고정부재(5a)는 그 상면(5b)을 스토브케이스(5)의 상판부(50)와 면일치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가스버너(6) (상하 2단)는 세라믹제의 판에 디수개의 작은 불꽃구멍을 형성한 연소판(6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연소판(61)은 열복사용 창(52)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연소판(61)의 배면에는 연소가스와 연소용 공기와의 혼합실(62)로 되어 있으며, 흡기구(도시하지 않았음)에서 흡입된 공기와 노즐(도시하지 않았음)에서 분출되는 연료가스가 혼합실(62)내에서 혼합된다.
다공체인 철망(7)은 두께 0.4mm, 20메시의 것으로, 상측연장부(71)의 하단(711)이 연소판(61)의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구(63)의 상단 가장자리와 기밀한 상태로 접합되며, 상측연장부(71)의 상단에서 앞측으로 연장된 앞측연장부(72)의 고정틀(721)이 스토브케이스(5)의 상판부(50)위에 고정되어 있다.
이어서 적외선 스토브(B)의 장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철망(7)의 상측연장부(71)와, 상측연장부(71)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벽체인 수직벽(551)과의 사이에 소정구간 냉각용 공기통로(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버너(6)의 연소에 의한 드래프트 효과에 의해서 냉각용 공기통로(9)내에서 발생되는 상향의 냉각용 공기류(K)가 냉각용 공기통로(9)의 최하단의 공기도입구(40)에서 도입되어 상기 수직벽(551)에 의하여 안내되어 철망(7)의 상측연장부(71)의 배면과 접촉하여 효과적으로 냉각시킨다.
철망(7)의 앞측연장부(72)는 배기(H)에 의해서 가열되기 때문에 열을 흡입하지만, 이 열은 배기(H)에 의해서 쉽게 가열되지 않는 상측연장부(71)로 전달되어 냉각용 공기류(K)에 의해서 냉각되므로, 즉 앞측연장부(72)에서 흡입된 열을 방열하기 때문에 앞측연장부(72)의 온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배기(H)가 철망(7)의 앞측연장부(72)를 통과할 때 유속분포가 균일화 되기 때문에 배기(H)가 대략 균일한 온도로 되므로써 국부적인 배기온도부의 발생이 억제되고, 아울러 상기 냉각된 앞측연장부(72)에 의해서 냉각되므로 배기(H)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낮아진다.
이상의 작용에 의해서 NO2가 극히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제 4 실시예(청구항 1에 대응)를 제 4 도, 제 5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4 도, 제 5 도에 나타낸 적외선 스토브(C)(D)는 상측연장부(71)와 대향하는 위치에 냉각용 공기류(K)를 안내하는 벽체를 형성하지 않은 점에 있어서 적외선 스토브(B)와 다르다.
적외선 스토브(C)에서는 냉각용 공기류(K)를 하측의 공기도입구(91)에서 철망(7)의 상측연장부(71)의 배면의 냉각용 공기통로(9)로 도입하며, 적외선 스토브(D)에서는 냉각용 공기류(K)를 측방의 공기도입구(92)에서 도입하고 있다.
이들 적외선 스토브(C)(D)도 NO2의 발생이 적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이외에 다음의 실시상태를 포함한다.
a. 다공체는 양호한 열전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재질은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예를들면 다공의 금속판(펀칭 플레이트)이어도 된다. 또 두께, 구멍의 세밀도, 상측연장부와 앞측연장부와의 비율도 적절하게 결정하면 된다.
b. 상측연장부와 연직과의 편차 및 앞측연장부와 수평과의 편차는 임의로 결정하면 된다.

Claims (3)

  1. 앞면을 트인구멍(10)으로 한 스토브케이스(5)와, 상기 트인구멍(10)을 향하도록 설치한 연소판(61)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스토브케이스(5)내에 배치된 버너(6)와, 상기 버너(6)의 상측 앞측에 형성되는 배기구(M)를 구비한 적외선 스토브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버너(6)의 상단부와 접합하며 대략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측연장부(71)와 이 상측연장부의 상단에서 대략 앞측으로 연장되는 앞측연장부(72)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배기구(M)의 근방에 배치하는 양호한 열전도성을 가지는 다공체(7)와, 상기 다공체(7)의 상기 상측연장부(71)의 배면에 냉각용 공기통로(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스토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공기통로(9)는 상기 다공체(7)의 상기 상측연장부(71)와 이 상측연장부(71)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벽체(55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스토브.
  3. 앞면을 트인구멍(10)으로 한 스토브케이스(1)와, 상기 트인구멍(10을 향하도록 설치한 연소판(21)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스토브케이스(1)내에 배치된 버너(2)와 상기 버너(2)의 상측 앞측에 형성되는 배기구(M)를 구비한 적외선 스토브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버너(2)의 상단부와 접합하며 대략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측연장부(41)와, 이 상측연장부(41)의 상단에서 상기 트인구멍(10) 근방까지 대략 앞측으로 연장되는 앞측연장부(42)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배기구의 근방에 배치하는 양호한 열전도성을 가지는 다공체(4)는 상기 배기유도판(3)의 하측에 상기 상판부(181) 및 상기 배면벽부(18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략 평행하게 설치하여 이 간격을 냉각용 공기통로(9)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스토브.
KR1019920013467A 1991-11-08 1992-07-27 적외선 스토브 KR950000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93351A JPH0816530B2 (ja) 1991-11-08 1991-11-08 赤外線ストーブ
JP3-293351 1991-11-08
JP91-293351 1991-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448A KR930010448A (ko) 1993-06-22
KR950000268B1 true KR950000268B1 (ko) 1995-01-12

Family

ID=1779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3467A KR950000268B1 (ko) 1991-11-08 1992-07-27 적외선 스토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16530B2 (ko)
KR (1) KR9500002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16530B2 (ja) 1996-02-21
JPH05133531A (ja) 1993-05-28
KR930010448A (ko) 199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749A (en) Gas fired convection oven
WO2009091115A2 (en) Bunsen burner using lean-rich combustion type
US5460157A (en) Gas fired convection oven
JP2005069640A (ja) 燃焼装置
JP2500121B2 (ja) 赤外線スト―ブ
KR950000268B1 (ko) 적외선 스토브
US6598599B2 (en) Hot air space heater
JP2018119703A (ja) 燃焼装置
US5368012A (en) Wall furnace with side vented draft hood
KR940009061B1 (ko) 적외선 스토브
JPH0740821Y2 (ja) 衝炎バーナ
HU187672B (en) Gas heated baking oven with circulating ventilator
KR930007957B1 (ko) 적외선 스토브
CN218355798U (zh) 散热系统以及燃气烤箱
CN213513873U (zh) 一种燃烧器及热水器
JP3150237B2 (ja) 低NOxバーナ
JP3565014B2 (ja) 温風暖房機の温風構造
JP5491452B2 (ja) 温風暖房機
JPH05296419A (ja) 低nox 燃焼装置
JP3708364B2 (ja) バーナ装置
KR101035520B1 (ko) 반사식 석유연소 기기
JPH0518516A (ja) バーナ
KR20040097788A (ko) 가스오븐레인지 탑버너의 공기공급구조
SU1714294A1 (ru) Топка водогрейного котла
KR200148485Y1 (ko) 난방용 공기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