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8205A - 팩전지 - Google Patents

팩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8205A
KR20050028205A KR1020040062848A KR20040062848A KR20050028205A KR 20050028205 A KR20050028205 A KR 20050028205A KR 1020040062848 A KR1020040062848 A KR 1020040062848A KR 20040062848 A KR20040062848 A KR 20040062848A KR 20050028205 A KR20050028205 A KR 20050028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block
battery
block
fixed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9911B1 (ko
Inventor
와따나베아쯔시
다마이미끼따까
데라오까히로끼
나까마사쯔구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8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한 구조로 출력단자를 수지 성형부의 정위치에 고정하고, 저가로 다량 생산한다.
(해결수단) 팩전지는 전지 (2) 의 일부 내지 전체를 수지 성형부 (1) 에 인서트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출력단자 (3) 를 외부에 표출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또한 팩전지는 과전류가 흐르면 전류를 차단하는 브레이커 기구 (4) 를 내장한 절연 블록 (11) 을 수지 성형부 (1) 에 인서트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 절연 블록 (11) 은 표면에 출력단자 (3) 를 고정하고 있고, 절연 블록 (11) 에 고정되어 있는 출력단자 (3) 를 수지 성형부 (1) 의 외부로 표출하여 정위치에 고정하고 있다.

Description

팩전지 {A PACK BATTERY}
본 발명은 전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지 성형부에 인서트하여 제작하여 이루어지는 팩전지에 관한 것이다.
팩전지에는 높은 치수정밀도가 요구된다. 특히 출력단자의 위치에 높은 위치 정밀도가 요구된다. 이것은 전기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장착부에 정확하게 세트시켜, 접촉불량이 일어나지 않도록 출력단자를 전기기기의 전원단자에 접속하기 위해서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팩전지는, 플라스틱으로 성형한 외장 케이스에, 전지에 필요한 부품을 연결하는 코어팩을 넣은 구조이다. 이 구조의 팩전지는, 외장 케이스를 정확한 치수로 성형하여, 팩전지의 외형을 규정된 치수로 할 수 있다. 단, 이 구조의 팩전지는 외장 케이스에 코어팩을 넣어 조립하므로, 제조가 번거로워 저가로 다량 생산하기 어렵다.
조립공정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팩전지로서 외장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은 팩전지가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15483호
이 팩전지는 외장 케이스에 상당하는 수지 성형부를 성형할 때에, 전지에 필요한 부품을 연결하고 있는 코어 팩의 일부를 수지 성형부에 인서트하여 제작된다. 이 구조의 팩전지는, 전지에 필요한 부품을 연결하여 코어팩으로 하고, 이 코어팩을 수지 성형부를 성형하는 금형의 성형실에 임시 고정하고, 성형실에 용융상태의 합성 수지를 주입하여 제작된다. 이 팩전지는 수지 성형부를 성형할 때에 코어팩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외장 케이스를 생략하여 능률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수지 성형부는 팩전지의 외장 케이스의 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지에 연결되어 있는 부품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수지 성형부를 성형할 때에 코어팩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저가로 능률적으로 다량 생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 구조의 팩전지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가 되는 수지 성형부에 코어팩을 인서트하여 성형하고 있다. 이 팩전지는, 회로기판 (91) 등의 팩전지를 구성하는 부품을 전지 (92) 에 연결하는 코어팩 (90) 을 금형 (93) 의 성형실 (94) 에 임시 고정하고, 성형실 (94) 에 용융상태의 플라스틱을 주입하여 코어팩 (90) 의 일부를 수지 성형부에 매설한 상태로 인서트하고, 플라스틱을 경화시킨 후에 탈형(脫型)하여 제작된다. 이 팩전지는 수지 성형부와 코어팩을 간극이 없는 일체 구조로 연결하여 다량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조의 팩전지는 리드선을 통해 출력단자를 팩전자와는 별도로 연결하고 있으므로, 이 부분의 제작이 번거롭다는 결점이 있다. 또 이 구조의 팩전지는 리드선이 단선되는 등의 폐해도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휴대전화에 사용되는 팩전지 등에 있어서는, 리드선으로 출력단자를 설치하는 구조는 거의 채용되지 않는다. 출력단자를 수지 성형부에 인서트하여 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단, 출력단자가 되는 금속판을 금형 성형실의 정확한 위치에 임시 고정하여 수지 성형부를 성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출력단자를 수지 성형부의 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저가로 다량 생산할 수 있는 팩전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팩전지는 전지 (2) 의 일부 내지 전체를 수지 성형부 (1) 에 인서트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출력단자 (3) 를 외부로 표출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팩전지는 과전류가 흐르면 전류를 차단하는 브레이커 기구 (4) 를 내장한 절연 블록 (11) 을 수지 성형부 (1) 에 인서트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 절연 블록 (11) 은, 표면에 출력단자 (3) 를 고정하고 있고, 절연 블록 (11) 에 고정되어 있는 출력단자 (3) 를 수지 성형부 (1) 의 외부로 표출하여 정위치에 고정하고 있다.
절연 블록 (11) 은 플라스틱으로 따로따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 블록 (11A) 과, 이 베이스 블록 (11A) 에 고정되어 있는 커버 블록 (11B) 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절연 블록 (11) 은 커버 블록 (11B) 의 표면에 출력단자 (3) 를 고정할 수 있다.
절연 블록 (11) 은 플라스틱으로 따로따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 블록 (11A) 과, 이 베이스 블록 (11A) 에 고정되어 있는 커버 블록 (11B) 을 구비함과 동시에, 커버 블록 (11B) 과 베이스 블록 (11A) 사이에 수납실 (17) 을 형성하고, 이 수납실 (17) 에 브레이커 기구 (4) 를 내장할 수 있다. 수납실 (17) 에 내장되는 브레이커 기구 (4) 는, 가동 아암 (12) 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가동 아암 (12) 은 커버 블록 (11B) 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이 외부 돌출부 (12) 를 출력단자 (3) 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 금속 (16) 에 고정할 수 있다.
절연 블록 (11) 은 표면에 매설 오목부 (11d) 를 형성하고, 수지 성형부 (1) 를 성형하는 합성 수지를 매설 오목부 (11d) 에 충전하여, 절연 블록 (11) 을 수지 성형부 (1) 에 인서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팩전지는 전지 (2) 의 볼록부 전극 (2B) 에 연결되는 고정 리드판 (28) 을 절연 블록 (11) 에 설치함과 동시에, 이 고정 리드판 (28) 의 연결부 (28A) 의 상방을 개구하여 연결 개구 (11g) 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팩전지는 전지 (2) 의 전극에 고정되는 인출 리드판 (29) 을 절연 블록 (11) 에 고정함과 동시에, 이 인출 리드판 (29) 은 절연 블록 (11) 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선단부를 전지 (2) 의 전극에 연결할 수 있다. 전극에 연결되는 인출 리드판 (29) 은, 전극 단면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 (29A) 를 선단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인출 리드판 (29) 을 U 자형으로 구부려, 인출 리드판 (29) 을 고정하고 있는 전극면과 대향하여 절연 블록 (11) 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절연 블록 (11) 은 인출 리드판 (29) 의 절곡부 (29A) 를 끼워 넣는 삽입 오목부 (11h) 를 형성하고, 절곡부 (29A) 를 삽입 오목부 (11h) 에 넣고, 절연 블록 (11) 을 전극 단면의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팩전지는, 절연 블록 (11) 을 납땜하는 온도에서 변형되지 않는 고융점 플라스틱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전지는 베이스 블록 (11A) 과 커버 블록 (11B) 을 리플로우 납땜하는 온도에서 변형되지 않는 고융점 플라스틱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팩전지는 출력단자 (3) 에 온도 센서를 접속하고, 브레이커 기구 (4) 가 오픈된 상태에서 출력단자 (3) 로부터 온도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전지는 브레이커 기구 (4) 를 내장하고 있는 수납실 (17) 의 내면으로 돌출되어, 오픈 위치로 이동하는 가동 아암 (12) 의 스토퍼 (11m) 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팩전지는, 인접하는 출력단자 (3) 에 전자부품 (20) 을 납땜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 팩전지는 전자부품 (20) 을 연결하는 경계의 대향 가장자리와, 전자부품 (20) 을 연결하는 면과의 각부 (角部) 에 절결부 (3a) 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 (3a) 에 수지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전지는 출력단자 (3) 의 이면에 전자부품 (20) 을 납땜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전자부품 (20) 을 납땜하고 있는 영역의 주위에, 절연 블록 (11) 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땜납 (44) 의 확장을 방지하는 절연부 (43)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전지는 절연 블록 (11) 의 양측에 폭조정 볼록부 (11c) 를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형성하고, 이 폭조정 볼록부 (11c) 의 외폭을 전지 (2) 의 두께와 같게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또한 이 명세서는 특허청구범위를 알기 쉽도록 실시예에 나타나는 부재에 대응하는 번호를, 「특허청구범위 란」및 「발명의 구성 란」에 표시되는 부재에 부기하고 있다. 단, 특허청구범위에 표시되는 부재를 실시예의 부재로 특정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도 2 의 팩전지는 박형 전지의 전지 단면에 수지 성형부 (1) 를 성형하고 있다. 이 수지 성형부 (1) 는, 성형할 때에 도 3 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블록 (11) 을 인서트하여 고정한다. 도면의 팩전지는 볼록부 전극 (2B) 이 있는 전극 단면에 수지 성형부 (1) 를 고정하고 있으나, 볼록부 전극이 있는 전지 단면과는 반대측의 전지 단면에 수지 성형부를 고정하고, 여기에 절연 블록을 인서트할 수도 있다. 또 박형 전지는 도시하지 않지만, 폭이 좁은 양측면에 수지 성형부를 고정하고, 여기에 절연 블록을 인서트할 수도 있다. 볼록부 전극과는 반대측에 절연 블록을 인서트하거나, 혹은 박형 전지의 측면에 절연 블록을 인서트하여 설치하는 팩전지는, 절연 블록의 리드편을 박형 전지의 측면을 따라 절연하면서 연장하여 볼록부 전극에 접속한다.
팩전지는 도 4 와 도 5 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 (2) 의 코어팩 (10) 을 금형 (30) 의 성형실 (31) 에 임시 고정하고, 성형실 (31) 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절연 블록 (11) 을 정위치에 배치된 코어팩 (10) 의 일부를 수지 성형부 (1) 에 인서트하여 제작된다. 코어팩 (10) 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블록 (11) 을 전지 (2) 에 연결한 것이다. 도 4 와 도 5 에 나타내는 코어팩 (10) 은 절연 블록 (11) 을 전지 (2) 에 연결하고 있다. 절연 블록 (11) 을 연결하고 있는 코어팩 (10) 은 가장 간단한 구조로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팩전지는, 도시하지 않지만, 절연 블록에 추가하여, 프린트 기판 등을 수지 성형부에 인서트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절연 블록 (11) 은 전지 (2) 에 이상이 발생되면 전류를 차단하여 전지 (2) 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브레이커 기구 (4) 를 내장하고 있다. 브레이커 기구 (4) 는 온도나 과전류를 검출하여 전류를 차단한다.
절연 블록 (11) 은 절연재인 플라스틱의 성형품이다. 도 7 내지 도 14 에 나타내는 절연 블록 (11) 은 플라스틱으로 따로다로 성형되어 있는 베이스 블록 (11A) 과, 이 베이스 블록 (11A) 에 고정되어 있는 커버 블록 (11B) 을 구비하고 커버 블록 (11B) 의 표면에 출력단자 (3) 를 고정하고 있다. 도면의 절연 블록 (11) 은 서로 연결 고정되어 있는 커버 블록 (11B) 과 베이스 블록 (11A) 사이에 수납실 (17) 을 설치하고, 이 수납실 (17) 에 브레이커 기구 (4) 를 내장하고 있다. 또 절연 블록을 커버 블록과 베이스 블록으로 분리하지 않은 일체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브레이커 기구를 플라스틱제의 케이스 (도시생략) 에 넣는 구조로 하여, 이것을 절연 블록에 고정하거나, 혹은 인서트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절연 블록 (11) 은 전자부품 (20) 을 납땜하는 온도에서 변형되지 않는 고융점 플라스틱, 더욱 바람직하게는 납 프리 땜납을 사용하여 리플로우 납땜하는 온도에서 변형되지 않는 고융점 플라스틱으로 성형된다. 고융점 플라스틱은 액정 폴리머 컴파운드 (LCP), 혹은 폴리페닐렌술피드 (PPS) 등의 플라스틱이다. LCP 나 PPS 는 우수한 내열성에 추가하여, 성형 후의 휨을 적게 하여 강인한 강도로 할 수 있다. 고융점 플라스틱은 LCP 나 PPS 에 특정되지 않고, 납땜하는 온도에서 변형되지 않는 다른 모든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납 프리 땜납으로 납땜하는 온도에서 변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의 절연 블록 (11) 은, 커버 블록 (11B) 과 베이스 블록 (11A) 의 양방을 고융점 플라스틱으로 성형한다. 절연 블록 (11) 은 바람직하게는 동일 재질의 고융점 플라스틱으로 성형된다. 이 절연 블록 (11) 은 고정되어 있는 출력단자 (3) 에 전자부품 (20) 을 리플로우 납땜하여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커버 블록 (11B) 과 베이스 블록 (11A) 을 초음파 용착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게다가 확실하게 신속히 고정할 수 있다. 단, 절연 블록 (11) 은 출력단자 (3) 를 고정하지 않은 부분, 도면의 절연 블록 (11) 의 베이스 블록 (11A) 을 반드시 고융점 플라스틱으로 성형할 필요는 없다. 출력단자 (3) 가 없는 부분은, 리플로우 땜납하여 전자부품 (20) 을 고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커버 블록 (11B) 과 베이스 블록 (11A) 를 다른 플라스틱으로 성형하는 절연 블록 (11) 은 양자를 접착하여 고정하거나 혹은 끼워붙이는 구조로 연결할 수 있다.
도면의 절연 블록 (11) 은 커버 블록 (11B) 과 베이스 블록 (11A) 을 정확한 위치에 연결하기 위해 서로 맞닿는 면을 끼워붙이는 구조로 하고 있다. 끼워붙임 구조는 커버 블록 (11B) 의 저면에 복수의 끼워넣기 오목부 (11b) 를 형성하고, 베이스 블록 (11A) 의 상면에 끼워넣기 오목부 (11b) 에 끼워넣는 위치에 끼워넣기 볼록부 (11a) 를 형성한 구조이다. 도 12 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넣기 볼록부 (11a) 를 끼워넣기 오목부 (11b) 에 넣고, 커버 블록 (11B) 은 베이스 블록 (11A) 의 정위치에 연결된다. 커버 블록 (11B) 을 베이스 블록 (11A) 에 연결되어 있는 도면 상의 절연 블록 (11) 의 외형은, 세로방향의 길이와 가로폭을, 전지 (2) 의 전극 단면의 길이와 가로폭에 동일하게 하고 있다.
도면의 절연 블록 (11) 은 그 양측에, 폭조정 볼록부 (11c) 를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형성하고, 폭조정 볼록부 (11c) 의 외폭을 전극 단면의 가로폭인 전지 (2) 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하고 있다. 폭조정 볼록부 (11c) 를 갖는 절연 블록 (11) 은, 금형 (30) 의 성형실 (31) 에 임시 고정하여, 수지 성형부 (1) 의 정확한 위치에 인서트할 수 있다. 폭조정 볼록부 (11c) 를 금형 (30) 사이에 끼워, 절연 블록 (11) 을 정확한 위치에서 어긋나지 않도록 임시 고정하여, 금형 (30) 의 성형실 (31) 에 합성 수지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지 성형부 (1) 를 성형할 때, 절연 블록 (11) 과 전지 (12) 가 금형 사이에 끼워져 임시 고정된다. 절연 블록 (11) 의 폭조정 볼록부 (11c) 와 전지 (2) 의 양방이 금형 (30) 사이에 끼워져 임시 고정되는 구조는, 전지 (2) 와 절연 블록 (11) 의 양방을 수지 성형부 (1) 의 정확한 위치에 인서트할 수 있다. 즉, 전지 (2) 와 절연 블록 (11) 과 수지 성형부 (1) 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면의 절연 블록 (11) 은, 커버 블록 (11B) 과 베이스 블록 (11A) 의 양방에 폭조정 볼록부 (11c) 를 형성하고, 절연 블록 (11) 의 양단 부분에 폭조정 볼록부 (11c) 를 형성하고 있다. 이 형상의 절연 블록 (11) 은, 위치와 자세 모두가 어긋나지 않도록, 금형 (30) 의 성형실 (31) 에 임시 고정되어 정확하게 수지 성형부 (1) 에 인서트된다. 또 폭조정 볼록부 (11c) 를 형성하고 있는 절연 블록 (11) 은, 폭조정 볼록부 (11c) 의 돌출량을 조정하여, 두께가 상이한 전지 (2) 에 장착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또한 도면의 절연 블록 (11) 의 베이스 블록 (11A) 은 표면인 상면에 매설 오목부 (11d) 를 형성하고 있다. 매설 오목부 (11d) 는 수지 성형부 (1) 를 충전하여 수지 성형부 (1) 에 인서트된다. 절연 블록 (11) 을 수지 성형부 (1) 에 인서트하는 공정에서, 매설 오목부 (11d) 에 수지 성형부 (1) 를 성형하는 합성 수지가 충전되기 때문이다. 이 구조로 인서트되는 절연 블록 (11) 은, 상면에 수지 성형부 (1) 를 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단, 도시하지 않지만 매설 오목부를 하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하면에 형성된 매설 오목부는, 절연 블록을 확실하게 수지 성형부에 걸어맞춘다. 그리고 또 매설 오목부는, 상하로 관통되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 매설 오목부는, 상하에 충전되는 합성 수지를 매설 오목부에 충전되는 합성 수지에 의해 연결한다. 이상의 구조는 절연 블록 (11) 의 상면에 수지 성형부 (1) 를 어긋나지 않도록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절연 블록 (11) 도 어긋나지 않도록 수지 성형부 (1) 에 인서트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절연 블록 (11) 은 표면에 출력단자 (3) 를 고정하고 있다. 도면의 절연 블록 (11) 은 커버 블록 (11B) 의 상면에 출력단자 (3) 를 인서트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 도면의 절연 블록 (11) 은 커버 블록 (11B) 에 출력단자 (3) 를 고정하고 있으나, 베이스 블록에 출력단자를 고정할 수도 있다. 도면의 절연 블록 (11) 은, 음양의 출력단자인 제1 출력단자 (3A), 제2 출력단자 (3B) 에 추가하여, 중간에 신호단자 (3C) 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단자 (3C) 는, 전자부품 (20) 을 통해 옆의 제1 출력단자 (3A) 에 접속된다. 전자부품 (20) 은 제1 출력단자 (3A) 와 신호단자 (3C) 의 하면에 납땜하여 고정된다. 전자부품 (20) 은 저항, 서미스터 등의 온도 센서, 콘덴서 등이다. 또 신호단자와 출력단자는 리드선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이 팩전지는 신호단자 (3C) 와 제1 출력단자 (3A) 의 전기저항을 검출하여 팩전지를 식별한다.
도 15 는 전자부품 (20) 을 고정하고 있는 출력단자 (3) 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 도면의 출력단자 (3) 는 전자부품 (20) 을 연결하고 있는 출력단자 (3) 의 경계를 실질적으로 넓게 하고 있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인접하는 출력단자 (3) 는, 경계의 대향 가장자리 (도면에서 대향하는 수직면) 와, 전자부품 (20) 을 연결하고 있는 면 (도면에서 하면의 수평면) 과의 각부에 절결부 (3a) 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 (3a) 에 절연 블록 (11) 의 플라스틱을 충전하고 있다. 이 도면의 출력단자 (3) 는 절결부 (3a) 를 계단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절결부 (3a) 는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부를 비스듬하게 자른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조의 출력단자 (3) 는 전자부품 (20) 을 납땜하여 출력단자 (3) 의 좁은 경계가 땜납볼로 단락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부품 (20) 의 땜납 면에 있어서, 출력단자 (3) 의 실질적인 간격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이 구조는, 출력단자 (3) 를 절연 블록 (11) 의 플라스틱에서 벗어나지 않는 구조로 매설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이것은 절결부 (3a) 에 충전되는 플라스틱이, 출력단자 (3) 의 탈락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절연 블록 (11) 은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단자 (3) 의 이면으로서, 전자부품 (20) 을 납땜하고 있는 영역의 주위에, 절연 블록 (11) 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땜납 (44) 의 확장을 제한하는 절연부 (43) 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구조는 절연부 (43) 에 의해 땜납 (44) 의 확장을 저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8 의 팩전지는, 출력단자 (3) 를 설치하고 있는 단면의 양측에 위치결정 오목부 (9) 를 형성하고 있다. 위치 결정 오목부 (9) 를 구비하는 팩전지는, 전자기기의 장착부 (도시생략) 에 위치어긋남 없이 세트할 수 있다. 위치결정 오목부 (9) 를 장착부에 끼워붙여 정위치에 세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절연 블록 (11) 은 위치결정 오목부 (9) 를 형성하기 위해, 양단에 절제부 (11e) 를 설치하고, 보강 돌출부 (11f) 를 돌출시키고 있다. 보강 돌출부 (11f) 는 수지 성형부 (1) 에 인서트되어 팩전지의 각부를 보강한다.
절연 블록 (11) 은 전지 (2) 에 연결되는 고정 리드판 (28) 과 인출 리드판 (29) 을 연결하고 있다. 고정 리드판 (28) 은 전지 (2) 의 볼록부 전극 (2B) 에, 인출 리드판 (29) 은 볼록부 전극 (2B) 의 옆의 전극 단면의 평면부 (2C) 에 연결된다. 도면의 절연 블록 (11) 은, 전지 (2) 의 볼록부 전극 (2B) 에 연결되는 고정 리드판 (28) 을 베이스 블록 (11A) 에, 인출 리드판 (29) 을 커버 블록 (11B) 에 연결하고 있다. 고정 리드판 (28) 과 인출 리드판 (29) 은 인서트하여 베이스 블록 (11A) 이나 커버 블록 (11B) 에 고정된다. 단, 반드시 인서트하여 고정할 필요는 없고, 끼워붙이거나 혹은 접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고정 리드판 (28) 과 인출 리드판 (29) 은 스폿 용접하거나, 혹은 레이저 용접하여 볼록부 전극 (2B) 이나 전극 단면의 평면부 (2C) 에 고정된다.
고정 리드판 (28) 을 볼록부 전극 (2B) 에 연결하기 위해, 절연 블록 (11) 은, 고정 리드판 (28) 의 연결부 (28A) 의 상방을 개구하고, 여기에 연결개구 (11g) 를 형성하고 있다. 도면의 절연 블록 (11) 은 베이스 블록 (11A) 에 고정 리드판 (28) 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베이스 블록 (11A) 에 연결개구 (11g) 를 형성하고 있다. 고정 리드판 (28) 의 연결부 (28A) 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을 형성하고 있다. 이 형상의 연결부 (28A) 는 볼록부 전극 (2B) 에 스폿 용접하여 확실하게 무효 전류를 적게 하여 용착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리드판 (28) 은, 선단에 브레이커 기구 (4) 를 구성하는 고정접점 (14) 을 고정하고 있고, 베이스 블록 (11A) 과 커버 블록 (11B)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수납실 (17) 에 표출되어, PTC (15) 를 얹는 접촉 볼록부 (28B) 를 위로 돌출시켜 복수 설치하고 있다. 접촉 볼록부 (28B) 는 이 위에 얹어지는 PTC (15) 의 하면에 확실하게 전기 접속된다.
인출 리드판 (29) 은, 하나의 출력단자인 제2 출력단자 (3B) 에 연결된 금속판이다. 인출 리드판 (29) 은 절연 블록 (11) 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선단부를 전지 (2) 의 전극인 평면부 (2C) 에 연결하고 있다. 인출 리드판 (29) 은 선단에 절곡부 (29A) 를 형성하고 있다. 인출 리드판 (29) 은 선단을 전극 단면의 평면부 (2C) 에 연결하는 상태에서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진다. 도 3 과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 리드판 (29) 이 U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절연 블록 (11) 은 인출 리드판 (29) 을 연결하고 있는 전극 단면에 대향하는 자세, 즉 전극 단면에 평행한 자세로 배치된다. 인출 리드판 (29) 의 절곡부 (29A) 는, 전극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절연 블록 (11) 은, 전극 단면과의 대향면에, 인출 리드판 (29) 의 절곡부 (29A) 를 끼워 넣는 삽입 오목부 (11h) 를 형성하고 있다. 인출 리드판 (29) 의 절곡부 (29A) 가 삽입 오목부 (11h) 에 넣어지고, 절연 블록 (11) 은 전극 단면의 정위치에 배치된다. 즉 절곡부 (29A) 를 삽입 오목부 (11h) 에 넣고, 절연 블록 (11) 이 전극 단면에 대해 정위치에 배치되는 위치에, 절곡부 (29A) 와 삽입 오목부 (11h) 를 형성하고 있다. 이 구조의 절연 블록 (11) 은 인출 리드판 (29) 의 선단부를 전극 단면의 평면부 (2C) 에 고정하고, 인출 리드판 (29) 을 U 자형으로 구부려, 절곡부 (29A) 를 삽입 오목부 (11h) 에 넣고, 고정 리드판 (28) 을 볼록부 전극 (2B) 에 고정하여, 전지 (2) 에 대해 정위치에 연결된다.
절연 블록 (11) 을 전지 (2) 에 연결한 상태에서, 절연 블록 (11) 과 전지 단면의 사이에 치수 흡수 간극 (6) 을 형성하고 있다. 치수 흡수 간극 (6) 은 수지 성형부 (1) 를 성형할 때에, 고정 리드판 (28) 과 인출 리드판 (29) 을 변형시켜 간극을 조정한다. 치수 흡수 간극 (6) 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고정 리드판 (28) 과 인출 리드판 (29) 은, 금형 (30) 의 성형실 (31) 에 임시 고정할 때에 변형할 수 있는 가요성이 있는 금속 플레이트로 제작된다. 이 구조는 치수 흡수 간극 (6) 으로 전지 (2) 의 치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절연 블록 (11) 은 수납실 (17) 에 브레이커 기구 (4) 를 내장하고 있다. 도 8 의 브레이커 기구 (4) 는, 선단의 가동접점 (12A) 을 온 오프로 전환하는 가동 아암 (12) 과, 이 가동 아암 (12) 을 온도로 변형시키는 온도 변형 금속 (13) 과, 가동 아암 (12) 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PTC (15) 와, 가동 아암 (12) 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가동 접점 (12A) 에 접촉되는 고정 접점 (14) 과, 이 고정 접점 (14) 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 리드판 (28) 을 구비한다.
도 8 의 브레이커 기구 (4) 는 가동 아암 (12) 에 온도 변형 금속 (13) 을 적층하고, 가동 아암 (12) 의 열로 온도 변형 금속 (13) 을 가열하고, 온도 변형 금속 (13) 을 변형시켜 가동 아암 (12) 을 온 오프로 전환한다. 브레이커 기구 (4) 는 도 19 와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아암 (12) 을 온도 변형 금속으로 구성하여, 가동 아암 (12) 을 직접 가열하여 변형시키는 타입도 있다. 온도 변형 금속 (13) 으로 가동 아암 (12) 을 온 오프로 전환하는 브레이커 기구 (4) 는, 도 13 과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 변형 금속 (13) 이 변형되고, 이것이 가동 아암 (12) 을 눌러 온 오프로 전환된다. 또 가동 아암 (12) 을 온도 변형 금속으로 하는 브레이커 기구 (4) 는, 도 19 와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아암 (12) 이 열로 변형되어 온 오프로 전환된다.
가동 아암 (12) 이 온도 변형 금속 (13) 을 가열하는 브레이커 기구 (4) 는, 가동 아암 (12) 에 전기 저항이 큰 금속판, 예컨대 SUS (304) 의 스테인리스판을 사용한다. 이 브레이커 기구 (4) 는 과전류가 흐를 때에 신속하게 온에서 오프로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가동 아암 (12) 에 인청동을 사용하는 브레이커 기구 (4) 는, 가동 아암 (12) 의 전기저항이 작기 때문에 과전류가 흘러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는 데에 시간이 걸린다. 가동 아암 (12) 을 동일한 형상으로 하고, 재료를 인청동과 SUS 304 로 하는 브레이커 기구 (4) 를 시작 (試作) 하고,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는 시간을 비교하면, 6A 의 과전류로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는 시간이, 인청동의 기구는 20초로 길게, SUS 304 의 스테인리스판의 기구는 동일한 정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약 1초로 신속하게 온에서 오프로 전환된다.
가동 아암 (12) 은, 과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이고, 온도 변형 금속 (13) 이 가열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가동 접점 (12A) 을, 고정 접점 (14) 에 접촉시켜 온 상태로 되어, 온도 변형 금속 (13) 부터 가열되면 고정 접점 (14) 에서 떨어져 오프로 전환된다. 온도 변형 금속 (13) 은, 열팽창률이 상이한 복수의 금속을 적층한 바이메탈이나 트리메탈이다. 온도 변형 금속 (13) 은 온도가 상승되면 변형되고, 온 위치에 있는 가동 접점 (12A) 을 고정 접점 (14) 에서 떨어뜨려 오프 위치로 전환한다. 도 12 에 나타내는 절연 블록 (11) 은, 오픈 위치로 이동하는 가동 아암 (12) 을 소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스토퍼 (11m) 를 형성하고 있다. 이 스토퍼 (11m) 는, 수납실 (17) 의 내면에 돌출된 상태에서 커버 블록 (11B) 에 형성된다. 이 스토퍼 (11m) 는 오픈 위치로 이동하는 가동 아암 (12) 이 수납실 (17) 에 설치된 전자부품 (20) 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단, 브레이커 기구 (4) 는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픈 위치로 이동하는 가동 아암 (12) 을, 수납부 (17) 에 설치된 전자부품 (20) 에 접촉시켜, 브레이커 기구 (4) 가 오픈 상태에 있는 것을 전기기기에 인식시킬 수도 있다. 이 브레이커 기구 (4) 는, 오픈 위치로 이동하는 가동 아암 (12) 이 접촉하도록, 가동 아암 (12) 과 전자 부품 (20) 을 배치하고 있다. 가동 아암 (12) 이 접촉하는 전자 부품 (20) 은, 신호단자 (3C) 와 제1 출력단자 (3A) 사이의 전기저항이 변화하므로, 이 전기저항의 변화를 전기기기로 검출하여, 브레이커 기구 (4) 가 오픈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 (20) 으로서 양단에 접속용 전극 (20A) 을 구비하는 칩 타입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 오픈 위치로 이동하는 가동 아암 (12) 이 신호단자 (3C) 측의 전극 (20A) 에 접촉하면, 신호단자 (3C) 와 제1 출력단자 (3A) 가 가동 아암 (12) 으로 바이패스되어 전기저항이 변화한다. 따라서 이 전기저항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브레이커 기구 (4) 가 오픈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전자부품 (20) 은 저항, 서미스터 등의 온도센서, 콘덴서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자부품을 서미스터 등의 온도 센서로 하는 경우에는, 전자부품은 반드시 양단에 접속용 전극을 구비하는 타입의 것으로 할 필요는 없다. 이것은 오픈 위치로 이동하는 가동 아암이 온도 센서인 전자부품의 표면에 접촉하면, 가동 아암의 열로 가열되어, 온도 센서의 전기저항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전기저항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브레이커 기구가 오픈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도 11 과 도 12 에 나타내는 절연 블록 (11) 은, 브레이커 기구 (4) 의 동작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출구멍 (11n) 을 형성한다. 도면의 검출구멍 (11n) 은 베이스 블록 (11A) 의 저면으로서, 고정 접점 (14) 의 하방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검출구멍 (11n) 은, 베이스 블록 (11A) 에 인서트되는 고정 리드판 (28) 의 하면을, 베이스 블록 (11A) 의 외부로 표출시키는 상태로 개구되어 있다. 이 검출구멍 (11n) 에 온도검출용 로드를 삽입하고, 로드의 선단을 고정 리드판 (28) 의 하면에 접촉시켜, 브레이커 기구 (4) 가 오픈으로 되는 동작온도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검출구멍 (11n) 을 구비하는 절연 블록 (11) 은, 베이스 블록 (11A) 과 커버 블록 (11B) 을 연결 고정한 상태에서도, 브레이커 기구 (4) 의 동작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브레이커 기구 (4) 를 고품질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브레이커 기구 (4) 는, 가동 아암 (12) 으로 온도 변형 금속 (13) 을 가열하거나 가동 아암 (12) 을 온도 변형 금속으로 하여 직접 가열하여 과전류가 흐를 때에, 가동접점 (12A) 을 온에서 오프로 전환한다. 도시하지 않지만 브레이커 기구는 전지와 직렬로 가열 저항을 접속하고, 이 가열저항으로 온도 변형 금속을 가열하여 가동 아암을 전환하는 구조로 하여, 과전류를 검출하여 전류를 차단할 수도 있다.
가동 아암 (12) 은, 탄성 변형할 수 있는 도전성의 금속판에 의해, 고정접점 (14) 과의 대향면인 선단에 가동접점 (12A) 을 고정하고 있다. 가동 아암 (12) 의 후단은, 출력단자 (3) 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 금속 (16) 에 고정되어, 가동 아암 (12) 을 하나의 출력단자인 제1 출력단자 (3A) 에 연결하고 있다. 가동 아암 (12) 의 후단은, 커버 블록 (11B) 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이 외부 돌출부 (12B) 를 출력단자 (3) 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 금속 (16) 에 스폿 용접이나 레이저 용접 등의 용접 구조로 고정하고 있다. 또한 도 8 의 가동 아암 (12) 은 커버 블록 (11B) 과 베이스 블록 (11A)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편 (12C) 을 양측에 돌출시켜 십자형으로 되어 있다. 양측에 돌출되는 고정편 (12C) 은 베이스 블록 (11A) 에 형성되어 있는 끼워넣기 볼록부 (11a) 를 삽입하는 위치결정 구멍 (12a) 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구조의 가동 아암 (12) 은 위치결정 구멍 (12a) 에 끼워넣기 볼록부 (11a) 를 넣고 정위치에 배치된다. 또 이 가동 아암 (12) 은 정확하게 온 오프로 전환되어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특징이 있다. 가동 아암 (12) 이 커버 블록 (11B) 과 베이스 블록 (11A) 사이에 끼워져 확실하게 정확한 자세로 고정되고, 또한 커버 블록 (11B) 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부 돌출부 (12B) 를 고정 금속 (16) 에 용접 등의 구조로 고정하고 있으므로, 외부 돌출부 (12B) 와 고정 금속 (16) 의 연결상태의 편차가 가동 아암 (12) 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외부 돌출부 (12B) 와 고정 금속 (16) 은 커버블록 (11B) 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서 연결되므로, 외부 돌출부 (12B) 와 고정 금속 (16) 의 연결부분을 끼워 넣기 위해, 베이스 블록 (11A) 은 폭방향의 중간에, 연결부분을 끼워 넣기 위한 가이드 오목부 (11i) 를 형성하고 있다. 베이스 블록 (11A) 은, 도 12 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오목부 (11i) 의 하방에, 외부 돌출부 (12B) 를 고정 금속 (16) 에 스폿 용접하여 연결하는 연결용 구멍 (11j) 을 형성하고 있다.
PTC (15) 는 과전류가 흘러, 온에서 오프로 전환된 가동 아암 (12) 을 오프 위치로 유지한다. 가동 아암 (12) 이 오프로 전환되면, 도 14 와 도 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아암 (12) 의 하면이 PTC (15) 의 상면에 접촉한다. 이 상태의 PTC (15) 는, 고정접점 (14) 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 리드판 (28) 과 가동 아암 (12) 을 전기 접속한다. 이 때문에 약한 전류가 PTC (15) 에 흐르고, 이 전류가 PTC (15) 를 가열한다. 가열된 PTC (15) 는 가동 아암 (12) 을 가열하여, 가동 아암 (12) 을 오프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PTC (15) 를 내장하는 브레이커 기구 (4) 는 오프 상태로 전환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면의 절연 블록 (11) 은, 고정 리드판 (28) 을 베이스 블록 (11A) 에 고정하고, 이 고정 리드판 (28) 의 선단에 고정접점 (14) 을 형성한다.
이상의 절연 블록 (11) 은, 커버 블록 (11B) 과 베이스 블록 (11A) 을 이하와 같이 하여 연결하여 조립된다.
(1) PTC (15) 와 온도 변형 금속 (13) 을, 베이스 블록 (11A) 의 수납실 (17) 에 적층하여 설치하고, 온도 변형 금속 (13) 위에 가동 아암 (12) 을 적층한다. 베이스 블록 (11A) 은 수납실 (17) 을 형성하고, 이 수납실 (17) 의 정위치에 PTC (15) 를 설치하기 위해, PTC (15) 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세트 오목부 (11k) 를 형성한다. PTC (15) 는 이 세트 오목부 (11k) 에 넣어져, 정위치에 설치된다. 가동 아암 (12) 은 고정편 (12C) 의 위치결정 구멍 (12a) 을 베이스 블록 (11A) 의 끼워넣기 볼록부 (11a) 에 넣어 정위치에 세트된다.
(2) 베이스 블록 (11A) 위에 커버 블록 (11B) 을 세트한다. 커버 블록 (11B) 은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끼워넣기 오목부 (11b) 에, 베이스 블록 (11A) 의 끼워넣기 볼록부 (11a) 를 넣고, 베이스 블록 (11A) 의 정위치에 세트된다. 이 때 가동 아암 (12) 의 외부 돌출부 (12B) 와 고정 금속 (16) 은 가이드 오목부 (11i) 에 끼워넣어진다.
(3) 커버 블록 (11B) 을 베이스 블록 (11A) 에 초음파 용착하여 고정한다.
(4) 그 후, 베이스 블록 (11A) 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용 구멍 (11j) 에 스폿 용접용 전극을 삽입하고, 스폿 용접용의 전극에 의해 가동 아암 (12) 의 외부 돌출부 (12B) 와 고정 금속 (16) 을 부착하여 용접 전류를 흘려보내 연결한다.
이상의 절연 블록 (11) 은, 고정 리드판 (28) 과 인출 리드판 (29) 을 통해 전지 (2) 에 연결되어 전지 (2) 의 코어팩 (10) 이 된다. 이 코어팩 (10) 은, 금형 (30) 의 성형실 (31) 에 임시 고정할 때에, 고정 리드판 (28) 과 인출 리드판 (29) 을 변형시키고, 치수 흡수 간극 (6) 을 조정하여, 출력단자 (3) 와 전지 (2) 의 상대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한다. 고정 리드판 (28) 과 인출 리드판 (29) 의 변형량으로, 전지 (2) 의 치수 오차를 수정하면서 출력단자 (3) 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한다. 전지 (2) 는 제조공정에서 길이에 치수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전지 (2) 의 길이방향의 치수 오차는, 절연 블록 (11) 과 전지 단면의 치수 흡수 간극 (6) 을 변화시켜 흡수한다. 규격 치수보다도 긴 전지 (2) 를 내장하는 팩전지는, 절연 블록 (11) 을 전지 단면에 접근시켜 치수 흡수 간극 (6) 을 작게 한다. 규격 치수보다도 짧은 전지 (2) 를 내장하는 팩전지는 치수 흡수 간극 (6) 을 크게 한다.
이상의 구조의 코어 팩 (10) 은, 절연 블록 (11) 의 출력단자 (3) 를 이하에 기술하는 가동 핀으로 금형 (30) 의 기준면에 가압하여 정위치에 유지된다.
도 22 내지 도 26 은 절연 블록을 금형의 기준면에 가압하는 가동 핀을 갖는 금형을 나타낸다. 이들 금형 (30) 은 성형실 (31) 에 가동 핀 (33) 을 돌출시키고, 절연 블록 (11) 의 출력단자 (3) 를 성형실 (31) 의 기준면 (32) 에 가압한다. 가동 핀 (33) 은 절연 블록 (11) 에 설치되어 있는 끼워붙임부 (도시생략) 인 오목부로 안내되고, 절연 블록 (11) 을 정확한 위치에 임시 고정한다. 가동 핀 (33) 이 절연 블록 (11) 을 성형실 (31) 의 정위치에 유지하는 상태에서, 성형실 (31) 에 용융 수지의 주입을 개시하여, 수지 성형부 (1) 를 성형한다.
도 22 의 금형 (30) 의 가동 핀 (33) 은, 성형실 (31) 의 내부에, 절연 블록 (11) 의 양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직선운동 핀 (33A) 이다. 이 직선운동 핀 (33A) 은 절연 블록 (11) 의 끼워붙임부 (도시생략) 에 안내되어 그 선단을 경사면 (34) 으로 하고, 경사면 (34) 에서 절연 블록 (11) 을 금형 (30) 의 기준면 (32) 에 가압한다. 경사면 (34) 은, 직선운동 핀 (33A) 을 절연 블록 (11) 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절연 블록 (11) 의 표면을 금형 (30) 의 기준면 (32) 에 가압할 수 있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절연 블록 (11) 은 출력단자 (3) 를 금형 (30) 의 기준면 (32) 에 가압하여, 정위치에 임시 고정된다. 표면을 기준면 (32) 에 가압하기 위해, 직선운동 핀 (30A) 의 경사면 (34) 은, 절연 블록 (11) 의 이면, 정확하게는 절연 블록 (11) 의 이면과 측면의 코너를 가압한다. 경사면 (34) 으로 가압되는 절연 블록 (11) 은,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수직분력으로 기준면 (32) 에 가압된다. 즉 직선운동 핀 (33A) 이 성형실 (31) 로 밀려 나오면, 절연 블록 (11) 에 형성되어 있는 끼워붙임부의 코너가 경사면 (34) 을 슬라이딩하여, 출력단자 (3) 를 금형 (30) 의 기준면 (32) 에 가압한다. 직선운동 핀 (33A) 의 경사면 (34) 은, 도면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가장 두꺼운 절연 블록으로부터, 도면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가장 얇은 절연 블록까지 가압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직선운동 핀 (33A) 은 절연 블록 (11) 을, 양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출력단자 (3) 를 기준면 (32) 에 가압한다. 직선운동 핀 (33A) 은, 바람직하게는 상하에 복수개를 설치하고, 절연 블록 (11) 의 복수 지점을 상하 양측으로부터 가압한다. 이와 같이 복수 지점이 직선운동 핀 (33A) 으로 가압되는 절연 블록 (11) 은 보다 확실하게 기준면 (32) 에 가압되어 정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직선운동 핀 (33A) 은, 탄성적으로 절연 블록 (11) 을 가압하기 위해, 외부에서 탄성체 (도시생략) 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직선운동 핀 (33A) 은 코어팩 (10) 을 성형실 (31) 에 세트할 때에 후퇴한다. 직선운동 핀 (33A) 이 코어팩 (10) 의 세트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직선운동 핀 (33A) 을 후퇴시키기 위해, 직선운동 핀 (33A) 은 탄성체를 통해, 금형 (30) 의 외부에서 실린더나 후퇴기구 등 (도시생략) 에 연결된다. 실린더 (도시생략) 는 공기 실린더로서 직선운동 핀 (33A) 을 탄성적으로 밀어 낼 수 있다.
도 23 의 가동 핀 (33) 도, 절연 블록 (11) 을 향하여 성형실 (31) 에 돌출되는 직선운동 핀 (33A) 이다. 이 직선운동 핀 (33A) 은 절연 블록 (11) 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성형실 (31) 에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출력단자 (3) 가 기준면 (32) 에 맞닿도록 절연 블록 (11) 을 이면으로부터 가압한다. 이 직선운동 핀 (33A) 은, 절연 블록 (11) 의 이면을 가압하는 면에, 선단 가장자리가 직선운동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산형(山形) 볼록조(凸條) (35) 를 형성하고 있다. 이 산형 볼록조 (35) 가 절연 블록 (11) 의 이면을 가압하고, 절연 블록 (11) 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출력단자 (3) 를 기준면 (32) 에 유지한다. 이 직선운동 핀 (33A) 은, 절연 블록 (11) 의 이면을 따라, 이면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산형 볼록조 (35) 로 절연 블록 (11) 의 이면을 가압한다. 산형 볼록조 (35) 는, 도면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가장 두꺼운 절연 블록부터 도면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가장 얇은 절연 블록까지 이면을 가압한다. 산형 볼록조 (35) 는, 성형실 (31) 의 동일 위치에 돌출되어, 얇은 절연 블록부터 두꺼운 절연 블록까지 가압하는데, 두꺼운 절연 블록은 깊이 파 들어가 기준면 (32) 을 향하여 가압하고, 얇은 절연 블록은 얕게 파 들어가 기준면 (32) 을 향하여 가압한다. 즉 산형 볼록조 (35) 는, 절연 블록 (11) 의 이면에 파 들어가 기준면 (32) 을 향하여 가압하는데, 두꺼운 절연 블록과 얇은 절연 블록에서는 파 들어가는 깊이가 다르다. 이 구조의 가동 핀 (33) 은 간단한 구조로, 산형 볼록조 (35) 를 절연 블록 (11) 의 이면에 파 들어가게 하여, 표면의 출력단자 (3) 를 기준면 (32) 에 확실히 눌러 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 직선운동 핀 (33A) 도, 바람직하게는 상하에 복수개를 설치하여, 절연 블록 (11) 복수 지점을 상하 양측으로부터 가압하여, 출력단자 (3) 를 보다 확실하게 기준면 (32) 에 가압하여 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 직선운동 핀 (33A) 도 경사면이 있는 직선운동 핀과 동일한 기구로, 코어팩 (10) 을 성형실 (31) 에 세트할 때 후퇴시킨다. 코어팩 (10) 을 세트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도 24 의 가동 핀 (33) 은 성형실 (31) 의 내면에 돌출되어, 절연 블록 (11) 의 이면을 기준면 (32) 을 향하여 누르는 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 핀 (33B) 이다. 이 회전구동 핀 (33B) 은 절연 블록 (11) 의 이면을 가압하고, 절연 블록 (11) 의 표면의 출력단자 (3) 를 기준면 (32) 에 가압하여 정위치에 유지한다. 회전구동 핀 (33B) 은 금형 (30) 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 (36) 과, 이 회전축 (36) 을 중심으로부터 밖으로 향하여 신장되도록 고정하고 있는 누름 핀 (37) 을 구비한다. 또한 회전구동 핀 (33B) 은, 금형 (30) 의 외측으로부터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금형 (30) 의 외측에 구동 아암 (38) 을 돌출시키고 있다. 구동 아암 (38) 은 일단을 회전축 (36) 에 연결하고, 타단을 실린더 (39) 등에 연결하고 있다. 회전축 (36) 은 회전할 수 있으나 성형실 (31) 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금형 (30) 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 (36) 과 성형실 (31) 내면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면, 주입되는 용융 수지가 이 간극에 침입하여 버(burr)가 되기 때문이다. 이 회전구동 핀 (33B) 은, 실린더 (39) 에 회전구동되어, 누름 핀 (37) 에 절연 블록 (11) 의 이면을 가압한다. 이 회전구동 핀 (33B) 도, 코어팩 (10) 을 성형실 (31) 에 세트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누름 핀 (37) 을 성형실 (31) 의 내면을 향하여 회전구동시킨다. 코어팩 (10) 을 성형실 (31) 에 세트한 후, 실린더 (39) 로 회전구동 핀 (33B) 을 회전구동하여, 누름 핀 (37) 으로 절연 블록 (11) 의 이면을 가압하고, 절연 블록 (11) 의 표면을 기준면 (32) 에 가압하여 절연 블록 (11) 을 정위치에 유지한다.
또한 도 25 와 도 26 의 가동 핀 (33) 은, 절연 블록 (11) 의 이면을 가압하는 캠 면 (42) 을 선단부에 갖는 캠 핀 (33C) 이다. 이 캠 핀 (33C) 은 성형실 (31) 의 내면에 돌출됨과 동시에, 성형실 (31) 에 돌출된 상태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캠 면 (42) 으로 절연 블록 (11) 의 표면을 기준면 (32) 에 가압한다. 도면의 캠 핀 (33C) 은, 선단부를 축방향으로 절결하여 절연 블록 (11) 의 이면에 삽입하는 삽입 볼록부 (41) 를 형성하고 있고, 이 삽입 볼록부 (41) 의 절연 블록 (11) 과 대향하는 면을 캠 면 (42) 으로 하고 있다. 캠 면 (42) 은, 캠 핀 (33C) 을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절연 블록 (11) 의 표면을 기준면 (32) 에 가압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도 26 에 나타내는 삽입 볼록부 (41) 는, 단면형상을 반원형으로 하고 캠 면 (42) 을 평면으로 하고 있다. 단, 삽입 볼록부 (41) 는, 반드시 반원형상으로 할 필요는 없고, 절연 블록 (11) 의 이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캠 면 (42) 으로 절연 블록 (11) 을 금형 (30) 의 기준면 (32) 에 가압할 수 있는 모든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삽입 볼록부는 캠 면을 곡면으로 하여 절연 블록의 이면을 원활하게 가압할 수 있다.
캠 핀 (33C) 인 가동 핀 (33) 은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블록 (11) 의 양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성형실 (31) 에 돌출되고, 삽입 볼록부 (41) 가 절연 블록 (11) 의 이면에 삽입된다. 또한 캠 핀 (33C) 은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볼록부 (41) 를 절연 블록 (11) 의 이면에 위치시키는 상태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캠 면 (42) 으로 절연 블록 (11) 의 이면을 가압한다. 절연 블록 (11) 의 이면이 가압되면, 표면의 출력단자 (3) 가 금형 (30) 의 기준면 (32) 에 가압되어, 정위치에 임시 고정된다. 이 구조의 캠 핀 (33C) 은 회전함으로써, 두꺼운 절연 블록부터 얇은 절연 블록까지 기준면 (32) 을 향하여 가압하는데, 두꺼운 절연 블록과 얇은 절연 블록에서는 회전하는 각도가 다르다. 즉, 캠 핀 (33C) 은 두꺼운 절연 블록에서는 작게 회전하여 기준면 (32) 을 향하여 가압하고, 얇은 절연 블록에서는 크게 회전하여 기준면 (32) 을 향하여 가압한다. 따라서 캠 면 (42) 은 가장 두꺼운 절연 블록부터 가장 얇은 절연 블록까지 가압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캠 핀 (33C) 도, 바람직하게는 상하에 복수개를 설치하여, 절연 블록 (11) 의 이면의 복수 지점을 캠 면 (42) 으로 가압한다. 도 25 와 도 26 에 나타내는 금형 (30) 은, 상하에 각 2개의 캠 핀 (33C) 을 설치하고 있고, 절연 블록 (11) 이면의 4 지점을 가압하고 있다. 복수의 캠 핀 (33C) 은, 함께 회전하여 캠 면 (42) 으로 절연 블록 (11) 의 이면을 동시에 가압한다. 이 때, 절연 블록 (11) 의 양단부, 도 26 에서 좌우에 위치하는 캠 핀 (33C) 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절연 블록 (11) 이 좌우의 일 방향으로 강하게 가압되어, 좌우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절연 블록 (11) 의 이면의 복수 지점이 동시에 가압되는 절연 블록 (11) 은, 보다 확실하게 기준면 (32) 에 가압되어 정위치에 유지된다. 이 캠 핀 (33C) 도, 전술한 직선운동 핀 (33A) 과 동일한 기구로서, 코어팩 (10) 을 성형실 (31) 에 세트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후퇴시킨다.
코어팩은, 도시하지 않지만 절연 블록과 전지 사이에 위치결정 홀더를 배치할 수도 있다. 위치결정 홀더는, 수지 성형부보다도 단단한 플라스틱을 성형하여 제작된다. 이 위치결정 홀더는, 예컨대 절연 블록을 끼워붙여 정위치에 설치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또한 위치결정 홀더는 위치결정 끼워붙임부를 설치하여, 이 위치결정 끼워붙임부를 외부로 표출되도록 하여 수지 성형부에 인서트할 수 있다. 이 구조의 팩전지는, 경질 플라스틱의 위치결정 홀더로 위치결정 끼워붙임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치결정 끼워붙임부를 확실한 구조로 하여, 팩전지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하여 전기기기에 장착할 수 있다. 위치결정 끼워붙임부는 오목부로 하고, 여기에 전기기기에 형성되어 있는 끼워붙임 볼록부를 넣어 팩전지를 정위치에 위치결정된 자세로 장착할 수 있다. 위치결정 끼워붙임부는 볼록부로 할 수도 있다. 볼록부의 위치결정 끼워붙임부는 전기기기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에 끼워 넣어진다.
단 코어팩 (10) 의 절연 블록 (11) 을 수지 성형부 (1) 에 인서트하여 고정하는 팩전지는, 수지 성형부 (1) 로 절연 블록 (11) 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므로, 도 4 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 홀더가 없는 구조로서 매우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수지 성형부 (1) 를 성형하는 금형 (30) 은, 전지 (2) 와 절연 블록 (11) 을 정확한 위치에 임시 고정하는 성형실 (31) 을 갖는다. 코어팩 (10) 은 성형실 (31) 에 임시고정된다. 성형실 (31) 에 임시고정된 코어팩 (10) 은, 가동 핀 (33) 이 절연 블록 (11) 을 가압하여, 절연 블록 (11) 표면의 출력단자 (3) 를 기준면 (32) 에 가압하는 상태에서 성형실 (31) 의 정확한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성형실 (31) 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절연 블록 (11) 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한다.
전지 (2) 는 리튬 이온 전지, 니켈-수소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등의 충전할 수 있는 이차전지 (2) 이다. 도면의 전지 (2) 는 박형 전지이고, 외장 용기 (2A) 의 양측을 만곡면으로 하여, 외장 용기 (2A) 의 네 모서리의 코너부를 등굴게 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박형 전지에 리튬 이온 전지를 사용하면, 팩 전지 전체의 용량에 대한 충전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 전지 (2)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 전극 (2B) 을 형성하고 있는 전극 단면의 평면부 (2C) 에 안전 밸브 (25) 를 설치하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전지 (2) 는, 평면부 (2C) 의 중앙부분에 볼록부 전극 (2B) 을 형성하고, 일단부에 안전 밸브 (25) 를 설치하고 있다. 전지는 볼록부 전극에 안전 밸브를 내장시킬 수도 있다. 안전 밸브 (25) 는 전지 (2) 의 내압이 설정압력보다도 높아질 때에 개방된다. 개방된 안전 밸브 (25) 는 내부의 가스 등을 배출하여, 외장 용기 (2A) 의 내압 상승을 정지시킨다.
코어팩 (10)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전 밸브 (25) 의 개구부에 보호시트 (26) 를 고정하고 있다. 보호 시트 (26) 는 양면 접착 테이프 (27) 를 통해 전지 단면의 평면부 (2C) 에 접착된다. 보호 시트 (26) 는, 도시하지 않지만, 평면부 (2C) 의 외주보다도 약간 작게 한다. 보호 시트 (26) 는, 수지 성형부 (1) 를 성형할 때에 안전 밸브 (25) 가 사출압에 의해 악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보호 시트 (26) 를 전지 단면의 평면부 (2C) 에 접착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 (27) 는, 바람직하게는 접착 부분에서의 요철을 흡수할 수 있는 충분한 두께의 것을 사용한다. 이 양면 접착 테이프 (27) 는, 전지 단면에 밀착되어 보호 시트 (26) 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전밸브 (25) 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수지 성형부 (1) 는 안전 밸브 (25) 가 개방될 때에, 안전 밸브 (25) 의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로 (8) 를 성형하여 설치되어 있다. 배기로 (8) 는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전 밸브 (25) 의 개구부를 수지 성형부 (1) 의 외부에 연결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 구조의 팩전지는 안전 밸브 (25) 가 개방될 때, 가스를 원할하게 외부로 배기한다. 안전 밸브 (25) 가 개방될 때, 보호 시트 (26) 는 박리되거나 가스를 투과시켜 배기한다.
절연 블록 (11) 과 전지 (2) 는, 수지 성형부 (1) 와의 접착면에 플라이머층을 형성하여 수지 성형부 (1) 에 튼튼하게 접착된다. 플라이머층은 수지 성형부 (1) 를 성형할 때에 수지 성형부 (1) 를 강력하게 접착한다. 특히 금속 케이스의 전지 표면에 수지 성형부 (1) 를 강력하게 접착한다. 또한 플라이머층은 절연 블록 (11) 에 도포하고, 여기에 수지 성형부 (1) 를 확실히 접착할 수도 있다. 플라이머층은 수지 성형부 (1) 를 접착하는 면에 도포하여 형성된다. 도면의 팩전지는 전지 단면에 수지 성형부 (1) 를 접착하고 있으므로, 전지 단면에 플라이머층을 형성한다. 또한 절연 블록 (11) 에도 수지 성형부 (1) 를 접착하고 있으므로, 이들 표면에도 플라이머층을 형성한다. 플라이머층은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액상으로 되어 있는 플라이머액을 안개형상으로 스프레이하거나 혹은 이것을 브러시로 도포하거나 코어팩 (10) 을 플라이머액에 침지하여 도포할 수 있다. 플라이머층은 코어팩 (10) 의 상태에서 필요한 부분에 형성되거나 코어팩 (10) 으로 조립하기 전인 전지 (2) 의 표면에, 또한 절연 블록 (11) 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절연 블록 (11) 의 표면에 형성하는 플라이머층은, 출력단자 (3) 등의 전기 접점을 제외한 부분에 도포된다. 플라이머층이 전기 접점의 접촉불량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플라이머층은 박막에서 충분한 효과가 있으므로, 그 막두께를 약 1m 로 한다. 단, 플라이머층은 막두께를 0.5∼5m 으로 할 수도 있다. 이 플라이머층은 수지 성형부 (1) 를 강력하게 접착하는 작용에 더하여, 전지 표면을 보호하는 작용도 하므로, 막두께를 두껍게 하여 보호작용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수지 성형부 (1) 는 폴리아미드 수지로 성형하여, 플라이머층을 에폭시수지계의 플라이머로 할 수 있다. 수지 성형부 (1) 의 폴리아미드 수지는, 수지 내에 있는 산-아미드 결합에 플라이머층의 에폭시기를 도입하여 플라이머층에 화학결합된다. 이 때문에 수지 성형부 (1) 는 보다 강력하게 플라이머층에 접착된다. 플라이머층을 성형하는 플라이머는, 에폭시수지 대신에 혹은 에폭시 수지에 추가하여 변성 에폭시 수지계 플라이머, 페놀 수지계 플라이머, 변성 페놀 수지계 플라이머, 폴리비닐 부티랄계 플라이머, 폴리비닐포르말계 플라이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플라이머는 복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플라이머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수지 성형부 (1) 에 화학결합함과 동시에, 금속 표면에 수소결합 혹은 화학결합하여 수지 성형부 (1) 를 전지 표면에 강력하게 접착한다.
수지 성형부 (1) 를 성형하는 합성 수지는 폴리아미드 수지이다. 폴리아미드 수지에는 에폭시 수지를 첨가할 수도 있다. 에폭시수지를 첨가한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수지만인 것에 비교하여 접착력을 강하게 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연화온도가 낮고, 게다가 용융시의 점도도 낮으므로, 다른 열가소성 합성 수지에 비교하여 저온, 저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 금형 (30) 의 성형실 (31) 로부터 신속하게 탈형시킬 수 있는 특징도 있다. 저온, 저압으로 성형되는 수지 성형부 (1) 는, 성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지성형시에 절연 블록 (11) 등이 열이나 사출압력에 의해 악영향을 받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단, 본 발명의 팩전지는 수지 성형부 (1) 를 성형하는 수지를 폴리아미드수지로는 특정하지 않는다. 폴리아미드수지 이외의 수지, 예컨대 폴리우레탄 수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성형부 (1) 에 인서트되는 절연 블록 (11) 등의 내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면, 폴리에틸렌,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의 팩전지는, 도 2, 도 3 및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단면부터 전지 (2) 의 외주 표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랩 박육부 (18) 를 갖는다. 이 랩 박육부 (18) 는 수지 성형부 (1) 에 일체적으로 성형됨과 동시에, 수지 성형부 (1) 를 성형할 때에 전지 (2) 의 외주 표면에 접착된다. 금형 (30) 의 성형실 (31) 에 주입되는 용융 수지는, 전지 단면부터 랩 박육부 (18) 를 성형하는 부분까지 주입되어, 랩 박육부 (18) 를 수지 성형부 (1) 에 일체적으로 성형한다. 랩 박육부 (18) 는, 바람직하게는 전지 (2) 의 외주 표면의 전체 둘레에 형성된다. 이 수지 성형부 (1) 는 외주 표면의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랩 박육부 (18) 에서 가장 박리되지 않도록 전지 (2) 에 연결된다. 단, 랩 박육부는 박형 전지의 폭넓은 면의 외주 표면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랩 박육부 (18) 는 두꺼우면 팩전지의 외형을 크게 하고, 얇으면 충분한 강도로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랩 박육부 (18)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0.3㎜,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2㎜ 로 한다. 이 두께의 랩 박육부 (18) 는, 박형 전지를 내장하는 팩전지 전체의 두께를 실질적으로는 거의 두껍게 하지 않는다. 이것은 박형 전지 사용시의 「팽창량」에 흡수되기 때문이다. 박형 전지는 내압이 상승될 때에, 중앙부가 약간은 팽창되어 두꺼워지는 성질이 있다. 전술한 두께의 랩 박육부 (18) 는 박형 전지의 「팽창량」보다도 작다. 또한 랩 박육부 (18) 는, 전지 단면으로부터 외주 표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나, 이 부분이 팽창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박형 전지의 중앙이 내압 상승으로 팽창될 때, 랩 박육부 (18) 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의 팩전지의 두께는 팽창된 중앙부분보다도 얇아진다. 따라서 랩 박육부 (18) 를 형성함으로써, 박형 전지를 내장하는 팩전지 전체 두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는 일은 없다.
랩 박육부 (18) 의 폭 (W1) 은 넓게 하여 전지 (2) 와의 결합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랩 박육부 (18) 는 폭을 매우 좁게 해도, 수지 성형부 (1) 를 확실하게 전지 단면에 접착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을 표면 피복 시트 (7) 로 커버하고 있는 팩전지는, 표면 피복 시트 (7) 로 랩 박육부 (18) 를 전지 표면에 가압하여 박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랩 박육부 (18) 의 폭 (W1) 을 좁게, 0.1∼2㎜, 바람직하게는 0.2∼1㎜, 예컨대 0.5㎜ 로 좁게 하여 수지 성형부 (1) 를 확실하게 전지 (2) 에 연결할 수 있다. 폭이 좁은 랩 박육부 (18) 는 용융상태의 합성 수지를 확실하게 주입하여 규정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표면 피복 시트 (7) 는 가열하여 수축할 수 있는 열수축 튜브이다. 이 표면 피복 시트 (7) 는, 수지 성형부 (1) 의 랩 박육부 (18) 의 표면에 밀착되어, 수지 성형부 (1) 를 전지 (2) 에 확실하게 연결한다. 또한 표면 피복 시트 (7) 로 피복되어 있는 팩전지는, 랩 박육부 (18) 와 전지 (2) 사이에 박리되는 것이 침입하는 경우가 없으며, 이와 같은 점에 의해서도 랩 박육부 (18) 의 박리를 저지할 수 있다. 단, 표면 피복 시트 (7) 는 라벨이나 점착 테이프로 할 수도 있다. 라벨이나 점착 테이프인 표면 피복 시트 (7) 는, 수지 성형부 (1) 와 랩 박육부의 표면 내지 전지 (2) 의 표면에 부착하여, 수지 성형부 (1) 를 전지 (2) 에 확실히 연결한다.
도 3 과 도 27 의 팩전지는, 수지 성형부 (1) 의 외주에 단차 (19) 를 형성하고, 낮게 성형되어 있는 부분을 표면 피복 시트 (7) 로 피복하고 있다. 이 수지 성형부 (1) 는, 표면 피복 시트 (7) 가 수지 성형부 (1) 로부터 돌출되지 않아, 수지 성형부 (1) 와 표면 피복 시트 (7) 의 표면을 거의 동일 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2 와 도 27 에 나타내는 팩전지는, 수지 성형부 (1) 를 성형하고 있는 것과 반대측의 전지 단면, 도면에서 전지 (2) 의 저면을 플라스틱 성형체 (21) 로 커버하고 있다. 이 플라스틱 성형체 (21) 는, 수지 성형부 (1) 보다도 경질인 플라스틱으로 성형하고 있다. 이 플라스틱 성형체 (21) 는, 전지 단면의 전면을 피복하는 저부 (22) 와, 전지 단면부터 전지 (2) 의 외주 표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제2 랩 박육부 (23) 를 일체적으로 성형하고 있다. 저부 (220 는, 랩 박육부 (23) 보다도 두껍게 성형함과 동시에, 팩전지를 전기기기로부터 탈착할 때에 사용자가 손톱 끝을 넣는 훅 오목부 (24) 를 형성한다.
이상의 팩전지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된다.
(1) 인출 리드판 (29) 의 선단부를 볼록부 전극 (2B) 에 인접하는 전극 단면의 평면부 (2C) 에 스폿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한다. 그 후,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 리드판 (29) 을 U 자로 구부려, 절연 블록 (11) 을 전극 단면에 대향하는 자세, 바꿔말하면 전극 단면과 평행한 자세로 접근시킨다.
(2) 절연 블록 (11) 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 리드판 (28) 의 연결부 (28A) 를 전지 (2) 의 볼록부 전극 (2B) 에 스폿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여, 절연 블록 (11) 과 전지 (2) 에 연결하여 코어팩 (10) 을 제작한다. 바닥에 플라스틱 성형체 (21) 를 연결하는 코어팩 (10) 은 플라스틱 성형체 (21) 를 접착하여 고정한다.
(3) 코어팩 (10) 을 금형 (30) 의 성형실 (31) 에 세트한다. 이 때 코어팩 (10) 은 가동 핀 (33) 이 절연 블록 (11) 을 눌러, 절연 블록 (11) 의 표면의 출력단자 (3) 를 기준면 (32) 에 가압한다. 가동 핀 (33) 으로 금형 (30) 의 기준면 (32) 에 가압되는 절연 블록 (11) 은 성형실 (31) 의 정확한 위치에 임시 고정하여 유지된다. 성형실 (31) 에 코어팩 (10) 을 세트한 후, 금형 (30) 을 닫는다. 닫힌 금형 (30) 은 수지 성형부 (1) 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실 (31) 이 형성된다.
(4) 성형실 (31) 에, 가열된 용융 수지의 주입을 개시하고, 성형실 (31) 에 용융 수지를 채워 수지 성형부 (1) 를 성형한다. 용융 수지는 금형 (30) 에 개구된 액 주입구멍으로부터 주입된다.
용융 수지의 주입 공정에서는 가동 핀 (33) 은 절연 블록 (11) 을 기준면 (32) 에 가압하는 상태에서 주입을 개시하여, 최후까지 용융 수지를 주입할 수도 있으나, 가동 핀 (33) 이 절연 블록 (11) 을 기준면 (32) 에 가압하는 상태에서 용융 수지의 주입을 개시하여, 용융 수지의 주입이 완료되기 전에, 절연 블록 (11) 을 가압하지 않는 위치까지 가동 핀 (33) 을 후퇴시킬 수도 있다. 수지 성형부 (1) 의 주입이 개시되어, 성형실 (31) 에 용융 수지가 주입되면, 주입된 용융 수지로 절연 블록 (11) 은 정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그 후는 가동 핀 (33) 이 절연 블록 (11) 을 기준면 (32) 에 가압하는 가압 상태를 해제하고,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절연 블록 (11) 과 제2 출력단자 (3) 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면서 용융 수지의 주입을 완료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성형하면, 가동 핀 (33) 이 절연 블록 (11) 을 가압하는 위치에 없으므로, 가동 핀 (33) 의 자국인 오목부가 수지 성형부 (1) 에 생기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5) 수지 성형부 (1) 를 경화시킨 후, 금형 (30) 을 열어 수지 성형부 (1) 에 코어팩 (10) 의 일부를 인서트 성형하고 있는 팩전지를 꺼낸다.
(6) 그 후, 열수축 튜브인 통형의 표면 피복 시트 (7) 에 팩전지를 넣고,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여 팩전지의 표면에 밀착시킨다. 표면 피복 시트 (7) 는, 수지 성형부 (1) 와 플라스틱 성형체에 확실히 밀착되어, 수지 성형부 (1) 와 플라스틱 성형체 (21) 를 확실히 전지 (2) 에 연결한다.
본 발명의 팩전지는 간단한 구조로 출력단자를 수지 성형부의 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저가로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팩전지가 전지의 일부 내지 전체를 인서트하여 성형되는 수지 성형부에, 브레이커 기구를 내장하는 절연 블록을 인서트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이 절연 블록의 표면에 출력단자를 고정하고, 절연 블록에 고정되어 있는 출력단자를 수지 성형부의 외부로 표출하여 정위치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구조의 팩전지는 브레이커 기구를 내장하는 절연 블록과 전지를 수지 성형부에 인서트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에 추가하여, 출력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단자기판 등을 인서트할 필요가 없이, 매우 간단한 구조로 출력단자를 확실히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브레이커 기구와 출력단자를 직렬로 접속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브레이커 기구와 출력단자의 접속을 매우 짧고, 게다가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팩전지의 내부저항을 작게 하여 쓸모없는 전력소비를 적게 하면서 대전류로 방전할 수 있는 우수한 전기특성도 실현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팩전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팩전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팩전지의 수지 성형부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나타내는 팩전지의 코어팩을 금형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내는 코어팩과 금형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4 에 나타내는 코어팩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절연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나타내는 절연 블록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7 에 나타내는 절연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절연 블록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7 에 나타내는 절연 블록의 저면도이다.
도 12 는 도 10 에 나타내는 절연 블록의 브레이커 기구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1 에 나타내는 절연 블록의 B-B 선 단면도로, 브레이커 기구의 온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에 나타내는 브레이커 기구의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5 는 도 12 에 나타내는 절연 블록의 출력단자와 전자부품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6 은 출력단자와 전자부품의 접속구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7 은 출력단자와 전자부품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 은 도 2 에 나타내는 팩전지의 출력단자부분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19 는 브레이커 기구의 다른 일례로 브레이커 기구의 온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20 은 도 18 에 나타내는 브레이커 기구의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21 은 브레이커 기구의 다른 일례로 브레이커 기구의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22 는 수지 성형부를 성형하는 금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 은 수지 성형부를 성형하는 금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 는 수지 성형부를 성형하는 금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 는 수지 성형부를 성형하는 금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 은 도 25 에 나타내는 금형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27 은 도 2 에 나타내는 팩전지의 수직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수지성형부 2 : 전지
2A : 외장 용기 2B : 볼록부 전극
2C : 평면부 3 : 출력단자
3A : 제1 출력단자 3B : 제2 출력단자
3C : 신호단자 3a : 절결부
4 : 브레이커 기구 6 : 치수 흡수 간극
7 : 표면 피복 시트 8 : 배기로
9 : 위치결정 오목부 10 : 코어팩
11 : 절연 블록 11A : 베이스 블록
11B : 커버 블록 11a : 끼워넣기 볼록부
11b : 끼워넣기 오목부 11c : 폭조정 볼록부
11d : 매설 오목부 11e : 절제부
11f : 보강 돌출부 11g : 연결 개구
11h : 삽입 오목부 11i : 가이드 오목부
11j : 연결용 구멍 11k : 세트 오목부
11m : 스토퍼 11n : 검출 구멍
12 : 가동 아암 12A : 가동 접점
12B : 외부 돌출부 12C : 고정편
12a : 위치 결정 구멍 13 : 온도 변형 금속
14 : 고정 접점 15 : PTC
16 : 고정 금속 17 : 수납부
18 : 랩 박육부 19 : 단차
20 : 전자부품 20A : 전극
21 : 플라스틱 성형체 22 : 저부
23 : 제2 랩 박육부 24 : 훅 오목부
25 : 안전 밸브 26 : 보호 시트
27 : 양면 접착 테이프 28 : 고정 리드판
28A : 연결부 28B : 접촉 볼록부
29 : 인출 리드판 29A : 절곡부
30 : 금형 31 : 성형실
32 : 기준면 33 : 가동 핀
33A : 직선운동 핀 33B : 회전구동 핀
33C : 캠 핀 34 : 경사면
35 : 산형 볼록조 36 : 회전축
37 : 누름 핀 38 : 구동 아암
39 : 실린더 41 : 삽입 볼록부
42 : 캠 면 43 : 절연부
44 : 땜납 90 : 코어팩
91 : 회로기판 92 : 전지
93 : 금형 94 : 성형실

Claims (14)

  1. 전지 (2) 의 일부 내지 전체를 수지 성형부 (1) 에 인서트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출력단자 (3) 를 외부로 표출하도록 설치한 팩전지로서,
    과전류가 흐르면 전류를 차단하는 브레이커 기구 (4) 를 내장하는 절연 블록 (11) 을 수지 성형부 (1) 에 인서트하여 고정하고 있고, 이 절연 블록 (11) 은, 표면에 출력단자 (3) 를 고정하고 있고, 절연 블록 (11) 에 고정되어 있는 출력단자 (3) 를 수지 성형부 (1) 의 외부로 표출하여 정위치에 고정하고 있는 팩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절연 블록 (11) 이 플라스틱으로 따로따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 블록 (11A) 과,
    이 베이스 블록 (11A) 에 고정되어 있는 커버 블록 (11B) 을 구비하는 팩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커버 블록 (11B) 의 표면에 출력단자 (3) 를 고정한 팩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절연 블록 (11) 이 플라스틱으로 따로따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 블록 (11A) 과,
    이 베이스 블록 (11A) 에 고정되어 있는 커버 블록 (11B) 을 구비함과 동시에, 커버 블록 (11B) 과 베이스 블록 (11A) 사이에 수납실 (17) 을 형성하고, 이 수납실 (17) 에 브레이커 기구 (4) 를 내장하고 있고,
    수납실 (17) 에 내장된 브레이커 기구 (4) 는 가동 아암 (12) 을 구비하고 있고, 이 가동 아암 (12) 은 커버 블록 (11B) 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 돌출부 (12B) 를 출력단자 (3) 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 금속 (16) 에 고정한 팩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절연 블록 (11) 이 표면에 매설 오목부 (11d) 를 설치하고 있고, 수지 성형부 (1) 를 성형하는 합성 수지를 매설 오목부 (11d) 에 충전하여, 절연 블록 (11) 을 수지 성형부 (1) 에 인서트하여 이루어지는 팩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전지 (2) 의 볼록부 전극 (2B) 에 연결되는 고정 리드판 (28) 을 절연 블록 (11) 에 설치하고 있고, 절연 블록 (11) 은 이 고정 리드판 (28) 의 연결부 (28A) 의 상방을 개구하여 연결 개구 (11g) 를 형성한 팩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전지 (2) 의 전극에 고정되는 인출 리드판 (29) 을 절연 블록 (11) 에 고정함과 동시에,
    이 인출 리드판 (29) 은 절연 블록 (11) 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의 선단부를 전지 (2) 의 전극에 연결하고 있고,
    전극에 연결된 인출 리드판 (29) 은, 전극 단면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 (29A) 를 선단에 형성하고 있고,
    또한 이 인출 리드판 (29) 이 U자로 구부러지고, 절연 블록 (11) 은 인출 리드판 (29) 을 고정하고 있는 전극면과 대향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이 절연 블록 (11) 은 인출 리드판 (29) 의 절곡부 (29A) 를 끼워 넣는 삽입 오목부 (11h) 를 갖고, 절곡부 (29A) 를 삽입 오목부 (11h) 에 넣어, 절연 블록 (11) 을 전극 단면의 정위치에 설치하고 있는 팩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절연 블록 (11) 을 납땜하는 온도에서 변형되지 않는 고융점 플라스틱으로 성형한 팩전지.
  9. 제 2 항에 있어서, 베이스 블록 (11A) 과 커버 블록 (11B) 을 리플로우 납땜하는 온도에서 변형되지 않는 고융점 플라스틱으로 성형한 팩전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단자 (3) 에 온도 센서를 접속하고, 브레이커 기구 (4) 가 오픈된 상태에서 출력단자 (3) 로부터 온도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팩전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브레이커 기구 (4) 를 내장하고 있는 수납실 (17) 의 내면으로 돌출되어, 오픈 위치로 이동하는 가동 아암 (12) 의 스토퍼 (11m) 를 설치한 팩전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출력단자 (3) 에 전자부품 (20) 을 납땜하여 고정하고 있고, 전자부품 (20) 을 연결하는 경계의 대향 가장자리와, 전자부품 (20) 을 연결하는 면과의 각부(角部)에 절결부 (3a) 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 (3a) 에 수지를 충전한 팩전지.
  13.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단자 (3) 의 이면에 전자부품 (20) 을 납땜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전자부품 (20) 을 납땜하고 있는 영역의 주위에, 절연 블록 (11) 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땜납 (44) 의 확장을 저지하는 절연부 (43) 를 형성한 팩전지.
  14. 제 1 항에 있어서, 절연 블록 (11) 의 양측에 폭조정 볼록부 (11c) 를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형성하고 있고, 이 폭조정 볼록부 (11c) 의 외폭을 전지 (2) 의 두께와 같게 한 팩전지.
KR1020040062848A 2003-09-16 2004-08-10 팩전지 KR100679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23771A JP4130160B2 (ja) 2003-09-16 2003-09-16 パック電池
JPJP-P-2003-00323771 2003-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205A true KR20050028205A (ko) 2005-03-22
KR100679911B1 KR100679911B1 (ko) 2007-02-07

Family

ID=3330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848A KR100679911B1 (ko) 2003-09-16 2004-08-10 팩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96600B2 (ko)
JP (1) JP4130160B2 (ko)
KR (1) KR100679911B1 (ko)
CN (1) CN100483791C (ko)
DE (1) DE102004044651A1 (ko)
GB (1) GB2406209B (ko)
TW (1) TWI25616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832B1 (ko) * 2010-12-29 2013-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3792B2 (ja) * 2001-06-29 2005-04-27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とその製造方法
KR100537535B1 (ko) * 2004-03-30 2005-12-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수지몰딩형 이차 전지의 형성 방법
KR100700564B1 (ko) * 2004-11-10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0788560B1 (ko) * 2006-03-27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캔과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및 그제조방법
KR100770102B1 (ko) * 2006-09-08 2007-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2008140628A (ja) * 2006-11-30 2008-06-19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とその製造方法
KR100833745B1 (ko) * 2007-01-17 2008-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917751B1 (ko) 2007-09-20 2009-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팩형 이차전지
US20090136837A1 (en) * 2007-11-27 2009-05-28 Komoto Hirotada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808883B2 (en) 2007-11-29 2014-08-19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pack of compact structure
KR100965711B1 (ko) * 2008-05-09 2010-06-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9130224B2 (en) * 2009-07-06 2015-09-0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pack
USD837790S1 (en) * 2016-08-03 2019-01-08 Transcend Information, Inc. Mobile storage device
CN107293655B (zh) * 2017-07-13 2023-05-23 深圳市科达利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高温下翻转阀失效的电池盖板结构及电池
CN111425635B (zh) * 2020-03-31 2022-04-05 威睿电动汽车技术(宁波)有限公司 一种热失控防回火泄压阀及电动汽车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6265U (ko) * 1980-11-14 1982-05-27
TW432736B (en) * 1999-02-23 2001-05-01 Sanyo Electric Co Pack battery
JP3454738B2 (ja) 1999-02-23 2003-10-06 三洋電機株式会社 保護素子を内蔵するパック電池
JP3693844B2 (ja) * 1999-03-01 2005-09-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池の感圧電路遮断機構
JP3556875B2 (ja) * 1999-03-02 2004-08-25 京セラ株式会社 バッテリ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1180507C (zh) * 1999-03-30 2004-12-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具备电池保护电路的蓄电池
JP2003162987A (ja) 2001-06-28 2003-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基板一体化電池及び電池パック
JP2003031192A (ja) 2001-07-12 2003-01-31 Yuasa Corp 電池パック
JP3778841B2 (ja) 2001-10-26 2006-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JP3762683B2 (ja) 2001-10-26 2006-04-0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流遮断素子を内蔵する電池パック
JP3668195B2 (ja) 2002-01-31 2005-07-06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の製造方法
JP4629952B2 (ja) * 2002-02-13 2011-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3242958A (ja) 2002-02-20 2003-08-29 Kyocera Corp リチウム電池
JP2003315483A (ja) 2002-04-23 2003-11-06 Toshiba Corp 原子力発電プラン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832B1 (ko) * 2010-12-29 2013-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99093A (zh) 2005-03-23
JP2005093189A (ja) 2005-04-07
TWI256163B (en) 2006-06-01
US7396600B2 (en) 2008-07-08
GB2406209A (en) 2005-03-23
GB2406209B (en) 2006-12-13
CN100483791C (zh) 2009-04-29
DE102004044651A1 (de) 2005-05-12
TW200512965A (en) 2005-04-01
KR100679911B1 (ko) 2007-02-07
US20050053827A1 (en) 2005-03-10
JP4130160B2 (ja) 2008-08-06
GB0420425D0 (en)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911B1 (ko) 팩전지
US7252903B2 (en) Battery pack
US20080152994A1 (en) Battery pack
US8206849B2 (en) Integral cap assembly having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080049645A (ko) 팩 전지와 그 제조 방법
JP2005166644A (ja)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US4978491A (en) Molded resin casing of electronic part incorporating flexible board
JP3728288B2 (ja) パック電池
JP2005183176A (ja) パック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28291B2 (ja) パック電池
JP3802467B2 (ja) パック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3877623B2 (ja) パック電池の製造方法
JP3744869B2 (ja) パック電池
JP3966751B2 (ja) 電流遮断素子を備えるパック電池
JP3802458B2 (ja) パック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4141159B2 (ja) パック電池
JP5100116B2 (ja) パック電池
JP3877622B2 (ja) パック電池
JP2009193794A (ja) パック電池
JP2010010105A (ja) パック電池の成形金型及びパック電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